KR102602888B1 - 누수감지센서 및 이를 삽입하는 센서함체부 및 센서함체부를 삽입하는 보호커버 - Google Patents

누수감지센서 및 이를 삽입하는 센서함체부 및 센서함체부를 삽입하는 보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2888B1
KR102602888B1 KR1020200187181A KR20200187181A KR102602888B1 KR 102602888 B1 KR102602888 B1 KR 102602888B1 KR 1020200187181 A KR1020200187181 A KR 1020200187181A KR 20200187181 A KR20200187181 A KR 20200187181A KR 102602888 B1 KR102602888 B1 KR 102602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lower sensor
signal
leak detection
water lea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7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5553A (ko
Inventor
윤상조
이훈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위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위드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위드원
Priority to KR1020200187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888B1/ko
Publication of KR20220095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5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8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6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by means of cables or similar elongated devices, e.g. ta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 G01N27/07Construction of measuring vessels; Electrod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Leakage reduction or detection in water storage or distribu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하부센서;
상기 하부센서는 제1하부센서 및 제2하부센서로 구분하여 구성하며,
상기 제1하부센서는 두개의 신호선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하부센서와 대칭되는 두개의 신호선이 연결되어있는 상기 제2하부센서로 구성되어,
상기 제1 하부센서와 상기 제2하부센서 각각의 신호선을 연결하는 상기 상부센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센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누수감지센서 및 이를 삽입하는 센서함체부 및 센서함체부를 삽입하는 보호커버{Leakage detection sensor, sensor enclosure to insert it, and protective cover to insert sensor enclosure}
본 발명은 누수감지센서에 관한 것이다
배경이 되는 기술의 누수감지센서는 도8에 도시된 것으로 베이스부(10), 도전라인(20), 커버부(30), 양면접착테이프(50)를 포함할 수 있다.
누수감지센서는 베이스부(10), 상기 베이스부(10) 상부면에 쌍으로 배치되는 도전라인(20), 상기 도전라인(20)의 상측에 위치하는 커버부(30), 및 상기 커버부(30)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센싱홀(40)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라인(20)은 부식과 오작동 방지를 위해 상기 도전라인(20)의 표면에 도포된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라인(20)은, 상기 베이스부(10)의 길이 방향으로 2개가 배치되는 주도전라인(21), 및 각각의 상기 주도전라인(21)에서 돌출하는 복수 개의 부도전라인(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라인(20)은, 상기 베이스부(10)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게 2개가 배치되는 주도전라인(21), 및 대칭되게 배치된 2개의 상기 주도전라인(21)의 내측으로 각각의 상기 주도전라인(21)에서 돌출하는 복수 개의 부도전라인(22)을 포함하며, 2개 베이스부(10)는 후술하는 도전라인(20)이 배치되는 층으로 절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전라인(20)은 베이스부(10)의 상부면에 쌍으로 배치되는 도체로서, 전기가 흐를 때 누수가 되는 경우 합선이 되어 누수 여부를 알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전라인(20)은 주도전라인(21)과 부도전라인(22)을 포함할 수 있다.
주도전라인(21)은 전술한 베이스부(10)의 길이 방향으로 2개가 배치되는 것으로, 2개의 주도전라인(21)은 일단이 도선 등으로 연결되어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일례로, 도 8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주도전라인(21)은 베이스부 (100)의 길이 방향으로 2개가 서로 대칭되게 위치할 수 있다.
부도전라인(22)은 주도전라인(21)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어 누수 감지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부도전라인(22)은 대칭으로 배치된 주도전라인(21)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부도전라인(22)은 일측의 주도전라인(21)으로부터 돌출한 부도전라인(22)과 타측의 주도전라인(21)으로부터 돌출한 부도전라인(22)이 서로 하나 씩 교대로 배치되도록 돌출될 수 있다. 부도전라인(22)의 교차 패턴은 한쌍의 도전라인 (200)의 간격을 좁혀 한쪽 도전라인(20)만을 타고 흐르는 누수나 미량의 누수라도 양쪽의 부도전라인(22)에 좀 더 용이하게 감지되게 하여 누수감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부도전라인(22)의 교차 패턴은 후술하는 하나의 센싱홀 (40)을 투과하는 누수의 위치를 좀 더 정확히 알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코팅층은 도전라인(20)의 표면에 도포되는 것으로, 부식 방지와 누수감지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전라인(20)은 코팅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습도나 금속, 금속성 분진, 인체 등의 접촉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실제 누수가 아닌 경우에도 누수로 오작동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코팅층은 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코팅층은 누수나 습도 등으로부터 도전라인(20)의 부식 등을 방지하고 도전라인(20)을 보호하여 도전라인(20)의 내구성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은 관이음부 전부에 대하여 감아야 하는 단점과 복잡한 구성 및 작업성이 떨어지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정확성이 떨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어왔다. 본원발명은 이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고자 발명하게 된 것이다.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1074337(2011.10.17) 대한민국특허청특허공개번호 10-2015-0136644(2015.12.08)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1610053(2016.04.07) 대한민국특허청특허공개번호 10-2008-0056531(2008.06.23)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과제는 작업현장에서 신호선을 연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고 서로 삽입하는 작업만으로 신호선을 연결하여 신호선의 접속에 따른 정확도와 작업의 신속성을 높이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2과제는 누설되는 액체가 오직 하부센서로부터 상부센서로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하여 누설되는 즉시 센서가 단선이 되는 해당 개소를 확인할 수 있어 관이음부의 누설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하부센서;
상기 하부센서는 제1하부센서 및 제2하부센서로 구분하여 구성하며,
상기 제1하부센서는 두개의 신호선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하부센서와 대칭되는 두개의 신호선이 연결되어있는 상기 제2하부센서로 구성되어,
상기 제1 하부센서와 상기 제2하부센서 각각의 신호선을 연결하는 상기 상부센서로 구성하는 누수감지센서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제2하부센서를 결합하는 케이스는 철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1하부센서를 결합하는 케이스는 요부로 구성하여 서로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하부센서와 상기 제2하부센서에 배치된 각각의 두개의 신호선은 단부 부분에 각각 신호1선단자 및 신호2선단자를 구성하고,
상기 신호1선단자 및 상기 신호2선단자에 상응하도록 상기 상부센서는 상기 신호1선단자 및 상기 신호2선단자에 삽입하도록 구성하여 각각 신호1선연결단자 및 신호2선연결단자를 구성 및 결합하여 각각의 신호선이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부센서 및 상기 상부센서는 누설액체의 팽창압력에 의하여 이탈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하부센서 및 상기 제2하부센서는 각각 제1하부센서액체삽입부와 제2하부센서액체삽입부의 빈공간을 구성하여 액체가 삽입하는 압력에 의하여 상기 상부센서를 상기 하부센서로부터 이탈시키도록 힘을 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누수감지센서는 상기 제1하부센서와 상기 제2하부센서가 외부 측방향의 힘에 의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제1하부센서와 상기 제2하부센서 및 상기 상부센서를 결합하여 삽입하도록 구성하는 센서함체부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센서를 상기 센서함체부에 삽입할 때 상기 상부센서와 상기 센서함체부 단부 사이에 이격거리를 두도록 구성하여 상기 하부센서로부터 누설된 액체의 압력으로 인하여 상기 상부센서가 상기 하부센서로부터 이탈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신호선이 단선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센서함체부는 센서함체1부와 센서함체2부로 구성하되,
상기 센서함체1부에는 상기 누수감지센서를 삽입하도록 상하부가 개방된 사각기둥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센서함체2부에는 체크밸브가 구성되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센서함체부에 상기 하부센서와 상기 상부센서를 결합하여 삽입하고 난 후에 누수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보호커버의 내부에 부착하도록 구성하여 누수를 감지하도록 구성한 상기 보호커버의 내부벽부에 센서함체삽입부를 구성하는 보호커버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내부벽부에는 상기 체크밸브를 구성하도록 홀부를 구성하고 상기 센서함체삽입부는 센서함체삽입테두리외부와 센서함체삽입테두리내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센서함체부는 센서함체1부와 센서함체2부로 구성하되,
상기 센서함체삽입부는 상기 누수감지센서를 삽입한 센서함체1부를 삽입하고,
상기 센서함체2부에는 체크밸브가 구성되는 공간으로 상기 센서함체부를 좌우로 회전하지 않고 상기 보호커버에 삽입부착하도록 상기 센서함체삽입부 좌우에 상기 센서함체2부를 삽입할 공간을 확보하도록 동일한 구성을 좌우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센서함체부는 상기 센서함체1부와 상기 센서함체2부로 구성되어 상기 센서함체1부와 상기 센서함체2부 사이에는 누설액체통과부를 구성하여 누설을 감지하는 관이음부에서 나온 액체가 상기 하부센서를 통과하여 상기 상부센서로 압력을 주어 상기 하부센서로부터 상기 상부센서가 이탈되고 누설된 액체는 상기 누설액체통과부를 통과할 때 상기 체크밸브를 개방하도록 하여 외부에서는 물이 흘러들어오지 못하도록 하고 내부에서 외부로 일정한 압력이 가해질 때 개방되는 보호커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제1효과는 작업현장에서 신호선을 연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고 서로 삽입하는 작업만으로 신호선을 연결하여 신호선의 접속에 따른 정확도와 작업의 신속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발명의 제2효과는 누설되는 액체가 오직 하부센서로부터 상부센서로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하여 누설되는 즉시 센서가 단선이 되는 해당 개소를 확인할 수 있어 관이음부의 누설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제1a도는 하부센서가 서로 이격되어있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1b도는 제1하부센서 및 제2하부센서가 서로 결합되어있는 것으로 보이는 도이다.
제2도는 상부센서로 제1하부센서와 제2하부센서에 있는 신호단자와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된 도이다.
제3a도는 센서함체부의 일면을 보이는 도이다.
제3b도는 센서함체부의 타면을 보이는 도이다.
제4a도는 센서함체부 내에 누수감지센서가 삽입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제4b도는 제4a도의 이면부를 보이는 도이다.
제5a도는 보호커버의 센서함체삽입부를 보이는 도이다.
제5b도는 센서함체삽입부에 센서함체가 부착된 도이다.
제6도는 보호커버의 일방의 내부를 보이는 도이다.
제7a도는 체크밸브의 외형을 보이는 도이다.
제7b도는 체크밸브의 상부면을 보이는 도이다.
제7c도는 체크밸브의 하부면을 보이는 도이다.
제8도는 배경기술이 되는 도이다.
도면1a 내지 도2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하부센서는 제1하부센서(100) 및 제2하부센서(200)로 구분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1하부센서(100)는 두개의 신호선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하부센서(100)와 대칭되는 두개의 신호선이 연결되어있는 상기 제2하부센서(200)로 구성된다.
상기 제1하부센서(100)와 상기 제2하부센서(200)의 각각의 신호선을 연결하는 상기 상부센서(300)로 누수감지센서를 구성하는 것이다.
도면1a의 우측도면에 의하면 상기 제2하부센서(200)를 결합하는 케이스는 결합철부(230,240)를 구성한다.
도면1a의 좌측도면에 의하면 상기 제1하부센서(100)를 결합하는 케이스는 결합요부(130,140)로 구성하여 서로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철부와 결합요부사이에는 억지끼움마춤방식 또는 상하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는 정도이면 족하다.
여기서 상기 제1하부센서(100)와 상기 제2하부센서(200)에 배치된 각각의 두개의 신호선은 단부 부분에 각각 신호1선단자(115,215) 및 신호2선단자(125,225)를 구성한다.
상기 신호1선단자(115,215) 및 상기 신호2선단자(125,225)에 상응하도록 상기 상부센서(300)는 상기 신호1선단자(115,215) 및 상기 신호2선단자(125,225)에 상응하는 구성을 요부로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하여 각각 신호1선연결단자(315a,315b) 및 신호2선연결단자(325a,325b)를 구성 및 결합하여 각각의 신호선이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호1선연결단자(315a,315b)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같이 315a와 315b는 대략 ㄷ 자형으로 선이 연결되어있어 신호1선단자 115와 215를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신호2선연결단자(325a,325b)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같이 325a와 325b는 대략 ㄷ 자형으로 선이 연결되어있어 신호2선단자 125와 225를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상부센서(300)는 각단자로 이어지는 신호연결선(315,325)이 연결되어있어 하부센서의 신호선을 연결하는 것이다.
작업현장에서 신호선을 연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고 서로 삽입하는 작업만으로 신호선을 연결하여 신호선의 접속에 따른 정확도와 작업의 신속성을 높이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제1하부센서 및 제2하부센서로 결합요부(130,140) 및 결합철부(230,240)에 의하여 구성된 상기 하부센서 및 상기 상부센서(300)는 누설액체의 팽창압력에 의하여 이탈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설액체의 팽창압력은 상기 제1하부센서(100) 및 상기 제2하부센서(200)는 각각 제1하부센서액체삽입부(152,154)와 제2하부센서액체삽입부(252,254)의 빈공간을 구성하여 액체가 삽입하는 압력에 의하여 상부에 구성된 상기 상부센서를 상기 하부센서로부터 이탈시키도록 힘을 가하도록 구성하여 액체의 압력에 의하여 상부센서와 하부센서가 이탈되어 단선된다. 이로 인하여 관이음부가 누액되고 있다는 사실을 단선이 일어나고 있는 부위를 서버에서 확인함으로써 누액이 발생하는 즉시 사고위치를 확인하여 측각적인 사후조치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제까지는 누수감지센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도3a 내지 도7c에 의하여 설명하면 상기의 누수감지센서를 센서함체부(400)에 삽입하여 관이음부에 구성된 보호커버의 내부원주면에 삽입하는 것이다.
보호커버는 관이음부의 주위에 밀착하도록 밀폐부(540)로 인하여 밀봉구성하여 관이음부에서 누설되는 액체는 반드시 하부센서의 제1하부센서액체삽입부(152,154)와 제2하부센서액체삽입부(252,254)의 빈공간을 통과하여 상부센서(300)를 이탈시키고 이후에 누설되는 액체는 누설액체통과부(420)를 통과하여 체크벨브(600)를 통하여 보호커버(500)의 외부로 흘러가도록 구성한다.
상부센서는 하부센서와 결합하면 하부센서 하면으로 부터 누설된 액체의 압력이 가해지도록 누설되는 빈공간이 없도록 구성한다.
보호커버(500)는 관이음부를 감싸기 위하여 반원형의 보호커버(500)를 결합하되 외함결합홀부(550)를 통하여 관이음부를 완전하게 감싸도록 밀봉시켜 결합한다.
또한 밀폐부(540)는 고무패킹 또는 그와 유사한 재질을 사용한다.
이렇게 구성한 누수감지센서는 상기 제1하부센서(100)와 상기 제2하부센서(200)가 외부 측방향의 힘에 의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제1하부센서(100)와 상기 제2하부센서(200) 및 상기 상부센서(300)를 결합하여 삽입하도록 구성하는 센서함체부(400)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센서(300)를 상기 센서함체부(400)에 삽입할 때 상기 상부센서(300)와 상기 센서함체부(400) 단부 사이에 이격거리를 두도록 구성하여 상기 하부센서로부터 누설된 액체의 압력으로 인하여 상기 상부센서(300)가 상기 하부센서로부터 이탈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신호선이 단선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센서함체부(400)의 단부는 보호커버(500)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곳으로 보호커버(500)의 중앙부위에 관이음부가 구성되고 관이음부에서 흘러나온 액체(물,기름,화학약품 등등)가 압력에 의하여 상부센서(300)를 하부센서로부터 이탈시키도록 힘이 가해지면 상부센서(300)는 보호커버(500)의 내주면에 위치하게 되는데 충분하게 이탈되도록 상부센서(300)가 삽입된 면과 센서함체부(400)의 단부와의 이격거리를 충분하게 구성하여 상부센서(300)를 단선이 되도록 이탈시키는 구성을 갖는 것이다.
상기 센서함체1부(410)에는 상기 누수감지센서를 삽입하도록 상하부가 개방된 사각기둥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센서함체2부(450)에는 체크밸브(600)가 구성되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센서함체부(400)에 상기 하부센서와 상기 상부센서(300)를 결합하여 삽입하고 난 후에 누수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보호커버(500)의 내부에 부착하도록 구성하여 누수를 감지하도록 구성한 상기 보호커버(500)의 내부벽부에 센서함체삽입부(532)를 구성하는 보호커버(500)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내부벽부에는 상기 체크밸브(600)를 구성하도록 홀부를 구성하고 상기 센서함체삽입부(532)는 센서함체삽입테두리외부(530)와 센서함체삽입테두리내부(534)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센서함체부(400)는 센서함체1부(410)와 센서함체2부(450)로 구성하되,
상기 센서함체삽입부(532)는 상기 누수감지센서를 삽입한 센서함체1부(410)를 삽입하고,
상기 센서함체2부(450)에는 체크밸브(600)가 구성되는 공간으로 상기 센서함체부(400)를 좌우로 회전하지 않고 상기 보호커버(500)에 삽입부착하도록 상기 센서함체삽입부(532) 좌우에 상기 센서함체2부(450)를 삽입할 공간을 확보하도록 동일한 구성을 좌우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커버의 내주면에는 체크밸브삽입홀부(510,520)을 각각 구성하여 작업상 용이하도록 구성한다.
체크밸부삽입홀부(510,520)는 한쪽에는 체크밸브가 삽입되고 나머지 한쪽은 실제액체를 흘려보내기 전에 또는 매설관에 덧채움을 하기 전에 관이음부에 보호커버(500)와의 밀착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진공수준을 측정하는 구성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측정한 후에는 여분의 체크밸브삽입홀부는 밀봉시키도록 구성한다.
수많은 관이음부를 지하속으로 매장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관의 직경이 큰 경우에 보호커버의 방향을 위하여 보호커버를 지면에 꺼낸후에 다시 방향을 바꾸어 삽입하는 불편을 없애기 위하여 센서함체삽입테두리외부(530) 및 센서함체테두리부내부(534)의 좌우에 체크밸브를 삽입할 수 있는 체크밸브삽입홀부(510,520)를 복수개 구성함으로서 함체부의 방향으로 인하여 보호커버의 방향을 전환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어 작업상 유리한 것이다.
체크밸브삽입홀부의 주변에도 결합홈부(551)를 구성하여 센서함체2부(450)에 구성한 결합돌기부(451)가 삽입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센서함체부(400)는 상기 센서함체1부(410)와 상기 센서함체2부(450)로 구성되어 상기 센서함체1부(410)와 상기 센서함체2부(450) 사이에는 누설액체통과부(420)를 구성하여 누설을 감지하는 관이음부에서 나온 액체가 상기 하부센서를 통과하여 상기 상부센서(300)로 압력을 주어 상기 하부센서로부터 상기 상부센서(300)가 이탈되고 누설된 액체는 상기 누설액체통과부(420)를 통과하여 상기 센서함체2부(450)로 이동되어 상기 상부센서(300)가 상기 하부센서로부터 이탈되는 압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체크밸브(600)를 개방하도록 하여 외부에서는 물이 흘러들어오지 못하도록 하고 내부에서 외부로 일정한 압력이 가해질 때 개방되는 보호커버(500)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7a 내지 도7c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원발명의 체크밸브(600)에 해당하는 것으로 노즐부( 610)은 보호커버 의 체크밸브삽입홀부(510,520)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체크밸브의 하부에 해당하는 체크밸브하부(620)는 내부면쪽으로 구성되어있어 보호커버의 내부압력이 일정한 수준이 되었을 경우에 상부센서를 이탈되도록 한 누설된 액체가 체크밸브하부(620)로 이동되어 액체흐름부(630)로 일정한 압력이상을 가할 경우 외부로 누설된 액체를 흘려보낸다.
이렇게 구성한 것은 외부의 수압에 의하여 내부로 흘러들어오지 못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제1하부센서 110,210:신호1선 115,215:신호1선단자
130,140:결합요부 152,154:제1하부센서액체삽입부
200:제2하부센서 120,220:신호2선 125,225:신호2선단자
230,240:결합철부 252,254:제2하부센서액체삽입부
300:상부센서 315a,315b:신호1선연결단자
325a,325b:신호2선연결단자
400:센서함체부 410:센서함체1부 420:누설액체통과부
450:센서함체2부 451:결합돌기부
500:보호커버 510,520:체크밸브삽입홀부
530:센서함체삽입테두리외부 534:센서함체삽입테두리내부
532:센서함체삽입부 540:밀폐부 550:외함결합홀부 551:결합홈부
600:체크밸브 610:노즐부 620:체크밸브하부 630:액체흐름부

Claims (12)

  1. 하부센서;
    상기 하부센서는 제1하부센서 및 제2하부센서로 구분하여 구성하며,
    상기 제1하부센서는 두개의 신호선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하부센서와 대칭되는 두개의 신호선이 연결되어있는 상기 제2하부센서로 구성되어,
    상기 제1 하부센서와 상기 제2하부센서 각각의 신호선을 연결하는 상부센서로 구성하되,
    상기 제1하부센서 및 상기 제2하부센서는 각각 제1하부센서액체삽입부와 제2하부센서액체삽입부의 빈공간을 구성하여 누설액체의 팽창압력에 의하여 상기 상부센서를 상기 하부센서로부터 이탈시키도록 힘을 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부센서를 결합하는 케이스는 결합철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1하부센서를 결합하는 케이스는 결합요부로 구성하여 서로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부센서와 상기 제2하부센서에 배치된 각각의 두개의 신호선은 단부 부분에 각각 신호1선단자 및 신호2선단자를 구성하고,
    상기 신호1선단자 및 상기 신호2선단자에 상응하도록 상기 상부센서는 상기 신호1선단자 및 상기 신호2선단자에 삽입하도록 구성하여 각각 신호1선연결단자 및 신호2선연결단자를 구성 및 결합하여 각각의 신호선이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센서.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의 누수감지센서는 상기 제1하부센서와 상기 제2하부센서가 외부 측방향의 힘에 의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제1하부센서와 상기 제2하부센서 및 상기 상부센서를 결합하여 삽입하도록 구성한 센서함체부로 구성되어 상기 누수감지센서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센서가 구비된 센서함체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센서를 상기 센서함체부에 삽입할 때 상기 상부센서와 상기 센서함체부 단부 사이에 이격거리를 두도록 구성하여 상기 하부센서로부터 누설된 액체의 압력으로 인하여 상기 상부센서가 상기 하부센서로부터 이탈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신호선이 단선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센서가 구비된 센서함체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함체부는 센서함체1부와 센서함체2부로 구성하되,
    상기 센서함체1부에는 상기 누수감지센서를 삽입하도록 상하부가 개방된 사각기둥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센서함체2부에는 체크밸브가 구성되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센서가 구비된 센서함체부.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함체1부와 상기 센서함체2부 사이에 누설액체통과부를 구성하여 누설을 감지하는 관이음부에서 나온 액체가 상기 하부센서를 통과하여 상기 상부센서로 압력을 주어 상기 하부센서로부터 상기 상부센서가 이탈되고 누설된 액체는 상기 누설액체통과부를 통과할 때 상기 체크밸브를 개방하도록 하여 외부에서는 물이 흘러들어오지 못하도록 하고 내부에서 외부로 일정한 압력이 가해질 때 개방되는 구성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센서가 구비된 센서함체부.
KR1020200187181A 2020-12-30 2020-12-30 누수감지센서 및 이를 삽입하는 센서함체부 및 센서함체부를 삽입하는 보호커버 KR102602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181A KR102602888B1 (ko) 2020-12-30 2020-12-30 누수감지센서 및 이를 삽입하는 센서함체부 및 센서함체부를 삽입하는 보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181A KR102602888B1 (ko) 2020-12-30 2020-12-30 누수감지센서 및 이를 삽입하는 센서함체부 및 센서함체부를 삽입하는 보호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553A KR20220095553A (ko) 2022-07-07
KR102602888B1 true KR102602888B1 (ko) 2023-11-17

Family

ID=82398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7181A KR102602888B1 (ko) 2020-12-30 2020-12-30 누수감지센서 및 이를 삽입하는 센서함체부 및 센서함체부를 삽입하는 보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288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724B1 (ko) *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코위드원 감지선시트부착센서 및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6531A (ko) 2006-12-18 2008-06-23 주식회사 위스코 분할형 구조를 이루는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
KR20110004087U (ko) * 2009-10-19 2011-04-27 주식회사 피코그램 누수감지 센서가 장착된 밸브
KR101074337B1 (ko) 2011-03-07 2011-10-17 김영식 외기 유입 및 결로에 의한 누수감지센서 오작동 방지가 가능한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
KR20150136644A (ko) 2014-05-27 2015-12-08 코웨이 주식회사 누수감지센서가 구비된 수처리기기
KR101610053B1 (ko) 2015-11-10 2016-04-07 주식회사 엑사이엔씨 누수감지센서
KR102035522B1 (ko) * 2018-01-08 2019-11-08 주식회사 엔비엘 정수기 누수 차단 시스템
KR102052343B1 (ko) * 2018-01-30 2019-12-04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감지센서 및 그를 이용한 누수감지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724B1 (ko) *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코위드원 감지선시트부착센서 및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553A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83742B (zh) 包括具有两件式隔离插塞的隔离组件的压力变送器
RU2645882C1 (ru) Измерительны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й переменной с датчиком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й переменной, несомым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й прокладкой
CN101509817B (zh) 流体压差测量装置
CN204241020U (zh) 用于经受高工作压力的压力变送器的过程流体压力传感组件
CN101189492A (zh) 具有单体构造及导电性聚合物电极的磁性流量计
CN201321857Y (zh) 井眼测井探测器
CN101484786A (zh) 温度测量装置
KR102602888B1 (ko) 누수감지센서 및 이를 삽입하는 센서함체부 및 센서함체부를 삽입하는 보호커버
KR101346381B1 (ko) 플렉시블 누설센서
CN106197580A (zh) 具有过程流体排放套件的磁流量计流管
WO2017084769A1 (en) Connection assembly, sensor assembly and subsea cable harness
CN104949721A (zh) 高压晶片型磁流量计
CN103776583B (zh) 壳体以及具有该壳体的压力检测单元
KR102657645B1 (ko) 누수감지센서 및 그를 이용한 방법
KR102548651B1 (ko) 누수감지센서 및 누수감지센서부착보호커버
EP3360215B1 (en) Dual output subsea sensor connection assembly, sensor assembly and subsea cable harness
CN104931112B (zh) 传感器
CN204905548U (zh) 一种导线的密封装置
CN202689959U (zh) 钻杆的管状部件和接头
KR20230020273A (ko) 센서함체부 및 이를 이용한 누수감지센서
KR20050095019A (ko) 파이프 조인트 누출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
JP5720419B2 (ja) 差圧・圧力測定装置
CN104237317B (zh) 饱和度测试线路的耐压密封装置
CN206038066U (zh) 一种具有压力检测功能的电磁水表
CN210322157U (zh) 一种具有防腐蚀功能的气体压力传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