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5019A - 파이프 조인트 누출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 - Google Patents

파이프 조인트 누출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5019A
KR20050095019A KR1020040020000A KR20040020000A KR20050095019A KR 20050095019 A KR20050095019 A KR 20050095019A KR 1020040020000 A KR1020040020000 A KR 1020040020000A KR 20040020000 A KR20040020000 A KR 20040020000A KR 20050095019 A KR20050095019 A KR 20050095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ipe
sensing device
joint
pressure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0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인식
서재순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순천향대학
(주)와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순천향대학, (주)와콘 filed Critical 학교법인 순천향대학
Priority to KR1020040020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5019A/ko
Publication of KR20050095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01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61Memory and use thereof, i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memory map
    • G10H2240/165Memory card, i.e. removable module or card for storing music data for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81Protocol or standard connector for transmission of analog or digital data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 G10H2240/321Bluetooth

Landscapes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조인트 누출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 개 파이프를 사용하여 소정거리 떨어진 장소로 기체나 액체를 이동시키는 파이프 시스템에 있어서, 파이프 간의 연결 부분의 누출을 감지하는 파이프 조인트 누출 감지 장치에 있어서, 이웃하는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조인트와 연결 조인트 부근에 구비되며, 배선 단자를 구비하며 소정 압력이 인가될 경우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압력 감지 장치와 연결 조인트 및 상기 압력 감지 장치를 외부와 밀폐 차단하는 압력커버 및 압력 감지 장치의 배선 단자에 연결되는 복수 개 도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 누출 감지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서 이웃하는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 부위(조인트 부위)에서 빈번히 발생되는 액체의 누수 또는 기체의 누출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되었다.

Description

파이프 조인트 누출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LEAKAGE OF PIPE JOINT}
본 발명은 파이프 조인트 누출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파이프 조인트 부분에 소정의 압력 이상이 되면 쇼트되는 압력 센서를 구비하는 파이프 조인트 누출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에 두 가닥의 도선을 피복시킨 후, 양 끝단에 저항기 등의 계측기를 연결하여 액체의 누수 또는 가스의 누출(이하 액체의 누수 및 가스의 누출을 포함하는 용어로 '누출'이라 합니다.)을 감지하는 파이프 시스템이 본 발명의 발명자 중 한 사람에 의해 제안되었다. 도선이 피복된 파이프 시스템을 사용하면, 파이프의 자연적인 부식이나 외부의 충격 등으로 기인한 크랙으로 인하여 가스 또는 액체가 새어나오는 것을 손쉽게 감지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파이프는 상당 거리 떨어진 장소간의 액체 또는 기체를 이송하고자 사용을 하는데 먼 거리를 서로 연결하여야 하므로 다수 개의 파이프를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파이프 자체의 크랙이 없더라도 파이프의 연결부위는 시공이 부실하거나 시공 후 지반의 침하 등으로 도관 자체가 이동할 경우 연결부위에서 누출이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하지만 제안된 파이프 시스템을 사용하더라도 이웃하는 파이프 사이의 연결부위(조인트 부위)에서 누출이 될 경우 이를 감지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이프 조인트부의 기체 또는 액체의 누출을 손쉽게 감지할 수 있는 파이프 조인트 누출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복수 개 파이프를 사용하여 소정거리 떨어진 장소로 기체나 액체를 이동시키는 파이프 시스템에 사용되며 파이프 간의 연결 부분의 누출을 감지하는 파이프 조인트 누출 감지 장치에 있어서, 이웃하는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조인트와 연결 조인트 부근에 구비되며, 배선 단자를 구비하며 소정 압력이 인가될 경우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압력 감지 장치와 연결 조인트 및 상기 압력 감지 장치를 외부와 밀폐 차단하는 압력커버 및 압력 감지 장치의 배선 단자에 연결되는 복수 개 도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 누출 감지 장치에 의해서 달성 가능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압력 커버의 양 끝단부에는 압력 커버를 파이프에 보다 단단히 밀착시키기 위한 커버 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선은 파이프에 피복되어 있고, 피복된 도선이 파이프의 연결부위 부근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압력 감지 장치의 배선 단자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압력 감지 장치는 누출된 액체 또는 기체가 들어올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갖는 복수 개 구멍을 구비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에 부착 구비되며, 배선 단자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 내부 배선 단자와 내부 배선 단자를 서로 연결하는 판 전극과 하우징부 내부에 구비되며, 판 전극을 외부와 차단시키고 상기 구멍을 통해서 유입되는 가스 또는 액체에 의해 인가되는 압력을 상기 판 전극에 전달하여 판 전극을 서로 쇼트되게 하는 전극 보호막으로 구성된다.
압력 감지 장치에 사용되는 판 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아크 형상으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소정 압력 이상이 인가될 경우 반대쪽으로 휘어져서 보다 확실하게 스위칭 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체나 액체를 이동시키는 복수 개 파이프를 사용하는 파이프 시스템에 있어서 파이프의 조인트 부위의 누출을 감지하는 누출 감지 방법으로서, 이웃하는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는 제 1단계와 연결 부위 부근에 소정치 이상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압력감지센서와 연결되는 도선을 구비하도록 하는 제 2단계와 내부 공간에 연결 부위와 압력감지센서를 포함되도록 밀폐시키는 제 3단계와 도선을 이용하여 압력감지센서에 신호를 발송하는 제 4단계 및 발송된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기체 또는 액체의 누출을 감지하는 제 5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누출 감지 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파이프 시스템은 두 개의 도선(101)이 피복된 파이프(102), 이웃하는 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 조인트(104), 연결 조인트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조인트부에서 누출되는 기체 또는 액체가 외부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밀폐시키는 압력커버(105), 기체 또는 액체의 누출 위치를 계측하는 TDR 계측기(100), 조인트부에서 누출이 발생했을 때, 이를 감지하는 압력 감지 장치(103) 및 압력에 밀려서 터짐을 방지하는 압력커버밴드(106)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시스템의 시공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선(101)이 구비된 파이프(102)를 위치시키고, 양 파이프를 연결 조인트(104)를 이용하여 연결한다. 압력감지장치(103)를 연결 조인트(104) 옆의 파이프 일면에 고정시킨 후, 양측 파이프(102)로부터 도출되는 도선(101)을 연결한다. 다음으로 압력감지장치(103) 및 연결 조인트(104)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조인트부에서 누출되는 가스나 액체나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압력커버(105)를 설치한다. 압력커버(105)의 양 끝단을 커버밴드(106)를 이용하여 조임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시스템의 설치가 완성된다.
도 1에 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조인트부에서 기체 또는 액체가 누출되면, 누출된 기체 또는 액체는 압력커버(105)로 인해 외부로 빠져 나갈 수 없게 되므로 조인트부 내부에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기체 또는 액체의 누출에 의한 압력의 증가는 압력감지장치(103)에 의해 감지되고, 감지된 신호는 도선(101)을 통해 TDR 계측기(100)에 전달되므로 누출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즉, TDR 계측기(100)의 산술을 통해 누출 위치을 산출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감지 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양면 압착식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양면 압착식 압력감지장치(10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구멍(203)이 뚫려 있고, 외부 파이프와 각각 연결되는 외부단자(204)를 구비하는 하우징부(202), 상기 하우징부(202)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액체 또는 기체의 누출에 의해 작동하는 압력스위치(201)로 구성된다.
압력스위치(201)는 외부단자(204)에 각각 대응하는 내부단자(205)와 내부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한 쌍의 판 전극(206,207), 내부단자와 한 쌍의 판 전극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막(209) 및 압력스위치(201)를 하우징부(202)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210)로 구성된다. 한 쌍의 판 전극 중 하나(207)는 볼록하게 아크 형상으로 구비됨을 알 수 있다. 외부 배선 단자(204)와 내부 배선 단자(205)는 도선 등으로 전기적으로 도통 상태로 유지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압력감지장치(103-1)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조인트부에서 기체 또는 액체가 누출되면, 누출된 기체나 액체는 다수 개 구멍(203)을 통하여 압력감지장치로 유입되고, 유입된 기체 또는 액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막(209)을 양측으로 밀게 된다. 보호막(209)은 인가되는 압력을 판 전극(207)에 전달하는 하는 역할을 하여야 하므로 경화성 재질보다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압력이 소정 압력치보다 높게 되면 이러한 압력에 의해 볼록하게 아크 형상의 판 전극(207)이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지면서 판 전극(206,207)이 서로 쇼트되게 된다. 따라서 외부 TDR 장비는 이러한 쇼트를 감지함으로써 조인트부의 누출을 감지하게 된다. 소정 압력치는 판 전극(206, 207)의 재질 및 성형 정도 등이나 보호막(209)의 재질에 따라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감지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단면 압착식 압력감지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단면 압착식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출된 기체 또는 액체가 유입될 수 있는 구멍이 하우징부의 한쪽 면에만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압력감지장치의 작동 원리는 도 2에 도시된 압력감지장치의 작동 원리와 유사하나 누출된 기체 또는 액체에 의한 압력이 한쪽면에서만 가해짐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감지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피스톤이 삽입된 양면 압착식 압력감지장치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압력감지장치는 도 2에 도시된 압력감지 장치와 유사하나 하우징부(202) 내부에 누출된 기체 및 액체로 인한 압력을 집중시키기 위한 피스톤(230)이 추가로 삽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스위치의 끝단부는 삼각형의 꼭지점 형상을 가지므로 인가되는 압력이 꼭지점으로 집중되도록 함으로써 판 전극(206,207)의 원하는 부분에 보다 정확하게 압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5를 이용하여 압력감지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조인트부에서 기체 또는 액체가 누출되면, 누출된 기체나 액체는 다수 개 구멍(203)을 통하여 압력감지장치로 유입되고, 유입된 기체 또는 액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230)을 판 전극(206,207) 방향으로 밀게 된다. 피스톤(230)의 압력에 의해 보호막(209)은 내측으로 압착이 되며, 이러한 압력에 의해 볼록하게 아크 형상의 판 전극(207)이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지면서 판 전극(206,207)이 서로 쇼트되게 된다. 따라서 외부 TDR 장비는 이러한 쇼트를 감지함으로써 조인트부의 누출을 감지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감지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단면 피스톤 압착식 압력감지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단면 피스톤 압착식 압력감지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202)의 한쪽에만 끝부분이 뾰족한 피스톤(230)이 삽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동작 원리는 도 5에 도신된 양면 피스톤 압착식 압력감지장치와 유사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 누출 장치를 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조인트부의 누출을 감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시공 단계에서는 첫째 파이프를 연결하고, 파이프 조인트를 연결한다. 둘째, 압력감지장치를 부착하고, 측정도선을 연결한다. 셋째, 조인트부와 압력감지장치가 내부에 밀폐되도록 압력커버를 씌운다. 넷째, 압력커버의 양끝단을 보다 밀폐시키기 위하여 커버밴드를 감는다. 다섯째, 시공후 센서의 오동작 테스트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측정단계에서는 첫째, 압력감지장치로 들어가는 측정도선을 TDR과 연결한다. 둘째, 측정펄스 신호를 송출한다.
분석 단계에서는 첫째, TDR로부터 측정된 자료를 수신하고, 둘째, 파형이 어떤 종류의 파형인지를 확인한다.
판단 단계에서는 첫째, 파형의 시작점과 파형이 최초의 시작점과 파형이 차이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둘째, 만약 차이가 있다면, 이를 고장점으로 처리한다. 반복 단계에서는 판단 단계에서 다시 측정단계로 들어간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 누출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에 의해서 이웃하는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 부위(조인트 부위)에서 빈번히 발생되는 액체의 누수 또는 기체의 누출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 누출 감지 장치는 센서에 별도의 전원 공급이 필요 없으므로 구축 비용이 저렴하며, 센서에 전원공급을 위한 준비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시공에 필요한 준비 및 설계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 누출 감지 장치는 설치 위치에 제한이 없다. 이는 파이프 연결 조인트와 압력감지장치를 밀폐시키기 위한 압력 커버를 구비함으로써 파이프의 매설 위치에 무관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 누출 감지 장치는 하나의 TDR 계측기에서 중앙집중적으로 측정이 가능하므로 측정 및 감시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선이 피복된 파이프 간의 조인트 부위의 누출을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선이 피복되지 않은 파이프 간의 조인트 부위의 누출을 감지하도록 시스템을 변경하는 것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된 압력감지장치는 소정 압력 이상이 인가되면 쇼트되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소정 압력이 인가되면 단락되는 방식으로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감지 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양면 압착식의 구성도이다.
도3은 도 2에서 제안된 압력 감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감지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단면 압착식 압력감지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감지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피스톤이 삽입된 양면 압착식 압력감지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감지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단면 피스톤 압착식 압력감지장치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TDR(Time Domain Reflectometer) 101: 도선
102: 파이프 103: 압력 감지 장치
104: 연결 조인트 105: 압력커버
106: 커버밴드 202: 하우징부
204: 외부 배선 단자 205: 내부 배선 단자
206,207: 판 전극 209: 보호막
210: 고정부 203: 관통공
230: 피스톤

Claims (6)

  1. 복수 개 파이프를 사용하여 소정거리 떨어진 장소로 기체나 액체를 이동시키는 파이프 시스템에 있어서, 파이프 간의 연결 부분의 누출을 감지하는 파이프 조인트 누출 감지 장치에 있어서,
    이웃하는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조인트;
    상기 연결 조인트 부근에 구비되며, 배선 단자를 구비하며 소정 압력이 인가될 경우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압력 감지 장치;
    상기 연결 조인트 및 상기 압력 감지 장치를 외부와 밀폐 차단하는 압력커버; 및
    상기 압력 감지 장치의 배선 단자에 연결되는 복수 개 도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 누출 감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커버의 양 끝단부에는 상기 압력커버를 파이프에 보다 단단히 밀착시키기 위한 커버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 누출 감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은 파이프에 피복되어 있고, 상기 피복된 도선이 파이프의 연결부위 부근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압력 감지 장치의 배선 단자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 누출 감지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압력 감지 장치는
    누출된 액체 또는 기체가 들어올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갖는 복수 개 구멍을 구비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부착 구비되며, 상기 배선 단자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 내부 배선 단자와
    상기 내부 배선 단자를 서로 연결하는 판 전극과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구비되며, 판 전극을 외부와 차단시키고 상기 구멍을 통해서 유입되는 가스 또는 액체에 의해 인가되는 압력을 상기 판 전극에 전달하여 판 전극을 서로 쇼트되게 하는 전극 보호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 누출 감지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판 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아크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 누출 감지 장치.
  6. 기체나 액체를 이동시키는 복수 개 파이프를 사용하는 파이프 시스템에 있어서 파이프의 조인트 부위의 누출을 감지하는 누출 감지 방법으로서,
    이웃하는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는 제 1단계;
    연결 부위 부근에 소정치 이상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압력감지센서와 연결되는 도선을 구비하도록 하는 제 2단계;
    내부 공간에 연결 부위와 압력감지센서를 포함되도록 밀폐시키는 제 3단계;
    도선을 이용하여 압력감지센서에 신호를 발송하는 제 4단계; 및
    상기 발송된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기체 또는 액체의 누출을 감지하는 제 5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누출 감지 방법.
KR1020040020000A 2004-03-24 2004-03-24 파이프 조인트 누출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 KR200500950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000A KR20050095019A (ko) 2004-03-24 2004-03-24 파이프 조인트 누출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000A KR20050095019A (ko) 2004-03-24 2004-03-24 파이프 조인트 누출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019A true KR20050095019A (ko) 2005-09-29

Family

ID=37275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0000A KR20050095019A (ko) 2004-03-24 2004-03-24 파이프 조인트 누출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5019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88371A (zh) * 2011-07-26 2011-12-21 王万年 漏气检测器
KR101107202B1 (ko) * 2011-04-06 2012-01-25 윤대훈 배관재 연결부의 누설감지용 감지장치
KR101281508B1 (ko) * 2012-07-12 2013-07-03 주식회사 코위드원 관 이음장치
CN103954411A (zh) * 2014-05-14 2014-07-30 宁波工程学院 排水管内水压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13624411A (zh) * 2021-07-28 2021-11-09 中航油青岛国际机场航空油料有限责任公司 机坪加油管道阀门井防水密封性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KR20220095521A (ko) *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감지센서 및 그를 이용한 방법
WO2023249159A1 (ko) * 2022-06-22 2023-12-28 주식회사 에스씨솔루션글로벌 누수센서모듈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202B1 (ko) * 2011-04-06 2012-01-25 윤대훈 배관재 연결부의 누설감지용 감지장치
CN102288371A (zh) * 2011-07-26 2011-12-21 王万年 漏气检测器
KR101281508B1 (ko) * 2012-07-12 2013-07-03 주식회사 코위드원 관 이음장치
CN103954411A (zh) * 2014-05-14 2014-07-30 宁波工程学院 排水管内水压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20220095521A (ko) *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감지센서 및 그를 이용한 방법
CN113624411A (zh) * 2021-07-28 2021-11-09 中航油青岛国际机场航空油料有限责任公司 机坪加油管道阀门井防水密封性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113624411B (zh) * 2021-07-28 2023-11-24 中航油青岛国际机场航空油料有限责任公司 机坪加油管道阀门井防水密封性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WO2023249159A1 (ko) * 2022-06-22 2023-12-28 주식회사 에스씨솔루션글로벌 누수센서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588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conduit chafing
KR101098528B1 (ko) 관로 감시 시스템 및 방법
RU2532611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ного блока ультразвукового расходомера
CN105829854B (zh) 空间封闭物体及其间的接合区的泄漏监测系统和对应方法
RU2289753C1 (ru) Система оперативного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контроля состояния изоляции трубопроводов с теплоизоляцией из пенополиуретана,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US20160290887A1 (en) Inflatable detecting element, modular detection cable and detection system for detecting leaks of nonconductive liquid
CN106461133A (zh) 带泄漏检测的密封套筒
US20140167763A1 (en) Tracer wire connector devices and methods for use
KR100660649B1 (ko) 누수감지관의 연결부위 누수감지 장치
KR20050095019A (ko) 파이프 조인트 누출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
WO2014120074A9 (en) System for monitoring pipeline leakage, pipeline element provided with the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the monitoring system onto a pipeline
KR101692638B1 (ko) 크로스 링크 자기수축형 열화진단 케이블 접속재
KR20110053704A (ko) 파이프의 리크 및 파열 감지장치
KR100269817B1 (ko) 배관의 상태를 감지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0934988B1 (ko) 케이블 이상여부 감지장치
KR20070117382A (ko) 압력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파이프 조인트의 누출 감지장치
KR200412983Y1 (ko) 누수감지관의 연결부위 누수감지 장치
KR100401482B1 (ko) 지하매설 수도관로의 누수탐지연결장치
CN111238683A (zh) 一种变压器测温装置
CN109387259A (zh) 水位探头
KR101101579B1 (ko) 자가누수진단테이프 및 이를 포함한 자가누수진단장치
CN209264067U (zh) 水位探头及水位测量系统
CN102506959B (zh) 一种传感器组件
WO2022170506A1 (en) Sensor strip and flange leak detection method
JPH1172408A (ja) 漏液検出器,それを用いた漏液検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漏液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