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7382A - 압력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파이프 조인트의 누출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압력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파이프 조인트의 누출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7382A
KR20070117382A KR1020060051591A KR20060051591A KR20070117382A KR 20070117382 A KR20070117382 A KR 20070117382A KR 1020060051591 A KR1020060051591 A KR 1020060051591A KR 20060051591 A KR20060051591 A KR 20060051591A KR 20070117382 A KR20070117382 A KR 20070117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ressure sensor
ground plate
extension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1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용
홍인식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51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7382A/ko
Publication of KR20070117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73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9/00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압력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파이프 조인트의 누출 감지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압력 센서는: 도선이 외측에 설치되며 파이프 연결부위에서의 액체의 누출을 감지하도록 액체를 이동시키는 복수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파이프 시스템에 구비되는 압력 센서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연결부위에서 누출되는 액체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입공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도선;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연장도선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유입공으로 유입되는 액체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연장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누수, 누출, 파이프, 조인트, 압력 센서

Description

압력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파이프 조인트의 누출 감지 장치{PRESSURE SENSOR AND APPARATUS FOR DETECTING LEAKAGE OF PIPE JOINT THEREWITH}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 누출 감지 장치의 압력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센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3b 는 본 발명의 따른 압력 센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따른 압력 센서의 일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파이프 시스템 110 : 파이프
120 : 도선 130 : 압력 센서
131 : 하우징 132 : 유입공
133 : 연장도선 134 : 공기 배출홀부
135 : 연장도선 삽입홀부 137 : 접지판
138 : 팽창재 140 : 조인트
150 : 압력 커버 160 : 커버 밴드
170 : TDR 계측기
본 발명은 압력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파이프 조인트의 누출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는 조인트 부분에서 액체의 누출이 발생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도선을 단락시킴으로써 액체의 누출 여부 및 누출이 발생한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파이프 조인트의 누출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는 상당 거리 떨어진 장소 간에 액체를 이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데, 먼 거리를 서로 연결하여야 함에 따라 다수의 파이프를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파이프 자체의 크랙이 없더라도 파이프의 연결 부위의 시공이 부실하거나 시공 후 지반의 침하 등으로 도관 자체가 이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연결 부위에서 액체의 누출이 발생하게 되는 데, 파이프 사이의 연결 부위(조인트)에서 액체 의 누출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감지한다는 것은 쉽지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4-0020000호에는 파이프 조인트부의 액체의 누출을 손쉽게 감지할 수 있는 파이프 조인트 누출 감지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 누출 감지 장치의 압력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상기 특허출원에 개시된 발명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출원에서 제시된 압력 센서(30)는 다수의 홀부(3)가 형성되고, 파이프의 도선(20)과 각기 연결되는 외부단자(4)를 구비하는 하우징부(2) 및 하우징부(2)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액체의 누출에 의해 작동되는 압력스위치(1)를 구비한다.
압력스위치(1)는 외부단자(4)에 각기 대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내부단자(5), 내부단자(5) 사이를 연결하는 한 쌍의 판 전극(6, 7), 내부단자(5)와 한 쌍의 판 전극(6, 7)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막(9) 및 압력스위치(1)를 하우징부(2)에 고정하는 고정부(10)를 구비하며, 한 쌍의 판 전극 중 하나(7)는 볼록한 아크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력 센서(3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조인트에서 액체의 누출이 발생하게 되면, 누출된 액체가 다수의 홀부(3)를 통하여 압력 센서(30)로 유입되고, 유입된 액체는 보호막(9)의 양측에서 보호막(9)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액체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이 소정의 압력치 이상이 되면, 볼록하게 아크 모 양을 이루는 판 전극(7)은 보호막(9)에 의해 밀려 반대 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판 전극(6, 7)이 서로 접촉하면서 단락되며, 도선(20)과 연결되어 있는 TDR 계측기(Time Domain Reflectometer)는 판 전극(6, 7)의 단락을 감지하여 조인트에서의 액체의 누출을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압력 센서의 경우 외부단자에 도선을 연결시킴에 의해 연결 부위에서 신호의 감쇄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TDR 계측기로 전달되는 신호가 약해지게 되어 누출 여부 및 위치에 대한 감지 효율이 저하된다.
또한 압력 센서가 압력 커버에 의해 밀폐된다 하더라도 지하수로 인하여 습기가 내부로 침투할 경우 누전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TDR 계측기의 오작동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도선과 외부 단자의 연결 부위가 피복되지 않은 노출선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소량의 습기로도 노출 부위에 녹이 생겨 도선이 끊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누출 여부의 탐지 자체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파이프 시스템, 특히 이웃하는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는 조인트에서 액체의 누출이 발생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내부에 삽입된 도선을 상호 단락시킴으로써 조인트에서의 액체의 누출 여부 및 누출이 발생한 위치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파이프 조인트의 누출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센서는:
도선이 외측에 설치되며 파이프 연결부위에서의 액체의 누출을 감지하도록 액체를 이동시키는 복수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파이프 시스템에 구비되는 압력 센서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연결부위에서 누출되는 액체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입공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도선;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연장도선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유입공으로 유입되는 액체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연장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연장도선이 상기 하우징내로 연장 형성되도록 연장도선 삽입홀부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지판과 상기 유입공이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공으로 유입되는 액체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접지판을 상기 연장도선측으로 이동시키는 팽창재를 더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팽창재는 소디움-벤토나이트가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 배출홀부가 구비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 배출홀부는 상기 연장도선에서 상기 접지판에 가장 근접한 부분보다 상기 접지판으로부터 보다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의 누출 감지 장치는:
도선이 외측에 설치되며 액체를 이동시키는 복수의 파이프; 상기 복수의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는 조인트; 상기 조인트를 감싸서 밀폐시키는 압력 커버; 및 상기 압력 커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파이프 연결부위에서 누출되는 액체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입공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도선;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연장도선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유입공으로 유입되는 액체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연장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연장도선이 상기 하우징내로 연장 형성되도록 연장도선 삽입홀부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지판과 상기 유입공이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공으로 유입되는 액체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접지판을 상기 연장도선측으로 이동시키는 팽창재를 더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팽창재는 소디움-벤토나이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 배출홀부가 구비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 배출홀부는 상기 연장도선에서 상기 접지판에 가장 근접한 부분보다 상기 접지판으로부터 보다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력 커버의 양 단부가 상기 파이프에 밀착되도록 감싸는 커버 밴드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압력 커버와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센서 및 상기 압력 센서를 구비하는 파이프 조인트의 누출 감지 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시스템(100)은 두개의 도선(120)이 외측에 나선형으로 감겨서 설치된 파이프(110), 액체의 누출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압력 센서(130), 이웃하는 파이프를 상호 연결시키는 조인트(140), 조인트(14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조인트(140)에서 누출되는 액체가 외부로 새어 나가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압력 커버(150), 압력 커버(150)의 양 단부를 파이프(110)에 밀착시키는 커버 밴드(160) 및 조인트(140)에서의 액체의 누출 여부를 감지하고 누출 위치를 산출하는 TDR 계측기(170)를 포함한다.
상기 도선(120)은 TDR 계측기(170)의 신호 송수신을 위하여 두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TDR 계측기(170)의 구성 또는 다른 측정장비를 사용할 경우 그 구성에 따라 도선의 수 또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130)는 일면이 압력 커버(150)의 내면에 고정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압력 커버(150)와 압력 센서(130)는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하여 제조한다. 하지만 실시 형태에 따라 압력 센서(130)가 압력 커버(150)에 고정되지 않고 분리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시스템(100)의 설치 과정은 먼저, 도선(120)이 외측에 설치된 파이프(110)를 배치하고, 이웃하는 양 파이프(110)를 조인트(140)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하며, 압력 센서(130)에 양측 파이프(110)로부터 도출되는 도선(120)을 연결한다.
그리고 조인트(140)에서 누출되는 액체가 밖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조인트(140)를 압력 커버(150)로 감싸며, 압력 커버(150)의 양 단부가 파이프에 밀착되도록 압력 커버(150)의 양 단부를 커버 밴드(160)로 감싼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센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따른 압력 센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압력 센서(130)는 저면에 유입공(132)이 형 성되고, 상면에 공기 배출홀부(134)와 연장도선 삽입홀부(135)가 형성되는 하우징(131), 도선(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우징(131)의 내부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연장도선(133), 연장도선(133)을 상호 단락시키기 위한 접지판(137) 및 하우징(131)의 내부에 배치되어 누출되는 액체에 의해 팽창되어 접지판(137)을 이동시키는 팽창재(138)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31)은 저면에 조인트(140)에서 누출되는 액체가 유입되도록 복수의 유입공(132)이 구비되며, 상면에는 도선(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도선(120)으로부터 하우징(131)의 내부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도선(133)이 각기 삽입될 수 있도록 연장도선 삽입홀부(135)가 구비된다.
이때, 하우징(131)에는 파이프(110)에 설치되는 도선(120)의 개수와 동일한 수의 연장도선 삽입홀부(13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본 일실시예에서는 각 파이프(110)에 두 개의 도선(120)이 각기 설치됨에 따라 하우징(131)의 상면에 두 개의 연장도선 삽입홀부(135)를 구비한다.
또한 하우징(131)의 상면에는 하우징(131)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 배출홀부(134)가 구비되며, 공기 배출홀부(134)는 하우징(131) 내의 공기압 증가 및 이로 인한 압력 센서(130)의 손상 또는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장도선(133)에서 상기 접지판(137)에 가장 근접한 부분보다 접지판(137)으로부터 보다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도선(133)의 일측은 이웃하는 파이프(110)에 설치된 도선(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은 하우징(131)내에 연장 형성되어 접지판(137)과 전기 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연장도선(133) 역시 파이프(110)에 설치되는 도선(120)의 개수가 변경될 경우 도선(120)의 개수에 따라 그 개수가 변경됨은 물론이다.
또한 연장도선(133)은 접지판(137)을 향하여 소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데, 각 연장도선(133)에서 접지판(137)에 최근접하는 부분은 서로 동일선상에 위치한다.
상기 접지판(137)은 팽창재(138)의 상측에 배치되고, 팽창재(138)의 팽창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어 각 연장도선(133)과 접촉된다.
또한 접지판(137)은 접촉되는 각 연장도선(133)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도체로 이루어진 금속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팽창재(138)는 하우징(131)의 내부 영역 중 유입공(132)이 구비되는 면에 배치되어 유입공(132)을 커버하는 역할을 하며, 팽창재(138)로는 물과 접촉하면 체적의 16배에 달하는 고팽창성을 지닌 소디움-벤토나이트 등을 압축 성형하여 만든 소디움-벤토나이트 팽창재(139)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는 본 발명의 따른 압력 센서의 일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센서(130)의 동작 및 이를 통한 파이프 시스템(100)의 누출 감지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조인트(140)에서 액체의 누출이 발생하게 되면, 누출된 액체는 유입공 (132)으로 유입되며, 소디움-벤토나이트 팽창재(139)는 액체와의 접촉에 의해 급속히 팽창되어 상측에 위치한 접지판(137)을 연장도선(133)측으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 각 연장도선(133)의 하단부와 접지판(137)이 접촉하게 되고, 양 연장도선(133)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하우징(131)의 상면에 공기 배출홀부(134)가 형성되므로, 하우징(131) 내에 존재했던 공기는 하우징(131)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131) 내부의 공기가 팽창재(138)의 이동시 저항으로 작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각 연장도선(1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선(120) 역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양 파이프(110)에 설치된 두개의 도선을 단락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TDR 계측기(170)는 도선(120)을 통해 측정 펄스 신호를 송출하고 도선(120)의 끝단에서 반사된 펄스 신호를 수신 및 분석함으로써 도선(120)의 상태, 즉 도선(120)이 설치된 파이프(110)의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송출된 측정 펄스 신호는 도선(120)이 단락된 지점에서 반사되며, TDR 계측기(170)는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누출 발생 여부 및 누출 위치를 산출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파형의 시작점과 파형의 최초 시작점 사이에 파형이 차이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만일 차이가 있는 경우 이를 누출 지점으로 처리하게 되며, 이로써 액체의 누출과 누출이 발생한 지점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파이프 시스템에 구비되는 압력센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파이프 시스템이 아닌 다른 시스템에 대해서도 액체의 누출을 감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압력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파이프 조인트의 누출 감지 장치는 이웃하는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는 조인트에서 발생하는 액체의 누출 여부 및 누출이 발생한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 및 파악할 수 있으므로, 액체의 누출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 및 토양의 오염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지하수 또는 습기 등에 의해 압력 센서가 손상되거나,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누출의 감지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압력 센서에 별도의 전원을 공급할 필요가 없으므로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 및 설계 작업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압력 커버와 커버 밴드를 이용하여 조인트와 압력 센서를 밀폐시켜 외부와 완전 격리 가능하므로, 매설 위치에 구속되지 않고 폭넓은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의 일측면에 공기 배출홀부를 구비함으로써 팽창재의 팽창시 압력 센서 내부의 공기가 공기 배출홀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므로, 압력 센서 내의 공기압 상승으로 인해 고장이 발생하거나 상기 공기압이 팽창재의 팽창에 저항으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4)

  1. 도선이 외측에 설치되며 파이프 연결부위에서의 액체의 누출을 감지하도록 액체를 이동시키는 복수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파이프 시스템에 구비되는 압력 센서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연결부위에서 누출되는 액체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입공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도선;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연장도선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유입공으로 유입되는 액체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연장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연장도선이 상기 하우징내로 연장 형성되도록 연장도선 삽입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판과 상기 유입공이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공으로 유입되는 액체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접지판을 상기 연장도선측으로 이동시키는 팽창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센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재는 소디움-벤토나이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센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 배출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센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홀부는 상기 연장도선에서 상기 접지판에 가장 근접한 부분보다 상기 접지판으로부터 보다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센서.
  7. 도선이 외측에 설치되며 액체를 이동시키는 복수의 파이프;
    상기 복수의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는 조인트;
    상기 조인트를 감싸서 밀폐시키는 압력 커버; 및
    상기 압력 커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파이프 연결부위에서 누출되는 액체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입공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도선;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연장도선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유입공으로 유입되는 액체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연장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의 누출 감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연장도선이 상기 하우징내로 연장 형성되도록 연장도선 삽입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의 누출 감지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판과 상기 유입공이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공으로 유입되는 액체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접지판을 상기 연장도선측으로 이동시키는 팽창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의 누출 감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재는 소디움-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의 누출 감지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 배출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의 누출 감지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홀부는 상기 연장도선에서 상기 접지판에 가장 근접한 부분보다 상기 접지판으로부터 보다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의 누출 감지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커버의 양 단부가 상기 파이프에 밀착되도록 감싸는 커버 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의 누출 감지 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압력 커버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의 누출 감지 장치.
KR1020060051591A 2006-06-08 2006-06-08 압력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파이프 조인트의 누출 감지장치 KR200701173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591A KR20070117382A (ko) 2006-06-08 2006-06-08 압력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파이프 조인트의 누출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591A KR20070117382A (ko) 2006-06-08 2006-06-08 압력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파이프 조인트의 누출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382A true KR20070117382A (ko) 2007-12-12

Family

ID=39142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591A KR20070117382A (ko) 2006-06-08 2006-06-08 압력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파이프 조인트의 누출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1738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348B1 (ko) * 2010-04-19 2012-06-11 (주)아이티헬스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대소변 감지센서 및 대소변 감지장치
CN108550934A (zh) * 2018-06-13 2018-09-18 华霆(合肥)动力技术有限公司 检漏装置及电源装置
CN113739855A (zh) * 2021-09-12 2021-12-03 北京北燃环能工程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检测管内环境设备
CN113767271A (zh) * 2019-08-26 2021-12-07 京洛株式会社 容器的泄漏检查方法、以及积层剥离容器的容器主体的外部气体导入孔的形成方法
CN114875826A (zh) * 2022-05-13 2022-08-09 重庆科技学院 一种基于液体导电的高速公路护栏的报警系统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348B1 (ko) * 2010-04-19 2012-06-11 (주)아이티헬스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대소변 감지센서 및 대소변 감지장치
CN108550934A (zh) * 2018-06-13 2018-09-18 华霆(合肥)动力技术有限公司 检漏装置及电源装置
CN113767271A (zh) * 2019-08-26 2021-12-07 京洛株式会社 容器的泄漏检查方法、以及积层剥离容器的容器主体的外部气体导入孔的形成方法
CN113767271B (zh) * 2019-08-26 2024-05-03 京洛株式会社 容器的泄漏检查方法
CN113739855A (zh) * 2021-09-12 2021-12-03 北京北燃环能工程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检测管内环境设备
CN114875826A (zh) * 2022-05-13 2022-08-09 重庆科技学院 一种基于液体导电的高速公路护栏的报警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13924A (en) Methods and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moisture adjacent insulated pipes
KR20070117382A (ko) 압력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파이프 조인트의 누출 감지장치
US5905194A (en) Pipe line with integral fault detection
KR100660649B1 (ko) 누수감지관의 연결부위 누수감지 장치
KR20070005234A (ko) 누수 센서 및 누수 감지 시스템
CN102353628B (zh) 一种埋地钢质管道阴极保护极化测试探头及测试方法
US20140167763A1 (en) Tracer wire connector devices and methods for use
CN108443716A (zh) 一种便于检测泄漏点的流体管
RU2289753C1 (ru) Система оперативного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контроля состояния изоляции трубопроводов с теплоизоляцией из пенополиуретана,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KR101341898B1 (ko) 유류탱크의 수평천공형 누유감지장치 및 그 설치방법
CN102217159A (zh) 保护电力系统远离极强电磁脉冲损害的方法及装置
US2004769A (en) Means for and method of detecting and ascertaining the region of oil leaks in cable systems
KR200412983Y1 (ko) 누수감지관의 연결부위 누수감지 장치
CN101371364A (zh) 用于检测有机液体的传感器
KR20050095019A (ko) 파이프 조인트 누출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
KR102259502B1 (ko) 누설전류 측정 장치
CN102891042A (zh) 带有saw传感器的发电机断路器
CN108773594B (zh) 一种油气传感器及其应用的加油机底座、加油机
KR101480781B1 (ko) 매설 배관의 입상 방식전위 측정함
CN207935768U (zh) 水管接头漏水检测保护装置
KR20040003931A (ko) 단로기가 내장된 옥외용 케이블접속함 및 이를 이용한전력케이블의 고장 검출방법
KR101101579B1 (ko) 자가누수진단테이프 및 이를 포함한 자가누수진단장치
CN220249698U (zh) 一种地下给水管线渗漏监测装置
JPH1172408A (ja) 漏液検出器,それを用いた漏液検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漏液検出方法
CN214334154U (zh) 一种电池组漏液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