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4337B1 - 외기 유입 및 결로에 의한 누수감지센서 오작동 방지가 가능한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 - Google Patents

외기 유입 및 결로에 의한 누수감지센서 오작동 방지가 가능한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4337B1
KR101074337B1 KR1020110020057A KR20110020057A KR101074337B1 KR 101074337 B1 KR101074337 B1 KR 101074337B1 KR 1020110020057 A KR1020110020057 A KR 1020110020057A KR 20110020057 A KR20110020057 A KR 20110020057A KR 101074337 B1 KR101074337 B1 KR 101074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nt
frame
steel pipe
leak detection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김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식 filed Critical 김영식
Priority to KR1020110020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43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8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 F16L55/17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by means of rings, bands or sleeves pressed against the outside surface of the pipe or hose
    • F16L55/17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by means of rings, bands or sleeves pressed against the outside surface of the pipe or hose the ring, band or sleeve being tightened by a tangentially arranged threaded pin and a 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11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or the detection or protection of pipes in the grou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04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using materials which expand, contract, disintegrate, or decompose in contact with a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 강관의 이음부에 구비되는 누수감지센서와, 상기 누수감지센서가 설치된 강관의 이음부를 감싸면서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에어벤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에 있어서, 상기 에어벤트는, 상기 몸체에 관통 형성된 통기공 상부측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몸체에 고정되고 일측에는 통공이 형성된 에어벤트프레임과, 상기 에어벤트프레임의 내부 상면에 일단이 접촉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에어벤트프레임의 내부에 체결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지지하되 하부측에 연통홀이 관통되어 형성된 체결프레임, 및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하부가 밀폐된 원통형 밀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벤트를 통한 외기 유입을 차단하고, 내부에서 결로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누수감지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관리자가 불필요하게 출동 및 점검함에 따라 소요되는 인력과 비용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기 유입 및 결로에 의한 누수감지센서 오작동 방지가 가능한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WATER LEAKAGE SENSING COVER PREVENTING WATER LEAKAGE SENSOR FROM MALFUNCTION BY INTAKE OF OUTER AIR AND DEW CONDENSATION}
본 발명은 강관 이음부의 누수 발생시 누수된 물이 고이도록 하여 누수감지센서에 의한 누수 감지가 용이해지도록 강관 이음부에 설치되는 누수감지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누수감지용 커버의 에어벤트 구조를 개선하여 에어벤트를 통한 외기(습기) 유입을 차단하고, 몸체 내부 공간부에서 결로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누수감지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가스, 상·하수도나 각종 유체 이송용으로 사용되는 강관은 외면에 폴리에틸렌 코팅층을 형성하고, 내벽에는 액상에폭시 코팅층을 형성하여 녹이 발생되거나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제품에 손상이 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러한 강관은 그 길이가 한정되어 있어 다수개의 강관을 용접 이음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이 강관을 용접 이음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용접 이음부는 강도가 약하여 미세진동에 의한 지반의 침하하중에 의해 용접 이음부가 쉽게 파손되며, 또한 습기에 의한 부식이 발생되기 쉬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누수가 발생되는 빈도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용접 이음부에 조인트를 장착하여 강도를 보강함과 아울러 누수를 탐지하기 위해 조인트에 누수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이러한 누수감지센서 및 조인트는 지중에 매립된 상태로 흙과 접촉되므로 습기에 의한 부식 현상이 발생되어 누수감지센서가 불능의 상태로 되거나 오작동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분할형 구조를 이루는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를 개발하여 특허출원한 바 있으며, 이는 공개특허공보 10-2008-0056531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누수감지용 커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누수감지용 커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누수감지용 커버는 누수감지센서(110)와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는 소정의 공간부(121)가 내측에 형성되고, 누수감지센서(110) 설치부위를 감싸는 복수개의 분할형 몸체(120,120')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120)에는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기공(13a)을 형성하고 있는 에어벤트(13)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누수감지용 커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첫째, 에어벤트(13)의 통기공(13a)을 통해 외부로부터 빗물이나 토양의 습기가 유입되어 공간부(121) 내에 물이 고이게 되고, 고인 물의 수위가 누수감지센서(110)의 설치높이에까지 이르게 되면서 누수감지센서(110)가 오작동하게 되는 바, 이로 인해 관리자가 불필요하게 현장에 출동하여 지중에 매립된 강관의 이음부 누수가 발생되는지를 점검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랐다.
둘째, 공간부(121) 내의 공기와 강관을 따라 흐르는 유체간 온도 편차에 의하여 결로 현상이 발생되어 공간부(121) 내에 물이 서서히 고이게 되고, 결로 현상이 일정 시간 이상 일어나 공간부(121) 내에 물이 누수감지센서(110)까지 차올라 누수감지센서(110)가 오작동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에어벤트(13)의 통기공(13a)을 통하여 수증기를 포함하는 외기(습기)가 쉽게 유입되어 결로 현상을 가중시키는 바, 누수감지센서(110)가 오작동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관리자가 출동 점검하여야 하는 등 인력과 비용의 낭비가 초래되고 있었다.
KR 10-2008-0056531 A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누수감지용 커버의 에어벤트 구조를 개선하여 에어벤트를 통한 외기 유입을 차단하고, 내부 공간부에서 결로 현상이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누수감지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는, 강관의 이음부에 구비되는 누수감지센서와, 상기 누수감지센서가 설치된 강관의 이음부를 감싸면서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에어벤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에 있어서, 상기 에어벤트는, 상기 몸체에 관통 형성된 통기공 상부측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몸체에 고정되고 일측에는 통공이 형성된 에어벤트프레임과, 상기 에어벤트프레임의 내부 상면에 일단이 접촉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에어벤트프레임의 내부에 체결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지지하되 하부측에 연통홀이 관통되어 형성된 체결프레임, 및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하부가 밀폐된 원통형 밀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는 상기 체결프레임은 상기 에어벤트프레임의 내측면에 나사체결되는 원통프레임과, 상기 원통프레임의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부플랜지와, 상기 원통프레임의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부플랜지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플랜지 상면에는 오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는 상기 에어벤트프레임의 내면에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플랜지의 상면에 개재된 오링이 상기 단턱에 밀착되어 밀폐구조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는 상기 에어벤트프레임의 외측에 통공이 형성된 외부프레임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벤트를 통한 외기 유입을 차단하고, 공간부에서 결로 현상이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누수감지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관리자가 불필요하게 출동 및 점검함에 따라 소요되는 인력과 비용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적정 탄성압으로 압축된 탄성부재(150)와 오링(181,182)에 의하여 밀폐구조의 에어벤트(130)를 형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빗물이나 토양의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원천 봉쇄하여 누수감지센서(110)가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간부(121) 내에서 결로 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공간부(121) 기체압(내압)이 증가되어 결로에 의해 고인 물의 표면 하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게 되며, 또한 결로를 일으킬 수 있는 수증기의 유입이 방지되어 공간부(121) 내의 수증기량이 감소되므로, 결로가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결로에 의하여 누수감지센서(110) 위치까지 물이 차오르는 것을 차단하여 누수감지센서(11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를 구성하는 에어벤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100)는 제어부(미도시)와 무선 또는 유선방식으로 연결된 누수감지센서(110)가 구비되어 강관(200)의 용접 이음부에 체결된 조인트(300)의 외측에 설치된다.
누수감지용 커버(100)를 이루는 몸체(120)는 내벽면이 상기 조인트(300) 및 누수감지센서(110)와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가운데 누수된 물이 고일 수 있는 소정의 공간부(121)가 내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반원통형의 몸체(120,120') 2개가 서로 맞결합되어 강관(200)의 외측에 설치되도록 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몸체(120)가 일체형의 구조로 되거나 혹은 3개 이상으로 분할된 구조를 결합하여 형성된 구조로 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몸체(120,120') 2개를 맞결합시킬 때 보다 기밀된 상태를 강화하기 위해 몸체(120,120')의 외측에 체결수단을 구비한다. 체결수단은 볼트체결공(123)이 마련된 플랜지(122)를 몸체(120,120')의 외주에 형성하고, 상기 볼트체결공(123)에 볼트(125)를 체결시킨 구성을 예로 들 수 있다. 그외에도 상기 체결수단은 복수개의 몸체(120,120')의 결합상태를 유지해줄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변형 실시가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플랜지(122)에는 기밀상태를 보강할 수 있도록 패킹(12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100)는 에어벤트(130)가 몸체(120) 상부에 돌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를 구성하는 에어벤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100)는 외기 유입을 차단하고, 내부 공간부에서 결로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에어벤트(130)의 구조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선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즉,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누수감지용 커버(100)를 구성하는 에어벤트(130)는 상기 몸체(120)에 관통 형성된 통기공(126) 상부측에 내부공간(141)을 형성하도록 몸체(120)에 고정되고 일측에는 통공(142)이 형성된 에어벤트프레임(140)과, 상기 에어벤트프레임(140)의 내부 상면에 일단이 접촉되는 탄성부재(150)와, 상기 에어벤트프레임(140)의 내부에 체결되어 상기 탄성부재(150)를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지지하되 하부측에 연통홀(162)이 관통되어 형성된 체결프레임(160), 및 상기 탄성부재(15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하부가 밀폐된 원통형 밀폐부재(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벤트프레임(140)은 상부면이 밀폐되고 하부면은 개방된 대략 원통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그 내면에는 단턱(143)이 형성되며, 단턱(143)을 기준으로 하부측의 내경이 상부측의 내경보다 확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에어벤트프레임(140)은 단턱(143) 하부측의 내면에 암나사부(145)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몸체(120)에 돌출 형성된 체결구(127)의 숫나사부(122)가 체결되어져 결합된다. 에어벤트프레임(140)에는 단턱(143)보다 높은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통공(142)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127)에는 중심을 따라 통기공(126)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바, 강관 이음부에 누수 발생시 누수된 물이 공간부(121)를 가득 채운 상태에서 통기공(126)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141)으로 유입되고, 수압에 의해 탄성부재(150)를 밀어 개방함으로써 통공(14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150)는 에어벤트프레임(140)의 내부 상면에 일단이 접촉되고, 하단부에는 원통형 밀폐부재(170)가 끼워져 체결프레임(160)내에 삽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탄성부재(150)는 하단부 크기는 원통형 밀폐부재(170)의 내경과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스프링으로 구성하였으며, 상단부는 에어벤트프레임(140)의 내부 상면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확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안정적인 압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체결프레임(160)은 에어벤트프레임(140) 내부에 체결되어 상기 탄성부재(150)를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지지하도록 된 것으로, 원통프레임(161)과 상기 원통프레임(161)의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외부플랜지(163) 및 상기 원통프레임(161)의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내부플랜지(164)로 구성된다. 원통프레임(16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61a)는 에어벤트프레임(140)의 내면 상부측에 형성된 나사부(144)에 체결되어 결합된다.
체결프레임(160)은 하부측의 내부플랜지(164)에 연통홀(162)이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는 바, 강관 이음부에 누수 발생시 공간부(121)에 가득 채워진 상태에서 누수된 물이 연통홀(162)을 통해 원통형 밀폐부재(170)를 가압하여 탄성부재(150)를 밀어올리도록 구성된 것이다.
체결프레임(160)의 외부플랜지(163) 상면에는 오링(181, O-ring)이 개재되는 바, 체결프레임(160)을 에어벤트프레임(140)에 체결함에 따라 상기 오링(181)이 에어벤트프레임(140)의 단턱(143)에 밀착되면서 체결프레임(160)과 에어벤트프레임(140) 사이에 밀폐구조를 형성하게 되어 이에 따라 외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체결프레임(160)의 내부플랜지(164) 상면에는 오링(182, O-ring)이 개재되어지고, 체결프레임(160)을 에어벤트프레임(140)에 체결함에 따라 오링(182)이 탄성부재(150)를 적정 압력으로 압축하여 체결프레임(160)과 원통형 밀폐부재(170) 사이에 밀폐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에어벤트프레임(140)의 외측에는 에어벤트프레임(140)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외부프레임(190)을 체결하여 2중 보호커버를 갖는 에어벤트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외부프레임(190)에는 통공(191)을 형성하여 강관 이음부 누수시 발생된 물이 통공(19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100)의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강관(200)의 시공 또는 교체시 먼저, 본 발명의 누수감지용 커버(100)를 구성하는 몸체(120,120')를 용접 이음부에 설치된 조인트(300)의 외측에 감싸도록 하여 플랜지(122) 부분을 상호 맞결합시키고 볼트(125)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한다.
이후, 강관(200) 이음부에서 누수가 발생될 경우 누수된 물은 몸체(120) 내측의 공간부(121)에 고이게 되어 누수부위가 누수감지센서(110)와 멀 경우에도 누수된 물이 외부로 유출되기 전에 먼저 누수감지센서(110)와 접촉됨으로써 신속한 누수감지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벤트(130)에 구비된 탄성부재(150)와 오링(181,182)에 의해 밀폐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빗물이나 토양의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원천 봉쇄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강관의 이음부 누수가 아닌 다른 이유에 의해 공간부(121) 내에 물이 고여 누수감지센서(110)가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간부(121) 내에서 결로 현상이 발생되어 공간부(121) 내에 물이 서서히 고임에 따라 공간부(121) 기체압(내압)이 증가되며, 공간부(121)의 증가된 기체압이 결로에 의해 고인 물의 표면 하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게 되므로, 결로가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따라서 결로에 의해 누수감지센서(110) 위치까지 물이 차오르는 것을 차단하여 누수감지센서(11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누수감지용 커버(100)는 외기의 유입이 차단되는 에어벤트 구조로 되어 있는 바, 결로를 일으킬 수 있는 수증기의 유입이 방지되며, 결로 현상의 발생과 비례적으로 공간부(121) 내의 수증기량이 감소되기 때문에 결로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여 누수감지센서(11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누수감지용 커버(100)의 에어벤트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누수감지센서(11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관리자가 불필요하게 출동 및 점검함에 따라 소요되는 인력과 비용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관 이음부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누수된 물이 공간부(121)를 가득 채우게 되고, 이에 따라 강한 수압의 작용에 의해 탄성부재(150)가 더욱 압축되어 원통형 밀폐부재(170)와 체결프레임(160) 사이가 개방되면서 내압을 배출함과 동시에 누수되는 물이 외부로 적정 유량으로 배출되므로, 강관(200)의 이음부 및 몸체(120)의 틈새 등 수밀 취약부분에서 더욱 큰 균열이 발생되어 대량의 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누수감지용 커버 110: 누수감지센서 120: 몸체
121: 공간부 122: 플랜지 123: 볼트체결공
124: 패킹 125: 볼트 126: 통기공
130: 에어벤트 140: 에어벤트프레임 141: 내부공간
142: 통공 143: 단턱 150: 탄성부재
160: 체결프레임 161: 원통프레임 162: 연통홀
163: 외부플랜지 164: 내부플랜지 170: 원통형 밀폐부재
181,182: 오링 190: 외부프레임 191: 통공
200: 강관 300: 조인트

Claims (5)

  1. 강관의 이음부에 구비되는 누수감지센서와, 상기 누수감지센서가 설치된 강관의 이음부를 감싸면서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에어벤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에 있어서,
    상기 에어벤트는, 상기 몸체에 관통 형성된 통기공 상부측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몸체에 고정되고 일측에는 통공이 형성된 에어벤트프레임과, 상기 에어벤트프레임의 내부 상면에 일단이 접촉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에어벤트프레임의 내부에 체결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지지하되 하부측에 연통홀이 관통되어 형성된 체결프레임, 및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하부가 밀폐된 원통형 밀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유입 및 결로에 의한 누수감지센서 오작동 방지가 가능한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프레임은 상기 에어벤트프레임의 내측면에 나사체결되는 원통프레임과, 상기 원통프레임의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부플랜지와, 상기 원통프레임의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부플랜지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플랜지 상면에는 오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유입 및 결로에 의한 누수감지센서 오작동 방지가 가능한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벤트프레임의 내면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플랜지의 상면에 개재된 오링이 상기 단턱에 밀착되어 밀폐구조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유입 및 결로에 의한 누수감지센서 오작동 방지가 가능한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벤트프레임의 외측에는 통공이 형성된 외부프레임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유입 및 결로에 의한 누수감지센서 오작동 방지가 가능한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
KR1020110020057A 2011-03-07 2011-03-07 외기 유입 및 결로에 의한 누수감지센서 오작동 방지가 가능한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 KR101074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057A KR101074337B1 (ko) 2011-03-07 2011-03-07 외기 유입 및 결로에 의한 누수감지센서 오작동 방지가 가능한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057A KR101074337B1 (ko) 2011-03-07 2011-03-07 외기 유입 및 결로에 의한 누수감지센서 오작동 방지가 가능한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4337B1 true KR101074337B1 (ko) 2011-10-17

Family

ID=45032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057A KR101074337B1 (ko) 2011-03-07 2011-03-07 외기 유입 및 결로에 의한 누수감지센서 오작동 방지가 가능한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433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23961A (zh) * 2018-01-17 2018-06-29 毛炜 一种管道爆裂自动封堵阀
KR20200065792A (ko)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코위드원 감지선시트부착센서 및 착탈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KR102120724B1 (ko)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코위드원 감지선시트부착센서 및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KR20220095563A (ko)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감지센서 및 센서함체부를 삽입하는 보호커버
KR20220095553A (ko)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감지센서 및 이를 삽입하는 센서함체부 및 센서함체부를 삽입하는 보호커버
KR20220095521A (ko)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감지센서 및 그를 이용한 방법
KR20230020273A (ko) 2021-08-03 2023-02-10 주식회사 코위드원 센서함체부 및 이를 이용한 누수감지센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9920A (en) 1980-07-31 1982-02-18 Nippon Kokan Kk <Nkk> Leakage gas detecting method for lng pipel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9920A (en) 1980-07-31 1982-02-18 Nippon Kokan Kk <Nkk> Leakage gas detecting method for lng pipelin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23961A (zh) * 2018-01-17 2018-06-29 毛炜 一种管道爆裂自动封堵阀
KR20200065792A (ko)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코위드원 감지선시트부착센서 및 착탈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KR102120724B1 (ko)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코위드원 감지선시트부착센서 및 감지선부착센서를 관이음부에 부착하는 방법
KR20220095563A (ko)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감지센서 및 센서함체부를 삽입하는 보호커버
KR20220095553A (ko)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감지센서 및 이를 삽입하는 센서함체부 및 센서함체부를 삽입하는 보호커버
KR20220095521A (ko)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감지센서 및 그를 이용한 방법
KR102548651B1 (ko) 2020-12-30 2023-06-29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감지센서 및 누수감지센서부착보호커버
KR20230020273A (ko) 2021-08-03 2023-02-10 주식회사 코위드원 센서함체부 및 이를 이용한 누수감지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4337B1 (ko) 외기 유입 및 결로에 의한 누수감지센서 오작동 방지가 가능한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
US7637692B1 (en) Sealed well cellar
KR20080056531A (ko) 분할형 구조를 이루는 강관 이음부 누수감지용 커버
KR101142919B1 (ko) 관 연결장치
US20080099490A1 (en) Flat-sided single-wall attached sump collar
US20160169427A1 (en) Flange joint containment device
US5656766A (en) Underground drain tank
US83531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aling sump covers
US2006004856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the integrity of a tank
US9752313B2 (en) Drainage channel for liquid relocation and liner therefor
KR20090038160A (ko) 관 이음부 커버 어셈블리
KR101422783B1 (ko) 라이닝 판넬을 갖는 저장탱크
KR101613358B1 (ko) 부단수 누수방지대
US20160347007A1 (en) Monolithically Poured Concrete CNG Tank with Internal Support Columns
US5664696A (en) Installation of tanks for storing fuel or chemical products in service stations and the like
KR20140130978A (ko) 배관 이음매가 보강된 밸브실
JP2008296946A (ja) 地下タンクのマンホール装置
JP2009036264A (ja) 給液所の配管接続構造
KR101563108B1 (ko) 수도관 누수보수용 부단수 보수관의 구조
KR100493391B1 (ko) 단열이중관의 신축이음장치
JP6581837B2 (ja) 二重管の液漏れ対応構造とその施工方法
KR101326657B1 (ko) 관 연결부의 커버장치
CN101692353B (zh) 可检漏恒应力密封垫片
RU2287047C1 (ru) Способ предохранения от коррозии внешней поверхности днища резервуара
JP2022546630A (ja) 水がベイスン(basin)に入らないようにするためのチュー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