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191B1 - 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8191B1
KR101328191B1 KR1020110021824A KR20110021824A KR101328191B1 KR 101328191 B1 KR101328191 B1 KR 101328191B1 KR 1020110021824 A KR1020110021824 A KR 1020110021824A KR 20110021824 A KR20110021824 A KR 20110021824A KR 101328191 B1 KR101328191 B1 KR 101328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ipe
elastic
pipe connector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3885A (ko
Inventor
김선회
이무노
Original Assignee
이무노
김선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무노, 김선회 filed Critical 이무노
Priority to KR1020110021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191B1/ko
Publication of KR20120103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16L27/1017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only by friction of the parts being joined
    • F16L37/02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only by friction of the parts being joined with an inner elastic part pressed against an outer part by reason of its elast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2Joints for pipes being spaced apart ax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편철(22)을 일정 직경을 갖도록 원형으로 밀집되게 권회시켜 코일형상으로 된 탄력관체(2)와; 상기 탄력관체(2)의 내외부에 피복되며 내주면에 다수개의 돌기(44)가 형성된 피복관체(4)로 구성됨으로써, 굴절 배관이 용이하고, 결합된 관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관 연결구{PIPE COUPLING UNIT}
본 발명은 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굴절된 관 연결작업시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고, 시공 후 토압에 의한 관 연결부의 변형발생에도 수밀성이 변함없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관 또는 강관, 주철관 등을 지중에 매립하여 각종 하수, 상수, 또는 유류, 가스, 그외의 난방용 열수 등의 유체를 이송하는 파이프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관들은 일단부에는 암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숫부가 형성됨으로써 암수결합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반침하에 따른 토압증가나 충격에 의해 연결부위의 결합상태가 어긋나거나 파손되어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는, 관 배열을 직선형이 아닌 곡선형으로 배열할 경우 그 연결부위는 더욱 취약해지게 되므로 쉽게 누수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관과 관의 연결부위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되, 신축성과 강성이 보장되는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굴절이 용이하여 토압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파손이 방지될 수 있고, 아울러 관의 직선형 배열뿐만 아니라 곡선형의 배열도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관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끼워져 결합된 관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이탈방지구가 개구부에 더 설치됨으로써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관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편철을 일정 직경을 갖도록 원형으로 밀집되게 권회시켜 코일형상으로 된 탄력관체와; 상기 탄력관체의 외면에 피복되며 내주면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피복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편철을 일정 직경을 갖도록 원형으로 권회시키되 틈새를 갖도록 권회시켜 코일형상으로 된 탄력관체와; 상기 탄력관체의 피복되어, 상기 틈새에 충진되고, 내주면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피복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편철을 일정 직경을 갖도록 원형으로 권회시켜 코일형상으로 된 탄력관체와; 내주면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탄력관체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피복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굴절이 용이하여 배관작업이 용이하고, 탄력성에 의해 토압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파손이 방지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합된 관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어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관 연결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구의 제 1실시예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상기 도 2의 "이탈방지구"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구의 제 1실시예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구의 제 2실시예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구의 제 3실시예에 대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탄력관체 4 : 피복관체
6 : 이탈방지구 44 : 돌기
46 : 패킹환턱 63 : 테두리
65 : 돌출편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구(A1)의 제 1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의 "이탈방지구"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구의 제 1실시예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 연결구(A1)는, 편철(22)을 일정 직경을 갖도록 원형으로 밀집되게 권회시켜 코일형상으로 된 탄력관체(2)와, 상기 탄력관체(2)의 내,외부에 피복되며 내주면에 다수개의 돌기(44)가 형성된 피복관체(4)로 구성된다.
상기 탄력관체(2)를 구성하는 편철(22)은 띠형상의 금속편재이며, 이를 코일형상으로 권회시킴으로써 탄력관체(2)는 어느 각도로든 굴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피복관체(4)는 신축성을 갖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가 적당하며, 상기 탄력관체(2)의 내,외부에 피복됨으로써 탄력관체(2)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력관체(2)를 굴절시켰을때 편철(22)들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누설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나 상기 피복관체(4)가 탄력관체(2)를 감싸도록 함으로써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피복관체(4)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44)는 중심을 기준으로 내측을 향해 편향경사지게 형성된 환턱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피복관체(4)의 내주면 중심에는 링형상의 패킹환턱(46)이 형성됨으로써 양측에서 삽입된 관의 단부에 밀착될 수 있어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탄력관체(2)의 전단 및 후단 개구부에 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구(6)가 설치되는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구(6)는 링형상의 테두리부재(63)와, 상기 테두리부재(63)의 내주연에 다수개의 돌출편(65)이 돌출되어 원형으로 배열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돌출편(65)은 상기 탄력관체(2)의 내측을 향해 만곡지게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및 제 2관체(P1,P2)를 관 연결구(A1)의 양측 개구부로부터 삽입하면, 상기 돌출편(65) 및 돌기(44)가 제 1 및 제 2관체(P1,P2)의 삽입력에 순응하여 내측으로 구부려지므로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다.
이렇게 끼워져 결합된 제 1 및 제 2관체(P1,P2)는 외력이 가해져 이탈되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돌출편(65) 및 돌기(44)에 의해 억지력을 제공될 수 있게 되어 제 1 및 제 2관체(P1,P2)의 결합구조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관 연결구(A1)는 굴절이 용이하므로 제 1 및 제 2관체(P1,P2)를 굴절시켜 배관하더라도 누설의 위험성이 배제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구(A2)의 제 2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구(A2)의 제 2실시예는, 편철(22')을 일정 직경을 갖도록 원형으로 권회시키되 틈새(20')를 갖도록 권회시켜 코일형상으로 된 탄력관체(2')와, 상기 탄력관체(2')의 피복되어, 상기 틈새(20')에 충진되고, 내주면에 다수개의 돌기(44')가 형성된 피복관체(4')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는 탄력관체(2')에 틈새(20')를 형성함으로써 굴절률이 더욱 증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제 1실시예는 탄력관체(2)의 편철(22)이 밀집되어 있어 굴절률이 다소 작은 편이므로, 이를 보강하기 위해 제 2실시예와 같이 탄력관체(2')에 틈새(20')를 형성함으로써 굴절률이 더욱 증대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피복관체(4')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44')는 중심을 기준으로 내측을 향해 편향경사지게 형성된 환턱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피복관체(4')의 내주면 중심에는 링형상의 패킹환턱(46')이 형성됨으로써 양측에서 삽입된 관의 연결부에 개재되어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탄력관체(2')의 전단 및 후단 개구부에 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구(6')가 설치되는데, 상기 이탈방지구(6')는 링형상의 테두리부재(63')와, 상기 테두리부재(63')의 내주연에 다수개의 돌출편(65')이 돌출되어 원형으로 배열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돌출편(65')은 상기 탄력관체(2')의 내측을 향해 만곡지게 형성된다.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구(A3)의 제 3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구(A3)의 제 3실시예는, 편철(22")을 일정 직경을 갖도록 원형으로 권회시켜 코일형상으로 된 탄력관체(2")와, 상기 탄력관체(2")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원통형의 피복관체(4")로 구성되며, 상기 피복관체(4")의 내주면에는 다수개의 돌기(44")가 형성된다.
상기 탄력관체(2")의 내주면에 접착제(5")를 도포하고, 상기 피복관체(4")를 끼워 접착시킴으로써 일체로 조립될 수 있다.
상기 피복관체(4")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44")는 중심을 기준으로 내측을 향해 편향경사지게 형성된 환턱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피복관체(4")의 내주면 중심에는 링형상의 패킹환턱(46")이 형성됨으로써 양측에서 삽입된 관의 연결부에 개재되어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탄력관체(2")의 전단 및 후단 개구부에 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구(6")가 설치되는데, 상기 이탈방지구(6")는 링형상의 테두리부재(63")와, 상기 테두리부재(63")의 내주연에 다수개의 돌출편(65")이 돌출되어 원형으로 배열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돌출편(65")은 상기 탄력관체(2")의 내측을 향해 만곡지게 형성된다.
상기한 제 2 및 제 3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구(A2,A3)의 사용예도 상기 제 1실시예의 관 연결구(A1)와 대동소이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일정 직경을 갖는 편철(22")을 원형으로 권회시켜 코일형상으로 된 탄력관체(2")와;
    상기 탄력관체(2")의 내부에 삽입되어 접착되는 원통형의 피복관체(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피복관체(4")의 내주면에 다수개의 돌기(4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44")는 중심을 기준으로 내측을 향해 편향경사지게 형성된 환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관체(4")의 내주면 중심에는 링형상의 패킹환턱(4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관체(2")의 전단 및 후단 개구부에 이탈방지구(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구(6")는 링형상의 테두리부재(63")와, 상기 테두리부재(63")의 내주연에 다수개의 돌출편(65")이 돌출되어 원형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65")은 상기 탄력관체(2")의 내측을 향해 만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KR1020110021824A 2011-03-11 2011-03-11 관 연결구 KR101328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824A KR101328191B1 (ko) 2011-03-11 2011-03-11 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824A KR101328191B1 (ko) 2011-03-11 2011-03-11 관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885A KR20120103885A (ko) 2012-09-20
KR101328191B1 true KR101328191B1 (ko) 2013-11-13

Family

ID=47111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824A KR101328191B1 (ko) 2011-03-11 2011-03-11 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1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382B1 (ko) * 2015-08-21 2016-05-10 (주)경창밴드 구조물 배수관용 연결 밴드 및 이를 이용한 연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531B1 (ko) * 2013-07-30 2014-06-03 (주) 정우카프링 용접이음쇠 연결용 관연결구
WO2015034267A1 (ko) * 2013-09-06 2015-03-12 (주)정우카프링 용접이음쇠 연결용 관연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2554A (ja) * 1994-06-03 1995-12-22 Riken Corp メカニカル形管継手
JP3814338B2 (ja) * 1996-07-03 2006-08-3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差込み型管継手
KR20070001191U (ko) * 2007-01-25 2007-11-21 한국주철관공업주식회사 파이프의 연결구
JP4082119B2 (ja) * 2002-07-24 2008-04-30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蛇腹金属管付ホースの端部固定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2554A (ja) * 1994-06-03 1995-12-22 Riken Corp メカニカル形管継手
JP3814338B2 (ja) * 1996-07-03 2006-08-3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差込み型管継手
JP4082119B2 (ja) * 2002-07-24 2008-04-30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蛇腹金属管付ホースの端部固定構造
KR20070001191U (ko) * 2007-01-25 2007-11-21 한국주철관공업주식회사 파이프의 연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382B1 (ko) * 2015-08-21 2016-05-10 (주)경창밴드 구조물 배수관용 연결 밴드 및 이를 이용한 연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885A (ko) 201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8079B2 (en) Assembly of a flexible pipe and an end-fitting
KR101328191B1 (ko) 관 연결구
KR101060752B1 (ko) 나선형 파형관용 이음장치
KR101491010B1 (ko) 광케이블용 다중관 연결 컨넥터
KR20110103775A (ko) 파이프 커플링용 패킹 및 이를 이용한 커플러
KR200484415Y1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CN210462069U (zh) 一种自密封燃气管接头
JP4845536B2 (ja) 管端面の防食構造
JP5379649B2 (ja) 鋼管用管継手
JP2015025525A (ja) 管体の接続構造
JP6050628B2 (ja) 管路の内張り構造
KR101081549B1 (ko) Frp 파이프 연결관 조립체
KR101164187B1 (ko) 하수도관 연결구
CN210066538U (zh) 一种自密实柔性管涵接口带
JP2010203555A (ja) 管継手保護カバー、及び管継手保護構造
KR101059613B1 (ko) 흄관 연결부의 누수방지장치
KR20120045823A (ko) 호스의 꺾임 방지 장치
JP4143600B2 (ja) ケーブル鋼管の補修部材
KR101068102B1 (ko) 하수관 연결구
JP6583957B2 (ja) 管体の離脱防止機構
CN219062745U (zh) 一种承插式连接接口及管道
JP4659558B2 (ja) 曲がり管及びこれを用いた管分岐構造
CN215111054U (zh) 一种耐磨型三层消防水带
CN217583702U (zh) 一种可有效抗压的金属管材
JP2011158026A (ja) 排水用可撓管および接続部品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