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092Y1 - 합성수지관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092Y1
KR930001092Y1 KR2019900013517U KR900013517U KR930001092Y1 KR 930001092 Y1 KR930001092 Y1 KR 930001092Y1 KR 2019900013517 U KR2019900013517 U KR 2019900013517U KR 900013517 U KR900013517 U KR 900013517U KR 930001092 Y1 KR930001092 Y1 KR 9300010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protective film
resin tube
tube
h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35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4663U (ko
Inventor
이주형
김홍기
Original Assignee
이주형
김홍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형, 김홍기 filed Critical 이주형
Priority to KR20199000135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1092Y1/ko
Publication of KR9200046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6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0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0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1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corrugated wall
    • F16L11/112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corrugated wall having reinforcements embedded in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1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 F16L11/15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corrug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합성수지관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합성수지관의 일실시예를 보인 부분 절결 단면도.
제2도(a) 내지 (d)는 본 고안에 의한 합성수지관의 각각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경질 합성수지관 11:보강돌조
12 : 요입부 13,14 : 직립면
15,16 : 테이퍼면 17 : 중공부
20 : 연질 합성수지 보호막 21 : 요철형 외주면
22,27 : 돌조 23,28 : 요입부
24,29 : 평편형 외주면 25,26 : 평편형 내, 외주면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질 합성수지관의 외주면에 연질 합성수지 보호막을 피복하여 내충격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이다.
통상 경질 폴리염화비닐(PVC)등으로 제조되는 합성수지관은 내압강도, 내약품성, 전기절연성 및 가공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지중매설용 상,하수관, 통신 케이블관, 농,공업용수관등으로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경질 합성수지관은 내충격강도가 낮기 때문에 제품을 생산공장에서 판매점 및 시공현장으로 운송하는 과정에서 그리고 보관취급하는 과정에서 외부로 부터 가하여지는 충격에 의하여 균열이 생기거나 파손됨으로써 제품 가치를 떨어뜨리는 결합이 있었으며 균열이 생긴 관을 사전에 확인하지 못하고 시공한 경우에는 주위에서 가하여지는 강력한 토압과 관내부에서 작용하는 수압 및 외부 진동등에 의하여 쉽게 파손됨으로써 막대한 경비를 무릅쓰고 재시공하여하는 결함이 있었다.
따라서 경질 합성수지관은 앞에서 언급한 여러가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충격이 가하여지지 않도록 취급하여야 하므로 사용하기가 까다롭고 불편한 점이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운송, 보관 취급 및 배관작업의 능률을 저하시키는 것이었다.
또한 종래의 합성수지관으로서는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63-107484호와 같이, 나선관몸체를 연질플라스틱으로 성형하고, 그 나선부의 외주면에 경질플라스틱층을 형성한 나선관이 안출된 바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시공등 취급시 경질플라스틱층이 외부충격등에 의하여 파손되거나 균열이 생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경질플라스틱층에 균열이 생긴 상태에서 그대로 매설한 경우에는 토압과 수압 및 진동등에 의하여 파손되면서 이들 토압과 수압 및 전동등을 연질플라스틱으로 성형된 나선관몸체에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나선관 전체가 왜곡되거나 휘어지며 연결부위가 이탈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경질 합성수지관의 외주면에 연질 합성수지보호막을 형성함으로써 내충격 강도를 향상할 수 있도록 안출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합성수지관의 여러가지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경질 폴리 염화비닐(PVC)등이 경질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보강돌조(11)와 요입부(12)를 일체로 갖는 경질 합성수지관(10)의 외주면을 연질 폴리염화비닐(PVC) 또는 폴리에칠렌(PE)등의 연질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보호막(20)으로 피복하여, 외부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경질 합성수지관(10)은 보강 돌조(11)와 요입부(12)의 측면이 직립면(13), (14)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막(20)은 보강돌조(11)와 요입부(12)의 외주면을 동일한 두께로 감싸는 동시에 요철형 외주면(21)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어 관의 외형은 보호막(20)을 피복한 후에도 피복하기 전과 동일하게 요철형으로 되어 있다.
제2도(a) 내지 (d)는 상기 경질 합성수지관(10)에 보호막(20)을 피복한 후 관의 외형이 마치 외주면이 평편한 완형판처럼 된 실시형태들을 보인 것으로, (a)의 실시예에서 상기 경질 합성수지관(10)은 보강돌조(11)와 요입부(12)의 측면이 직립면(13)(14)으로 되어 있고, 상기 보호막(20)은 보강돌조(11)와 요입부(12)를 맞물리는 형태로 감싸는 요입부(23)와 돌조(22)를 갖음과 아울러 평편형 외주면(24)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b)의 실시예에서 상기 경질 합성수지관(10)은 보강돌조(11)와 요입부(12)의 측면이 직립면(13)(14)으로되어 있고 상기 보호막(20)은 보강돌조(11)의 외주면을 동일 두께로 감싸는 동시에 평편형 내주면(25)과 외주면(26)을 갖고 있다.
그리고, (c)의 실시예에서 상기 경질 합성수지관(10)은 보강돌조(11)와 요입부(12)의 측면이 테이퍼면(15)(16)으로 되어 있고, 상기 보호막(20)은 상기 보강돌조(11)와 요입부(12)를 맞물리는 형태로 감싸는 요입부(28)와 돌조(27)를 갖음과 아울러 평편형 외주면(29)을 갖고 있으며, (d)의 실시예에서는 (b)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질 합성수지관(10)의 보강돌조(11)에 중공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제1도 및 제2도 (a) 내지 (d)에 도시한 여러가지 실시예에서 경질 합성수지관(10)은 보강돌조(11)와 요입부(12)가 나선상으로 감아진 형태의 나선관이거나, 본원인에 의하여 안출되고 선출원된 바 있는 지하매설용 합성수지관(출원번호 제89-16133호)과 같이 보강돌조(11)와 요입부(12)가 상호 평행하게 감아진 형태의 평행관이며, 경질 합성수지관(10)으로 어떤 형태의 관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제1도 및 제2도 (a) 내지 (d)의 실시예는 경질 합성수지관(10)이 폴리염화비닐이고, 연질 합성수지보호막(20)이 폴리염화비닐 또는 폴리에칠렌인 경우 모두에 적용할 수 있으며, 보호막(20)이 폴리염화비닐인 경우에는 서로 인접한 관을 연결한 경우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할 수 있으나, 보호막(20)이 폴리에칠렌인 경우에는 접착제가 붙지 않으므로 연결되는 관 단부의 보호막(20)을 소정폭으로 까낸 다음 접착제로 접착하여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경질 합성수지관(10)이 폴리염화비닐이고 보호막(20)이 폴리에칠렌인 경우에는 서로 융착되지 않아 박리될 염려가 있으므로 제2도 (c)의 실시예로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합성수지관은 경질합성수지관(10)의 외주면에 연질 합성수지 보호막(20)을 부착하여 관이 이중구조로 되어 내압강도가 향상되므로 지중매설관으로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배관시 인접한 관을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외부에서 가하여지는 충격을 연질합성수지 보호막(20)이 완화하여 충격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게 되며, 관이 이중구조로 되어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합성수지관은 재품가치를 향상하고 사용수명을 연장할뿐 아니라, 제품의 운송, 보관 및 배관시공시 종래 경질 합성수지관에 하여 취급이 쉽기 때문에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보강돌조(11)와 요입부(12)를 갖는 경질 합성수지관(10)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10)의 외주면을 연질 합성수지 보호막(20)으로 피복하여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합성수지관(10)은 보강돌조(11)와 요입부(12)의 측면이 직립면(13)(14)으로된 것이고, 상기 보호막(20)은 보강돌조(11)와 요입부(12) 외주면을 동일 두께로 감싸는 동시에 요철형 외주면(21)을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합성수지관(10)은 보강돌조(11)와 요입부(12)의 측면이 직립면(13)(14)으로된 것이고, 상기 보호막(20)은 보강돌조(11)와 요입부(12)를 맞물리는 형태로 감싸는 요입부(23)와 돌조(22)를 갖음과 아울러 평편형 외주면(24)을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합성수지관(10)은 보강돌조(11)와 요입부(12)의 측면이 직립면(13)(14)으로된 것이고, 상기 보호막(20)은 보강돌조(11)의 외주면을 동일 두께로 감사는 동시에 평편형 내외주면(25)(26)을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합성수지관(10)은 보강돌조(11)와 요입부(12)의 측면이 테이퍼면(15)(16)으로 된 것이고, 상기 보호막(20)은 보강돌조(11)와 요입부(12)를 맞물리는 형태로 감싸는 요입부(28)와 돌조(27)를 갖음과 아울러 평편형 외주면(29)을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합성수지관(10)은 경지 폴리비닐관이고, 상기 보호막(20)은 연질 폴리염화비닐 또는 연질 폴리에틸렌 보호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합성수지관(10)은 경질 폴리염화비닐관이고, 상기 보호막(20)은 연질 폴리염화비닐 또는 연질 폴리에칠렌 보호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8.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합성수지관(10)은 보강돌조(11)와 요입부(12)가 나선상으로 감아진 형태의 나선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9. 제1함 내지 제7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합성수지관(10)은 보강돌조(11)와 요입부(12)가 평행하게 감아진 형태의 평행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KR2019900013517U 1990-08-31 1990-08-31 합성수지관 KR9300010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3517U KR930001092Y1 (ko) 1990-08-31 1990-08-31 합성수지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3517U KR930001092Y1 (ko) 1990-08-31 1990-08-31 합성수지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663U KR920004663U (ko) 1992-03-26
KR930001092Y1 true KR930001092Y1 (ko) 1993-03-11

Family

ID=19302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3517U KR930001092Y1 (ko) 1990-08-31 1990-08-31 합성수지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109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521A (ko) * 1998-09-30 2000-04-25 민병이 고강도 나선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0019462A (ko) * 2002-08-28 2004-03-06 김은기 보일러 최적연소를 위한 미연탄소 및 공기댐퍼 제어 시스템
KR100957921B1 (ko) * 2008-08-12 2010-05-13 주식회사 포스코 라이닝 강관 및 그 제조방법
KR100957922B1 (ko) * 2008-08-12 2010-05-14 주식회사 포스코 피복 강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521A (ko) * 1998-09-30 2000-04-25 민병이 고강도 나선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0019462A (ko) * 2002-08-28 2004-03-06 김은기 보일러 최적연소를 위한 미연탄소 및 공기댐퍼 제어 시스템
KR100957921B1 (ko) * 2008-08-12 2010-05-13 주식회사 포스코 라이닝 강관 및 그 제조방법
KR100957922B1 (ko) * 2008-08-12 2010-05-14 주식회사 포스코 피복 강관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663U (ko) 1992-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43952A1 (en) Use of a buried flexible pipeline
KR20050062437A (ko) 내압 복합관
KR930001092Y1 (ko) 합성수지관
JP3619879B2 (ja) 管継手部の構造
KR20010002099A (ko) 지중매설용 내압 합성수지관
KR200258995Y1 (ko) 합성 수지관
CN207599170U (zh) 一种聚乙烯立式钢带双层壁复合管材
KR200157905Y1 (ko) 나선관 및 그 연결구조
CN219317853U (zh) 一种钢塑增强型中空双螺旋缠绕管
CN211649482U (zh) 一种管道止水用隔水密封垫
CN212156114U (zh) 一种多重增强聚乙烯结构壁管材
CN215258278U (zh) 一种具有高强度高抗压能力的钢带管
JPH0311510Y2 (ko)
JPH0678791B2 (ja) 耐圧合成樹脂管
JPH0537117Y2 (ko)
JPH087192Y2 (ja) 螺旋管
KR200256669Y1 (ko) 이중관 파이프 연결 소켓트
KR200318948Y1 (ko) 나선형 관체 연결구
JPH0250351B2 (ko)
KR920005029Y1 (ko) 합성수지 나선관
JPH0135026Y2 (ko)
JPH0419275Y2 (ko)
JP2517115Y2 (ja) 強化プラスチック断熱管の継手構造
KR940000072Y1 (ko) 구조용 합성수지 파이프
JPH041469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