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8948Y1 - 나선형 관체 연결구 - Google Patents

나선형 관체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8948Y1
KR200318948Y1 KR20-2003-0009707U KR20030009707U KR200318948Y1 KR 200318948 Y1 KR200318948 Y1 KR 200318948Y1 KR 20030009707 U KR20030009707 U KR 20030009707U KR 200318948 Y1 KR200318948 Y1 KR 2003189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ral
connector
tube
coupling
spiral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97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진특수고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진특수고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진특수고무
Priority to KR20-2003-00097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89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89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89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나선(파상)형 관체(지중전선관(E.L.P))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연결되는 2개의 나선형 관체 연결부위를 보다 견고하게 가압하여 안전성 있는 연결 구조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이웃하는 2개의 나선형 관체(2)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구(1)에 있어서, 연결구(1)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부(3)를 갖는 몸체(4)의 내측으로 나선형 관체(2)의 나선(2a)과 부합하는 나선홈(5)을 형성하고, 절개부(3)에는 마주보는 결합편(6)을 돌출 형성하되, 결합편(6)에는 적어도 2개소 이상의 결합구멍(6a)을 형성하고 고정수단(7)을 결합하여 몸체(4) 내측에 형성된 나선홈(5)이 나선형 관체(2)의 나선(2a)에 가압 상태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이 우수하면서도 나선형 관체(2)를 보다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나선형 관체 연결구{Connector for spiral tube}
본 고안은 나선(파상)형 관체(지중전선관(E.L.P))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연결되는 2개의 나선형 관체 연결부위를 보다 견고하게 가압하여 안전성 있는 연결 구조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도심 등에서는 미관을 고려하여 지상에 설치되어 있는 전선과 같은 각종 케이블 등을 지하에 매설하고 있다.
이때 케이블이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도록 폴리에틸렌수지로 제조된 나선형 관체를 지하에 매설하고 그 내측으로 케이블을 내입 설치하게 된다.
나선형 관체의 경우 자유자재로 구부러지고 장애물의 우회시공이 가능하고, 편평강도가 크므로 지중에 매설하였을 때 어떠한 하중에도 찌그러지지 않으며, 케이블과의 마찰 계수가 적어 전선의 내입이 용이한 등의 이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나선형 관체는 제조과정에서 적당한 길이로 절단 공급되며 지하에 매설 시에는 이웃하는 나선형 관체와 연결구로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 연결구(20)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중앙으로 환테(21)가 돌출 형성된 연질고무로 구성된 연결부재(22) 외측으로 일측이 축 방향으로 절개된 합성수지 커버(23)를 씌우며, 절개부 양측으로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결합공(25)이 형성된 보강편(24)을 결합하고 결합공(25)에는 볼트 너트와 같은 고정수단(26)을 결합함으로써, 연결부재(22)를 가압하여 이웃하는 2개의 나선형 관체(27)가 연결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연결구(20)에 의해 연결 구성되는 나선형 관체(27)의 경우 양측 나선형 관체(27)의 나선에 충진부재(28)를 감싼 후 연결부재(22)에 결합한 다음 연결부재(22) 외부에 커버(23)를 감싸는 작업을 행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며, 나선형 관체(27)의 외면과 연결부재(22)의 결합이 견고하지 못하여 전선을 내입하는 과정 등에서 연결구(20)에 결합되어 있는 나선형 관체(27)가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나선형 관체(27)와 연결부재(22)간에 틈새가 생기는 경우가 많고 이 틈새로 모래나 흙 등의 이물질이 내입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던 것으로 이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나선형 관체 연결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나선형 관체 연결구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코자 본 고안을 안출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연결구의 내측으로 나선형 관체(지중전선관)의 외형 즉, 나선형상과 동일한 나선홈을 형성하여 연결구로 이웃하는 나선형 관체를 연결할 시 연결구에 형성되어 있는 나선홈에 나선형 관체의 나선이 나사결합형태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결합 후에 연결구에서 나선형 관체가 이탈됨이 없게 하고, 또한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안전성과 설치의 편리성을 동시에 보장할 수 있는 나선형 관체 연결구를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으로 나선형 관체를 결합한 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연결구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나선형 관체를 결합한 상태 단면도
도 5는 도 4에 적용된 연결구 측단면도
도 6은 종래의 나선형 관체 연결구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적용된 종래의 연결구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나선형 관체) 연결구 2:나선형 관체
2:나선 3:절개부
4:몸체 4a:가압부
4b:커버부 4c:환테
5:나선홈 6:결합편
6a:결합구멍 7:고정수단
8:심재 9:밴딩부재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연결구로 나선형 관체를 결합한 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연결구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이웃하는 2개의 나선형 관체(2)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구(1)에 관한 것으로서,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설치 후 나선형 관체(2)가 빠지는(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연결구(1)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부(3)를 갖는 몸체(4)의 내측 중앙에 환테(4c)를 형성하고, 그 양측으로는 나선형 관체(2)의 나선(2a)과 부합하는 나선홈(5)을 형성하며, 절개부(3)에는 마주보는 결합편(6)을 돌출 형성하되, 이에는 적어도 2개소 이상의 결합구멍(6a)을 형성하여 볼트 너트 등의 고정수단(7)을 결합하여 몸체(4) 내측에 나선형 관체(2)를 내입한 상태에서 고정수단(7)을 결합할 시 몸체(4) 내측에 형성된 나선홈(5)이 나선형 관체(2)의 외면 즉, 나선(2a)에 가압 상태로 밀착되도록 한 구성이다.
상기 몸체(4)는 연질고무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내측에는 연질고무로 가압부(4a)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가압부(4a)를 보호할 수 있도록 경질고무로 커버부(4b)가 형성되게 이중사출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편(6) 내측으로는 고정수단(7)에 의해 보다 견고한 결합을 행할 수 있도록 철판으로 된 심재(8)를 인서트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나선형 관체를 결합한 상태 단면도, 도 5는 도 4에 적용된 연결구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구(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양측 결합편(6)에는 철판으로 된 심재(8)를 인서트하고 심재(8)에는 몸체(4)에 인서트된 1개 이상의 밴딩부재(9)의 양단부를 용접 고정한 구성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나선형 관체(2) 연결구(1)는 각종 케이블을 지하에 매설할 시 2개의 나선형 관체(2)를 연결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고안의 사용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4)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있는 절개부(3)상에 돌출 형성된 양측 결합편(6)을 잡고 절개부(3)가 벌어지도록 한 다음 절개부(3)를 통하여 이웃하는 2개의 나선형 관체(2)를 내입하여 서로 마주보게 배치한 상태에서 양측 결합부(6)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멍(6a)에 볼트 너트와 같은 고정수단(7)을 결합하기만 하면 2개의 나선형 관체(2)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몸체(4)의 내측으로 나선형 관체(2)의 나선(2a)과 부합하는 나선홈(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합편(6)을 고정수단(7)으로 결합 고정할 시 나선형 관체(2)의 나선(2a)상에 몸체(4) 내측의 나선홈(5)이 나사결합상태로 가압 고정되므로 종래와 같이 나선형 관체 내에 케이블을 내입하는 과정 또는 외부압력이 가해질 때에 나선형 관체(2)가 연결구(1)에서 빠지는 등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몸체(4)가 연질고무로 구성되는 가압부(4a)와 경질고무로 구성되는 커버부(4b)로 구성되어 있고 결합편(6) 내측으로 철판으로 된 심재(7)가 인서트 되어 있는바, 결합편(6)에 고정수단(7)을 결합하여 고정할 시에 커버부(4b)에 의해 감싸진 가압부(4a)가 나선형 관체(2)의 나선(2b)과 보다 긴밀한 밀착성을 제공할 수 있어 각종 이물 내입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을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할 경우 연결구(1)로 나선형 관체(2)를 연결할 시 몸체(4)의 내측에 인서트 되어 있는 밴딩부재(9)가 몸체(4)의 보강재 역할을 하게 되므로 본 고안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나선형 관체(2)를 연결하는 연결구(1)의 몸체(4) 내측으로 나선형 관체(2)의 나선(2a)과 부합하는 나선홈(5)을 형성하여나선형 관체(2)의 나선(2a)과 나사결합상태로 고정되게 한 것으로서, 이웃하는 2개의 나선형 관체(2)를 극히 간단한 방법으로 신속하고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고, 연결 상태에서는 외부로부터의 이물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등 기대 이상의 효과를 득할 수 있는 등의 여러 이점이 제공되는 실용성 있는 매우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4)

  1. 이웃하는 2개의 나선형 관체(2)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구(1)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부(3)를 갖는 몸체(4)의 내측으로 나선형 관체(2)의 나선(2a)과 부합하는 나선홈(5)을 형성하고, 절개부(3)에는 마주보는 결합편(6)을 돌출 형성하되,
    상기 결합편(6)에는 적어도 2개소 이상의 결합구멍(6a)을 형성하고 고정수단(7)을 결합하여 몸체(4) 내측에 형성된 나선홈(5)이 나선형 관체(2)의 나선(2a)에 가압 상태로 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관체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4)는 내측에는 연질고무로 가압부(4a)를 형성하고, 외측에는 경질고무로 커버부(4b)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관체 연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6) 내측으로는 고정수단(7)에 의해 보다 견고한 결합을 행할 수 있도록 철판으로 된 심재(8)를 인서트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관체 연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결합편(6)에는 철판으로 된 심재(8)를 인서트하고 심재(8)에는 몸체(4)에 인서트된 1개 이상의 밴딩부재(9)의 양단부를 용접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관체 연결구.
KR20-2003-0009707U 2003-03-31 2003-03-31 나선형 관체 연결구 KR2003189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9707U KR200318948Y1 (ko) 2003-03-31 2003-03-31 나선형 관체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9707U KR200318948Y1 (ko) 2003-03-31 2003-03-31 나선형 관체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8948Y1 true KR200318948Y1 (ko) 2003-07-04

Family

ID=49410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9707U KR200318948Y1 (ko) 2003-03-31 2003-03-31 나선형 관체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89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3358A (ko) * 2013-12-23 2015-07-01 주식회사 픽슨 복합형 파형 강관 연결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3358A (ko) * 2013-12-23 2015-07-01 주식회사 픽슨 복합형 파형 강관 연결재
KR101589031B1 (ko) 2013-12-23 2016-01-27 주식회사 픽슨 복합형 파형 강관 연결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23552A1 (en) A flexible pipe with an associated end-fitting
KR100920808B1 (ko) 실링 및 그 실링을 이용한 파이프 연결소켓
WO2005116511B1 (en) A threaded pipe joint coupling with wire lock system
KR100713243B1 (ko) 공동주택용 전선보호관 이음장치
JP4390123B2 (ja) 管路の内張り構造
KR200318948Y1 (ko) 나선형 관체 연결구
KR100926528B1 (ko) 전력선 배선을 위한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 연결구조
KR101918014B1 (ko) 테이퍼형 암나사산을 갖는 슬리브를 이용한 철근 연결용 커플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근이음 방법
KR20080002543U (ko) 분해 결합이 용이한 합성수지 플랜지관
CN214850432U (zh) 高强度抗撕裂三元乙丙冷缩管
KR102121356B1 (ko) 광케이블용 다중관 커플러
KR200157905Y1 (ko) 나선관 및 그 연결구조
KR200210137Y1 (ko) 케이블용 관 이음장치
KR100397308B1 (ko)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구비된 관
KR101294759B1 (ko)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
KR100531977B1 (ko) 플랜지에 의해 결합되는 3중벽 하수관
KR930001092Y1 (ko) 합성수지관
KR100751804B1 (ko) 경사진 플랜지를 가진 합성수지관의 접속장치
KR102586453B1 (ko) 파형관 연결용 커플러
KR102179403B1 (ko) 수밀성이 향상된 나선형 파형관용 패킹구조체
KR20080001062U (ko) 관연결부 일체형 고강도관의 제조방법 및 그 구조
KR20040088790A (ko) 나선형 관체의 이음부 접속구 및 접속방법
ES2797000B2 (es) Brida de union de elementos de tuberias y metodo de fabricacion de brida de union de elementos de tuberias
JP2001227288A (ja) トンネル用セグメント
JP3026870U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歪吸収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