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995Y1 - 합성 수지관 - Google Patents
합성 수지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58995Y1 KR200258995Y1 KR2019980011620U KR19980011620U KR200258995Y1 KR 200258995 Y1 KR200258995 Y1 KR 200258995Y1 KR 2019980011620 U KR2019980011620 U KR 2019980011620U KR 19980011620 U KR19980011620 U KR 19980011620U KR 200258995 Y1 KR200258995 Y1 KR 20025899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circumferential wall
- synthetic resin
- insulation
- reinforcement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도관, 전선용 관, 수도관, 주택 배란다 배수관, 위생관 등 기타 생활 공산품으로 사용되는 합성 수지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중관으로 이루어진 관 내부에 단열재 및 보강재를 삽입하여 단열 기능 및 강성을 향상시킨 합성 수지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은, 이중벽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주벽과 외주벽 사이에 나선 방향으로 빔이 형성되며, 상기 빔과 빔 사이의 공간에는 내외부 온도차에 대한 열전도율이 최소화되도록 단열재가 삽입되거나, 내외부 압력에 대한 강성이 보강되도록 보강재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하수도관, 전선용 관, 수도관, 주택 배란다 배수관, 위생관 등 기타 생활 공산품으로 사용되는 합성 수지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중관으로 이루어진 관 내부에 단열재 및 보강재를 삽입하여 단열 기능 및 강성을 향상시킨 합성 수지관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를 출원하여 '특허 제136249호'로 특허 등록된 바 있다.
상기 기특허 발명의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벽(12)과 외주벽(11) 사이에 나선 방향의 중공부(A)가 형성되어 있는 이중벽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공부(A) 사이에는 나선형으로 된 'I' 빔(1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10)은 하수도관, 전선용 관, 수도관, 주택 배란다 배수관, 위생관 등 기타 생활 공산품으로 사용되는 합성 수지관으로서, 이중벽 구조로 이루어져 경량화를 실현하면서도 내외부 압력 및 충격에 강하고, 부식 및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기특허 발명은 내주벽(12)과 외주벽(11) 사이에 'I' 빔(13)이 보강되어 내외부 압력 및 충격에 견딜 수 있는 어느 정도의 강성은 가지고 있으나 보다 높은 내외부 충격 및 압력에 충분히 대응하는 데는 한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은 일정 이상의 외압이 발생되어 외주벽(11)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I' 빔(13) 사이의 중공부(A)에 균열이 발생하여 누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기특허 발명의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은 이중벽의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어느 정도 보온, 단열 효과는 가질 수 있으나 보다 높은 단열 효과를 갖는데는 한계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즉, 겨울철 외부 온도의 하강으로 내부의 하수가 얼 경우, 부피의 증가로 관이 파손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중벽 내의 중공부에 단열재 및 보강재를 삽입함으로써 보온, 단열 효과를 높이고, 강성을 향상시킨 합성 수지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합성 수지관은, 이중벽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주벽과 외주벽 사이에 나선 방향으로 빔이 형성되며, 상기 빔과 빔 사이의 공간에는 내외부 온도차에 대한 열전도율이 최소화되도록 단열재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합성 수지관은, 이중벽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주벽과 외주벽 사이에 나선 방향으로 빔이 형성되며, 상기 빔과 빔 사이의 공간에는 내외부 압력에 대한 강성이 보강되도록 보강재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이 도시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 수지관의 일 실시 예가 도시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 수지관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60 : 합성 수지관 51, 61 : 외주벽
52, 62 : 내주벽 55 : 단열재
66 : 보온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서 단열재가 삽입된 합성 수지관이 도시된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서 보강재가 삽입된 합성 수지관이 도시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합성 수지관(50)은 내주벽(52)과 외주벽(51)으로 된 이중벽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내주벽(52)과 외주벽(51) 사이에 나선 방향으로 빔(53)이 형성되어 이 빔(53)과 빔(53)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빔(53)과 빔(53) 사이의 중공부에는 내외부 온도차에 대한 열전도율이 최소화되도록 단열재(55)가 삽입되어 있다.
즉, 상기 내주벽(52)과 외주벽(51) 사이의 중공부에 석면, 암면, 스티로폴, EPS 등의 단열재(55) 및 보온재를 삽입하여 외부의 온도가 심하게 변화되더라도 내부의 온도가 크게 변화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다음,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합성 수지관(60)은 이중벽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주벽(62)과 외주벽(61) 사이에 나선 방향으로 빔(63)이 형성되며, 상기 빔(63)과 빔(63) 사이의 공간에는 내외부 압력에 대한 강성이 보강되도록 보강재(66)가 삽입되어 있다.
즉, 상기 내주벽(62)과 외주벽(61) 사이의 중공부에 철심이나 콘크리트 등의 보강재(66)를 삽입하거나 주입함으로써 외부 압력 및 충격에 대응할 수 있는 강도가 향상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 수지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합성 수지관(50)은 내주벽(52)과 외주벽(51) 사이에 단열재(55)가 삽입되어 이 단열재(55)가 관의 내부나 외부로 전달되는 열전달율을 최소화시키기 때문에 그만큼 보온 및 단열 기능이 향상되게 된다.
즉, 겨울철 외부의 온도가 급격히 낮아지더라도 내부의 액체가 쉽게 얼지 않게 되므로 관이 파손되는 위험이 줄일 수 있게 되고, 별도로 외부에 단열재 등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관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다음, 다른 실시예의 합성 수지관(60)은 이중벽 내부에 철심 콘크리트 등의 보강재(66)가 삽입 또는 주입되어 있기 때문에 내외부 압력 및 충격에 대해 보다 높은 강성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합성 수지관(60)을 설치한 후, 땅을 파거나 점검할 때 잘못하면 공구 등의 접촉으로 외부의 충격이 발생할 경우에도 쉽게 균열되거나 파손되지 않아 관의 내구성이 그만큼 향상되게 된다.
한편, 종래 기술의 합성 수지관은 이중벽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중에 설치되는 경우 중량이 가벼워 부력에 대응하는 힘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고안에 따른 합성 수지관(60)은 이중벽 사이의 공간에 보강재(66)로 콘크리트 등이 주입되어 있기 때문에 수중에 설치될 경우에 부력에 대한 충분한 대응력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의 합성 수지관은 단열재나 보강재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보온, 단열 효과가 향상되고, 강도가 보강되어 기능성 및 안정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2)
- 이중벽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주벽과 외주벽 사이에 나선 방향으로 빔이 형성되며, 상기 빔과 빔 사이의 공간에는 내외부 온도차에 대한 열전도율이 최소화되도록 단열재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수지관.
- 이중벽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주벽과 외주벽 사이에 나선 방향으로 빔이 형성되며, 상기 빔과 빔 사이의 공간에는 내외부 압력에 대한 강성이 보강되도록 보강재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수지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11620U KR200258995Y1 (ko) | 1998-06-30 | 1998-06-30 | 합성 수지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11620U KR200258995Y1 (ko) | 1998-06-30 | 1998-06-30 | 합성 수지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01817U KR20000001817U (ko) | 2000-01-25 |
KR200258995Y1 true KR200258995Y1 (ko) | 2002-09-19 |
Family
ID=69518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11620U KR200258995Y1 (ko) | 1998-06-30 | 1998-06-30 | 합성 수지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58995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64616A (ko) * | 1999-04-17 | 1999-08-05 | 정우현 | 스파이럴 파이프 접착방법 |
KR20020037908A (ko) * | 2000-11-16 | 2002-05-23 | 서상윤 | 이중벽 격자관 |
KR20030022653A (ko) * | 2001-08-14 | 2003-03-17 | 주식회사 강원프라코 | 고강도 복합관 |
-
1998
- 1998-06-30 KR KR2019980011620U patent/KR20025899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01817U (ko) | 2000-0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473575A (en) | Thermally insulated pipe | |
KR200258995Y1 (ko) | 합성 수지관 | |
KR100520482B1 (ko) | 공동주택 지하 공동구 방수막 커버를 이용한 이음부 연결공법 | |
US2903017A (en) | Pipe support | |
KR200191992Y1 (ko) | 조립식 파이프 보호커버 | |
KR20090093356A (ko) | 이중 관 구조의 온수배관 | |
KR930001092Y1 (ko) | 합성수지관 | |
KR100477145B1 (ko) | 배수관 연결소켓 조립방법 | |
KR930001576Y1 (ko) | 조립식 파이프 보호커버 | |
KR200231021Y1 (ko) | 합성수지 라이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맨홀 | |
KR200267298Y1 (ko) | 지중매설용내압합성수지관 | |
KR100490956B1 (ko) | 토목및도로공사용하수로관연결용거푸집 | |
KR101062490B1 (ko) | 고압케이블용 파이프의 외압 보강 구조 | |
KR20030022653A (ko) | 고강도 복합관 | |
EP0569185B1 (en) | Hollow tubular lining member for sewers and method of lining a sewer | |
KR930010049B1 (ko) | 나선관의 보강구조 | |
KR101038651B1 (ko) | 전선관용 파이프의 선택적인 보강 구조 | |
KR200315352Y1 (ko) | 피.이와 합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고강도 상수도관 구조 | |
KR200268588Y1 (ko) | 배수로관용 거푸집 | |
KR100441725B1 (ko) | 토목공사용 상,하수로관의 거푸집 | |
KR100572568B1 (ko) | 상하수도관 연결부위의 보강대 | |
KR100700359B1 (ko) | 상,하수용 파이프 | |
KR940003124Y1 (ko) | 건물옥상 배관의 보호용 블럭 | |
KR100518464B1 (ko) | 배수로관용 거푸집 | |
KR100690626B1 (ko) | 합성수지 관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합성수지 통수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1218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