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531B1 - 용접이음쇠 연결용 관연결구 - Google Patents

용접이음쇠 연결용 관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531B1
KR101403531B1 KR1020130107068A KR20130107068A KR101403531B1 KR 101403531 B1 KR101403531 B1 KR 101403531B1 KR 1020130107068 A KR1020130107068 A KR 1020130107068A KR 20130107068 A KR20130107068 A KR 20130107068A KR 101403531 B1 KR101403531 B1 KR 101403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asing
fitting
welding
grip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7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태
Original Assignee
(주) 정우카프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정우카프링 filed Critical (주) 정우카프링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531B1/ko
Priority to JP2016516037A priority Critical patent/JP5994039B1/ja
Priority to EP14842051.6A priority patent/EP3043100A4/en
Priority to PCT/KR2014/008279 priority patent/WO2015034267A1/ko
Priority to CN201480048960.3A priority patent/CN105518367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02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 F16L21/005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made of elastic material, e.g. partly or completely surrounded by clamp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90도 엘보나 티이와 같은 용접이음쇠와 직관을 연결하는 용접이음쇠 연결용 관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연결구 케이싱의 양측 개구부에 내향 절곡되게 형성되는 걸림절곡부의 폭을 그립링 두께의 1.2~2배가 되는 좁은 폭으로 형성하고, 관연결구 케이싱의 내주연에 설치되는 고무슬리브의 내주연에 용접이음쇠의 연결단부가 바르게 정위치에 삽입되게 하는 돌기테를 형성함으로써, 용접이음쇠와 직관을 관연결구로 연결할 때, 호형으로 만곡된 용접이음쇠의 연결단부가 관연결구의 안쪽으로 최대한 깊이 삽입되고 그립링이 상기 용접이음쇠의 연결부에 충분히 걸림에 따라 직관과 용접이음쇠를 관연결구로써 안정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관연결구(1)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원통관 형태로 형성되면서 길이방향으로 절개부를 형성한 관연결구 케이싱(2)과, 관연결구 케이싱(2)의 절개부를 커버하게 일측단부가 관연결구 케이싱(2)의 일측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보조케이싱(7)과, 절개부를 클램핑볼트(4)로써 오므리게 관연결구 케이싱(2)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체결수단과, 관연결구 케이싱(2)의 내부에 설치되어 서로 연결되는 관체의 외부면을 감싸는 고무슬리브(6)와, 관연결구 케이싱(2)의 양측 입구에 원추형으로 설치되는 링형태의 그립링(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2개의 관체를 비용접식으로 연결하는 관연결구(1)에 있어서, 상기 고무슬리브(6)의 내주연에는 관연결구(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관체의 연결단부가 접촉되어 걸리는 돌기테(9)가 전둘레 걸쳐서 관연결구 케이싱(2)의 입구로부터 동일한 깊이선상에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관연결구 케이싱과 보조케이싱의 양단부에 내향 절곡되게 형성되는 걸림절곡부의 폭이 그립링 두께의 1.2~2배의 폭으로 절곡 형성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접이음쇠 연결용 관연결구{Pipe coupling for connecting Butt-welding pipe fittings}
본 발명은 90도 엘보나 티이와 같은 용접이음쇠와 직관을 연결하는 용접이음쇠 연결용 관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연결구 케이싱의 양측 개구부에 내향 절곡되게 형성되는 걸림절곡부의 폭을 그립링 두께의 1.2~2배가 되는 좁은 폭으로 형성하고, 관연결구 케이싱의 내주연에 설치되는 고무슬리브의 내주연에 용접이음쇠의 연결단부가 바르게 정위치에 삽입되게 하는 돌기테를 형성함으로써, 용접이음쇠와 직관을 관연결구로 연결할 때, 호형으로 만곡된 용접이음쇠의 연결단부가 관연결구의 안쪽으로 최대한 깊이 삽입되고 그립링이 상기 용접이음쇠의 연결부에 충분히 걸림에 따라 직관과 용접이음쇠를 관연결구로써 안정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용 연결구(관연결구 라고도 칭함)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체가 흐르는 2개의 관체{직관(20)과 용접이음쇠(21)를 통칭함}를 용접하지 않고, 2개의 관체가 연결되는 외측에 관연결구(1)로써 감싸서 결합하여 2개의 관체를 연결할 때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배관용 연결구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20-0363185호(고안의 명칭 : 배관용 연결구)를 포함하여 다수가 존재하고 있으나, 이들은 직관(20)끼리만 연결할 수 있을 뿐이고, 90도 엘보나 티이와 같이 연결단부가 둥글게 호형으로 만곡되게 형성된 용접이음쇠(21)는 그 용접이음쇠 자체로만은 관연결구(1)로써 연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위의 용접이음쇠(21) 자체로만은 관연결구(1)로써 연결하지 못하는 이유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연결구 케이싱(2)의 양측 개구부에 내향 절곡되게 형성되는 걸림절곡부(3)의 폭(B)이 넓어서, 90도 만큼을 둥글게 만곡시킨 용접이음쇠(21)를 관연결구(1)의 개구부로 삽입시키고자 할 때, 용접이음쇠(21)의 내측만곡부(21a)가 걸림절곡부(3)에 걸려서 용접이음쇠(21)의 연결단부를 관연결구(1)의 내부로 깊숙이 삽입시키지 못하게 된다.
이렇게 용접이음쇠(21)의 연결단부를 관연결구(1)의 내부로 깊숙이 삽입시키지 못함에 따라 클램핑볼트(4)로써 관연결구 케이싱(2)을 오므려서 서로 연결하는 용접이음쇠(21)를 포함한 관체(직관:20)를 클램핑하여 연결한다고 할 때, 용접이음쇠(21)의 연결단부 일부가 관연결구(1)에 살짝 물려서 클램핑 면적이 좁게 된다.
위와 같이 용접이음쇠(21)의 연결단부가 관연결구(1)에 소폭으로 들어감에 따라 클램핑력이 약함은 물론이고, 관연결구(1) 내에서 서로 연결하는 관체가 외부로 빠지지 않게 물어주는 그립링(5)에도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90도 엘보와 같이 연결단부가 둥글게 만곡된 용접이음쇠(21)를 종래의 관연결구(1)로는 연결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었다.
위와 같이 연결단부가 90도 만큼 둥글게 만곡된 용접이음쇠(21) 자체로만은 관연결구(1)로써 연결하지 못하게 되어 종래에는 용접이음쇠(21)의 연결단부에 직관을 짧게 절단한 단관(23)을 별도로 용접결합한 뒤에 관연결구(1) 내로 삽입시켜 연결하게 되는데, 이때는 그 만큼 작업이 추가됨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용접이음쇠(21)는 90도 엘보(elbow)나 티이(tee)와 같이 연결단부가 둥글게 호형으로 만곡되게 형성되고 연결단부에 플랜지부가 없는 연결관을 칭하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엘보형 용접이음쇠(21)는 용접이음쇠의 일예로서 둥글게 만곡되는 내외측 만곡부가 동일한 중심점을 기준으로 90만큼 방사방향으로 그린 궤적이 호형으로 형성되는 금속관을 칭하는 것이다.
실용신안등록 제20-0363185호(고안의 명칭 : 배관용 연결구)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연결구 케이싱의 내주연에 설치되는 고무슬리브의 내주연에 용접이음쇠의 연결단부가 바르게 정위치에 삽입되게 하는 돌기테를 형성하고, 관연결구 케이싱의 양측 개구부에 내향 절곡되게 형성되는 걸림절곡부의 폭을 그립링 두께의 1.2~2배가 되는 좁은 폭으로 형성함으로써, 90도 엘보나 티이와 같은 용접이음쇠를 직관에 연결하는 경우에 그립링이 상기 용접이음쇠의 연결부에 충분히 걸림에 따라 연결단부가 둥글게 만곡된 용접이음쇠를 관연결구로써 안정되게 연결시키며, 호형으로 만곡된 용접이음쇠의 연결단부가 관연결구의 안쪽으로 최대한 깊이 삽입되게 함으로써 용접이음쇠를 관연결구로써 안정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관연결구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원통관 형태로 형성되면서 길이방향으로 절개부를 형성한 관연결구 케이싱과, 관연결구 케이싱의 절개부를 커버하게 일측단부가 관연결구 케이싱의 일측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보조케이싱과, 절개부를 클램핑볼트로써 오므리게 관연결구 케이싱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체결수단과, 관연결구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서로 연결되는 관체의 외부면을 감싸는 고무슬리브와, 관연결구 케이싱의 양측 입구에 원추형으로 설치되는 링형태의 그립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2개의 관체를 비용접식으로 연결하는 관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고무슬리브의 내주연에는 관연결구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관체의 연결단부가 접촉되어 걸리는 돌기테가 전둘레 걸쳐서 관연결구 케이싱의 입구로부터 동일한 깊이선상에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관연결구 케이싱과 보조케이싱의 양단부에 내향 절곡되게 형성되는 걸림절곡부의 폭이 그립링 두께의 1.2~2배의 폭으로 절곡 형성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이음쇠 연결용 관연결구는, 고무슬리브의 내주연에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기테에 의해 용접이음쇠의 단부가 직관과 동일한 중심선상에 바르게 삽입 설치되고, 걸림절곡부의 폭을 최소화하여 용접이음쇠의 연결단부가 관연결구의 내측으로 최대한 깊숙이 삽입 설치되게 되어 연결단부가 둥글게 만곡된 용접이음쇠를 본 발명의 관연결구로 견고하고 안정되게 연결 설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동일한 관로 상에서 용접이음쇠를 포함한 관체를 연결하는 인접한 관연결구가 간격유지구에 의해 서로 연결됨에 따라 각각의 관연결구가 제 위치를 고수하게 되어 관로 상에서의 유체 누설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관연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관연결구와 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의 (가)(나)(다)는 도 2에 도시된 "A"부의 각종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관연결구와 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관연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의 (가)(나)는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간격유지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설치상태도.
도 7의 (가)(나)는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간격유지구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설치상태도.
도 8의 (가)(나)는 도 7에 설치되는 이실시예에 의한 간격유지구를 나타내는 설명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용접이음쇠 연결용 관연결구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3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공지된 관연결구(1)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관연결구(1)의 외형을 이루는 관연결구 케이싱(2)과, 관연결구 케이싱(2)의 절개부에 설치되는 보조케이싱(7)과, 절개부를 클램핑볼트(4)로써 오므리게 관연결구 케이싱(2)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체결수단과, 관연결구 케이싱(2)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무슬리브(6)와, 관연결구 케이싱(2)의 양측 입구에 원추형으로 설치되는 그립링(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2개의 관체를 비용접식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관연결구 케이싱(2)은 양단부에 걸림절곡부(3)가 내향 절곡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폭만큼 절개부를 가지는 원통관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이 관연결구 케이싱(2)은 금속판을 원통관 형태로 절곡 형성하되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절개 형성됨에 따라 절개부에 의해 관연결구 케이싱(2)의 외경이 신축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케이싱(7)은 관연결구 케이싱(2)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부를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 이 보조케이싱(7)도 관연결구 케이싱(2)의 걸림절곡부(3)와 동일한 위치에 걸림절곡부가 내향 절곡 형성되며 이 보조케이싱(7)의 일측 단부가 관연결구 케이싱(2)의 일측 내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그립링(5)은 도 3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연결구(1)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연결되는 관체{직관(20)과 용접이음쇠(21)}의 외부면을 경사방향으로 클램핑하는 것으로서, 3가지 방식으로 설치되고 있다.
먼저, 도 3의 (가)와 같이 1개의 그립링(5)을 설치하는 경우와, 도 3의 (나)와 같이 2개의 그립링(5)을 겹쳐서 설치하는 것과, 도 3의 (다)와 같이 1개 또는 2개의 그립링(5)과 그 후방에 그립링(5)의 후방을 지지하는 지지링(8)을 함께 설치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도 3의 (가)와 같이 1개의 그립링(5)을 설치할 때에 1개의 그립링(5) 두께(T)와, 도 3의 (나)에 도시된 2개의 그립링(5)을 겹쳐서 설치한 경우의 그립링(5)의 두께(T)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으로 정하는데, 그 이유는 동일한 규격의 2개의 관체를 물어주는 클램핑력이 동일하거나 유사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도 3의 (가)와 같이 1개의 그립링(5)을 설치할 때에 경도 및 강도가 높은 소재로 그립링(5)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두께가 얇아질 수 있으나, 그 두께 차이가 크지 않으므로 위와 같이 도 3의 (나)와 같이 2개의 그립링을 겹친 두께와, 도 3의 (가)와 같이 그립링을 1개로 설치할 때의 두께가 동일한 것으로 정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그리고, 도 3의 (다)에 설치하는 그립링(5)의 두께(T)도 도 3의 (가)에 도시된 그립링(5)의 두께와 동일하며, 얇은 그립링 2개를 겹쳐서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렇게 2개의 그립링을 겹칠 때의 두께도 1개의 그립링을 설치할 때의 두께와 동일한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도 3의 (가)(나)(다)에 도시된 각각의 그립링은 그 두께가 모두 동일한 것으로 간주함을 밝힌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관연결구(1)에서의 본 발명의 특징부는, 첫째 도 3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공지된 관연결구(1)에 있어서, 걸림절곡부(3)의 폭(B)을 최소화하여 둥글게 만곡 형성된 90도 엘보와 같은 용접이음쇠(21)의 연결단부가 최대한 관연결구(1)의 내부로 깊숙하게 삽입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둘째,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무슬리브(6)의 내주연에 돌기테(9)를 내향 돌출되게 형성하여 관연결구(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용접이음쇠(21)의 둥글게 만곡된 연결단부가 삐딱하지 않고 바르게 삽입되게 하는 것이다.
셋째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일한 관로에서 인접하게 설치되는 관연결구(1)를 와이어나 철판밴드와 같은 간격유지대(10)로 연결하여 서로 인접한 각각의 관연결구(1)로 연결한 관체가 견고하게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특징이 되는 걸림절곡부(3)의 폭(B)을 최소화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도 3의 (가) 내지 (다)에 도시된 각각의 그립링(5)은 1개나 2개를 겹친 것 모두를 1개의 일체화된 그립링으로 정하며, 이들 그립링(5)의 두께(T)는 모두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 제 1특징이 되는 걸림절곡부(3)의 폭(B)을 도 3의 (가)(나)와 같이 그립링(5)만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절곡부(3)의 폭(B)을 그립링(5) 두께(T)의 1.2~2배의 폭으로 형성하고, 도 3의 (다)의 경우에는 그립링(5) 두께와 지지링(8)의 두께를 합친 치수의 1.2~2배의 폭으로 걸림절곡부(3)의 폭(B)을 형성한다.
참고로 도 3은 종래도면의 일부(A부)를 확대도시하여 폭이 넓은 걸림절곡부(3)가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도 "A"부와 동일한 구성을 하되, 걸림절곡부(3)의 폭만 좁으므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도 도 3을 참고하기로 한다.
관연결구의 규격
(내경), 단위 ㎜
그립링 두께(㎜) 걸림절곡부의 폭(B), 단위 ㎜
종래 본 발명
15A~40A 2.0 5.5 2.4~4.0
50A~65A 2.4 6.5 2.88~4.8
80A~150A 3.0 8.5 3.6~6.0
200A~400A 3.0 10 3.6~6.0
표 1은 도 3의 (가)(나)와 같이 그립링(5)만 설치하는 경우로서, 외경이 15mm인 관체(용접이음쇠포함)를 연결하는 관연결구(1)의 경우에 그립링(5)의 두께가 2.0mm인데, 걸림절곡부(3)의 폭을 그립링(5) 두께의 1.2배가 되는 2.4mm에서 2배가 되는 4.0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연결구의 규격 중에서 가장 작은 내경이 15mm(15A)용은, 외경이 15mm인 관체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15mm용 관연결구(1)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그립링(5)의 두께가 2.0mm이므로 걸림절곡부(3)의 폭을 2.0mm로 형성해도 그립링의 외주연이 걸릴 수 있으나, 연결구의 규격이 15A~65A의 관연결구는 1mm 두께의 스테인레스판으로 절곡하여 걸림절곡부(3)를 형성하는데, 1mm 두께의 스테인레스판의 끝단부를 2mm이하로 절곡하는 것은 작업성이 좋지 못하고 강도 면에서도 유리하지 않으므로 최소범위를 1.2배로 형성하여 15mm용 관연결구(1)의 경우에 걸림절곡부의 최소폭을 2.4mm로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걸림절곡부의 최대폭을 2배로 정한 것은, 그립링(5) 두께의 2배가 되는 폭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절곡부(3)에 그립링(5)의 외주연이 충분히 걸리면서 용접이음쇠(21)의 둥글게 만곡된 연결단부가 여유있게 삽입될 수 있고, 그와 더불어 관연결구 케이싱(2)의 강도면에서도 유리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15mm용 관연결구(1)의 경우에 걸림절곡부의 폭이 종래는 5.5mm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2.4~4.0mm로 형성하여 종래보다는 1.0~3.1mm가 감축된 것으로 최대 56.1%가 감축되어 관연결구(1)의 내측으로 용접이음쇠(21)의 둥글게 만곡된 연결단부가 여유 있게 삽입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관연결구의 규격
(내경), 단위 ㎜
그립링두께+
지지링두께(㎜)
걸림절곡부의 폭(B), 단위 ㎜
종래 본 발명
15A~40A 2.0+2.0=4.0 10 4.8~8.0
50A~65A 2.4+2.0=4.4 13 5.28~8.8
80A~150A 3.0+2.5=5.5 20 6.6~11.0
200A~400A 3.0+3.0=6.0 30 7.2~12
표 2는 도 3의 (다)와 같이 그립링(5)과 지지링(8)을 함께 설치하는 경우로서, 외경이 15mm인 관체(용접이음쇠포함)를 연결하는 관연결구(1)의 경우에 그립링(5)과 지지링(8)이 합쳐진 치수두께가 4.0mm인데, 걸림절곡부(3)의 폭을 최소 4.8mm로 형성하여도 합쳐진 치수가 4.0mm인 그립링(5)과 지지링(8)이 충분히 지지되고 걸리게 된다.
그리고, 그립링(5)과 지지링(8)을 함께 설치하는 15mm용 관연결구(1)의 경우에 걸림절곡부(3)의 폭을 최대 8.0mm로 형성하는 경우에도 종래 10mm보다는 2.0mm나 감축되고, 200A 규격의 관연결구의 경우에 걸림절곡부의 폭을 최소 7.2mm로 형성하면 종래의 30mm보다 22.8mm가 감축되어서 관연결구(1)의 내측으로 용접이음쇠(21)의 둥글게 만곡된 연결단부가 여유 있게 삽입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더 깊게 용접이음쇠(21)의 연결단부가 깊숙이 삽입된 상태에서 클램핑볼트(4)를 체결하면 서로 연결하는 직관(20)과 90도 엘보와 같은 용접이음쇠(21)를 안정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둘째가 되는 본 발명의 제2 특징부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이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접이음쇠(21)의 연결단부가 삽입되는 쪽의 고무슬리브(6)의 내주연에는 용접이음쇠(21)의 연결단부가 삽입되어 걸리는 돌기테(9)가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돌기테(9)는 관연결구(1)의 일측 입구로부터 소정의 깊이만큼 들어온 위치에서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돌기테의 전둘레가 관연결구(1)의 일측 입구로부터 전체적으로 동일한 깊이만큼 들어온 위치에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용접이음쇠(21)가 90도 엘보인 경우에 관연결구(1)와 용접이음쇠(21)는 직각을 이루면서 바르게 삽입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세 번째의 간격유지구(10)가 설치되는 것에 대한 설명으로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는 직관(20)과 용접이음쇠(21)를 연결하는 관연결구(1)중에 서로 인접하게 설치되는 관연결구(1)들의 사이에는 서로 연결하는 관연결구(1)간의 사이가 벌어지지 않게 잡아주는 간격유지구(10)가 설치된다.
상기 간격유지구(10)는 철사와이어나 철판밴드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간격유지구(10)의 양단부를 관연결구 케이싱(2)에 설치되어 있는 클램핑볼트(4)에 걸어 설치된다.
도 8의 (가)(나)는 간격유지구(10)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8의 (가)에 도시한 간격유지구(10)는 내주연에 암나사부를 구비한 나사관(12)의 양측에 나사(14)가 각각 체결되고, 이들 양측 나사(14)에는 나사(14)의 머리부가 걸리는 브래킷(13)이 설치되며, 이들 양측 브래킷(13)에는 외측 단부에 고리부(11a)가 구비된 와이어(11)가 연결된 것이다.
그리고, 도 8의 (나)에 도시한 간격유지구(10)는 도 8의 (가)에 도시한 간격유지구(10)의 나사관(12)에 직각방향으로 또 다른 나사(14a)를 체결하고, 그 나사(14a)에는 나사(14a)의 머리부가 걸리는 브래킷(13)이 설치되며, 이들 양측 브래킷(13)에는 외측 단부에 고리부(11a)가 구비된 와이어(11)가 연결된 것이다.
위에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간격유지구(10)에 포함하는 와이어(11)는 철사와이어로 형성되어 플렉시블하나, 이를 철판밴드로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4,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관연결구(1)로써 직관(20)과 90도 엘보형 용접이음쇠(21)나, 또는 티이형 용접이음쇠(22)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관연결구 케이싱(2)의 절개부 상에 체결 설치된 클램핑볼트(4)를 풀어 헤치게 되면, 금속판(스테인레스판)으로 일부가 절개된 관연결구 케이싱(2)이 벌어져서 그렇게 벌어지는 관연결구 케이싱(2) 내측의 고무슬리브(6) 내부로 연결하고자 하는 직관(20)과 용접이음쇠(21,22)의 단부를 삽입시킬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고무슬리브(6)의 내부로 직관(20)과 용접이음쇠(21,22)의 단부를 삽입시킬 때는 관연결구(1)의 양측에서 한쪽으로는 직관(20)을 삽입시키고, 반대쪽으로는 용접이음쇠(21,22)의 단부를 삽입시키면서 직관(20)의 단부와 용접이음쇠(21,22)의 단부가 고무슬리브(6)의 내주연에 내향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테(9)에 밀착되게 삽입시킨다.
상기 돌기테(9)는 고무슬리브(6)의 내주연에 관연결구 케이싱(2)의 외주면과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직관(20)의 단부와 용접이음쇠(21,22)의 단부를 돌기테(9)에 밀착시키게 되면, 서로의 단부는 돌기테(9)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상태에서 직관(20)의 중심선과 용접이음쇠(21,22)의 연결단부 중심선이 일치되게 삽입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관연결구 케이싱(2)의 절개부 양측에 설치된 클램핑볼트(4)를 체결하면, 관연결구 케이싱(2)을 비롯한 보조케이싱(7)과, 그들의 내측에 설치된 고무슬리브(6)와 각각의 그립링(5)과 지지링(8)이 오므려들면서 서로 연결하고자 하는 직관(20)과 용접이음쇠(21,22)을 옥죄어 연결하게 된다.
이렇게 클램핑볼트(4)를 체결하여 직관(20)과 용접이음쇠(21,22)를 연결할 때, 직관(20)과 용접이음쇠(21,22)의 각각의 단부가 서로 동일한 중심선상에서 연결되기 때문에 직관보다는 삽입깊이가 깊지 않게 삽입되는 용접이음쇠(21,22)가 삐딱하지 않고 바르게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용접이음쇠(21,22)의 외주연을 강력하게 클램핑하여 직관(20)과 용접이음쇠(21,22)를 안정되게 연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는 상기 표 1,2 및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걸림절곡부(3)의 폭이 종래의 것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서 용접이음쇠(21,22)의 둥글게 만곡된 연결단부를 관연결구(1)의 내측으로 삽입시킬 때, 걸림절곡부(3)의 폭이 종래의 것보다 대폭 줄어든 만큼 용접이음쇠(21,22)의 내측만곡부(21a)가 걸리지 않아서 용접이음쇠(21,22)의 단부가 관연결구(1)의 내측으로 보다 더 깊숙이 삽입될 수 있게 되며, 이때, 용접이음쇠(21,22)가 직각을 이루며 최대한 깊이 삽입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용접이음쇠(21,22)의 단부가 관연결구(1)의 내측으로 보다 더 깊숙이 삽입됨에 따라 클램핑볼트(4)를 체결하여 직관(20)과 용접이음쇠(21,22)의 연결부를 관연결구(1)로써 클램핑할 때, 용접이음쇠(21,22)의 연결단부가 보다 더 깊숙이 삽입된 상태에서 클램핑됨에 따라 클램핑면적이 확대되어 보다 더 강력하게 용접이음쇠(21,22)의 단부를 클램핑하게 되는 것이다.
그 다음에는 도 6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관연결구(1)를 이용하여 직관(20)과 용접이음쇠(21,22)를 연결한 뒤에, 하나의 관로 상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각각의 관연결구(1)를 간격유지구(10)로 연결 설치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하나의 관로 상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각각의 관연결구(1)를 간격유지구(10)로 연결 설치함에 따라 직관(20)으로 부터 엘보나 티이와 같은 용접이음쇠(21,22)로 유체가 고압으로 흐르면서 90도로 흐름방향이 변경될 때, 엘보나 티이와 같은 용접이음쇠(21,22)의 내부에서 저항이 발생되어 관연결구(1)에서 용접이음쇠(21,22)가 이탈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그런데, 동일한 관로 상에서 인접하게 설치되는 각각의 관연결구(1)가 간격유지구(10)로써 연결됨에 따라 관연결구(1)에서 용접이음쇠(21,22)가 이탈하려는 것을 완벽하게 억제시키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일 사용상태는 인접하게 설치되는 관연결구(1)의 사이를 철판밴드나 철사, 와이어로프와 같은 소재로 제작된 간격유지구(10)로 연결한 것으로, 이는 간격유지구(10)를 최대한 팽팽하게 설치해야 효과적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이 사용상태는 서로 인접하게 설치되는 각각의 관연결구(1) 사이를 연결하는 간격유지구(10)의 가운데에 간격유지구(10)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이 설치되어서 간격유지구(10)를 항상 팽팽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간격유지구(10)는 공지된 턴버클과 동일한 원리로서 양측 와이어(11)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이다.
도 7의 (가)와 도 8의 (가)에 도시된 경우는 90도 방향으로 엘보형 용접이음쇠(21)의 연결부분에 각각 설치되는 관연결구(1)사이를 간격유지구(10)로 연결한 것으로서, 이는 양측 고리부(11a)를 관연결구(1)의 소정위치에 건 상태에서 나사관(12) 양측의 나사(14)를 돌리게 되면, 그 나사(14)를 돌리는 방향에 따라 간격유지구(1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의 (나)와 도 8의 (나)에 도시된 경우는 티이형 용접이음쇠(22)의 연결부분에 설치되는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3개의 관연결구(1)를 간격유지구(10)로써 연결하는 것으로서, 이는 양측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관연결구(1)의 사이에 간격유지구(10)의 수평부분을 1차로 연결한 뒤에 양측 나사(14)를 돌려서 수평방향을 팽팽하게 작용을 조절한다.
그 다음에는 먼저 설치한 나사관(12)에 직각방향으로 체결된 또 다른 나사(14a)를 돌리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와이어(11)가 당겨지면서 "T"자 형태로 설치되는 3개의 관연결구(1)를 당겨주어 티이형 용접이음쇠(22)로 연결하는 관로의 연결부를 안정되게 연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 : 관연결구 2 : 관연결구 케이싱 3 : 걸림절곡부
4 : 클램핑볼트 5 : 그립링 6 : 고무슬리브
7 : 보조케이싱 8 : 지지링 9 : 돌기테
10 : 간격유지구 11 : 와이어 12 : 나사관
13 : 브래킷 14 : 나사 20 : 직관
21,22 : 용접이음쇠

Claims (7)

  1. 관연결구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원통관 형태로 형성되면서 길이방향으로 절개부를 형성한 관연결구 케이싱과, 관연결구 케이싱의 절개부를 커버하게 일측단부가 관연결구 케이싱의 일측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보조케이싱과, 절개부를 클램핑볼트로써 오므리게 관연결구 케이싱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체결수단과, 관연결구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서로 연결되는 관체의 외부면을 감싸는 고무슬리브와, 관연결구 케이싱의 양측 입구에 원추형으로 설치되는 링형태의 그립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2개의 관체를 비용접식으로 연결하는 관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고무슬리브의 내주연에는 관연결구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관체의 연결단부가 접촉되어 걸리는 돌기테가 전둘레 걸쳐서 관연결구 케이싱의 입구로부터 동일한 깊이선상에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관연결구 케이싱과 보조케이싱의 양단부에 내향 절곡되게 형성되는 걸림절곡부의 폭이 그립링 두께의 1.2~2배의 폭으로 절곡 형성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이음쇠 연결용 관연결구.
  2. 관연결구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원통관 형태로 형성되면서 길이방향으로 절개부를 형성한 관연결구 케이싱과, 관연결구 케이싱의 절개부를 커버하게 일측단부가 관연결구 케이싱의 일측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보조케이싱과, 절개부를 클램핑볼트로써 오므리게 관연결구 케이싱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체결수단과, 관연결구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서로 연결되는 관체의 외부면을 감싸는 고무슬리브와, 관연결구 케이싱의 양측 입구에 원추형으로 설치되는 링형태의 그립링과, 그립링의 후방을 지지하는 지지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2개의 관체를 비용접식으로 연결하는 관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고무슬리브의 내주연에는 관연결구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관체의 연결단부가 접촉되어 걸리는 돌기테가 전둘레 걸쳐서 관연결구 케이싱의 입구로부터 동일한 깊이선상에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관연결구 케이싱과 보조케이싱의 양단부에 내향 절곡되게 형성되는 걸림절곡부의 폭이 그립링의 두께와 지지링의 두께를 합한 두께의 1.2~2배의 폭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이음쇠 연결용 관연결구.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연결구중에 서로 인접하게 설치되는 관연결구들의 사이에는 서로 연결하는 관연결구간의 사이가 간격이 벌어지지 않도록 잡아주는 간격유지구를 연결 설치하되, 상기 간격유지구의 양단부는 관연결구 케이싱에 설치되어 있는 클램핑볼트에 걸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이음쇠 연결용 관연결구.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30107068A 2013-07-30 2013-09-06 용접이음쇠 연결용 관연결구 KR101403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516037A JP5994039B1 (ja) 2013-09-06 2014-09-03 溶接継手連結用管コネクタ
EP14842051.6A EP3043100A4 (en) 2013-09-06 2014-09-03 PIPE CONNECTORS FOR CONNECTING WELDING CONNECTIONS
PCT/KR2014/008279 WO2015034267A1 (ko) 2013-09-06 2014-09-03 용접이음쇠 연결용 관연결구
CN201480048960.3A CN105518367A (zh) 2013-09-06 2014-09-03 焊接式接头连接用管连接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0419 2013-07-30
KR1020130090419 2013-07-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3531B1 true KR101403531B1 (ko) 2014-06-03

Family

ID=51131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7068A KR101403531B1 (ko) 2013-07-30 2013-09-06 용접이음쇠 연결용 관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5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6125U (ko) * 1977-04-22 1978-11-17
JPH11257560A (ja) * 1998-01-24 1999-09-21 Rasmussen Gmbh 締め付け可能なパイプカップリング
JP2001032976A (ja) * 1999-07-22 2001-02-06 Shigeru Akagaki 管の連結具
KR20120103885A (ko) * 2011-03-11 2012-09-20 김선회 관 연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6125U (ko) * 1977-04-22 1978-11-17
JPH11257560A (ja) * 1998-01-24 1999-09-21 Rasmussen Gmbh 締め付け可能なパイプカップリング
JP2001032976A (ja) * 1999-07-22 2001-02-06 Shigeru Akagaki 管の連結具
KR20120103885A (ko) * 2011-03-11 2012-09-20 김선회 관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94039B1 (ja) 溶接継手連結用管コネクタ
KR101553914B1 (ko) 사전 위치 설정부를 가진 프로파일 클램프
KR102154466B1 (ko) 체결성과 시공성이 개선된 파이프 조인트
US10487963B2 (en) Clamp assembly and method of clamping
TWI617759B (zh) 耳式夾具
JP2014141995A (ja) フランジ接合部補強治具
JP2014101991A (ja) 管継手用保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管継手
KR102162670B1 (ko) 배관용 파이프 연결장치
US200800546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a removable fluid conduit to an existing fluid conduit
KR100317304B1 (ko) 관이음구
KR20140049653A (ko) 배관 연결장치
KR100968247B1 (ko) 스펙터클 블라인드 밸브
KR101403531B1 (ko) 용접이음쇠 연결용 관연결구
CN109253333A (zh) 一种不锈钢管连接组件
KR20140065794A (ko) 배관용 커플링
WO2020037029A1 (en) Clamp locating system and method
KR20130006352U (ko) 엘보우 단관파이프용 고정지그
CN210484898U (zh) 一种可靠的管件连接结构
GB2452540A (en) A pipe welding method and appratus including a slotted support sleeve
JP5998003B2 (ja) 分岐管接続装置
US20200040560A1 (en) Apparatus for an adjustable p-trap
EP2264348A1 (en) Accessory for quick tube coupling
KR20190034833A (ko) 차량의 라디에이터 호스용 클램프 부재 및 라디에이터 호스용 클램프
KR0128023Y1 (ko) 파이프용 분기관
KR101986249B1 (ko) 정렬 지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