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102B1 - 하수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하수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102B1
KR101068102B1 KR1020110049136A KR20110049136A KR101068102B1 KR 101068102 B1 KR101068102 B1 KR 101068102B1 KR 1020110049136 A KR1020110049136 A KR 1020110049136A KR 20110049136 A KR20110049136 A KR 20110049136A KR 101068102 B1 KR101068102 B1 KR 101068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sealing rubber
end support
mounting groove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9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광수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광수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광수지
Priority to KR1020110049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1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의 이탈이 방지되며, 수밀성을 향상시킨 새로운 형태의 하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합성수지 압출에 의하여 관 형태로 형성되되, 내주면 일측 방향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링 형태의 복수의 제1실링러버 장착홈, 링 형태의 단부 지지부재 장착홈, 링 형태의 복수의 제2실링러버 장착홈이 서로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형성된 연결구 ; 상기 단부 지지부재 장착홈에 장착되도록 링 형태를 가지되 내주 지름이 상기 연결구의 내주 지름보다 작은 단부 지지부재 ; 상기 제1실링러버 장착홈에 장착되도록 링 형태를 가지되, 단면 형태가 상기 제1실링러버 장착홈에 장착되며 외측면 중간부에 제1완충홈이 형성되는 제1장착부와, 상기 제1장착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단부 지지부재를 향하여 경사지게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제1실링 날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실링 러버 ; 상기 제2실링러버 장착홈에 장착되도록 링 형태를 가지되, 단면 형태가 상기 제2실링러버 장착홈에 장착되며 외측면 중간부에 제2완충홈이 형성되는 제2장착부와, 상기 제2장착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단부 지지부재를 향하여 경사지게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제2실링 날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실링 러버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단부 지지부재는 가요성을 가진 합성수지 띠가 링 형태로 휘어지면서 상기 단부 지지부재 장착홈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수관 연결구{CONNECTOR FOR SEWAGE PIPE}
본 발명은 하수관을 서로 연결하는 하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하수관으로서 충진벽관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충진벽관은 삼중관 또는 적층관 등으로 불려지기도 하며, 내벽층과 외벽층, 내벽층과 외벽층 사이의 충진층으로 구성되며, 충진벽관은 내충격성, 내압성, 가격적인 측면 등에서 일반적인 합성수지관에 비하여 유리하다.
본 출원인은 충진벽관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로서, 국내 등록특허 제10-0998599호 "적층관 제조장치"에 관하여 특허등록받은 바 있으며, 이 종래 기술은 본 명세서에 일체화된 것으로 본다.
이와 같은 충진벽관은 매우 강성이 높으며 지반 침하나 점하중에 의한 접합부 단절 현상이 없으며, 중첩되게 접합된 각 층(내벽층, 충진층, 외벽층)은 상호 보완 작용으로 다양한 외부 압력을 관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안정성이 양호하며, 관 자체의 수밀성이 완벽하며, 자재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시공비, 가공비 등의 소요가 적다.
그러나 충진벽관은 일반적인 합성수지관에 비하여 무겁기 때문에 충진벽관을 서로 연결시키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하수관의 연결은, 하수관의 연결 부위를 슬리브 형태의 고무로 감싼 후 이 고무를 강하게 클램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결 방식은 지반 침하에 따라 하수관이 서로 분리될 수 있으며, 아울러 슬리브 형태의 고무를 따라 유체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수관의 이탈이 방지되며, 수밀성을 향상시킨 새로운 형태의 하수관 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합성수지 압출에 의하여 관 형태로 형성되되, 내주면 일측 방향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링 형태의 복수의 제1실링러버 장착홈, 링 형태의 단부 지지부재 장착홈, 링 형태의 복수의 제2실링러버 장착홈이 서로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형성된 연결구 ; 상기 단부 지지부재 장착홈에 장착되도록 링 형태를 가지되 내주 지름이 상기 연결구의 내주 지름보다 작은 단부 지지부재 ; 상기 제1실링러버 장착홈에 장착되도록 링 형태를 가지되, 단면 형태가 상기 제1실링러버 장착홈에 장착되며 외측면 중간부에 제1완충홈이 형성되는 제1장착부와, 상기 제1장착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단부 지지부재를 향하여 경사지게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제1실링 날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실링 러버 ; 상기 제2실링러버 장착홈에 장착되도록 링 형태를 가지되, 단면 형태가 상기 제2실링러버 장착홈에 장착되며 외측면 중간부에 제2완충홈이 형성되는 제2장착부와, 상기 제2장착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단부 지지부재를 향하여 경사지게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제2실링 날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실링 러버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단부 지지부재는 가요성을 가진 합성수지 띠가 링 형태로 휘어지면서 상기 단부 지지부재 장착홈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단부 지지부재를 이루는 합성수지 띠의 내주측 측부에는 쐐기 형태의 다수의 비틀림 방지용 홈이 서로 이격되면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단부 지지부재를 이루는 합성수지 띠에 띠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띠보다 경질인 다수의 형상유지용 핀이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하수관의 이탈이 방지되며, 수밀성을 향상시킨 새로운 형태의 하수관 연결구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인 하수관 연결구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하수관 연결구의 분리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하수관 연결구에 의하여 하수관이 연결된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단부 지지부재의 사시도 및 이를 형성하기 위한 합성수지 띠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인 단부 지지부재의 사시도 및 이를 형성하기 위한 합성수지 띠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3실시예인 단부 지지부재의 사시도 및 이를 형성하기 위한 합성수지 띠의 평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인 하수관 연결구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하수관 연결구의 분리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하수관 연결구에 의하여 하수관이 연결된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단부 지지부재의 사시도 및 이를 형성하기 위한 합성수지 띠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하수관 연결구(10)에 의하여 연결되는 하수관(200)은 합성수지로 제조된 충진벽관을 예시하며, 충진벽관은 3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며, 내벽층, 충진층, 외벽층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하수관 연결구(10)는 연결구(100), 제1실링 러버(110), 단부 지지부재(120), 제2실링 러버(130)로 이루어진다.
연결구(100)는 합성수지(본 실시예의 경우 PE) 압출에 의하여 관 형태로 형성되며, 연결구(100)의 내경은 하수관(10)의 외경보다 크다.
연결구(100)의 일측 단부는 어느 하나의 하수관(10)이 삽입되며, 타측 단부로 다른 하나의 하수관(10)이 삽입된다.
연결구(100)의 내주면에는 여러가지 용도의 링 형태의 장착홈들을 가공하게 된다.
연결구(100)의 내주면 일측 방향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링 형태의 복수의 제1실링러버 장착홈(101), 링 형태의 단부 지지부재 장착홈(102), 링 형태의 복수의 제2실링러버 장착홈(103)이 서로 이격되면서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2실링러버 장착홈(101, 103)은 각각 3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다.
단부 지지부재 장착홈(102)에는 단부 지지부재(120)가 장착된다.
단부 지지부재(120)는 링 형태로 형성되되 그 내주 지름이 연결구(100)의 내주 지름보다 작다.
단부 지지부재(120)는 연결구(100)에 삽입된 하수관(200)의 일측 단부를 특정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하수관(200)의 일측 단부가 연결구(100)의 일측으로 삽입되어 단부 지지부재(120)의 일측면과 접하게 된다.
아울러 다른 하수관(200)의 타측 단부가 연결구(100)의 타측으로 삽입되어 단부 지지부재(120)의 타측면과 접하게 된다.
단부 지지부재(120)는 연결구(100)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매우 크게 돌출될 뿐만 아니라 하수관(200)의 단부와 접하면서 이를 지지하여야 하므로 비교적 경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되어야 한다. 따라서 단부 지지부재(120)가 완전한 링 형태로 제작될 경우 이를 장착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단부 지지부재(120)는 가요성을 가진 합성수지(본 실시예의 경우 PE) 띠(120')(도 4의 상부 도면 참조)가 제작된 후 합성수지 띠(120')를 단부 지지부재 장착홈(102)에 장착하면서 링 형태로 휘게 된 것(도 4의 하부 도면 참조)이다.
제1,2실링러버 장착홈(101, 103) 각각에는 제1,2실링 러버(110, 130, sealing rubber)가 장착된다.
제1,2실링 러버(110, 130)는 링 형태를 가지며, 제1, 2실링 러버(110, 130)는 제1,2장착부(111, 131)와 복수의 제1,2실링 날개(112, 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2장착부(111, 131)의 단면 형태는 제1,2실링러버 장착홈(101, 103)에 장착되는 형태이며, 그 외측면 중간부에 제1,2완충홈(111a, 131a)이 형성되어 있다.
제1,2실링 날개(112, 132)의 단면 형태는 제1,2장착부(111, 131)의 내측면으로부터 단부 지지부재(1120)를 향하여 경사지게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복수가 형성된다.
제1,2완충홈(111a, 131a)은 하수관(200)이 연결구(100)에 삽입될 때 제1,2장착부(111, 131)의 유연한 형태 변형이 되도록 하고 이에 의하여 제1,2실링 날개(112, 132)의 형태와 자세가 용이하게 변경되도록 하여, 하수관(200)이 쉽게 연결구(100)에 삽입되도록 하는 한편, 하수관(200)이 삽입된 후에는 제1,2장착부(111, 131)가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제1,2실링 날개(112, 132)가 하수관(200)의 외주면에 강력하게 밀착되어 하수관(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편 향상된 수밀 기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1, 2실링 러버(110, 130)는 다수가 마련되어 하수관(200)의 이탈 방지 기능과 수밀 기능을 완벽히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실시예는 단부 지지부재(120)만이 제1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인 단부 지지부재의 사시도 및 이를 형성하기 위한 합성수지 띠의 평면도이다.
제1실시예의 단부 지지부재(120)는 합성수지 띠(120')가 링 형태로 휘어진 것이므로, 단부 지지부재(120)의 내주측에는 압축 응력으로 인하여 비틀림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단부 지지부재(120)의 비틀림은, 단부 지지부재(120)와 하수관(200) 사이에 비교적 큰 간격(혹은 유격)을 형성하며, 이 간격은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집적되는 장소가 될 수 있다. 또한 이 간격에 이물질이 집적될수록 이 간격은 점차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서는 합성수지 띠(120')의 내주측 측부에 서로 이격된 다수의 비틀림 방지용 홈(121)을 형성하였다.
비틀림 방지용 홈(121)은 쐐기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비틀림 방지용 홈(121)은 합성수지 띠(120')가 링 형태로 휘어질 때 그 내주측에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아울러 합성수지 띠(120')가 링 형태로 휘어지면서 비틀림 방지용 홈(121)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단부 지지부재(120)에는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단부 지지부재(120)와 하수관(200)은 서로 밀착되어 간격 발생이 최소화된다.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실시예는 단부 지지부재(120)만이 제1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3실시예인 단부 지지부재의 사시도 및 이를 형성하기 위한 합성수지 띠의 평면도이다.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경우 합성수지 띠(120')는 링 형태로 휘어질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가져야 한다.
이와 같이 유연성을 가진 단부 지지부재(120)가 하수관(200)에 심하게 부딪힐 경우 그 형태가 변형되면서 단부 지지부재 장착홈(102)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합성수지 띠(120')에 띠(120')보다 경질인 형상유지용 핀(122)들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형상유지용 핀(122)은 서로 이격되어 마련된다.
형상유지용 핀(122)은 경질 플라스틱이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형상유지용 핀(122)은 띠(12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합성수지 띠(120')를 링 형태로 휠 때 아무런 방해가 되지 않는다.
아울러 띠(12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된 형상유지용 핀(122)은 링 형태를 이루는 단부 지지부재(120)에서 방사상 형태로 배치된다.
형상유지용 핀(122)은 단부 지지부재(120)의 전체적인 링 형태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여, 단부 지지부재(120)가 하수관(200)에 부딪히는 경우에도 단부 지지부재(120)가 단부 지지부재 장착홈(10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하수관 연결구
100 : 연결구 101 : 제1실링러버 장착홈
102 : 단부 지지부재 장착홈 103 : 제1실링러버 장착홈
110 : 제1실링 러버 111 : 제1장착부
111a : 제1완충홈 112 : 제1실링 날개
120 : 단부 지지부재 120' : 합성수지 띠
121 : 비틀림 방지용 홈 122 : 형상유지용 핀
130 : 제2실링 러버 131 : 제2장착부
131a : 제2완충홈 132 : 제2실링 날개
200 : 하수관

Claims (3)

  1. 합성수지 압출에 의하여 관 형태로 형성되되, 내주면 일측 방향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링 형태의 복수의 제1실링러버 장착홈, 링 형태의 단부 지지부재 장착홈, 링 형태의 복수의 제2실링러버 장착홈이 서로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형성된 연결구 ;
    상기 단부 지지부재 장착홈에 장착되도록 링 형태를 가지되 내주 지름이 상기 연결구의 내주 지름보다 작은 단부 지지부재 ;
    상기 제1실링러버 장착홈에 장착되도록 링 형태를 가지되, 단면 형태가 상기 제1실링러버 장착홈에 장착되며 외측면 중간부에 제1완충홈이 형성되는 제1장착부와, 상기 제1장착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단부 지지부재를 향하여 경사지게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제1실링 날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실링 러버 ;
    상기 제2실링러버 장착홈에 장착되도록 링 형태를 가지되, 단면 형태가 상기 제2실링러버 장착홈에 장착되며 외측면 중간부에 제2완충홈이 형성되는 제2장착부와, 상기 제2장착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단부 지지부재를 향하여 경사지게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제2실링 날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실링 러버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단부 지지부재는 가요성을 가진 합성수지 띠가 링 형태로 휘어지면서 상기 단부 지지부재 장착홈에 장착된 것이며,
    상기 단부 지지부재를 이루는 합성수지 띠의 내주측 측부에는 쐐기 형태의 다수의 비틀림 방지용 홈이 서로 이격되면서 형성되며,
    상기 단부 지지부재를 이루는 합성수지 띠에 띠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띠보다 경질인 다수의 형상유지용 핀이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구.
  2. 삭제
  3. 삭제
KR1020110049136A 2011-05-24 2011-05-24 하수관 연결구 KR101068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136A KR101068102B1 (ko) 2011-05-24 2011-05-24 하수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136A KR101068102B1 (ko) 2011-05-24 2011-05-24 하수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8102B1 true KR101068102B1 (ko) 2011-09-28

Family

ID=44957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9136A KR101068102B1 (ko) 2011-05-24 2011-05-24 하수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1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3934A (ko) * 2012-09-19 2015-05-19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구동 장치, 특히 전자 액추에이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328Y1 (ko) * 2001-01-19 2001-06-15 신재현 스프링 강대가 내장된 관 연결용 고무패킹
KR20070001191U (ko) * 2007-01-25 2007-11-21 한국주철관공업주식회사 파이프의 연결구
JP4017509B2 (ja) * 2002-12-02 2007-12-05 ペガサスミシン製造株式会社 ミシン用ガスケット及びそれを使用したミシン
KR20080073726A (ko) * 2005-11-03 2008-08-11 슈빙 게엠베하 실링 링을 가진 파이프라인 커플링 및 농후 물체의 송출용파이프라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328Y1 (ko) * 2001-01-19 2001-06-15 신재현 스프링 강대가 내장된 관 연결용 고무패킹
JP4017509B2 (ja) * 2002-12-02 2007-12-05 ペガサスミシン製造株式会社 ミシン用ガスケット及びそれを使用したミシン
KR20080073726A (ko) * 2005-11-03 2008-08-11 슈빙 게엠베하 실링 링을 가진 파이프라인 커플링 및 농후 물체의 송출용파이프라인 시스템
KR20070001191U (ko) * 2007-01-25 2007-11-21 한국주철관공업주식회사 파이프의 연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3934A (ko) * 2012-09-19 2015-05-19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구동 장치, 특히 전자 액추에이터
KR102036857B1 (ko) * 2012-09-19 2019-10-25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구동 장치, 특히 전자 액추에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08969A1 (en) Sealing assembly for hose connector
DK2702306T3 (en) fluid seal
US9810359B2 (en) Pipe coupling
JP6256117B2 (ja) 密封装置
JP2011002012A (ja) 管継手部構造
EP3636976B1 (en) Pipe coupler having function of covering pipe
KR101274094B1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CN109058610B (zh) 一种pvc管件
JP6289122B2 (ja) 離脱防止管継手
KR101068102B1 (ko) 하수관 연결구
KR20110116920A (ko) 수밀용 패킹
KR101068101B1 (ko) 연결구 일체형 충진벽관
KR101391930B1 (ko) 나선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20180129145A (ko) 배관 밀봉용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 조립체
CA2953930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low profile seal
KR101081549B1 (ko) Frp 파이프 연결관 조립체
KR101328191B1 (ko) 관 연결구
JP5989369B2 (ja) 可撓性管継手
US11112038B2 (en) Pipe-fitting
JP6427686B2 (ja) 二重ホース
JP6742709B2 (ja) 伸縮管継手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6583957B2 (ja) 管体の離脱防止機構
CN218818747U (zh) 一种二通连接管
JP4106694B2 (ja) 可撓性継手のリブ付管用締付けリング構造
EP3412950A1 (en) Marine ho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