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9145A - 배관 밀봉용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 조립체 - Google Patents

배관 밀봉용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9145A
KR20180129145A KR1020170064723A KR20170064723A KR20180129145A KR 20180129145 A KR20180129145 A KR 20180129145A KR 1020170064723 A KR1020170064723 A KR 1020170064723A KR 20170064723 A KR20170064723 A KR 20170064723A KR 20180129145 A KR20180129145 A KR 20180129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ody portion
sealing
filler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태
이혜정
이일행
Original Assignee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4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9145A/ko
Publication of KR20180129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1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16L17/025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the sealing rings having radially directed ri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 F16J15/02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 F16J15/024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the packing being locally weakened in order to increase elasticity
    • F16J15/025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the packing being locally weakened in order to increase elasticity and with at least one flexible l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몸체부 전방부의 지지력이 증가되도록 하여 배관의 삽입시 과도한 변형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되는 배관의 둘레 증가도 최소화할 수 있는 배관 밀봉용 충전재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밀봉용 충전재는 배관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공되고, 중앙부가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는 립부; 및 상기 몸체부의 전방부에 제공되고, 상기 몸체부보다 고강도인 이종소재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삽입되는 배관의 외주면에 지지되며 변형을 방지하는 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 밀봉용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 조립체 {PACKING FOR PIPE SEALING AND PIPE ASSEMBL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관 밀봉용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배관의 연결시 틈새를 밀봉하는데 활용되는 배관 밀봉용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은 물, 기름, 상/하수, 화학약품 등과 같은 각종 유체를 연속적으로 목적지까지 이송하기 위한 설비로 배관이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배관은 사용되는 목적이나, 설치 환경 등에 적합한 다양한 소재로 제조되고 있으며, 일례로 금속이나, 콘크리트, 합성수지 재질의 배관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관 중 금속 재질의 배관은 고가의 소재 비용으로 생산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그 무게가 무거워 보관과 운반이 어렵고, 연결 등의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금속 재질의 배관은 운용하는 유체가 화학약품일 경우, 부식 등의 우려가 있어 사용에 제한이 있으며, 이에 따라 금속 재질의 배관을 대체하기 위해 합성수지 등의 비금속소재의 배관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배관은 일정한 길이로 제공되며, 이들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 배관의 연결부를 용접하거나, 밀봉 패킹재를 이용하여 틈새를 밀봉하는 연결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관 밀봉용 충전재가 설치된 배관 연결부 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2와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관의 이음 연결시 배관 밀봉용 충전재가 변형되는 상태를 도시한 배관 연결부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배관 연결부 조립체는 인접하는 배관 및 이들 배관을 연결하는 구조로서, 배관 및 배관 사이의 틈을 밀봉하는 배관 밀봉용 충전재(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배관 밀봉용 충전재(30)는 제1배관(10)과, 제1배관(1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연결 이음되는 제2배관(20) 사이의 틈을 밀봉하는데 활용된다.
제1배관(10)에는 배관 밀봉용 충전재(30)가 수용되도록 외측으로 볼록한 수용홈(12)이 형성된다.
배관 밀봉용 충전재(30)는 이 수용홈(12)에 삽입된 상태이며, 제2배관(20)이 제1배관(10)의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제2배관(20)과 밀착되며 틈새를 밀봉한다.
배관 밀봉용 충전재(30)는 제1배관(10)과 제2배관(20) 사이에 삽입되도록 전체적으로 링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부(32)를 포함한다. 몸체부(32)의 전방부(32a)와 후방부(32b)는 얇고 중앙부는 외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된다. 몸체부(32)는 볼록한 최고지점의 위치가 중앙에서 후방으로 치우치게 형성된다.
또한, 몸체부(32)는 중앙부 내측에 제2배관(20)의 삽입시 변형되며 밀착되는 립부(34)가 형성된다. 립부(34)는 몸체부(32)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고, 단면적이 감소되며 내측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배관 밀봉용 충전재(30)는 제1배관(10)의 수용홈(12)에 삽입된 상태로 제공되고, 제2배관(20)이 삽입됨에 따라 립부(34)가 변형 가압되며 제1배관(10)과 제2배관(20) 사이를 밀봉한다.
그런데, 종래의 배관 밀봉용 충전재(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배관(20)이 제1방향(X1)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립부(34)가 변형되며 몸체부(32)의 전방부(32a)가 제2배관(20)에 밀착되고, 이때 전방부(32a)의 지지력이 높지 않아서 몸체부(32)의 전방부(32a)가 P1과 같이 발생하는 힘에 의해 변형되며 제2배관(20)과 함께 끌려들어갈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배관 밀봉용 충전재(30)는 도 3과 같이, 제2배관(20)이 후퇴 유동하거나 배관 내부에 역방향 유압이 발생하는 과정에서 제2방향(X2), 즉 제1배관(10)의 전방쪽으로 밀리며 몸체부(32)의 전방부(32a)가 압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방부(32a)가 P2과 같이 발생하는 힘에 의해 변형되어 배관 밀봉용 충전재(30)가 이탈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다.
한편, 종래의 배관 밀봉용 충전재(30)는 몸체부(32) 전방부의 지지력 증가를 위해 두께를 증가시키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제1배관(10)에서 배관 밀봉용 충전재(30)가 수용되는 수용홈(12)의 돌출된 크기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1배관(10)의 수용홈(12)이 돌출된 크기가 증가할 경우, 전체적인 제1배관(10)의 강도를 감소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으며,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다. 더욱이 종래에는 제1배관(10)의 수용홈(12)으로 인해 둘레가 증가되어 보관이나 설치에도 어려움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몸체부 전방부의 지지력이 증가되도록 하여 배관의 삽입시 과도한 변형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되는 배관의 둘레 증가도 최소화할 수 있는 배관 밀봉용 충전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밀봉용 충전재는 배관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공되고, 중앙부가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는 립부; 및 상기 몸체부의 전방부에 제공되고, 상기 몸체부보다 고강도인 이종소재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삽입되는 배관의 외주면에 지지되며 변형을 방지하는 팁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팁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방부에 접착재를 매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팁부 또는 상기 몸체부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한 쪽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팁부 또는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돌출부재가 삽입되며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 및 상기 립부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는 고무부재, 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팁부는 합성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는 PVC, PP, PE,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후방부에 제공되고, 상기 몸체부보다 고강도인 이종소재로 형성되는 보조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조립체는 적어도 일단부에 확장된 연결부를 갖고, 연결부의 일측에 외측으로 볼록한 수용홈이 형성되는 제1배관; 상기 제1배관의 연결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2배관; 및 상기 제1배관의 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배관과 제2배관 사이의 틈을 밀봉하는 전술된 밀봉용 충전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밀봉용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 조립체는 배관의 틈새를 안정적으로 밀봉할 수 있고, 배관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배관의 유동이나 유체의 역류 등에 의해 발생하는 변형에 의해 손상이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배관 밀봉용 충전재의 높이 및 배관 밀봉용 충전재가 삽입되는 배관의 수용홈 높이를 낮출 수 있어 배관의 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체적인 둘레를 작게 형성할 수 있어 보관이나 설치에도 용이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관 밀봉용 충전재가 설치된 배관 연결부 조립체의 단면도.
도 2와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관의 이음 연결시 배관 밀봉용 충전재가 변형되는 상태를 도시한 배관 연결부 조립체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밀봉용 충전재가 설치된 배관 연결부 조립체의 일부 절결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밀봉용 충전재가 설치된 배관 연결부 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밀봉용 충전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이음 연결시 배관 밀봉용 충전재가 변형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의 (a)와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밀봉용 충전재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밀봉용 충전재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편의상 특정 용어를 본원에 정의한다. 본원에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사용된 과학 용어 및 기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질 것이다. 또한, 문맥상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며, 복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단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밀봉용 충전재가 설치된 배관 연결부 조립체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밀봉용 충전재가 설치된 배관 연결부 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밀봉용 충전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밀봉용 충전재(130)를 설명하도록 한다.
배관들은 사용환경이나 현장상황 등에 따라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인접하는 배관들, 즉 제1배관(110)과 제2배관(120) 및 이들 배관(110, 120)들을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해서 배관(110, 120) 사이를 밀봉하는데 사용되는 배관 밀봉용 충전재(130) 등을 포함하는 결합구조를 배관 연결부 조립체(100)라 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관 연결부 조립체(100)는 적어도 일단부에 확장된 연결부(111)를 갖는 제1배관(110)과, 제1배관(110)의 연결부(111)에 삽입되며 연결 이음되는 제2배관(1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배관(110)과 제2배관(120) 사이에는 배관 밀봉용 충전재(130)가 삽입되어 틈새를 밀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배관(110)의 연결부 일측에는 배관 밀봉용 충전재(130)가 수용될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볼록한 수용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배관 밀봉용 충전재(130)는 배관과 대응하는 형상, 일례로 원형 배관이 사용될 경우, 이와 대응하는 원형 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관 밀봉용 충전재(130)는 제1배관(110)의 수용홈(112)에 삽입되는 몸체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32)는 수용홈(112)에 밀착될 수 있도록 중앙부가 외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132)는 볼록한 중앙부는 중심위치에서 후방으로 치우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32)의 내측 하부에는 제2배관(120)의 둘레에 밀착되는 립부(134)가 형성될 수 있다.
립부(134)는 제2배관(120)이 연결되는 과정에서 삽입될 때, 제2배관(12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가압 변형될 수 있다.
립부(134)는 몸체부(132)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립부(134)는 몸체부(132)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제2배관(120)의 외주면에 가압 변형되며 밀착될 수 있도록 단면적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립부(134)는 전방부, 즉 제2배관(120)이 삽입되며 접촉되는 부분은 쉽게 변형이 일어날 수 있도록 다수의 단차를 가지며 단면적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립부(134)의 후방부는 제2배관(120)의 삽입에 의해 꺾임이 가능하도록 몸체부(132)와 연결되는 부분의 단면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배관 밀봉용 충전재(130)는 제2배관(120)의 삽입시 립부(134)가 접촉하게 되며, 립부(134)의 전방부는 팽창하는 형태로 변형되고, 립부(134)의 후방부는 몸체부(132)와 연결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꺾이면서 제2배관(120)의 외주면에 밀착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배관 밀봉용 충전재(130)는 몸체부(132)의 전방부에 팁부(136)가 제공될 수 있다. 팁부(136)는 몸체부(132)보다 강도가 높은 이종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몸체부(132) 및 립부(13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소정의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32) 및 립부(134)는 제1배관(110)과 제2배관(120)에 접촉되고, 이 과정에서 탄성 변형이 일어나며 제1배관(110)과 제2배관(120) 사이의 틈을 완전하게 밀봉할 수 있다.
탄성부재는 고무부재, 우레탄 등과 같이 소정의 탄성을 가지면서, 복원성이 우수한 소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팁부(136)는 몸체부(132) 및 립부(134)보다 강도가 높은 이종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팁부(136)는 몸체부(132)의 굴곡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몸체부(132)와 연결되는 부분이 단차없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팁부(136)는 합성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합성수지는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폴리프로필렌(PP; Poly Propylene), 폴리에틸렌(PE; Poly Ethylene),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 등의 강도가 높은 고분자 합성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배관 밀봉용 충전재(130)는 제2배관(120)이 제1배관(11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몸체부(132) 전방부에 제공된 팁부(136)가 제2배관(120)의 외주면에 접촉되며 지지됨에 따라 제2배관(120)과 함께 끌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관 밀봉용 충전재(130)는 제2배관(120)이 제1배관(110)에 삽입되어 연결된 상태에서, 제2배관(120)이 후퇴 유동하거나 역방향 유압이 발생하는 과정에서 팁부(136)가 제1배관(110)의 수용홈(112) 내측면에 지지되어 몸체부(132)가 과도하게 압축되며 수용홈(112)으로부터 이탈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팁부(136)는 일측에 다수의 슬릿(136a)이 형성될 수 있다. 팁부(136)는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배관 밀봉용 충전재(130)가 제1배관(110)의 수용홈(11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변형이 발생하면 휘어지거나 부러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릿(136a)은 배관 밀봉용 충전재(130)가 수용홈(112)에 삽입되기 위해 변형되는 과정에서 변형을 흡수하는 기능을 가지며, 이를 이용하여 배관 밀봉용 충전재(130)를 변형이나 파손없이 수용홈(112)에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슬릿(136a)은 팁부(136)의 둘레에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고, 일부분에는 다수의 슬릿(136a)이 인접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된 팁부(136)는 몸체부(132)의 전방부에 이중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 또는 접착재를 매개로 결합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배관 밀봉용 충전재(130)는 팁부(136)에 의해 몸체부(132)의 과도한 압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몸체부(132)의 볼록한 높이를 낮추더라도 밀봉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배관 밀봉용 충전재(130)의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이와 대응하는 수용홈(112)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수용홈(112)은, 제1배관(110)을 소성가공하여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한 것으로, 수용홈(112)의 높이를 낮추게 되면 수용홈(112) 부분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이음 연결시 배관 밀봉용 충전재가 변형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배관 밀봉용 충전재(130)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부 조립체(100)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단부에 확장된 연결부(111)를 갖는 제1배관(110)과, 제1배관(110)의 연결부(111)에 삽입되며 이음 연결되는 제2배관(120)을 준비한다.
제1배관(110)은 연결부(111)의 일측에 수용홈(112)이 형성되고, 이 수용홈(112)에는 배관 밀봉용 충전재(130)가 삽입된다.
한편, 제1배관(110)과 제2배관(120)을 연결 이음하기 위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배관(110)의 연결부(111) 전방(일례로, 도면의 왼쪽 방향)에 제2배관(120)을 위치시키고 제2배관(120)을 연결부(111) 내측, 즉 X3 방향으로 밀어 넣는다.
제2배관(120)은 제1배관(110)의 연결부(111)에 삽입되며 배관 밀봉용 충전재(130)의 립부(134)를 밀게 된다. 립부(134)는 제2배관(120)의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변형이 이루어진다.
이때, 립부(134)는 제2배관(120)의 삽입방향(X3방향)으로 끌려가며 변형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몸체부(132) 전방부에 제공된 팁부(136)가 제2배관(120)의 외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팁부(136)는 몸체부(132) 및 립부(134)보다 강도가 높은 소재로, 변형없이 제2배관(120)에 밀착되며 지지된다. 즉, 팁부(136)는 립부(134)가 제2배관(120)과 밀착되며 끌려감에 따라 P3와 같은 압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압력은 팁부(136)가 제2배관(120)의 외주면에 지지됨에 따라 몸체부(132)로 전달되는 압력이 최소화되며, 따라서 몸체부(132)의 변형량이 최소화된다.
상기한 과정에 의해 제1배관(110)과 제2배관(120)은 연결 이음이 완료된다.
한편, 도 8을 참고하면, 배관은 사용하는 과정에서 제1배관(110) 또는 제2배관(120)에 다소의 유동이 발생할 수 있고, 제1배관(110)과 제2배관(120)을 통과하는 유체가 역방향으로 흐르는 유압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배관(120)이 제1배관(110)에 대해 후퇴 유동하거나, 역방향 유압이 발생하면 배관 밀봉용 충전재(130)가 제1배관(110)의 전방측(즉, X4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이때, 배관 밀봉용 충전재(130)는 팁부(136)가 변형없이 제1배관(110)의 내측면, 즉 수용홈(112)에 밀착되며 지지된다.
따라서, 배관 밀봉용 충전재(130)는 제2배관(120)이 후퇴 유동하거나 역방향 유압이 발생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힘(P2)에 의해 팁부(136)의 변형은 최소화되며, 이에 따라 배관 밀봉용 충전재(130)가 수용홈(11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과도한 변형 등에 의한 손상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배관 밀봉용 충전재(130)는 팁부(136)가 몸체부(132)의 전방부에 이중사출, 용접 또는 접착제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팁부(136)와 몸체부(132)의 결합수단은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9의 (a)와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밀봉용 충전재의 단면도이다.
도 9의 (a)와 (b)를 참고하면, 배관 밀봉용 충전재(230)는 제1배관(110)과 제2배관(120) 사이에 삽입되어 틈새를 밀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배관 밀봉용 충전재(230)는 몸체부(232)와, 이 몸체부(232)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2배관(12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립부(234)를 포함하며, 몸체부(232)의 전방부에 결합되는 팁부(236)을 포함할 수 있다.
팁부(236)와 몸체부(232)는 다양한 결합구조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일례로, 팁부(236) 또는 몸체부(232)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한 쪽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재(23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팁부(236) 또는 몸체부(232)에는 돌출부재(237)가 삽입되며 고정되는 고정홈(23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팁부(236)에는 도 9의 (a)와 같이, 몸체부(232)를 향하여 돌출부재(237)가 형성될 수 있고, 몸체부(232)에는 이 돌출부재(237)가 삽입되며 고정되는 고정홈(23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재(233')는 도 9의 (b)와 같이, 몸체부(232)에서 팁부(236)를 향하여 형성될 수 있고, 팁부(236)에는 돌출부재(233')가 삽입되며 고정되는 고정홈(237')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팁부(236) 및 몸체부(232) 모두에는 각각을 향하여 돌출부재(233', 237)가 형성될 수 있고, 이와 대향되는 몸체부(232)와 팁부(236)에는 각각의 돌출부재(233', 237)가 삽입되며 고정홈(233, 237')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재(233', 237)는 원주형 돌기로 형성될 수 있고, 다수로 분할되어 형성되거나, 다수의 핀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배관 밀봉용 충전재(130, 230)는 몸체부(132, 232)의 전방에 팁부(136, 236)가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배관 밀봉용 충전재(130, 230)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밀봉용 충전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배관 밀봉용 충전재(330)는 몸체부(332) 및 이 몸체부(332)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립부(33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332)의 전방에 몸체부(332)보다 강도가 높은 이종소재의 팁부(336)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배관 밀봉용 충전재(330)는 몸체부(332)의 후방에 몸체부(332)보다 강도가 높은 이종소재의 보조팁부(338)가 더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보조팁부(338)는 몸체부(332) 전방에 제공되는 팁부(336)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팁부(338)는 제2배관(120)이 제1배관(11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몸체부(132) 후방을 지지할 수 있다. 보조팁부(338)는 제2배관(120)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1배관(110)의 수용홈(112) 내측에 변형없이 지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관 밀봉용 충전재(330)의 몸체부(332) 후방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배관 연결부 조립체 110: 제1배관
111: 연결부 112: 수용홈
120: 제2배관 130: 배관 밀봉용 충전재
132: 몸체부 134: 립부
136: 팁부

Claims (9)

  1. 배관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공되고, 중앙부가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측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립부; 및
    상기 몸체부의 전방부에 제공되고, 상기 몸체부보다 고강도인 이종소재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삽입되는 배관의 외주면에 지지되며 변형을 방지하는 팁부;
    를 포함하는 배관 밀봉용 충전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팁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방부에 이중사출, 용접 또는 접착재를 매개로 결합되는 배관 밀봉용 충전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팁부 또는 상기 몸체부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한 쪽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팁부 또는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돌출부재가 삽입되며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배관 밀봉용 충전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및 상기 립부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배관 밀봉용 충전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고무부재, 우레탄을 포함하는 배관 밀봉용 충전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팁부는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배관 밀봉용 충전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PVC, PP, PE,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배관 밀봉용 충전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후방부에 제공되고, 상기 몸체부보다 고강도인 이종소재로 형성되는 보조팁부를 더 포함하는 배관 밀봉용 충전재.
  9. 적어도 일단부에 확장된 연결부를 갖고, 연결부의 일측에 외측으로 볼록한 수용홈이 형성되는 제1배관;
    상기 제1배관의 연결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2배관; 및
    상기 제1배관의 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배관과 제2배관 사이의 틈을 밀봉하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관 밀봉용 충전재;
    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 조립체.
KR1020170064723A 2017-05-25 2017-05-25 배관 밀봉용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 조립체 KR201801291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723A KR20180129145A (ko) 2017-05-25 2017-05-25 배관 밀봉용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723A KR20180129145A (ko) 2017-05-25 2017-05-25 배관 밀봉용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145A true KR20180129145A (ko) 2018-12-05

Family

ID=64744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723A KR20180129145A (ko) 2017-05-25 2017-05-25 배관 밀봉용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914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7705A (zh) * 2019-06-06 2019-08-09 泰州市百冠泵阀科技有限公司 一种闸阀阀座及应用其的刀型闸阀
KR20200073743A (ko) * 2018-12-14 2020-06-24 이종태 파이프의 고정용 실링부재 및 이를 구비한 파이프 커넥터
KR102273397B1 (ko) * 2020-07-07 2021-07-06 (주) 삼정디씨피 상하수도관의 연결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743A (ko) * 2018-12-14 2020-06-24 이종태 파이프의 고정용 실링부재 및 이를 구비한 파이프 커넥터
CN110107705A (zh) * 2019-06-06 2019-08-09 泰州市百冠泵阀科技有限公司 一种闸阀阀座及应用其的刀型闸阀
CN110107705B (zh) * 2019-06-06 2024-04-09 泰州市百冠泵阀科技有限公司 一种闸阀阀座及应用其的刀型闸阀
KR102273397B1 (ko) * 2020-07-07 2021-07-06 (주) 삼정디씨피 상하수도관의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28522A1 (en) Seismic conduit joint connector
US20170363236A1 (en) Hoses and hose adaptors
ES2265919T3 (es) Junta bivalente de baja resistencia a la insercion.
KR20180129145A (ko) 배관 밀봉용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 조립체
KR101868756B1 (ko) 지관 연결장치
US20130181436A1 (en) Sealing and Filling Flange Ring for Injection Joints
KR20190136677A (ko) 신축성 이음부를 포함하는 배관
CN114651145A (zh) 用于低压和无压应用的轻质密封垫圈
KR102028180B1 (ko) 파이프 구조체
KR101274094B1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US9982817B2 (en) Separation preventive pipe joint and pipeline constituent member
KR20080097617A (ko) 실링 및 그 실링을 이용한 파이프 연결소켓
KR20120006296A (ko) 소켓 일체형 합성수지 관의 연결구조
CN212107315U (zh) 柔性密封自锁承插聚氯乙烯实壁管
KR100903719B1 (ko) 파이프 연결관과 그 제조방법
KR101144277B1 (ko) 파이프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EP2848851A1 (en) Flange and flanged system for joining pipes
CN110462271B (zh) 管连接用接头
KR200424711Y1 (ko) 윤활제 저장부를 구비하는 실링재
KR101391336B1 (ko) 관 연결구조
KR200458177Y1 (ko) 하수관 파이프
KR101555584B1 (ko) 리버스 배관 연결방법
KR101137648B1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200197244Y1 (ko) 관 연결용 커넥터
KR20130075098A (ko) 나사조임식 이음관용 고무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이음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