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177Y1 - 하수관 파이프 - Google Patents

하수관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177Y1
KR200458177Y1 KR2020110001898U KR20110001898U KR200458177Y1 KR 200458177 Y1 KR200458177 Y1 KR 200458177Y1 KR 2020110001898 U KR2020110001898 U KR 2020110001898U KR 20110001898 U KR20110001898 U KR 20110001898U KR 200458177 Y1 KR200458177 Y1 KR 2004581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packing
sewage pipe
socket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8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주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호폴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호폴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호폴리텍
Priority to KR20201100018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1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1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1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3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placed around the spigot end before conn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기밀성을 유지하면서도 간단한 시공에 의하여 연결이 가능한 하수관 파이프가 제공된다. 상기 하수관 파이프는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몸체부, 다수의 환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일단의 내측 및 외측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패킹부, 상기 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상기 중공보다 직경이 더 큰 중공을 포함하는 소켓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수관 파이프{A sewage pipe}
본 발명은 하수관 파이프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단에 패킹부를 포함하는 하수관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삽입식의 연결방법으로 하수관 파이프를 연결하는 경우, 제1 하수관 파이프를 제2 하수관 파이프에 삽입하고 연결부분에 스테인레스나 플라스틱 밴드를 이용하여 한바퀴 감는다. 그리고, 볼트와 너트 및 나사를 이용하여 연결부분을 조임으로써 복수의 하수관 파이프를 연결하여 고정시킨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려면 연결부분을 조이기 위하여 별도의 연결부재가 필요하기 때문에 시공이 복잡해질 수 있다. 또한, 연결부분의 조임이 약해지는 경우, 누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하수관을 간단한 시공에 의하여 연결하면서도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하수관 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파이프는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몸체부, 다수의 환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일단의 내측 및 외측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패킹부, 상기 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상기 중공보다 직경이 더 큰 중공을 포함하는 소켓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파이프를 이용하면, 하수관 파이프 간의 삽입으로만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하수관을 연결할 수 있다. 즉, 간단한 시공에 의하여 하수관 파이프를 연결하면서도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파이프를 이용하면, 연결부재를 이용하는 경우에 연결부분의 조임이 약해지더라도, 패킹부에 의해 하수관 파이프 간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파이프를 이용하면, 제1 하수관 파이프에 제2 하수관 파이프를 삽입하는 경우, 제2 하수관 파이프의 패킹부가 벗겨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하수관 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하수관 파이프를 결합하였을 때, 복수의 하수관 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하수관 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하수관 파이프를 결합하였을 때, 하수관 파이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파이프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파이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파이프의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하수관 파이프(10)는 내부에 몸체부중공(22)을 포함하는 몸체부(20), 다수의 환형 돌기(43)를 포함하고, 몸체부(20)의 일단의 내측 및 외측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패킹부(40), 및 몸체부(20)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몸체부중공(22)보다 직경이 더 큰 소켓부중공(32)을 포함하는 소켓부를 포함한다.
몸체부(20)는 파이프 구조를 가지며, 몸체부(20)의 내부에는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몸체부중공(22)이 형성되어 있다. 몸체부중공(22)의 직경은 몸체부(20)의 전 영역에서 일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몸체부중공(22)은 직경이 상이한 제1 중공(23)과 제2 중공(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중공(23)은 몸체부(20)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중공(24)은 제1 중공(23)과 연결되며, 몸체부(20)의 타단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중공(23)은 몸체부(20) 중 패킹부(40)와 결합하는 영역에 위치하고, 제2 중공(24)은 소켓부(30)와 맞닿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중공(23)은 제2 중공(24)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중공(23)의 직경(A4)이 제2 중공(24)의 직경(A1)보다 클 수 있다. 제1 중공(23)과 제2 중공(24)은 연결되지만, 상호 간 직경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제1 중공(23)과 제2 중공(24)이 연결되는 부분에 단턱(B)이 형성될 수 있다.
밀착부(25)는 몸체부(20)의 일부 영역을 지칭하는 것으로, 몸체부(20) 중 제1 중공(23)이 위치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밀착부(25)에는 패킹부(40)가 결합될 수 있다. 밀착부(25)의 외측에는 패킹부(40)의 외측 영역(42)이 결합되고, 밀착부(25)의 내측에는 패킹부(40)의 내측 영역(47)이 결합되고, 밀착부(25)의 끝단에는 패킹부(40)의 연결 영역(45)이 결합될 수 있다. 밀착부(25)의 끝단은 제2 중공(24)의 반대편으로, 밀착부(25)의 최외곽의 영역을 지칭한다.
패킹부(40)의 내측 영역(47)이 제1 중공(23)에 밀착되어, 제1 중공(23)과 제2 중공(24)이 이어지는 부분에 형성된 단턱(B)이 매워질 수 있다. 즉, 패킹부(40)의 내측 영역(47)의 내경의 길이와 몸체부(20) 중 제2 중공(24)이 위치하는 영역의 내경의 길이가 A1으로 동일할 수 있다. 그러므로, 패킹부(40) 중 내측 영역(47)의 내측면과 몸체부(20) 중 제2 중공(24)이 위치하는 영역의 내측면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20) 내부의 연속된 내측면 형성을 위해, 패킹부(40)의 두께에 따라서 제1 중공(23)과 제2 중공(24)의 직경의 차이를 결정할 수 있다.
패킹부(40) 중 내측 영역(47)의 내측면과 몸체부(20) 중 제2 중공(24)이 위치하는 영역의 내측면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면, 몸체부(20)는 내부에 돌출된 부분이 없이 일정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하수관 파이프(10) 내부에서 유체의 흐름을 안정되게 할 수 있다. 패킹부(40)의 내측 영역(47)이 밀착부(25)에 결합하여 제2 중공(24)이 위치하는 영역의 내측면에 비해 돌출되는 경우, 돌출된 부분이 유체에 의해 지속적으로 유압을 받아 패킹부(40)와 밀착부(25)의 결합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20) 내부의 연속된 내측면 형성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몸체부(20)는 폴리에스테르(PE)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켓부(30)는 몸체부(2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몸체부중공(22)보다 직경이 더 큰 소켓부중공(32)을 포함한다.
제1 하수관 파이프의 소켓부(30)에 제2 하수관 파이프가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하수관 파이프의 밀착부(25)에 결합한 패킹부(40)가 제1 하수관 파이프의 소켓부(30)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하수관 파이프와 제2 하수관 파이프의 결합을 위해, 소켓부중공(32)은 몸체부중공(22)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진다. 다만, 제2 하수관 파이프의 패킹부(40)가 제1 하수관 파이프의 소켓부중공(32)에 긴밀하게 삽입되기 위해, 제1 하수관 파이프의 소켓부중공(32)의 직경(A2)은 제2 하수관 파이프의 패킹부(40)의 외경(A3)보다 작을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하수관 파이프의 소켓부(30)에 제2 하수관 파이프가 삽입되는 경우, 제2 하수관 파이프의 패킹부(40)의 외측면은 소켓부(30)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소켓부중공(32)의 직경은 A2로 일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위해, 도 3이 참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파이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소켓부중공(32)의 직경은 몸체부(20)와 맞닿은 부분으로부터 소켓부중공(32)의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즉, 몸체부(20)와 맞닿은 부분의 소켓부중공(32)의 직경(A2)은 소켓부중공(32)의 끝단의 직경(A6) 보다 클 수 있다. 소켓부중공(32)의 직경이 점점 줄어드는 구조에 의하여, 소켓부(30)는 다른 하수관 파이프의 패킹부(40)와 좀더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구조를 채택하는 경우, 복수의 하수관 파이프가 결합하였을 때, 패킹부(40)가 소켓부(3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소켓부(30)는 몸체부(2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몸체부(20)와 동일한 폴리에스테르(PE)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패킹부(40)는 다수의 환형 돌기(43)를 포함하고 몸체부(20)의 일단의 내측 및 외측에 밀착되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패킹부(40)는 몸체부(20) 중 소켓부(30)와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밀착부(25)의 내측 및 외측에 밀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킹부(40)는 밀착부(25)의 외측에 밀착되는 외측 영역(42), 밀착부(25)의 내측에 밀착되는 내측 영역(47), 및 밀착부(25)의 끝단에 밀착되며 외측 영역(42)과 내측 영역(47)을 연결하는 연결 영역(45)을 포함할 수 있다. 패킹부(40)의 연결 영역(45)은 패킹부(40)의 외측 영역(42)과 내측 영역(47)을 연결하는 영역을 지칭한다. 구체적으로, 패킹부(40)의 외측 영역(42)과 내측 영역(47)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지만, 연결 영역(45)은 외측 영역(42) 및 내측 영역(47)과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패킹부(40)와 밀착부(25)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해, 패킹부(40)는 밀착부(25)의 외측, 내측 및 끝단과 밀착된다. 접촉면적의 증가로, 패킹부(40)와 밀착부(25) 사이의 마찰력을 커지며, 상호간 결합력을 증가되어 결합이 견고해 질 수 있다.
패킹부(40)의 외측 영역(42)의 길이는 내측 영역(47)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패킹부(40)의 외측 영역(42)은 복수의 하수관 파이프가 결합하는 경우, 다른 하수관 파이프의 소켓부(30)에 삽입된다. 패킹부(40)의 외측 영역(42)의 길이가 긴 경우, 다른 하수관 파이프의 소켓부(30)와 접하는 면적이 넓어져, 복수의 하수관 파이프의 결합을 안정적일 수 있다.
패킹부(40)는 환형 돌기(43)를 포함하며, 환형 돌기(43)는 패킹부(40)의 외측 영역(4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환형 돌기(43)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환형 돌기(43)의 단면은 일방향으로 기울어진 톱니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환형 돌기(43)의 다른 단면을 설명하기 위해, 도 4가 참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하수관 파이프를 결합하였을 때, 하수관 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환형 돌기(43)의 단면은 요철 형상일 수 있다.
소켓부중공(32)의 직경은 패킹부(40)의 외경보다 작을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하수관 파이프의 소켓부(30)에 제2 하수관 파이프가 삽입되는 경우, 제2 하수관 파이프의 패킹부(40)의 외측면은 제1 하수관 파이프의 소켓부(30)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이 때, 제2 하수관 파이프의 패킹부(40)의 외측면에 환형 돌기(43)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돌출된 부분에 압축력이 집중될 수 있다. 환형 돌기(43)와 소켓부(30) 간의 마찰력에 의해서, 제1 하수관 파이프의 소켓부(30)와 제2 하수관 파이프의 패킹부(40) 사이의 결합이 견고해지므로, 하수관 파이프 결합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패킹부(40)가 다른 하수과 파이프의 소켓부(30)에 삽입되는 경우, 환형 돌기(43)가 압축된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패킹부(40)는 일정한 압력에 대하여 신축성과 복원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패킹부(40)는 예컨대, 니트릴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5 및 도 6를 참조하여, 복수의 하수관 파이프를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하수관 파이프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하수관 파이프를 결합하였을 때, 복수의 하수관 파이프의 단면도이다.
제1 하수관 파이프의 소켓부(30)에 제2 하수관 파이프의 패킹부(40)를 결합시킨다. 제2 하수관 파이프의 패킹부(40)를 제1 하수관 파이프의 소켓부중공(32)에 삽입함으로써, 제1 하수관 파이프의 몸체부중공(22)과 제2 하수관 파이프의 몸체부중공(22)이 이어질 수 있다. 제2 하수관 파이프의 패킹부(40)의 외경(A2)이 제1 하수관 파이프의 소켓부중공(32)의 직경(A3)에 비하여 클 수 있기 때문에, 제2 하수관 파이프의 패킹부(40)의 환형 돌기(43)가 압축되면서, 제1 하수관 파이프(10)의 소켓부(30)와 제2 하수관 파이프(10)의 패킹부(40)가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제1 하수관 파이프의 소켓부(30)에 제2 하수관 파이프의 패킹부(40)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제1 하수관 파이프의 소켓부(30)와 제2 하수관 파이프의 환형 돌기(43) 간의 마찰에 의해서, 제2 하수관 파이프의 패킹부(40)가 밀착부(25)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문제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하수관 파이프의 소켓부(30)와 제2 하수관 파이프의 환형 돌기(43) 간의 마찰력이 제2 하수관 파이프의 패킹부(40)와 밀착부 사이의 마찰력보다 크다면, 제2 하수관 파이프의 패킹부(40)가 밀착부(25)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하수관 파이프(10)에 따르면, 패킹부(40)의 외측 영역(42)은 밀착부(25)의 외측에 밀착되고, 패킹부(40)의 내측 영역(47)은 밀착부(25)의 내측에 밀착되고, 패킹부(40)의 연결 영역(45)은 밀착부(25)의 끝단에 밀착된다. 즉, 외측 영역(42), 내측 영역(47), 및 연결 영역(45)이 밀착부(25)에 밀착되어 있어서, 패킹부(40)를 밀착부(25)에 결합시키는 마찰력을 극대화하여 패킹부(40)가 몸체부(20)로부터 벗겨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킹부(40)의 외측 영역(42)과 내측 영역(47)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연결 영역(45)은 외측 영역(42) 및 내측 영역(47)과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제2 하수관 파이프(10)의 단면을 보았을 때, 패킹부(40)는 "ㄷ"자형 고리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어서, 밀착부(25)에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그러므로, 패킹부(40)가 몸체부(20)로부터 벗겨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하수관 파이프를 연결한 후, 추가적으로 별도의 이음장치나 체결장치를 통해서, 제1 하수관 파이프의 소켓부(30)와 제2 하수관 파이프의 패킹부(40)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파이프를 사용하여 시공을 하는 경우, 단순히 제2 하수관 파이프의 패킹부(40)를 제1 하수관 파이프의 소켓부(30)에 삽입함으로써 하수관 파이프들을 기밀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용이하게 시공을 할 수 있으며,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파이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하수관 파이프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하수관 파이프를 결합하였을 때, 복수의 하수관 파이프의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파이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파이프와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 파이프는, 소켓부중공(32)의 둘레를 따라서 소켓고정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소켓고정부(34)는 연속적으로 이어져서 형성된 환형 돌기를 포함하며, 예컨대, 소켓고정부(34)는 패킹부(40)의 환형 돌기(43)와 다른 방향으로 기울어진 톱니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하수관 파이프의 소켓부(30)와 제2 하수관 파이프의 패킹부(40)를 결합했을 때, 제1 하수관 파이프의 소켓고정부(34)와 제2 하수관 파이프의 패킹부(40)의 환형 돌기(43)가 암수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소켓부(30)와 패킹부(40)를 결합하였을 때, 패킹부(40)의 환형 돌기(43)와 소켓고정부(34)의 환형 돌기 간 암수 결합을 해서, 패킹부(40)에 가해지는 압력과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하수관 파이프 간의 결합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하수관 파이프 20: 몸체부
22: 몸체부중공 23: 제1 중공
24: 제2 중공 25: 밀착부
30: 소켓부 32: 소켓부중공
34: 소켓고정부 40: 패킹부
42: 외측 영역 43: 환형 돌기
45: 연결 영역 47: 내측 영역

Claims (6)

  1.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몸체부;
    다수의 제1 환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일단의 내측 및 외측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패킹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상기 중공보다 직경이 더 큰 중공을 포함하는 소켓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의 상기 중공은 상기 몸체부의 상기 일단에 위치하는 제1 중공과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위치하는 제2 중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중공은 상기 제2 중공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패킹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일단 중 상기 제1 중공이 위치하는 영역인 밀착부의 내측 및 외측에 밀착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패킹부는 상기 밀착부의 외측에 밀착되는 외측 영역, 상기 밀착부의 내측에 밀착되는 내측 영역, 및 상기 밀착부의 끝단에 밀착되며 상기 외측 영역과 상기 내측 영역을 연결하는 연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환형 돌기는 상기 외측 영역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중공과 상기 제2 중공의 직경의 차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중공과 상기 제2 중공이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된 단턱을 포함하고,
    상기 패킹부의 상기 내측 영역이 상기 밀착부의 상기 내측에 밀착되어 상기 단턱이 메워지고,
    상기 패킹부의 내측 영역의 내경의 길이와 상기 제2 중공의 직경은 동일한 하수관 파이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 중 상기 외측 영역의 길이는 상기 패킹부 중 상기 내측 영역의 길이보다 긴 하수관 파이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의 상기 제1 환형 돌기의 단면은 일방향으로 기울어진 톱니 형상이고,
    상기 소켓부는, 상기 소켓부의 상기 중공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제2 환형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환형 돌기의 단면은 상기 일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기울어진 톱니 형상인 하수관 파이프.
KR2020110001898U 2011-03-08 2011-03-08 하수관 파이프 KR2004581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898U KR200458177Y1 (ko) 2011-03-08 2011-03-08 하수관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898U KR200458177Y1 (ko) 2011-03-08 2011-03-08 하수관 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8177Y1 true KR200458177Y1 (ko) 2012-01-25

Family

ID=45842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898U KR200458177Y1 (ko) 2011-03-08 2011-03-08 하수관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1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4167A3 (es) * 2021-05-06 2023-04-20 Abn Pipe Systems S.L.U Conjunto de piezas para desagüe de aguas negras en vivienda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4836U (ko) 1979-10-05 1981-05-13
JPS5654836A (en) * 1979-09-24 1981-05-15 Hollister Inc Vent filter for collector
JPH03124087A (ja) * 1989-10-09 1991-05-27 Oki Electric Ind Co Ltd セラミック回路基板の製造方法
KR19980086377A (ko) * 1997-05-22 1998-12-05 한스 울리히 스피스 파이프 커넥터
KR20050037439A (ko) * 2005-01-10 2005-04-21 삼서건설 주식회사 관로간 연결부의 수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4836A (en) * 1979-09-24 1981-05-15 Hollister Inc Vent filter for collector
JPS5654836U (ko) 1979-10-05 1981-05-13
JPH03124087A (ja) * 1989-10-09 1991-05-27 Oki Electric Ind Co Ltd セラミック回路基板の製造方法
KR19980086377A (ko) * 1997-05-22 1998-12-05 한스 울리히 스피스 파이프 커넥터
KR20050037439A (ko) * 2005-01-10 2005-04-21 삼서건설 주식회사 관로간 연결부의 수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4167A3 (es) * 2021-05-06 2023-04-20 Abn Pipe Systems S.L.U Conjunto de piezas para desagüe de aguas negras en viviend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015297B1 (ru) Соединения для труб
KR200458177Y1 (ko) 하수관 파이프
KR20120006296A (ko) 소켓 일체형 합성수지 관의 연결구조
KR101391930B1 (ko) 나선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CN201014105Y (zh) 管接头
KR200484415Y1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KR20180129145A (ko) 배관 밀봉용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 조립체
KR20140137153A (ko) 개스킷
KR100930209B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KR101656219B1 (ko)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성형장치
KR20190021677A (ko) 이탈 방지용 합성수지관 이음장치
KR100453386B1 (ko) 분기관 조립체 및 시공 방법
KR101452439B1 (ko) 보강 부재가 구비된 이탈방지 파이프 결합 구조
WO2006112604A1 (en) Rubber packing for pipe connection
JP4768508B2 (ja) 管体の継手構造および継手装置
KR101323175B1 (ko) 플라스틱 주름관의 방수 연결구
CN111684163A (zh) 建立管道系统连接的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635404B1 (ko) 밀폐밀착력이 향상된 관체연결용 패킹
KR101676735B1 (ko)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CN211624521U (zh) 一种管路用快速接头
KR200448884Y1 (ko) 합성수지관용 패킹
JP2003021280A (ja) 継手用パッキン及びこれを用いた管の接続構造
KR20130075098A (ko) 나사조임식 이음관용 고무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이음관
KR101422267B1 (ko) 파이프 연결소켓
KR200374224Y1 (ko) 합성수지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