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7153A - 개스킷 - Google Patents

개스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7153A
KR20140137153A KR1020130057678A KR20130057678A KR20140137153A KR 20140137153 A KR20140137153 A KR 20140137153A KR 1020130057678 A KR1020130057678 A KR 1020130057678A KR 20130057678 A KR20130057678 A KR 20130057678A KR 20140137153 A KR20140137153 A KR 20140137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packing
gasket
packing member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7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준
Original Assignee
김동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준 filed Critical 김동준
Priority to KR1020130057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7153A/ko
Publication of KR20140137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1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 F16J15/104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들을 연결할 때, 배관 사이의 연결부를 메워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스킷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은, 다수개의 배관 연결 시 상기 배관 사이의 연결부에 삽입되어 상기 배관간의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부; 상기 패킹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배관을 이동하는 유체를 수용하여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패킹부를 지지할 수 있는 유체수용부; 및 상기 패킹부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유체가 상기 유체수용부로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유체유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은,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유체수용부를 형성하여, 유체의 압력에 의해 패킹부가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패킹부가 체결구의 가압력에 의해 손상되지 않으며 개스킷의 내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개스킷 {GASKET}
본 발명은 배관들을 연결할 때, 배관 사이의 연결부를 메워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스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를 이송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배관을 연결하여 배관라인을 만든 후 유체를 공급한다.
[도 1]과 같이 종래에는 배관(1) 연결 시, 연결하고자 하는 2개의 배관(1)을 서로 연접한 상태에서, 양측 배관(1)의 플랜지부(1a)를 커플링(2) 및 체결구(3)를 이용하여 체결하였다.
그리고 이때 양측 배관(1)의 플랜지부(1a) 사이에는 고무부재의 패킹(5)을 삽입하고, 체결구(3)를 이용하여 일체로 체결함으로써 양측 배관(1)의 플랜지부(1a)가 패킹(5)에 의해 밀폐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양측 배관(1) 연결 시, 비교적 고무부재와 같이 연질의 패킹(5)만을 사용할 경우, 패킹(5)이 상기 체결구(3)에 의해 가해지는 높은 압력을 지탱하지 못하고 뭉그러지는 등의 파손이 발생하여, 배관(1) 연결부의 기밀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순히 체결구(3)만을 이용하여, 양 플랜지부(1a)를 가압하는 경우에는, 체결구(3)의 노화 등으로 인해 그 가압력이 감소되어 기밀이 장기간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번호 20-0322580 (등록일자: 2003년 07월 30일)
본 발명은 배관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배관간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는 개스킷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체결구의 가압력에 의해 내구성이 약해지지 않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개스킷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은, 다수개의 배관 연결 시 상기 배관 사이의 연결부에 삽입되어 상기 배관간의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부; 상기 패킹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배관을 이동하는 유체를 수용하여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패킹부를 지지할 수 있는 유체수용부; 및 상기 패킹부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유체가 상기 유체수용부로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유체유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패킹부는, 상기 배관과 접촉하고 하부에 삽입공간이 형성된 외측패킹부재 및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외측패킹부재와 결합되는 내측패킹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유체수용부는, 상기 패킹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링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킹부는, 하단부에 양측으로 돌출된 위치설정관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설정관은, 상기 배관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배관 내 상기 패킹부의 장착 위치를 설정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체수용부는, 상기 내측패킹부재의 외측면에 반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내측홈 및 상기 외측패킹부재의 내측면에 반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홈이 결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은,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유체수용부를 형성하여, 유체의 압력에 의해 패킹부가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패킹부가 체결구의 가압력에 의해 손상되지 않으며 개스킷의 내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유체가 패킹부에 가하는 압력에 의해 패킹부가 배관 사이에 더욱 밀착될 수 있어 배관들 간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패킹부를 내측패킹부재와 외측패킹부재로 구성할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하며, 양 부재의 재질을 다르게 하여 개스킷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위치설정관을 형성하여 배관들 사이에 개스킷을 장착하기 용이하며,배관들이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되어 배관들간의 기밀성이 더욱 향상된다.
[도 1]은 종래의 개스킷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개스킷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내측패킹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개스킷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외측패킹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내측패킹부재에 외측패킹부재를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개스킷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개스킷의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내측패킹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내측패킹부재에 외측패킹부재를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개스킷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개스킷을 배관에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인 개스킷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개스킷의 단면도이다.
[도 12]은 [도 10]에 도시한 개스킷을 배관에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인 개스킷의 제1실시예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인 개스킷(10)은 크게 패킹부(100), 유체수용부(200) 그리고 유체유입부(300)를 포함한다.
그 중 패킹부(100)는, 다수개의 배관 연결 시, 배관 연결부의 기밀을 유지하는 밀폐기능을 갖는 것으로, 하나의 배관과 다른 배관 사이에 삽입된다.
패킹부(100)는 하나의 패킹부재가 적용될 수도 있으나,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내측패킹부재(110) 및 외측패킹부재(120)가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내측패킹부재(110)는 패킹부(100)의 하측에 위치하고, 외측패킹부재(120)는 내측패킹부재(110)의 외측에 위치하여 내측패킹부재(110)의 상부면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다. 즉, 외측패킹부재(120)의 하측에 형성된 삽입공간(121) 상에 내측패킹부재(110)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내측패킹부재(110)는 헤드부(111)의 양쪽에 내측으로 함몰된 반호 형상의 내측홈(115)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패킹부재(120)에도 중앙부 양쪽에 외측으로 함몰된 반호 형상의 외측홈(12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내측패킹부재(110) 및 외측패킹부재(120)는 그 재질을 고무 등과 같이 동일하게 제작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변동되는 유체의 압력(이하에서는 유압이라고 한다)을 견디기 위해서 내측패킹부재(110)는 내구성이 강하고 형상이 변형되지 않는 재질을 사용하고, 배관의 플랜지부와 접촉하게 되는 외측패킹부재(120)는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서 탄성을 갖는 고무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내측패킹부재(110) 및 외측패킹부재(120)에 각각 형성된 내측홈(115) 및 외측홈(125)이 결합하여 유체수용부(200)를 형성한다.
유체수용부(200)는 배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를 수용하여 패킹부(100)에 유압을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패킹부(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링 형태로 형성된 수용홈이다.
이러한 유체수용부(200)는 후술되는 유체유입부(300)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유체수용부(200)를 채우게되고, 이러한 유체는 패킹부(100)에 유압을 작용하여 패킹부(100)를 지지한다.
단, 전술된 패킹부(100)가 하나의 패킹부재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내측홈(115) 및 외측홈(125)이 결합하지 않고, 단순히 하나의 원형 홈이 패킹부(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유체수용부(200)는 반드시 하나로 연결된 링 형태일 필요는 없으며, 패킹부(100)를 따라 일정 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수용홈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된 유체수용부(200)에 수용되는 유체는 유체유입부(300)를 통해 유입된다.
유체유입부(300)는 상기 유체수용부(200)에 유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패킹부(100)에 통로를 형성한다.
유체유입부(300)는 유체수용부(200)와 연결되는 유체유입홈(320)이 내측패킹부재(110)에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유체유입부(300) 사이에는 가이드편(310)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편(310)은 유체유입홈(320) 사이에 형성되어 유체가 상기 유체유입홈(320)을 통해서만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하며, 내측패킹부재(110)에 일체 형성되나 유체유입홈(320) 상에 별도로 끼움결합하여 유체유입홈(320)의 크기 및 수량을 조절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인 개스킷의 제2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개스킷은 제1실시예와 비교했을 때, 패킹부(100) 상의 구조적 차이가 있을 뿐이며 유체수용부(200) 및 유체유입부(300)는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진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패킹부(100)의 구조적 차이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 상에서, 전술된 패킹부(100)는 위치설정관(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설정관(130)은 배관 내부에 패킹부(100)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배관 상의 장착위치를 설정해 주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내측패킹부재(110)의 단부에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중공된 관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내측패킹부재(110)에는 외측패킹부재(120)와의 결합을 용이하기 하게 위해서 외측패킹부재(120)와 결합되는 부분에 외측으로 돌출된 단턱(112)이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제1,2실시예에 따른 개스킷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인 개스킷을 배관 내부에 삽입시켜 배관들 사이를 밀폐시키기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패킹부(100)를 구성하는 내측패킹부재(110) 및 외측패킹부재(120)를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 내측패킹부재(110)의 상측을 감싸도록 외측패킹부재(120)를 결합시키는데, 이 때 내측홈(115) 및 외측홈(125)이 서로 대향되게 결합하여 원형의 단면을 갖는 유체수용부(200)를 형성하도록 한다.
배관 내부의 완전한 기밀이 이루어지도록 내측패킹부재(110)와 외측패킹부재(120)를 긴밀하게 연결하도록 한다.
그리고 내측패킹부재(110)와 외측패킹부재(120)의 결합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내측패킹부재(110) 헤드부(111)에 연장형성된 단턱(112)에 외측패킹부재(120)를 걸치도록 장착할 수 있다.
전술된 방식에 따라 내측패킹부재(110) 및 외측패킹부재(120)를 결합시킨 후, 본 발명인 개스킷을 배관들 사이에 장착시킨다.
[도 2] 내지 [도 8]을 [도 9]와 병행하여 참조하면, 본 발명인 개스킷(10)은, 단부에 플랜지부(1a)가 형성되어 있는 배관(1)들 사이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개스킷(10)의 폭과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배관(1)들 사이에 본 발명인 개스킷(10)을 양 배관(1)의 둘레면 사이에 삽입시킨다.
이 때, 패킹부(100)에 위치설정관(130)이 형성된 경우는 외측패킹부재(120) 및 위치설정관(130)이 패킹부(100) 상에 일종의 턱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배관(1)을 단순히 위치설정관(130) 상부면에 배치시킨 후에, 양측의 플랜지부(1a)와 외측패킹부재(120)의 양면이 각각 밀착되도록 하면, 양 쪽에 배치되는 배관(1)들과 개스킷(10)의 결합이 동일선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된 과정이 끝나면, 별도의 커플링(2)과 체결구(3)를 이용하여 개스킷(10)이 양 플랜지부(1a) 사이에서 더욱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가압 고정한다.
이 때, 외측패킹부재(12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하여 플랜지부(1a)와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으며, 내측패킹부재(110)는 내구성이 강한 재질로 제작하여 체결구(3)의 가압력이 작용하여도 유체수용부(200)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배관(1)들의 연결이 완성되면, 배관(1)을 원하는 장소에 설치시킨 후, 유체를 공급하도록 한다.
배관(1) 내부를 흐르는 유체는 유체유입부(300) 중 가이드편(310)이 안내하는 유체유입홈(320)을 통해 유체수용부(200)로 진입한 후 유체수용부(200)를 채우게 된다.
따라서 유체가 유체수용부(200)를 가득 채우면서 외부에 장착된 패킹부(100)에 유압을 작용시키고, 패킹부(100)가 체결구(3) 및 커플링(2)로부터 받는 압력을 지탱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어 패킹부(100)가 손상되지 않는다.
그리고, 유압이 패킹부(10)의 외측방향으로 작용하므로, 패킹부(100)와 플랜지부(1a)가 더욱 밀착될 수 있어 배관(1)들 사이의 기밀성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유체가 배관(1) 내부를 가득 채우지 못하는 경우라도, 유체유입홈(320)이 패킹부(200)의 하측에도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관(1)을 흐르는 유체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의 유체수용부(200)에는 유체가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배관(1) 내부를 유체가 가득 채우지 못하더라도, 유체가 흐르는 부분은 패킹부(100) 및 유체수용부(200)에 의해 기밀이 강화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인 개스킷의 제3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제3실시에에 따른 개스킷은 전술된 제1,2실시예와 대비하였을 때, 패킹부(100)가 단일체로 형성된 것과 배관 상에 장착되는 구조에 차이가 있다. 그 밖에 다른 구조는 제1,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개스킷(10)은 단일체로 형성된 패킹부(100)에 유체수용부(200)가 형성되되, 유체수용부(200)의 하부는 개방된 상태이다. 그리고 패킹부(100) 상측에는 고리 형상의 체결고리(150)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된다.
제3실시예에 따른 개스킷(10)이 배관(1)에 장착되는 구조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개스킷(10)은 배관(1)들 사이에 삽입된 뒤 커플링(2)과 체결구(3)가 장착된다. 이 때 체결구(3)는 체결고리(150)에 형성된 체결고리홀(155)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이렇게 장착된 체결구(3)는 개스킷(10) 양측이 플랜지부(1a) 사이에서 가압되도록 견고하게 조여지고, 체결구(3)의 가압력에 의해서 개방된 유체수용부(200)가 밀착되어 닫히게 된다. 따라서 제3실시예에 따른 개스킷은 제1,2실시예와 같이 별도의 내측패킹부재를 장착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1: 배관 1a: 플랜지부
10: 개스킷 100: 패킹부
110: 내측패킹부재 111: 헤드부
112: 단턱 115: 내측홈
120: 외측패킹부재 125: 외측홈
130: 위치설정관 200: 유체수용부
300: 유체유입부 320: 유체유입홈

Claims (5)

  1. 다수개의 배관 연결 시 상기 배관이 연결되는 지점에 삽입되어 상기 배관간의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부;
    상기 패킹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배관 내부를 이동하는 유체를 수용하여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패킹부를 지지할 수 있는 유체수용부; 및
    상기 패킹부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유체가 상기 유체수용부로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유체유입부;
    를 포함하는
    개스킷.
  2. 제1항에서,
    상기 패킹부는,
    상기 배관과 접촉하고 하부에 삽입공간이 형성된 외측패킹부재 및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외측패킹부재와 결합되는 내측패킹부재를 포함하는
    개스킷.
  3. 제1항에서,
    상기 유체수용부는,
    상기 패킹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4. 제1항에서,
    상기 패킹부는,
    하단부에 양측으로 돌출된 위치설정관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설정관은,
    상기 배관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배관 내 상기 패킹부의 장착 위치를 설정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5. 제2항에서,
    상기 유체수용부는,
    상기 내측패킹부재의 외측면에 반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내측홈 및 상기 외측패킹부재의 내측면에 반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홈이 결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KR1020130057678A 2013-05-22 2013-05-22 개스킷 KR201401371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678A KR20140137153A (ko) 2013-05-22 2013-05-22 개스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678A KR20140137153A (ko) 2013-05-22 2013-05-22 개스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153A true KR20140137153A (ko) 2014-12-02

Family

ID=52457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7678A KR20140137153A (ko) 2013-05-22 2013-05-22 개스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715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0659A (ko) * 2019-06-07 2020-12-16 평화오일씰공업주식회사 밀봉 가스켓 및 이를 구비한 유체 라인 조립체
KR102228225B1 (ko) * 2019-10-08 2021-03-16 주식회사 원대티지케이 수밀 반응 속도를 향상시킨 그루브드 커플러
WO2021255623A1 (en) * 2020-06-17 2021-12-23 Tyco Fire Products Lp Pipe coupling gasket
WO2022098097A1 (ko) * 2020-11-05 2022-05-1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쿨런트 포트 어셈블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0659A (ko) * 2019-06-07 2020-12-16 평화오일씰공업주식회사 밀봉 가스켓 및 이를 구비한 유체 라인 조립체
KR102228225B1 (ko) * 2019-10-08 2021-03-16 주식회사 원대티지케이 수밀 반응 속도를 향상시킨 그루브드 커플러
WO2021255623A1 (en) * 2020-06-17 2021-12-23 Tyco Fire Products Lp Pipe coupling gasket
WO2022098097A1 (ko) * 2020-11-05 2022-05-1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쿨런트 포트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0600B2 (en) Permanent joint comprised of a fitting, a sleeve and a pipe, as well as fitting for fluid conduits and a sleeve for fluid conduit pipes
US7464728B2 (en) Pipe seal assembly and method
KR20140137153A (ko) 개스킷
KR101025542B1 (ko) 관체 연결 장치
KR20170090085A (ko) 배관 연결장치
KR101506467B1 (ko) 파이프 연결구
KR20150122922A (ko) 배관 연결용 센터링 유닛
JP3176509U (ja) 水道メータとシモクとの結合部における逆止弁及びパッキンの取付け構造
KR20140085958A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101406131B1 (ko) 힌지형 배관 이음장치
KR200381922Y1 (ko) 패킹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JP2009156463A (ja) ストッパーを利用した水道管の連結方法(Apipeconnectingmethodusestopper)
KR20150090770A (ko) 플랜지관 이음용 클램프 장치
KR200475077Y1 (ko) 관 연결구
KR20160128012A (ko) 내부 압력에 의한 기밀 증가형 가스켓 및 그를 위한 플랜지 배관
KR101111722B1 (ko) 관 이음장치
CN201858471U (zh) 90°弯管快速接头
KR200390666Y1 (ko) 기밀 유지용 패킹
KR101831160B1 (ko) 수배관의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
KR101455339B1 (ko)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
KR200458177Y1 (ko) 하수관 파이프
KR20060082236A (ko) 패킹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KR20130075098A (ko) 나사조임식 이음관용 고무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이음관
JP3191551U (ja) 管継手
KR100515135B1 (ko) 용수 연결부재에 연질수지관의 밀봉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