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5135B1 - 용수 연결부재에 연질수지관의 밀봉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용수 연결부재에 연질수지관의 밀봉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5135B1
KR100515135B1 KR10-2002-0070397A KR20020070397A KR100515135B1 KR 100515135 B1 KR100515135 B1 KR 100515135B1 KR 20020070397 A KR20020070397 A KR 20020070397A KR 100515135 B1 KR100515135 B1 KR 100515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soft resin
narrowing
connecting member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1019A (ko
Inventor
곽영대
Original Assignee
태광농자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광농자재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광농자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0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5135B1/ko
Publication of KR20020091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1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5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51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4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a swivel nut or collar engag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16L47/065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the sealing rings being placed previously on the mal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수 연결부재에 연질수지관의 밀봉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며 용수 연결부재에 연질수지관의 밀봉 결합구조를 간단히 하여 양산이 가능하게 하고 협착구의 탄성홈을 경사지게하여 너트의 경사면으로 협착구를 협착할 때 연질수지관의 원주면 전체를 협착할 수있도록 하여 밀봉력을 공고히 하고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통상의 용수 연결부재의 외면에는 나선을, 내경에는 단턱을 형성하고 동 연결부재의 단턱에는 단면이 U형인 부싱과 협착구를 차례로 끼우고 경사부와 지지력을 갖는 너트로 체결하는 통상의 것에 있어서 협착구가 연결부재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협착구에는 복수개의 경사지는 탄성홈과 선단측으로 경사지는 협착구 및 내경 선단에는 돌부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용수 연결부재에 연질수지관을 끼워서 너트로 조이면 너트의 경사면이 협착구의 협착면을 압착시켜 탄성홈의 공간이 축소되면서 협착구 내경의 돌기가 연질 수지관의 원주면을 협착시켜 긴밀한 밀봉이 이루어지게 되며 동 연결부재와 협착구 및 너트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조립에 장애가 없어 사용이 편리하며 밀봉력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

Description

용수 연결부재에 연질수지관의 밀봉 결합구조{The sealing and connecting structure of soft resin-pipe at agriculture connecting device }
본 발명은 용수 연결부재에 연질수지관의 밀봉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수를 이송하는 연질수지관에 밸브, 분기관, 이음관등의 연결부재를 끼워 연결할 때 연결지점을 긴밀하게 밀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은 액체 이송관과 기체 이송관으로 분류되고, 액체를 이송하는 관은 금속재와 합성수지재등 고형상태의 관과 연질수지재나 비닐계의 관으로 구분된다.
고형상태의 경우 관 이음이나 분기시에는 각종 커플링이 주로 이용되고 있고, 연질수지재 관의 경우에는 커플링으로는 연결수단(결합)을 수행할 수 없어 밸브, 분기관, 이음관등 연결부재 선단에 연결수단을 구비하여 사용하게 된다.
주로 사용되는 연결부재의 연결수단(결합)은 연결지점 선단에 연질수지관의 내경에 끼워지는 환돌부를, 그 외측에는 나선부를 구비하여 연질수지관을 끼우고 연질수지관의 외곽에 끼워진 너트를 나선부에 체결하게 되면 연질수지관은 환돌부 외면과 너트의 내경에서 결합되는 수단이 주로 이용된다.
이 때 결합하여 연결되는 과정에서 밀봉력을 높이기 위하여 연질수지관과 너트 사이에는 오링, 부싱, 조임구, 패킹등을 위치시키고 연결부재의 내경에는 단턱을 형성, 부싱등을 끼워서 연질수지관의 내경과 외경에 밀봉수단을 구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수단들은 밀봉력이 긴밀하지 못하여 누수가 발생되는 결점이 있어 왔다.
또한 본원 실용신안등록출원제 2002-24274호 농업용수 연결부재와 수지재 파이프의 결합구조가 있으나 동 발명의 경우에는 조임너트로 연결부재의 나선에 체결하면 연결부재 선단에 위치하는 조임척이 연질수지관의 외면을 협착시켜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면서 밀봉되는 것이나 이는 조임척이 연질수지관의 선단의 가이드에 끼워져 승강이 이루어지는 가이드부를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과 조임척과 조임척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 지점에는 밀봉력이 취약한 결점이 있고, 또 실용신안등록제 288643호 나사조임척 이송관이 있으나 동 발명은 연결부재의 내경에 패킹 삽입홈과 선단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부싱을 끼우고 선단측에는 내향되는 환돌부를 형성하여 홀더를 끼우며 홀더에는 외면으로는 경사부를, 길이방향으로는 탄성홈을, 내벽에는 톱니모양을 구비하고 외곽으로 연질수지관을 끼워 너트로 연결부재의 나선에 체결하면 너트의 경사부가 홀더의 경사부를 내향 압착시켜 연질수지관을 결합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연결부재의 내경 일단에 패킹삽입홈의 구성과 선단내측으로 돌기부를 형성하는 수단에는 고도의 기술이 요구되어 양산에 장애가 되고 또 홀더의 경사면 타측에 돌기부의 구성과 내경에 톱니모양의 구성이 어려워 홀더 양산제조가 어려우며 연결부재의 패킹삽입홈에 패킹의 조립과 연결부재 선단에 홀더의 조립이 어렵고 연질수지재관을 끼워 결합하는 과정에서 홀더가 압축되면서 탄성홈 부위는 내경이 축소되면서 틈새가 형성되어 긴밀한 밀봉력이 구비되지 못하여 누수의 요인이 발생되는 결점들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제반결점을 해소하고 밸브, 분기관, 이음관등의 연결부재 선단 외면에는 나선을, 내경에는 단턱을 각 형성하고, 단턱에는 단면이 U형인 부싱을 끼우고 외측으로는 협착구를 구비하고 연결수지관을 끼워서 너트로 결합하면 너트의 내측 경사부가 협착구의 경사진 협착면을 내향시켜 연질수지관을 긴밀하게 결합하는 결합수단에 있어서 연결부재의 구조를 간단히 하여 양산이 가능하게 하고 협착구의 탄성홈을 경사지게 하여 너트의 경사부로 협착구를 협착할 때 내측의 돌부가 연질수지관의 원주면 전체를 협착할 수 있도록 하여 틈새발생을 해소하여 밀봉력을 공고히 하고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연결부재에 연질수지관의 밀봉구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연결부재(1)의 선단 외면에는 나선(2)을, 내경에는 단턱(3)을 형성하고 연결부재(1)의 단턱(3)에는 단면이 U형인 부싱(4)과 협착구(5)를 차례로 끼우고 선단측으로는 경사부(7)와 지지부(8)를 구비하는 너트(6)로 결합하는 통상의 것에 있어서 협착구(5)가 연결부재(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협착구(5)에는 복수개의 탄성홈(10)을 경사지게 구비하고 선단 외측으로 경사지는 협착면(11) 및 내경 선단에는 돌부(12)를 구비하여서 된 구성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0은 연질수지관을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결부재(1)의 선단 외면에는 나선(2)을, 내경에는 단턱(3)을 구비하게 되면 합성수지재로 성형제조시 제조가 용이하여 양산이 가능하게 되고, 너트(6)는 선단측으로 경사부(7)와 지지부(8)를 차례로 구비하여 합성수지재로 성형 제조시 구조가 간단하여 양산제조가 가능하며, 부싱(4)은 단면이 U형이므로 연질수지재 또는 고무재로 제조가 간단하게 되며, 협착구(5)는 복수개의 탄성홈(10)을 경사지게 하고 선단측에는 경사지는 협착면(11)을, 내경선단에는 돌부(12)를 구비하여 합성수지재로 성형시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합성수지재 등으로 성형제조로 된 각 부품은 성형이 용이하여 양산이 가능하고 장애 발생요인이 없어 조립이 간편하게 된다.
즉, 연결부재(1)의 내경 단턱(3)에 단면이 U형인 부싱(4)과 협착구(5)를 끼우고 너트(6)로 조립하면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연결부재(1)에 연질수지관(20)을 밀봉 결합하고자 할 때에는 연결부재(1)의 나선(2)에 체결된 너트(6)를 풀어 후퇴시키면 협착구(5)의 선단돌부(12)는 탄성으로 후퇴되어 연질수지관(20)의 외경보다 크지게 되므로 연질수지관(20)을 너트(6) 측에서 연결부재(1)의 중심 방향으로 끼우면 연질수지관(20) 외면에는 협착구(5)의 내경의 선단 돌부(12)와 부싱(4)의 내경이 위치되면서 연결부재(1) 내측으로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부재(1)에 연질수지관(20)을 끼운 다음 너트(6)를 조이게 되면 너트(6)의 나선이 연결부재(1)의 나선(2)에 체결되어 전진되면서 너트(6)의 내측 경사부(7)가 협착구(5)의 경사진 협착면(11)에 닿아 협착구(5)는 너트(6)의 경사부(7)에 유도되어 탄성홈(10)이 상호 밀착되면서 협착구(5)의 내경이 축소되어 협착구(5)의 돌부(12)가 연질수지관(20)의 원주면으로 돌부가 형성되어 긴밀하게 결합하게 된다.
이 때 너트(6)의 지지부(8) 내경은 연질수지관(20)의 외면을 지지하며 연질수지관(20)의 변형을 해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부재(1)에 연질수지관(20)을 결합하게 되면 연질수지관(20)은 연결부재(1)의 내측에서 부싱(4)의 내측부와 협착구(5)에서 밀봉경합이 이루어지고 너트(6)의 지지부(8)에서 지지되므로 견고하게 됨은 물론 긴밀한 밀봉력을 유지하게 되므로 누수의 요인을 일시에 해소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협착구(5)는 복수개의 탄성홈(10)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너트(6)를 조일 때 너트(6)의 경사부(7)가 협착구(5)의 경사지는 협착면(11)을 압착하게 되면 탄성홈(10)이 축소되면서 내경의 돌부(12)는 틈새의 발생 없이 연질수지관(20)의 외곽에서 원형으로 탄성테가 형성되어 균일한 압력으로 연질수지관(20)의 외경을 조이게 되어 긴밀한 밀봉력을 구성하면서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되어 누수의 요인을 근원적으로 해소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연결부재(1)에서 연질수지관(20)을 분리시에는 너트(6)를 풀어서 후퇴시키면 협착구(5)는 탄성에 의한 복원력으로 돌부(12)의 내경이 연질수지관(20)의 외경보다 크지게 되어 연질수지관(20)을 인출시키면 신속하게 분리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연결부재에 연질수지관의 밀봉 결합구조가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므로 제조와 조립이 용이하여 양산이 가능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특히 사용시 밀봉력이 우수하고 견고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연결부재에 연질수지관의 밀봉 결합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되므로 제조와 조립이 용이하고 협착구의 내경에 위치하는 돌부가 연질수지관의 원주를 틈새 없이 긴밀하게 조일 수 있게 되므로 밀봉력이 우수하고 사용이 편리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종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요부인 협착구를 발췌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 도2의 우측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연결부재 2 : 나선
3 : 단턱 4 : 부싱
5 : 협착구 6 : 너트
7 : 경사부 8 : 지지부
10 : 탄성홈 11 : 협착면
12 : 돌부

Claims (1)

  1. 연결부재(1)의 외면에는 나선(2)을, 내경에는 단턱(3)을 각 형성하고 연결부재(1)의 단턱(3)에는 단턱이 U형인 부싱(4)과 협착구(5)를 차례로 끼워 경사부(7)와 지지부(8)를 구비하는 너트(6)로 결합하는 통상의 것에 있어서 협착구(5)는 연결부재(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협착구(5)에는 복수개의 탄성홈(10)을 경사지게 하고 선단외측으로 경사지는 협착면(11) 및 내경 선단측에 돌부(12)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용수 연결부재에 연질수지관의 밀봉 결합구조
KR10-2002-0070397A 2002-11-13 2002-11-13 용수 연결부재에 연질수지관의 밀봉 결합구조 KR100515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397A KR100515135B1 (ko) 2002-11-13 2002-11-13 용수 연결부재에 연질수지관의 밀봉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397A KR100515135B1 (ko) 2002-11-13 2002-11-13 용수 연결부재에 연질수지관의 밀봉 결합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3915U Division KR200304136Y1 (ko) 2002-11-13 2002-11-13 용수 연결부재에 연질수지관의 밀봉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1019A KR20020091019A (ko) 2002-12-05
KR100515135B1 true KR100515135B1 (ko) 2005-09-14

Family

ID=27729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397A KR100515135B1 (ko) 2002-11-13 2002-11-13 용수 연결부재에 연질수지관의 밀봉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51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512B1 (ko) 2009-04-16 2011-09-21 김사현 고압호스용 커플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4578U (ko) * 1978-08-28 1980-03-05
JPS57126688U (ko) * 1981-01-30 1982-08-06
KR960002353U (ko) * 1994-06-09 1996-01-19 권윤노 원터치 삽입식 관연결구
JPH08135866A (ja) * 1994-11-15 1996-05-31 Osaka Gas Co Ltd 柔軟管接続継手
JPH09189385A (ja) * 1995-09-28 1997-07-22 Masaru Kogyo Kk 管継手および管継手用のグリップリン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4578U (ko) * 1978-08-28 1980-03-05
JPS57126688U (ko) * 1981-01-30 1982-08-06
KR960002353U (ko) * 1994-06-09 1996-01-19 권윤노 원터치 삽입식 관연결구
JPH08135866A (ja) * 1994-11-15 1996-05-31 Osaka Gas Co Ltd 柔軟管接続継手
JPH09189385A (ja) * 1995-09-28 1997-07-22 Masaru Kogyo Kk 管継手および管継手用のグリップリン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512B1 (ko) 2009-04-16 2011-09-21 김사현 고압호스용 커플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1019A (ko) 200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87264C (fi) Roerkoppling
KR20120006296A (ko) 소켓 일체형 합성수지 관의 연결구조
KR100515135B1 (ko) 용수 연결부재에 연질수지관의 밀봉 결합구조
KR200304136Y1 (ko) 용수 연결부재에 연질수지관의 밀봉 결합구조
JP2008208898A (ja) ホース接続のフランジ式コネクタ
KR101773751B1 (ko) 파이프 연결소켓
KR100308564B1 (ko) 관 연결구
KR20190021677A (ko) 이탈 방지용 합성수지관 이음장치
KR101656219B1 (ko)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성형장치
JP2006500527A (ja) 管を取り付けるための一体型端部取付具
JPH1130367A (ja) 管継手
KR100408930B1 (ko) 가요관 연결용 조인트
KR200211198Y1 (ko) 파이프 연결구조
WO2006112604A1 (en) Rubber packing for pipe connection
KR20050074383A (ko) 수지재 용수관의 밀봉 연결구조
KR101676735B1 (ko)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JP2001311492A (ja) 差込式管継手
KR200179789Y1 (ko) 관 밀봉구
JPH0491A (ja) ホース接続構造
JPH02159492A (ja) ホース口金具
KR200302177Y1 (ko) 나선관용 이음구 연결장치
KR200394633Y1 (ko) 수지재 용수관의 밀봉 연결구조
KR200347851Y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KR100597262B1 (ko) 나선관용 이음구 연결장치
JP2934734B2 (ja) 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