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3859B1 - 급수관 포켓을 설치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장치. - Google Patents

급수관 포켓을 설치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3859B1
KR100663859B1 KR1020050076696A KR20050076696A KR100663859B1 KR 100663859 B1 KR100663859 B1 KR 100663859B1 KR 1020050076696 A KR1020050076696 A KR 1020050076696A KR 20050076696 A KR20050076696 A KR 20050076696A KR 100663859 B1 KR100663859 B1 KR 100663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pipe
pocket
supply pip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6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희남
Original Assignee
조희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희남 filed Critical 조희남
Priority to KR1020050076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38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2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by means of vertical pipe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5Keeping wells in good condition, e.g. by cleaning, repairing, regenerating; Maintaining or enlarging the capacity of wells or water-bearing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3/00Sealing or packing boreholes or wells
    • E21B33/02Surface sealing or packing
    • E21B33/03Well heads; Setting-up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수를 채수하기 위해 굴착한 지하수 심정에 설치되는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에 있어서, 급수관 포켓을 설치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하수 심정 내외부간을 완벽하게 밀폐시키기 위해서는 지하수 심정 밀폐형 상부보호공과 지하에 삽입되어 지표면 상단까지 인출된 아웃케이싱간을 밀접하게 차폐시키는 것도 중요하다 하겠으나 토출관과 급수관을 어떻게 좁은 밀폐식 상부보호공 하우징 내에서 결합하고 심정 펌프와 양수파이프의 설치나 인양시 불편이 없도록 할 것이냐도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외주면에 급수관 포켓을 설치하고 이 급수관 포켓 내부에 호스 주름관을 설치하고 그 끝단에 호스연결구를 설치하여 토출관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직경이 좁은 밀폐식 상부보호공의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토출관과 급수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지하수 심정 펌프의 설치와 인양시 급수관이 방해되지 않도록 한 급수관 포켓을 설치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급수관 포켓을 설치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omitted}
도 1 은 본 발명을 적용한 급수관 포켓을 설치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급수관 포켓에 설치한 걸림턱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호스 급수관을 심정덮개에 바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밀폐식 상부보호공 하우징 2: 상부덮개 3: 팩킹 4: 볼트
5: 수위측정관마개 6: 수위측정관 7: 심정덮개 8: 하부받침
9: 양수파이프 10: 연결후렌지 11: 급수관 포켓 12: 동력케이블소켓
13: 공기호흡관소켓 14: 급수관 엘보우 15: 수위측정관가이드 16: 급수관소켓
17: 호스주름관 18: 하우징후렌지 19: 첵크밸브 20: 수량계 21: 퇴수콕
22: 토출관 23: 호스연결구 24: 외부케이싱 25: 상부후렌지
26; 하부후렌지 27: 결합볼트 28: 보온재 29: 연결게이싱 30: 걸림턱
본 발명은 지하수를 채수하기 위해 굴착한 지하수 심정에 설치되는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장치에 있어서,
급수관 포켓을 설치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하수 심정 덮개장치를 심정 내외부간을 완벽하게 밀폐시키기 위해서는 지하수 심정 덮개와 지하에 삽입되어 지표면 상단까지 인출된 아웃케이싱간을 밀접하게 차폐시키는 것도 중요하다 하겠으나 양수파이프로부터 밀폐덮개를 통과한 급수관을 어떻게 결합하느냐에 따라 상부보호맨홀의 크기와 구조가 결정될 수 있어 이것 또한 중요한 요소라 하겠다.
종래 밀폐식 상부보호공 내부에서 양수파이프와 연결된 토출관을 급수관과 연결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한 방법으로서 호스카프링이나 유니언 연결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연결방법은 간단한 공구나 수작업을 통해 밀폐식 상부보호공 내부에서 두 배관을 결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두 배관이 한 공간내부에 존재하게 됨으로서 과도한 직경을 가질 수 밖에 없었으며 심정펌프를 인양하거나 설치할 경우 한쪽에 분리되어 위치하게 되는 급수관이 심정펌프나 양수파이프, 그리고 양수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후렌지에 걸리게 되어 작업이 원활하게 이어질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급수관의 파손위험 또한 높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밀폐식 상부보호공에 대한 여러 기술과 장치들이 개발되어 상부보호공 장치를 직경이 작은 형태로 개발은 진척이 된 바 있다. 그 러나 작업의 편의성을 높이고 수량계와 첵크밸브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밀폐식 상부보호공 옆에 별도의 보호용 맨홀을 설치하거나 양수옥 내부에 수량계와 첵크밸브 그리고 게이트밸브를 설치하도록 구성하게 됨으로써 오히려 상부보호공 장치는 밀폐형으로 되면서 단순화되어지는 반면 부속 구성장치들은 복잡해지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음은 물론, 부속 구성장치를 형성하기 위한 비용이 증가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을 또한 갖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것으로,
밀폐형 상부보호공 하우징에 별도의 구획된 공간인 급수관포켓을 구성하여 급수관을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의 외관은 그 직경을 작게 유지하면서도 토출관과 급수관과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하여 심정펌프의 인양과 설치과정에서의 작업불편성이 제거되는 반면 토출관과 급수관의 결합의 편의성은 높일 수 있도록 한 급수관 포켓을 설치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수량계와 첵크밸브, 그리고 퇴수콕을 밀폐식 상부보호공 하우징 내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구성을 단순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결과적으로 밀폐형 상부보호공 하우징의 직경을 작게 유지하면서도 그 내부에 토출관과 급수관의 결합을 호스카프링이나 유니언등을 사용하여 그 결합을 간편하고 단순하게 하여 밀폐식 상부보호공 전체의 구조와 구성을 단순화 시킴은 물론 부속설비인 수량계와 첵크밸브, 퇴수콕이 충분히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을 적용한 급수관 포켓을 설치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을 도면에 의해 그 구성을 설명하면,
지하수 심정에 오염된 지표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그라우팅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그라우팅 차수벽이 형성되어지게 하면서 지표면 상부까지 인출된 아웃케이싱(24) 상단에 대체적으로 밀폐형 상부보호공하우징(1)을 결합하기 위한 하부후렌지(26)가 위치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밀폐형 상부보호공 하우징(1)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아웃케이싱(24)의 끝단부에 가공된 하부후렌지(26)를 용접 또는 접합하여 평탄면을 형성하게 하고 그 상부에 고무팩킹을 올려놓은 뒤 밀폐형 상부보호공하우 징(1)에 부착된 상부후렌지(25)를 볼트결합을 통해 고정하게 된다. 물론 상부후렌지(25)와 하부후렌지(26)가 없는 상태에서 직접 밀폐식 상부보호공 하우징(1)과 아웃케이싱(24)을 용접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지하수를 채수하기 위해 형성한 지하수 심정에 사용하는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에 있어서,
지하수 심정의 아웃케이싱(24)에 결합된 밀폐식 상부보호공 하우징(1)과;
양수파이프(9)와 연결된 토출관을 구성한 심정덮개(7);
심정덮개(7)가 안착하도록 한 하부받침(8);
심정덮개(7)에 연결되도록 결합된 호스 급수관(17);
밀폐식 상부보호공 외주연에 호스급수관(17)이 내장되도록 구성한 급수관 포켓(11);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밀폐식 상부보호공하우징(1) 내면에는 밀폐식 상부보호공 하우징(1) 내경보다 약간 작게 내경이 형성되고 충분한 하중을 견딜 수 있는 두께를 갖는 하부받침(8)을 아웃케이싱(24)에 별도의 연결케이싱(29)을 설치하여 구성한다. 물론 하부받침(8)은 아웃케이싱(24)에 별도의 연결케이싱(29)을 설치하지 아니하고 아웃케이싱(24)과 그 내부직경을 갖게 하면서 밀폐식 상부보호공하우징(1)의 내경을 더 크게 하여 구성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하부막음단(31)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하부막음단(31)역시 하부받침과 그 목적은 동일하다. 하부받침(8)에는 양수파이프(9)를 지탱해 줄 수 있도록 심정덮개(7)가 걸쳐지게 하고 심정덮개(7)를 관통하여 토출관(22)이 구성되도록 한다. 물론, 하부막음단(31) 위에 바로 심정덮개(7)를 안착시키고 결합시킴으로써 같은 목적을 달성시킬 수 있음도 가능하다 하겠다. 심정덮개(7)에는 첵크밸브((19)와 수량계(20)가 연이어 결합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토출관(22)의 상단에는 양수되는 지하수를 일부 취수하여 수질검사를 하거나 심정펌프가 정지된 상태에서도 높은 수압이 배관 내부에 유지되고 있는 토출관과 급수관을 해제할 경우 해제순간 발생되는 수압에 의한 반발력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배관 내부의 물을 퇴수 시키기 위한 퇴수콕(21)을 설치한다. 물론, 심정덮개(7)에는 심정펌프를 가동시키기 위해 전기를 공급해 주는 동력케이블을 관통시키기 위한 홀과 수위측정관(6)을 설치하기 위한 관통 홀을 별도 구성한다. 대체적으로 심정덮개(7)에 연결된 토출관(22)은 일반적으로 스텐레스강 재질의 파이프를 사용하게 된다.
심정덮개(7)의 형태는 통상 원판형을 취하나 "H"자 형태의 형강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하부받침(8)이나 하부 막음판(31)에 안착하여 심정펌프나 양수파이프(9)의 하중을 견디며 받쳐줄 수 있고 수위측정관(6)이나 동력케이블의 설치에 불편이 없는 구조이면 여하한 형태도 가능하다 하겠다. 이러한 경우 별도의 수위측정관(6)이나 동력케이블 등의 통과를 위한 관통 홀을 구성할 필요는 없다 할 것이며 양수파이프(9)에 고정되는 통상의 클램프 형태의 모양을 취 한다 보면 될 것이다.
밀폐식 상부보호공 하우징(1)의 외주연에는 급수관(17)을 내장할 수 있는 너비를 갖는 급수관 포켓(11)을 용접하여 부착할 수 있도록 절단하여 개구부를 형성한 후 반타원형 또는 "" 형태로 절곡한 급수관포켓(11)을 고정한다. 급수관 포켓 (11)은 그 상 하단을 각각 폐쇄하여 막음처리하고 상단부에 밀폐식 상부보호공 하우징(1)과 맞닿는 내면에는 걸림턱(30)을 형성하고 급수관 포켓(11) 하부에는 급수관 소켓(16)을 설치하고 측면 중에는 공기호흡관을 연결하기 위한 공기호흡관 소켓(13)과 동력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동력케이블 소켓(12)을 설치한다. 급수관 포켓(11)의 걸림턱(30)은 호스급수관(17)을 토출관(22)과 분리하였을 때 호스 급수관(17)이 밀폐식 상부보호공 하우징(1) 내부로 삐쳐나와 흔들거림으로써 심정펌프와 양수파이프(9)의 설치와 인양시 부딪히거나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하기 위해 약간 힘을 주어 수축시킨 후 걸림턱(30) 안쪽에서 이완시켰을 때 걸림턱(30) 안쪽의 급수관포켓(11) 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밀폐식 상부보호공 하우징(1) 내주면과 급수관 포켓(11) 내주면에는 보온재(28)를 붙이도록 함으로써 동절기 내부 구성 배관에서의 동파를 예방하도록 하였다. 물론 별도의 통상적으로 사용하여 오는 동파방지용 열선을 밀폐식 상부보호공 내부에 설치하여 동파예방 효과를 갖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스텐레스 강재로 된 토출관(22)이 없는 상태에서 심정덮개(7)에 호스연결구(23)를 구성시키고 호스 급수관(17)을 일반 고압고무호스나 고압나일론 호스등을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심정펌프나 양수파이프(9) 인양이나 설치시 심정덮개(7)가 하부받침(8)에 안착되기전에 결합을 완료하도록 하여 스텐레스 강재로 된 토출관(22)을 구성하였을 때 보다 호스연결구(23)의 위치를 더 낮게 할 수 있고 이때 그 구성요소를 단순화시키는 효과도 구할 수 있게 한다.
미설명 부호 2는 상부보호공하우징(1)의 상부덮개이며 3은 팩킹 4는 볼트이 며 5는 수위측정관 마개, 18은 하우징후렌지이다. 또한, 14는 급수관 엘보우,15는 수이측정관(6)이 통상적으로 연성이 있는 호스를 사용함으로써 수직성을 보완하도록 설치되는 수위측정관가이드이며 10은 양수파이프의 연결후렌지이며 27은 결합볼트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밀폐식 상부보호공 하우징(1) 내부와 연결된 별도의 공간으로 구성된 급수관 포켓(11)을 설치하여 종래 토출관(22)과 호스급수관(17)을 동일한 공간인 밀폐식 상부하우징(1) 내부에 함께 구성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밀폐식 상부보호공하우징(1)의 직경을 과대하게 할 수 밖에 없음으로써 운반과 설치에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요될 수 밖에 없었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밀폐식 상부보호공 하우징(1) 내부에 첵크밸브(19)와 수량계(20) 그리고 퇴수콕(21)을 모두 구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량계(20)와 첵크밸브(19)를 설치하기 위해 밀폐식 상부보호공 하우징(1) 옆에 별도의 보호용 맨홀을 설치하거나 양수옥을 건축할 수 밖에 없었던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 밀폐식 상부보호공 하우징(1)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인력과 시간, 그리고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기술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 매우 유용한 발명이 된 것이다.

Claims (6)

  1. 지하수를 채수하기 위해 형성한 지하수 심정에 사용하는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에 있어서,
    지하수 심정의 아웃케이싱(24)에 결합된 밀폐식 상부보호공 하우징(1)과;
    양수파이프(9)와 연결된 토출관을 구성한 심정덮개(7);
    심정덮개(7)가 안착하도록 한 하부받침(8);
    심정덮개(7)에 연결되도록 결합된 호스 급수관(17);
    밀폐식 상부보호공 외주연에 호스급수관(17)이 내장되도록 구성한 급수관 포켓(11);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관 포켓을 형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심정덮개(7)에는 첵크밸브(19)와 수량계(20)를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관 포켓을 형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급수관 포켓(11)에는 급수관소켓(16)과 연결되고 호스연결구(23)를 갖는 호스급수관(17)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관 포켓을 형성한 지하수 심정 밀 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내주면에는 보온재(28)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급수관 포켓을 형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토출관(22)에는 퇴수콕(21)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관 포켓을 형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급수관 포켓(11)에는 호스급수관(17)의 호스연결구(23)를 급수관포켓(11)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는 걸림턱(30)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관 포켓을 형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KR1020050076696A 2005-08-22 2005-08-22 급수관 포켓을 설치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장치. KR100663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696A KR100663859B1 (ko) 2005-08-22 2005-08-22 급수관 포켓을 설치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696A KR100663859B1 (ko) 2005-08-22 2005-08-22 급수관 포켓을 설치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117U Division KR200400667Y1 (ko) 2005-06-24 2005-08-22 급수관 포켓을 설치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3859B1 true KR100663859B1 (ko) 2007-01-09

Family

ID=37866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6696A KR100663859B1 (ko) 2005-08-22 2005-08-22 급수관 포켓을 설치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385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578B1 (ko) 2009-06-01 2010-01-20 주식회사 지앤지테크놀러지 수위측정관용 유도 포켓관을 케이싱 외주부에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KR100976774B1 (ko) * 2010-01-05 2010-08-18 (주) 형제 지하수 보호 관정
KR101110266B1 (ko) 2008-12-19 2012-02-15 지에코 주식회사 지하수 관정 상부 밀폐 보호 장치
KR101106525B1 (ko) 2009-04-08 2012-02-24 큰산기술 주식회사 일체형 지하수공의 상부 보호장치
KR101138739B1 (ko) * 2010-10-29 2012-04-24 김동윤 지하수 상부 보호공의 배관 연결장치
KR102032660B1 (ko) 2018-12-26 2019-10-15 김동윤 지하수 관정설비의 배관장치
KR102032672B1 (ko) 2019-01-10 2019-10-15 김동윤 지하수 관정설비의 배관 커플러 장치
KR102107335B1 (ko) 2019-05-29 2020-05-06 김동윤 지하수 관정설비의 배관 커플러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266B1 (ko) 2008-12-19 2012-02-15 지에코 주식회사 지하수 관정 상부 밀폐 보호 장치
KR101106525B1 (ko) 2009-04-08 2012-02-24 큰산기술 주식회사 일체형 지하수공의 상부 보호장치
KR100937578B1 (ko) 2009-06-01 2010-01-20 주식회사 지앤지테크놀러지 수위측정관용 유도 포켓관을 케이싱 외주부에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KR100976774B1 (ko) * 2010-01-05 2010-08-18 (주) 형제 지하수 보호 관정
KR101138739B1 (ko) * 2010-10-29 2012-04-24 김동윤 지하수 상부 보호공의 배관 연결장치
KR102032660B1 (ko) 2018-12-26 2019-10-15 김동윤 지하수 관정설비의 배관장치
KR102032672B1 (ko) 2019-01-10 2019-10-15 김동윤 지하수 관정설비의 배관 커플러 장치
KR102107335B1 (ko) 2019-05-29 2020-05-06 김동윤 지하수 관정설비의 배관 커플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3859B1 (ko) 급수관 포켓을 설치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장치.
US5775842A (en) Double containment under ground piping system
WO2012031543A1 (zh) 潜水电泵的电缆干式出线装置
KR100889357B1 (ko) 지중 배전용 배관파이프 방수구조
CN108505540B (zh) 一种管廊专用埋地阀门井
AU2014200967B2 (en) A Pipeline Leak Detection System
KR200400667Y1 (ko) 급수관 포켓을 설치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장치.
US20100044971A1 (en) Apparatus for a sealing fitting assembly
KR200388001Y1 (ko) 케이블 교체설치가 가능한 밀폐형 상부보호공 장치.
KR200388000Y1 (ko) 전기신호를 이용한 수도계량기를 내장한 지하수 심정밀폐형 상부보호공 장치.
CN205580561U (zh) 一种适用于污水水位监测的投入式液位传感器保护装置
KR100561239B1 (ko) 밀폐형 심정 덮개장치.
CN210069179U (zh) 一种建筑防水施工管道
KR200415971Y1 (ko) 부력볼밸브를 장착한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상부덮개.
KR200329458Y1 (ko) 다수개의 급수배관 연결구를 갖는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
CN206706984U (zh) 一种一体化预制小型pe泵站
KR101961095B1 (ko) 지하수 상부 보호캡
JP2014163401A (ja) 給水管接続部の防蝕構造
CN204962112U (zh) 燃气入户管绝缘截断沉降补偿装置
KR200444054Y1 (ko) 지중구조물 조립식 관로구
KR100778276B1 (ko) 관정용 수중모터 제어박스 시공장치
CN209608298U (zh) 一种用于室外火警线路的模块化拉线手井
CN218052163U (zh) 一种双层管连接组装装置
CN210014141U (zh) 一种燃气管道保护装置
CN220137953U (zh) 一种射频电缆的高性能密封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