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2357A - 듀얼 클래퍼 알람밸브 - Google Patents

듀얼 클래퍼 알람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2357A
KR20120012357A KR1020100074463A KR20100074463A KR20120012357A KR 20120012357 A KR20120012357 A KR 20120012357A KR 1020100074463 A KR1020100074463 A KR 1020100074463A KR 20100074463 A KR20100074463 A KR 20100074463A KR 20120012357 A KR20120012357 A KR 20120012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pper
dual
circular
alarm
seat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청균
Original Assignee
김청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청균 filed Critical 김청균
Priority to KR1020100074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2357A/ko
Publication of KR20120012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3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4Hydraulic or pneumatic actuation of the alarm, e.g. by change of fluid 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Check Valves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로 인해 스프링클러가 작동하거나, 또는 배관 연결부의 누수에 의해 2차측 수압이 떨어지게 되면 닫혀있던 듀얼 클래퍼가 양쪽으로 동시에 열리면서 체류하고 있던 물은 2차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듀얼 클래퍼의 상면에 설치된 각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신호 데이터는 알람스위치로 보내져 경보장치가 신속하게 작동하고, 스트레이너를 시트링의 하면에 설치하여 이물질을 원천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시트링이나 듀얼 클래퍼 연결부의 작동불량에 따른 누수나 경보장치의 오작동이 없어지고, 듀얼 클래퍼는 회전반경이 반으로 줄어들므로 전고가 낮아지고 가벼워지며, 개폐시간이 그만큼 짧아져 신속한 화재경보가 가능해지고, 듀얼 클래퍼와 시트링을 하나의 조립몸체로 알람밸브의 몸체에 장착하기 때문에 밀봉부의 접촉이 정확해져 밀봉효과가 우수하고, 조립공차가 줄어들어 유지보수가 유리하며, 압력게이지를 플랜지에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알람밸브의 전체높이와 무게를 추가로 줄일 수 있고, 몸체에 대해 수직면이 되도록 형성한 장방형 플랜지에 투명커버를 설치하여 내부에 낀 이물질이나 고장여부, 듀얼 클래퍼의 개폐정도 확인이 용이해졌고, 시트링과 몸체 사이에서 더블오링을 압착하므로 조립이 간단하고 누수가능성이 없어지고, 각도센서 시스템 설치로 신속하고 정확한 디지털 신호에 의해 오작동이 없고 화재경보에 높은 신뢰성을 갖도록 구성된 듀얼 클래퍼 알람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듀얼 클래퍼 알람밸브{Duel clapper alarm valve}
본 발명은 듀얼 클래퍼 알람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으로 스프링클러 시스템에서 물이 뿌려지면 2차측 수압은 떨어지고, 닫혀있던 듀얼 클래퍼는 양쪽으로 동시에 열리면서 체류하고 있던 물은 1차측에서 2차측으로 흐르게 되고, 듀얼 클래퍼의 상면에 설치된 각도센서에서 감지된 개폐신호 데이터는 알람스위치로 보내져 경보장치를 신속하게 작동하므로 오염물질이나 급격한 수압상승에 의한 경보장치의 오작동을 차단할 수 있어 화재경보 시스템의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듀얼 클래퍼의 회전반경이 반으로 줄어들므로 알람밸브의 전체높이, 설치공간, 중량 모두가 줄어들고, 듀얼 클래퍼의 개폐시간이 단축되므로 신속한 화재경보가 가능하고, 듀얼 클래퍼와 시트링을 핀과 스냅링으로 조립한 하나의 조립체를 알람밸브의 몸체에 넣고 나사로 체결함으로써 조립공차가 줄어들고, 조립공정이 간편하며, 시트링과 몸체 사이에 더블오링을 삽입하여 밀봉하므로 누수 차단효과가 대단히 우수하고,
또한, 시트링의 하면에 설치된 스트레이너에 의해 물속에 혼입된 이물질의 통과를 배제할 수 있으므로 듀얼 클리퍼 및 시트링의 작동부에 오염물질이 끼어들 개연성은 줄어들고,
또한, 1차측 및 2차측 압력게이지 연결용 체결구멍을 플랜지에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알람밸브의 높이와 무게를 추가적으로 줄일 수 있고,
또한, 몸체의 전면에 장방형 플랜지와 투명커버를 설치함으로써 듀얼 클래퍼와 시트링의 설치와 수리, 내부에 끼어있는 이물질 및 고장유무 확인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듀얼 클래퍼 알람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알람밸브는 1차측과 2차측의 수압균형에 의해 클래퍼가 닫혀 있다가 화재가 발생하면 스프링클러 헤드는 물을 뿌리게 된다. 수압균형은 클래퍼의 하면이 시트링의 원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을 막아 알람밸브의 작동을 차단하지만, 수압균형이 깨지면 클래퍼는 열리고 수압차는 알람스위치로 전달되어 알람은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그러나, 이들 구멍에 각종 오염물질이 끼이면서 클래퍼는 정상적으로 열렸음에도 불구하고 막힌 구멍을 통해 수압차가 알람스위치에 정상적으로 전달되지 못하기 때문에 알람이 울리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문제가 되었다. 또한,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2차측의 누수에 의해 1차측의 충압펌프가 작동하면서 상승된 충격압력에 의해 클래퍼가 순간적으로 열려 알람스위치가 울리는 오작동 문제가 종종 발생하였다.
또한, 원형의 클래퍼는 회전반경이 크기 때문에 알람밸브의 전체적인 크기가 증가하면서 더 많은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고, 1차측과 2차측의 압력게이지를 연결하기 위한 공간을 별도로 확보해야 하고, 오염물질이 끼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오작동이나 고장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항상 금속커버를 개방해야 하는 문제, 원형의 금속커버를 설치하기 위해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무게가 많이 나가는 문제, 클래퍼와 시트링을 서로 다른 몸체에 고정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부정확한 조립과 유격에 의한 누수문제, 오염물질이 혼입된 유체가 클래퍼의 밀봉부에 침입하여 오작동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알람밸브는 정상적으로 작동을 해야 하는 경우에 알람스위치는 작동하지 않고, 누수나 펌프의 비정상적인 압력상승이 발생해도 알람스위치가 작동하기 말아야 하는 경우는 작동하는 오작동 문제가 현안으로 대두되었으며, 원형 클래퍼의 개폐형식과 압력게이지의 설치에 따른 알람밸브의 높이가 높아져 공간 확보는 어려워졌고, 경량화 및 유지보수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오염물질이 클래퍼나 시트링의 작동부에 끼여서 알람스위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문제, 클래퍼와 시트링을 서로 다른 몸체에 고정하기 때문에 부정확한 조립과 연결부의 유격에 의해 발생하는 누수문제, 펌프의 예상치 못한 순간 충격압력으로 오작동을 일으키는 알람스위치를 작동하지 못하도록 제어하여 알람밸브의 오작동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다.
또한, 클래퍼의 큰 회전반경에 의해 알람스위치를 작동하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 알람밸브의 설치공간을 많이 확보해야 하는 문제, 오염물질의 유입을 배제하거나 눈으로 직접 확인해야 하는 문제, 경량화 및 시공시간 단축 등의 문제는 디지털 신호를 제공하는 각도센서를 장착한 듀얼 클래퍼 시스템을 설치하고, 플랜지에 1차측 및 2차측 압력게이지의 체결구멍을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시트링의 하단부에 스트레이너를 설치하여 알람경보의 신속한 작동과 예상치 못한 오작동을 방지하고, 투명커버를 개방하지 않고도 오염물질을 확인할 수 있는 듀얼 클래퍼 알람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시트링의 하면에는 오염물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스트레이너를 설치하고, 상면에는 원형돌출부를 형성하여 듀얼 클래퍼의 하면에 형성한 원형요철부와의 접촉에 의해 밀봉성을 확보하고, 측면에는 그루브를 형성하여 삽입한 더블오링을 알람밸브의 몸체와 나사로 체결함으로써 고압 밀봉성과 체결력을 확보하고,
또한, 듀얼 클래퍼의 상면에는 알람스위치와 연결된 각도센서를 설치하여 듀얼 클래퍼의 개방에 따른 알람경보를 오작동 없이 신속하게 울리도록 하고, 듀얼 클래퍼와 시트링을 핀과 스냅링으로 연결한 일체형 조립체를 알람밸브의 몸체에 나사로 고정하고,
또한, 상부와 하부의 플랜지 중간부에 압력게이지용 체결구멍을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알람밸브의 높이와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몸체의 전면에 형성된 장방형 플랜지에 투명커버의 설치로 듀얼 클래퍼와 시트링의 조립과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내부에 끼어있는 이물질 및 고장확인이 용이하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시트링의 상면에는 테이퍼 형상의 원형돌출부를 형성하고, 원형클래퍼의 하면에는 원형패킹이 삽입된 원형요철부와, 상면의 중심부에는 소유동구와 테이퍼 형상의 원형돌출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원형클래퍼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각도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소유동구가 형성된 원형돌출부에 접하여 밀봉하도록 구성된 또 다른 보조 원형클래퍼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시트링의 상면에는 테이퍼 형상의 원형돌출부를 형성하고, 원형클래퍼의 하면에는 원형패킹이 삽입된 원형요철부, 중심부에는 볼 체크밸브, 상면에는 각도센서를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트링의 하단부에 스트레이너를 설치하고, 시트링과 몸체 사이에 더블오링을 넣어 조립하고, 클래퍼를 양쪽으로 동시에 개방할 수 있는 듀얼타입으로 구성하고, 듀얼 클래퍼의 상면에 각도센서를 설치하고, 듀얼 클래퍼와 시트링을 핀과 스냅링으로 조립하여 하나의 몸체를 형성하고, 압력게이지를 설치하기 위한 체결구멍을 상부와 하부 플랜지에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알람밸브로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므로 시트링과 듀얼 클래퍼의 작동부에 개입하는 이물질이 줄어들어 알람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각도센서와 듀얼 클래퍼 사용으로 알람경보의 신속한 작동과 소형화 및 경량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더블오링 사용으로 고압수 누설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고, 듀얼 클래퍼와 시트링을 핀과 스냅링으로 연결한 하나의 조립체를 장방형 플랜지와 투명커버로 몸체와 조립하고, 이것들을 나사로 체결함으로써 정밀한 조립이 가능하고, 작동상태와 이물질 혼입여부를 눈으로 확인하면서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알람밸브에 듀얼 클래퍼의 사용으로 회전반경이 반으로 줄어들고, 압력게이지를 설치하기 위한 체결구멍을 플랜지에 설치하고, 장방형 플랜지를 설치함으로써 알람밸브의 전체높이와 무게를 크게 줄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 알람밸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듀얼 클래퍼 알람밸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더블 클래퍼 알람밸브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볼체크 알람밸브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존의 알람밸브(100)에서 1차측과 2차측의 수압균형으로 닫혀있던 클래퍼(10)는 1차측의 수압증가 또는 2차측의 수압저하로 균형이 깨지면서 열리고, 그 결과로 상기 클래퍼(10)의 하면에 의해 시트링(11)의 원주면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12)이 처음에는 막혀 있다가 열리면서 형성된 수압에 의해 알람스위치(13)가 작동함으로써 경보가 울리고, 1차측과 2차측의 수압이 균형을 되찾으면 열렸던 클래퍼(10)는 자중에 의해 다시 닫힌다.
또한, 상기 알람밸브(100)의 하단플랜지(14) 바로 위쪽에는 1차측 압력게이지(15)와, 상단플랜지(16)의 바로 아래쪽에는 2차측 압력게이지(17)를 설치하여 수압을 측정하고, 클래퍼(10)를 설치한 부근의 몸체(18)에 배수구(19)를 설치하여 2차측의 유수를 방출한다.
또한, 스프링클러 헤드를 포함한 배관 등의 2차측에서 누수가 발생하기 때문에 작동하는 충압펌프의 수압상승으로 인해 잘못된 경보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볼 체크밸브(20)를 상기 클래퍼(10)의 중심부에 설치하여 볼(21)의 위아래 이동으로 충격수압에 대응하는 구조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듀얼 클래퍼 알람밸브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듀얼 클래퍼 알람밸브(200)의 몸체(18) 하단부에 형성한 하단플랜지(14)의 중간부에 1차측 압력게이지(15)를 조립하기 위한 체결구멍(30)을 형성하고, 상기 하단플랜지(14)의 위쪽 연장선에 형성된 암나사(31)에 시트링(11)의 끝단 외경측면에 형성된 수나사(32)로 체결하고, 상기 시트링(11)의 상단 외경측면에 그루브(33)를 형성하여 삽입한 더블오링(34)의 압착력에 의해 몸체(18)와의 사이로 빠져나가려는 누수를 차단한다.
또한, 상기 시트링(11)의 상면 유동구(35) 인근에 테이퍼 형상의 원형돌출부(36)를 설치하고, 상기 원형돌출부(36)의 연장선 가장자리 양쪽에 힌지컬럼(37,37')을 설치하여 하측듀얼클래퍼(38)와 상측듀얼클래퍼(39)의 일측 끝단에 설치한 각각의 힌지바(40,40')에 핀(41,41')과 한 쌍의 스냅링(42,42')으로 각각 조립하여 하측 및 상측 듀얼클래퍼의 자유로운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 구조이다.
또한, 상기 하측듀얼클래퍼(38)의 중심부 끝단에 형성된 기다란 하측단(43)에 상측듀얼클래퍼(39)의 중심부 끝단에 설치한 기다란 상단측(44)에 부착된 패킹(45)과 접하면서 밀봉작용을 하도록 하고, 상기 하측듀얼클래퍼(38)의 상면과 상측듀얼클래퍼(39)의 상면에 각도센서(46,46')를 각각 설치하여 듀얼 클래퍼의 개도와 연계된 경사각도 신호를 알람스위치(13)로 보내져 경보가 작동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측듀얼클래퍼(38)와 상측듀얼클래퍼(39)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서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테이퍼 형상의 원형요철부(47,47') 사이 공간에 형성된 그루부(33)에 삽입한 원형패킹(48)을 상기 시트링(11)의 상면 내측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원형돌출부(36)와 접하면서 밀봉작용을 한다.
또한, 듀얼 클래퍼 알람밸브(200)의 정면을 향한 몸체(18)의 중간부 원통형상을 따라서 앞쪽으로 쭉 빼낸 구조물 형상을 수직으로 절단함으로써 형성된 장방형 플랜지(49)에 가스켓(50)을 대고 투명커버(51)를 덮은 상태에서 볼트(52)로 체결하여 내부의 작동상태와 유체유동, 이물질의 축적여부를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8)의 최상단에 형성된 상단플랜지(16)의 중간부에 체결구멍(30)을 설치하여 체결된 2차측 압력게이지(17)로 유출압력을 측정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된 듀얼 클래퍼 알람밸브(200)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더블 클래퍼 알람밸브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특징은 시트링(11)의 외경측면에 형성된 그루브(33)에 삽입한 더블오링(34), 하단플랜지(14)와 1차측의 체결구멍(30), 상단플랜지(16)와 2차측의 체결구멍(30), 알람밸브의 몸체(18), 장방형 플랜지(49)와 투명커버(51) 시스템은 도 2와 동일하고, 여기에 상기 시트링(11)의 하면에는 환형단(53)을 형성하여 스트레이너(54)를 조립하고, 상면에는 유동구(35)에 인접한 테이퍼 형상의 원형돌출부(36)를 설치하고, 상기 원형돌출부(36)의 연장선 가장자리 한쪽에 한 쌍의 힌지컬럼(37,37')을 설치하여 원형클래퍼(55)의 가장자리 끝단에 설치한 한 쌍의 힌지바(40,40')에 핀(41)을 끼워서 스냅링(42,42')으로 조립하고,
또한, 상기 시트링(11)의 상면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원형돌출부(36)에 상기 원형클래퍼(55)의 하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원형요철부(47,47')와 접하도록 조립하고, 상기 원형요철부(47,47')의 사이 공간에 원형패킹(48)을 삽입하여 밀봉작용을 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원형클래퍼(55)의 상면 중심부에 소유동구(56)를 형성하고, 상기 소유동구(56)의 연장선에 접하여 형성한 테이퍼 형상의 원형돌출부(36')에 보조 원형클래퍼(57)의 하면에 형성된 원형요철부(47,47')의 사이 공간에 삽입된 원형패킹(48)과 접하여 밀봉작용을 하도록 조립하고, 상기 보조 원형클래퍼(57)의 가장자리 끝단에 기다란 힌지바(40'')를 형성하여 한 쌍의 힌지컬럼(37,37') 사이에 넣고 핀(41)과 스냅링(42,42')으로 체결한 보조 원형클래퍼(57)는 누수로 인한 충압펌프의 작동과 이에 따른 수압상승으로 인한 경보장치의 오보발생을 차단하고, 상기 원형클래퍼(55)의 상면에 각도센서(46)를 설치하여 원형클래퍼(55)의 개도에 따른 경사각도 신호를 알람스위치(13)로 보내어 정상적인 경보가 작동하도록 구성된 더블 클래퍼 알람밸브(300)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볼체크 알람밸브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특징은 시트링(11)의 외경측면에 형성된 그루브(33)에 삽입한 더블오링(34), 하단플랜지(14)와 1차측의 체결구멍(30), 상단플랜지(16)와 2차측의 체결구멍(30), 알람밸브의 몸체(18), 장방형 플랜지(49)와 투명커버(51) 시스템은 도 2와 동일하고, 여기에 시트링(11)의 하면에는 환형단(53)을 형성하여 스트레이너(54)를 설치하고, 상면에는 안쪽의 유동구(35) 인근에 테이퍼 형상의 원형돌출부(36)를 설치하고, 상기 원형돌출부(36)의 연장선 가장자리 한쪽에 힌지컬럼(37)을 설치하여 원형클래퍼(55)의 가장자리 끝단에 설치한 한 쌍의 힌지바(40,40')를 핀(41)과 스냅링(42,42')으로 조립함으로써 원형클래퍼(55)의 자유로운 개폐가 가능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원형클래퍼(55)의 상면 중심부에 암나사(31)를 형성하고, 상기 암나사(31)에 볼 체크밸브(20)의 수나사(32)로 체결하여 2차측 배관 및 스프링클러 헤드 연결부의 누수로 인한 충압펌프의 작동과 이에 따른 충격수압 상승으로 인한 경보장치의 오보발생을 차단하고, 상기 원형클래퍼(55)의 상면에 각도센서(46)를 설치하여 원형클래퍼(55)의 개도에 따른 경사각도 신호정보를 알람스위치(13)로 보내어 정상적인 경보가 작동하도록 구성한 볼체크 클래퍼 알람밸브(400)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시트링의 내측경면을 따라서 형성된 원형돌출부의 형상과 개수, 상측듀얼클래퍼와 하측듀얼클래퍼의 가장자리 원주면을 따라서 형성된 원형요철부의 형상과 개수, 상측듀얼클램프의 중심부에 설치한 패킹의 형상, 상측 및 하측의 듀얼클래퍼와 시트링을 체결하는 힌지와 스냅링의 배열순서, 더블오링의 형상과 개수, 각도를 계측할 수 있는 각동 센서의 종류와 설치위치, 수량은 클래퍼 알람밸브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은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10 : 클래퍼 11 : 시트링
12 : 구멍 13 : 알람스위치
14 : 하단플랜지 15 : 1차측 압력게이지
16 : 상단플랜지 17 : 2차측 압력게이지
18 : 몸체 19 : 배수구
20 : 볼 체크밸브 21 : 볼
22 : 금속커버 30 : 체결구멍
31 : 암나사 32 : 수나사
33 : 그루브 34 : 더블오링
35 : 유동구 36,36' : 원형돌출부
37,37' : 힌지컬럼 38 : 하측듀얼클래퍼
39 : 상측듀얼클래퍼 40,40',40'' : 힌지바
41,41' : 핀 42,42' : 스냅링
43 : 하측단 44 : 상측단
45 : 패킹 46,46' : 각도센서
47,47' : 원형요철부 48 : 원형패킹
49 : 장방형 플랜지 50 : 가스켓
51 : 투명커버 52 : 볼트
53 : 환형단 54 : 스트레이너
55 : 원형클래퍼 56 : 소유동구
57 : 보조 원형클래퍼 100 : 알람밸브
200 : 듀얼 클래퍼 알람밸브 300 : 더블 클래퍼 알람밸브
400 : 볼체크 클래퍼 알람밸브

Claims (5)

  1. 하단플랜지(14)와 상단플랜지(16)의 중간부에 1차측 압력게이지(15)와 2차측 압력계(17)를 연결하기 위한 체결구멍(30)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하단플랜지(14)의 위쪽 내경측면에 나사로 체결되는 시트링(11) 측면의 위쪽 외경부에는 그루브(33)를 형성하여 더블오링(34)을 삽입하고, 상면의 유동구(35) 인근에는 테이퍼 형상의 원형돌출부(36)를 설치하고, 상면의 바깥쪽 가장자리에는 양쪽으로 설치한 힌지컬럼(37,37')에 하측듀얼클래퍼(38)와 상측듀얼클래퍼(39)의 일측 끝단에 설치한 한 쌍의 힌지바(40,40')를 핀(41,41')과 스냅링(42,42')으로 각각 조립하여 하측 및 상측 듀얼클래퍼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듀얼 클래퍼 알람밸브(2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듀얼클래퍼(38)의 중심부 끝단에 형성된 하측단(43)을 상측듀얼클래퍼(39)의 끝단에 형성된 상단측(44)에 부착한 패킹(45)과 접하여 밀봉하도록 조립하고, 상기 하측듀얼클래퍼(38)의 상면과 상측듀얼클래퍼(39)의 상면에 각도센서(46,46')를 각각 설치하여 듀얼 클래퍼의 개도신호를 알람스위치(13)로 보내어 알람을 울리는 경보시스템과,
    또한, 상기 하측듀얼클래퍼(38)와 상측듀얼클래퍼(39) 하면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원형요철부(47,47')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그루브(33)에 삽입한 원형패킹(48)에 의해 상기 시트링(11)의 상면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원형돌출부(36)와 접하면서 개폐작용을 하도록 구성한 듀얼 클래퍼 알람밸브 시스템(2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8)의 중간부 원통형상을 따라서 앞쪽으로 쭉 빼내어 수직단면을 절단함으로써 형성된 장방형 플랜지(49)에 가스켓(50)을 넣고 투명커버(51)를 덮어 볼트(52)로 체결한 투명커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링(11)의 하면에는 환형단(53)을 형성하여 스트레이너(54)를 조립하고, 상면에는 유동구(35)에 인접하여 설치한 테이퍼 형상의 원형돌출부(36)에 원형클래퍼(55)의 하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원형요철부(47,47') 사이의 공간에 원형패킹(48)을 넣고 조립하여 서로 접하면서 밀봉을 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시트링(11)의 가장자리에 설치한 한 쌍의 힌지컬럼(37,37')을 원형클래퍼(55)의 가장자리 끝단에 설치한 한 쌍의 힌지바(40,40')에 핀(41)과 스냅링(42,42')으로 조립하고,
    또한, 상기 원형클래퍼(55)의 상면 중심부에 형성한 소유동구(56)와 테이퍼 형상의 원형돌출부(36')에 보조 원형클래퍼(57)의 하면에 원형패킹(48)을 삽입한 원형요철부(47,47')를 형성하여 접하면서 밀봉작용을 하도록 하고, 상기 보조 원형클래퍼(57)의 가장자리 끝단에 설치한 기다란 힌지바(40'')를 한 쌍의 힌지컬럼(37,37') 사이에 넣고 핀(41)으로 조립하고,
    또한, 상기 원형클래퍼(55)의 상면에 설치한 각도센서(46)의 개도신호를 알람스위치(13)로 보내어 경보를 작동하도록 구성한 더블 클래퍼 알람밸브(30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링(11)의 상면 내경쪽으로 설치한 테이퍼 형상의 원형돌출부(36)에 원형클래퍼(55)의 하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원형요철부(47,47')에 원형패킹(48)을 삽입하여 접하도록 조립하고, 상기 시트링(11)의 상면 가장자리 한쪽에 설치한 힌지컬럼(37)에 원형클래퍼(55)의 가장자리 끝단에 설치한 한 쌍의 힌지바(40,40')를 핀(41)과 한 쌍의 스냅링(42,42')으로 함께 조립하고,
    또한, 상기 원형클래퍼(55)의 중심부에 형성된 소유동구(56)에는 나사로 볼 체크밸브(20)를 체결하고, 상면에는 각도센서(46)를 설치하여 확보한 개도신호를 알람스위치(13)로 보내어 경보가 작동하도록 구성한 볼체크 클래퍼 알람밸브(400).
KR1020100074463A 2010-07-31 2010-07-31 듀얼 클래퍼 알람밸브 KR201200123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463A KR20120012357A (ko) 2010-07-31 2010-07-31 듀얼 클래퍼 알람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463A KR20120012357A (ko) 2010-07-31 2010-07-31 듀얼 클래퍼 알람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357A true KR20120012357A (ko) 2012-02-09

Family

ID=45836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463A KR20120012357A (ko) 2010-07-31 2010-07-31 듀얼 클래퍼 알람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235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6878A (zh) * 2020-08-14 2020-11-17 哲弗智能系统(上海)有限公司 分控阀、灭火装置以及消防系统
KR102450380B1 (ko) * 2022-05-11 2022-10-05 (주)도진이앤엠 일제개방형 소방밸브
KR102604391B1 (ko) * 2023-09-12 2023-11-23 주식회사 에프씨인터내셔널 이물질 자가 청소가 가능한 알람체크밸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6878A (zh) * 2020-08-14 2020-11-17 哲弗智能系统(上海)有限公司 分控阀、灭火装置以及消防系统
KR102450380B1 (ko) * 2022-05-11 2022-10-05 (주)도진이앤엠 일제개방형 소방밸브
KR102604391B1 (ko) * 2023-09-12 2023-11-23 주식회사 에프씨인터내셔널 이물질 자가 청소가 가능한 알람체크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5980B2 (en) Flow control assembly for a fire sprinkler system
US11826591B2 (en) Modular valve assembly
EA033914B1 (ru) Клапан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й системы и противопожарная система с таким клапаном
US10323394B2 (en) Dual check backflow preventer
US11402028B2 (en) Combination control and check valve assembly for a wet piping system
US9795815B2 (en) Control valve assembly
KR102181151B1 (ko) 누수 감지 소화전
KR20120012357A (ko) 듀얼 클래퍼 알람밸브
JP4272661B2 (ja) ストレーナ止水栓
KR20170027224A (ko) 가스압력 조정기능을 내장한 스마트형 밸브
JP2008099871A (ja) 消火設備用自動警報弁
KR20170140566A (ko) 소화시스템의 압력스위치용 챔버
KR101335882B1 (ko) 알람복합밸브
KR20090003008U (ko) 알람밸브의 시트링 실링 구조
KR20180001470U (ko) 소화시스템의 압력스위치용 챔버
KR20110075750A (ko) 알람밸브
KR200414294Y1 (ko) 테스트용 오리피스 및 투명점검구가 구비된 알람밸브드레인 연결관
KR100346574B1 (ko) 가스 안전밸브
CN212866184U (zh) 一种排水立管底部堵塞预警装置
KR102322595B1 (ko) 내진 기능이 향상된 백관
JP7438539B2 (ja) 消火剤放出ヘッド用密封カバー体
CA1308332C (en) Combined alarm and back-flow prevention arrangement for fire suppression sprinkler system
KR102638115B1 (ko) 시험배관 일체형 소방용 알람밸브
KR200465322Y1 (ko) 알람밸브용 밸브
KR101285294B1 (ko) 소방용 알람밸브의 유수 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