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8115B1 - 시험배관 일체형 소방용 알람밸브 - Google Patents

시험배관 일체형 소방용 알람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115B1
KR102638115B1 KR1020230059797A KR20230059797A KR102638115B1 KR 102638115 B1 KR102638115 B1 KR 102638115B1 KR 1020230059797 A KR1020230059797 A KR 1020230059797A KR 20230059797 A KR20230059797 A KR 20230059797A KR 102638115 B1 KR102638115 B1 KR 102638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ire
alarm
pipe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9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규
Original Assignee
권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규 filed Critical 권영규
Priority to KR1020230059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1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0Pipe-line systems wet, i.e. containing extinguishing material even when not in use
    • A62C35/605Pipe-line systems wet, i.e. containing extinguishing material even when not in use operating and sounding alarm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8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 F16K15/184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20Excess-flow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58Optical means, e.g. light transmission, observation 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75For recording or indicating the functioning of a valve in combination with test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평상시에 스프링클러 설비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여부를 점검하기 위한 시험배관 일체형 소방용 알람밸브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험배관 일체형 소방용 알람밸브는
화재 발생시 스프링클러헤드가 개방되어 소화수가 살수될 경우 알람밸브로부터 경보신호가 작동되는지 여부를 시험하기 위한 시험배관 일체형 소방용 알람밸브에 적용되고,
1차측 소화수 배관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화재 발생으로 개방되어 소화수 흐름을 감지할 경우 경보신호를 송출하게 되는 알람밸브;
상기 알람밸브의 분기관에 연결되는 드레인밸브;
상기 알람밸브의 출수부와 스프링클러헤드가 설치되는 2차측 소화수 배관사이에 형성되는 시험배관;
화재 발생시 상기 경보신호가 작동되는지 여부를 점검하기 위해 상기 시험배관과 상기 드레인밸브사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경보시험밸브;
상기 드레인밸브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2차측 소화수 배관에 과압이 발생될 경우 소화수를 자동으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과압배출장치;
상기 드레인밸브의 상류측 유로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드레인밸브의 분기관에 결합되고, 상기 과압배출장치를 사용하지않을 경우 또는 상기 드레인밸브로부터 상기 과압배출장치를 분리시킬 경우 상기 상류측 유로와 연통되는 내부유로를 폐쇄시키기 위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배관 일체형 소방용 알람밸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시험배관 일체형 소방용 알람밸브{alarm valve is combined with test pipe for fire fighting}
본 명세서는 소방용 알람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평상시에 스프링클러 설비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여부를 점검하기 위한 시험배관 일체형 소방용 알람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 설비는 수관에서 분배되어 설치되며, 일상에서는 잠겨있다가 화재시 이상온도를 감지하여 퓨즈가 절단되어 물(소방수)이 살수된다.
또한, 스프링클러의 수관의 측면에는 체크밸브장치가 구비되어 화재 발생에 따라 물의 유동이 발생되면 이를 감지하여 알람을 울리는 장치가 설치된다.
종래의 스프링클러 시스템에서는 실제로 화재가 발생되어 스프링클러 헤드가 파괴되어 소방수가 살수되었을 경우에 정상적인 소방수압이 나오는지와 알람밸브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를 시험하여야 한다.
실제로 스프링클러 헤드를 작동시킨다면 건물 내부에 소화수가 살수되므로, 스프링클러들이 설치되는 수관의 말단 또는 2차측 소화수 배관에 시험 밸브가 설치되고, 화재 발생됨을 가정하여 수관의 말단 또는 2차측 소화수 배관으로 2차측 소방수를 방출시킴으로써 스프링클러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었다고 판단하게 된다.
종래의 시험밸브 방식은 화재 발생시 스프링클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의 여부를 시험하기 위해서 화장실 등에 시험 배관 및 시험밸브를 설치하고, 테스트 밸브에서 정상적으로 스프링클러가 작동하는지의 여부로 검사하게 된다.
즉, 스프링클러의 작동시 사방으로 물을 분무하기 때문에 가정, 사무실 등의 천장에서 바로 물을 분사할 경우 주변의 가구, 벽지, 사무집기 등이 소화수에 젖는 일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22-0011197호(2022.01.27.공개)에 시험배관 및 시험밸브가 결합된 알람 밸브 시스템이 출원공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알람밸브에 연결되는 드레인밸브에 과압배출장치 및 체크밸브를 구비함에 따라 스프링클러 작동 점검을 위한 별도의 추가설치작업이 불필요하고, 경보시험밸브의 시험배관을 별도로 설치하지않아 시공이 편리한, 시험배관 일체형 소방용 알람밸브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드레인밸브로부터 분리되는 과압배출장치를 용이하게 점검 및 보수할 수 있도록 한, 시험배관 일체형 소방용 알람밸브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과압배출장치를 사용하지않을 경우 체크밸브에 의해 2차측 유로를 차단하게 되고, 드레인밸브로부터 과압배출장치를 분리시킬 경우에 2차측 소화수의 배수가 불필요한, 시험배관 일체형 소방용 알람밸브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 발생시 스프링클러헤드가 개방되어 소화수가 살수될 경우 알람밸브로부터 경보신호가 작동되는지 여부를 시험하기 위한 시험배관 일체형 소방용 알람밸브에 적용되고,
1차측 소화수 배관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화재 발생으로 개방되어 소화수 흐름을 감지할 경우 경보신호를 송출하게 되는 알람밸브;
상기 알람밸브의 분기관에 연결되는 드레인밸브;
상기 알람밸브의 출수부와 스프링클러헤드가 설치되는 2차측 소화수 배관사이에 형성되는 시험배관;
화재 발생시 상기 경보신호가 작동되는지 여부를 점검하기 위해 상기 시험배관과 상기 드레인밸브사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경보시험밸브;
상기 드레인밸브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2차측 소화수 배관에 과압이 발생될 경우 소화수를 자동으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과압배출장치;
상기 드레인밸브의 상류측 유로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드레인밸브의 분기관에 결합되고, 상기 과압배출장치를 사용하지않을 경우 또는 상기 드레인밸브로부터 상기 과압배출장치를 분리시킬 경우 상기 상류측 유로와 연통되는 내부유로를 폐쇄시키기 위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배관 일체형 소방용 알람밸브를 제공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드레인밸브의 분기관 내부에 나사결합되고, 양단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의 제1경사면과 이와 대응되는 제2경사면의 착탈에 의해 상기 내부유로를 개폐시키며, 소화수 흐름을 일방향으로 허용하는 밸브;
상기 밸브에 연장형성되는 연장편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유로를 폐쇄시키도록 상기 밸브를 가압하여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소화수가 통과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편 외측단에 지지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가압력을 유지하는 지지편;
상기 밸브바디 입구측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편이 밸브바디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링형태의 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압배출장치는
상기 드레인밸브의 분기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며, 양단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 일단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분기관에 결합시 상기 밸브를 가압하여 상기 내부유로를 개방시키며, 상기 내부유로와 연통되도록 통로가 형성되는 가압부;
상기 바디에 수용되고, 상기 통로의 출구를 개폐시키는 밸브플레이트;
상기 밸브플레이트를 지지하여 소화수 압력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구;
상기 2차측 소화수 배관에 과압이 발생될 경우 상기 통로를 개방시켜 소화수를 자동으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밸브플레이트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바디의 일단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여 상기 통로를 개폐시키는 상기 밸브플레이트를 설정압으로 지지하기 위한 압력조정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레인밸브에 형성되는 모니터링용 투명한 투시창;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알람밸브의 2차측 소화수 또는 상기 경보시험밸브를 통과하는 시험용 소화수를 상기 드레인밸브를 통과시켜 배출시키도록
일단이 상기 시험배관의 출수부에 연결되는 가요성을 갖는 연결관;
일단이 상기 가요성을 갖는 연결관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드레인밸브의 입수부에 연결되며, 상기 과압배출장치가 내설되는 유니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요성을 갖는 연결관은
소화배관의 진동,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한 비틀림 및 하중으로부터 완충력을 갖도록 신축성을 갖는 주름관, 벨로우즈관, 플렉시블호스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레인밸브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과압배출장치 작동 후 상기 알람밸브를 통해 유입되는 소화수를 우회시켜 상기 드레인밸브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우회통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시험배관 일체형 소방용 알람밸브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알람밸브에 연결되는 드레인밸브에 과압배출장치 및 체크밸브를 구비함에 따라 스프링클러 작동점검을 위한 별도의 추가설치작업이 불필요하고, 경보시험밸브의 시험배관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게되어 스프링클러 설비의 작동여부 점검을 위한 시공이 편리하게 된다.
또한, 드레인밸브로부터 분리되는 과압배출장치의 점검 및 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과압배출장치를 사용하지않는 경우, 또는 드레인밸브로부터 과압배출장치를 분리시킬 경우에 체크밸브에 의해 2차측 유로를 차단시킴에 따라 소화수를 배수시키는 과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시험배관 일체형 소방용 알람밸브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방용 알람밸브의 요부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소방용 알람밸브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소방용 알람밸브에서, 드레인밸브의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드레인밸브의 A-A선에서의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드레인밸브에서, 과압배출장치 및 체크밸브의 확대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험배관 일체형 소방용 알람밸브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험배관 일체형 소방용 알람밸브는
화재 발생시 스프링클러헤드가 개방되어 소화수가 살수될 경우 알람밸브로부터 경보신호가 작동되는지 여부를 시험하기 위한 시험배관 일체형 소방용 알람밸브에 적용되고,
1차측 소화수 배관(10)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화재 발생시 감지된 열에 의해 스프링클러헤드가 개방되어 소화수 흐름을 감지할 경우 소정의 경보신호를 송출(발신)하게 되는 통상의 알람밸브(11)(즉, 평상시 수조(물탱크)에서부터 각 세대 내의 스프링클러헤드까지의 전체 소방배관(1,2차측 소화수 배관(10,13)을 말함) 내에 주펌프에 의해 토출시킨 소화수가 채워져 있는 습식 스프링클러 설비에 적용되는 밸브를 말함);
알람밸브(11)의 분기관(12)에 연결되는 드레인밸브(13);
알람밸브(11)의 출수부와 스프링클러헤드(14)가 설치되는 2차측 소화수 배관(15)사이에 형성되는 시험배관(16);
화재 발생시 알람밸브(11)의 경보신호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여부를 점검하기 위해 시험배관(16)과 드레인밸브(13) 사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경보시험밸브(17)(화재 발생됨을 가정할 경우 스프링클러 설비의 정상적인 작동여부를 시험시 개방상태로 절환되고, 시험 종료시 폐쇄됨);
드레인밸브(1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2차측 소화수 배관(14)에 과도한 압력이 발생될 경우 소화수를 자동으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과압배출장치(18);
드레인밸브(13)의 상류측 유로(19)를 개폐시키도록 드레인밸브(13)의 분기관(41)에 결합되고, 과압배출장치(18)를 사용하지않을 경우 또는 드레인밸브(13)로부터 과압배출장치(18)를 분리시킬 경우 상류측 유로(19)와 연통되는 내부유로(20)를 폐쇄시키기 위한 체크밸브(2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체크밸브(21)는
드레인밸브(13)의 분기관(41) 내부에 나사결합되고, 양단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밸브바디(22);
밸브바디(22)의 제1경사면(23)과 이와 대응되는 제2경사면(24)의 착탈에 의해 내부유로(20)를 개폐시키며, 소화수 흐름을 일방향으로 허용하는 밸브(25);
밸브(25)에 연장형성되는 봉형태의 연장편(26)에 설치되고, 내부유로(20)를 폐쇄시키도록 밸브(25)를 가압하여 탄성지지하는 통상의 탄성부재(27)(압축코일스프링이 사용됨);
소화수가 통과되는 관통공(28)이 형성되고, 연장편(26) 외측단에 지지되어 탄성부재(27)의 가압력을 유지하는 지지편(29);
밸브바디(22) 입구측에 결합되고, 지지편(29)이 밸브바디(2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링형태의 스토퍼(30)(stoppe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전술한 드레인밸브(13)의 상류측 유로(19)를 개폐시키도록 드레인밸브(13)의 분기관(12)에 내설된 체크밸브(21)를 과압배출장치(18)를 사용하지않을 경우 잠금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게 된다(즉 상류측 유로(18)를 폐쇄시킬 수 있다(도 6 참조). 또한 드레인밸브(13)로부터 과압배출장치(18)를 분리시킬 경우 체크밸브(21)에 의해 상류측 유로(19)를 폐쇄시킴에 따라 2차측 소화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과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과압배출장치(18)는
드레인밸브(13)의 분기관(4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며, 양단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바디(31);
바디(31) 일단에 돌출형성되고, 분기관(41)에 결합시 밸브(25)를 가압하여 내부유로(20)를 개방시키며, 내부유로(20)와 연통되도록 통로(32)가 형성되는 가압부(33);
바디(31)에 수용되고, 통로(32)의 출구를 개폐시키는 원판형태의 밸브플레이트(34);
밸브플레이트(34)를 안착홈(35a)에 지지하여 소화수 압력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구(35);
2차측 소화수 배관(15)에 과압이 발생될 경우 통로(32)를 개방시켜 소화수를 자동으로 배출시키도록 밸브플레이트(34)를 탄성지지하는 통상의 탄성부재(36)(일예로서, 압축코일스프링이 사용됨);
바디(31)의 일단에 나사결합되고, 탄성부재(36)를 지지하여 통로(32)를 개폐시키는 밸브플레이트(34)를 설정압으로 지지하기 위한 압력조정구(3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도 2,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드레인밸브(13)에 형성되며, 배수(2차측 소화수 또는 시험용 소화수를 말함) 상황을 실시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모니터링용 투명한 통상의 투시창(42)(일 예로서, 합성수지재 또는 강화유리재가 사용될 수 있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알람밸브(11)의 2차측 소화수 또는 경보시험밸브(17)를 통과하는 시험용 소화수를 알람밸브(11)의 드레인밸브(13)를 통과시켜 배출시키도록
일단이 시험배관(16)의 출수부에 연결되는 가요성을 갖는 연결관(38);
일단이 가요성을 갖는 연결관(38)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드레인밸브(13)의 입수부에 연결되며, 과압배출장치(18)가 내설되는 유니온(3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가요성을 갖는 연결관(38)은
소화배관의 진동,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한 비틀림 및 하중으로부터 완충력(유연성)을 갖도록 신축성을 갖는 통상의 주름관, 벨로우즈관, 플렉시블호스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가요성을 갖는 연결관(26)이 소화배관의 진동 또는 수축 발생시 유연성을 발휘하게 되므로 파손 및 파손으로 인한 수리비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드레인밸브(13)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과압배출장치(18) 작동 후 알람밸브(11)를 통해 유입되는 소화수를 우회시켜 드레인밸브(13)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우회통로(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경보시험밸브(17)의 출수부(오리피스(17b)를 말함)는
스프링클러헤드(14)의 소화수 통과부(미 도시)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43는 1차측 소화수 배관(10)을 개폐시키기 위한 버터플라이밸브이고, A는 2차측 소화수 배관(15)과 시험배관(16)의 이음연결 및 시험배관(16)과 알람밸브(11)의 이음연결시 지진 등에 의한 건축물의 층간변위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그루브조인트(소위, '지진분리이음'을 말함) 이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험배관 일체형 소방용 알람밸브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통상적인 습식 스프링클러 설비에 적용되고, 알람밸브(11)의 출수부와 스프링클러헤드(14)가 설치되는 2차측 소화수 배관(15)사이에 시험배관(16)을 설치하되, 시험배관(16)의 분기관과 알람밸브(11)의 드레인밸브(13)사이에 화재 발생시 알람밸브(11)의 경보신호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여부를 점검하기 위한 경보시험밸브(17)가 설치된다.
따라서, 화재 발생을 가정하여 알람밸브(11)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점검할 경우, 경보시험밸브(17)의 밸브레버(17a)를 조작하여 온 상태로 절환시키고, 드레인밸브(13)의 분기관(12)에 과압배출장치(18)를 결합시킬 경우 체크밸브(21)의 개방으로 인해 드레인밸브(13)의 상류측 유로(19)와 연통되는 체크밸브(21)의 내부유로(20)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도 5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화재 발생을 가정하여 알람밸브(11)의 경보 시험시, 경보시험밸브(17)는 2차측 소화수 배관(15)에 과도한 압력이 발생될 경우 소화수를 자동으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과압배출장치(18)를 포함함에 따라, 화재 발생을 가정하여 알람밸브(11)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점검을 위한 별도의 추가설치작업이 불필요하게 되고, 경보시험밸브(17) 설치를 위해 시험배관(16)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게되어 스프링클러 설비의 작동여부 점검을 위한 시공이 편리하게 된다.
전술한 경보시험밸브(17)는 체크밸브(21)를 포함함에 따라, 과압배출장치(18)를 사용하지않을 경우에 체크밸브(21)를 잠금위치로 전환시켜 과압배출장치(18)의 상류측 유로(19)를 폐쇄시킬 수 있다(도 6 참조).
또한, 드레인밸브(13)에 나사결합된 과압배출장치(18)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즉 과압배출장치(18)를 드레인밸브(13)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상류측 유로(19)를 폐쇄시킴에 따라 2차측 소화수를 배수시키는 과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체크밸브(21)에 의해 상류측 유로(19)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과압배출장치(18)를 드레인밸브(13)로부터 통째로 분리시킬 경우, 과압배출장치(18)를 구성하는 바디(31)와, 드레인밸브(13)의 상류측 유로(19)와 연통되는 내부유로(20)를 개폐시키는 원판형태의 밸브플레이트(34)와, 내부유로(20)를 개폐시키도록 밸브플레이트(34)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36)와, 탄성부재(36)를 지지하는 압력조정구(37)를 각각 용이하게 점검 및 보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평상시 수조(물탱크)에서부터 각 세대 내의 스프링클러헤드(14)까지의 전체 소방배관(1,2차측 소화수 배관(10,15)을 말함) 내에 펌프에 의해 토출시킨 소화수가 채워져 있는 습식 스프링클러 설비에 적용되고, 화재 발생시 감지된 열에 의해 스프링클러헤드(14)가 개방되어 소화수 흐름을 감지할 경우 소정의 경보신호를 발신하게 되는 통상의 알람밸브(11)는,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알람밸브의 기술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들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명세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명세서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술적사상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명세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1차측 소화수 배관
11; 알람밸브(alarm valve)
12; 분기관
13; 드레인밸브(drain valve)
14; 스프링클러헤드(sprinkler head)
15; 2차측 소화수 배관
16; 시험배관(test pipe)
17; 경보시험밸브(test valve)
18; 과압배출장치
19; 상류측 유로
20; 내부유로
21; 체크밸브(check valve)
22; 밸브바디(valve body)
23; 제1경사면
24; 제2경사면
25; 밸브(valve)
26; 연장편
27; 탄성부재
28; 관통공
29; 지지편
30; 스토퍼(stopper)
31; 바디(body)
32; 통로
33; 가압부
34; 밸브플레이트(valve plate)
35; 유동방지구
36; 탄성부재
37; 압력조정구
38; 가요성을 갖는 연결관
39; 유니온(union)
40; 우회통로
41; 분기관
42; 투시창

Claims (7)

  1. 화재 발생시 스프링클러헤드가 개방되어 소화수가 살수될 경우 알람밸브로부터 경보신호가 작동되는지 여부를 시험하기 위한 시험배관 일체형 소방용 알람밸브에 적용되고,
    1차측 소화수 배관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화재 발생으로 개방되어 소화수 흐름을 감지할 경우 경보신호를 송출하게 되는 알람밸브;
    상기 알람밸브의 분기관에 연결되는 드레인밸브;
    상기 알람밸브의 출수부와 스프링클러헤드가 설치되는 2차측 소화수 배관사이에 형성되는 시험배관;
    화재 발생시 상기 경보신호가 작동되는지 여부를 점검하기 위해 상기 시험배관과 상기 드레인밸브사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경보시험밸브;
    상기 드레인밸브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2차측 소화수 배관에 과압이 발생될 경우 소화수를 자동으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과압배출장치;
    상기 드레인밸브의 상류측 유로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드레인밸브의 분기관에 결합되고, 상기 과압배출장치를 사용하지않을 경우 또는 상기 드레인밸브로부터 상기 과압배출장치를 분리시킬 경우 상기 상류측 유로와 연통되는 내부유로를 폐쇄시키기 위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시험배관 일체형 소방용 알람밸브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드레인밸브의 분기관 내부에 나사결합되고, 양단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의 제1경사면과 이와 대응되는 제2경사면의 착탈에 의해 상기 내부유로를 개폐시키며, 소화수 흐름을 일방향으로 허용하는 밸브;
    상기 밸브에 연장형성되는 연장편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유로를 폐쇄시키도록 상기 밸브를 가압하여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소화수가 통과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편 외측단에 지지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가압력을 유지하는 지지편;
    상기 밸브바디 입구측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편이 밸브바디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링형태의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배관 일체형 소방용 알람밸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압배출장치는
    상기 드레인밸브의 분기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며, 양단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 일단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분기관에 결합시 상기 밸브를 가압하여 상기 내부유로를 개방시키며, 상기 내부유로와 연통되도록 통로가 형성되는 가압부;
    상기 바디에 수용되고, 상기 통로의 출구를 개폐시키는 밸브플레이트;
    상기 밸브플레이트를 지지하여 소화수 압력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구;
    상기 2차측 소화수 배관에 과압이 발생될 경우 상기 통로를 개방시켜 소화수를 자동으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밸브플레이트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바디의 일단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여 상기 통로를 개폐시키는 상기 밸브플레이트를 설정압으로 지지하기 위한 압력조정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배관 일체형 소방용 알람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밸브에 형성되는 모니터링용 투명한 투시창;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배관 일체형 소방용 알람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밸브의 2차측 소화수 또는 상기 경보시험밸브를 통과하는 시험용 소화수를 상기 드레인밸브를 통과시켜 배출시키도록
    일단이 상기 시험배관의 출수부에 연결되는 가요성을 갖는 연결관;
    일단이 상기 가요성을 갖는 연결관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드레인밸브의 입수부에 연결되며, 상기 과압배출장치가 내설되는 유니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배관 일체형 소방용 알람밸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밸브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과압배출장치 작동 후 상기 알람밸브를 통해 유입되는 소화수를 우회시켜 상기 드레인밸브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우회통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배관 일체형 소방용 알람밸브.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을 갖는 연결관은
    소화배관의 진동,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한 비틀림 및 하중으로부터 완충력을 갖도록 신축성을 갖는 주름관, 벨로우즈관, 플렉시블호스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배관 일체형 소방용 알람밸브.






KR1020230059797A 2023-05-09 2023-05-09 시험배관 일체형 소방용 알람밸브 KR102638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9797A KR102638115B1 (ko) 2023-05-09 2023-05-09 시험배관 일체형 소방용 알람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9797A KR102638115B1 (ko) 2023-05-09 2023-05-09 시험배관 일체형 소방용 알람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8115B1 true KR102638115B1 (ko) 2024-02-20

Family

ID=90056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9797A KR102638115B1 (ko) 2023-05-09 2023-05-09 시험배관 일체형 소방용 알람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1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1197A (ko) * 2022-01-10 2022-01-27 주식회사 티지화이어 시험 배관 및 시험 밸브가 결합된 알람 밸브 시스템
KR20220137519A (ko) * 2021-04-02 2022-10-12 권영규 드레인 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7519A (ko) * 2021-04-02 2022-10-12 권영규 드레인 밸브
KR20220011197A (ko) * 2022-01-10 2022-01-27 주식회사 티지화이어 시험 배관 및 시험 밸브가 결합된 알람 밸브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5980B2 (en) Flow control assembly for a fire sprinkler system
AU2018229719B2 (en) Integrated fluid control valve and valve actuator assembly
US5099925A (en) Dry sprinkler system
US9776028B2 (en) Pre-primed preaction sprinkler system
US20200215371A1 (en) Control valve assembly with test, drain and adjustable pressure relief valve
US6357467B1 (en) Automatic water supply shutoff valve
KR102206812B1 (ko) 프리액션 스프링클러 밸브 어셈블리, 관련 건식 스프링클러 장치 및 압축식 활성화 메카니즘
US8281810B2 (en) Dry valve for sprinkler system
CN208511760U (zh) 一种消防自动喷淋灭火系统
KR102064947B1 (ko) 동파방지구조를 구비한 스프링클러 및 스프링클러 시스템
US5494068A (en) Gas leak sensor shutoff valve and method for installation
US6491109B2 (en) Kinetic antifreeze device
US6341622B1 (en) Pressure relief valve and arrangement for fire suppression water sprinkler system
KR102638115B1 (ko) 시험배관 일체형 소방용 알람밸브
US11358015B2 (en) Pilot actuator for actuating a control valve
US11247086B2 (en) Pilot actuator for actuating a control valve
KR20080001532U (ko) 알람밸브 작동 시험용 테스트 밸브
JP5863514B2 (ja) 圧力調整弁及び流水検知装置
KR20190010930A (ko) 소방용 체크밸브 개도를 조절하는 콘드롤 장치가 설치된 복합체크밸브
KR20220011197A (ko) 시험 배관 및 시험 밸브가 결합된 알람 밸브 시스템
JP5183697B2 (ja) 自動警報弁
KR200414294Y1 (ko) 테스트용 오리피스 및 투명점검구가 구비된 알람밸브드레인 연결관
KR102628915B1 (ko) 일체형 성능시험 토출기능이 있는 토출배관을 갖는 소방펌프 통합시스템 및 그 통합시스템에 사용되는 내진 성능을 갖는 소방펌프
JP2021105443A (ja) 消防設備用一斉開放弁、開放型スプリンクラー設備及び予作動式流水検知装置
US20090050337A1 (en) Selectable mode test and drain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