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329A - 스프링클러 헤드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 Google Patents

스프링클러 헤드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329A
KR20120003329A KR1020100064115A KR20100064115A KR20120003329A KR 20120003329 A KR20120003329 A KR 20120003329A KR 1020100064115 A KR1020100064115 A KR 1020100064115A KR 20100064115 A KR20100064115 A KR 20100064115A KR 20120003329 A KR20120003329 A KR 20120003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kler head
ceiling
joint
sprinkl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3882B1 (ko
Inventor
심대민
Original Assignee
(주)파라다이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라다이스산업 filed Critical (주)파라다이스산업
Priority to KR1020100064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882B1/ko
Publication of KR20120003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 헤드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의 고정장치는 천정부재의 하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제1 이음부재와, 상기 천정부재의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제1 이음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천정부재의 상면에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제2 이음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이음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소화수를 공급하도록 스프링클러 헤드와 연결되며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둘레홈들이 형성되는 연결관과, 상기 둘레홈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며 상기 연결관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고정링과, 상기 연결관이 관통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이음부재에 형성되는 수용홈에 수용되며 상기 고정링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중간부재, 및 상기 제2 이음부재와 결합하며 상기 고정링을 덮도록 이루어지는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프링클러 헤드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APPARATUS FOR CONNECTING SPRINKLER HEAD AND SPRINKL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결관에 연결되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천정에 고정시키는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소화수를 일정압으로 방수시켜 화재를 자동으로 진압할 수 있는 소화설비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 헤드가 소방대상물의 천정, 벽 등에 장착되고 화재를 감지하며 소화수를 소방대상물에 분사한다.
화재 발생시 소화수를 적절하게 분사시키기 위하여 스프링클러 헤드의 설치 위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그러나, 스프링클러의 시공시 현장 작업자가 작업한다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설치 위치를 고려하면서 것은 비실용적이다. 특히, 스프링클러가 크린룸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스프링클러의 고정장치가 천정부재 내부의 먼지나 이물질을 유입시키지 않아야 하는 어려운 문제가 더해진다.
따라서, 크린룸 등과 같은 환경에서도 정확한 위치에 스프링클러 헤드를 위치시킬 수 있는 고정장치에 대하여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 헤드를 보다 용이하게 설치시키는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크린룸의 환경에서 밀봉을 유지하면서 스프링클러 헤드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스프링클러 헤드 고정장치는, 천정부재의 하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제1 이음부재와, 상기 천정부재의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제1 이음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천정부재의 상면에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제2 이음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이음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소화수를 공급하도록 스프링클러 헤드와 연결되며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둘레홈들이 형성되는 연결관과, 상기 둘레홈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며 상기 연결관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고정링과, 상기 연결관이 관통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이음부재에 형성되는 수용홈에 수용되며 상기 고정링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중간부재, 및 상기 제2 이음부재와 결합하며 상기 고정링을 덮도록 이루어지는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 이음부재에는 상기 천정부재의 상면 및 하면을 덮도록 각각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제1 및 제2 둘레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둘레돌기 중 적어도 하나는 오링이 장착되도록 이루어지는 오링홈을 포함한다. 상기 오링홈은 상기 천정부재의 상면 또는 하면과 마주보는 면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제2 이음부재의 일단에서 상기 천정부재를 향하여 리세스되며, 상기 중간부재는 상기 수용홈의 바닥에 안착된다. 상기 고정장치는 밀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수용홈의 바닥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관과 상기 수용홈의 사이를 밀봉시키도록 상기 연결관을 감싸며, 상기 중간부재에 의하여 가압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복수의 둘레홈들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천정에서 소화수를 배출하도록 천정부재에 장착되며 실내로 돌출되는 스프링클러 헤드와, 상기 천정부재의 하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제1 이음부재와, 상기 천정부재의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제1 이음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천정부재의 상면에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제2 이음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이음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소화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와 연결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둘레홈들을 구비하는 연결관과, 상기 둘레홈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며 상기 연결관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고정링과, 상기 연결관이 관통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이음부재에 형성되는 수용홈에 수용되며 상기 고정링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중간부재, 및 상기 제2 이음부재와 결합하며 상기 고정링을 덮도록 이루어지는 커버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스프링클러 헤드의 고정장치는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둘레홈들을 통하여, 스프링클러 헤드를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링이 중간부재에 지지됨에 의하여 스프링클러 헤드의 고정 위치에 대한 보다 세밀한 조정을 구현한다. 또한, 중간부재에 의하여 가압되는 밀봉부재를 통하여, 크린룸 환경에서도 스프링클러 헤드는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스프링클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프링클러 헤드 고정장치의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2에 도시된 제1 및 제2 이음부재의 확대도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와 관련된 스프링클러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와 관련된 스프링클러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스프링클러 헤드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스프링클러(S)의 사시도이다.
개시된 스프링클러 헤드(100)는 감열체(110) 및 디플렉터(120)를 구비하며, 소화수를 공급하는 연결관(210)과 연결된다.
감열체(110)는 열감응체로서 열을 감지하여, 스프링클러 헤드(100)는 이를 이용하여 소화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디플렉터(120)는 소화수를 확산시키도록 스프링클러 헤드(100)의 일단에 배치된다.
도시에 의하면, 스프링클러 헤드(100)의 타단은 연결관(210)의 단부에 장착된다. 연결관(210)이 천정부재(141, 도 2 참조)에 장착됨에 따라 스프링클러 헤드(100)가 고정되며, 스프링클러 헤드(100)는 천정에서 소화수를 배출하게 연결관(210)으로부터 실내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천정부재(141)는, 예를 들어 크린룸의 천정을 형성하는 외벽으로서 스프링클러 헤드(100)를 설치하기 위한 관통공(142, 도 2 참조)을 구비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천정부재(141)에는 복수의 스프링클러 헤드가 설치되도록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클러 헤드 고정장치(200)에 의하여 상기 관통공들에 스프링클러 헤드들이 각각 고정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스프링클러 헤드 고정장치(200)는 제1 이음부재(220) 및 제2 이음부재(230)를 포함한다. 제1 이음부재(220) 및 제2 이음부재(230)는 천정부재(141)를 가운데 두고 서로 체결되도록 이루어지며, 연결관(210)은 제2 이음부재(230) 또는 이와 관련되는 부품의 적어도 일부에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중력방향에 대하여 연결관(210)이 걸리는 부분은 연결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며, 이를 통하여 디플렉터(120)가 천정부재(141)로부터 돌출되는 량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클러 헤드 고정장치(200)는 중력방향에 대하여 연결관(210)을 특정 간격으로 각각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 헤드의 고정장치(2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프링클러 헤드 고정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2에 도시된 제1 및 제2 이음부재의 확대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연결관(210)은 제1 및 제2 이음부재(220, 230)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제1 이음부재(220)은 천정부재(141)의 하면을 덮도록 형성되고, 제2 이음부재(230)는 천정부재(141)의 관통공(142)을 통하여 제1 이음부재(220)와 결합하고, 상기 천정부재(141)의 상면에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이음부재(220, 230)는 중 어느 하나가 관통공(142)을 관통하여 다른 하나에 삽입되며, 상기 삽입되는 부분과 이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볼트 체결용 나사산들이 각각 형성된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제1 이음부재(220)에는 천정부재(141)의 하면을 덮도록 제1 둘레돌기(221)가 형성된다. 제1 둘레돌기(221)는 제1 이음부재(22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며, 중력방향의 반대방향에 대하여 천정부재의 관통공(142)의 입구에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제2 이음부재(230)에는 천정부재(141)의 상면을 덮도록 제2 둘레돌기(231)가 형성된다. 제2 둘레돌기(231)는 제2 이음부재(230)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며, 중력방향에 대하여 관통공(142)의 입구에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도시에 의하면, 제1 및 제2 둘레돌기(221, 231) 중 적어도 하나에는 오링홈(222, 232)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둘레돌기(221, 231)에서 천정부재의 상면 및 하면과 마주보는 면상에는 각각 오링홈(222, 232)이 형성되며, 상기 오링홈(222, 232)에는 오링(223, 233)이 장착된다. 이를 통하여 크린룸은 밀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이음부재(230)에는 수용홈(234)이 형성된다.
수용홈(234)은 제2 이음부재(230)의 일단에서 천정부재(141)를 향하여 리세스되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용홈(234)은 제2 이음부재(230)에서 연결관(210)이 관통되는 부분을 감싸며, 제2 이음부재(230)의 면상에서 타단을 향하여 리세스된다.
수용홈(234)에는 중간부재(240)가 수용된다. 중간부재(240)는, 연결관(210)이 관통하도록 중공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수용홈(234)의 바닥에 안착되며, 단부가 고정링(250)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연결관(210)에는 복수의 둘레홈들(211a, 211b, 211c)이 형성된다. 둘레홈들(211a, 211b, 211c)은 연결관(210)의 외주면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연결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된다.
고정링(250)은 둘레홈들(211a, 211b, 211c)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다. 고정링(250)은, 환형으로 형성되며, 둘레홈들(211a, 211b, 211c)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관(210)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연결관(2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고정링(250)이 연결관(21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중간부재(240)에 지지됨에 따라 연결관(210)은 수용홈(234) 내에서 고정된다.
이와 같이, 둘레홈들(211a, 211b, 211c)이 특정 간격으로 이격됨에 따라, 작업자가 둘레홈들(211a, 211b, 211c) 중 어느 홈에 고정링(250)을 끼우는가에 따라 스프링크러 헤드가 천정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설정된다. 이에 더하여, 고정링(250)이 중간부재(240)에 지지되므로, 중간부재(240)의 길이를 조금씩 달리하면 상기 돌출되는 길이의 미세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도시에 의하면, 제2 이음부재(230)에는 고정링(250)을 덮도록 이루어지는 커버(260)가 결합된다. 예를 들어, 커버(260)의 내면과 제2 이음부재(230)의 외면에는 서로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이를 통하여 양자는 볼트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커버(260)는 고정링(250)을 가압하도록 형성되며, 커버(260) 및 제2 이음부재(230)의 조임정도에 따라, 커버(260)가 고정링(250)을 가압하는 정도가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고정링(250)은 중간부재(240)와 커버(260) 사이에 단단히 고정되며, 나아가 연결관(210)이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 견고히 고정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작업자의 작업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천정부재(141)의 아래 또는 위쪽에 관계없이 제1 및 제2 이음부재(220, 230)에 연결관(210)을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이음부재(220, 230)의 내주면들에 삽입이 가능하도록 연결관(210)의 외경은 제1 및 제2 이음부재(220, 230)의 내주보다 동일하거나 작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스프링클러 헤드(100)는 최대 외경도 제1 및 제2 이음부재(220, 230)의 내주보다 동일하거나 작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연결관(210)은 스프링클러 헤드(1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이음부재(220, 230)에 삽입되어질 수 있으며, 이는 작업능률의 향상을 가져오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와 관련된 스프링클러의 단면도이다. 이하, 앞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시에 의하면, 수용홈(334)의 바닥에는 밀봉부재(370)가 배치된다.
밀봉부재(370)는 연결관(310)과 수용홈(334)의 사이를 밀봉시키도록 상기 연결관(310)을 감싸며, 중간부재(340)에 의하여 가압된다.
예를 들어, 밀봉부재(370)는 오링으로 이루어지고, 중간부재(340)는 일단이 고정링(350)을 지지하고 타단이 상기 밀봉부재(370)를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용홈(334)의 바닥에서 연결관(310)이 관통되는 부분과 연결관(310)의 외주면 사이가 밀봉부재(370)에 의하여 실링된다.
밀봉부재(370)에 가압력이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고정링(350)이 밀봉부재(370)보다 두껍게 형성되거나, 고정링(350)이 밀봉부재(370)에 비하여 경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커버(360) 및 제2 이음부재(330)가 서로 조임됨에 따라, 밀봉부재(370)는 점차적으로 가압되며, 이를 통하여 연결관(310)과 수용홈(334)의 사이에 기밀 정도가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간부재(340)가 밀봉 메커니즘과 길이 조절 메커니즘을 동시에 수행함에 따라, 스프링클러 헤드 고정장치에서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복합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프링클러 헤드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8)

  1. 천정에서 소화수를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에 있어서,
    천정부재의 하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제1 이음부재;
    상기 천정부재의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제1 이음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천정부재의 상면에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제2 이음부재;
    상기 제1 및 제2 이음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소화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와 연결되며,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둘레홈들이 형성되는 연결관;
    상기 둘레홈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며, 상기 연결관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고정링;
    상기 연결관이 관통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이음부재에 형성되는 수용홈에 수용되며, 상기 고정링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중간부재; 및
    상기 제2 이음부재와 결합하며, 상기 고정링을 덮도록 이루어지는 커버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이음부재에는 상기 천정부재의 상면 및 하면을 덮도록 각각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제1 및 제2 둘레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둘레돌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천정부재의 상면 또는 하면과 마주보는 면상에 형성되며, 오링이 장착되도록 이루어지는 오링홈을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제2 이음부재의 일단에서 상기 천정부재를 향하여 리세스되며, 상기 중간부재는 상기 수용홈의 바닥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바닥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관과 상기 수용홈의 사이를 밀봉시키도록 상기 연결관을 감싸며, 상기 중간부재에 의하여 가압되는 밀봉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고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둘레홈들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고정장치.
  7. 천정에서 소화수를 배출하도록 천정부재에 장착되며, 실내로 돌출되는 스프링클러 헤드;
    상기 천정부재의 하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제1 이음부재;
    상기 천정부재의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제1 이음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천정부재의 상면에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제2 이음부재;
    상기 제1 및 제2 이음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소화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와 연결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둘레홈들을 구비하는 연결관;
    상기 둘레홈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며, 상기 연결관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고정링;
    상기 연결관이 관통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이음부재에 형성되는 수용홈에 수용되며, 상기 고정링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중간부재; 및
    상기 제2 이음부재와 결합하며, 상기 고정링을 덮도록 이루어지는 커버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바닥에는 상기 연결관과 상기 수용홈의 사이를 밀봉시키도록 상기 연결관을 감싸는 밀봉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중간부재는 일단이 상기 고정링을 지지하고 타단이 밀봉부재를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KR1020100064115A 2010-07-02 2010-07-02 스프링클러 헤드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KR101173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115A KR101173882B1 (ko) 2010-07-02 2010-07-02 스프링클러 헤드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115A KR101173882B1 (ko) 2010-07-02 2010-07-02 스프링클러 헤드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329A true KR20120003329A (ko) 2012-01-10
KR101173882B1 KR101173882B1 (ko) 2012-08-16

Family

ID=45610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115A KR101173882B1 (ko) 2010-07-02 2010-07-02 스프링클러 헤드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38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230B1 (ko) * 2017-12-01 2018-05-11 (주)케이아이기술단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1859665B1 (ko) * 2017-11-30 2018-05-18 주식회사 진일기술단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 진압을 위한 소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469B1 (ko) * 2021-10-27 2022-08-11 (주) 여는 스프링클러 결합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205Y1 (ko) 2006-08-10 2006-12-18 이태윤 스프링쿨러헤드 고정장치
JP4225367B1 (ja) 2007-09-27 2009-02-18 Toto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ー装置を天井パネルに対して固定する固定装置、固定構造及び固定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665B1 (ko) * 2017-11-30 2018-05-18 주식회사 진일기술단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 진압을 위한 소방장치
KR101857230B1 (ko) * 2017-12-01 2018-05-11 (주)케이아이기술단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3882B1 (ko) 201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882B1 (ko) 스프링클러 헤드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KR20170002706A (ko) 스프링클러용 가요성 조립체
WO2023075135A1 (ko) 스프링클러 결합구조
US20190017701A1 (en) Piping connection unit, air supply or exhaust tube, and combustion apparatus
KR101994299B1 (ko) 스프링클러헤드의 연결장치
KR20170112620A (ko) 패킹의 기밀성을 높인 신축배관
KR20160002166U (ko)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2662723B1 (ko) 소방 구조체
KR20210138272A (ko) 소방 배관장치
KR100963035B1 (ko) 탈착식 디퓨져
KR101857230B1 (ko)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20100005276U (ko) 배관용 고정클램프
KR0117170Y1 (ko)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배관장치
KR101437766B1 (ko) 천장 매립형 샤워기 고정장치
WO2009054689A1 (en) Pipe coupling device for use in sprinkler head
EP1132528B1 (en) Parallel-fed nonstagnant integrated water distribution network for domestic water and fire sprinkler application
KR101218091B1 (ko) 멀티 유로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KR20080005578U (ko) 스프링클러 헤드의 고정 구조
KR100991768B1 (ko) 닥트용 스프링클러 헤드 고정 장치
KR20190030147A (ko) 소방용 스프링쿨러 신축 배관 연결장치
KR200248002Y1 (ko) 플랙시블 튜브의 장착구조
KR101614214B1 (ko) 길이 조정이 가능한 스프링클러 헤드 조립체
KR102249360B1 (ko)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연결 소켓 조립체
KR200347034Y1 (ko) 소화용 스프링쿨러 설치구조
KR102153558B1 (ko) 스프링클러용 플렉서블 배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