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1469B1 - 스프링클러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스프링클러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1469B1
KR102431469B1 KR1020210144473A KR20210144473A KR102431469B1 KR 102431469 B1 KR102431469 B1 KR 102431469B1 KR 1020210144473 A KR1020210144473 A KR 1020210144473A KR 20210144473 A KR20210144473 A KR 20210144473A KR 102431469 B1 KR102431469 B1 KR 102431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pple
ceiling panel
reducing nipple
reduc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4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소연
송영애
Original Assignee
(주) 여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여는 filed Critical (주) 여는
Priority to KR1020210144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4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469B1/ko
Priority to PCT/KR2022/013551 priority patent/WO202307513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14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ntrolling structural damage to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e.g. for breaking at desired places; Arrangements for handling or replacing damaged parts
    • B05B15/1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ntrolling structural damage to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e.g. for breaking at desired places; Arrangements for handling or replacing damaged parts for preventing non-intended contact between spray heads or nozzles and foreign bodies, e.g. nozzle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a special member for attachment to profiled gir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5/00Special arrang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end fittings of hoses, e.g. safety or protec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천장패널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고, 상측이 급수원으로부터 연결되어 소화수가 유입되는 플렉시블 관체와 일체로 제작되는 레듀싱니플; 상기 레듀싱니플의 하단에 결합되어,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레듀싱니플을 통해 공급되는 소화수를 분사하는 헤드; 상기 헤드가 상기 천장패널에서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가능하도록 상기 레듀싱니플을 상기 천장패널에 고정결합시키는 니플고정수단; 및 상기 천장패널의 하측에서 상기 헤드를 보호하는 헤드보호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레듀싱니플과 플렉시블 관체를 분리하지 않고도 레듀싱니플을 상부유닛과 분리함으로써 레듀싱니플과 플렉시블 관체를 천장패널의 상부에서 헤드를 교체할 수 있어, 레듀싱니플에서 스프링클러를 설치한 내부공간으로 소화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레듀싱니플을 천장패널에 고정결합하고, 레듀싱니플이 상기 천장패널에서 돌출되는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니플고정수단을 구비하는 바, 천장패널의 두께가 두꺼울 때, 니플고정수단의 조절부재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레듀싱니플의 하단에 결합된 헤드가 천장패널의 통공에서 하방으로 더 길게 돌출되도록 할 수 있어, 천장패널의 통공이 헤드에서의 소화수의 방수를 방해하지 않고 방수가 골고루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스프링클러 결합구조{Sprinkler Assembly}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플렉시블 관체와 레듀싱니플을 일체로 제조하면서, 스프링클러의 조립이 간편하면서도 천장패널의 두께에 따라 레듀싱니플의 높이조절이 가능하고, 천장패널의 통공을 밀폐하도록 스프링클러를 설치할 때 천장패널에 강하게 밀착되도록 한 스프링클러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대형 건물이나 화재에 취약한 건물 등의 구조물 실내에는 발화 초기에 자동적으로 살수를 할 수 있도록 천장에 다수의 스프링클러가 설치된다.
특히, 반도체 설비가 갖춰진 구조물 실내는 천장에서 미세한 먼지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교적 미세한 먼지가 적게 발생하는 몰드바 방식 천장이나 패널 방식 천장 등에 스프링클러를 설치해야 한다.
여기서, 몰드바 방식 천장은 상하가 뒤집어진 T자 형태의 몰드바를 배치하여, 각각의 몰드바의 사이에 판을 걸쳐 천장을 이루도록 한 것이며, 패널 방식 천장은 건물의 상단과 이격지도록 설치된 골조에 SGP패널 등의 천장판을 빈틈없이 이어붙여 고정해 천장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우선, 몰드바 방식 천장의 스프링클러 설치구조의 한 예로 도 1에 도시된 등록특허공보 10-2183779호의 스프링클러를 보면, 십자로 배치된 몰드바(102)의 교차점에 위치한 연결블록(103)을 스프링클러(101)가 관통하여 하향하도록 위치시키고, 스프링클러(101)의 수직관을 이루는 리듀서(110)의 일 지점에 양방향으로 나란하게 돌출되어 몰드바(102)의 상면에 스프링클러(101)를 고정결합하는 지지체(120)를 구비하여, 천장에서 스프링클러(101)의 헤드(130)가 하향된 상태로 고정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몰드바 방식 천장과는 달리 패널 방식 천장에 스프링클러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천장판에 통공을 뚫어 스프링클러가 관통되도록 해야하는데, 천장판에 뚫은 통공에 스프링클러를 마감없이 관통시키고 사용하면 통공을 통해 미세한 먼지 등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패널 방식 천장의 설치구조의 한 예로 도 2에 도시된 등록특허공보 10-1725009호의 스프링클러를 보면, 천장판(202)에 통공(212)을 뚫고 상측부(210)와 하측부(220)를 각각 통공(212)의 내주면을 감싸도록 통공(212) 상하에 결합하여 설치하고, 상측부(210)의 중앙 상부의 홈부에 나사부(미도시)를 형성하고, 위의 나사부에 레듀싱니플(230)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된 착탈링부(미도시)를 나사결합하여, 헤드(240)가 결합된 레듀싱니플(230)이 통공(212)에 결합된 상측부(210)와 하측부(220)를 관통하여 하향된 상태로 착탈링부에 고정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위의 기술은 레듀싱니플(230)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된 착탈링부(미도시)와 상측부(210)의 중앙 상부의 홈부에 형성한 나사부(미도시)가 통상의 방식과는 달리 역방향 방식으로 나사결합되어 그 체결구조가 특이하기 때문에 현장의 작업자들이 위의 역방향 방식의 나사결합 작업을 제대로 작업하지 못하는 현상이 종종 제기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저하시키고 있다.
또한, 레듀싱니플(2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원으로부터 연결되어 소화수가 유입되는 주름관(250)과 연결되도록 조립되며, 노후된 헤드(240)를 교체할 때에는 상측부(210)와 분리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주름관(250)과 레듀싱니플(230)의 결합을 풀게되면 주름관(250)이나 레듀싱니플(230) 내에서 소화수가 흘러나오게 되며, 반도체 생산라인과 같이 내부공간의 환경에 예민한 장소의 경우, 흘러나온 소화수에 의해 내부가 오염됨으로써 오염의 제거까지 모든 작동을 중지시켜야 하므로, 막대한 금전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판(202)에 스프링클러를 설치할 때, 상측부(210)에 레듀싱니플(230)을 결합하면, 상측부(210)에 레듀싱니플(230)이 결합된 높이는 항상 동일하므로 레듀싱니플(230)의 길이에 따라 레듀싱니플(230)이 천장판(202)에서 돌출된 길이가 결정되는데, 통상의 레듀싱니플(230)은 그 길이가 고정되어 제작되고, 따라서 천장판(202)의 두께가 두꺼울 때 레듀싱니플(230)이 천장판(202)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부족해 헤드(240)의 일부분이 천장판(202)의 통공(212)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헤드(240)에서의 소화수가 방수될 때 통공(212)의 내부에서 소화수의 방수가 저지되어 방수가 골고루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측부(210)와 하측부(2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판(202)을 사이에 두고 상측과 하측에서 개재됨으로써 천장판(202)의 통공(212)을 밀폐하여, 평상시에 천장판(202)의 통공(212)을 통해 상측 공간으로부터 하측의 실내로 먼지나 소화수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상측부(210)와 하측부(220)의 체결력만으로는 통공(212)을 완전히 밀폐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스프링클러 결합구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레듀싱니플과 플렉시블 관체의 결합을 풀지 않아도 레듀싱니플을 패널 방식 천장에서 쉽게 착탈 가능하도록 하는 스프링클러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장패널의 두께에 따라 레듀싱니플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스프링클러의 조립이 쉽고 간편한 스프링클러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프링클러를 설치할 때 하부유닛이 천장패널에 강하게 밀착되어 천장패널의 통공을 밀폐하는 스프링클러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결합구조는, 천장패널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고, 상측이 급수원으로부터 연결되어 소화수가 유입되는 플렉시블 관체와 일체로 제작되는 레듀싱니플; 상기 레듀싱니플의 하단에 결합되어,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레듀싱니플을 통해 공급되는 소화수를 분사하는 헤드; 상기 헤드가 상기 천장패널에서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가능하도록 상기 레듀싱니플을 상기 천장패널에 고정결합시키는 니플고정수단; 및 상기 천장패널의 하측에서 상기 헤드를 보호하는 헤드보호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니플고정수단은, 상기 천장패널의 상기 통공의 상부에 위치하고, 중앙에 상기 레듀싱니플이 끼워지는 니플구멍이 형성되는 상부유닛; 상기 통공의 하부로부터 끼워져 상기 상부유닛과 고정결합되고, 중앙에 상기 레듀싱니플이 끼워지는 니플구멍이 형성되는 하부유닛; 상기 레듀싱니플의 외주에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상부유닛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레듀싱니플을 지지하는 조절부재; 및 상기 상부유닛의 상측에 체결되며, 상기 상부유닛에 체결될 때 상기 조절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레듀싱니플을 상기 상부유닛에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듀싱니플은 외주 일부분에 숫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재는 내주면에 상기 숫나사부에 체결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부가 상기 숫나사부상에서 회전될 때, 상기 조절부재가 상기 레듀싱니플의 외주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상부유닛이 오른나사로 체결될 때, 상기 조절부재의 암나사부와 상기 레듀싱니플의 숫나사부는 왼나사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유닛은, 상기 천장패널의 상기 통공에 끼워져 상기 상부유닛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면이 상기 천장패널의 저면과 접하는 제2부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부분은 상면에 밀착부재가 끼워져,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상부유닛에 체결될 때, 상기 밀착부재가 상기 천장패널의 저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유닛은 상기 조절부재와 접하는 면에 오링이 끼워져,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상부유닛에 체결될 때, 상기 조절부재의 저면과 상기 상부유닛의 상측면에 오링이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 결합구조에 따르면, 레듀싱니플은 플렉시블 관체와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천장패널과 착탈 가능하도록 되어있는 바, 레듀싱니플과 플렉시블 관체를 분리하지 않고도 레듀싱니플을 상부유닛과 분리함으로써 레듀싱니플과 플렉시블 관체를 천장패널의 상부에서 헤드를 교체할 수 있어, 레듀싱니플에서 스프링클러를 설치한 내부공간으로 소화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레듀싱니플을 천장패널에 고정결합하고, 레듀싱니플이 상기 천장패널에서 돌출되는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니플고정수단을 구비하는 바, 천장패널의 두께가 두꺼울 때, 니플고정수단의 조절부재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레듀싱니플의 하단에 결합된 헤드가 천장패널의 통공에서 하방으로 더 길게 돌출되도록 할 수 있어, 천장패널의 통공이 헤드에서의 소화수의 방수를 방해하지 않고 방수가 골고루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레듀싱니플을 천장패널에 고정결합하는 니플고정수단을 상부유닛, 하부유닛, 조절부재 및 체결부재로 구성하여, 상부유닛과 하부유닛을 천장패널의 통공에 끼워 상호 체결하고, 레듀싱니플에 결합한 조절부재를 상부유닛의 상측에 안착시킨 뒤 체결부재를 상부유닛의 상측에 체결하여 조절부재를 가압시키는 간단한 방법으로 스프링클러를 조립하는 바, 복잡한 과정 없이 스프링클러를 조립하여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스프링클러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니플고정수단의 상부유닛과 체결수단을 결합하여 체결수단이 조절부재를 가압시킬 때, 체결수단의 체결력에 의해 상부유닛이 전체적으로 상승함으로써 상부유닛과 결합된 하부유닛 또한 상승하게 되는 바, 하부유닛이 천장패널의 저면에 강하게 밀착되도록 할 수 있어, 천장패널의 통공을 상부유닛과 하부유닛의 체결력에 의지하지 않고 천장패널의 저면에서 하부유닛의 밀착에 의해 견고하게 밀폐되도록 할 수 있고, 따라서 평상시에 천장패널의 상측 공간에서 스프링클러나 통공을 통해 하측 실내로 먼지나 소화수 등이 유입되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몰드바 방식 천장에 결합되는 스프링클러 결합구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패널 방식 천장에 결합되는 스프링클러 결합구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관체와 레듀싱니플이 일체로 결합되고, 니플고정수단을 구비하였을 때의 스프링클러 결합구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전개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종단면에서 조절부재를 조절하여 레듀싱니플의 돌출된 두께를 조절한 제1 실시예를 모습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6은 도 3의 종단면에서 조절부재를 조절하여 레듀싱니플의 돌출된 두께를 조절한 제2 실시예를 모습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7은 도 3의 종단면에서 체결부재를 상부유닛에 체결했을 때, 상부유닛을 따라 하부유닛이 상측으로 밀착된 모습을 도시한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결합구조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 결합구조는 몰드바 사이에 패널을 얹어 형성한 몰드바 방식 천장에만 조립이 가능했었던 레듀싱니플을 패널만 연결하여 형성하는 평판 방식 천장에도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 결합구조를 이용한 스프링클러는 도 3 및 도 4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레듀싱니플(10), 헤드(20), 니플고정수단(30) 및 헤드보호망(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레듀싱니플(10)은 소화수가 유입되는 스프링클러의 몸체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이 급수원으로부터 연결되어 소화수가 유입되는 플렉시블 관체(F)와 일체로 제작되어 내부 공간을 통해 후술할 헤드(20)로 소화수를 전달한다.
또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듀싱니플(10)이 플렉시블 관체(F)와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평판 방식 천장에 사용되는 천장패널(P)의 통공(h)을 관통하여 천장패널(P)에 착탈 가능하도록 되어있어, 레듀싱니플(10)을 천장패널(P)과 분리한 뒤, 레듀싱니플(10)과 플렉시블 관체(F) 전체를 천장패널(P)의 상부로 꺼냄으로써 레듀싱니플(10)과 플렉시블 관체(F)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천장패널(P)의 상부에서 헤드(20)를 교체할 수 있는 바, 레듀싱니플(10)에서 스프링클러를 설치한 내부공간으로 소화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헤드(20)는 급수원으로부터 레듀싱니플(10)을 통해 공급되는 소화수를 분사하는 부분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듀싱니플(10)의 하단에 나사 결합 등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화재가 발생한 경우 급수원으로부터 관체를 통해 니플로 공급된 소화수를 아래로 분사하며, 분사가 천장패널(P)의 하측에서 골고루 이루어지도록 천장패널(P)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위치한다.
니플고정수단(30)은 레듀싱니플(10)을 천장패널(P)에 고정결합하고, 레듀싱니플(10)의 하단에 결합된 헤드(20)가 돌출되는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유닛(60), 하부유닛(70), 조절부재(80) 및 체결부재(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유닛(60)은 천장패널(P)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니플구멍(n)이 형성돼 레듀싱니플(10)이 관통되어 삽입되며, 제1부분(61), 제2부분(62)으로 이루어진다.
제1부분(6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듀싱니플(10)과 연결되어 고정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상부유닛(60)의 외관 중 상단에 작은 외경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듀싱니플(10)이 제1부분(61)의 상단을 통해 니플구멍(n)의 내부에 삽입되어 니플구멍(n)의 내주면 일부분과 접하게 되므로, 니플구멍(n)의 내주면 상측의 일부분이 마감되어 통공(h)으로 미세한 먼지 등이 유입 및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2부분(62)은 제1부분(61)이 통공(h)을 관통하여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분(61)의 하부에 제1부분(61)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하부면이 천장패널(P)의 상부면에 접촉해 통공(h)의 상측에 안착 되어, 천장패널(P)의 상면과의 사이를 통해 통공(h)을 통해 먼지나 소화수 등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한다.
제3부분(63)은 천장패널(P)의 통공(h)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분(62)의 하부에 제2부분(62)보다 작고, 통공(h)에 삽입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외주의 크기가 통공(h)의 내주의 크기와 유사하도록 형성되므로, 통공(h)과 제3부분(63)의 사이로 먼지나 소화수 등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한다.
상기 하부유닛(70)은 통공(h)의 하부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니플구멍(n)이 형성돼 레듀싱니플(10)이 관통되어 삽입되며, 제1부분(71)과 제2부분(7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부분(71)은 통공(h)에 천장패널(P)의 하부로부터 삽입되어 상부유닛(60)의 제3부분(63)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다양한 구조로 체결될 수 있는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에 숫나사를 가지는 원통으로 형성하고, 제3부분(63)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와 체결되도록 하면, 통공(h)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부유닛(60)과 하부유닛(70)을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제2부분(72)은 제1부분(71)의 하부에 형성되어, 외경이 통공(h)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면이 천장패널(P)의 저면과 접하는 부분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분(71)이 제3부분(63)과 체결되었을 때 제3부분(63)과의 사이에 천장패널(P)이 개재되도록 하여, 도 7과 같이 상부유닛(60)의 제2부분(62)과 천장패널(P) 사이의 틈새와, 하부유닛(70)의 제2부분(72)과 천장패널(P) 사이의 틈새를 나사의 체결력으로 밀폐하므로, 천장패널(P)의 상부나 통공(h)의 내부에서 먼지나 소화수 등이 통공(h)을 통해 천장패널(P)의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하부유닛(70)은 제1부분(71)과 제2부분(72) 사이에 원통부(73)를 더 구비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부(73)의 외주면이 통공(h)의 내주면을 마감하므로, 상부유닛(60)의 제2부분(62)과 함께 통공(h)으로 미세한 먼지 등이 유입 및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조절부재(80)는 레듀싱니플(10)을 상부유닛(60)에 상측에 안착되어 레듀싱니플(10)을 지지하고, 레듀싱니플(10)과 헤드(20)의 높이를 조절하기위한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태로 형성되어 레듀싱니플(10)의 외주에 끼워지며, 다양한 방법으로 레듀싱니플(10)에 체결될 수 있는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듀싱니플(10)의 외주면에 숫나사부(10a)를 형성하고, 조절부재(80)의 내주면에 숫나사부(10a)에 체결되는 암나사부(80a)를 형성하면, 암나사부(80a)를 숫나사부(10a) 상에 체결해 레듀싱니플(10)을 회전시킴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재(80)가 레듀싱니플(10)에 체결되게 된다.
또한, 조절부재(80)로 레듀싱니플(10)과 헤드(20)의 높이를 조절할 때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재(80)를 회전시켜 암나사부(80a)를 숫나사부(10a)에 조이거나 푸는 것으로 조절부재(80)가 레듀싱니플(10)의 외주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며, 조절부재(80)가 안착되는 상부유닛(60)의 상측 높이는 고정된 위치이므로, 도 5와 같이 조절부재(80)를 하강시켜 숫나사부(10a)의 하측에 체결했을 때는 레듀싱니플(10)과 헤드(20)가 상부유닛(60)을 기준으로 높게 위치할 수 있게 되고, 도 6와 같이 조절부재(80)를 상승시켜 숫나사부(10a)의 상측에 체결했을 때는 레듀싱니플(10)과 헤드(20)가 상부유닛(60)을 기준으로 낮게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플고정수단(30)이 조절부재(80)를 구비하는 바, 도 6와 같이 천장패널(P)의 두께가 두꺼울 때, 레듀싱니플(10)의 외주에서 조절부재(80)의 위치를 나사로 조절함으로써 레듀싱니플(10)의 하단에 결합된 헤드(20)가 천장패널(P)의 통공(h)에서 하방으로 더 길게 돌출되도록 하여 헤드(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통공(h)이 헤드(20)에서의 소화수의 방수를 방해하지 않고 방수가 골고루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체결부재(90)는 조절부재(80)를 가압하여 레듀싱니플(10)을 상부유닛(60)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조립시에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9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듀싱니플(10)의 외주에 끼워져 레듀싱니플(10)과 상부유닛(60)을 체결하는데. 상부유닛(60)의 제1부분(61)의 외주면에는 숫나사가 형성되어 체결부재(90)의 암나사와 체결된다.
여기서 상부유닛(60)은 상술했듯이 제2부분(62)이 하부에 형성되고 제1부분(61)이 상부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체결부재(90)의 암나사와 체결되는 숫나사가 제1부분(61)에 형성돼 적당한 크기의 체결부재(90)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체결부재(90)를 제1부분(61)에 체결할 때 레듀싱니플(10)이 체결부재(90)에 의해 상부유닛(60)과 체결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90)는 내주면의 하단으로부터 일부분이 반경외측으로 확경되어 조절부재(80)를 누르는 누름턱(91)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듀싱니플(10)을 상부유닛(60)의 니플구멍(n)의 상부로부터 끼워넣어 하부유닛(70)의 니플구멍(n)으로 관통시키고, 조절부재(80)를 상부유닛(60)의 상측 즉, 제1부분(61)의 상단면 또는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부분(61)의 상측의 안착홈(61a)에 끼워 안착시킨 뒤, 체결부재(90)를 제1부분(61)에 나사체결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90)의 누름턱(91)이 조절부재(80)의 상면을 누르게 되며, 체결부재(90)의 제1부분(61)에 대한 체결을 강하게 할수록 조절부재(80)가 누름턱(91)에 의해 상부유닛(60)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체결부재(90)에 의해 상부유닛(60)과 체결되게 된다.
이때,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61a)에는 조절부재(80)와 접하는 면에 오링(R)을 끼우면, 상기 체결부재(90)가 상기 상부유닛(60)에 체결될 때, 상기 조절부재(80)의 저면과 상기 상부유닛(60)의 상측면에 오링(R)이 밀착됨으로써, 조절부재(80)와 안착홈(61a) 사이의 틈새를 통해 니플구멍(h)으로 먼지나 소화수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위와 같은 체결부재(90)와 조절부재(80)를 구비하는 구조에서 체결부재(90)가 조절부재(80)를 더 효과적으로 가압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체결부재(90)가 상부유닛(60)에 체결되어 조절부재(80)를 가압할 때, 조절부재(80)가 체결부재(90)와 밀착되면서 체결부재(9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승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체결부재(90)의 상부유닛(60)이 통상적인 오른나사로 체결될 때 조절부재(80)의 암나사부(80a)와 레듀싱니플(10)의 숫나사부(10a)가 왼나사로 체결됨으로써, 체결부재(90)가 오른나사로 회전체결되면서 조절부재(80)를 가압하면, 조절부재(80)와 레듀싱니플(10)의 암나사 체결에 의해 체결부재(90)와는 반대로 상승하게 되어, 하강하는 체결부재(90)가 상승하는 조절부재(80)를 가압하여 더 효과적으로 체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90)가 제1부분(61)에 강한 체결력으로 체결될수록, 체결부재(90)가 상부유닛(60)을 위로 당기게 되어 상부유닛(60)은 도 7의 D방향으로 상승하는 힘을 받게 되는데, 상부유닛(60)이 상승하는 힘을 받음에 따라 상부유닛(60)과 체결된 하부유닛(70) 또한 도 7의 D방향으로 상승하는 힘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하부유닛(70)이 상승하는 힘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분(72)의 상면이 천장패널(P)의 저면에 강하게 밀착하게 되며, 이로인해 통공(h)과 상부유닛(60) 사이의 틈새 및 통공(h)과 하부유닛(70) 사이의 틈새가 완전히 밀폐되게 된다.
더욱이,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유닛(70)의 제2부분(72)의 상면에 오링이나 고무패킹과 같은 밀착부재(S)를 끼우면, 체결부재(90)가 상부유닛(60)에 체결될 때, 밀착부재(S)가 천장패널(P)의 저면에 밀착됨으로써, 제2부분(72)의 상면과 천장패널(P)의 저면 사이의 밀폐 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니플고정수단(30)의 상부유닛(60)과 체결부재(90)을 결합하여 체결부재(90)이 조절부재(80)를 가압시킬 때, 체결부재(90)의 체결력에 의해 상부유닛(60)이 전체적으로 상승함으로써 상부유닛(60)과 결합된 하부유닛(70) 또한 상승하게 되는 바, 하부유닛(70)이 천장패널(P)의 저면에 강하게 밀착되도록 할 수 있어, 천장패널(P)의 통공(h)을 상부유닛(60)과 하부유닛(70)의 체결력에 의지하지 않고 천장패널(P)의 저면에서 하부유닛(70)의 밀착에 의해 견고하게 밀폐되도록 할 수 있고, 따라서 평상시에 천장패널(P)의 상측 공간에서 스프링클러(1)나 통공(h)을 통해 하측 실내로 먼지나 소화수 등이 유입되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레듀싱니플(10)을 천장패널(P)에 고정결합하는 니플고정수단(30)을 상부유닛(60), 하부유닛(70), 조절부재(80) 및 체결부재(90)로 구성하여, 상부유닛(60)과 하부유닛(70)을 천장패널(P)의 통공(h)에 끼워 상호 체결하고, 레듀싱니플(10)에 결합한 조절부재(80)를 상부유닛(60)의 상측에 안착시킨 뒤 체결부재(90)를 상부유닛(60)의 상측에 체결하여 조절부재(80)를 가압시키는 간단한 방법으로 스프링클러(1)를 조립하는 바, 복잡한 과정 없이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스프링클러(1)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레듀싱니플(10)과 플렉시블 관체(F)는 서로 일체로 제작되어있어 자체적으로 회전시킬 수 없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듀싱니플(10)과 플렉시블 관체(F)의 외주면 상에서 자유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끼워진 체결부재(90)를 이용함으로써 레듀싱니플(10)과 플렉시블 관체(F)를 회전시키지 않아도 레듀싱니플(10)과 플렉시블 관체(F)를 상부유닛(60)에서 쉽고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게 된다.
헤드보호망(40)은 천장패널(P)의 하측에서 헤드(20)를 감싸 보호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20)를 감싸도록 돔 형태의 철망으로 형성되며, 상단에 암나사를 형성해 제2부분(72)의 외주면에 형성한 나사에 착탈 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되면, 파손되었을 때 쉽게 착탈하여 교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 스프링클러 10: 레듀싱니플
20: 헤드 30: 니플고정수단
40: 헤드보호망 F: 플렉시블 관체
P: 천장패널 h: 통공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천장패널(P)에 형성된 통공(h)을 관통하고, 상측이 급수원으로부터 연결되어 소화수가 유입되는 플렉시블 관체(F)와 일체로 제작되는 레듀싱니플(10);
    상기 레듀싱니플(10)의 하단에 결합되어,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레듀싱니플(10)을 통해 공급되는 소화수를 분사하는 헤드(20);
    상기 헤드(20)가 상기 천장패널(P)에서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가능하도록 상기 레듀싱니플(10)을 상기 천장패널(P)에 고정결합시키는 니플고정수단(30); 및
    상기 천장패널(P)의 하측에서 상기 헤드(20)를 보호하는 헤드보호망(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니플고정수단(30)은,
    상기 천장패널(P)의 상기 통공(h)의 상부에 위치하고, 중앙에 상기 레듀싱니플(10)이 끼워지는 니플구멍(n)이 형성되는 상부유닛(60);
    상기 통공(h)의 하부로부터 끼워져 상기 상부유닛(60)과 고정결합되고, 중앙에 상기 레듀싱니플(10)이 끼워지는 니플구멍(n)이 형성되는 하부유닛(70);
    상기 레듀싱니플(10)의 외주에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상부유닛(60)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레듀싱니플(10)을 지지하는 조절부재(80); 및
    상기 상부유닛(60)의 상측에 체결되며, 상기 상부유닛(60)에 체결될 때 상기 조절부재(80)를 가압하여 상기 레듀싱니플(10)을 상기 상부유닛(60)에 고정하는 체결부재(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레듀싱니플(10)은 외주 일부분에 숫나사부(10a)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재(80)는 내주면에 상기 숫나사부(10a)에 체결되는 암나사부(80a)가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부(80a)가 상기 숫나사부(10a)상에서 회전될 때, 상기 조절부재(80)가 상기 레듀싱니플(10)의 외주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결합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90)와 상기 상부유닛(60)이 오른나사로 체결될 때,
    상기 조절부재(80)의 암나사부(80a)와 상기 레듀싱니플(10)의 숫나사부(10a)는 왼나사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결합구조.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부유닛(70)은,
    상기 천장패널(P)의 상기 통공(h)에 끼워져 상기 상부유닛(60)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1부분(71); 및
    상기 제1부분(71)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면이 상기 천장패널(P)의 저면과 접하는 제2부분(7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부분(72)은 상면에 밀착부재(S)가 끼워져, 상기 체결부재(90)가 상기 상부유닛(60)에 체결될 때, 상기 밀착부재(S)가 상기 천장패널(P)의 저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결합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부유닛(60)은 상기 조절부재(80)와 접하는 면에 오링(R)이 끼워져, 상기 체결부재(90)가 상기 상부유닛(60)에 체결될 때, 상기 조절부재(80)의 저면과 상기 상부유닛(60)의 상측면에 오링(R)이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결합구조.
KR1020210144473A 2021-10-27 2021-10-27 스프링클러 결합구조 KR102431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473A KR102431469B1 (ko) 2021-10-27 2021-10-27 스프링클러 결합구조
PCT/KR2022/013551 WO2023075135A1 (ko) 2021-10-27 2022-09-08 스프링클러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473A KR102431469B1 (ko) 2021-10-27 2021-10-27 스프링클러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1469B1 true KR102431469B1 (ko) 2022-08-11

Family

ID=82803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4473A KR102431469B1 (ko) 2021-10-27 2021-10-27 스프링클러 결합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31469B1 (ko)
WO (1) WO202307513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5135A1 (ko) * 2021-10-27 2023-05-04 (주) 여는 스프링클러 결합구조
KR102621650B1 (ko) * 2022-12-28 2024-01-09 주식회사 파라텍 스프링클러 보호용 커버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866U (ko) * 1998-04-21 1999-11-15 대명기계공업 주식회사 소화용 스프링클러의 플렉시블 연결관
KR200270116Y1 (ko) * 2001-12-18 2002-03-29 주식회사 파라다이스산업 소방배관용 니플 높이 조절장치
KR200451537Y1 (ko) * 2008-10-14 2010-12-22 주식회사 동양플랙스 천장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장치
KR101173882B1 (ko) * 2010-07-02 2012-08-16 (주)파라다이스산업 스프링클러 헤드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5367B1 (ja) * 2007-09-27 2009-02-18 Toto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ー装置を天井パネルに対して固定する固定装置、固定構造及び固定方法
KR102431469B1 (ko) * 2021-10-27 2022-08-11 (주) 여는 스프링클러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866U (ko) * 1998-04-21 1999-11-15 대명기계공업 주식회사 소화용 스프링클러의 플렉시블 연결관
KR200270116Y1 (ko) * 2001-12-18 2002-03-29 주식회사 파라다이스산업 소방배관용 니플 높이 조절장치
KR200451537Y1 (ko) * 2008-10-14 2010-12-22 주식회사 동양플랙스 천장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장치
KR101173882B1 (ko) * 2010-07-02 2012-08-16 (주)파라다이스산업 스프링클러 헤드의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5135A1 (ko) * 2021-10-27 2023-05-04 (주) 여는 스프링클러 결합구조
KR102621650B1 (ko) * 2022-12-28 2024-01-09 주식회사 파라텍 스프링클러 보호용 커버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75135A1 (ko)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1469B1 (ko) 스프링클러 결합구조
US6807692B2 (en) Water lock tap
ES2707584T3 (es) Adaptador de montaje no invasivo para techo y método de instalación del mismo
US7296634B2 (en) Decorative support panel
US4569805A (en) Apparatus for the submerged introduction of a fluid into a body of liquid
US4007877A (en) Adjustable stem sprinkler drop
KR20220129444A (ko) 스프링클러 결합구조
JPH06170008A (ja) 消火スプリンクラー配管構造
JP2013019111A (ja) 集合配管・配線用建造物取付用フードボックス
CN213871417U (zh) 一种新型建筑消防管路防渗水装置
JP4486736B2 (ja) 横隔膜貯槽
KR101437766B1 (ko) 천장 매립형 샤워기 고정장치
CN220379086U (zh) 一种洁净室穿墙不锈钢管道固定密封装置
JP7325367B2 (ja) 照明器具取り付け構造
JP6982848B2 (ja) 防水継手カバーと接続管に使用する防臭具
KR102571493B1 (ko) 방진형 스프링클러
JP5635431B2 (ja) 放射ヘッド設置高さ調整機構及び調整治具
CN209361722U (zh) 一种用于房屋建筑消防用的喷淋装置
JP2019173339A (ja) フランジ接続装置
CN217331982U (zh) 一种管道试压构件
CN212522809U (zh) 一种室内具有导流功能的喷水装置
KR200347034Y1 (ko) 소화용 스프링쿨러 설치구조
KR20240064450A (ko) 천장패널을 파지하여 헤드니플을 지지하는 스프링클러
KR200363632Y1 (ko)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
KR19990001860U (ko) 스프링클러 헤드용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