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116Y1 - 소방배관용 니플 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소방배관용 니플 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116Y1
KR200270116Y1 KR2020010039091U KR20010039091U KR200270116Y1 KR 200270116 Y1 KR200270116 Y1 KR 200270116Y1 KR 2020010039091 U KR2020010039091 U KR 2020010039091U KR 20010039091 U KR20010039091 U KR 20010039091U KR 200270116 Y1 KR200270116 Y1 KR 2002701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pple
bracket
hole
ceiling
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0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대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라다이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라다이스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라다이스산업
Priority to KR20200100390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1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1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116Y1/ko

Links

Landscapes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장 내에 설치되는 플렉시블 조인트와 텍스(Tex)의 외부로 노출되는 스프링클러 헤드사이를 연결하는 니플(nipple)에 관한 것으로, 천장과 텍스사이의 높이에 따라 천장에 매달리게 설치되는 니플의 위치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천장(1)에 니플(6)을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니플의 끝단이 텍스(2)에 형성된 통공(2a)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한 쌍의 가이드면(15c)이 구비되고 절곡부(15d)에 통공(15e)이 형성된 브라켓(15)과, 상기 브라켓의 가이드면에 끼워지는 돌기(16b)가 형성되고 통공을 통해 나사부(16a)가 하부로 노출되는 니플(16)과, 상기 니플에 형성된 나사부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에는 조절홈(17a)이 형성된 조절구(17)와, 상기 조절구가 니플에서 이탈되지 않고 공회전하도록 조절구의 삽입홈(17b)에 끼워지는 E-링(18)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소방배관용 니플 높이 조절장치{Nipple Hight Control Device For Fire Piping}
본 고안은 천장내에 설치되는 플렉시블 조인트와 텍스(Tex)의 외부로 노출되는 스프링클러 헤드사이를 연결하는 니플(nipple)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천장과 텍스사이의 높이에 따라 천장에 매달리게 설치되는 니플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소방배관용 니플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는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어 화재가 발생할 경우 소방관로에 일정한 압력으로 충수되어 있던 물을 발화 지점에 고르게 방사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함과 동시에 화재경보를 울려 화재통보와 소화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자동소화설비이다.
이러한, 스프링클러는 목재나 종이 또는 직물 등의 일반적인 화재의 조기진압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며, 물을 분무상(噴霧狀)으로 방사시키므로 액체화재에도 효과가 크고, 화재 발견이나 소화활동이 곤란한 지하 건축물이나 가연성물질이 많고 보행인의 왕래가 잦은 곳의 소화설비로서 적합하며, 야간의 자동소화도 기대할 수 있는 등 적용범위가 매우 넓다.
이러한 스프링클러는 보통 67∼180℃에서 작동하나, 스프링클러 헤드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부착 위치라든지 배치 및 방수량에 대해서는 건물의 종류와 내장(內裝)의 정도에 따라서 소방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상기한 역할을 하는 스프링클러가 건물의 천장에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천장부근의 온도가 67∼180℃로 상승하면 헤드의 파열마개에 설치된 온도 감열부재가 이를 감지하게 되므로 파열마개가 여러 조각으로 파열된다.
이와 같이 파열마개가 산산 조각나면 슬라이딩 디플렉터가 슬라이더봉을 따라 헤드로부터 일정거리만큼 낙하되므로 소화수가 헤드에 형성된 출수구를 통해 분출되어 슬라이딩 디플렉터에 부딪히게 되고, 이에 따라 소방수가 사방으로 골고루 분사되므로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소방배관이 설치된 상태의 개략도로서, 건물의 천장(1)과 마감재인 텍스(2)사이에 플렉시블 조인트(3)가 지지물(4)에 의해 매달려 있고 상기 플렉시블 조인트의 끝부분에는 브라켓(5)에 의해 천장(1)에 고정된 엘보우형태의 니플(6)이 연결되어 있으며 니플의 끝단에는 텍스의 외부로 노출되게 헤드(7)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헤드(7)가 텍스(2)의 외부로 노출되게 시공되는 소방배관은 건물의 구조 및 용도에 따라 천장(1)과 텍스(2)사이의 거리가 각각 다르므로 니플(6)을 천장(1)에 매달기 위해서는 높이가 다른 여러 종류의 브라켓(5)을 구비하여야만 되므로 플렉시블 조인트(3)와 헤드(7)사이의 간격에 따라 니플(6)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어야 된다.
도 2는 종래의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 종단면도로서, 천장(1)에 매달리게 설치되는 브라켓(5)에 장공(5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에는 장공(5a)을 통해 절곡부(8a)가 노출되게 클램프(8)가 감싸여지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8)에 니플(6)이 체결부재(9)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5)의 하단에 형성된 절곡부(5b)의 장공(5c)에는 조절나사(10)가 스프링(11)으로 탄력 설치되어 클램프(8)의 절곡부(8a)에 형성된 나사공(8b)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라켓(5)이 천장(1)에 매달려 설치되고 텍스(2)의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텍스의 외측(실내)에서 텍스의 내부에 위치된 니플(6)에 헤드(7)를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일치하는 통공(2a)만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통공(2a)은 별도의 캡(12)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 통공(2a)을 통해 헤드(7)를 니플(6)에 나사 결합하기 위한 작업시 니플(6)의 끝단과 텍스(2)의 상면이 일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조절나사(10)를 회전시켜 니플(6)의 위치를 가변시켜야 된다.
즉, 절곡부(5b)의 장공(5c)을 통해 클램프(8)의 절곡부(8a)에 나사 결합된 조절나사(10)를 공회전시키면 브라켓(5)에 감싸여짐과 동시에 니플(6)을 고정하고 있던 클램프(8)가 스프링(11)을 압축시키거나, 복원력에 의해 브라켓(5)을 따라 수직 이동하여 위치가 가변되므로 통공(2a)을 통해 니플(6)에 헤드(7)를 나사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첫째, 시공이 완료된 텍스(2)상에는 헤드를 니플(6)에 나사 결합하기 위한 통공(2a)만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통공을 통해 니플(6)의 일측에 위치되는 조절나사(10)를 회전시키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웠으므로 신속한 시공작업이 불가능하다.
둘째, 조절나사(10)의 회전에 따른 힘이 브라켓(5)에 편심되게 전달되는 힘의 불균형으로 인해 통공(2a)을 통해 조절나사(10)를 회전시키는데 많은 힘이 들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구조를 개선하여 조절나사가 통공의 직하방으로 노출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절나사의 회전력이 니플에 직접 전달되도록 하여 적은 힘으로 니플의 위치를 손쉽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브라켓을 2개로 분할 형성하여 천장과 텍스사이의 높이 차이가 많이 발생되더라도 1개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니플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천장에 니플을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니플의 끝단이 텍스에 형성된 통공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한 쌍의 가이드면이 구비되고 절곡부에 통공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가이드면에 끼워지는 돌기가 형성되고 통공을 통해 나사부가 하부로 노출되는 니플과, 상기 니플에 형성된 나사부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에는 조절홈이 형성된 조절구와, 상기 조절구가 니플에서 이탈되지 않고 공회전하도록 조절구의 삽입홈에 끼워지는 E-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배관용 니플 높이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소방배관이 설치된 상태의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A - A선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 : 브라켓 15c : 가이드면
16 : 니플 16b : 돌기
17 : 조절구 17a : 조절홈
18 : E-링 19 : 와셔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A - A선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구성 중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한 쌍의 가이드면(15c)이 구비되고 절곡부(15d)에 통공(15e)이 형성된 브라켓(15)을 체결부재(13)에 의해 천장(1)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15)에 형성된 통공(15e)내에 삽입되는 나사부(16a)가 형성된 니플(16)에는 브라켓(15)의 가이드면(15c)에 끼워지는 돌기(16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15)을 단일체로 구성하여도 되지만, 2개로 분할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4 및 도 5와 같이 브라켓(15)이 제 1 브라켓(15a)과 제 2 브라켓(15b)으로 분할 형성되어 상기 제 1 브라켓(15a)에 가이드면(15c) 및 통공(15d)을 갖는 절곡부(15e)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브라켓(15b)에는 장공(15f)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장공(15f)을 통해 제 1 브라켓(15a)을 체결부재(14)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조립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1개의 브라켓(15)을 이용하여 천장(1)과 텍스(2)사이의 높이(t)변화가 크더라도 니플의 높이 조절폭이 커지게 하여 여러 종류의 브라켓을 구비하지 않고도 니플(6)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브라켓(15)의 통공(15e)을 통해 하부로 노출된 니플(16)의 나사부(16a)에 조절홈(17a)이 형성된 조절구(17)가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조절구(17)에 형성된 환형의 삽입홈(17b)에는 상기 조절구(17)가 니플(16)에서 이탈되지 않고 공회전하도록 E-링(18)이 끼워져 있다.
이 때, 상기 절곡부(15d)와 E-링(18)의 사이에 와셔(19)가 위치되어 있는데, 이는 지그(jig) 등을 이용하여 조절구(17)를 회전시킬 때 E-링(18)과 절곡부(15d)사이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조절구(17)가 보다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천장(1)과 텍스(2)사이의 높이(t)에 따라 제 1, 2 브라켓(15a)(15b)을 일체화하고 있던 체결부재(14)를 느슨하게 푼 다음 제 1, 2 브라켓(15a)(15b)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하면 상기 제 2 브라켓(15b)에 형성된 장공(15f)에 의해 제 1, 2 브라켓(15a)(15b)의 전체 높이가 가변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느슨하게 풀었던 체결부재(14)를 체결하므로써 제 1, 2 브라켓(15a)(15b)이 일체화된다.
이와 같이 천장(1)과 텍스(2)사이의 높이(t)에 따라 브라켓(15)의 높이를 가변시키고 나면 또 다른 체결부재(13)를 이용하여 브라켓(15)을 천장(1)에 고정시킨다.
그 후, 천장면에 시공되는 플렉시블 조인트(3)를 니플(16)의 일단에 연결하는 시공작업을 진행함과 동시에 텍스(2)의 시공작업을 완료하고 나면 텍스(2)에 형성된 통공(2a)의 직하방에 니플(16)의 끝단이 노출된다.
상기 텍스(2)에 형성된 통공(2a)의 하부로 니플(16)이 노출되면 상기 니플에 캡(12)을 위치시킨 다음 헤드(7)를 나사 결합하므로써 스프링클러의 시공작업이 완료되는데, 만약 통공(2a)의 하부로 노출된 니플(16)의 끝단이 원하는 위치보다 상측에 위치하거나, 하측에 위치된 경우에는 니플(16)의 높이를 조절하여야만 상기 니플(16)에 헤드(7)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니플(16)의 위치를 가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니플(16)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조절구(17)가 통공(2a)의 직상부에 위치되어 있어 드라이버 또는 별도의 지그(도시는 생략함)를 이용하여 조절구(17)를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니플(16)의 위치가 가변된다.
즉, 니플(16)의 나사부(16a)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조절구(17)를 회전시키면 니플(16)에 형성된 돌기(16b)가 브라켓(15)에 형성된 가이드면(15c)사이에 위치되어 있어 조절구(17)의 회전운동이 상하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니플에 전달되므로 브라켓(15)에 끼워진 니플(16)이 원하는 양만큼 상승하거나, 하강하여 높이가 조절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절구(17)의 회전으로 니플(16)의 위치가 가변될 때 E-링(18)과 절곡부(15d)사이에 와셔(19)가 위치되어 있어 조절구(17)의 회전에 따른 마찰저항을 최소화하게 되므로 니플(16)의 높이 조절작업이 용이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장치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텍스(2)에 형성된 통공(2a)의 하부로 조절구(17)가 노출되어 있어 지그 등을 이용하여 조절구를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니플(6)의 위치가 가변되므로 스프링클러의 시공작업이 편리해지게 된다.
둘째, 니플(6)과 조절구(17)가 동일축선상에 위치되어 있어 적은 힘으로도 조절구(17)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므로 니플(6)의 조절작업이 매우 편리해지게 된다.
셋째, 브라켓(15)이 2개로 분할 형성되어 있어 천장(1)과 텍스(2)사이의 높이변화가 크더라도 니플의 높이 조절폭이 커지게 되므로 1개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니플(6)을 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천장에 니플을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니플의 끝단이 텍스에 형성된 통공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한 쌍의 가이드면이 구비되고 절곡부에 통공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가이드면에 끼워지는 돌기가 형성되고 통공을 통해 나사부가 하부로 노출되는 니플과, 상기 니플에 형성된 나사부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에는 조절홈이 형성된 조절구와, 상기 조절구가 니플에서 이탈되지 않고 공회전하도록 조절구의 삽입홈에 끼워지는 E-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배관용 니플 높이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와 E-링의 사이에 와셔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배관용 니플 높이 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을 제 1 브라켓과 제 2 브라켓으로 분할 형성하여 제 1 브라켓에 가이드면 및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브라켓에는 장공을 형성하여 상기 장공을 통해 제 1 브라켓을 체결부재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배관용 니플 높이 조절장치.
KR2020010039091U 2001-12-18 2001-12-18 소방배관용 니플 높이 조절장치 KR2002701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091U KR200270116Y1 (ko) 2001-12-18 2001-12-18 소방배관용 니플 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091U KR200270116Y1 (ko) 2001-12-18 2001-12-18 소방배관용 니플 높이 조절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0731A Division KR100441679B1 (ko) 2001-12-18 2001-12-18 소방배관용 니플 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116Y1 true KR200270116Y1 (ko) 2002-03-29

Family

ID=73114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091U KR200270116Y1 (ko) 2001-12-18 2001-12-18 소방배관용 니플 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11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871B1 (ko) * 2018-08-13 2019-07-19 주식회사 파라텍 엘보조립체
KR102308608B1 (ko) * 2021-04-02 2021-10-06 이수이엔지 주식회사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능 탑재 소방장치
KR102308607B1 (ko) * 2021-04-02 2021-10-06 이수이엔지 주식회사 스프링클러 결합 소방방재장치
KR102431469B1 (ko) * 2021-10-27 2022-08-11 (주) 여는 스프링클러 결합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871B1 (ko) * 2018-08-13 2019-07-19 주식회사 파라텍 엘보조립체
KR102308608B1 (ko) * 2021-04-02 2021-10-06 이수이엔지 주식회사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능 탑재 소방장치
KR102308607B1 (ko) * 2021-04-02 2021-10-06 이수이엔지 주식회사 스프링클러 결합 소방방재장치
KR102431469B1 (ko) * 2021-10-27 2022-08-11 (주) 여는 스프링클러 결합구조
WO2023075135A1 (ko) * 2021-10-27 2023-05-04 (주) 여는 스프링클러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4059A (en) Frangible bulb sprinkler head
US5101083A (en) Rain switch
TWI342196B (en) Bodyspray having adjustable spray orientation
US6158519A (en) Fire suppression method and apparatus
RU2007149256A (ru) Скрытый спринклер с плоской пластиной для жилых помещений
KR200270116Y1 (ko) 소방배관용 니플 높이 조절장치
KR100441679B1 (ko) 소방배관용 니플 높이 조절장치
US6102127A (en) Temperature controlled valve for drip valves and sprinkler systems
KR200410594Y1 (ko) 소화배관용 높이조절장치
US7194775B2 (en) Shower device with multiple movable arms
US6024174A (en) Sprinkler head and a temperature controlled valve therefor
JPH0724793B2 (ja) 散水装置
US2414052A (en) Lawn sprinkler
US3194316A (en) Adjustable drop sprig for a fire sprinkler system
JPH09187529A (ja) 消火装置
US4205788A (en) Sprinkler head with improved combined stream coherency diffuser and distance control baffle member
RU2748089C1 (ru) Узел крепления выпадающего дренчерного оросителя
KR102538477B1 (ko) 소방용 관창
US20180100295A1 (en) Shower assembly
KR200322839Y1 (ko)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및 그 고정구조
WO1982002679A1 (en) A fine spray nozzle
KR940005849Y1 (ko) 소화(消火)용 열감지 밸브
KR102428995B1 (ko)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KR20000010219U (ko) 실외용 스프링클러의 설치구조
JPH052323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