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3632Y1 -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3632Y1
KR200363632Y1 KR20-2004-0020361U KR20040020361U KR200363632Y1 KR 200363632 Y1 KR200363632 Y1 KR 200363632Y1 KR 20040020361 U KR20040020361 U KR 20040020361U KR 200363632 Y1 KR200363632 Y1 KR 2003636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reducer
coupling portion
lower cap
upp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03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호진
Original Assignee
승진산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승진산업 (주) filed Critical 승진산업 (주)
Priority to KR20-2004-00203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36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36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36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means for hanging lighting fixtures or other appliances to the framework of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장마감재 상면에 위치되는 상부캡에 레듀서를 별도로 체결하는 과정없이 간단하게 삽입하고 이어서 레듀서에 스프링클러의 헤드를, 상부캡에 천장마감재의 하면상에 위치하는 하부캡을 나합시킴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상부캡의 다각형내면 및 레듀서의 캡결합부가 상호 구속하여 레듀서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Device for Fixing the Springkler`s Reducer}
본 고안은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장마감재 상면에 위치되는 상부캡에 레듀서를 별도로 체결하는 과정없이 간단하게 삽입하고 이어서 레듀서에 스프링클러의 헤드를, 상부캡에 천장마감재의 하면상에 위치하는 하부캡을 나합시킴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상부캡의 다각형내면 및 레듀서의 캡결합부가 상호 구속하여 레듀서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서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층건물이나 대형건물에서의 화재는 대형참사를 불러오기 때문에, 최근 고층건물이나 대형건물에는 다양한 종래의 화재진압장비들이 설치되고 있다. 그 중 스프링클러가 많이 사용되는데, 스프링클러는 화염이 발생하여 온도가 상승하면 스프링클러의 헤드의 가용부(可溶部)가 이를 감지하여 용해 또는 파열됨으로써 배관 속에 상기 가압되어 있는 물을 방수하여 소화(消火)하는 장치이다.
도 1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실용신안 제340988호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상기 레듀샤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시공자는 먼저 스프링클러의 설치위치를 정한 후 플렉시블호스(P)의 일단부에 레듀샤(4')의 나사이음부(41')를 나합하여 플렉시블호스(P)에 레듀샤(4')를 연결한다. 이어서, 레듀샤(4')의 캡이음부(45')에 상부캡(1')의 레듀샤결합부(11')를 나합한 후 스프링클러 헤드(3')를 캡이음부(45')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451')에 나합하여 레듀샤(4')에 헤드(3')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천장마감재(5)의 개구부(55)는 스프링클러 설치위치를 감안하여 그 반경 D2가 하부캡플랜지(23')의 거리 D3보다 작도록 천공된다. 그리고, 시공자는 천장마감재(5)를 타설하고 하부캡(2')을 개구부(55)로 삽입회전시켜 하부캡결합부(21')를 상부캡결합부(13')에 나합시킴으로서 하부캡(2')과 상부캡(1')의 상호 결합을 완료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스프링클러 레듀샤 고정장치는 상기 레듀샤(4')를레듀샤결합부(11')에 나사결합 해야하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 시공하기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또한, 레듀샤(4')가 결합된 상부캡(1')에 하부캡(2')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하부캡(2')을 회전시키면, 가요성을 가진 플렉시블호스(P)에 결합된 레듀샤(4')가 자유롭게 회전하게 되어 레듀사(4')와 플렉시블호스(P)와의 나사이음부위가 풀리거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급수관과 플렉시블호스(P)와의 나사이음부위가 풀려서 누수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레듀샤(4')는 상부캡(1')과의 결합을 위해서 일단에 일정한 길이를 가진 캡이음부(45')를 형성해야 하므로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고안은 앞서 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레듀서를 상부캡에 나사체결하지 않고 간단하게 삽입함으로써 신속하고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부캡 및 레듀서가 상호 구속함으로써 하부캡의 나합시 레듀서의 회전을 방지하여 플렉시블호스와 레듀서의 나사이음부위 내지 급수관과 플렉시블호스와의 나사이음부의 풀림을 차단하고 이어서, 누수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캡에 결합하기 위해 별도의 나사이음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재료가 절감되고 제작이 용이한 레듀서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의레듀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의 분해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레듀서 고정장치의 상부캡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레듀서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7은 상부캡결합부가 원뿔바디의 높이보다 작은 상부캡을 가지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8은 상부캡결합부가 원뿔바디의 높이보다 큰 상부캡을 가지는 본 고안의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9는 하부캡에 형성된 홈에 공구를 위치시켜 상부캡과 하부캡을 상호 체결하거나 결합해체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간단한 설명*
1: 상부캡 11: 레듀서 결합부 13: 상부캡결합부
15: 상부캡지지체 2: 하부캡 21: 하부캡결합부
23: 하부캡지지체 25: 하부캡 관통개구 27: 공구결합부
3: 스플링클러 헤드 31: 헤드결합부
4: 레듀서 41: 관이음부 43: 캡결합부
5: 천장마감재
본 고안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 레듀서 고정장치는, 천장마감재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상부캡 및 하부캡을 포함하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은 레듀서의 캡결합부가 삽착되는 레듀서결합부와, 상기 레듀서결합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캡의 결합에 의해 천장마감재의 상면을 가압하는 상부캡지지체와, 상기 상부캡지지체의 하면상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캡이 결합되는 상부캡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레듀서결합부와 상부캡지지체와 상부캡결합부는 모두 동일 중심선을 가지고 상기 하부캡은 상기 상부캡결합부와 결합하는 하부캡결합부와, 상기 하부캡 결합부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하부캡결합부의 체결로 인해 천장마감재의 하면을 가압하는 하부캡 지지체와, 상기 상부캡 결합부와 동일 중심선을 가지면서 형성되어 스프링클러의 헤드를 수용하는 하부캡관통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레듀서결합부는 레듀서결합공을 그리고 상기 상부캡결합부는 하부캡결합부가 결합되는 하부캡결합공을 가지고, 상기 레듀서결합공과 하부캡결합공은 동일 중심선을 가지면서 내향돌출된 단턱에 의해 구분 연통되어서, 레듀서가 상기 레듀서결합공에 삽입되면 그 일단부가 단턱에 의해 멈춤되고, 상기 하부캡관통개구로 삽입되어 레듀서결합공으로 돌출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와 체결됨으로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 레듀서 고정장치는,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듀서결합공은 다각형 내면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레듀서의 캡결합부는 상기 레듀서결합공의 다각형 내면에 대응하는 상보적인 다각형 외면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캡결합부와 레듀서결합공이 끼워맞춤되어 상보적으로 레듀서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 레듀서 고정장치는, 상기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결합부는 상부캡지지체의 하면상에서 하향 돌출된 상부캡중공원통이고, 상기 상부캡지지체는 레듀서결합부 둘레를 따라 연장형성되는 원뿔바디이며,상기 하부캡의 하부캡결합부는 하부캡중공원통이며, 상기 하부캡지지체는 상기 하부캡중공원통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하부캡플랜지이고, 상기 상부캡결합부에는 천장마감재의 개구를 관통해 삽입된 하부캡의 하부캡 결합부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부캡결합공과 하부캡관통개구가 동일 중심선상에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 레듀서 고장장치는, 상기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결합공의 내경은 상기 하부캡중공원통의 외경과 동일하고 상기 상부캡결합공의 내주면 및 상기 하부캡결합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하부캡중공원통이 상부캡중공원통에 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 레듀서 고정장치는, 상기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지지체는 상기 원뿔바디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연장형성된 상부캡플렌지를 추가로 가지며, 상기 상부캡에 하부캡을 조임함으로써 상기 상부캡플랜지는 천장마감재의 상면을 가압하는 반면, 하부캡플랜지는 천장마감재의 하면을 가압함으로써 천장마감재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 레듀서 고정장치는, 상기 제 3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원뿔바디의 수직높이 H1은 상기 상부캡중공원통의 수직높이 H2보다 크거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7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 레듀서 고정장치는, 상기 제 3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원뿔바디의 수직높이 H1은 상기 상부캡중공원통의 수직높이 H2보다 작아서 상부캡중공원통의 단부가 상기 천장마감재의 개부구 둘레에 끼워져 고정장치를 천장마감재에 위치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8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 레듀서 고정장치는, 상기 제 3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플랜지는 천장마감재의 하면과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상향경사져 있어 하부캡을 상부캡에 결합함으로써 하부캡플랜지가 천장마감재의 하면을 가압하는 가압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9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 레듀서 고정장치는, 상기 제 3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플랜지는 일정위치에 원주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공구결합홈을 구비하고 있어 상기 공구결합홈에 공구를 체결하여 용이하게 하부캡을 회전시켜 상부캡에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10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 레듀서 고정장치는, 상기 제 2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플렉시블호스와 결합되는 관이음부와, 상기 상부캡의 레듀서결합공에 삽착되는 캡결합부를 가지는 레듀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출원인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앞서 살펴본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레듀샤 고정장치는 크게 상부캡(1)과 하부캡(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캡(1)은 천정마감재의 상면에 위치되어 레듀서(4)를 고정하는 부재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듀서결합부(11), 상부캡결합부(13) 및 상부캡지지체(15)를 포함한다.
상기 레듀서결합부(11)는 상기 레듀서(4)의 캡결합부(43)가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레듀서결합공(111) 및 단턱(113)을 가지고 중심선(AC)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있다.
상기 레듀서결합공(111)은 상기 상부캡지지체(15)의 중심선(AC)상에 천공하여 형성된 결합공으로서 원형 내지 다각형 내면에 의해서 규정된다. 상기 레듀서결합공(111)이 다각형 내면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레듀서(4)의 캡결합부(43)가 레듀서결합공(111)의 다각형 내면에 대응하는 다각형 외면을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레듀서(4)의 캡결합부(43)와 결합함으로써 상보적으로 레듀서(4)의 회전을 방지하여 레듀서(4)의 방향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캡(2)을 상부캡(1)에 결합할 경우 레듀서(4)와 플렉시블호스(P)와의 풀림이 차단되고 나아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급수관과 플렉시블호스(P)와의 나사이음부의 풀림이 방지된다. 상기 레듀서결합공(111)은, 앞서 본 바와 같이 상부캡지지체(15)의 중심선상에 천공하여 형성된 결합공이 아니더라도, 레듀서(4)의 일부와 결합하여 레듀서를 고정시키는 한 어떠한 구성도 가능한데, 예컨대 상부캡지지체(15)상에 돌출시키고 내면에 다각형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단턱(113)은 상기 상기 레듀서결합공(111)의 하단부에 연해서 내향돌출되어 있어서, 상기 레듀서결합공(111)과 상부캡결합부(13)를 구분한다. 상기 단턱(113)에는 상기 레듀서(4)의 캡결합부(43)의 일단부가 안착되어 멈춤되기 때문에, 레듀서의 캡결합부(43)를 상기 단턱(113)까지 삽입하기만 하면 되므로 시공이 간편하다.
상기 상부캡결합부(13)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하부캡(2)의 하부캡결합부(21)가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상부캡지지체(15)의 하면에서 하향 돌출형성되는 상부캡중공원통이며(13), 상기 상부캡중공원통(13)은 중심선(AC)를 따라 형성된 하부캡결합공(133)을 가지며, 상기 하부캡결합공(133)의 내주면에는 나사산(1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캡결합공(133)은 상기 레듀서결합공(111)과 동일 중심선을 가지고상기 단턱(113)과 구분 연통되는데 내경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하부캡결합부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근사해야 한다. 상기 나사산(131)에는 하부캡결합부(21)가 나합됨으로써 상기 하부캡(2)이 상부캡(1)에 고정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캡중공원통(13)의 높이 H2가 상부캡지지체(15)의 높이 H1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상부캡중공원통(13)의 단부가 천장마감재(5) 개구부(55)의 일부에 걸치기 때문에, 상부캡(1) 및 레듀서(4)의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상부캡(1)이나 레듀서(4)의 좌우이동을 일정범위 내로 제한할 수 있다. 예컨대 천장마감재(5)의 개구부(55)의 직경을 상기 상부캡중공원통(13)의 외경과 동일하게 한다면, 단순히 상부캡중공원통(13)을 개구부(55)에 삽입함으로써 상부캡(1)을 단단하게 위치설정할 수 있으며 상부캡(1)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어 스프링클러의 가설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캡지지체(15)는 천장마감재(5)의 상면(51)에 지지력을 제공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레듀서결합공(111)의 중심선(AC)과 동일한 중심선을 가지며 레듀서결합부(11)의 둘레를 따라 연장형성되는 원뿔바디(151)일 수 있다. 상기 원뿔바디(151)는 내부공간(153)을 가지며 원뿔형상을 가지고 하부캡(2)을 조일 때 천장마감재(5)의 상면(51)을 가압하여 레듀서(4)를 고정시킨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상부캡지지체는 그 단면이 "┓"자 형상을 가진 원통웨브(151')일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캡지지체(15, 15')는 상기 원뿔바디(151), 또는 원통웨브(151')의 엣지둘레를 따라 연장된 상부캡플랜지(155, 155')를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부캡플랜지(155, 155')는 상부캡(1)과 하부캡(2)의 조임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마감재(5)의 상면(51)과의 접촉면적을 넓혀 상부캡(1)이 상면(55)을 견고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캡(2)은 하부캡결합부(21)와 하부캡지지체(23)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캡결합부(21)는 중심선(AC)을 가지는 하부캡중공원통(21)으로서 중심선을 따라 하부캡관통개구(25)를 가지며, 그 외주면에는 나사산(211)이 형성되어 있어서, 앞서 본 상부캡결합부(13)에 나합된다. 여기서, 하부캡관통개구(25)는 스프링클러 헤드(3)가 삽입위치되는 부분으로서 스프링클러 헤드(3) 윤곽의 형상과 동일한 윤곽을 가진다(도 6 참조).
상기 하부캡지지체(23)는 상기 하부캡결합부(21)와 동일 중심선(AC)를 가지며 하부캡중공원통(21)의 단부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플랜지일 수 있다. 상기 하부캡지지체(23)는 추후 상부캡(1)에 체결될 때 천장마감재의 하면(53)을 가압함과 동시에 천장마감재의 개구부(55)를 밀봉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캡지지체(23)의 중심선(AC)에서 그 엣지(231)까지의 거리 D3는 개구부(55)의 반경 D2보다는 커야 한다. 한편, 천장마감재의 하면(53)에 대한 가압력을 높이기 위하여 하부캡지지체(23)는 상기 하면(53)과 일정 각도 R만큼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하부캡지지체(23)는 소정 위치, 바람직하게는 엣지에 공구결합부(27)를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상기 공구결합부(27)는 하부캡지지체(23)를 관통하는 관통공(도시 않음) 또는 관통하지 않은 결합홈일 수 있다. 하부캡(2)을 상부캡(1)에 조임할 때 손으로 직접 조임할 수도 있지만, 조임에 큰 토크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손 대신 공구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하부캡지지체(23)의 공구결합부(27)에 공구(T)를 결합한 후 회전시키면 손쉽게 하부캡(2)을 상부캡(1)에 나사결합시킬 수 있다(도 9참조).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레듀서(4)는 플렉시블호스(P, 도 6참조)와 결합되는 관이음부(41)와 상부캡에 결합되는 캡결합부(43)를 포함한다. 상기 관이음부(4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411)이 형성되어 있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호스(P)와 결합한다. 상기 캡결합부(43)의 외주면은 상기 레듀서결합공(111)의 내주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레듀서(4)의 캡결합부(43)는상부캡(1)의 레듀서결합공(111)에 끼워 맞춤된다. 상기 캡결합부(43)의 외주면은 삼각, 사각, 육각, 팔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캡결합부(43)의 내주면에는 나사산(431)이 형성되어 있어 레듀서의 캡결합부(43)를 상부캡(1)의 레듀서결합공(111)에 삽입하고 스프링클러 헤드(3)를 단턱(113) 위로 돌출시킨 후 상호 나사체결시키면 레듀서(4)가 상부캡(1)에 고정된다. 또한, 레듀서(4)는 연결고리(45)를 추가로 가질 수도 있는데, 상기 연결고리(45)에는 천장(C)에 고정되어 레듀서(4)를 유동성 있게 잡아주는 와이어가 고정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 레듀서 고정장치의 레듀서(4)는 종래의 레듀서(4')와는 달리 캡이음부(45')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할 필요가 없게됨으로 인해 레듀서(4)의 제작이 용이하다.
출원인은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시공자는 먼저 스프링클러의 설치위치를 정한 후 플렉시블호스(P)의 일단부에 레듀서(4)의 관이음부(41)를 나합하여 플렉시블호스(P)에 레듀서(4)를 연결한다. 이어서, 레듀서(4)의 캡결합부(43)를 상부캡의 레듀서결합공(111)에 삽입한 후 스프링클러의 헤드(3)를 단턱(113) 상부로 돌출시켜 캡결합부(43)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431)에 체결하여 레듀서(4)를 상부캡(1)에 고정한다. 이 때, 캡결합부(43)의 외주면 그리고 레듀서결합공(111)의 내주면을 상보적인 다각형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레듀서(4)와 상부캡(1)의 상호 간섭으로 인해 하부캡(2)을 상부캡(1)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레듀서(4)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천장마감재(5)의 개구부(55)는 스프링클러의 설치위치를 감안하여 그 반경 D2가 하부캡지지체(23)의 반경 D3 보다 작게 천공된다. 또한, 시공자는 천장마감재(5)를 타설하고 하부캡(2)을 개구부(55)로 삽입하여 회전시켜 하부캡결합부(21)의 나사산(211)을 상부캡결합부(13)의 나사산(113)에 결합시킴으로써 하부캡(2)과 상부캡(1)의 상호 결합을 완료한다. 이 때, 하부캡(2)을 상부캡(1)에 조임에 따라, 점차 하부캡지지체(23)의 엣지(231)는 천장마감재의 하면(53)을 가압하게 되고 상부캡(1)의 상부캡플랜지(155)는 상면(51)을 가압하기 때문에, 레듀서(4)는 찬장마감재(5)에 견고하게 위치설정될 수 있다. 또한, 레듀서(4)를 유동성 있게 잡아 주기 위해서 와이어의 일단을 레듀서(4)의 연결고리(45)에 그리고 와이어의 타단은 천장(C)에 고정할 수 있다.
도 7은 상부캡중공원통(13)의 높이 H2가 원뿔바디(151)의 높이 H1 보다 작은 상부캡(1)을 가지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상부캡중공원통(13)의 높이 H2가 원뿔바디의 높이 H1보다 작은 본 실시예는, 하부캡결합부(21)의 중심선(AC)에서 외주면까지의 거리 D4는 개구부(55)의 반경 D2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하부캡결합부(21)가 개구부(55)에 끼워맞춤되어 좌우 유격을 차단함으로써 레듀서(4)의 좌우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상부캡중공원통(13)의 높이 H2가 원뿔바디(151)의 높이 H1보다 큰 상부캡(1)을 가지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개구부(55)가 상부캡결합부(13)의 일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그 반경 D2가 거리 D5와 동일하거나 조금 커야한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55)에 상부캡중공원통(13)을 끼움하는 것은, 앞서 본 바와 같이 상부캡(1) 또는 레듀서(4)의 정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상부캡이나 레듀서의 좌우이동을 일정범위 이내로 제한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 D2가 거리 D5 보다 크면, 상부캡(1)이나 레듀서(4)의 좌우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레듀서(4)의 좌우위치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 적합하다.
도 9는 하부캡(2)에 형성된 공구결합부(27)에 공구(T)를 결합하여 상부캡(1)과 하부캡(2)을 상호 체결하거나 결합해체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하부캡(2)을 상부캡(1)에 조일 때 큰 토크의전달이 필요한 때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시공자는 공구(T)를 공구결합부(27)에 끼우고 공구를 회전시키면 용이하게 하부캡(2)을 상부캡(1)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위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수정예와 변경예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은 레듀서를 상부캡에 간단하게 삽입함으로써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고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부캡 및 레듀서가 상호 구속함으로써 하부캡의 나합시 레듀서의 회전을 방지하여 플렉시블호스와 레듀서의 나사이음부위 내지 급수관과 플렉시블호스와의 나사이음부의 풀림을 차단하고 이어서 누수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은 레듀서가 상부캡에 체결되는 별도의 나사이음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재료가 절감되고 제작이 용이한 레듀서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0)

  1. 천장마감재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상부캡 및 하부캡을 포함하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은 레듀서의 캡결합부가 삽착되는 레듀서결합부와, 상기 레듀서결합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캡의 결합에 의해 천장마감재의 상면을 가압하는 상부캡지지체와, 상기 상부캡지지체의 하면상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캡이 결합되는 상부캡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레듀서 결합부와 상부캡지지체와 상부캡결합부는 모두 동일 중심선을 가지고,
    상기 하부캡은 상기 상부캡결합부와 결합하는 하부캡결합부와, 상기 하부캡 결합부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하부캡결합부의 체결로 인해 천장마감재의 하면을 가압하는 하부캡 지지체와, 상기 상부캡 결합부와 동일 중심선을 가지면서 형성되어 스프링클러의 헤드를 수용하는 하부캡관통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레듀서결합부는 레듀서결합공을 그리고 상기 상부캡결합부는 하부캡결합부가 결합되는 하부캡결합공을 가지고, 상기 레듀서결합공과 하부캡결합공은 동일 중심선을 가지면서 내향돌출된 단턱에 의해 구분 연통되어서, 레듀서가 상기 레듀서결합공에 삽입되면 그 일단부가 단턱에 의해 멈춤되고, 상기 하부캡관통개구로 삽입되어 레듀서결합공으로 돌출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와 체결됨으로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듀서결합공은 다각형 내면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레듀서의 캡결합부는 상기 레듀서결합공에 대응하는 상보적인 다각형 외면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캡결합부와 레듀서결합공이 끼워맞춤되어 상보적으로 레듀서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레듀서 고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결합부는 상부캡지지체의 하면상에서 하향 돌출된 상부캡중공원통이고, 상기 상부캡지지체는 레듀서결합부 둘레를 따라 연장형성되는 원뿔바디이며,
    상기 하부캡의 하부캡결합부는 하부캡중공원통이며, 상기 하부캡지지체는 상기 하부캡중공원통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하부캡플랜지이고,
    상기 상부캡결합부에는 천장마감재의 개구를 관통해 삽입된 하부캡의 하부캡 결합부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부캡결합공와 하부캡관통개구가 동일 중심선상에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결합공의 내경은 상기 하부캡중공원통의 외경과 동일하고 상기 상부캡결합공의 내주면 및 상기 하부캡결합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하부캡중공원통이 상부캡중공원통에 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지지체는 상기 원뿔바디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연장형성된 상부캡플렌지를 추가로 가지며, 상기 상부캡에 하부캡을 조임함으로써 상기 상부캡플랜지는 천장마감재의 상면을 가압하는 반면, 하부캡플랜지는 천장마감재의 하면을 가압함으로써 천장마감재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
  6. 제 3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원뿔바디의 수직높이 H1은 상기 상부캡중공원통의 수직높이 H2보다 크거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
  7.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원뿔바디의 수직높이 H1은 상기 상부캡중공원통의 수직높이 H2보다 작아서 상부캡중공원통의 단부가 상기 천장마감재의 개부구 둘레에 끼워져 고정장치를 천장마감재에 위치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
  8. 제 3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플랜지는 천장마감재의 하면과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상향경사져 있어 하부캡을 상부캡에 결합함으로써 하부캡플랜지가 천장마감재의 하면을 가압하는 가압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
  9.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플랜지는 일정위치에 원주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공구결합홈을 구비하고 있어 상기 공구결합홈에 공구를 체결하여 용이하게 하부캡을 회전시켜 상부캡에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
  10. 제 2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는 플렉시블호스와 결합되는 관이음부와, 상기 상부캡의 레듀서결합공에 삽착되는 캡결합부를 가지는 레듀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듀서 고정장치.
KR20-2004-0020361U 2004-07-16 2004-07-16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 KR2003636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361U KR200363632Y1 (ko) 2004-07-16 2004-07-16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361U KR200363632Y1 (ko) 2004-07-16 2004-07-16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3632Y1 true KR200363632Y1 (ko) 2004-10-02

Family

ID=49438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361U KR200363632Y1 (ko) 2004-07-16 2004-07-16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36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946B1 (ko) 2007-02-27 2008-04-16 동아금속주름관(주)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946B1 (ko) 2007-02-27 2008-04-16 동아금속주름관(주)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11833T3 (es) Unidad de montaje compuesto por un elemento estructural y, al menos, un tornillo.
US5803508A (en) Wall-attached plumbing connector
WO2017217479A1 (ja) 消火設備配管の接続構造
US7980602B2 (en) Fitting to connect a polyvinyl chloride pipe and a polyethylene pipe
CA2427547C (en) Anchor
JPWO2017135271A1 (ja) 消火設備配管の接続構造
KR100889060B1 (ko) 스프링클러 헤드용 높이 조정관부재
KR102340752B1 (ko)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JPS5810636B2 (ja) 主導管に分岐管を取付けるための継手
US20240026693A1 (en) Scaffold support
KR200363632Y1 (ko)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장치
KR200340988Y1 (ko)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KR101994299B1 (ko) 스프링클러헤드의 연결장치
KR101009277B1 (ko)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KR200439699Y1 (ko) 4각 파이프 연결구
KR200366066Y1 (ko)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구조
KR20210002784A (ko) 티조인트를 이용한 배관연결구조
KR200322839Y1 (ko)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및 그 고정구조
KR20080091554A (ko) 배관설치용 행거 체결구조
KR200335463Y1 (ko) 소방용 배관 연결 구조
JP2018183578A (ja) 消火設備用管継手
KR20180028218A (ko) 콜렛척 타입의 조립구조를 구비한 볼트러스 및 이를 이용한 트러스 체결구조
JP5635431B2 (ja) 放射ヘッド設置高さ調整機構及び調整治具
KR200227427Y1 (ko) 벽걸이형 보일러 배관의 고정장치
KR20110006975U (ko) 스프링쿨러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