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463Y1 - 소방용 배관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소방용 배관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463Y1
KR200335463Y1 KR20030028454U KR20030028454U KR200335463Y1 KR 200335463 Y1 KR200335463 Y1 KR 200335463Y1 KR 20030028454 U KR20030028454 U KR 20030028454U KR 20030028454 U KR20030028454 U KR 20030028454U KR 200335463 Y1 KR200335463 Y1 KR 2003354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corrugated pipe
pipe
circumferential surface
peripher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284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태익
Original Assignee
전태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태익 filed Critical 전태익
Priority to KR200300284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4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4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4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1T- or cross-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성 부품 수가 적게 소요되고 파이핑 작업이 보다 간편해질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의 소방용 배관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천정 내에 배치되는 주 배관이 연결될 수 있도록 양단 내주면에 각각 제1 나사부가 형성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중간 지점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하단 외주면에 제2 나사부가 형성된 수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티이 조인트(T-joint)와; 하단이 스프링클러 헤드와 연통되고, 상단이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 연통되도록 배치되는 주름관과; 상기 주름관의 상단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내주면이 상기 수직부의 외주면에 직접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는 조인트 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소방용 배관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소방용 배관 연결 구조{Piping structure for sprinkler system}
본 고안은 소방용 배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성 부품 수가 적게 소요되고 파이핑 작업이 보다 간편해질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의 소방용 배관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클러(sprinkler)는 실내의 천정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에 자동으로 물을 분사함으로써 소화 작동을 하는 소방용 장치이다. 이러한 스프링클러는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정 내에 설치되는 주 배관에서 분지된 다수 개의 분지관에 스프링클러 헤드가 각각 연결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1에는 스프링클러가 연결될 수 있도록 건물의 천정 내에 배관되는 소방용 배관의 연결 구조가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천정 내에 배치되는 두 개의 주 배관(1)에는 티이 조인트(10)의 수평부(11)가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주 배관(1)의 단부 외주면에는 각각 나사부(1a)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11)의 양 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주 배관(1)의 나사부(1a)와 나사 결합되는 제1 나사부(11a)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티이 조인트(10)의 수직부(12)는 상기 수평부(11)의 중앙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그 하단 내주면에는 제2 나사부(12a)가 형성된다.
제1 조인트(20)는 상기 수직부(12)의 하측에 연결되며, 그 상단과 하단 외주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제3 나사부(21)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조인트(20)의 상단은 상기 수직부(12)에 나사 결합되며, 그 하단은 후술할 조인트 너트(30)에 의해서 후술하게될 주름관(40)과 연결된다.
상기 주름관(40)은 상기 주 배관(1)의 분지관을 이루는 것으로 유연한 재질(flexible)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주름관(40)의 상단에는 플랜지(41)가 지름 방향으로 넓적하게 돌출된다.이러한 주름관(40)의 상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 너트(30)에 의해 상기 제1 조인트(20)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조인트너트(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데, 상단 내주면에는 제4 나사부(31)가 형성되고, 그 바닥면에는 관통홀(32)이 형성된다.
상기한 구조를 가지는 조인트 너트(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41)가 상기 조인트 너트(30)의 바닥면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주름관(4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조인트(20)의 하단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플랜지(41)의 상면과 상기 제1 조인트(20)의 하단에는 제1 패킹(35)이, 그리고 상기 플랜지(41)의 하면과 관통홀(32) 및 상기 주름관(40) 사이에는 제2 패킹(37)이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주름관(40)의 하단에는 제2 조인트(50)가 연결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주름관(40)의 하단 내주면에는 제5 나사부(42)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조인트(50)의 상단 외주면에는 제6 나사부(5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조인트(50)의 하단에는 스프링클러 헤드(60)가 나사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제2 조인트(50)의 하단 내주면에는 제7 나사부(52)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60)의 상단 외주면에는 제8 나사부(61)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각종 조인트 및 배관이 연결되면, 주 배관(1)을 통해 유입된 물은 상기 티이 조인트(10), 제1 조인트(20), 주름관(40), 그리고 제2 조인트(50)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60)에 공급되게 된다. 이에 따라 화재가 발생된 경우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60)가 작동하게 되면서 물이 실내로 분사되어 소화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를 가지는 소방용 배관 연결 구조는 다수 개의 조인트가필요하므로 부품수가 많고 조립 개소가 매우 많다. 이에 따라 자재비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설치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인건비가 상승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구성 부품 수가 적게 소요되고 파이핑 작업이 보다 간편해질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소방용 배관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소방용 배관 연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소방용 배관 연결 구조를 나타낸 분리 단면도;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소방용 배관 연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티이 조인트 110: 수평부
111: 제1 나사부 120: 수직부
121: 제2 나사부 200: 조인트 너트
250, 270: 패킹 300: 주름관
400: 제2 조인트 500: 스프링클러 헤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천정 내에 배치되는 주 배관이 연결될 수 있도록 양단 내주면에 각각 제1 나사부가 형성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중간 지점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하단 외주면에 제2 나사부가 형성된 수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티이 조인트(T-joint)와; 하단이 스프링클러 헤드와 연통되고, 상단이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 연통되도록 배치되는 주름관과; 상기 주름관의 상단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내주면이 상기 수직부의 외주면에 직접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는 조인트 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소방용 배관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 및 중복되는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참고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소방용 배관 연결 구조를 나타낸 분리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소방용 배관 연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소방용 배관 연결 구조는 두 개의 주 배관(1)에 연결되는 티이 조인트(100)(T-joint), 상기 티이 조인트(100)의 수직부(120)에 연통되도록 배치되는 주름관(300), 그리고 상기 주름관(300)과 상기 티이 조인트(100)의 수직부(120)를 직접 연결하는 조인트 너트(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하에서는 그 연결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천정 내에 배치되는 두 개의 주 배관(1)에는 티이 조인트(100)의 수평부(110)가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주 배관(1)의 단부 외주면에는 각각 나사부(1a)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110)의 양 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나사부(1a)와 나사 결합되는 제1 나사부(111)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티이 조인트(100)의 수직부(120)는 상기 수평부(110)의 중앙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그 하단 외주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나사부(12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나사부(12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부(110)의 하단부에서 다른 부분 보다 직경이 약간 커진 돌출부의 외주면에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름관(300)은 상기 주 배관(1)의 분지관을 이루는 것으로 유연한 재질(flexible)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주름관(300)의 상단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310)가 지름 방향으로 넓적하게 돌출된다. 이러한 주름관(300)의 상단은 종래와는 달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 너트(200)에 의해 상기 티이 조인트(100)의 수직부(120)에 직접 연결된다.
한편, 상기 조인트 너트(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그 상단 내주면에는 제3 나사부(2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 너트(200)의 바닥면에는 상부와 하부를 연통시키는 관통홀(220)이 형성된다.
상기한 구조를 가지는 조인트 너트(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310)가 상기 조인트 너트(200)의 바닥면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주름관(3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티이 조인트(100)의 수직부(120)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주름관(300)은 상기 관통홀(220)을 관통하게 되고, 상기 조인트 너트(200)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된 제3 나사부(210)는 상기 수직부(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제2 나사부(121)에 직접 나사 결합되어 고정된다.
한편, 상기 조인트 너트(200)에 의해서 연결되는 상기 주름관(300)과 상기 티이 조인트(100)의 상호 연결 부위에는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다수 개의 패킹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310)의 상면과 상기 티이 조인트(100)의 수직부(120) 하단에는 제1 패킹(250)이, 그리고 상기 플랜지(310)의 하면과 관통홀(220) 및 상기 주름관(300) 사이에는 제2 패킹(270)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주름관(300)의 하단에는 제2 조인트(400)가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주름관(300)의 하단 내주면에는 제4 나사부(320)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조인트(400)의 상단 외주면에는 제5 나사부(41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조인트(400)는 그 상단의 외주면이 하단의 외주면 보다 작은 지경을 가지며, 그 상단 부분의 두께가 그 하단부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나사부(410)는 제2 조인트(40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주름관(300)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제6 나사부(420)는 상기 제2조인트(400)의 내주면에 형성되기 때문이다.
상기 제2 조인트(400)의 하단에는 스프링클러 헤드(500)가 나사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제2 조인트(400)의 하단 내주면에는 상기 제6 나사부(420)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500)의 상단 외주면에는 제7 나사부(510)가 형성된다. 그리고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500)의 하단부에는 다수 개의 분사공이 제공되고, 하단부 일지점에는 화재 발생시 고온에 반응할 수 있는 감지기가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각종 조인트 및 배관이 연결되면, 주 배관(1)을 통해 유입된 물은 상기 티이 조인트(100), 주름관(300), 그리고 제2 조인트(400)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500)에 공급되게 된다. 이에 따라 화재가 발생된 경우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500)가 작동하게 되면서 물이 실내로 분사되어 소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소방용 배관 연결 구조는 상기 티이 조인트(100)의 수직부(120)에 형성되는 제2 나사부(121)가 내주면이 아닌 외주면에 형성됨으로써 종래에 사용되어야만 했던 제1 조인트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이에 따라, 배관을 위한 구성 요소가 한결 감소하였으며, 연결 부위가 감소하여 설치가 용이해졌다.
한편, 상기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고안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범위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고안의 범주내에 포함된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소방용 배관 연결 구조는 상기 티이 조인트와 상기 주름관을 상기 조인트 너트를 이용하여 직접 연결할 수 있으므로, 배관에 필요한 구성요소가 종래 보다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자재비가 감소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다른 소방용 배관 연결 구조는 연결 개소가 종래보다 감소하므로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설치 시간이 감소되어 설치를 위한 인건비 또한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천정 내에 배치되는 주 배관이 연결될 수 있도록 양단 내주면에 각각 제1 나사부가 형성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중간 지점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하단 외주면에 제2 나사부가 형성된 수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티이 조인트(T-joint)와;
    하단이 스프링클러 헤드와 연통되고, 상단이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 연통되도록 배치되는 주름관과;
    상기 주름관의 상단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내주면이 상기 수직부의 외주면에 직접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는 조인트 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소방용 배관 연결 구조.
KR20030028454U 2003-09-04 2003-09-04 소방용 배관 연결 구조 KR2003354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28454U KR200335463Y1 (ko) 2003-09-04 2003-09-04 소방용 배관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28454U KR200335463Y1 (ko) 2003-09-04 2003-09-04 소방용 배관 연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463Y1 true KR200335463Y1 (ko) 2003-12-06

Family

ID=41139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28454U KR200335463Y1 (ko) 2003-09-04 2003-09-04 소방용 배관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46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54689A1 (en) * 2007-10-24 2009-04-30 Woori Fec Co., Ltd Pipe coupling device for use in sprinkler head
WO2010117988A2 (en) * 2009-04-06 2010-10-14 Wayne Spears Rotatable fire sprinkler fitting with elongated gasket
US8297663B2 (en) 2009-04-06 2012-10-30 Spears Manufacturing Co. Rotatable fire sprinkler fitting with elongated gasket
KR101211411B1 (ko) 2010-11-29 2012-12-12 주식회사 영신코아스 간이형 스프링클러 수압 조절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54689A1 (en) * 2007-10-24 2009-04-30 Woori Fec Co., Ltd Pipe coupling device for use in sprinkler head
WO2010117988A2 (en) * 2009-04-06 2010-10-14 Wayne Spears Rotatable fire sprinkler fitting with elongated gasket
WO2010117988A3 (en) * 2009-04-06 2011-03-31 Wayne Spears Rotatable fire sprinkler fitting with elongated gasket
US8297663B2 (en) 2009-04-06 2012-10-30 Spears Manufacturing Co. Rotatable fire sprinkler fitting with elongated gasket
KR101211411B1 (ko) 2010-11-29 2012-12-12 주식회사 영신코아스 간이형 스프링클러 수압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2706A (ko) 스프링클러용 가요성 조립체
US11383262B2 (en) Sprinkler assembly connector for flexible conduit
KR200335463Y1 (ko) 소방용 배관 연결 구조
KR20210002784A (ko) 티조인트를 이용한 배관연결구조
KR20200008419A (ko) 건축물 화재진압 소방장치
KR200447360Y1 (ko) 소방용 준비 작동식 밸브의 배관 연결구
KR102177888B1 (ko) 파이프 분기용 커플링 어셈블리
JP2006230645A (ja) 防塵キャップ
KR0117170Y1 (ko)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배관장치
KR102155643B1 (ko) 파이프 분기용 커플링 어셈블리
KR100822946B1 (ko)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US202301082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quick connect storage sprinklers and fittings
KR200274207Y1 (ko) 소화용 스프링쿨러의 레듀샤 고정구조
KR200398251Y1 (ko) 조기 반응형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
JP2629094B2 (ja) スプリンクラー用配管部品
KR200179175Y1 (ko) 레듀샤 설치용 고정브라켓
KR101171949B1 (ko) 소화용 스프링쿨러
KR101171948B1 (ko) 소화용 스프링쿨러 시공방법
KR200347034Y1 (ko) 소화용 스프링쿨러 설치구조
KR200282224Y1 (ko) 앵글 가지관을 가진 스프링클러헤드 접속배관용삼방티(“t”)
KR20220000714A (ko) 소방용 신축배관
JPH076911Y2 (ja) 消化設備用配管構造
JP2802658B2 (ja)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
KR200267135Y1 (ko) 화재 진압용 물분사 장치
CN216768683U (zh) 一种消防喷淋用缩颈直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