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699Y1 - 4각 파이프 연결구 - Google Patents

4각 파이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699Y1
KR200439699Y1 KR2020070018609U KR20070018609U KR200439699Y1 KR 200439699 Y1 KR200439699 Y1 KR 200439699Y1 KR 2020070018609 U KR2020070018609 U KR 2020070018609U KR 20070018609 U KR20070018609 U KR 20070018609U KR 200439699 Y1 KR200439699 Y1 KR 2004396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expansion
connector
contra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86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호
Priority to KR20200700186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6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6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6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20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for ends of members only, e.g. for connecting members in end-to-end re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 및 토목공사에서 비계를 구축하거나 가설물을 지을 때 사용하는 4각 파이프를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때 사용하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연결작업이 용이하고 해체가 간편하게 만든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인 것은
4각 파이프를 반분한 형상으로 되어 내측이 개방된 크고 작은 신축판(2)(3)을 작은신축판(2)이 큰신축판(3)의 개방부속으로 삽입되게 서로 포개어지도록 결합하여 작은신축판(2)과 큰신축판(3)의 중앙부에 신축판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링형상으로 된 연결관체(1)를 피복하여 연결관체의 내면일측을 큰신축관(3)의 외측고정돌기(3b)에 부착시키고 작은신축관(2)의 중앙부에 암나사공(5)을 내고 이와 접하는 연결관체(1)의 주벽에 구멍(1a)을 뚫고 구멍(1a) 반대측에 있는 큰신축판의 고정돌기(3b)내측에 지지홈(3c)을 형성시킨 연결구 본체와 연결관체의 구멍(1a) 외측면에서 신축판 내측으로 결합되고 내측단부에 돌축(4a)이 있는 조정볼트(4)를 그 수나사부가 작은신축판(2)의 암나사공(5)에 나사결합하고 돌축(4a)은 큰신축판의 고정돌기 내측에 형성된 지지홈(3c)에 삽입되게 결합시킨 조성볼트(4)와 두 신축판의 상하측 외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내측각이 90도가 되는 곡각돌출부(2a)(3a)로 구성되어 신축판의 곡각돌출부가 4각형인 파이프(6)(7)의 내측곡각부에 접촉하는 4각파이프용 연결구이다.
연결구, 신축판, 지지홈, 고정볼트, 암나사

Description

4각 파이프 연결구{A CONNECTOR FOR SQUARE PIPE}
본 고안은 건축 및 토목공사에서 비계를 구축하거나 가설물을 지을 때 사용하는 4각 파이프를 서로 연결할 때 사용하는 4각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연결작업이 용이하고 해체가 간편하게 만든 것이다.
종래의 건축공사장이나 토목공사장에는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를 비계구축용 소재로 사용하고 있고 이들의 연결부에는 가운데에 걸림턱이 있는 단관체로 된 원형파이프를 형성하여 이들이 파이프 연결부에 강제 결합하도록 연결구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원형 파이프로 된 연결구는 파이프가 연결되는 접속부의 외경이 원형으로 되어 있어서 4각파이프 연결에 사용할 수 없는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도록 단면이 4각형인 파이프로 된 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게 구성한 4각파이프 전용 연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링형상으로 된 연결관체에 일정길이를 유지하는 반분된 4각파이프 형상으로 되고 내측이 개방부로 되어 일측신축판의 개방부가 타측신축판의 개방부로 출입될 수 있게 포개어지는 크고 작은 신축판(2)(3)을 만들어 적은 신축판 중앙에 암나사공을 뚫고 이와 접하는 연결관체에 구멍을 뚫어서 연결관체의 구멍을 통해 적은 신축판의 암나사공으로 조정볼트를 나사조립하여 조정볼트를 회전시켜서 두 신축판 사이가 신축되게 하고 신축판의 상하측 외면에 곡각 돌출부를 형성하여 4각형 단면의 파이프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잇거나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일정길이를 가지는 작은신축판(2)의 개방부가 큰 신축판(3)의 개방부에 삽입되게 포개어저 서로 대향하고 외측면에 곡각돌출부(2a)(3a)가 형성되어 있고 중간부에 링형상으로 된 연결관체(1)가 피복되어 두개의 신축판이 연결관체내에서 지지되고 조정볼트(4)에 나사조립되어 있으므로 조정나사를 회전시키면 그 회전방향에 따라 작은신축판(2)이 큰신축판(3)에 근접하거나 이간되는 조정이 이루어지게 되어 두 신축판의 간격을 벌리거나 오므릴수 있게 된다.
따라서 크고 적은 신축판의 간격을 최소화시켜 단면이 4각형인 파이프 부재(6)(7)의 연결부에 삽입하여 곡각돌출부(2a)(3a)가 4각형 파이프의 곡각부 내면에 접촉하게 하고 조정볼트를 작동시켜서 두 신축판사이가 멀어지게 하면 곡각돌출부가 4각형 파이프의 곡각부에 결합하여 긴장력을 가하므로 신축판(2)(3)에 의하여 4각형 파이프가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효과를 얻도록 되고 조정볼트를 회전시키지 않으면 그 상태가 지속되므로 4각파이프 전용 연결구를 만들 수 있으며 곡각돌출부가 4각형 파이프의 내면 곡각부에 접촉하므로 회동될 염려가 없어 연결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고
해체시에는 조정볼트(4)를 작동시켜 두 신축판(2)(3)이 근접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두 신축판(2)(3)의 상호간격이 근접되면서 외경이 적어지므로 연결구를 4각파이프에서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연결구는 4각형 단면의 파이프 소재를 연결하는데 적합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철판소재로 제작되어 중량이 가볍기 때문에 각종 건축공사장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4각 파이프를 반분한 형상으로 되어 내측이 개방된 크고 작은 신축판(2)(3)을 작은신축판(2)이 큰신축판(3)의 개방부속으로 삽입되게 서로 포개어지도록 결합하여 작은신축판(2)과 큰신축판(3)의 중앙부에 신축판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링형상으로 된 연결관체(1)를 피복하여 연결관체의 내면일측을 큰신축관(3)의 외측고정돌기(3b)에 부착시키고 작은신축관(2)의 중앙부에 암나사공(5)을 내고 이와 접하는 연결관체(1)의 주벽에 구멍(1a)을 뚫고 구멍(1a) 반대측에 있는 큰신축판의 고정돌기(3b)내측에 지지홈(3c)을 형성시킨 연결구 본체와 연결관체의 구멍(1a) 외측면에서 신축판 내측으로 결합되고 내측단부에 돌축(4a)이 있는 조정볼트(4)를 그 수나사부가 작은신축판(2)의 암나사공(5)에 나사결합하고 돌축(4a)은 큰신축판의 고정돌기 내측에 형성된 지지홈(3c)에 삽입되게 결합시킨 조성볼트(4)와 두 신축판의 상하측 외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내측각이 90도가 되는 곡각돌출부(2a)(3a)로 구성되어 신축판의 곡각돌출부가 4각형인 파이프(6)(7)의 내측곡각부에 접촉하는 4각파이프용 연결구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가-가'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연결상태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연결관체 1a : 구멍
2 : 작은신축판 3 : 큰신축판
2a,3a : 곡각돌출부 3c : 지지홈 4 : 조정볼트 4a : 돌축 5 : 암나사 6,7 : 파이프
삭제
삭제

Claims (1)

  1. 4각 파이프를 반분한 형상으로 되어 내측이 개방된 크고 작은 신축판(2)(3)을 작은신축판(2)이 큰신축판(3)의 개방부속으로 삽입되게 서로 포개어지도록 결합하여 작은신축판(2)과 큰신축판(3)의 중앙부에 신축판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링형상으로 된 연결관체(1)를 피복하여 연결관체의 내면일측을 큰신축관(3)의 외측고정돌기(3b)에 부착시키고 작은신축관(2)의 중앙부에 암나사공(5)을 내고 이와 접하는 연결관체(1)의 주벽에 구멍(1a)을 뚫고 구멍(1a) 반대측에 있는 큰신축판의 고정돌기(3b)내측에 지지홈(3c)을 형성시킨 연결구 본체와 연결관체의 구멍(1a) 외측면에서 신축판 내측으로 결합되고 내측단부에 돌축(4a)이 있는 조정볼트(4)를 그 수나사부가 작은신축판(2)의 암나사공(5)에 나사결합하고 돌축(4a)은 큰신축판의 고정돌기 내측에 형성된 지지홈(3c)에 삽입되게 결합시킨 조성볼트(4)와 두 신축판의 상하측 외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내측각이 90도가 되는 곡각돌출부(2a)(3a)로 구성되어 신축판의 곡각돌출부가 4각형인 파이프(6)(7)의 내측곡각부에 접촉하는 4각파이프용 연결구
KR2020070018609U 2007-11-19 2007-11-19 4각 파이프 연결구 KR2004396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609U KR200439699Y1 (ko) 2007-11-19 2007-11-19 4각 파이프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609U KR200439699Y1 (ko) 2007-11-19 2007-11-19 4각 파이프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699Y1 true KR200439699Y1 (ko) 2008-04-25

Family

ID=41345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8609U KR200439699Y1 (ko) 2007-11-19 2007-11-19 4각 파이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69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961B1 (ko) 2009-01-07 2009-05-25 미래테크(주) 건축용 4각 파이프 연결구
KR100923545B1 (ko) * 2009-03-02 2009-10-27 (주)화인테크 인서트형 강관 연결장치
CN104264975A (zh) * 2014-09-26 2015-01-07 无锡市羊尖盛裕机械配件厂 一种衔接扣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961B1 (ko) 2009-01-07 2009-05-25 미래테크(주) 건축용 4각 파이프 연결구
KR100923545B1 (ko) * 2009-03-02 2009-10-27 (주)화인테크 인서트형 강관 연결장치
CN104264975A (zh) * 2014-09-26 2015-01-07 无锡市羊尖盛裕机械配件厂 一种衔接扣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9699Y1 (ko) 4각 파이프 연결구
KR100926424B1 (ko) 조립식 구조물의 트러스 설치각 조절장치
JP6498198B2 (ja) アンカーボルト
US20240026693A1 (en) Scaffold support
KR102213361B1 (ko) 버팀보 연결구
JPH112217A (ja) パイプ連結用ジョイント
KR20220155726A (ko) 흙막이 공사용 띠장 및 버팀보 구조
US11248381B1 (en) Modular rigging system using hexagonal support pieces
JP2019131965A (ja) 建物ユニット間距離調整治具
WO2015019630A1 (ja) アンカーボルト
ES2262329T3 (es) Sistema de articulacion coaxial.
JP6207532B2 (ja) アンカーボルト
KR100455561B1 (ko) 건축용 석재판넬 고정소자
JP6590229B2 (ja) パイプジョイント
KR100629478B1 (ko) 접속관의 방향조절장치를 갖는 맨홀
KR200380495Y1 (ko) 토목 건축용 지지대의 클램핑장치
EP3048202B1 (en) Cylindrical pile and cylindrical pile extension element
KR200482379Y1 (ko) 동바리
KR200366066Y1 (ko) 스프링클러의 레듀서 고정구조
CN112031396B (zh) 一种建筑用钢结构多向连接机构
RU249695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KR101995843B1 (ko) 높이 조절 및 강성 보강 구조를 갖는 잭베이스용 프레임, 그리고 이를 이용한 비계를 위한 잭베이스 모듈
KR102196115B1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가설물용 연결구
JP2001254510A (ja) 壁つなぎ
CN211009504U (zh) 一种t型单边螺栓紧固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