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9277B1 -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9277B1
KR101009277B1 KR1020100032487A KR20100032487A KR101009277B1 KR 101009277 B1 KR101009277 B1 KR 101009277B1 KR 1020100032487 A KR1020100032487 A KR 1020100032487A KR 20100032487 A KR20100032487 A KR 20100032487A KR 101009277 B1 KR101009277 B1 KR 101009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means
fitting portion
fixture
head uni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2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호
정호진
Original Assignee
승진산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승진산업 (주) filed Critical 승진산업 (주)
Priority to KR1020100032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92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 설비의 주배관으로부터 분기된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에 연결된 플렉시블관 및 레듀샤 및 헤드로 구성된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를 천장에 간결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천장텍스(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제1마찰수단(11)이 부착된 제1고정구(1)와, 천장텍스(100)의 하부로부터 결합되며 제2마찰수단(23)이 부착된 제2고정구(2)를 포함하며,상기 제1고정구(1)의 제1마찰수단(11)이 천장텍스(100)의 상면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구(2)의 천장텍스(100)의 하면에 밀착 고정됨으로써 소화용수가 공급되는 주배관으로부터 분기된 플렉시블관(200)의 하단에 결합된 레듀샤(3)를 고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SPRINKLER' HEAD UNIT F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클러 설비의 주배관에 연결된 플렉시블관 및 레듀샤 및 헤드로 구성된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를 천장에 간결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설비는, 실내의 천장텍스에 설치된 스프링클러 헤드에서 화재에 따라 자동적으로 퓨즈가 끊어져 물이 분출되어 샤워모양으로 쏟아지고 소화를 행함과 동시에 화재의 발생을 알리는 자동소화설비이다.
도 1은 종래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A')는 소화용수가 공급되는 주배관으로부터 분기된 플렉시블관(600')의 하단에 레듀샤(500')가 결합되며, 상기 레듀샤(500')의 하단에 헤드(100')가 결합되는데, 상기 레듀샤(500')는 그 끝단이 천장텍스(10')의 홀(102')에 끼워진다.
한편 레듀샤(500')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홀(102')에는 고정장치이 장착된다.
상기 고정장치는 레듀샤(500')에 끼워지며 천장텍스(10')의 상부로부터 결합되는 제1고정구(1')와, 천장텍스(10')의 하부로부터 결합되는 제2고정구(2')로 구성된다.
제1고정구(1')는 레듀샤(500')가 끼워지는 원통형의 제1끼움부(12')와, 상기 제1끼움부(12')의 상단에 형성된 제1환형고정판(13')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환형고정판(13')에는 다수의 볼트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끼움부(12')의 내주면에는 나사산 및 경사면(15')이 형성된다.
제2고정구(2')는 레듀샤(500')가 끼워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다수의 절개홈이 형성된 원통형의 제2끼움부(22')와, 상기 제2끼움부(22')의 하단에 형성된 제2환형고정판(24')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끼움부(22')가 제1끼움부(12')의 내측으로 나사결합되면 상기 절개홈에 의해 형성된 절개부가 상기 경사면(15')을 타고 내측으로 오므려지면서 레듀샤(50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력이 발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제1고정구(1')를 천장텍스(10')에 나사결합시키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이에 소요되는 장비가 더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레듀샤(500')의 고정력이 불확실하여 강한 흔들림이나 잦은 흔들림에 의해 고정상태가 헐거워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로 구성되며 레듀샤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을 천장텍스에 간결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의 향상과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화용수가 공급되는 주배관으로부터 분기된 플렉시블관의 하단에 결합된 레듀샤를 고정시키도록 천장텍스의 홀에 결합되는 고정장치에 있어서, 천장텍스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고정구와, 천장텍스의 하부로부터 결합되는 제2고정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구는 천장텍스의 상면에 밀착되는 제1마찰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제2고정구는 천장텍스의 하면에 밀착되는 제2마찰수단이 장착된 것이며, 상기 제1고정구를 상기 홀의 상부로부터 끼워 결합시켜 제1마찰수단이 천장텍스의 상면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구를 상기 홀의 하부로부터 끼워 제1고정구에 나사결합시켜 제2마찰수단이 천장텍스의 하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한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구는 상기 레듀샤가 끼워지도록 관통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통로를 갖는 원통형의 제1끼움부, 상기 제1끼움부의 상단에 형성된 원형의 제1환형고정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환형고정판의 하면에 상기 제1마찰수단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듀샤는 상기 제1끼움부의 통로에 나사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고정구는 상기 레듀샤가 끼워지는 통로를 갖는 원통형의 제2끼움부, 상기 제2끼움부의 하단에 형성된 제2환형고정판, 상기 제2환형고정판의 상면에 상기 제2마찰수단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듀샤에 제1고정구를 결합한 후 천장텍스의 상면에 밀착시키고, 그 하부에 제2고정구를 나사결합시킴으로써 레듀샤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을 간결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작업능률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의 사용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에서 일부를 확대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의 사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에서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A)는 소화용수가 공급되는 주배관으로부터 분기된 플렉시블관(200)의 하단에 결합된 레듀샤(3)를 고정시키도록 천장텍스(100)의 홀(120)에 결합되는 것으로, 천장텍스(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고정구(1)와, 천장텍스(100)의 하부로부터 결합되는 제2고정구(2)로 구성된다.
제1고정구(1)에는 천장텍스(100)의 상면에 밀착되는 제1마찰수단(11)이 장착되고, 제2고정구(2)에는 천장텍스(100)의 하면에 밀착되는 제2마찰수단(23)이 장착된다.
따라서, 제1고정구(1)를 상기 홀(120)의 상부로부터 끼워 결합시켜 제1마찰수단(11)이 천장텍스(100)의 상면에 밀착 고정되고, 제2고정구(2)를 상기 홀(120)의 하부로부터 끼워 상기 제1고정구(1)의 하부 내측에 삽입하여 나사결합시켜 제2마찰수단(23)이 천장텍스(100)의 하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한다.
제1고정구(1)는 상기 레듀샤(3)가 끼워지도록 관통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14)이 형성된 통로(10)를 갖는 원통형의 제1끼움부(12)와, 상기 제1끼움부(12)의 상단에 형성된 원형의 제1환형고정판(13)으로 구성된다.
제1끼움부(12)의 통로(10)는 내주면의 상부에 레듀샤(3)가 결합된 제1나사산(141)과, 내주면의 하부에 제2고정구(2)가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2나사산(142)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나사산(142)이 형성된 부위는 제1나나산(141)이 형성된 부위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제2고정구(2)의 나사산(26)이 형성된 제2끼움부(22)가 레듀샤(3)보다 직경이 크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제1환형고정판(13)의 하면에 상기 제1마찰수단(11)이 부착된다.
제1마찰수단(11)은 마찰력을 갖는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오링이 바람직하나 이외에도 다른 형태를 취한 마찰재가 적용될 수도 있다.
레듀샤(3)는 중공을 가지며 양단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파이프로써 양단의 개구부의 직경이 상이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레듀샤(3)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끼움부(12)의 통로(10)에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32)이 형성된다.
제2고정구(2)는 레듀샤(3)가 끼워지는 통로(20)를 갖는 원통형의 제2끼움부(22)와, 상기 제2끼움부(22)의 하단에 형성된 제2환형고정판(24)으로 구성된다.
제2끼움부(22)의 외주면에 나사부(26)가 형성되어 제1고정구(1)의 제1끼움부(12)의 내측으로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환형고정판(24)의 상면에 상기 제2마찰수단(23)이 부착된다. 상기 제2마찰수단(23)은 마찰력을 갖는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오링이 바람직다.
또한 제2끼움부(22)의 하단과 제2환형고정판(24)이 연결되는 부분에 환형의 단턱(25)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25)은 제1끼움부(12)의 하단에 밀착된다.
이하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소화용수가 공급되는 주배관(미도시)으로부터 분기된 플렉시블관(200)의 하단에 레듀샤(3)를 결합한다.
이후 레듀샤(3)의 하부로부터 제1고정구(1)를 끼운 후 나사결합시킨다.
이후 제1고정구(1)를 적당히 회전시켜 제1마찰수단(11) 및 제1환형고정판(13)이 천장텍스(10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후 제2고정구(2)를 홀(120) 및 레듀샤(3)의 하부로부터 나사 결합시킨다.
즉, 제2끼움부(22)가 제1고정구(1)의 제1끼움부(12)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나사결합되고, 제2마찰수단(23)이 천장텍스(100)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2고정구(2)를 조이면 조일수록 제1고정구(1)가 하강하게 되고, 더욱 강한 힘으로 천장텍스(100)의 상면에 밀착되므로 헛돌지 않게 되며, 상대적으로 제2고정구(2)와의 간격이 좁아짐으로써 견고하게 천장텍스(100)의 상,하면에 제1 및 제2고정구(1,2)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고정구(1,2)의 결합방식에 의해 제1고정구(1)를 고정시키기 위한 선행작업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 제1고정구 2 ; 제2고정구
3 : 레듀샤 11 : 제1마찰수단
12 : 제1끼움부 13 : 제1환형고정판
22 : 제2끼움부 23 : 제2마찰수단
24 : 제2환형고정판 25 : 단턱

Claims (5)

  1. 소화용수가 공급되는 주배관으로부터 분기된 플렉시블관(200)의 하단에 결합된 레듀샤(3)를 고정시키도록 천장텍스(100)의 홀(120)에 결합되는 고정장치에 있어서,
    천장텍스(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제1마찰수단(11)이 부착된 제1고정구(1)와,
    천장텍스(100)의 하부로부터 결합되며 제2마찰수단(23)이 부착된 제2고정구(2)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구(1)의 제1마찰수단(11)이 천장텍스(100)의 상면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구(2)의 제2마찰수단(23)이 천장텍스(100)의 하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한 것이며,
    상기 제1고정구(1)는 상기 레듀샤(3)가 끼워지도록 내주면에 나사산(14)이 형성된 통로(10)를 갖는 제1끼움부(12)와, 상기 제1끼움부(12)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마찰수단(11)이 장착된 제1환형고정판(13)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구(2)는 상기 레듀샤(3)가 끼워지는 통로(20)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부(26)가 형성된 제2끼움부(22)와, 상기 제2끼움부(22)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2마찰수단(23)이 장착된 제2환형고정판(24)을 포함하며,
    상기 레듀샤(3)는 중공을 가지며 양단부가 개구된 원통형이며, 양단의 개구부의 직경이 상이하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1끼움부(12)의 통로(10)에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찰수단(11) 및 제2마찰수단(23)은 마찰력을 갖는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오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KR1020100032487A 2010-04-09 2010-04-09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KR101009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487A KR101009277B1 (ko) 2010-04-09 2010-04-09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487A KR101009277B1 (ko) 2010-04-09 2010-04-09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9277B1 true KR101009277B1 (ko) 2011-01-18

Family

ID=43616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2487A KR101009277B1 (ko) 2010-04-09 2010-04-09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927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141B1 (ko) * 2011-01-12 2011-09-05 승진산업 (주)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KR101705240B1 (ko) * 2016-02-19 2017-02-09 임영순 클린룸의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KR101777969B1 (ko) * 2016-06-24 2017-09-13 (주)여는 보호틀을 구비한 스프링클러
KR20170104062A (ko) * 2016-03-04 2017-09-14 구경서 충격파손 방지구를 구비한 폐쇄형 습식 스프링클러헤드
US20230066294A1 (en) * 2021-09-01 2023-03-02 William Joseph Brown Wall portal and conduit assembly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112Y1 (ko) * 2001-08-14 2001-11-23 오승일 스프링클러용 주름관 연결장치
KR20020054112A (ko) * 2000-12-27 2002-07-06 오길록 수동 소자 내장형 멀티 칩 모듈 기판 제조 방법
KR20030084962A (ko) * 2001-03-02 2003-11-01 다임러크라이슬러 아크티엔게젤샤프트 자동차용 루프프레임 배열장치
KR20040039435A (ko) * 2001-09-27 2004-05-10 사에스 게터스 에스.페.아. 물을 수소로 변환하고 전자 디바이스에서 수소를 흡착하기위한 시스템 및 그 제조 공정
KR200384962Y1 (ko) * 2005-01-05 2005-05-24 대명기계공업 주식회사 스프링클러 헤드
KR200439435Y1 (ko) * 2007-02-16 2008-04-21 주식회사 동양플렉스 천장용 스프링클러의 레듀싱니플
KR20090003176U (ko) * 2009-03-04 2009-04-03 한국케미칼주식회사 스프링쿨러헤드 높낮이 조절용 이음관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4112A (ko) * 2000-12-27 2002-07-06 오길록 수동 소자 내장형 멀티 칩 모듈 기판 제조 방법
KR20030084962A (ko) * 2001-03-02 2003-11-01 다임러크라이슬러 아크티엔게젤샤프트 자동차용 루프프레임 배열장치
KR200254112Y1 (ko) * 2001-08-14 2001-11-23 오승일 스프링클러용 주름관 연결장치
KR20040039435A (ko) * 2001-09-27 2004-05-10 사에스 게터스 에스.페.아. 물을 수소로 변환하고 전자 디바이스에서 수소를 흡착하기위한 시스템 및 그 제조 공정
KR200384962Y1 (ko) * 2005-01-05 2005-05-24 대명기계공업 주식회사 스프링클러 헤드
KR200439435Y1 (ko) * 2007-02-16 2008-04-21 주식회사 동양플렉스 천장용 스프링클러의 레듀싱니플
KR20090003176U (ko) * 2009-03-04 2009-04-03 한국케미칼주식회사 스프링쿨러헤드 높낮이 조절용 이음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141B1 (ko) * 2011-01-12 2011-09-05 승진산업 (주)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KR101705240B1 (ko) * 2016-02-19 2017-02-09 임영순 클린룸의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KR20170104062A (ko) * 2016-03-04 2017-09-14 구경서 충격파손 방지구를 구비한 폐쇄형 습식 스프링클러헤드
KR101895115B1 (ko) * 2016-03-04 2018-09-05 구경서 충격파손 방지구를 구비한 폐쇄형 습식 스프링클러헤드
KR101777969B1 (ko) * 2016-06-24 2017-09-13 (주)여는 보호틀을 구비한 스프링클러
US20230066294A1 (en) * 2021-09-01 2023-03-02 William Joseph Brown Wall portal and conduit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9277B1 (ko)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US6807692B2 (en) Water lock tap
CA1280556C (en) Coupling means for toilet and bowl assembly
US20090003970A1 (en) Threaded anchor having a head portion comprising a hexagonally configured drive section, and an integral projection having a transverse bore formed therein
JP4062740B2 (ja) 水栓の取付装置
KR101062141B1 (ko)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US6907938B2 (en) Decorative support panel
US10302120B2 (en) Fixture connection device
KR20190131951A (ko) 천장면에 설치되는 소방용 전기기구의 고정구
KR102128258B1 (ko) 전산볼트 자동 클램프
KR20100010561A (ko) 갱폼 고정장치
KR20200006394A (ko) 전산볼트 체결이 용이한 배관용 파이프 행거
JP2015014170A (ja) 水栓用固定具及びこれを備える水栓器具
KR20200059793A (ko) 스트롱 앵커
KR101627066B1 (ko) 양변기 본체와 배관을 연결하는 스쿼드
JP7295332B2 (ja) 蛇口アセンブリの取り付け方法
JP2006057698A (ja) チェーンクランプ装置
KR102277990B1 (ko) 전선 가이드장치
KR100988276B1 (ko) 스프링클러 설비의 체결용 유니트
KR102058520B1 (ko) 데크 플레이트용 인서트 구조체
KR20170120945A (ko) 스프링클러 헤드 장치
CN219299730U (zh) 一种固定空调外机的螺栓螺母组件
KR101875129B1 (ko) 스프링클러 헤드 장치
KR101741478B1 (ko) 발판 고정 장치
JP7455395B2 (ja) 器具取付具および器具の取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