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4962A - 자동차용 루프프레임 배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루프프레임 배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4962A
KR20030084962A KR10-2003-7011538A KR20037011538A KR20030084962A KR 20030084962 A KR20030084962 A KR 20030084962A KR 20037011538 A KR20037011538 A KR 20037011538A KR 20030084962 A KR20030084962 A KR 20030084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profile
gas
hollow
roof fram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1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콘라드 에이펄
헤인즈 코스로우스키
토마스 로우세
토마스 세일러
마티하스 스크로더
로랜드 웬들러
Original Assignee
다임러크라이슬러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임러크라이슬러 아크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다임러크라이슬러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30084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496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 후면 그리고 두개의 측면 루프프레임과 자동차의 테일게이트를 위한 지지장치를 가지는 자동차의 루프프레임 배열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지지장치는 테일게이트 힌지와 하나이상의 기체충전된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측면 루프프레임은 후면부에 결합된 외부쉘과 내부쉘을 포함하며, 중공공간은 내부쉘과 외부쉘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증가된 강성을 가지는 루프프레임 배열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가능한 적은 제작오차를 가지며 간단하고 공간절약형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큰 누설방지의 비용이 필요하지 않도록, 힌지 및/또는 기체충전된 압축스프링이 맞추어지는 중공공간을 둘러싸고 수용하우징을 형성하는 둘레부가 밀폐된 중공프로파일의 단일부재로서 측면 루프프레임의 후면 단부영역을 형성하는 것이 소개되어진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루프프레임 배열장치{ROOF FRAME ARRANGEMENT FOR MOTOR VEHICLES}
종래의 자동차에서, 특히 "스테이션 왜건(station wagon)"에 있어서, 루프프레임은 중공 공간(hollow space)을 가지는 중공프로파일(hollow profile)을 형성하도록 결합되어지는 특히 용접되어지는 내부 쉘(inner shell)과 외부 쉘(outer shell)을 형성하도록 결합되는 다수의 개별적인 판금(sheet-metal) 압축된 부분(pressed part)으로 이루어진다. 위쪽으로 피벗되어질 수 있는 테일게이트(tailgate)를 위한 지지장치(supporting device)는 한쪽 단부에서 후면 루프프레임(rear roof frame)에 결속되는 힌지에 의해 형성되어진다. 또한 테일게이트는 한쪽 단부에서는 차체(bodywork)의 후면 포스트(rear post)에 연결되어지며, 다른 쪽 단부에서는 테일게이트에 직접 연결되는 기체충전 스프링(gas filled spring)에 의해서도 지지되어진다. 비-마감 상태(unfinished state)에서 후면부에 개방되는 측면 특히 루프프레임의 단부영역에서의 차체의 누설방지성(leakproofness)을 보장하기 위하여, 이러한 쉘(shell)들은 복잡하고 신중한 방법으로 플랜지 영역의 외부에서 실링(seal)되어져야 하고, 이는 종종 친환경적이지 않은 실링제(sealant)를 필요로 한다. 또한, 필요한 용접플랜지로 인해제공되어져야 하는 구조적인 공간과 관련하여, 생산되어지는 중공프로파일의 단면을 실질적으로 증가함이 없이 상대적으로 큰 구조적인 공간이 필요로 하는 단점이 발생된다. 나아가 비틀림(distortion)에 의해 영향을 받는 용접연결과 멀티파트(multipart)의 성질(nature)은 후면 루프프레임에의 연결에 관하여 허용오차(tolerance)의 문제를 발생시키며, 또한 배열장치의 실링 가능성을 방해하며, 루프프레임 배열장치가 복잡하게 배열되는 결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루프프레임 배열장치는 DE-C 27 44 927에서 개시되고 있는데, 여기서는 루프프레임 전체의 디자인이 명확하게 소개되지는 않지만, 플랩 개구부(flap opening) 상부코너의 후면단부에서 중공 공간을 가지며, 상기의 중공 공간은 후면 포스트(rear post)의 판금(sheet metal), 루프프레임의 판금 그리고 루프 자체에 의해서 형성되어진다. 자동차의 테일게이트를 위한 지지장치(supporting device)는 이러한 중공 공간내에서 유지되어지고, 수직하게 피벗가능한 방법으로 결속되어지는 기체충전 압축스프링은 테일게이트 힌지(hinge)에 힌지되는 방법으로 연결되어진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루프프레임 배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측면과 후면 루프프렘임, 그리고 측면도어와 측면윈도우를 직접적으로 둘러싸는 자동차 측벽의 일부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프레임 배열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중공프로파일 내에 결속된 기체충전 스프링과 힌지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프레임 배열장치의 중공 프로파일의 단면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기체 스프링과 힌지가 없는 도 1의 프레임 배열장치의 중공프로파일 및 후면 루프프레임의 중공프로파일과 서로 조립된 부분의 단면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기체충전 스프링과 후면 루프프레임의 중공 프로파일과 서로 조립된 부분을 가진 도 1의 프레임 배열장치의 중공프로파일의 단면을 도시하며, 프로파일은 힌지를 포함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기체충전 스프링이 없고 결속된 테일게이트 힌지를 가지며 무릎(knee) 형상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배열장치의 측면 루프프레임의 중공 프로파일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중공 프로파일을 후면에서 도시한 배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디 쉘 2 : 측벽
3,4,5,6 : 필러 7 : 루프
8 : 루프프레임 배열장치 9 : 후면 루프프레임
10 : 측면 루프프레임 11 : 외부 쉘
12 : 내부 쉘 14,36,39,51 : 중공프로파일
15 : 내부공간 16 : 클램핑 림
18, 35 : 구멍 21, 22, 47 : 압축스프링
25, 29 : 베어링 블록 24,44,50 : 힌지
27 : 힌지레버 34 : 실링플레이트
38 : 노치 57 : 슬롯
본 발명의 목적은 증가된 강성(stiffness)을 가지는 루프프레임 배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간단하고 공간 절약형 방법 그리고 가능한 적은 제작오차(manufacturing tolerance)를 가지며 생산될 수 있고, 누설방지에 있어서상대적으로 큰 비용(outlay)이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성에 의해 얻어진다.
비-마감 상태에서 후면에 개방되는 측면 루프프레임의 후면 단부영역이 둘레가 밀폐된 단일부재(single-piece)의 중공프로파일을 가진다는 사실로 인하여, 프레임의 강성은 쉘-타입 구조(shell-type construction)와 비교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특히 증가되어지며, 이러한 것은 에너지 흡수 효과의 덕분으로 특히 측면충격(side impact)과 만일 차량이 전복되어지는 동안 상당한 장점으로 된다. 용접플랜지(welding flange)는 제작을 위하여 더 이상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누설방지를 고려할 때 더 이상 중요하지는 않다. 간격(gap)과 용접플랜지의 부존재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 프로파일이 어떠한 누설방지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멀티파트(multipart) 쉘-타입 구조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은 허용오차가 발생하도록 제작되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관 형상(tubular form)의 결과로서 매우 큰 강성은, 강성에 있어서 미미한 감소를 가지면서 벽 두께가 감소되는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구조적인 공간과 무게를 절약한다. 공간 절약과 이를 조절하는 보호된 가능성(protected possibility)에 관한 장점적인 방법으로, 중공 프로파일은 힌지 및/또는 기체충전(gas-filled) 압축스프링이 맞추어지는 수용 하우징(receiving housing)을 가진다. 빈 공간(blank)으로서, 예를 들어 중공 프로파일은 돌출된 프로파일 또는 드로운 튜브(drawntube)가 될 수 있고, 또는 계속된 벤딩(bending) 또는 롤링(rolling) 작업(operation) 후에 빌레트(billet)로부터 절단되고 길이방향 씸(seam)으로 용접되어질 수도 있다.
특허청구범위 제 2 항에 따른 장점적인 전개에 있어서, 중공 프로파일은 루프프레임의 중공 공간 내에 유지되어진다. 이때 쉘-타입 구조는 측면 루프프레임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필수적으로 연장되어지나, 그 결과로서, 유지된 중공프로파일과 관련하여 단부영역은 이중(doubling)의 판금을 가지며, 이는 프레임에 특별한 안정성(stability)과 강성을 제공한다. 중공 프로파일은 쉘의 용접된 조립체에 거의 작용이 없이 후면(rear)으로부터 푸쉬(push)되어지고 접합(bonding) 또는 용접에 의한 기계적으로 적절한 방법으로 후면부(the latter)에 연결되어지거나, 또는 측면 루프프레임의 후면 단부영역의 쉘에 의해 단단하게 둘러싸여져서 클램핑(clamping) 작용을 얻을 수 있고, 상기 쉘들은 서로 용접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으로 유리한 개선내용은 종속항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은 첨부도면에서 도시된 다수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다음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어진다.
도 1은 자동차의 바디쉘(body shell, 1)의 일부분을 도시하고 있는데, 바디셀은 A-필러(A-pillar, 3), B-필러(4), C-필러(5) 그리고 D-필러(6)로 된 측벽(side wall, 2)과 루프(roof, 7) 그리고 루프프레임 배열장치(roof frame arrangement, 8)로 이루어진다. 루프프레임 배열장치(8)는 전면 루프프레임(도 1에서는 도시되지 않음)과 후면 루프프레임(9) 그리고 도면상에서 어느 정도만을 나타내기 위하여 우측부분만이 도시된 두개의 측면 루프프레임(10)을 포함한다. 측면 루프프레임(10)은 외부 쉘(11)과 내부 쉘(12)에 의해 형성되는데, 외부 쉘은 필러(3-6)의 상부 마감부위(closing region)와 마감부위의 연결웨브(connecting web)에 의해 일부분 이상이 형성되어지며, 용접(welding)에 의해서 외부 쉘(11)과 루프(7)에 연결되는 내부 쉘(12)은 중공 공간(hollow space)을 에워싸고, 프레임(10)을 강화한다.
주변부가 둘러싸인 중공프로파일(14)은 후면 단부영역(13)으로서 차량의 후면을 향하게 형성된 측면루프프레임(10)의 쉘 구조체(shell structure)에 인접하며, 상기 중공프로파일은 그 내부 공간(15)에 의해서 측면 루프프레임(10)의 중공 공간이 연속된다. 중공프로파일(14)은 한편으로는 외부 쉘(11) 위에 위치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내부 쉘(12)의 클램핑 림(clamping limb, 16)에 의해서 전면 단부에서 둘러싸여지고, 상기 림(limb)은 차량의 후면부를 향해 돌출되어진다. 이러한 것은 측면충격의 경우에 바디 쉘의 나머지 구조체로 힘(force)의 특별히 우수한 도입(introduction)을 얻는다. 이러한 엔클로져(enclosure)에서, 중공 프로파일(14)은 추가적으로 외부 쉘(11)과 클램핑 림(16)에 용접되거나 접합되어질 수도 있다. 만일 이러한 형태의 중공프로파일(14)이 쉘구조체 대신에 사용되어진다면, 어떠한 용접 플랜지(welding flange)들도 간단한 방법에서 과다하게 제공되어지며, 측면 루프프레임(10)이 더 작은 구조적인 공간을 취하는 결과를 가지거나, 또는 만일 구조적인 공간이 사용되어진다면, 프레임(10)의 단면은 용접 플랜지에 의해 취해진 구조적인 공간에 따라서 증가되어질 수 있으며, 강성은 더 큰 중공 단면의 덕분으로 상당히 크게 된다. 용접 플랜지들이 생략되어지기 때문에 루프 프레임의 무게가 감소되어지는 것이 또한 강조되어진다. 나아가, 쉘 타입 구조체의 복잡한 용접 작업은 측면 루프프레임(10)의 후면 단부영역(13)의 생산에 있어서 더 이상 필요하지는 않다. 또한 단부 영역(13)의 쉘들이 단일 부분(single-part) 중공프로파일(14)에 의해 대체되어지기 때문에 루프 프레임배열장치의 조립체를 위한 다양한 부분들이 장점적으로 감소되어진다.
쉘-타입 구조체로 형성되는 후면 루프프레임(9)은 중공프로파일(14)의 단부측면에 부착되어진다. 중공프로파일(14)은 관형 빈공간(tubular blank)으로부터 제작되어지고, 빈공간은 원형단면으로부터 대략적으로 사각형단면으로 핀치(pinch)되어지고, 내부 고압형성 몰드(internal high-pressure mold)로 핀칭되어진 후에 위치되어진다. 또한, 이러한 몰드에서 핀칭은 공정을 위해서 밀폐작업(closing operation)에 의해서 경제적인 방법으로 착수되어질 수도 있으며, 유체 내부 고압(fluidic internal high pressure)은 내부 공간(15) 내에서 발생되어지고, 중공프로파일(14)이 몰드 인그레이빙(engraving)의 외형을 정확하게 따르는 방법으로 확장되고 위치되는 원인이 된다. 내부 고압에 의해 형성되는 부분의 치수적으로 정확한 형성(formation)과 깊게 드로운(deep-drawn)된 부분의 실질적으로 부존재하는 스프링백(spring back) 특성의 덕분으로, 측면 루프프레임(10)의 후면 단부영역(13)의 실질적으로 무-오차(tolerance-free) 형상은 신뢰적이고 계속적으로 재생산 될 수 있는 방법으로 얻어지며, 그 결과로서 상기에서 언급된 실링 문제점들은 특별히 잘 해결되어진다. 장점적인 방법에 있어서, 내부 고압 형성공정(process) 동안, 실질적으로 특정하게 창작된 형상의 결속표면(17)은, 중공프로파일을 후면 루프프레임(9)과 측면 루프프레임(10)의 쉘 구조체에 부착하는 목적을 위해 중공프로파일(14)로부터 요구되는 것과 같이 상대적으로 간단한 방법으로 형성되어 질 수 있으며, 구조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프로파일(14)에 인접한다. 나아가 형성공정에 이어서, 결속(fastening) 및/또는 설치(installation) 구멍(hole, 18)은 경제적이며, 몰드 내에 일체화되어지는 스탬핑 펀치(stamping punch)에 의해 존재하는 내부고압에서 몰드 내의 간단한 방법으로 발생되어질 수 있다.
도 2에 따른 중공프로파일(14)의 하나의 변형에서, 상기 중공프로파일은 그 후면단부(19)에서 둘레상에 돌출부(protuberance, 20)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후면 루프프레임(9)에 면하며, 내부 고압형성 공정(process)에 의해 형성되어지고 후면 루프프레임(9)의 프로파일의 결속을 위해서 실질적으로 평면 고정표면(17)을 지지한다. 기체충전 압축스프링(21,22),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에 독립하게 피벗되거나 경사질 수 있도록 후면 창문에 연결되는 후면 창문힌지(23)와 테일게이트 힌지(24)들은 중공 프로파일(14)의 내부 공간(15) 내에 배열되어지고, 스프링홀더(spring holder)를 형성한다. 기체충전 압축스프링(21,22)과 힌지(23,24)는 조립되기 쉬운 컴팩트하며 공간 절약형 구조체 단위장치를 형성하고, 각각의 구조체 구성요소는 베어링 블록(bearing block, 25) 위에서 유지되어진다. 기체충전 압축스프링(21,22)은 수직하게 피벗되어질 수 있는 방법으로만 힌지로부터 이격된 그 단부(26)에 의해서 베어링 블록(25)에 결속되어지고, 하향적으로 포인팅(pointing)되는 힌지레버(27)에 결합(couple)되어진다. 발톱모양(claw-shape) 힌지(23,24)들은 낮은쪽 힌지발톱(28)에 의해서 위쪽으로 돌출된 베어링 블록(29)에 수평으로 맞추어지고, 피벗가능한 방법으로 설치되어진다. 베어링블록(29)은 스트립(strip)과 같은 방법으로 연장되는 다른 베어링 블록(25)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지고, 예를 들어 용접 또는 접합 또는 기계적으로 결속소재특히 나사(screw)들에 의해서 중공 프로파일(14)의 하부(32)에 전면 및 후면 풋(foot, 30,31)과 고정되어진다. 이러한 사전조립된(preassembled) 구조체 단위장치는 중공 프로파일(14)로 쉽게 도입되어질 수 있고, 계획된 축 위치(axial position)에서 위치되어진다. 결속 또는 설치는 언급된 설치 구멍(installation hole, 18)을 통하여 특정 지점에서 발생되며, 중공 프로파일(14)의 둘레부 상에서 형성되어진다. 측면 루프프레임(10)의 쉘 구조체에 연결되어지는 영역에 습기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링플레이트(34)는 전단부(33)에서 중공프로파일(14)로 용접되거나 접합되어진다. 실링플레이트(34)는 개구부(35)를 가지는데, 이를 통하여 공급 케이블 가닥(supply cable strand) 및/또는 유연성 튜브(도시되지는 않았음)가 튀어나오고, 설치 개구부(18)와 유사하게 고무실링(rubber seal)에 의해서 최종적으로 닫혀지게 된다.
또한, 개별적인 베어링블록이 각각의 기체충전 압축스프링(21,22)에 대한 일반적인 베어링블록(25) 대신에 할당되어지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나아가, 기체충전 압축스프링(21,22)은 힌지(23,24)에 연결되어지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지만, 각각 테일게이트와 후면창문에 직접적으로 이동가능한 방법으로 맞추어질 수는 있다.
기술된 중공 프로파일(14)의 하나의 변형이 도 3에서 도시되고 있다. 연결기술과 관련하여 선호적인 방법으로 후면 루프프레임(9) 상의 차량 후면과 인접한 후면 단부(37)에서 중공프로파일(36)은, 내부 고압형성에 의해 발생되어지는 것이 선호되는 후면 루프프레임(9)의 중공 프로파일(39)이 면하는 단부(40)에 의하여 맞물리게 되는 노치(notch,38)를 가지며, 노치(38)의 가장자리(41)는 중공프로파일(39)에 의해서 둘러싸여진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중공 프로파일(39)은 단부 측면에서 나타나며, 용접플랜지의 방법으로 영역(42)은 중공프로파일 단부의 전체 둘레부에 걸쳐서 형성되어지고, 노치의 가장자리(41)를 둘러쌀 때 다루기 쉬운 방법으로 두개의 중공 프로파일(36,39)이 용접, 선호적으로는 스폿용접(spot welded)되어질 수 있는 겹침 부위(43)를 제공한다. 안전한 실링을 위하여, 중공프로파일(36,39)은 접합되어질 수도 있고, 접합공정(bonding process)은 용접 후에 발생된다. 접착제는 이미 둘러싸이고 용접되어진 중공프로파일(36)의 옆에서 직접적으로 다른 중공프로파일(39)에 제공되어지고, 그 후 여전히 액체의 접착제는 중공프로파일(36,39) 사이의 접합 간격의 모세관 효과(capillary effect)로 인하여 넓은 영역에 걸쳐서 겹침부위로 당겨지고, 경화될 수 있다. 노치(38)에 의한 중공프로파일(36)의 약화점(weakening)은 언급된 후면 루프프레임(9)의 중공 프로파일(39)에 직각으로 부착에 의한 이러한 지점에서 강성에 관하여 더 많이 보상되어질 수 있다. 또한, 측면충격의 경우와 같이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들은 후면 루프프레임(9)으로 넓은 부위에 걸쳐서 도입되어지는 것에 의하여, 매우 쉽게 나머지 루프프레임으로 전달되어지고, 따라서 높은 충격저항을 얻을 수 있다.
도 4에서, 중공프로파일(39)은 적어도 일부분이 후면부에 개방되어 있고, 이러한 연결에서는 수평하게 움직이는 슬롯(slot, 57)을 도시하고 있다. 프로파일의 후면단부 측면(46)의 내부(45)에 스크류(screw)됨으로서 중공 프로파일(39)내에 결속되어지는 테일게이트 힌지(44)는 슬롯(57)을 통해 측면으로 연장된다. 힌지로부터 분리되어 작동하는 단지 하나의 기체충전 압축스프링(47)과 여기서는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은 베어링 블록위에 설치되는 모터유도(motor driven) 유압실린더(48)는 중공프로파일(36)내에 배열되어지고, 한편으로는 자동적으로 사용되어지며, 다른 한편으로는 레버암(lever arm, 49)을 통하여 테일게이트를 지지하는 제어된 방법으로 사용되어진다. 이러한 경우에서, 유압실린더(48)는 기체충전 압축스프링(47)으로 완전히 대체될 수도 있다. 기체충전 압축스프링과 힌지의 분리(separation)는 루프프레임 배열장치, 특히 측면 루프프레임이 더 좁게 제작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테일게이트가 패신저 쉘(passenger cell)로부터 해제되어진 후, 유압실린더(48)는 플랩(flap)이 갑자기 스프링 개방되면서 발생되는 부상의 위험없이 제어된 방법으로 테일게이트에 피벗되도록 사용되어질 수 있다.
도 5와 6에 따른 추가적으로 단축된 변형에서, 테일게이트 힌지(50)는 한쪽 단부에서 중공프로파일(51)에 맞추어진다. 힌지(50)는 그 부분에 있어서 중공 프로파일(51)에 인접하는 측면 루프프레임(10)의 쉘 구조체 내에 배열되는 기체충전 압축스프링에 연결되어진다. 중공프로파일(51)은 무릎 형상으로 휘어져 있으며, 내부고압형성 몰드(internal high-pressure forming mold) 내에서 다각형 단면으로핀치(pinch)되어지는 것이 선호되며, 공정에서 발생되는 수축(sink mark)을 제거하기 위하여, 그리고 요구된 무-오차 외형(tolerance-free outer contour)을 얻기 위하여 인그레이빙(engraving)에 따라서 유압 내부고압에 의해 최종적으로 확장되어진다. 형성되는 변형(strain)을 얻기 위하여, 중간 어닐링(intermediate annealing)에 의해 간섭되는 많은 단계에서 팽창(expansion)이 발생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다수의 개구부(53,54)는 무릎 부위(knee region, 52)로부터 절단되어질 수 있고, 도 6의 두개의 구멍(53)은 힌지(50)를 결속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진다. 개구부(54)를 통하여 힌지(50)는 기체충전 압축스프링의 피스톤 로드(piston rod)에 연결되어지고, 피스톤 로드는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튀어나오고, 그 후 개구부(54)는 고무 캡(rubber cap)에 의하여 실링 되어진다. 반면에, 중공프로파일(51)의 한쪽단부(55)는 자연적인 튜브개구부로 인한 간단한 방법으로 후면 루프프레임(9)에 정확한 부착을 보장하며, 다른 단부(56)는 결속되어지는 실링위에 위치되는 허용오차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레이저에 의하여 3차원적인 트림(trim)을 최종적으로 얻는다.

Claims (15)

  1. 전면, 후면(9) 그리고 두개의 측면 루프프레임과 자동차용 테일게이트를 위한 지지장치를 가지며, 상기 지지장치는 테일게이트힌지(24,44)와 하나이상의 기체충전 압축스프링(21,22,27)으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루프프레임 배열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측면 루프프레임(10)은 후면부에 연결된 외부쉘(11)과 내부쉘(12)을 포함하며, 중공공간은 내부쉘(12)과 외부쉘(11) 사이에서 형성되어지고, 측면루프프레임(10)의 후면 단부영역(13)은 중공공간을 둘러싸고 수용하우징을 형성하며, 힌지(24,44,50) 또는/및 기체충전 압축스프링(21,22,27)이 맞추어지는 둘레가 밀폐된 단일부재의 중공프로파일(14,36,51)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중공프로파일(14,36,51)은 측면 루프프레임(10)의 중공공간 내에 수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중공프로파일(14,36,51)은 후면단부영역(13)으로서 측면 루프프레임(10)의 쉘 구조체에 인접하고, 측면 루프프레임(10)의 후면 단부영역(13)의 중공 공간은 중공프로파일(14,36,51)의 내부공간(15)에 의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중공프로파일(14,36,51)은 외부쉘(11)과 내부쉘(12)의 클램핑 림(16)에 의해 둘러싸여지고, 상기 림은 차량의 후면부를 향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중공프로파일(14,36,51)은 내부 고압에 의해 형성되는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테일게이트 힌지(24,44,50)는 중공프로파일(14,36,51)내의 한쪽 단부에서 맞추어지고, 중공프로파일(14,36,51)에 인접하는 측면루프프레임(10)의 쉘구조체 내에 배열되어지는 기체충전 압축스프링(22,47)에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중공프로파일(51)은 무릎형상으로 휘어지고, 개구부(54)는 무릎 부위(52) 내에 형성되어지고, 이를 통하여 기체충전 압축스프링(22,47)은 개구부(54)를 통해서 돌출되는 피스톤 로드에 의해서 힌지(24,44,50)에 연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기체충전 압축스프링(21,22,47)과 테일게이트 힌지(22,44,50)는 중공프로파일(14,36,51)내에 배열되어지고, 기체충전 압축스프링(21,22,47)은 힌지의 한쪽 단부(27)에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기체충전 압축스프링(21,22,47)과 힌지(24,44,50)는 베어링 블록(25)위에 유지되는 구조적 단위장치를 형성하고, 기체충전 압축스프링(21,22,47)은 단지 수직하게 피벗되어질 수 있는 방법으로서 힌지로부터 이격된 단부(26)에 의해서 베어링 블록(25) 상에 결속되어지며, 힌지(24,44,50)는 베어링블록(25)상의 한쪽 단부에서 피벗가능하게 설치되어지고, 베어링 블록(25)은 측면 루프프레임(10) 위에 고정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추가적인 기체충전 압축스프링(21)은 측면 루프프레임(10)의 중공프로파일(14,36,51) 내에 추가적으로 배열되어지고,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내에 피벗가능하도록 또는 기울어져서 설치되어지는 후면 윈도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추가적인 기체충전 압축스프링(21)은 테일게이트 힌지(24)로부터 분리되는 후면 윈도우힌지(23)에 연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후면 루프프레임(9)의 중공프로파일(39)은 측면 루프프레임(10)의 중공프로파일(14,36,51)에 연결되어지고, 상기 중공프로파일(39)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후면부에 개방되어지고 테일게이트 힌지(44)는 그 내부에 배열되어지며, 기체충전 압축스프링(47)은 힌지(44)로부터 분리되게 작동하는 방법으로 중공프로파일(14,36,51) 내에 배열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지지장치는 기체충전 압축스프링(22,47) 대신에서 모터유도 유압실린더(4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중공프로파일(14)은 그 후면단부(19)에서 후면 루프프레임(9)으로 포인팅되는 돌출부(20)를 가지고, 후면 루프프레임(9)으로의 결속을 위하여 실질적으로 평면 결속표면(17)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측면 루프프레임(10)의 둘레가 밀폐된 중공프로파일(36)은 그 후면 단부(37)에서 후면 루프프레임(9)의 중공프로파일(39)이 결속되는 노치(38)를 가지며, 노치(38)의 가장자리(41)는 중공프로파일(39)에 의해 둘러싸여 지고, 후면부에 용접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3-7011538A 2001-03-02 2002-02-07 자동차용 루프프레임 배열장치 KR200300849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10057.4 2001-03-02
DE10110057A DE10110057C2 (de) 2001-03-02 2001-03-02 Dachrahmenanordnung von Kraftfahrzeugen
PCT/EP2002/001266 WO2002070324A1 (de) 2001-03-02 2002-02-07 Dachrahmenanordnung von kraftfahrzeug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4962A true KR20030084962A (ko) 2003-11-01

Family

ID=7676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1538A KR20030084962A (ko) 2001-03-02 2002-02-07 자동차용 루프프레임 배열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974180B2 (ko)
EP (1) EP1363828B1 (ko)
JP (1) JP3841292B2 (ko)
KR (1) KR20030084962A (ko)
CA (1) CA2439534A1 (ko)
DE (2) DE10110057C2 (ko)
WO (1) WO200207032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559Y1 (ko) * 2008-04-03 2010-10-12 대명기계공업 주식회사 내외관을 통해 물이 분사되는 구조를 갖는 스프링쿨러 헤드
KR101009277B1 (ko) * 2010-04-09 2011-01-18 승진산업 (주)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10056B4 (de) * 2001-03-02 2005-02-03 Daimlerchrysler Ag Eckbereich zwischen seitlichem und hinterem Dachrahmen eines Kraftfahrzeuges mit Rückwandtür und ein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3712236B2 (ja) * 2002-10-04 2005-11-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ドアの開閉装置の配設構造
DE10310931A1 (de) * 2003-03-13 2004-09-30 Daimlerchrysler Ag Fahrzeug mit Heckklappe
DE602006003751D1 (de) * 2005-05-25 2009-01-02 Plastic Omnium Cie Heckstütze für kraftfahrzeug, heckmodul und verfahren zur befestigung solch eines moduls
DE202009002622U1 (de) * 2009-02-25 2010-07-2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Antriebsanordnung zur Betätigung einer Klappe eines Kraftfahrzeugs
DE102010014510A1 (de) * 2010-04-10 2011-10-13 Daimler Ag Tür für einen Kraftwage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9637175B2 (en) * 2015-08-13 2017-05-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xtruded vehicle body component
DE102016103759A1 (de) * 2016-03-02 2017-09-0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Bamberg Antriebsanordnung für eine Klappe eines Kraftfahrzeugs
FR3115754A1 (fr) * 2020-10-30 2022-05-06 Renault S.A.S. Support d’articulation pour une porte de coffre de véhicule.
DE102021133403A1 (de) 2021-12-16 2023-06-2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ntriebssystem für eine schwenkbare Klappe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mit einem derartigen Antriebs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44927C3 (de) * 1977-10-06 1980-11-20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Anordnung einer Gewichtsausgleichseinrichtung an nach oben schwenkbaren Heckklappen von Kraftfahrzeugen
US4568237A (en) * 1985-01-18 1986-02-04 Krause Manufacturing, Inc. Apparatus for transporting cargo containing fluid-like materials
US5081781A (en) * 1991-02-19 1992-01-21 Kanyuck Emil L Gun loading device
US6623068B2 (en) * 1998-06-18 2003-09-23 Alcan Technology & Management Ag Roof unit and basic structure of a road-bound vehicle
DE19933765B4 (de) 1999-07-19 2015-03-19 Volkswagen Ag Schwenklagerung für eine hochschwenkbare Klappe eines Fahrzeugaufbaues
JP3385240B2 (ja) * 1999-09-02 2003-03-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開閉体用リンクの取り付け構造
US6901704B2 (en) * 2000-01-14 2005-06-07 Fuji Jukogyo Kabushiki Kaisha Vehicle rear gat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DE10014367B4 (de) 2000-03-23 2005-07-21 Dr.Ing.H.C. F. Porsche Ag Aufbaustruktur für ein Kraftfahrzeug
DE10034141B4 (de) 2000-07-13 2008-04-03 Volkswagen Ag Kraftfahrzeug mit wenigstens einem klappbaren Karosserietei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559Y1 (ko) * 2008-04-03 2010-10-12 대명기계공업 주식회사 내외관을 통해 물이 분사되는 구조를 갖는 스프링쿨러 헤드
KR101009277B1 (ko) * 2010-04-09 2011-01-18 승진산업 (주)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212835D1 (de) 2008-11-13
US6974180B2 (en) 2005-12-13
DE10110057A1 (de) 2002-09-19
DE10110057C2 (de) 2003-12-24
EP1363828B1 (de) 2008-10-01
CA2439534A1 (en) 2002-09-12
EP1363828A1 (de) 2003-11-26
JP2004521001A (ja) 2004-07-15
JP3841292B2 (ja) 2006-11-01
WO2002070324A1 (de) 2002-09-12
US20040124672A1 (en) 200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84962A (ko) 자동차용 루프프레임 배열장치
US6039384A (en) Door shell of a vehicle
CA2430492C (en) Door seal interface structure for a motor vehicle space frame
JP5684284B2 (ja) 自動車のトランクリッド
CN100482516C (zh) 用于机动车辆的模组化车身底板
US20040051345A1 (en) Hydroformed space frame and rearward ring assembly therefor
JPH03248979A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及び車体組付方法
JP2001026218A (ja) 車両のサイドドア構造
JP2003312404A (ja) 車両の複合構造部材
JP2000272348A (ja) 車両用ルーフ構造体
JPH01141180A (ja) 車両ボディ組立体
JP3841294B2 (ja) ハッチバックドア付き自動車の側部および後部ルーフフレーム間のコーナ領域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175180A (ja) 自動車ドアのインパクトビーム支持構造
CN110789615B (zh) 用于车辆的车身结构
KR20100026124A (ko) 차량용 실 사이드 유닛
US6918628B2 (en) Rear roof frame for motor vehicles
JP2000163146A (ja) ペダルブラケットの構造
KR100395126B1 (ko) 센터 필러 로워부 박스 지지 구조
JP4614723B2 (ja) 自動車のべルトライン部構造
JP6010371B2 (ja) 車両用ドアフレームの製造方法、及び、車両用ドアフレーム
EP1645490B1 (en) Hydroformed space frame
KR0127082B1 (ko) 자동차 전면부의 차체구조
KR0127083B1 (ko) 자동차 전면부의 차체구조
JP2001315664A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KR20030041240A (ko) 자동차용 도어체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