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258B1 - 전산볼트 자동 클램프 - Google Patents

전산볼트 자동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258B1
KR102128258B1 KR1020190034001A KR20190034001A KR102128258B1 KR 102128258 B1 KR102128258 B1 KR 102128258B1 KR 1020190034001 A KR1020190034001 A KR 1020190034001A KR 20190034001 A KR20190034001 A KR 20190034001A KR 102128258 B1 KR102128258 B1 KR 102128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bolt
wedge member
housing member
f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춘선
Original Assignee
최춘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춘선 filed Critical 최춘선
Priority to KR1020190034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2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7/00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a part of or on one member entering a hole in the other and involving plastic deformation
    • F16B17/006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a part of or on one member entering a hole in the other and involving plastic deformation of rods or tubes to sheets or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F16B2/24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 F16B2/241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of sheet metal
    • F16B2/245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of sheet metal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Abstract

전선 트레이, 소방설비, 수도설비 및 닥트설비 등 파이프나 전선이 고정되는 행거와 전산볼트의 결합시, 나사결합을 용이하게 조정하여 단시간에 고정시키는 전산볼트 자동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전산볼트가 상하 관통되는 홀을 가지고, 관통되는 전산볼트 주위에 원뿔형 또는 종형의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부재,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관통되는 전산볼트의 둘레를 감싸는 복수의 쐐기형 조각으로 구성되며, 전산볼트와 나사결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내주면을 가지는 쐐기부재, 상기 내부 공간으로 하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쐐기부재에 접촉되며, 전산볼트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이동 되도록 형성된 가압부재 및 상기 하우징부재 내부 하부면 상에 위치하여 상기 쐐기부재의 하단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시, 상기 가압부재가 쐐기부재를 하측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쐐기부재가 하측 및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복수의 쐐기형 조각들 사이가 이격되어, 상기 쐐기부재의 내주면과 전산볼트의 나사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해제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으로,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쐐기부재가 상측 및 내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복수의 쐐기형 조각들 사이가 근접되어 상기 쐐기부재의 내주면과 전산볼트의 나사결합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산볼트 자동 클램프{AUTOMATIC CLAMP FOR FULL THREAD BOLT}
본 발명은 전선 트레이, 소방설비, 수도설비 및 닥트설비 등 파이프나 전선이 고정되는 행거용 전산볼트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행거와 전산볼트의 결합시, 나사결합을 용이하게 조정하여 단시간에 고정시키는 전산볼트 자동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지하 천정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행거용 전산볼트 클램프에 의해 냉난방이나 혹은 급, 배수 등의 여러 용도로 이용되는 배관용 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전기공사에 꼭 필요한 전선 트레이 설치 및 소방설비, 닥트설비에도 행거용 전산볼트 클램프를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일반적인 행거용 전산볼트 클램프는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건물의 천정슬래브에 고정된 전산볼트(100)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서, 전산볼트(100)에 하부너트(10)를 체결 후 행거(600)를 집어넣은 다음, 다시 상부너트(20)를 체결하는 방법으로 설치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행거용 전산볼트 클램프는의 결합구조는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건물의 천정슬래브에 체결되는 전산볼트(100)와 상부면에 구멍을 가진 행거(600)가 하부너트(10)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너트(20)에 의해 고정되어 체결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일반적인 행거용 전산볼트 클램프는 체결방식에 있어서 하부너트(10), 행거(600) 및 상부너트(20)를 결합하는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결합 과정 전체가 인력이 소요되므로 현장에서 체결 대상 행거용 전산볼트 클램프가 많을 경우 많은 인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산볼트와 행거의 체결방법을 보완하여 설치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고, 나아가 결합작업에 투입되는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전산볼트 자동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산볼트 자동 클램프는 전산볼트가 상하 관통되는 홀을 가지고, 관통되는 전산볼트 주위에 원뿔형, 다각뿔형 또는 종형의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부재,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관통되는 전산볼트의 둘레를 감싸는 복수의 쐐기형 조각으로 구성되며, 전산볼트와 나사결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내주면을 가지는 쐐기부재, 상기 내부 공간으로 하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쐐기부재에 접촉되며, 전산볼트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이동 되도록 형성된 가압부재 및 상기 하우징부재 내부 하부면 상에 위치하여 상기 쐐기부재의 하단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시, 상기 가압부재가 쐐기부재를 하측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쐐기부재가 하측 및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복수의 쐐기형 조각들 사이가 이격되어, 상기 쐐기부재의 내주면과 전산볼트의 나사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해제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으로,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쐐기부재가 상측 및 내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복수의 쐐기형 조각들 사이가 근접되어 상기 쐐기부재의 내주면과 전산볼트의 나사결합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부재는, 내주면의 내경이 하단부로 갈수록 증가하는 내주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쐐기부재는, 외주면의 외경이 하단부로 갈수록 증가하는 슬라이딩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쐐기부재에서, 상기 복수의 쐐기형 조각은 수직축에 대해 직각으로 절단한 단면의 형상이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부 공간의 일부분의 형상과 상응하는 반원형인 2개의 등분조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가압부재의 외주면의 외경이 하부로 갈수록 감소하는 진입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쐐기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가압부재의 진입경사면과 접하도록 상기 쐐기부재의 내측에 대응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의 진입경사면과 상기 쐐기부재의 대응경사면이 접한 면과 수평면이 형성하는 제1 예각은,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주경사면과 상기 쐐기부재의 슬라이딩 경사면이 접한 면과 수평면이 형성하는 제2 예각 대비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재의 하부 측면으로 돌출된 연장돌출부를 포함하고, 상부면에 구멍을 가진 행거가 상기 연장돌출부 위로 끼워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전산볼트의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상기 외주면과 이격되어 구비된 1개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산볼트와 행거를 기존의 너트를 회전시키는 과정 없이 가압하여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설치시간이 현저히 단축될 수 있으며, 나아가 결합작업에 투입되는 인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클램프와 비교하여, 하중에 따라 강화되는 나사결합을 활용하여 더욱 면밀하게 행거와 전산볼트를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행거와 전산볼트간 체결방식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산볼트 자동 클램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산볼트 자동 클램프 가압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산볼트 자동 클램프 가압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산볼트 자동 클램프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의한 전산볼트 자동 클램프 하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의해 정의될 뿐이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산볼트 자동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산볼트 자동 클램프는 전산볼트(100)가 상하 관통되는 홀을 가지고, 관통되는 전산볼트 주위에 원뿔형 또는 종형의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부재(200),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관통되는 전산볼트(100)의 둘레를 감싸는 복수의 쐐기형 조각(340)으로 구성되며, 전산볼트(100)와 나사결합하는 나사산(310)이 형성된 내주면을 가지는 쐐기부재(300), 상기 내부 공간으로 하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쐐기부재(300)에 접촉되며, 전산볼트(100)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이동 되도록 형성된 가압부재(400) 및 상기 하우징부재(200) 내부 하부면 상에 위치하여 상기 쐐기부재(300)의 하단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500)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400)의 가압시, 상기 가압부재(400)가 쐐기부재(300)를 하측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하우징부재(200)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쐐기부재(300)가 하측 및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복수의 쐐기형 조각(340)들 사이가 이격되어, 상기 쐐기부재(300)의 내주면과 전산볼트(100)의 나사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가압부재(400)의 가압해제시, 상기 탄성부재(500)의 탄성으로, 상기 하우징부재(200)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쐐기부재(300)가 상측 및 내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복수의 쐐기형 조각(340)들 사이가 근접되어 상기 쐐기부재(300)의 내주면과 전산볼트(100)의 나사결합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산볼트(100)는 육각형의 헤드를 갖는 일반적인 금속제 볼트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전산볼트(100)는 천정에 한쪽 끝단이 매설 고정되는 앵커볼트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산볼트(100)의 외주면에는 나사결합을 위하여 수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쐐기부재(300)의 나사산(310)과 나사결합하여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전산볼트(100)의 수나사선의 형상은 이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는 형상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삼각형 또는 사각형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재(200)는 전산볼트(100)가 상하 관통되는 홀을 가지고, 관통되는 전산볼트 주위에 원뿔형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는 쐐기부재(300), 탄성부재(500) 및 가압부재(400)의 하단부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500)의 하부 지지와, 상기 하우징부재의 하부 마감을 위한 하부면(23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재(200)는, 상기 가압부재(400)에 의한 상기 쐐기부재(300)의 상하이동을 위하여 내주면의 내경이 하단부로 갈수록 증가하는 내주경사면(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재(200)의 상기 내부 공간에 내주경사면(210)이 존재함으로써, 전산볼트(100)주위의 내부 공간은 원뿔형 또는 종형의 형상을 가지게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공간의 형상은 원뿔형일 수 있으나, 상기 가압부재(400)에 의한 쐐기부재(300)의 상하이동이 가능하다면 그 형상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우징부재(200)의 외형에 관하여, 상기 내주경사면(210)이 포함되어 있다면 제한이 없다. 예시로서, 원통형 또는 종형 등이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내주경사면에 대응되는 외주경사면을 포함하는 형태인, 종형이 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산볼트 자동 클램프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하우징부재(200) 하부 측면으로 외주면이 연장되어 돌출되는 연장돌출부(22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돌출부(220)는 상부면에 구멍을 가진 행거(600)가 상기 연장돌출부(220) 위로 끼워져 지지되기 위하여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장돌출부(220)의 돌출된 형상은, 상부면에 구멍을 가진 행거(600)가 지지될 수 있다면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부재(200)의 둘레를 따라 전면적으로 돌출된 형상이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의한 전산볼트 자동 클램프 하부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부재(200)의 연장돌출부(220)에 맞닿는 하부면(23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부면(230)은 상기 탄성부재(500)를 하부에서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부재(200)의 하부 마감을 위하여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부면(230)은 상기 하우징부재(200)와 같이 전산볼트가 상하 관통되는 홀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하부면(230)의 형상은 상기 하우징부재(200)의 외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중심에 홀을 가진 원형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산볼트 자동 클램프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쐐기부재(300)는, 상기 하우징부재(2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관통되는 전산볼트(100)의 둘레를 감싸는 복수의 쐐기형 조각(340)으로 구성되며, 전산볼트와 나사결합하는 나사산(310)이 형성된 내주면을 가진다.
상기 쐐기부재(300)는, 상기 하우징부재(200)의 내주경사면(210)에 대응하여, 상기 쐐기부재(300)의 외주면의 외경이 하단부로 갈수록 증가하는 슬라이딩 경사면(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경사면(320)은 상기 하우징부재(200)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따라 직선 경사면 또는 곡선 경사면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직선 경사면일 수 있다.
상기 쐐기부재(300)의 형상은 상기 하우징부재(200)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위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 복수의 조각으로 구성된 원형, 다각형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원형일 수 있다. 즉, 외주면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원뿔형 또는 종형의 형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원뿔형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쐐기형 조각(340)은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쐐기형 조각의 크기가 다를 수도 있으며, 개수나 크기에 관하여 상기 가압부재(400)와 용이하게 결합하여 전산볼트(100)와의 나사결합을 용이하게 체결 또는 해제할 수 있으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수직축에 대해 직각으로 절단한 단면의 형상이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부 공간의 일부분의 형상과 상응하는 반원형인 2개의 등분조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나사산(310)은 전산볼트(100)의 수나사선과 맞물리는 암나사선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암나사선의 형상은 전산볼트(100)의 수나사선의 형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이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는 형상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가압부재(400)는, 상기 하우징부재(200)의 내부 공간으로 하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쐐기부재에 접촉되며, 전산볼트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이동 되도록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하측방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부재(400)의 상부에 마련된 헤드(420), 상기 하우징부재(200)의 상부 홀로 이탈하지 않고 상기 하우징부재(200)의 내측 상부면에 걸리도록 상기 가압부재(400)의 하부에 마련된 걸림턱(4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400)의 헤드(420)는 작업자가 하측방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상부면에 일정 면적이 필요할 수 있다. 상기 헤드(420)의 상부면의 형상은 하측방으로 가압 가능하다면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400)의 걸림턱(43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부재(200)의 내측 상부면에 걸리도록 상기 가압부재(40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400)의 하단부가 상기 하우징부재(200)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걸림턱(430)이 마련됨으로써, 가압전 또는 가압해제시 상기 가압부재(400)가 상기 하우징부재(200)의 상부 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430)의 형상은 상기 하우징부재(200)의 내측 상부면에 걸릴 수만 있다면 특별한 제한이 없다. 상기 가압부재(400)의 걸림턱(430)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부재(200)의 상부에 걸림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400)의 하단부는 상기 가압부재(400)의 외주면의 외경이 하부로 갈수록 감소하는 진입경사면(410)을 포함하고, 상기 쐐기부재(300)의 상단에는, 상기 가압부재(400)의 진입경사면(410)과 접하도록 상기 쐐기부재(300)의 내측에 대응경사면(33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을 이용하여 가압 및 가압해제시 구성요소간 작용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산볼트 자동 클램프 가압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산볼트 자동 클램프 가압후 단면도이다.
작업자가 전산볼트(100)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산볼트 자동 클램프를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부재(400)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쐐기부재(300)가 하측방으로 가압된다.
상기 가압된 쐐기부재(300)가 상기 원뿔형 또는 종형의 하우징부재(200)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쐐기부재(300)가 하측 및 외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부재(200)의 내주경사면(210)과 상기 쐐기부재(300)의 슬라이딩 경사면(320)이 접한 면을 따라 상기 쐐기부재(300)의 복수의 쐐기형 조각(340)들이 하측 및 외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쐐기형 조각(340)들이 하측 및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복수의 쐐기형 조각(340)들 사이가 이격되어, 상기 쐐기부재(300)의 내주면의 나사산(310)이 포함된 암나사선과 전산볼트(100)의 외주면(110)에 포함된 수나사선과의 나사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나사결합이 해제되면 상기 전산볼트(100)가 상기 하우징부재(200)를 관통하여 자유롭게 상하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 시에 상기 가압부재(400)의 진입경사면(410)과 상기 쐐기부재(300)의 대응경사면(330)이 접한 면과 수평면이 형성하는 제1 예각(350)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부재(200)의 내주경사면(210)과 상기 쐐기부재(300)의 슬라이딩 경사면(320)이 접한 면과 수평면이 형성하는 제2 예각(3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400)의 가압시 드는 필요하중과, 상기 쐐기부재(300)와 전산볼트(100)간의 나사결합 세기를 고려하여 상기 제1 예각(350) 및 제2 예각(360)간의 관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예각(350)이 상기 제2 예각(360) 대비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400)의 가압해제시, 상기 탄성부재(500)의 탄성으로, 상기 원뿔형 또는 종형의 하우징부재(200)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쐐기부재(300)가 상측 및 내측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부재(200)의 내주경사면(210)과 상기 쐐기부재(300)의 슬라이딩 경사면(320)이 접한 면을 따라 상기 쐐기부재(300)의 복수의 쐐기형 조각(340)들이 상측 및 내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쐐기형 조각(340)들이 상측 및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상기 복수의 쐐기형 조각(340)들 사이가 근접되어 상기 쐐기부재(300)의 내주면의 나사산(310)과 전산볼트(100)의 나사결합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나사결합이 체결되면 상기 전산볼트(100)와 상기 전산볼트 자동 클램프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00)는, 상기 하우징부재(200) 내부 하부면(230) 상에 위치하여 상기 쐐기부재(300)의 하단부를 탄성 지지하기 위하여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00)의 상부는 상기 쐐기부재(300)의 하부면에 접하여 마련될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500)의 하부는 상기 하우징부재(200)의 하부면(230)의 상부면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00)는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쐐기부재(300)를 지지할 수 있다면 그 종류에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00)의 개수 및 마련되는 위치에 관하여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산볼트(100)의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상기 외주면과 이격되어 구비된 1개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00)는, 가압해제시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원뿔형 또는 종형의 하우징부재(200)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쐐기부재(300)가 상측 및 내측으로 이동하여 가압 이전의 상태로 원위치하기 위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전산볼트 자동 클램프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하부너트
20 : 상부너트
100 : 전산볼트
110 : 외주면
200 : 하우징부재
210 : 내주경사면
220 : 연장돌출부
230 : 하부면
300 : 쐐기부재
310 : 나사산
320 : 슬라이딩 경사면
330 : 대응경사면
340 : 쐐기형 조각
350 : 제1 예각
360 : 제2 예각
400 : 가압부재
410 : 진입경사면
420 : 헤드
430 : 걸림턱
500 : 탄성부재
600 : 행거

Claims (7)

  1. 전산볼트가 상하 관통되는 홀을 가지고, 관통되는 전산볼트 주위에 원뿔형 또는 종형의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부재;
    상기 내부 공간의 일부분에 위치하고, 관통되는 전산볼트의 둘레를 감싸는 복수의 쐐기형 조각으로 구성되며, 전산볼트와 나사결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내주면을 가지는 쐐기부재;
    상기 내부 공간으로 하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쐐기부재에 접촉되며, 전산볼트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이동 되도록 형성된 가압부재; 및
    상기 하우징부재 내부 하부면 상에 위치하여 상기 쐐기부재의 하단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시,
    상기 가압부재가 쐐기부재를 하측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쐐기부재가 하측 및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복수의 쐐기형 조각들 사이가 이격되어, 상기 쐐기부재의 내주면과 전산볼트의 나사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해제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으로,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쐐기부재가 상측 및 내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복수의 쐐기형 조각들 사이가 근접되어 상기 쐐기부재의 내주면과 전산볼트의 나사결합이 체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볼트 자동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는,
    내주면의 내경이 하단부로 갈수록 증가하는 내주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쐐기부재는,
    외주면의 외경이 하단부로 갈수록 증가하는 슬라이딩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볼트 자동 클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쐐기형 조각은, 수직축에 대해 직각으로 절단한 단면의 형상이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부 공간의 일부분의 형상과 상응하는 반원형인 2개의 등분조각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볼트 자동 클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가압부재의 외주면의 외경이 하부로 갈수록 감소하는 진입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쐐기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가압부재의 진입경사면과 접하도록 상기 쐐기부재의 내측에 대응경사면을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볼트 자동 클램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진입경사면과 상기 쐐기부재의 대응경사면이 접한 면과 수평면이 형성하는 제1 예각은,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주경사면과 상기 쐐기부재의 슬라이딩 경사면이 접한 면과 수평면이 형성하는 제2 예각 대비 작거나 같은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볼트 자동 클램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의 하부 측면으로 돌출된 연장돌출부를 포함하고,
    상부면에 구멍을 가진 행거가
    상기 연장돌출부 위로 끼워져 지지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볼트 자동 클램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전산볼트의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상기 외주면과 이격되어 구비된 1개의 스프링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볼트 자동 클램프.
KR1020190034001A 2019-03-26 2019-03-26 전산볼트 자동 클램프 KR102128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001A KR102128258B1 (ko) 2019-03-26 2019-03-26 전산볼트 자동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001A KR102128258B1 (ko) 2019-03-26 2019-03-26 전산볼트 자동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8258B1 true KR102128258B1 (ko) 2020-06-30

Family

ID=71121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001A KR102128258B1 (ko) 2019-03-26 2019-03-26 전산볼트 자동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2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5689A1 (en) * 2021-06-28 2023-01-05 Gripple Limited Connecting apparatus and suspension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533Y1 (ko) * 1999-10-27 2000-03-15 박자배 배관용 파이프 행거
JP2006226422A (ja) * 2005-02-18 2006-08-31 Kaoru Taneichi ナ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533Y1 (ko) * 1999-10-27 2000-03-15 박자배 배관용 파이프 행거
JP2006226422A (ja) * 2005-02-18 2006-08-31 Kaoru Taneichi ナ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5689A1 (en) * 2021-06-28 2023-01-05 Gripple Limited Connecting apparatus and suspension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5046B1 (ko)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US8201381B2 (en) Concrete deck insert
US8486260B2 (en) Adjustable drain
US20050252135A1 (en) Industrial hanger with rotational restraint
KR20140035100A (ko) 빔 클램프
US20100290859A1 (en) Threaded anchor for concrete metal deck floors
JP2014532129A (ja) パイプ間ブレース組立体
US20160252197A1 (en) Frangible hanger assembly and method
KR101885992B1 (ko) 거푸집 지지용 서포트
KR102128258B1 (ko) 전산볼트 자동 클램프
US11703151B2 (en) Riser support assembly
US11181211B1 (en) Truss, joist and strut channel mounted support system
US20160069480A1 (en) Cord support bracket
KR20170124218A (ko) 건축용 에이치 빔 파이프 행거 고정용 클램프
KR101009277B1 (ko)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US8158882B1 (en) Electrical box hanger
KR101533831B1 (ko) 다기능 빔 클램프
US4793580A (en) Wireway suspension system with braced support leg construction
KR200489729Y1 (ko) 데크플레이트용 인서트기구
KR20200006394A (ko) 전산볼트 체결이 용이한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101062141B1 (ko)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KR101929313B1 (ko) 파이프 지지부재
JP2022544036A (ja) 蛇口アセンブリの取り付け方法
US7806375B1 (en) Retaining key
KR100711588B1 (ko) 낙하물 방지망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