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729Y1 - 데크플레이트용 인서트기구 - Google Patents

데크플레이트용 인서트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729Y1
KR200489729Y1 KR2020170004860U KR20170004860U KR200489729Y1 KR 200489729 Y1 KR200489729 Y1 KR 200489729Y1 KR 2020170004860 U KR2020170004860 U KR 2020170004860U KR 20170004860 U KR20170004860 U KR 20170004860U KR 200489729 Y1 KR200489729 Y1 KR 2004897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deck plate
center rod
stoppe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8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410U (ko
Inventor
조권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등우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등우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등우금속
Publication of KR201700034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4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7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7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1/4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8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with separate or non-separate gripping parts moved into their final position in relation to the body of the device without further manual operation
    • F16B13/0825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with separate or non-separate gripping parts moved into their final position in relation to the body of the device without further manual operation with a locking element, e.g. sleeve, ring or key co-operating with a cammed or eccentrical surface of the dowel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슬래브에 각종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서 콘크리트 타설 전에 데크 플레이트에 장착하는 데크플레이트용 인서트기구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데크플레이트에 마련되어 있는 구멍에 끼워지는 원통부와 원통부의 일단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서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되는 플랜지로 구성되는 패킹; 선단에는 수나사가 마련되며, 후단에는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마련되어 있으며, 중간 부위에는 하방향을 향해 제1걸림턱이 형성되는 센터봉; 상기 센터봉의 수나사에 나사결합하는 연결관; 하면은 상기 패킹의 상면에 접하고 상면은 상기 제1걸림턱에 접하는 고정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용 인서트기구.

Description

데크플레이트용 인서트기구{Apparatus For Insert For Deck Plate}
본 고안은 건물의 시공시 사용되는 철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건물의 슬래브에 각종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서 콘크리트 타설 전에 데크 플레이트에 장착하는 데크플레이트용 인서트기구에 관한 것이다.
공기단축과 비용절감의 효과 때문에 근래 철골구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의 건축물이 널리 시공되고 있다. 복층으로 구성되는 건물에는 슬래브가 필수적으로 설치되며, 슬래브는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고 경화시킴으로써 완성된다. 그리고 실내에 천장을 설치하거나 각종 전선이나 배관을 설치하기 위하여 행거수단이 마련된다. 행거수단은 슬래브에 거꾸로 매달리게끔 설치되는 전산볼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 전산볼트는 슬래브에 매립 설치되는 인서트기구에 나사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설치된다. 각종 철물을 이 전산볼트에 결합시킴으로써 다양한 설비를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인서트 기구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11807호에 개시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인서트기구의 구조가 다소 복잡하게 되어 있으며 설치작업도 용이하지 않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11807호
본 고안의 목적은 철근 콘크리트 건물의 슬래브를 설치함에 사용되는 데크플레이트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데크플레이트용 인서트 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데크플레이트에 마련되어 있는 구멍에 끼워지는 원통부와 원통부의 일단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서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되는 플랜지로 구성되는 패킹; 선단에는 수나사가 마련되며, 후단에는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마련되어 있으며, 중간 부위에는 하방향을 향해 제1걸림턱이 형성되는 센터봉; 상기 센터봉의 수나사에 나사결합하는 연결관; 하면은 상기 패킹의 상면에 접하고 상면은 상기 제1걸림턱에 접하는 고정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용 인서트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결관의 중간에는 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관측홀이 타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패킹에 끼워지는 부분으로서 상기 나사부와 제1걸림턱 사이에는 하방향을 향해 제2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패킹 내주면에는 상기 제2걸림턱에 걸릴 수 있도록 상방향을 향해 형성된 안착턱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패킹의 원통부 내부에는 상기 센터봉과 나사결합하도록 인서트너트가 인서트 성형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스토퍼는 상기 센터봉과 일체로 성형된 원판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의 상면에는 상기 센터봉을 회전시키기 위한 볼트헤드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고정와셔 및 패킹의 플랜지는 일측이 절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스토퍼는 상기 센터봉과 일체로 성형된 원판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데크플레이트용 인서트기구의 설치방식이 종래의 방식에 비해 극히 용이하게 됨으로써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인서트 기구의 구성이 간단해짐으로써 제반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패너 등을 이용하여 스토퍼를 회전시키게 되면 패킹을 압착시킬 수 있음으로써 패킹과 데크플레이트 사이의 틈을 통해 누수되는 현상을 철저히 차단할 수 있어 사용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데크플레이트용 인서트기구의 설치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데크플레이트용 인서트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데크플레이트용 인서트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데크플레이트용 인서트기구의 설치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데크플레이트용 인서트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데크플레이트용 인서트기구의 단면도이며, 도 7은 그의 설치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데크플레이트용 인서트기구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데크플레이트용 인서트기구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기본적으로 참조하되, 필요한 곳에서 다른 도면을 인용하는 형식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데크플레이트(1)는 건물의 슬래브(S)를 구성한다. 데크플레이트(1)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3)이 마련되어 있다. 이 구멍(3)을 이용하여 인서트기구(5)를 설치하는 것이다. 인서트기구(5)는 실내의 천장(7)을 설치하거나 각종 배관을 설치하거나 기타 구조물을 매달 듯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인서트기구(5)에는 통상 전산볼트(9)가 나사결합식으로 결합된다. 이상은 공지의 사항이며, 본 고안은 인서트기구(5)의 구성에 특징이 있다.
패킹(11)이 데크플레이트의 구멍(3)에 면밀하게 끼워진다. 패킹(11)은 고무 또는 우레탄 등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되어 있다. 데크플레이트(1) 위에는 콘크리트 몰탈(C)이 소정 두께로 타설되게 되는데, 패킹(11)은 콘크리트 몰탈(C)을 타설할 때 그에 포함된 물이 새어나오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패킹(11)은 데크플레이트에 마련되어 있는 구멍(3)에 끼워지는 원통부(13)와, 원통부(13)의 일단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서 데크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되는 플랜지(15)로 구성된다. 원통부(13)는 도시된 것처럼 원뿔통 형태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원통부(13)과 플랜지부(15) 사이에는 데크플레이트(1)가 끼워질 수 있도록 플레이트홈(17)이 원주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수밀성의 향상을 위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상기 패킹을 상기 데크플레이트(1)에 끼우는 것만으로도 수밀성을 갖게 된다. 미끄럼방지패킹(43)이 플랜지(15)와 고정와셔(31) 사이에 개입되어 센터봉을 돌리더라도 패킹이 따라 돌아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미끄럼방지패킹(43)은 마찰력을 높이기 위하여 실리콘 소재가 적당하다.
패킹(11)의 원통부(13) 내부에는 인서트너트(12)가 인서트성형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후술되는 수나사(21)와 결합한다.
기다란 센터봉(19)이 패킹 중심에 끼워진다. 센터봉(19)의 선단에는 수나사(21)가 마련되며, 후단에는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23)가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23)는 센터봉(19)과 일체로 성형된 것으로서 원판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스토퍼(23)는 콘크리트 몰탈(C)이 경화된 다음에 센터봉(19)에 강한 하중이 하방향으로 작용하더라도 아래로 빠지지 않도록 저지하기 위한 것이다. 스토퍼(23)는 고정와셔(31)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그 크기 등은 설계하중에 따라 조정될 수 있는 것이다. 스토퍼(23) 상면에는 볼트헤드(45)가 일체형으로 설치된다. 볼트헤드(45)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손 나사의 체결방향, 즉 화살표(M) 방향으로 조이게 되면, 인서트너트(12)가 상승하게 되어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방향으로 부풀면서 데크플레이트(1) 와의 사이에 있는 틈을 줄인다. 이로써 물이 아래로 새는 것이 방지된다.
센터봉(19)의 중간 부위에는 하방향을 향해 제1걸림턱(25)이 형성되어 있다. 제1걸림턱(25)은 센터봉 본체의 직경 차이에 의해 마련된다.
내주면에 암나사(27)가 형성된 연결관(29)이 센터봉의 수나사(21)에 나사결합함으로써 센터봉(19)에 연결된다. 센터봉(19)은 연결관(29)의 1/2 정도만 결합하게 되며 연결관의 나머지 부분에는 전술한 전산볼트(9)가 연결된다. 고정와셔(31)가 패킹(11)과 센터봉(19) 사이에 개입된다. 더 나아가 미끄럼방지패킹(43)이 플랜지(15)와 고정와셔(31) 사이에 개입되어 센터봉을 돌리더라도 패킹이 따라 돌아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미끄럼방지패킹(43)은 마찰력을 높이기 위하여 실리콘 소재가 적당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센터봉(19)을 오른손 나사의 체결방향(즉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패킹(11)이 팽창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나사의 원리에 의한 것이다.
고정와셔(31)의 하면은 패킹(11)의 상면(15a)에 접하고 상면은 제1걸림턱(25)에 접하게 된다. 이에 의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봉(19)을 하방향으로 잡아당기더라도 제1걸림턱(25)이 고정와셔(31)에 걸려있게 되므로 센터봉(19)이 데크플레이트(1) 아래로 빠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연결관(29)을 조이게 되면, 연결관의 상단면(29a)이 패킹의 하단면(13a)을 아래에서 위로 밀어올리게 되므로 패킹은 압착되어 반경방향으로 팽창하게 된다. 그러므로 패킹은 더 강하게 데크플레이트의 구멍(3)에 밀착하게 된다.
한편 연결관(29)의 중간에는 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관측홀(33)이 타공될 수 있다. 관측홀(33)은 연결관(29)을 적절하게 센터봉(19)에 결합했는지, 혹은 전산볼트(9)를 적절하게 연결관(29)에 결합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하고자 마련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패킹(11)에 끼워지는 부분으로서 수나사(21)와 제1걸림턱(25) 사이에는 하방향을 향해 제2걸림턱(35)이 형성된다. 이 역시 센터봉 본체의 직경 변화에 의해 마련된다. 그리고 패킹(11) 내주면에는 제2걸림턱(35)에 걸릴 수 있도록 상방향을 향해 안착턱(36)이 형성된다. 제2걸림턱(35)과 안착턱(36)은 기밀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도 9 참조).
이하,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와셔(31) 및 패킹의 플랜지(15)는 일측 가장자리가 상현달 형태로 절단되어 있을 수 있다. 즉 고정와셔(31)와 플랜지(15)에 절단면(37,39)이 더 마련되는 것이다. 미끄럼방지패킹(43)도 마찬가지의 절단면(47)을 갖게 될 것이다. 절단에 의해 생기게 된 공간은 데크플레이트(1)의 상면을 지나는 철근(41) 등의 장애물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다. 알려지지 않은 장애물(예를 들어 버(burr))에 의해 센터봉(19)이 기울게 설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데크플레이트용 인서트기구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패킹(11)에 인서트너트(12)가 생략되어 있으며, 스토퍼에 볼트헤드(45)가 생략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본 발명의 목적은 달성될 수 있다.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1 : 데크플레이트 5 : 인서트기구
9 : 전산볼트 11 : 패킹
12 : 인서트너트 15 : 플랜지
17 : 플레이트홈 19 : 센터봉
23 : 스토퍼(stoper) 25,35 : 제1,2걸림턱
29 : 연결관 33 : 관측홀
36 : 안착턱 41 : 철근
43 : 미끄럼방지패킹 45 : 볼트헤드
S : 슬래브 C : 콘크리트 몰탈

Claims (3)

  1. 데크플레이트(1)에 마련되어 있는 구멍(3)에 끼워지는 원통부(13)와 원통부(13)의 일단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서 상기 데크플레이트(1)의 상면에 안착되는 플랜지(15)로 구성되는 패킹(11);
    선단에는 수나사가 마련되며, 후단에는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23)가 마련되어 있으며, 중간 부위에는 하방향을 향해 제1걸림턱(25)이 형성되는 센터봉(19);
    상기 센터봉(19)의 수나사에 나사결합하는 연결관(29);
    하면은 상기 패킹(11)의 상면에 접하고 상면은 상기 제1걸림턱(25)에 접하는 고정와셔(31);
    상기 센터봉(19)을 돌리더라도 상기 패킹이 함께 돌아가지 않도록 플랜지(15)와 고정와셔(31) 사이에 개입되는 실리콘 재질의 미끄럼방지패킹(43);
    수밀성의 향상을 위해 상기 패킹의 원통부(13)과 플랜지부(15) 사이에 원주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데크플레이트(1)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플레이트홈(17);을 포함함으로써;
    수밀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센터봉(19)을 오른손나사의 체결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패킹(11)을 반경방향으로 확장시켜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구멍(3)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용 인서트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11)에 끼워지는 부분으로서 상기 나사부와 제1걸림턱(25) 사이에는 하방향을 향해 제2걸림턱(35)이 형성되며;
    상기 패킹 내주면에는 상기 제2걸림턱(35)에 걸릴 수 있도록 상방향을 향해 형성된 안착턱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용 인서트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23)는 상기 센터봉(19)과 일체로 성형된 원판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23)의 상면에는 상기 센터봉(19)을 회전시키기 위한 볼트헤드(45)가 일체형으로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용 인서트기구.
KR2020170004860U 2016-02-01 2017-09-14 데크플레이트용 인서트기구 KR20048972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00578 2016-02-01
KR2020160000578 2016-02-0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413U Division KR20170002841U (ko) 2016-02-01 2016-03-16 데크플레이트용 인서트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410U KR20170003410U (ko) 2017-10-11
KR200489729Y1 true KR200489729Y1 (ko) 2019-07-29

Family

ID=604079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413U KR20170002841U (ko) 2016-02-01 2016-03-16 데크플레이트용 인서트기구
KR2020170004860U KR200489729Y1 (ko) 2016-02-01 2017-09-14 데크플레이트용 인서트기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413U KR20170002841U (ko) 2016-02-01 2016-03-16 데크플레이트용 인서트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7000284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955Y1 (ko) * 2019-02-11 2019-09-02 주식회사 등우금속 슬라브용 전산볼트 설치기구
KR102464451B1 (ko) 2022-05-12 2022-11-09 이정희 데크 플레이트용 인서트볼트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836Y1 (ko) * 2006-02-14 2006-05-10 조정권 데크 플레이트용 인서트 구조
KR200418407Y1 (ko) * 2006-03-15 2006-06-13 여태헌 데크 플레이트용 인서트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6681B2 (ja) * 1996-05-30 2005-10-12 株式会社アカギ デッキインサート
KR20040011807A (ko) 2002-07-30 2004-02-11 이윤상 환자용 침대
KR200411807Y1 (ko) 2005-12-23 2006-03-17 여태헌 데크 플레이트용 인서트 구조
KR20110108113A (ko) * 2010-03-26 2011-10-05 오정순 건축용 인서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836Y1 (ko) * 2006-02-14 2006-05-10 조정권 데크 플레이트용 인서트 구조
KR200418407Y1 (ko) * 2006-03-15 2006-06-13 여태헌 데크 플레이트용 인서트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841U (ko) 2017-08-09
KR20170003410U (ko) 201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5222A (en) Ratchet type closet flange
US8201381B2 (en) Concrete deck insert
US9556603B2 (en) Modular waxless seal
KR200489729Y1 (ko) 데크플레이트용 인서트기구
US20130099068A1 (en) Pipe hanger assembly
US20210324633A1 (en) Combined anchor and fastener assembly especially intended for concrete structures and method employing same
KR101036505B1 (ko) 슬래브용 슬리브 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 슬리브의 매설 시공법
US20160017594A1 (en) Anti-torsion anchor bolt
JP5608341B2 (ja) インサート
JP2008127897A (ja) 型枠保持具及びこの型枠保持具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並びにこの構築方法により構築されるコンクリート構造物
KR20170011274A (ko) 비계베이스
KR200489955Y1 (ko) 슬라브용 전산볼트 설치기구
KR200471167Y1 (ko) 관통슬리브 시공을 위한 클램프 구조체
JP7001335B2 (ja) 単管パイプの取り付け方法及び該方法に用いる締付具
US10384085B1 (en) Concrete anchor poin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US9631761B1 (en) Toilet drain line cap
KR200426202Y1 (ko) 거푸집 고정구
KR102128258B1 (ko) 전산볼트 자동 클램프
KR101062141B1 (ko)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KR20160045470A (ko) 파이프 행거 지지용 슬래브 인서트 앵커너트 및 그 제작방법
AU2007272244B2 (en) Anchor for casting into concrete
KR200419724Y1 (ko) 인서트
KR200436104Y1 (ko) 거푸집의 인서트 고정구
US20030037368A1 (en) Self-locking commode apparatus
US9938708B1 (en) Apparatus for securing a toilet to a fl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