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2141B1 -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141B1
KR101062141B1 KR1020110002972A KR20110002972A KR101062141B1 KR 101062141 B1 KR101062141 B1 KR 101062141B1 KR 1020110002972 A KR1020110002972 A KR 1020110002972A KR 20110002972 A KR20110002972 A KR 20110002972A KR 101062141 B1 KR101062141 B1 KR 101062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head unit
sprinkler head
fitting portion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2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호
정호진
Original Assignee
승진산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승진산업 (주) filed Critical 승진산업 (주)
Priority to KR1020110002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1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 설비의 주배관에 연결된 플렉시블관 및 레듀샤 및 헤드로 구성된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를 천장에 간결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화용수가 공급되는 주배관으로부터 분기된 플렉시블관(200)의 하단에 결합된 레듀샤(3)를 고정시키도록 천장텍스(100)의 홀(120)에 결합되는 것으로, 천장텍스(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고정구(1)와, 천장텍스(100)의 하부로부터 결합되는 제2고정구(2)로 구성되며, 상기 제1고정구(1)에 기밀부재(5)가 개재되어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고, 상기 기밀부재(5)가 공기중에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충진재(7)가 충진됨으로써 수명을 연장시키고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Description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FOR SPRINKLER HEAD UNIT}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클러 설비의 주배관에 연결된 플렉시블관, 레듀샤 및 헤드로 구성된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를 천장에 간결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설비는, 실내의 천장텍스에 설치된 스프링클러 헤드에서 화재에 따라 자동적으로 퓨즈가 끊어져 물이 분출되어 샤워모양으로 쏟아지고 소화를 행함과 동시에 화재의 발생을 알리는 자동소화설비이다.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에 관한 선행기술 1에 대해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은 종래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의 선행기술 1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A')는 소화용수가 공급되는 주배관으로부터 분기된 플렉시블관(600')의 하단에 레듀샤(500')가 결합되며, 상기 레듀샤(500')의 하단에 헤드(100')가 결합되는데, 상기 레듀샤(500')는 그 끝단이 천장텍스(10')의 홀(102')에 끼워진다.
한편 레듀샤(500')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홀(102')에는 고정장치이 장착된다.
상기 고정장치는 레듀샤(500')에 끼워지며 천장텍스(10')의 상부로부터 결합되는 제1고정구(1')와, 천장텍스(10')의 하부로부터 결합되는 제2고정구(2')로 구성된다.
제1고정구(1')는 레듀샤(500')가 끼워지는 원통형의 제1끼움부(12')와, 상기 제1끼움부(12')의 상단에 형성된 제1환형고정판(13')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환형고정판(13')에는 다수의 볼트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끼움부(12')의 내주면에는 나사산 및 경사면(15')이 형성된다.
제2고정구(2')는 레듀샤(500')가 끼워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다수의 절개홈이 형성된 원통형의 제2끼움부(22')와, 상기 제2끼움부(22')의 하단에 형성된 제2환형고정판(24')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끼움부(22')가 제1끼움부(12')의 내측으로 나사결합되면 상기 절개홈에 의해 형성된 절개부가 상기 경사면(15')을 타고 내측으로 오므려지면서 레듀샤(50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력이 발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제1고정구(1')를 천장텍스(10')에 나사결합시키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이에 소요되는 장비가 더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레듀샤(500')의 고정력이 불확실하여 강한 흔들림이나 잦은 흔들림에 의해 고정상태가 헐거워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0-0032487호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선행기술 2)를 출원한 바 있다.
도 2 및 도 3은 상기 선행기술 2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기술 2의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는, 소화용수가 공급되는 주배관으로부터 분기된 플렉시블관(200)의 하단에 결합된 레듀샤(3)를 고정시키도록 천장텍스(100)의 홀(120)에 결합되는 고정장치에 있어서, 천장텍스(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제1마찰수단(11)이 부착된 제1고정구(1)와, 천장텍스(100)의 하부로부터 결합되며 제2마찰수단(23)이 부착된 제2고정구(2)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구(1)의 제1마찰수단(11)이 천장텍스(100)의 상면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구(2)의 제2마찰수단(23)이 천장텍스(100)의 하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한 것이며, 상기 제1고정구(1)는 상기 레듀샤(3)가 끼워지도록 내주면에 나사산(14)이 형성된 통로(10)를 갖는 제1끼움부(12)와, 상기 제1끼움부(12)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마찰수단(11)이 장착된 제1환형고정판(1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고정구(2)는 상기 레듀샤(3)가 끼워지는 통로(20)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부(26)가 형성된 제2끼움부(22)와, 상기 제2끼움부(22)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2마찰수단(23)이 장착된 제2환형고정판(24)을 포함한다.
상기 레듀샤(3)는 중공을 가지며 양단부가 개구된 원통형이며, 양단의 개구부의 직경이 상이하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1끼움부(12)의 통로(10)에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32)이 형성된다.
상기 선행기술을 시험해본 결과 레듀샤와 제1고정구 간의 결합력을 보강하고, 기밀성을 향상시킬 필요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의 선행 특허인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0-0032487호에 대한 개량 발명으로서, 레듀샤의 결합부위에 기밀성능을 갖도록 밀폐부재를 장착시키고, 상기 밀폐부재의 경화를 막도록 충진재를 충진하여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화용수가 공급되는 주배관으로부터 분기된 플렉시블관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레듀샤; 상기 레듀샤의 나사산이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통로를 갖는 제1끼움부와, 상기 제1끼움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제1마찰수단이 장착된 제1환형고정판으로 구성된 제1고정구; 상기 레듀샤가 끼워지는 통로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제2끼움부와, 상기 제2끼움부의 하단에 형성되며 제2마찰수단이 장착된 제2환형고정판으로 구성된 제2고정구; 상기 레듀샤의 나사산에 결합되는 기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환형고정판의 상부에 환턱이 형성되어 내부에 충진홈이 형성되고, 상기 충진홈에 충진재가 충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기밀부재는 원형으로 된 오링이며,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밀부재에 의해 레듀샤가 제1고정구와 밀폐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충진재에 의해 기밀부재의 경화를 방지하여 수명이 길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의 선행기술 1을 나타낸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상기 선행기술 2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의 사용 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의 사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A)는, 소화용수가 공급되는 주배관으로부터 분기된 플렉시블관(200)의 하단에 결합된 레듀샤(3)를 고정시키도록 천장텍스(100)의 홀(120)에 결합되는 것으로, 천장텍스(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고정구(1)와, 천장텍스(100)의 하부로부터 결합되는 제2고정구(2)로 구성된다.
상기 제1고정구(1)에는 천장텍스(100)의 상면에 밀착되는 제1마찰수단(11)이 장착되고, 제2고정구(2)에는 천장텍스(100)의 하면에 밀착되는 제2마찰수단(23)이 장착된다.
상기 제1고정구(1)가 상기 홀(120)의 상부로부터 끼워 결합시켜 제1마찰수단(11)이 천장텍스(100)의 상면에 밀착 고정되고, 제2고정구(2)는 상기 홀(120)의 하부로부터 끼워져 상기 제1고정구(1)의 하부 내측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됨으로써 제2마찰수단(23)이 천장텍스(100)의 하면에 밀착 고정된다.
상기 제1고정구(1)는 상기 레듀샤(3)가 끼워지도록 관통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부(14)가 형성된 통로(10)를 갖는 원통형의 제1끼움부(12)와, 상기 제1끼움부(12)의 상단에 형성된 원형의 제1환형고정판(13)과, 상기 제1환형고정판(13)의 상부에 일정 높이로 된 형성된 환턱(14)을 포함하며, 내부에 충진홈(15)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충진홈(15)에 충진재(7)가 충진되며, 충진재(7)로는 구리스 또는 실리콘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사부(14)는 제1끼움부(12)의 통로(10)의 내주면 상부에 형성되어 레듀샤(3)가 결합되는 제1나사산(141)과, 내주면의 하부에 형성되어 제2고정구(2)가 결합되는 제2나사산(14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나사산(142)이 형성된 부위는 제1나나산(141)이 형성된 부위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환형고정판(13)의 하면에 상기 제1마찰수단(11)이 부착된다.
제1마찰수단(11)은 마찰력을 갖는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오링이 바람직하나 이외에도 다른 형태를 취한 마찰재가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레듀샤(3)는 중공을 가지며 양단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파이프로써 양단의 개구부의 직경이 상이하게 형성된다. 즉 하단의 개구부의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제1끼움부(12)의 통로(10)에 삽입된다.
그리고 레듀샤(3)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끼움부(12)의 통로(10)에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32)이 형성되고, 이 나사산(32)에 기밀부재(5)가 결합되며, 상기 기밀부재(5)는 나사산(32)의 상단에 위치된다.
상기 기밀부재(5)는 원형으로 된 오링이며, 탄성 및 내열성, 내부식성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고정구(2)는 레듀샤(3)가 끼워지는 통로(20)를 갖는 원통형의 제2끼움부(22)와, 상기 제2끼움부(22)의 하단에 형성된 제2환형고정판(24)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끼움부(22)의 외주면에 나사부(26)가 형성되어 제1고정구(1)의 제1끼움부(12)의 내측으로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환형고정판(24)의 상면에 제2마찰수단(23)이 부착된다. 상기 제2마찰수단(23)은 마찰력을 갖는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오링이 바람직다.
또한 제2끼움부(22)의 하단과 제2환형고정판(24)이 연결되는 부분에 환형의 단턱(25)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25)은 제1끼움부(12)의 하단에 밀착된다.
이하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소화용수가 공급되는 주배관(미도시)으로부터 분기된 플렉시블관(200)의 하단에 레듀샤(3)를 결합한다.
이후 레듀샤(3)의 하부로부터 제1고정구(1)를 끼운 후 나사산(32)와 제1나사산(141)을 상호 나사결합시킨다.
따라서 레듀샤(3)에 결합된 기밀부재(5)에 의해 기밀성을 갖게 되어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제1고정구(1)의 충진홈(15)에 구리스 또는 실리콘과 같은 충진재(7)를 주입하여 충진시킨다.
따라서 충진재(7)에 의해 기밀부재(5)가 공기 중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산성 또는 알칼리성 환경에서도 충진재(7)의 경화 및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제1고정구(1)를 압입시켜 제1마찰수단(11) 및 제1환형고정판(13)이 천장텍스(10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후 제2고정구(2)를 홀(120) 및 레듀샤(3)의 하부로부터 나사 결합시킨다.
즉, 제2끼움부(22)가 제1고정구(1)의 제1끼움부(12)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나사결합되고, 제2마찰수단(23)이 천장텍스(100)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2고정구(2)를 조이면 조일수록 제1고정구(1)가 하강하게 되고, 더욱 강한 힘으로 천장텍스(100)의 상면에 밀착되므로 헛돌지 않게 되며, 상대적으로 제2고정구(2)와의 간격이 좁아짐으로써 견고하게 천장텍스(100)의 상,하면에 제1 및 제2고정구(1,2)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고정구(1,2)의 결합방식에 의해 제1고정구(1)를 고정시키기 위한 선행작업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 제1고정구 2 ; 제2고정구
3 : 레듀샤 5 : 기밀부재
7 : 충진재 11 : 제1마찰수단
12 : 제1끼움부 13 : 제1환형고정판
14 : 환턱 15 : 충진홈
22 : 제2끼움부 23 : 제2마찰수단
24 : 제2환형고정판 25 : 단턱

Claims (3)

  1. 소화용수가 공급되는 주배관으로부터 분기된 플렉시블관(200)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산(32)이 형성된 레듀샤(3);
    상기 레듀샤(3)의 나사산(32)이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14)이 형성된 통로(10)를 갖는 제1끼움부(12)와, 상기 제1끼움부(12)의 상단에 형성되며 제1마찰수단(11)이 장착된 제1환형고정판(13)으로 구성된 제1고정구(1);
    상기 레듀샤(3)가 끼워지는 통로(20)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부(26)가 형성된 제2끼움부(22)와, 상기 제2끼움부(22)의 하단에 형성되며 제2마찰수단(23)이 장착된 제2환형고정판(24)으로 구성된 제2고정구(2)를 포함하고,
    상기 레듀샤(3)의 나사산(32)에 기밀부재(5)가 결합되며,
    상기 제1환형고정판(13)의 상부에 환턱(14)이 형성되어 내부에 충진홈(15)이 형성되고,
    상기 충진홈(15)에 충진재(7)가 충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재(5)는 원형으로 된 오링이며,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찰수단(11) 및 제2마찰수단(23)은 마찰력을 갖는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오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KR1020110002972A 2011-01-12 2011-01-12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KR101062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972A KR101062141B1 (ko) 2011-01-12 2011-01-12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972A KR101062141B1 (ko) 2011-01-12 2011-01-12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2141B1 true KR101062141B1 (ko) 2011-09-05

Family

ID=44956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972A KR101062141B1 (ko) 2011-01-12 2011-01-12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21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240B1 (ko) * 2016-02-19 2017-02-09 임영순 클린룸의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KR101725009B1 (ko) * 2016-06-24 2017-04-10 (주)여는 수방식 스프링클러
KR20180001431A (ko) * 2016-06-24 2018-01-04 (주)여는 수방식 스프링클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046B1 (ko) * 2005-08-05 2007-04-10 넥스트론시스템즈(주)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KR101009277B1 (ko) * 2010-04-09 2011-01-18 승진산업 (주)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046B1 (ko) * 2005-08-05 2007-04-10 넥스트론시스템즈(주)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KR101009277B1 (ko) * 2010-04-09 2011-01-18 승진산업 (주)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240B1 (ko) * 2016-02-19 2017-02-09 임영순 클린룸의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KR101725009B1 (ko) * 2016-06-24 2017-04-10 (주)여는 수방식 스프링클러
KR20180001431A (ko) * 2016-06-24 2018-01-04 (주)여는 수방식 스프링클러
KR102345988B1 (ko) * 2016-06-24 2021-12-31 (주) 여는 수방식 스프링클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35421A1 (en) Modular waxless seal
KR101062141B1 (ko)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KR101009277B1 (ko)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US7665940B2 (en) Fastener assembly
BRPI0504596B1 (pt) disposição para a fixação de uma peça de material sintético em uma peça suporte
JP4062740B2 (ja) 水栓の取付装置
KR200489729Y1 (ko) 데크플레이트용 인서트기구
KR101994299B1 (ko) 스프링클러헤드의 연결장치
US20170043195A1 (en) Fire sprinkler water terminator
JP6151682B2 (ja) 固定装置
KR20170124072A (ko) 에어컨용 냉매 배관 이음장치
KR20140000051U (ko) 관통슬리브 시공을 위한 클램프 구조체
KR20200006394A (ko) 전산볼트 체결이 용이한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20150135887A (ko) 패스너
KR102128258B1 (ko) 전산볼트 자동 클램프
KR200427948Y1 (ko) 조명등 현수간
KR102277990B1 (ko) 전선 가이드장치
KR101171949B1 (ko) 소화용 스프링쿨러
KR101825694B1 (ko) 볼트 풀림 방지장치
CN219299730U (zh) 一种固定空调外机的螺栓螺母组件
KR102520689B1 (ko) 탄발결착구장전봉형 홀쏘장치
KR100988276B1 (ko) 스프링클러 설비의 체결용 유니트
JP7455395B2 (ja) 器具取付具および器具の取付方法
KR102609094B1 (ko) 가요전선관 연결용 커넥터 겸용 부싱
KR200369350Y1 (ko) 스프링쿨러헤드의 장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