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350Y1 - 스프링쿨러헤드의 장착 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쿨러헤드의 장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350Y1
KR200369350Y1 KR20-2004-0026651U KR20040026651U KR200369350Y1 KR 200369350 Y1 KR200369350 Y1 KR 200369350Y1 KR 20040026651 U KR20040026651 U KR 20040026651U KR 200369350 Y1 KR200369350 Y1 KR 2003693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kler head
left screw
coupling member
sprinkler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66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일
Original Assignee
오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일 filed Critical 오승일
Priority to KR20-2004-00266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93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3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3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측 결합부재의 외경에 왼나사부를 형성하고 이 왼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스프링쿨러헤드를 결합부재에 나사결합할때 마감재에 고정되어 결합부재를 잡아주도록 한 장착부재가 구비된 스프링쿨러헤드의 장착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천장 내부의 사각 프레임 구조물이 없는 천장에도 스프링쿨러헤드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원통형 돌출부의 중앙에 왼나사 결합공이 형성되고 테두리부에는 하부로 돌출된 고정돌편이 다수 형성된 장착부재; 상기 왼나사 결합공이 나사결합 되는 왼나사부가 외경에 형성되고 내경에는 스프링쿨러헤드가 결합되는 오른 나사공이 형성되어 스프링쿨러용 주름관에 연결된 결합부재;로 이루어진 스프링쿨러헤드의 장착 장치에 의하여 달성되어진다.

Description

스프링쿨러헤드의 장착 장치{omitted}
본 고안은 스프링쿨러헤드의 장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장 내부의 사각 프레임 구조물과 스프링쿨러 배관의 결합부재를 결합하는 브라켓트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장착 수단을 제공하여 윗층 바닥과 마감재 사이의 높이가 브라켓트를 설치할 수 없을 만큼 낮거나 사각 프레임 구조물이 없는 위치에도 스프링쿨러헤드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쿨러헤드가 나사 결합되는 결합부재는 천장 내부에서 각종 배선을 취부하기 위하여 설치된 사각 프레임 구조물에 브라케트로 결합된다.
도 1은 종래 스프링쿨러가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써 이것은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 내부에 설치된 사각 프레임 구조물(a); 상기 사각 프레임 구조물(a)이 개구부(b)를 통해 삽입부(c)에 끼워지게 결합되는 브라케트(d); 상기 브라케트(d)에 끼워져 나비볼트(e)로 결합되어 한쪽은 소화용수 배관(f)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스프링쿨러헤드(g)가 나사 결합되는 결합부재(h);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같이 된 종래의 스프링쿨러헤드 장착구조는 천장 내부에 브라케트(d)가 설치되는 사각 프레임 구조물(a)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스프링쿨러헤드(g)의 위치가 제한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건물의 층간 높이가 낮아지는 추세로 인해 마감재와 윗층 바닥 사이의 높이가 사각 프레임 구조물(a)을 설치할 수 없을 정도로 낮은 건물의 경우에는 스프링쿨러헤드를 설치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스프링쿨러헤드 장착 수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관측 결합부재의 외경에 왼나사부를 형성하고 이 왼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스프링쿨러헤드를 결합부재에 나사결합할때 마감재에 고정되어 결합부재를 잡아주도록 한 장착부재가 구비된 스프링쿨러헤드의 장착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천장 내부의 사각 프레임 구조물이 없는 천장에도 스프링쿨러헤드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원통형 돌출부의 중앙에 왼나사 결합공이 형성되고 테두리부에는 하부로 돌출된 고정돌편이 다수 형성된 장착부재; 상기 왼나사 결합공이 나사결합 되는 왼나사부가 외경에 형성되고 내경에는 스프링쿨러헤드가 결합되는 오른 나사공이 형성되어 스프링쿨러용 주름관에 연결된 결합부재;로 이루어진 스프링쿨러헤드의 장착 장치에 의하여 달성되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스프링쿨러헤드 장착구조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스프링쿨러헤드 장착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스프링쿨러헤드 장착구조를 보인 설치상태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스프링쿨러헤드가 설치되는 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장착부재 11 : 원통형 돌출부
12 : 왼나사 결합공 13 : 테두리부
14 : 고정돌편 20 : 결합부재
21 : 왼나사부 22 : 오른 나사공
30 : 스프링쿨러헤드 40 : 스프링쿨러헤드 주름관
50 : 마감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돌출부(11)의 중앙에 왼나사 결합공(12)이 형성되고 테두리부(13)에는 하부로 돌출된 고정돌편(14)이 다수 형성된 장착부재(10); 상기 왼나사 결합공(12)이 나사결합 되는 왼나사부(21)가 외경에 형성되고 내경에는 스프링쿨러헤드(30)가 결합되는 오른 나사공(22)이 형성되어 스프링쿨러용 주름관(40)에 연결된 결합부재(20);로 이루어진 스프링쿨러헤드의 장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원통형 돌출부(11)의 중앙에는 장착부재(10) 자체에 형성할 수도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구멍 한쪽에 성형부(120)를 갖도록 하여 구멍의 테두리가 왼나사 형태가 되도록 성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천장 내부에 배관된 스프링쿨러용 주름관(40)의 끝에 연결되어 마감재(50)가 시공된후 내경의 오른 나사공(22)에 스프링쿨러헤드(30)가 나사 결합되는 결합부재(20)의 외경을 왼나사부(21)로 형성한 것은 스프링쿨러헤드(30)를 오른 나사공(22)에 결합할 때 장착부재(10)가 결합부재(2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에서 스프링쿨러헤드(30)를 설치하기 위한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굴곡이 자유로운 스프링쿨러 주름관(40)을 결합부재(20)의 끝이 스프링쿨러헤드(30)가 설치되는 위치에 놓이도록 배관하고 결합부재(20) 외경의 왼나사부(21)에 원통형 돌출부(11)의 중앙에 왼나사 결합공(12)을 나사결합하여 장착부재(10)를 결합부재(20)에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마감재(50)를 설치하는 천장 시공 작업을 시행한후 마감재(50)의 통공(51)을 통해 스프링쿨러헤드(30)를 결합부재(20)의 오른 나사공(22)에 나사 결합하면 결합과정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재(10)의 테두리부(13)에 형성된 고정돌편(14)이 마감재(50)를 파고 들어가 스프링쿨러용 주름관(40)을 고정시켜줌으로써 스프링쿨러헤드(30)의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즉 본 고안에서는 마감재(50)를 설치하기 전에 스프링쿨러용 주름관(40)을 천장 내부의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작업대신 장착부재(10)를 결합부재(20)에 나사결합하는 보다 단순한 작업에 의해 스프링쿨러헤드를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스프링쿨러 배관측 주름관에 연결된 결합부재의 외경에 왼나사부를 형성하고 이 왼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스프링쿨러헤드를 결합부재에 나사결합할때 마감재에 고정되어 결합부재를 잡아주도록 한 장착부재가 구비된 스프링쿨러헤드의 장착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천장 내부의 사각 프레임 구조물이 없는 천장에도 스프링쿨러헤드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등의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

  1. 원통형 돌출부(11)의 중앙에 왼나사 결합공(12)이 형성되고 테두리부(13)에는 하부의 돌출된 고정돌편(14)이 다수 형성된 장착부재(10); 상기 왼나사 결합공(12)이 나사결합 되는 왼나사부(21)가 외경에 형성되고 내경에는 스프링쿨러헤드(30)가 결합되는 오른 나사공(22)이 형성되어 스프링쿨러용 주름관(40)에 연결된 결합부재(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쿨러헤드의 장착 장치.
KR20-2004-0026651U 2004-09-16 2004-09-16 스프링쿨러헤드의 장착 장치 KR2003693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651U KR200369350Y1 (ko) 2004-09-16 2004-09-16 스프링쿨러헤드의 장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651U KR200369350Y1 (ko) 2004-09-16 2004-09-16 스프링쿨러헤드의 장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350Y1 true KR200369350Y1 (ko) 2004-12-04

Family

ID=49442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651U KR200369350Y1 (ko) 2004-09-16 2004-09-16 스프링쿨러헤드의 장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935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596B1 (ko) * 2010-12-06 2011-07-19 주식회사 기림 비상구 유도표시부가 구비된 스프링쿨러
KR101859665B1 (ko) * 2017-11-30 2018-05-18 주식회사 진일기술단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 진압을 위한 소방장치
KR102264616B1 (ko) * 2020-11-09 2021-06-16 대한민국 급경사지 붕괴모의 실험의 지하수위 재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596B1 (ko) * 2010-12-06 2011-07-19 주식회사 기림 비상구 유도표시부가 구비된 스프링쿨러
KR101859665B1 (ko) * 2017-11-30 2018-05-18 주식회사 진일기술단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 진압을 위한 소방장치
KR102264616B1 (ko) * 2020-11-09 2021-06-16 대한민국 급경사지 붕괴모의 실험의 지하수위 재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83852A1 (en) Snap clamp for mounting sprinkler
KR20060094886A (ko) 스프링쿨러의 장착구조
KR101705240B1 (ko) 클린룸의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KR100900729B1 (ko) 천장배관용 파이프 행거
KR200410594Y1 (ko) 소화배관용 높이조절장치
KR200369350Y1 (ko) 스프링쿨러헤드의 장착 장치
KR101695436B1 (ko) 스프링클러 연결구
KR101994299B1 (ko) 스프링클러헤드의 연결장치
KR200329043Y1 (ko) 스프링클러헤드 고정 구조
KR101060478B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 고정장치
KR100822946B1 (ko)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KR20070059890A (ko) 소화배관용 높이조절장치
KR20100002106U (ko) 스프링쿨러헤드의 장착장치
KR200360803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케트
JP3212851U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配管の取付装置
JP4498621B2 (ja) 水栓蛇口
KR200274207Y1 (ko) 소화용 스프링쿨러의 레듀샤 고정구조
KR200281931Y1 (ko)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KR100787232B1 (ko) 광학 프로젝터 설치용 벽걸이 장치
KR200471011Y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
KR200300646Y1 (ko)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JP2016042950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配管の取付装置
JP4966259B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取付具
JP2006275074A (ja) 配管固定具
JP2005248488A (ja) シャワ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