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46Y1 -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46Y1
KR200300646Y1 KR20-2002-0027937U KR20020027937U KR200300646Y1 KR 200300646 Y1 KR200300646 Y1 KR 200300646Y1 KR 20020027937 U KR20020027937 U KR 20020027937U KR 200300646 Y1 KR200300646 Y1 KR 2003006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fitting
moving
ho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9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일
Original Assignee
오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일 filed Critical 오승일
Priority to KR20-2002-00279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6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F16L3/0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and pressing it against a wall or other sup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1T- or cross-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측 중앙 영역에 제 1끼움부가 형성된 제 1끼움편; 상기 제 1끼움편과 대응되게 내측 중앙 영역에 제 2끼움부가 형성되어 결합부재가 삽입되고, 일측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측은 체결부재로써 체결되어 상기 결합부재를 고정시키는 제 2끼움편과, 상기 제 2끼움편 상면에 입설되고, 일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수직편으로 이루어진 고정부재; 상기 수직편의 가이드홈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편과, 상기 이동편과 수직으로 형성되고, 수평장공이 형성된 수평편으로 이루어지며, 고정수단으로써 천정에 매달려 고정된 이동부재; 및 상기 수직편과 상기 이동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스프링쿨러 헤드가 고정되는 결합부재를 고정브라켓과 고정수단으로써 천정에 매달이 고정시키게 됨으로써 높이조절 및 좌우이동을 할 수 있어 위치 설정이 용이하여 좁은 공간에서 조립성이 우수하게 되었으며, 또한 완료된 다음에도 재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FIXING BRACKET FOR SPRINGKLER HEAD}
본 고안은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프링쿨러 헤드가 고정되는 결합부재를 브라켓과 고정수단으로써 천정에 매달이 고정시키게 됨으로써 스프링쿨러 헤드의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브라켓의 구조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게 됨으로써 스프링쿨러 헤드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위치 설정이 용이하게 되어 조립성이 우수하게 되었으며, 또한 조립이 완료된 다음에도 재작업이 용이한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쿨러 헤드가 삽입 고정되는 결합부재는 천정 내부에서 각종배선을 취부하기 위하여 설치된 다수의 사각 지지프레임 외경에 삽입 고정되는 브라켓으로써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브라켓은 상기한 사각 지지프레임 외경에 삽입 고정되고, 내부에는 스프링쿨러 헤드가 삽입 고정되는 결합부재가 삽입 고정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쿨러를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스프링쿨러가 설치되는 상태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쿨러용 주름관(200)은 자체가 플렉시블하게 이루어져 그 일측은 주배관(100)의 티형 연결구(101)에 체결 고정되고, 타측은 스프링쿨러 헤드(300)가 삽입 고정되는 결합부재(400)에 체결 고정된다.
상기 결합부재(40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원통형으로 제작되어 그 일측 내경에는 주름관(200)의 타측이 미도시된 체결수단으로써 체결 고정되고, 타측 내경에는 스프링쿨러 헤드(300)가 체결 고정된다.
그리고, 결합부재(400)는 자체 탄성력이 구비된 브라켓(500)으로써 천정 프레임(120)에 고정되어 내부에 각종 배선이 내장되는 사각지지 프레임(130)으로써 고정된다.
상기 브라켓(500)은 박판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측 영역에 사각지지 프레임(130)의 외경이 삽입되는 삽입공(510)이 대응되게 형성되며, 타측 영역에는 대응되게 나사공(520)이 형성된 한쌍의 고정편(530)(531)과, 고정편(530)(531)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된 마감편(5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편(530)(531)의 타측 영역을 양내측으로 맞닿도록 만곡지게 접어 내부에 원통형의 결합부재(400) 외경이 삽입되도록 만곡삽입부(533)가 형성되고, 나사공(520)이 상호 맞닿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고정편(530)(531)의 나사공(520)을 통하여 나비볼트(600)를 체결하여 만곡삽입부(53)에 삽입되는 결합부재(400)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스프링쿨러의 조립상태를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자체가 플렉시블하게 이루어진 주름관(200)의 일측을 미도시된 체결수단으로써 천정에 배관된 주배관(100)의 티형 연결구(101)에 체결 고정시킨 다음, 타측을 원통형의 결합부재(400) 일측 내경에 체결수단으로써 각각 체결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결합부재(400)의 타측 내경을 통하여 스프링쿨러 헤드(300)를 체결 고정시킨 다음, 결합부재(400) 외경에 마감편(540)으로써 연결된 고정편(530)(531) 타측 내부의 만곡삽입부(533)를 삽입시키고, 고정편(530)(531) 타측의 나사공(520)을 통하여 나비너트(600)를 체결시키게 된다. 그러면, 브라켓(500) 내부의 만곡삽입부(533)에 삽입된 결합부재(400)가 체결 고정된다.
그 다음으로는 브라켓(500)의 고정편(530)(531) 일측에 형성된 삽입공(510)을 통하여 천정 프레임(120)에 고정되고, 각종 배선이 내장되는 사각지지 프레임(130) 외경에 삽입시키게 된다. 그러면, 브라켓(500)이 사각지지 프레임(130) 외경에 고정되어 스프링쿨러 헤드(300)가 삽입된 결합부재(400)를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스프링쿨러 헤드 고정용 결합부재는 각종 배선 등이 내장되도록 건물의 천정에 배관된 사각지지 프레임 외경에 삽입되는 브라켓으로 고정됨으로써, 즉 천정에 배관된 사각지지 프레임에 브라켓을 삽입시켜 스프링쿨러 헤드가 고정되는 결합부재를 고정시키게 됨으로써 천정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게 되었으며, 또한 천정에 배관된 사각지지 프레임 외경에 삽입됨으로써 좌우이동 및 높낮이 조절이 불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건물의 천정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조립이 가능하도록 높이 조절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한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스프링쿨러가 설치되는 상태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스프링쿨러가 설치되는 상태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에 따른 설치상태 단면도.
도 6a,6b는 본 고안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에 따른 동작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결합부재 50 : 브라켓
52 : 끼움구 54,64 : 제 1,2밀착부
55,65 : 제 1,2끼움부 56,60 : 제 1,2끼움편
61 : 삽입공 62 : 삽입부
67 : 가이드홈 68 : 수직편
69 : 고정부재 70 : 체결볼트
72 : 이동편 73 : 수평장공
74 : 수평편 75 : 이동부재
80 : 앙카볼트 81 : 천정
82 : 체결너트 90,92 : 제 1,2돌출편
91 : 왼나사공 93 : 오른나사공
94 : 오른나사부 95 : 왼나사부
96 : 체결부재 A : 고정수단
B : 이동수단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과제는, 내측 중앙 영역에 제 1끼움부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끼움구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제 1밀착부가 형성된 제 1끼움편; 내측 중앙 영역에는 상기 제 1끼움부와 대응되게 제 2끼움부가 형성되어 결합부재가 삽입되고, 일측은 상기 끼움구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삽입부가 형성되며, 타측은 체결부재로써 체결되는 제 1밀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를 고정시키는 제 2끼움편과, 상기 제 2끼움편 상면에 입설되고, 일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수직편으로 이루어진 고정부재; 상기 수직편의 가이드홈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편과, 상기 이동편과 수직으로 형성되고, 수평장공이 형성된 수평편으로 이루어지며, 고정수단으로써 천정에 매달려 고정된 이동부재; 및 상기 수직편과 상기 이동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3은 본 고안 스프링쿨러가 설치되는 상태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에 따른 설치상태 단면도이고, 도 6a,6b는 본 고안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에 따른 동작상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쿨러용 주름관(20)은 자체가 플렉시블하게 이루어져 그 일측이 주배관(10)의 티형 연결구(11)에 체결 고정되고, 타측은 스프링쿨러 헤드(30)가 삽입 고정되는 결합부재(40)에 체결 고정된다.
상기 결합부재(40)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일측 내경에는 주름관(20)의 타측이 미도시된 체결수단으로써 체결 고정되며, 타측 내경에는 스프링쿨러 헤드(30)가 각각 체결 고정된다.
그리고, 결합부재(40)는 브라켓(50)에 외경이 삽입되고, 브라켓(50)은 고정수단(A)으로써 천정에 매달려 고정된다.
상기 브라켓(50)은 일측에 끼움구(5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통공(53)이 형성된 제 1밀착부(54)가 일체로 형성되며, 내측 중앙 영역에는 제 1끼움부(55)가 형성된 제 1끼움편(56)과, 제 1끼움편(56)의 끼움구(52)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공(61)이 형성된 삽입부(62)가 형성되고, 통공(53)과 대응되게 나사공(63)이 형성된 제 2밀착부(64)가 형성되며, 내측 중앙 영역에는 제 1끼움부(55)와 대응되게 제 2끼움부(65)가 형성된 제 2끼움편(60)과, 제 2끼움편(60) 상면에 입설되고,일면에 가이드홈(67)이 형성된 수직편(68)으로 이루어진 고정부재(69)와, 제 1,2끼움편(56)(65)의 제 1,2밀착부(54)(64)에 형성된 통공(53)과 나사공(63)을 통하여 체결되어 제 1,2끼움부(55)(65) 내부에 결합부재(40)를 고정시키는 체결볼트(70)와, 수직편(68)의 가이드홈(67)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편(72)과, 이동편(72)과 수직으로 형성되고, 수평장공(73)이 형성된 수평편(74)으로 이루어진 이동부재(75)와, 수직편(68)과 이동편(72) 사이에 구비되어 이동부재(75)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B)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직편(68) 일면에 가이드홈(67)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수직편(68) 양단의 절반정도를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다음, 나머지 절반을 절곡하여 가이드홈(67)을 형성하고, 절단부위를 연속으로 굴곡지게 형성한 것으로, 이는 수직편(68)의 절곡되는 폭을 줄여 가이드홈(67)의 제작시 힘을 적게 들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고정수단(A)은 브라켓(50)의 수평편(74)에 관통된 수평장공(73)을 통하여 삽입되고, 외경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단부가 천정(81)에 고정되는 앙카볼트(80)와, 수평편(74)의 상하부에 접하도록 앙카볼트(83)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한쌍의 체결너트(82)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수단(B)은 수직편(68)의 가이드홈(67) 내측에 돌출 형성되고, 왼 나사공(91)이 형성된 제 1돌출편(90)과, 제 1돌출편(90)과 동일 높이로 대응되게 이동편(72)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고, 오른나사공(93)이 형성된 제 2돌출편(92)과, 제 1돌출편(90)의 왼나사공(91)과 제 2돌출편(94)의 오른나사공(93)에 체결되는 왼나사부(95)와 오른나사부(94)가 이중으로 형성된 체결부재(96)로 이루어진다.
이때, 왼나사공(91)은 내경을 크게 형성하고, 이에 체결되는 체결부재(96)의 왼나사부(95)는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반대로 오른나사공(93)은 내경을 작게 형성하고, 이에 체결되는 체결부재(96)의 오른나사부(94)는 직경이 작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스프링쿨러가 조립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자체가 플렉시블하게 이루어진 주름관(20)의 일측은 미도시된 체결수단으로써 천정에 배관된 주배관(10)의 티형 연결구(11)에 체결 고정시킨 다음, 타측은 일측이 "ㄱ"자 형상의 결합부재(40) 일측 내경에 체결수단으로써 각각 체결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1끼움편(56) 일측의 끼움구(52)를 고정부재(69)의 제 2끼움편(60)에 형성된 삽입공(61)에 삽입시킨 다음, 결합부재(40)의 외경을 브라켓(50)의 제 1,2끼움편(56)(66) 중앙 영역에 형성된 제 1,2끼움부(55)(56) 사이에 밀착시킨 후, 제 1,2끼움편(56)(65)의 제 1,2밀착부(54)(64)에 형성된 통공(53)과 나사공(63)을 통하여 체결부재(70)를 체결하여 제 1,2끼움부(55)(65) 내부에 결합부재(40)를 고정시키게 된다.
그 다음으로는 고정부재(69)의 수직편(68) 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67)에 이동편(72), 수평편(74)으로 이루어진 이동부재(75)를 이동 가능하게 삽입시킨 다음, 천정(81)에 단부가 고정된 앙카볼트(80)를 통하여 이동부재(75)의 수평편(74)에 관통된 수평장공(73)을 삽입시킨 다음, 브라켓(50)의 수평편(74) 상하부에 밀착되도록 앙카볼트(80)에 한쌍의 체결너트(82)를 체결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결합부재(40) 타단 내경에 스프링쿨러 헤드(30)를 체결 고정시키면, 스프링쿨러의 조립이 완료된다
한편, 도 6a,6b에서와 같이 스프링쿨러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이동수단(B)의 체결부재(96)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수직편(68)의 가이드홈(67) 내측에 돌출 형성되고, 왼나사로 형성된 제 1돌출편(90)의 왼나사공(91)과 이동편(72) 하단에 돌출 형성되고, 오른나사로 형성된 제 2돌출편(92)의 오른나사공(93)에, 오른나사부(94)와 왼나사부(95)로써 각각 체결된 체결부재(96)가 왼나사공(91)과 오른나사공(93)을 따라 좌우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직편(68) 일면의 가이드홈(67)을 따라 이동부재(75)의 이동편(72)이 상승 및 하강으로 이동하게 되어 간단하게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왼나사공(91)에는 체결부재(96)의 왼나사부(95)가 오른나사공(93)에는 체결부재(96)의 오른나사부(94)가 체결되어 그 체결력이 빠르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왼나사공(91)은 내경을 크게 형성하고, 이에 체결되는 체결부재(96)의 왼나사부(95)는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반대로 오른나사공(93)은 내경을 작게 형성하고, 이에 체결되는 체결부재(96)의 오른나사부(94)는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고정수단(A)의 체결너트(82) 체결력을 이완시킨 다음, 브라켓(50)을 좌우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수평편(74)의 수평장공(73)을 통하여 삽입되고,단부가 천정(81)에 고정된 앙카볼트(80)를 따라 수평편(74)의 수평장공(73)이 좌우로 이동됨으로써 브라켓(50)이 좌우로 이동되어 스프링쿨러의 미세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하면, 스프링쿨러 헤드가 고정되는 결합부재를 고정수단으로 천정에 매달이 고정시키게 됨으로써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오른나사부와 왼나사부가 이중으로 형성된 체결부재의 체결력으로써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스프링쿨러 헤드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조립성이 우수하게 되었고, 또한 설치작업이 완료된 다음에도 수정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4)

  1. 내측 중앙 영역에 제 1끼움부(55)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끼움구(52)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제 1밀착부(54)가 형성된 제 1끼움편(56);
    내측 중앙 영역에는 상기 제 1끼움부(55)와 대응되게 제 2끼움부(65)가 형성되어 결합부재(40)가 삽입되고, 일측은 상기 끼움구(52)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공(61)이 형성된 삽입부(62)가 형성되며, 타측은 체결부재(70)로써 체결되는 제 1밀착부(64)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40)를 고정시키는 제 2끼움편(60)과, 상기 제 2끼움편(60) 상면에 입설되고, 일면에 가이드홈(67)이 형성된 수직편(68)으로 이루어진 고정부재(69);
    상기 수직편(68)의 가이드홈(67)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편(72)과, 상기 이동편(72)과 수직으로 형성되고, 수평장공(73)이 형성된 수평편(74)으로 이루어지며, 고정수단(A)으로써 천정(81)에 매달려 고정된 이동부재(75); 및
    상기 수직편(68)과 상기 이동편(7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재(75)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B);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A)은
    상기 수평편(74)의 수평장공(73)을 통하여 삽입되고, 외경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천정(81)에 고정되는 앙카볼트(80)와,
    상기 수평편(74)의 상하부에 접하도록 상기 앙카볼트(83)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한쌍의 체결너트(8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B)은
    상기 수직편(68)의 가이드홈(67) 내측에 돌출 형성되고, 왼나사공(91)이 형성된 제 1돌출편(90)과,
    상기 제 1돌출편(90)과 동일 높이로 상기 이동편(72)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고, 오른나사공(93)이 형성된 제 2돌출편(92)과,
    상기 제 1돌출편(90)의 왼나사공(91)과 상기 제 2돌출편(94)의 오른나사공(93)에 체결되어 상기 이동부재(75)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체결부재(9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96)는
    상기 왼나사공(91) 및 상기 오른나사공(93)에 체결되는 왼나사부(95)와 오른나사부(94)가 이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KR20-2002-0027937U 2002-09-17 2002-09-17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KR2003006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937U KR200300646Y1 (ko) 2002-09-17 2002-09-17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937U KR200300646Y1 (ko) 2002-09-17 2002-09-17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46Y1 true KR200300646Y1 (ko) 2003-01-14

Family

ID=49398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937U KR200300646Y1 (ko) 2002-09-17 2002-09-17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4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665B1 (ko) 2009-02-13 2011-09-27 이영우 파이프 고정 장치
KR101777410B1 (ko) 2017-03-15 2017-09-26 주식회사 한결 견본주택에 설치되는 무용접 배관 설치구조를 갖는 스프링쿨러장치
KR101814376B1 (ko) * 2017-02-14 2018-01-30 대명기계공업 주식회사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
KR102134097B1 (ko) * 2019-06-03 2020-07-14 (주)한백에프앤씨 건축소화 스프링쿨러소켓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665B1 (ko) 2009-02-13 2011-09-27 이영우 파이프 고정 장치
KR101814376B1 (ko) * 2017-02-14 2018-01-30 대명기계공업 주식회사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
KR101777410B1 (ko) 2017-03-15 2017-09-26 주식회사 한결 견본주택에 설치되는 무용접 배관 설치구조를 갖는 스프링쿨러장치
KR102134097B1 (ko) * 2019-06-03 2020-07-14 (주)한백에프앤씨 건축소화 스프링쿨러소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0760B2 (en) Electrical box extension
US20080083852A1 (en) Snap clamp for mounting sprinkler
US6585196B2 (en) Fastener for pipe or the like
US5824952A (en) Ceiling fan outlet box
KR101150844B1 (ko) 본체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랙 행거
KR101057553B1 (ko) 파이프용 행거
KR200300646Y1 (ko)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KR200392312Y1 (ko) 체결구
KR20200001614U (ko) 높이 조절 배관 지지대
KR200281931Y1 (ko)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KR200311208Y1 (ko) 천정마감재 고정용 행거
KR102123364B1 (ko) 케이블 트레이 지지용 조인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360803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케트
KR101011395B1 (ko) 선박 내의 파이프 체결구조 및 그 체결방법
KR200402039Y1 (ko) 랙 행거
KR100535234B1 (ko) 건축 설비 방진용 스프링 행거
KR200371633Y1 (ko)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KR200309169Y1 (ko) 스프링클러 연결구의 높이조절구조
KR200207355Y1 (ko) 천정부재의 조립성을 향상한 행거 구조물
KR200300647Y1 (ko)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지지구조
KR200336138Y1 (ko) 천정부재 고정용 힌지식 행거
CN209941997U (zh) 一种板材固定装置
KR200369350Y1 (ko) 스프링쿨러헤드의 장착 장치
KR0124505Y1 (ko) 케이블 배선용 랙
KR100392992B1 (ko) 찬넬용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