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410B1 - 견본주택에 설치되는 무용접 배관 설치구조를 갖는 스프링쿨러장치 - Google Patents

견본주택에 설치되는 무용접 배관 설치구조를 갖는 스프링쿨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410B1
KR101777410B1 KR1020170032636A KR20170032636A KR101777410B1 KR 101777410 B1 KR101777410 B1 KR 101777410B1 KR 1020170032636 A KR1020170032636 A KR 1020170032636A KR 20170032636 A KR20170032636 A KR 20170032636A KR 101777410 B1 KR101777410 B1 KR 101777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air
hole
conne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2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결
Priority to KR1020170032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4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 F16L3/20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having supporting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B05B15/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견본주택에 설치되는 무용접 배관 설치구조를 갖는 스프링쿨러장치가 제공된다. 제공된 견본주택에 설치되는 무용접 배관 설치구조를 갖는 스프링쿨러장치는 천장 내부에 격자형태로 설치된 프레임에 연결되며, 일측에 가이드공이 마련된 연결브라켓; 2조 1쌍의 제1 설치브라켓이 제1 결속부재를 통해 체결 및 해체 가능한 연결구조를 이룬 상태에서 상기 제1 설치브라켓이 상기 연결브라켓에 승강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설치브라켓의 타측에 상기 가이드공에 걸림,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 가이드봉이 마련되며, 상기 제1 가이드봉의 외면에 제1 탄성스프링이 연결되어 상기 연결브라켓과 제1 설치브라켓 사이에서 이들을 이격시키는 탄성력을 작용하고, 상기 2조 1쌍의 제1 설치브라켓이 맞닿는 부위에 제1 연결홀이 형성되어 화재발생부위에 소화수를 살수하는 제1 스프링쿨러 헤드가 연결되며, 상기 제1 설치브라켓의 일측에 가이드홀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설치브라켓의 측벽에 제1 고정홈이 마련된 제1 분사유닛; 2조 1쌍의 제2 설치브라켓이 제2 결속부재를 통해 체결 및 해체 가능한 연결구조를 이룬 상태에서 상기 제2 설치브라켓이 상기 제1 설치브라켓에 승강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 설치브라켓의 일측에 상기 가이드홀에 걸림,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가이드봉이 마련되며, 상기 제2 가이드봉의 외면에 제2 탄성스프링이 연결되어 상기 제1 설치브라켓과 제2 설치브라켓 사이에서 이들을 이격시키는 탄성력을 작용하고, 상기 2조 1쌍의 제2 설치브라켓이 맞닿는 부위에 제2 연결홀이 형성되어 화재발생부위에 소화수를 살수하는 제2 스프링쿨러 헤드가 연결되며, 상기 제2 설치브라켓의 측벽에 제2 고정홈이 마련된 제2 분사유닛; 상기 천장에 형성된 개구공에 걸림연결되며, 내측에 상기 제2 스프링쿨러헤드가 위치하는 개방홀이 마련된 마감브라켓; 상기 연결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쿨러장치와 연동하여 전, 후진 동작하는 제1 작동축이 상기 제1 고정홈에 삽입 및 이탈하여 제1 분사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치유닛 및 상기 마감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쿨러장치와 연동하여 전, 후진 동작하는 제2 작동축이 상기 제2 고정홈에 삽입 및 이탈하여 제2 분사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치유닛을 포함하며, 배관의 연결부위를 용접이 아닌 별도의 체결유닛을 통해 체결, 조립함으로써, 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화재 발생시 화재의 진원지에 다량의 소방수를 동시에 살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를 조기 진압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견본주택에 설치되는 무용접 배관 설치구조를 갖는 스프링쿨러장치{Sprinkler system installed in a sample house}
본 발명은 스프링쿨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쿨러장치의 구조개선을 통해 견본주택 내의 화재발생부위에 신속하게 다량의 소화수를 살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견본주택 내에서의 초기 화재대응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견본주택에 설치되는 무용접 배관 설치구조를 갖는 견본주택에 설치되는 무용접 배관 설치구조를 갖는 스프링쿨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고층화 및 대형화의 추세에 따라 건물 내에서의 화재는 대형 참사로 이어졌으며, 이로 인해 건물의 내부에는 화재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다양한 방식의 화재진압기구 및 시설들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방식의 화재진압기구 및 시설 중 가장 대표되는 시설은 스프링쿨러(Sprinkler)장치이다.
상기 스프링쿨러장치는 건물의 천장 내부에 용수를 공급하는 주급수관이 설치되고, 상기 주급수관에 다수의 분기급수관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설치한 후, 상기 분기급수관에 천장에서 실내 측으로 노출되는 스프링쿨러 헤드를 연결한다.
이에 스프링쿨러장치는, 상기 주급수관 및 분기급수관으로 공급되는 물을 스프링쿨러 헤드를 통해 분산하여 뿌려주도록 한 살수(撒水) 장치로써, 건물의 옥내 등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물을 분무하는 것에 의해 불을 끄도록 하는 데 작용된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쿨러장치가 화재 발생시 자동적으로 물을 뿜어 주도록 함으로써, 화재 초기에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대표적인 소방시설로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은 아래와 같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551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6631호
또한, 상기한 주급수관과 분기급수관을 접속함에 있어서는, 이들의 접속부분을 신속히 접합함과 아울러, 특히 견고히 결합토록 할 수 있는 전기 용접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즉, 천정의 비교적 좁은 공간에서도 그 작업을 효율적으로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주급수관과 분지급수관으로 된 모재에 각각 교류전원 및 직류전원의 양전극들중 일극을 각각 연결한 후, 그 타극에 연결된 용재가 이들의 접합부분과 접촉할 때 발생하는 열로 용재(용접봉)와 모재를 융해 융합시켜서 용착 금속을 만들어 모재와 접합시키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주급수관과 분지급수관들의 용접에 의한 설치 방법은 견본주택(모델하우스)와 같이 특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건물은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설치과정에서 오히려 화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견본주택(모델하우스)은 아파트 등을 건축할 때 원매자(願買者)들에게 보이기 위해 미리 지어놓는 견본용 집을 가리키는 것으로, 영구적인 건물이 아닌 일시적인 설치물로서 차후 철거 문제까지 염두에 두어야 하기 때문에 대부분이 목재와 더불어 인화성이 강한 가연성 마감재를 설치하게 된다.
이렇게 가연성 재료를 과도하게 사용한 견본주택은 화재발생시 소방차 진입이 곤란한 도심 특성과 맞물려 단시간에 걷잡을 수 없는 화마로 번져 기존 화재진압시설로는 초기에 진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551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6631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스프링쿨러 설치를 위한 배관의 연결부위를 용접이 아닌 별도의 체결유닛을 통해 체결, 조립함으로써, 스프링쿨러장치의 시공과정에서 용접작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견본주택에 설치되는 무용접 배관 설치구조를 갖는 스프링쿨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프링쿨러장치의 설치구조 개선을 통해 화재 발생시 한 쌍의 스프링쿨러가 서로 다른 높이에서 화재의 진원지로 동시에 다량의 소방수를 살수함으로써, 화재발생 초기에 빠르게 대처하여 화재 범위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견본주택에 설치되는 무용접 배관 설치구조를 갖는 스프링쿨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은
천장 내부에 격자형태로 설치된 프레임에 연결되며, 일측에 가이드공이 마련된 연결브라켓;
2조 1쌍의 제1 설치브라켓이 제1 결속부재를 통해 체결 및 해체 가능한 연결구조를 이룬 상태에서 상기 제1 설치브라켓이 상기 연결브라켓에 승강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설치브라켓의 타측에 상기 가이드공에 걸림,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 가이드봉이 마련되며, 상기 제1 가이드봉의 외면에 제1 탄성스프링이 연결되어 상기 연결브라켓과 제1 설치브라켓 사이에서 이들을 이격시키는 탄성력을 작용하고, 상기 2조 1쌍의 제1 설치브라켓이 맞닿는 부위에 제1 연결홀이 형성되어 화재발생부위에 소화수를 살수하는 제1 스프링쿨러 헤드가 연결되며, 상기 제1 설치브라켓의 일측에 가이드홀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설치브라켓의 측벽에 제1 고정홈이 마련된 제1 분사유닛;
2조 1쌍의 제2 설치브라켓이 제2 결속부재를 통해 체결 및 해체 가능한 연결구조를 이룬 상태에서 상기 제2 설치브라켓이 상기 제1 설치브라켓에 승강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 설치브라켓의 일측에 상기 가이드홀에 걸림,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가이드봉이 마련되며, 상기 제2 가이드봉의 외면에 제2 탄성스프링이 연결되어 상기 제1 설치브라켓과 제2 설치브라켓 사이에서 이들을 이격시키는 탄성력을 작용하고, 상기 2조 1쌍의 제2 설치브라켓이 맞닿는 부위에 제2 연결홀이 형성되어 화재발생부위에 소화수를 살수하는 제2 스프링쿨러 헤드가 연결되며, 상기 제2 설치브라켓의 측벽에 제2 고정홈이 마련된 제2 분사유닛;
상기 천장에 형성된 개구공에 걸림연결되며, 내측에 상기 제2 스프링쿨러헤드가 위치하는 개방홀이 마련된 마감브라켓;
상기 연결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쿨러와 연동하여 전, 후진 동작하는 제1 작동축이 상기 제1 고정홈에 삽입 및 이탈하여 제1 분사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치유닛 및
상기 마감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쿨러와 연동하여 전, 후진 동작하는 제2 작동축이 상기 제2 고정홈에 삽입 및 이탈하여 제2 분사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치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쿨러헤드 및 제2 스프링쿨러헤드는 다수의 배관으로 이루어진 급수시설에 연결하고, 상기 배관과 배관 간의 연결부위는 별도의 연결유닛을 통해 연결하되,
상기 연결유닛은,
서로 연결하기 위한 배관들의 단부 외면에 각각 형성된 걸림홈,
상기 배관과 배관 사이를 마감할 수 있도록 2조 1쌍으로 구성되며, 내측에 상기 배관이 삽입되는 수용홈이 마련된 연결구 및
상기 수용홈에 삽입된 배관을 걸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제1 설치브라켓이 맞닿는 면에 형성하고, 상기 제2 결속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제2 설치브라켓이 맞닿는 면에 형성하되,
상기 제1 결속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제1 설치브라켓이 맞닿는 면 중 어느 한 면에 형성되며, 내측에 다수의 제1 쐐기홈들이 소정구간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1 암연결구 및
상기 한 쌍의 제1 설치브라켓이 맞닿는 면 중 다른 면에 한 쌍의 제1 탄성편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 탄성편의 외면에 상기 제1 쐐기홈에 걸림연결되는 제1 쐐기돌기들이 소정구간 연속적으로 연결된 제1 수연결구로 구성되고,
상기 제2 결속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제2 설치브라켓이 맞닿는 면 중 어느 한 면에 형성되며, 내측에 다수의 제2 쐐기홈들이 소정구간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2 암연결구 및
상기 한 쌍의 제2 설치브라켓이 맞닿는 면 중 다른 면에 한 쌍의 제2 탄성편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 탄성편의 외면에 상기 제2 쐐기홈에 걸림연결되는 제2 쐐기돌기들이 소정구간 연속적으로 연결된 제2 수연결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관의 연결부위를 용접이 아닌 별도의 체결유닛을 통해 체결, 조립함으로써, 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 발생시 화재의 진원지에 다량의 소방수를 동시에 살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를 조기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견본주택에 설치되는 무용접 배관 설치구조를 갖는 스프링쿨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견본주택에 설치되는 무용접 배관 설치구조를 갖는 스프링쿨러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견본주택에 설치되는 무용접 배관 설치구조를 갖는 스프링쿨러장치 중 제1 결속부재와 제2 결속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견본주택에 설치되는 무용접 배관 설치구조를 갖는 스프링쿨러장치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견본주택에 설치되는 무용접 배관 설치구조를 갖는 스프링쿨러장치를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견본주택에 설치되는 무용접 배관 설치구조를 갖는 스프링쿨러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견본주택에 설치되는 무용접 배관 설치구조를 갖는 스프링쿨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견본주택에 설치되는 무용접 배관 설치구조를 갖는 스프링쿨러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견본주택에 설치되는 무용접 배관 설치구조를 갖는 스프링쿨러장치 중 제1 결속부재와 제2 결속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견본주택에 설치되는 무용접 배관 설치구조를 갖는 스프링쿨러장치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견본주택에 설치되는 무용접 배관 설치구조를 갖는 스프링쿨러장치(100)는 연결브라켓(110), 상기 연결브라켓(110)에 설치된 제1 분사유닛(120), 상기 제1 분사유닛(120)의 제1 설치브라켓(121)에 설치된 제2 분사유닛(130), 천장(10)에 형성된 개구공(11)에 걸림연결된 마감브라켓(140), 상기 연결브라켓(110)에 설치된 제1 스위치유닛(150), 상기 마감브라켓(140)에 설치된 제2 스위치유닛(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브라켓(110)은 본 발명의 스프링쿨러장치(100)를 천장(10) 내부에 설치된 격자형태의 프레임(20)에 연결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연결브라켓(110)은 판상체 형상으로 타단이 상기 프레임(20)에 상기 프레임(2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에 한 쌍의 가이드공(111)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제1 분사유닛(120)은 견본주택 내에 화재 발생시 상기 천장(10)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견본주택 내부에 소화수를 살수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제1 분사유닛(120)은 2조 1쌍의 제1 설치브라켓(121)이 제1 결속부재(180)를 통해 체결 및 해체 가능한 연결구조를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설치브라켓(121)이 상기 연결브라켓(110)에 승강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설치브라켓(121)은 그 타측에 상기 가이드공(111)에 걸림,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공(1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 가이드봉(123)이 마련되며, 상기 제1 가이드봉(123)의 외면에 제1 탄성스프링(125)이 연결된다.
상기 제1 탄성스프링(125)은 상기 연결브라켓(110)과 제1 설치브라켓(121) 사이에서 이들을 이격시키는 탄성력을 작용한다.
또한, 상기 2조 1쌍의 제1 설치브라켓(121)이 맞닿는 부위에는 제1 연결홀(126)이 형성되어 화재발생부위에 소화수를 살수하는 제1 스프링쿨러 헤드(40)가 연결되며, 상기 제1 설치브라켓(121)의 일측에 가이드홀(127)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설치브라켓(121)의 측벽에 제1 고정홈(129)이 마련된다.
상기 2조 1쌍의 제1 설치브라켓(121) 중 하나의 제1 설치브라켓(121)에 형성된 제1 연결홀(126)은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2조 1쌍의 제1 설치브라켓(121)이 제1 결속부재(180)를 통해 결합 되었을 때 비로소 제1 스프링쿨러 헤드(40)가 연결되는 육각 형상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2조 1쌍의 제1 설치브라켓(121)을 제1 결속부재(180)를 통해 체결 및 해체가능한 구조가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스프링쿨러 헤드(40)를 제1 설치브라켓(120)에 용이하게 결합고정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한편, 상기 제2 분사유닛(130)은 견본주택 내에 화재 발생시 상기 제1 분사유닛(120)의 하방에서 견본주택 내부에 소화수를 살수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제2 분사유닛(130)은 2조 1쌍의 제2 설치브라켓(131)이 제2 결속부재(190)를 통해 체결 및 해체 가능한 연결구조를 이룬 상태에서 상기 제2 설치브라켓(131)이 상기 제1 설치브라켓(121)에 승강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 설치브라켓(131)은 그 일측에 상기 가이드홀(127)에 걸림,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홀(127)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가이드봉(133)이 마련되며, 상기 제2 가이드봉(133)의 외면에 제2 탄성스프링(135)이 연결된다.
상기 제2 탄성스프링(135)은 상기 제1 설치브라켓(121)과 제2 설치브라켓(131) 사이에서 이들을 이격시키는 탄성력을 작용한다.
또한, 상기 2조 1쌍의 제2 설치브라켓(131)이 맞닿는 부위에는 제2 연결홀(136)이 형성되어 화재발생부위에 소화수를 살수하는 제2 스프링쿨러 헤드(50)가 연결되며, 상기 제2 설치브라켓(131)의 측벽에 제2 고정홈(139)이 마련된다.
상기 2조 1쌍의 제2 설치브라켓(131) 중 하나의 제2 설치브라켓(131)에 형성된 제2 연결홀(136)은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2조 1쌍의 제2 설치브라켓(131)이 제2 결속부재(190)를 통해 결합 되었을 때 비로소 제2 스프링쿨러 헤드(50)가 연결되는 육각 형상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2조 1쌍의 제2 설치브라켓(131)을 제2 결속부재(190)를 통해 체결 및 해체 가능한 구조가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 스프링쿨러 헤드(50)를 제2 설치브라켓(131)에 용이하게 결합고정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한편, 상기 마감브라켓(140)은 상기 천장(10)에 형성된 개구공(11)과 노출홀(13)중 상기 개구공(11)에 걸림연결된다.
상기 마감브라켓(140)은 타측에 상기 노출홀(13)과 연통을 이루는 절개홀(141)이 마련되며, 그 내측에 상기 제2 스프링쿨러 헤드(50)가 위치하는 개방홀(143)이 마련된다.
상기 노출홀(13)과 절개홀(141)은 상기 제2 분사유닛(130)이 동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스프링쿨러 헤드(50)에 소화수를 공급하는 배관이 이동하는 경로이다.
이에, 상기 노출홀(13)과 절개홀(141)에는 그 실시예에 따라 작은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어 배관의 출입에 지장이 없도록 얇은 판재를 이용하여 폐쇄할수도있다.
한편, 상기 제1 스위치유닛(150)은 상기 연결브라켓(110)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분사유닛(1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 스위치유닛(150)은 전, 후진 동작하는 제1 작동축(151)이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고정홈(129)에 삽입 및 이탈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스위치유닛(150)은 견본주택의 소방시설인 스프링쿨러장치와 함께 연동하여 동작한다.
즉, 상기 제1 스위치유닛(150)은 스프링쿨러장치가 동작하기 전의 상태와 동작한 후의 상태로 구분된다.
상기 스프링쿨러장치가 동작하기 전에는 상기 제1 작동축(151)이 상기 제1 고정홈(129)에 삽입되며, 상기 제1 탄성스프링(125)은 상기 연결브라켓(110)과 제1 설치브라켓(121)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 압축된 상태가 된다.
상기 스프링쿨러장치가 동작하면, 상기 제1 작동축(151)이 상기 제1 고정홈(129)에서 이탈한다. 이에, 상기 제1 작동축(151)이 제1 고정홈(129)에서 이탈하면 상기 제1 탄성스프링(12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설치브라켓(121)은 상기 연결브라켓(110)에서 이격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스프링쿨러헤드(40)는 하방으로 이동하여 견본주택 내부로 노출된다.
한편, 상기 제2 스위치유닛(160)은 상기 마감브라켓(140)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분사유닛(1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2 스위치유닛(160)은 전, 후진 동작하는 제2 작동축(161)이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고정홈(139)에 삽입 및 이탈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스위치유닛(160)은 견본주택의 소방시설인 스프링쿨러장치와 함께 연동하여 동작한다.
즉, 상기 제2 스위치유닛(160)은 스프링쿨러장치가 동작하기 전의 상태와 동작한 후의 상태로 구분된다.
상기 스프링쿨러장치가 동작하기 전에는 상기 제2 작동축(161)이 상기 제2 고정홈(139)에 삽입되며, 상기 제2 탄성스프링(135)은 상기 제1 설치브라켓(121)과 제2 설치브라켓(131)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 압축된 상태가 된다.
상기 스프링쿨러장치가 동작하면, 상기 제2 작동축(161)이 상기 제2 고정홈(139)에서 이탈한다. 이에, 상기 제2 작동축(161)이 제2 고정홈(139)에서 이탈하면 상기 제2 탄성스프링(13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설치브라켓(131)은 상기 제1 설치브라켓(121)에서 이격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스프링쿨러헤드(50)는 하방으로 이동하여 견본주택 내부로 노출된다.
한편, 상기 제1 스프링쿨러 헤드(40) 및 제2 스프링쿨러 헤드(50)는 다수의 배관(31)으로 이루어진 급수시설에 연결하고, 상기 배관(31)과 배관(31) 간의 연결부위는 별도의 연결유닛(170)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유닛(170)은 서로 연결하기 위한 배관(31)들의 단부 외면에 각각 걸림홈(171)이 형성되고, 상기 배관(31)과 배관(31) 사이에 그 사이공간을 마감하기 위한 2조 1쌍의 연결구(175)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연결구(175)는 그 내측에 상기 배관(31)이 삽입되는 수용홈(173)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수용홈(173)은 그 내면에 걸림돌기(177)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 수용홈(173)에 배관(31)을 삽입하면, 상기 걸림돌기(177)는 상기 걸림홈(171)에 삽입되어 걸림,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홈(171)과 걸림돌기(177) 사이에는 상기 배관(31)과 연결구(175) 및 연결구(175)와 배관(31) 사이를 더욱 긴밀하게 하기 위한 수밀링이 개재될수있다.
이에, 본 발명은 견본주택에 소방시설인 스프링쿨러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급수시설의 연결부위를 별도의 연결유닛(170)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기존의 용접 등과 같은 연결작업으로 인해 발생하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 결속부재(180)는 상기 한 쌍의 제1 설치브라켓(121)이 맞닿는 면에 형성하고, 상기 제2 결속부재(190)는 상기 한 쌍의 제2 설치브라켓(131)이 맞닿는 면에 형성한다.
상기 제1 결속부재(180)는 상기 한 쌍의 제1 설치브라켓(121)이 맞닿는 면 중 어느 한 면에 제1 암연결구(183)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설치브라켓(121)이 맞닿는 면 중 다른 면에 제1 수연결구(189)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암연결구(183)는 내측에 다수의 제1 쐐기홈(181)들이 소정구간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 수연결구(189)는 상기 제1 암연결구(183) 측으로 한 쌍의 제1 탄성편(185)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 탄성편(185)의 외면에 상기 제1 쐐기홈(181)에 걸림연결되는 제1 쐐기돌기(187)들이 소정구간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2 결속부재(190)는 상기 한 쌍의 제2 설치브라켓(131)이 맞닿는 면 중 어느 한 면에 제2 암연결구(193)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설치브라켓(131)이 맞닿는 면 중 다른 면에 제2 수연결구(199)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암연결구(193)는 내측에 다수의 제2 쐐기홈(191)들이 소정구간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2 수연결구(199)는 상기 제2 암연결구(193) 측으로 한 쌍의 제2 탄성편(195)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 탄성편(195)의 외면에 상기 제2 쐐기홈(191)에 걸림연결되는 제2 쐐기돌기(197)들이 소정구간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을 통해 견본주택 내의 화재발생부위에 신속하게 다량의 소화수를 살수하여 견본주택 내에서의 초기 화재대응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동작관계 및 작용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견본주택에 설치되는 무용접 배관 설치구조를 갖는 스프링쿨러장치를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견본주택 내에서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제1 스위치유닛(150)의 제1 작동축(151)과 제2 스위치유닛(160)의 제2 작동축(161)은 직선 동작하여 상기 제1 고정홈(129)과 제2 고정홈(139)에서 이탈한다.
이에, 상기 제1 작동축(151)이 제1 고정홈(129)에서 이탈하면, 상기 제1 탄성스프링(12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설치브라켓(121)은 상기 연결브라켓(110)에서 이격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스프링쿨러헤드(40)는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마감브라켓(140)의 개방홀(143)을 통해 견본주택 내부로 노출된다.
이후, 상기 제1 스프링쿨러헤드(40)를 통해 소화수가 살수되어 견본주택 내의 화재를 진압한다.
또한, 상기 제2 작동축(161)이 제2 고정홈(139)에서 이탈하면, 상기 제2 탄성스프링(13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설치브라켓(131)은 상기 제1 설치브라켓(121)에서 이격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스프링쿨러헤드(50)는 하방으로 이동하여 화재 발생부위와 더욱 가깝게 견본주택 내부로 노출된다.
이후, 상기 제2 스프링쿨러헤드(50)를 통해 소화수가 살수되어 견본주택 내의 화재를 진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견본주택 내의 화재발생시 서로 다른 높이에서 동시에 소화수를 살수하는 제1 분사유닛과 제2 분사유닛을 통해 신속하게 다량의 소화수를 발화지점에 살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빠르게 화재를 진압하여 대형참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스프링쿨러헤드(40)와 제2 스프링쿨러헤드(50)를 연결하는 제1 결속부재(180)와 제2 결속부재(190)의 구조 개선되었다.
이들의 연결구조를 살펴보면, 제1 암연결구(183)와 제1 수연결구(189)의 체결 동작은 제1 쐐기홈(181) 측으로 제1 탄성편(185)을 삽입하는 동작만으로 구현되고, 상기 제2 압연결구(193)와 제2 수연결구(199)의 체결동작은 제2 쐐기홈(191) 측으로 제2 탄성편(195)을 삽입하는 동작만으로 구현된다.
이에, 상기 제1 탄성편(185) 및 제2 탄성편(195)을 제1 쐐기홈(181) 및 제2 쐐기홈(191)에 삽입하면, 상기 제1 탄성편(185)의 제1 쐐기돌기(187)는 상기 제1 쐐기홈(191)에 걸림연결되며, 상기 제2 탄성편(195)의 제2 쐐기돌기(197)는 상기 제2 쐐기홈(191)에 걸림연결된다.
이후, 상기 한 쌍의 제1 탄성편(185)과 한 쌍의 제2 탄성편(195)의 간격이 좁혀지도록 오므리면, 상기 제1 쐐기돌기(187)는 상기 제1 쐐기홈(181)에서 해체되고, 상기 제2 쐐기돌기(197)는 상기 제2 쐐기홈(191)에서 해체되며, 이를 통해 한 쌍의 제1 설치브라켓(121) 및 한 쌍의 제2 설치브라켓(131)이 분리된다.
이러한 동작과정을 통해 한 쌍의 제1 설치브라켓(121) 간의 체결 및 해체동작 및 한 쌍의 제2 설치브라켓(131) 간의 체결 및 해체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 및 해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10 : 천장 11 : 개구공
13 : 노출홀 40 : 제1 스프링쿨러헤드
50 : 제2 스프링쿨러헤드 110 : 연결브라켓
120 : 제1 분사유닛 130 : 제2 분사유닛
140 : 마감브라켓 150 : 제1 스위치유닛
160 : 제2 스위치유닛 170 : 연결유닛
180 : 제1 결속부재 190 : 제2 결속부재

Claims (3)

  1. 건물의 천장 내부에 설치된 프레임에 고정되어 화재발생부위에 소화수를 살수하는 스프링쿨러장치에 있어서,
    천장(10) 내부에 격자형태로 설치된 프레임(20)에 연결되며, 일측에 가이드공(111)이 마련된 연결브라켓(110);
    2조 1쌍의 제1 설치브라켓(121)이 제1 결속부재(180)를 통해 체결 및 해체 가능한 연결구조를 이룬 상태에서 상기 제1 설치브라켓(121)이 상기 연결브라켓(110)에 승강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설치브라켓(121)의 타측에 상기 가이드공(111)에 걸림,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공(1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 가이드봉(123)이 마련되며, 상기 제1 가이드봉(123)의 외면에 제1 탄성스프링(125)이 연결되어 상기 연결브라켓(110)과 제1 설치브라켓(121) 사이에서 이들을 이격시키는 탄성력을 작용하고, 상기 2조 1쌍의 제1 설치브라켓(121)이 맞닿는 부위에 제1 연결홀(126)이 형성되어 화재발생부위에 소화수를 살수하는 제1 스프링쿨러 헤드(40)가 연결되며, 상기 제1 설치브라켓(121)의 일측에 가이드홀(127)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설치브라켓(121)의 측벽에 제1 고정홈(129)이 마련된 제1 분사유닛(120);
    2조 1쌍의 제2 설치브라켓(131)이 제2 결속부재(190)를 통해 체결 및 해체 가능한 연결구조를 이룬 상태에서 상기 제2 설치브라켓(131)이 상기 제1 설치브라켓(121)에 승강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 설치브라켓(131)의 일측에 상기 가이드홀(127)에 걸림,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홀(127)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가이드봉(133)이 마련되며, 상기 제2 가이드봉(133)의 외면에 제2 탄성스프링(135)이 연결되어 상기 제1 설치브라켓(121)과 제2 설치브라켓(131) 사이에서 이들을 이격시키는 탄성력을 작용하고, 상기 2조 1쌍의 제2 설치브라켓(131)이 맞닿는 부위에 제2 연결홀(136)이 형성되어 화재발생부위에 소화수를 살수하는 제2 스프링쿨러 헤드(50)가 연결되며, 상기 제2 설치브라켓(131)의 측벽에 제2 고정홈(139)이 마련된 제2 분사유닛(130);
    상기 천장(10)에 형성된 개구공(11)과 노출홀(13) 중 상기 개구공(11)에 걸림연결되며, 타측에 노출홀(13)과 연통을 이루는 절개홀(141)이 마련되며, 내측에 상기 제2 스프링쿨러 헤드(50)가 위치하는 개방홀(143)이 마련된 마감브라켓(140);
    상기 연결브라켓(110)에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쿨러장치와 연동하여 전, 후진 동작하는 제1 작동축(151)이 상기 제1 고정홈(129)에 삽입 및 이탈하여 제1 분사유닛(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치유닛(150) 및
    상기 마감브라켓(140)에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쿨러장치와 연동하여 전, 후진 동작하는 제2 작동축(161)이 상기 제2 고정홈(139)에 삽입 및 이탈하여 제2 분사유닛(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치유닛(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본주택에 설치되는 무용접 배관 설치구조를 갖는 스프링쿨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쿨러 헤드(40) 및 제2 스프링쿨러 헤드(50)는 다수의 배관(31)으로 이루어진 급수시설에 연결하고, 상기 배관(31)과 배관(31) 간의 연결부위는 별도의 연결유닛(170)을 통해 연결하되,
    상기 연결유닛(170)은,
    서로 연결하기 위한 배관(31)들의 단부 외면에 각각 형성된 걸림홈(171),
    상기 배관(31)과 배관(31) 사이를 마감할 수 있도록 2조 1쌍으로 구성되며, 내측에 상기 배관(31)이 삽입되는 수용홈(173)이 마련된 연결구(175) 및
    상기 수용홈(173)에 삽입된 배관(31)을 걸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173)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돌기(17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본주택에 설치되는 무용접 배관 설치구조를 갖는 스프링쿨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부재(180)는 상기 한 쌍의 제1 설치브라켓(121)이 맞닿는 면에 형성하고, 상기 제2 결속부재(190)는 상기 한 쌍의 제2 설치브라켓(131)이 맞닿는 면에 형성하되,
    상기 제1 결속부재(180)는,
    상기 한 쌍의 제1 설치브라켓(121)이 맞닿는 면 중 어느 한 면에 형성되며, 내측에 다수의 제1 쐐기홈(181)들이 소정구간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1 암연결구(183) 및
    상기 한 쌍의 제1 설치브라켓(121)이 맞닿는 면 중 다른 면에 한 쌍의 제1 탄성편(185)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 탄성편(185)의 외면에 상기 제1 쐐기홈(181)에 걸림연결되는 제1 쐐기돌기(187)들이 소정구간 연속적으로 연결된 제1 수연결구(189)로 구성되고,
    상기 제2 결속부재(190)는,
    상기 한 쌍의 제2 설치브라켓(131)이 맞닿는 면 중 어느 한 면에 형성되며, 내측에 다수의 제2 쐐기홈(191)들이 소정구간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2 암연결구(193) 및
    상기 한 쌍의 제2 설치브라켓(131)이 맞닿는 면 중 다른 면에 한 쌍의 제2 탄성편(195)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 탄성편(195)의 외면에 상기 제2 쐐기홈(191)에 걸림연결되는 제2 쐐기돌기(197)들이 소정구간 연속적으로 연결된 제2 수연결구(19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본주택에 설치되는 무용접 배관 설치구조를 갖는 스프링쿨러장치.
KR1020170032636A 2017-03-15 2017-03-15 견본주택에 설치되는 무용접 배관 설치구조를 갖는 스프링쿨러장치 KR101777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636A KR101777410B1 (ko) 2017-03-15 2017-03-15 견본주택에 설치되는 무용접 배관 설치구조를 갖는 스프링쿨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636A KR101777410B1 (ko) 2017-03-15 2017-03-15 견본주택에 설치되는 무용접 배관 설치구조를 갖는 스프링쿨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7410B1 true KR101777410B1 (ko) 2017-09-26

Family

ID=60036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2636A KR101777410B1 (ko) 2017-03-15 2017-03-15 견본주택에 설치되는 무용접 배관 설치구조를 갖는 스프링쿨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4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3305A (ko) 2022-06-17 2023-12-27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스프링쿨러 분기배관 이음부용 누수 처리 장치
KR102626141B1 (ko) * 2022-11-02 2024-01-17 미래설비엔지니어링(주)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46Y1 (ko) 2002-09-17 2003-01-14 오승일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46Y1 (ko) 2002-09-17 2003-01-14 오승일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3305A (ko) 2022-06-17 2023-12-27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스프링쿨러 분기배관 이음부용 누수 처리 장치
KR102626141B1 (ko) * 2022-11-02 2024-01-17 미래설비엔지니어링(주)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7410B1 (ko) 견본주택에 설치되는 무용접 배관 설치구조를 갖는 스프링쿨러장치
US10016644B2 (en) End bracket for sprinkler and fixing apparatus for sprinkler including the same
RU2598832C2 (ru) Спринклер сухого типа с различными схемами соединения
KR101870907B1 (ko) 삽입형 건식 드라이펜던트
KR102178002B1 (ko) 지중배전라인 지지가 편리한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KR20120065594A (ko) 화재진압용 노즐장치
KR102423972B1 (ko)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
KR102361095B1 (ko) 건축물 화재 진화용 소방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장치
KR100679675B1 (ko)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KR101840175B1 (ko) 넓은 화재진압 범위를 갖는 스프링클러
KR200400018Y1 (ko)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KR20170022370A (ko) 샌드위치 패널용 소화장치
KR101331033B1 (ko) 과압배출장치
KR20120039906A (ko)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
KR101593613B1 (ko) 소방시설 거치대
KR101768966B1 (ko) 조립 및 해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정보통신용 케이블 분배함 및 그 분배함의 제조방법
KR200460706Y1 (ko) 소화설비 배관 이음쇠
KR102187037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JP2011149078A (ja) 溶射装置
KR101171948B1 (ko) 소화용 스프링쿨러 시공방법
KR20120004022U (ko) 화재초기 진압장치
KR102156266B1 (ko) 건축물의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이동식 소방 용구 보관함
KR101559365B1 (ko) 공동주택용 배전선의 화재확산방지장치
KR102420314B1 (ko) 화재진압 기능을 갖춘 기능성 향상 지중배전선 연결기기
KR102146818B1 (ko) 공동주택의 소방 안전 기구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