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706Y1 - 소화설비 배관 이음쇠 - Google Patents

소화설비 배관 이음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706Y1
KR200460706Y1 KR2020110010585U KR20110010585U KR200460706Y1 KR 200460706 Y1 KR200460706 Y1 KR 200460706Y1 KR 2020110010585 U KR2020110010585 U KR 2020110010585U KR 20110010585 U KR20110010585 U KR 20110010585U KR 200460706 Y1 KR200460706 Y1 KR 2004607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eans
split nut
barrel
outer barrel
inner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5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상규
서원기
Original Assignee
서원기
곽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원기, 곽상규 filed Critical 서원기
Priority to KR20201100105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7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7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7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1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a pressure ring being arranged between the clamping ring and the threaded member or the connect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프링클러 헤드를 급수배관에 설치하여 지지하기 위한 소화설비 배관 이음쇠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수직관통되는 중공부를 구성하되, 하부에는 제1결합수단이 구성된 외측배럴; 외경에 밀폐멈춤수단과 수나사를 구성하여 외측배럴의 내경에 삽입되는 길이조절부와, 상기 길이조절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몸체부를 구성한 내측배럴; 분할되어 서로 조립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결합수단에 대응되는 제2결합수단과, 수나사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를 각각 구성한 분할너트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측배럴의 제1결합수단은 다각형상으로 형성되고, 분할너트부의 제2결합수단은 제1결합수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분할너트부의 외경에는 고정부싱이 설치되어 분할너트부가 외측배럴에 결합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을 이용하면, 분할되어 서로 조립되는 분할너트부와 상기 분할너트부의 외경에 끼워지는 고정부싱에 의해 외측배럴과 내측배럴의 결합을 손쉽게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측배럴의 튼튼한 제작과 더불어 내측배럴의 상, 하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 및 검사 필요시 분할너트부의 분리를 통하여 외측배럴의 분리 없이도 내측배럴을 손쉽게 탈착시킬 수 있어 유지보수 및 검사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소화설비 배관 이음쇠{A pipe connector for the firefighting equipment}
본 고안은 소화설비 배관 이음쇠에 관한 것으로, 분할되어 서로 조립되는 분할너트부와 상기 분할너트부의 외경에 끼워지는 고정부싱에 의해 외측배럴과 내측배럴의 결합을 손쉽게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측배럴의 튼튼한 제작과 더불어 내측배럴의 상, 하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 및 검사 필요시 분할너트부의 분리를 통하여 외측배럴의 분리 없이도 내측배럴을 손쉽게 탈착시킬 수 있어 유지보수 및 검사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소화설비 배관 이음쇠에 관한 것이다.
초기 소화의 이점으로 고층 빌딩, 고층 아파트, 극장, 백화점 등은 소방법으로 스프링클러(SPRINKLER)의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스프링클러에 대한 기본적인 요건은 한국산업규격(KS) 규격번호 KSBISO6182-1 내지 10으로 규정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클러는 감열체의 형태, 살수분포 형태, 설치위치, 감도특성 및 특수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분류되고 있는데, 기본적으로 열을 감지하는감열체가 조립되어 있고, 이 감열체가 미리 정해진 온도에서 자동으로 작동하므로써 방수구(오리피스)가 개방되어 설계영역의 전체에 구체화된 분무형태와 일정한 양의 물을 자동으로 방출하도록 설계된다.
아울러, 스프링클러는 설치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배관이음쇠를 통하여 급수배관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데, 천장 위에 형성된 공간의 높이가 구조물마다 각기 다르기 때문에 상, 하 방향으로 길이 조절을 할 수 있도록 설계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42133인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는 외측배럴과 내측배럴의 나사결합을 위해서는 내측배럴을 외측배널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삽입시켜야 하였으며, 이를 위해서는 내측배럴의 하부 외경이 외측배널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야만 했다.
또한, 상기 내측배럴의 하부에는 외측배럴의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멈추게 하는 멈춤링이 끼워져야 하기 때문에 내측배럴의 하부 측 외경에 홈을 형성할 수밖에 없었고, 내측배럴의 상하 이동을 위해 내측배럴의 하부 측 외경에 공구체결부를 다각 형상으로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하부 외경의 일부를 깍아 낼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정해진 규격 안에서 체결되어야 하는 것에 의해 기계적인 구조와 물리적인 조립 압력을 버티기 힘든 두께로 제작되는 내측배널의 하부가 공구체결부로 인해 더욱 얇아지기 때문에 스플링클러 헤드의 결합시 내측배널의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소방수의 강한 압력에 의해 결합부위가 터지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배럴의 두께가 얇게 제작되는 것은, 소화설비에서 사용되는 외측배럴과, 스프링클러 헤드 등이 규격나사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배럴의 내경 크기를 임의의 규격으로 제작할 수 없기 때문이다.
아울러, 하자 발생에 따른 교체시에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내측배널에서 분리함은 물론, 외측배럴을 급수배관에서 분리하고, 내측배널에 끼워진 멈춤링을 벗겨낸 다음, 공구체결부에 공구를 결합하여 나사결합된 외측배널과 내측배널의 결합을 해제하는 일련의 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하자 발생에 따른 유지보수가 복잡한 문제점가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설비 배관 이음쇠를 고안하기에 이르렀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소화설비 배관 이음쇠는, 내부에 수직관통되는 중공부를 구성하되, 하부에는 제1결합수단이 구성된 외측배럴; 외경에 밀폐멈춤수단과 수나사를 구성하여 외측배럴의 내경에 삽입되는 길이조절부와, 상기 길이조절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몸체부를 구성한 내측배럴; 분할되어 서로 조립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결합수단에 대응되는 제2결합수단과, 수나사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를 각각 구성한 분할너트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측배럴의 제1결합수단은 다각형상으로 형성되고, 분할너트부의 제2결합수단은 제1결합수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분할너트부의 외경에는 고정부싱이 설치되어 분할너트부가 외측배럴에 결합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내부에 수직관통되는 중공부를 구성하되, 하부에는 제1결합수단이 구성된 외측배럴; 외경에 밀폐멈춤수단과 수나사를 구성하여 외측배럴의 내경에 삽입되는 길이조절부와, 상기 길이조절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몸체부를 구성한 내측배럴; 분할되어 서로 조립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결합수단에 대응되는 제2결합수단과, 수나사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를 각각 구성한 분할너트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측배럴의 제1결합수단은 상광하협형상의 홈으로 형성되고, 분할너트부의 제2결합수단은 제1결합수단에 대응되는 형상의 돌부로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수단이 제1결합수단에 끼워지며, 상기 분할너트부의 외경에는 고정부싱이 설치되어 분할너트부가 외측배럴에 결합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소화설비 배관 이음쇠는 분할되어 서로 조립되는 분할너트부와 상기 분할너트부의 외경에 끼워지는 고정부싱에 의해 외측배럴과 내측배럴의 결합을 손쉽게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측배럴이 외측배럴의 하측 방향에서 상측 방향으로 끼워지는 구조로 되어 있어 스프링클러 헤드가 결합되는 내측배럴의 하부를 두껍게 하여 튼튼하게 제작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내측배럴의 상측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할너트부를 통한 체결시에는 상기 내측배럴에 구성된 밀폐멈춤수단이 분할너트부에 구성된 암나사에 걸리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배럴의 내경에 끼워진 상태로 길이의 조절을 이루는 내측배럴이 외측배럴에서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유지보수 및 검사가 요구될 때에는 분할너트부의 분리를 통하여 외측배럴의 분리 없이도 내측배럴을 손쉽게 탈착시킬 수 있어 유지보수 및 검사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소화설비 배관 이음쇠를 이용하여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한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소화설비 배관 이음쇠의 길이를 조절한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 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소화설비 배관 이음쇠의 길이를 조절한 상태도.
도 9, 10은 본 고안의 고정부싱에 경사각을 형성한 상태도.
본 고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클러 헤드(1)를 급수배관(9)에 설치하여 지지하기 위한 소화설비 배관 이음쇠에 관한 것으로, 외측배럴(10)과, 내측배럴(20)과, 분할너트부(30)와, 고정부싱(40)로 구성된다.
먼저, 외측배럴(1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직관통되는 중공부(11)를 구성한 것으로, 하부에는 제1결합수단(15)이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삭제
그리고, 상기 외측배럴(10)은 통상의 금속재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사출성형을 통해 손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CPVC와 같은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외측배럴(10)을 합성수지재로 제작하면, 급수배관(9)에 설치시 본드와 같은 통상의 결합부재를 이용해서 손쉽게 결합을 이룰 수 있으며, 외측배럴(10)의 외경에 통상의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급수배관(9)과 나사결합을 이룰 수도 있게 된다.
또한, 내측배럴(20)은 외측배럴(10)의 중공부(11) 즉, 내경에 삽입되는 것으로, 외경에는 밀폐멈춤수단(21)과 수나사(23)를 구성한 길이조절부(25)가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상기 길이조절부(25)의 하부에는 길이조절부(25)에 일체로 형성되는 몸체부(29)가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29)는 공구(미도시)의 체결을 위하여 육각, 팔각 등과 같은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내측배럴(20)이 외측배럴(10)의 상측 방향으로 삽입되는 양을 제한할 수 있도록 외측배럴(1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상기 밀폐멈춤수단(21)에는 통상의 오링(21a)이 끼워지는 끼움홈(21b)이 형성되어 있어 외측배럴(10)과 내측배럴(20)의 결합시 수밀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내측배럴(20)은 통상의 금속재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사출성형을 통해 손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CPVC와 같은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내측배럴(20)에 구성된 몸체부(29)의 내경에는 통상의 체결수단(27)이 설치되는데, 상기 체결수단(27)은 금속재로써 인써트 방식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몸체부(29)의 외경에는 스프링클러 헤드(1)가 체결수단(27)에 체결될 시에 파손되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통상의 링부재(미도시)를 끼워서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분할너트부(30)는 분할되어 서로 조립됨으로써 너트형상을 갖는 구성으로, 상기 제1결합수단(15)에 대응되는 제2결합수단(31)을 구성하여 외측배럴(10)과 결합을 이루도록 되어 있으며, 내측배럴(20)의 길이조절부(25)에 구성된 수나사(23)와 나사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암나사(33)가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암나사(33)에 의하면, 외측배럴(10)의 내경에 삽입된 내측배럴(20)의 몸체부(29)가 암나사(33)에 걸리게 되어 내측배럴(20)이 외측배럴(10)에서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진다.
삭제
아울러, 상기 분할너트부(30)는 통상의 금속재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사출성형을 통해 손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CPVC와 같은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분할너트부(30)는 한 쌍 즉, 2개로 분리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2개가 아닌 다수로 분리하여 조립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외측배럴(10)의 제1결합수단(15)은 사각, 육각, 팔각과 같은 다각형상으로 형성하고, 분할너트부(30)의 제2결합수단(31)은 제1결합수단(15)에 대응되는 다각형상으로 형상으로 형성하여 분할너트부(30)가 외측배럴(10)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결합할 수 있을 것이며, 이때, 상기 분할너트부(30)의 외경에는 분할너트부(30)의 분리방지를 위해 고정부싱(40)이 꽉 끼워지도록 설치함으로써 분할너트부(30)의 결합설치를 완료해야만 한다.
또한, 상기 외측배럴(10)의 제1결합수단(15)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광하협형상의 홈으로 형성하고, 분할너트부(30)의 제2결합수단(31)은 제1결합수단(15)에 대응되는 형상의 돌부로 형성하여 상기 제2결합수단(31)이 제1결합수단(15)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분할너트부(30)가 외측배럴(10)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결합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때에도 상기 분할너트부(30)의 외경에는 분할너트부(30)의 분리방지를 위해 고정부싱(40)이 꽉 끼워지도록 설치함으로써 분할너트부(30)의 결합설치를 완료해야만 한다.
아울러, 도 8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싱(40)이 끼워지는 분할너트부(30)의 외경은 일측이 좁고 타측이 넓은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분할너트부(30)의 외경에 경사각(α)을 형성하여 고정부싱(40)의 결합시 분할너트부(30)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분할너트부(30)에 형성되는 경사각(α)은 1 ~ 3˚ 정도의 작은 각으로도 충분할 것이다. 그리고, 분할너트부(30)의 외경에 경사각(α)을 줄 때에는 고정부싱(40)의 내경에도 경사각(미도시)을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때, 상기 고정부싱(40)에 형성되는 경사각은 분할너트부(30)에 형성되는 경사각보다 작은 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기 고정부싱(40)은 분할너트부(30)가 분리되는 것만 방지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금속재나 합성수지재에 관계없이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며, 고정부싱(40)이 결합되는 분할너트부(30)의 외경은 고정부싱(40)이 끼워지는 방향에 따라서 내측배럴(20)에 구성된 몸체부(29)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측배럴(10)의 상부를 본드와 같은 결합부재 또는 나사결합을 통하여 급수배관(9)에 결합한 후, 내측배럴(20)에 구성된 밀폐멈춤수단(21)에 오링(21a)을 끼우고, 내측배럴(20)의 상부를 외측배럴(10)의 내경에 삽입한다.
그 후에는, 분할너트부(30)에 구성된 암나사(33)를 내측배럴(20)의 수나사(23)에 맞춰 끼움과 동시에 분할너트부(30)의 제2결합수단(31)이 외측배럴(10)의 제1결합수단(15)에 끼워지도록 하여 외측배럴(10)과 내측배럴(20) 및 분할너트부(30)를 결합하고, 상기 분할너트부(30)의 외경에 고정부싱(40)을 꽉 끼워 결합하는 것으로, 외측배럴(10)과 내측배럴(20)과 분할너트부(30) 및 고정부싱(40)으로 구성된 본 고안의 소화설비 배관 이음쇠(50)의 결합을 이룬다.
여기서, 상기 외측배럴(10)을 급수배관(9)에 결합하는 것은, 외측배럴(10)에 내측배럴(20)과 분할너트부(30)의 결합을 이룬 후에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소화설비 배관 이음쇠(50)의 결합을 이룬 후에는, 천장(3) 위에 형성된 공간에 따라 내측배럴(20)에 구성된 몸체부(29)를 공구를 이용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길이조절부(25)를 통한 내측배럴(20)의 길이조절을 완료한 다음, 상기 몸체부(29)의 내경에 설치된 체결수단(27)에 스프링클러 헤드(1)를 결합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소화설비 배관 이음쇠(50)를 이용한 스프링클러 헤드(1)의 장착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유지보수 및 검사가 요구될 시에는, 스프링클러 헤드(1)를 내측배럴(20)에서 분리한 후, 분할너트부(30)의 외경에 끼워진 고정부싱(40)을 탈착시킴으로써 분할너트부(30)의 분할을 이룰 수 있으며, 상기 분할너트부(30)의 분할에 의하면, 제1, 2결합수단(15, 31)의 결합이 해제되어 급수배관(9)에 결합된 외측배럴(10)을 분리하지 않고도 내측배럴(2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분해 조립이 용이하므로, 유지 보수 및 검사를 손쉽게 이룰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는 특정 실시 예를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특정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변화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첨부된 청구범위를 통해 알 수 있을 것이다.
α : 경사각 1 : 스프링클러 헤드
3 : 천장 9 : 급수배관
10 : 외측배럴 11 : 중공부
15 : 제1결합수단 20 : 내측배럴
21 : 밀폐멈춤수단 21a : 오링
21b : 끼움홈 23 : 수나사
25 : 길이조절부 27 : 체결수단
29 : 몸체부 30 : 분할너트부
31 : 제2결합수단 33 : 암나사
40 : 고정부싱 50 : 소화설비 배관 이음쇠

Claims (5)

  1. 스프링클러 헤드(1)를 급수배관(9)에 설치하여 지지하기 위한 소화설비 배관 이음쇠에 있어서,
    내부에 수직관통되는 중공부(11)를 구성하되, 하부에는 제1결합수단(15)이 구성된 외측배럴(10);
    외경에 밀폐멈춤수단(21)과 수나사(23)를 구성하여 외측배럴(10)의 내경에 삽입되는 길이조절부(25)와, 상기 길이조절부(25)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몸체부(29)를 구성한 내측배럴(20);
    분할되어 서로 조립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결합수단(15)에 대응되는 제2결합수단(31)과, 수나사(23)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33)를 각각 구성한 분할너트부(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측배럴(10)의 제1결합수단(15)은 다각형상으로 형성되고, 분할너트부(30)의 제2결합수단(31)은 제1결합수단(1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분할너트부(30)의 외경에는 고정부싱(40)이 설치되어 분할너트부(30)가 외측배럴(10)에 결합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소화설비 배관 이음쇠.
  2. 스프링클러 헤드(1)를 급수배관(9)에 설치하여 지지하기 위한 소화설비 배관 이음쇠에 있어서,
    내부에 수직관통되는 중공부(11)를 구성하되, 하부에는 제1결합수단(15)이 구성된 외측배럴(10);
    외경에 밀폐멈춤수단(21)과 수나사(23)를 구성하여 외측배럴(10)의 내경에 삽입되는 길이조절부(25)와, 상기 길이조절부(25)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몸체부(29)를 구성한 내측배럴(20);
    분할되어 서로 조립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결합수단(15)에 대응되는 제2결합수단(31)과, 수나사(23)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33)를 각각 구성한 분할너트부(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측배럴(10)의 제1결합수단(15)은 상광하협형상의 홈으로 형성되고, 분할너트부(30)의 제2결합수단(31)은 제1결합수단(15)에 대응되는 형상의 돌부로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수단(31)이 제1결합수단(15)에 끼워지며, 상기 분할너트부(30)의 외경에는 고정부싱(40)이 설치되어 분할너트부(30)가 외측배럴(10)에 결합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소화설비 배관 이음쇠.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너트부(30)의 외경은 일측이 좁고 타측이 넓은 형상으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소화설비 배관 이음쇠.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배럴(10)과 내측배럴(20)과 분할너트부(30)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소화설비 배관 이음쇠.
  5. 삭제
KR2020110010585U 2011-11-29 2011-11-29 소화설비 배관 이음쇠 KR2004607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585U KR200460706Y1 (ko) 2011-11-29 2011-11-29 소화설비 배관 이음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585U KR200460706Y1 (ko) 2011-11-29 2011-11-29 소화설비 배관 이음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0706Y1 true KR200460706Y1 (ko) 2012-06-13

Family

ID=46607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585U KR200460706Y1 (ko) 2011-11-29 2011-11-29 소화설비 배관 이음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70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353B1 (ko) * 2014-12-30 2016-05-12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세면기의 트랩배관 설치장치
KR101666769B1 (ko) * 2016-01-14 2016-10-14 (주)워터풀 수직 조절폭의 확대 및 미세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조절연결구
KR20180064646A (ko) 2016-12-06 2018-06-15 (주) 신테크 스프링클러 설비용 배관 연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208A (ja) * 1991-07-31 1993-02-09 Nohmi Bosai Ltd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の配管構造及び工法
JP2002200188A (ja) * 2000-12-28 2002-07-16 Senju Sprinkler Kk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取付継手
KR20110022752A (ko) * 2009-08-28 2011-03-08 최재진 소화용 배관파이프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208A (ja) * 1991-07-31 1993-02-09 Nohmi Bosai Ltd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の配管構造及び工法
JP2002200188A (ja) * 2000-12-28 2002-07-16 Senju Sprinkler Kk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取付継手
KR20110022752A (ko) * 2009-08-28 2011-03-08 최재진 소화용 배관파이프 연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353B1 (ko) * 2014-12-30 2016-05-12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세면기의 트랩배관 설치장치
KR101666769B1 (ko) * 2016-01-14 2016-10-14 (주)워터풀 수직 조절폭의 확대 및 미세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조절연결구
KR20180064646A (ko) 2016-12-06 2018-06-15 (주) 신테크 스프링클러 설비용 배관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0709Y1 (ko) 소화설비 배관 이음쇠
RU2598832C2 (ru) Спринклер сухого типа с различными схемами соединения
US10016644B2 (en) End bracket for sprinkler and fixing apparatus for sprinkler including the same
KR200460706Y1 (ko) 소화설비 배관 이음쇠
KR20090042133A (ko) 스프링클러 헤드의 배관접속기구
KR101128236B1 (ko) 스프링클러 장치
US20140158383A1 (en) Method and nozzle for firefighting
US20170043195A1 (en) Fire sprinkler water terminator
KR200472191Y1 (ko) 체결이 용이한 집열판을 갖는 상향식 스프링클러의 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상향식 스프링클러
KR20160142678A (ko) 스프링클러 연결구
CN103861230A (zh) 房顶自动喷淋灭火系统
US20110278026A1 (en) Sprinkler System With Rapid Installation
KR101823556B1 (ko) 스프링클러 헤드 장치
KR101647971B1 (ko) 소방용 스프링클러
KR101875129B1 (ko) 스프링클러 헤드 장치
JP6087633B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KR200398251Y1 (ko) 조기 반응형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
KR101171949B1 (ko) 소화용 스프링쿨러
KR102057664B1 (ko) 스프링클러용 다목적 커넥터
KR101171948B1 (ko) 소화용 스프링쿨러 시공방법
KR101877842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스프링클러 헤드 장치
KR102551462B1 (ko) 소방 배관 설치구조
KR101614214B1 (ko) 길이 조정이 가능한 스프링클러 헤드 조립체
KR20170001002U (ko) 밸브 일체형 스프링클러용 어댑터
KR20170001006U (ko) 압력계 교체용 안전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