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240B1 - 클린룸의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클린룸의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240B1
KR101705240B1 KR1020160019539A KR20160019539A KR101705240B1 KR 101705240 B1 KR101705240 B1 KR 101705240B1 KR 1020160019539 A KR1020160019539 A KR 1020160019539A KR 20160019539 A KR20160019539 A KR 20160019539A KR 101705240 B1 KR101705240 B1 KR 101705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hole
bolt
fixing nu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순
Original Assignee
임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영순 filed Critical 임영순
Priority to KR1020160019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2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린룸의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에 고정볼트로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에 스프링쿨러 헤드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천장과 마감재 사이의 높이가 낮은 곳에서도 시공이 가능하고 브라켓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 필요 없기 때문에 설치 위치에 제약을 받지 않는 클린룸의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클린룸의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bracket}
본 발명은 클린룸의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에 고정볼트로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에 스프링쿨러 헤드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천장과 마감재 사이의 높이가 낮은 곳에서도 시공이 가능하고 브라켓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 필요 없기 때문에 설치 위치에 제약을 받지 않는 클린룸의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쿨러 헤드가 결합되는 결합부재는 천장 내부에서 각종 배선을 취부하기 위하여 설치된 사각 지지프레임 구조물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에 결합된다.
종래 스프링쿨러는 천장 내부에 설치된 사각 지지프레임 구조물과 상기 사각 지지프레임 구조물에 개구부를 통해 삽입부에 끼워지게 결합되는 브라켓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브라켓에 끼워져 한쪽은 소화용수 배관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스프링쿨러 헤드가 결합되는 결합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의 스프링쿨러 설치구조는 천장 내부에 브라켓이 설치되는 사각 지지 프레임 구조물이 필요하기 때문에 스프링쿨러 헤드의 위치가 사각 지지 프레임 구조물이 있는 위치로 제한되며 브라켓의 높이 조절이 불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물의 층간 높이가 낮아지는 추세로 인해 천장의 높이가 사각 지지 프레임 구조물을 설치할 수 없을 정도로 낮은 건물의 경우 스프링쿨러를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천장에 고정볼트로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에 스프링쿨러 헤드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천장과 마감재 사이의 높이가 낮은 곳에서도 시공이 가능하고 브라켓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 필요 없기 때문에 설치 위치에 제약을 받지 않는 클린룸의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판넬(200)의 관통홀(202)을 관통하여 상부고정너트(20)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판넬(200)의 하부면을 고정하도록 본체가 너트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장착볼트(10)의 외측하부볼트(13)가 결합 될 수 있도록 너트의 중앙에 관통홀너트(32)가 형성되어 있고, 걸림턱(34)에 오링홈(36)이 형성된 하부고정너트(30); 판넬(200)의 관통홀(202)을 관통하여 하부고정너트(30)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판넬(200)의 상부면을 고정하도록 본체가 너트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장착볼트(10)의 외측중간볼트(11)가 결합될 수 있도록 너트의 중앙에 관통홀너트(22)가 형성되어 있고, 걸림턱(24)에 오링홈(26)이 형성된 상부고정너트(20); 상부고정너트(20)의 관통홀너트(22), 판넬(200)의 관통홀(202) 및 하부고정너트(30)의 관통홀너트(32)를 관통하여 스프링쿨러헤드(1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본체가 볼트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쿨러연결관(110)과 연결될 수 있도록 볼트의 중앙에 관통홀(12)이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쿨러헤드(100)의 볼트(101)와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홀(12)의 하부가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관통홀(12)의 내벽에 관통홀너트(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쿨러연결관(110)의 너트(112)와 결합 될 수 있도록 외면 상부에 외면상부볼트(15)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고정너트(20)의 관통홀너트(22)와 결합될 수 있도록 외면 중간에 외면중간볼트(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고정너트(30)의 관통홀너트(32)와 결합될 수 있도록 외면 하부에 외면하부볼트(13)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장착볼트(10); 하부고정너트(30)의 관통홀너트(32), 판넬(200)의 관통홀(202) 및 상부고정너트(20)의 관통홀너트(22)를 관통하여 상부장착볼트(10)의 관통홀너트(14)와 결합될 수 있도록 볼트(101)가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쿨러헤드(100); 상부장착볼트(10)의 외면상부볼트(15)에 결합 될 수 있도록 하단에 너트(112)가 형성된 스프링쿨러연결관(110); 상부고정너트(20)의 오링홈(26)에 장착된 오링(40); 하부고정너트(30)의 오링홈(36)에 장착된 오링(50); 및 상부장착볼트(10)의 외면중간볼트(11) 상단에 장착된 오링(6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의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천장에 고정볼트로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에 스프링쿨러 헤드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천장과 마감재 사이의 높이가 낮은 곳에서도 시공이 가능하고 브라켓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 필요 없기 때문에 설치 위치에 제약을 받지 않는 클린룸에 설치가 용이한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브라켓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브라켓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브라켓을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브라켓을 나타낸 분해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판넬(200)의 관통홀(202)을 관통하여 상부고정너트(20)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판넬(200)의 하부면을 고정하도록 본체가 너트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장착볼트(10)의 외측하부볼트(13)가 결합 될 수 있도록 너트의 중앙에 관통홀너트(32)가 형성되어 있고, 걸림턱(34)에 오링홈(36)이 형성된 하부고정너트(30); 판넬(200)의 관통홀(202)을 관통하여 하부고정너트(30)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판넬(200)의 상부면을 고정하도록 본체가 너트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장착볼트(10)의 외측중간볼트(11)가 결합될 수 있도록 너트의 중앙에 관통홀너트(22)가 형성되어 있고, 걸림턱(24)에 오링홈(26)이 형성된 상부고정너트(20); 상부고정너트(20)의 관통홀너트(22), 판넬(200)의 관통홀(202) 및 하부고정너트(30)의 관통홀너트(32)를 관통하여 스프링쿨러헤드(1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본체가 볼트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쿨러연결관(110)과 연결될 수 있도록 볼트의 중앙에 관통홀(12)이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쿨러헤드(100)의 볼트(101)와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홀(12)의 하부가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관통홀(12)의 내벽에 관통홀너트(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쿨러연결관(110)의 너트(112)와 결합 될 수 있도록 외면 상부에 외면상부볼트(15)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고정너트(20)의 관통홀너트(22)와 결합될 수 있도록 외면 중간에 외면중간볼트(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고정너트(30)의 관통홀너트(32)와 결합 될 수 있도록 외면 하부에 외면하부볼트(13)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장착볼트(10); 하부고정너트(30)의 관통홀너트(32), 판넬(200)의 관통홀(202) 및 상부고정너트(20)의 관통홀너트(22)를 관통하여 상부장착볼트(10)의 관통홀너트(14)와 결합 될 수 있도록 볼트(101)가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쿨러헤드(100); 상부장착볼트(10)의 외면상부볼트(15)에 결합 될 수 있도록 하단에 너트(112)가 형성된 스프링쿨러연결관(110); 상부고정너트(20)의 오링홈(26)에 장착된 오링(40); 하부고정너트(30)의 오링홈(36)에 장착된 오링(50); 및 상부장착볼트(10)의 외면중간볼트(11) 상단에 장착된 오링(6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의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본 발명에서 하부고정너트(30)는 판넬(200)의 관통홀(202)을 관통하여 상부고정너트(20)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판넬(200)의 하부면을 고정하도록 본체가 너트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장착볼트(10)의 외측하부볼트(13)가 결합될 수 있도록 너트의 중앙에 관통홀너트(32)가 형성되어 있고, 걸림턱(34)에 오링홈(3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고정너트(20)는 판넬(200)의 관통홀(202)을 관통하여 하부고정너트(30)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판넬(200)의 상부면을 고정하도록 본체가 너트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장착볼트(10)의 외측중간볼트(11)가 결합될 수 있도록 너트의 중앙에 관통홀너트(22)가 형성되어 있고, 걸림턱(24)에 오링홈(26)이 형성되어 있어 스프링쿨러 헤드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천장과 마감재 사이의 높이가 낮은 곳에서도 시공이 가능하고 브라켓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 필요 없기 때문에 설치 위치에 제약을 받지 않는 클린룸에 설치가 용이하다.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부장착볼트(10)는 상부고정너트(20)의 관통홀너트(22), 판넬(200)의 관통홀(202) 및 하부고정너트(30)의 관통홀너트(32)를 관통하여 스프링쿨러헤드(100)와 결합 될 수 있도록 본체가 볼트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쿨러연결관(110)과 연결될 수 있도록 볼트의 중앙에 관통홀(12)이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쿨러헤드(100)의 볼트(101)와 결합 될 수 있도록 관통홀(12)의 하부가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관통홀(12)의 내벽에 관통홀너트(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쿨러연결관(110)의 너트(112)와 결합될 수 있도록 외면 상부에 외면상부볼트(15)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고정너트(20)의 관통홀너트(22)와 결합 될 수 있도록 외면 중간에 외면중간볼트(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고정너트(30)의 관통홀너트(32)와 결합 될 수 있도록 외면 하부에 외면하부볼트(13)가 형성되어 있어 스프링쿨러 헤드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천장과 마감재 사이의 높이가 낮은 곳에서도 시공이 가능하고 브라켓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 필요 없기 때문에 설치 위치에 제약을 받지 않는 클린룸에 설치가 용이하다.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본 발명에서 스프링쿨러헤드(100)는 하부고정너트(30)의 관통홀너트(32), 판넬(200)의 관통홀(202) 및 상부고정너트(20)의 관통홀너트(22)를 관통하여 상부장착볼트(10)의 관통홀너트(14)와 결합될 수 있도록 볼트(101)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쿨러연결관(110)은 상부장착볼트(10)의 외면상부볼트(15)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단에 너트(112)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고정너트(20)의 오링홈(26)에 오링(40)이 장착되어 있으며, 하부고정너트(30)의 오링홈(36)에 오링(50)이 장착되어 있고, 상부장착볼트(10)의 외면중간볼트(11) 상단에 오링(60)이 장착되어 있어 각 부품이 단단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고압으로 배출되는 수압으로 인하여 판넬과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부고정너트와 하부고정너트는 판넬에 결합력을 높이도록 다수개의 돌출돌기가 형성되어 판넬을 밀착하여 풀리지 않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이 있다.
10: 상부장착볼트 20: 상부고정너트
30: 하부고정너트 200: 판넬
202: 관통홀 13: 외측하부볼트
24: 걸림턱 26: 오링홈
100: 스프링쿨러헤드 110: 스프링쿨러연결관

Claims (2)

  1. 판넬에 스프링쿨러헤드를 고정하기 위해 상부고정너트와 하부고정너트를 서로 밀착하여 상부장착 볼트와 결합하여 고정되는 클린룸의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에 있어서,
    판넬(200)의 관통홀(202)을 관통하여 상부고정너트(20)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판넬(200)의 하부면을 고정하도록 본체가 너트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장착볼트(10)의 외측하부볼트(13)가 삽입이 되도록 너트의 중앙에 관통홀너트(32)가 형성되어 있고, 걸림턱(34)에 오링홈(36)이 형성된 하부고정너트(30);
    판넬(200)의 관통홀(202)을 관통하여 하부고정너트(30)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판넬(200)의 상부면을 고정하도록 본체가 너트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장착볼트(10)의 외측하부볼트(13)가 결합될 수 있도록 너트의 중앙에 관통홀너트(22)가 형성되어 있고, 걸림턱(24)에 오링홈(26)이 형성된 상부고정너트(20);
    상부고정너트(20)의 관통홀너트(22), 판넬(200)의 관통홀(202) 및 하부고정너트(30)의 관통홀너트(32)를 관통하여 스프링쿨러헤드(1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본체가 볼트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쿨러연결관(110)과 연결될 수 있도록 볼트의 중앙에 관통홀(12)이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쿨러헤드(100)의 볼트(101)와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홀(12)의 하부가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관통홀(12)의 내벽에 관통홀너트(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쿨러연결관(110)의 너트(112)와 결합될 수 있도록 외면 상부에 외면상부볼트(15)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고정너트(20)의 관통홀너트(22)와 결합될 수 있도록 외면 중간에 외면중간볼트(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고정너트(30)의 관통홀너트(32)와 결합될 수 있도록 외면 하부에 외면하부볼트(13)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장착볼트(10);
    하부고정너트(30)의 관통홀너트(32), 판넬(200)의 관통홀(202) 및 상부고정너트(20)의 관통홀너트(22)를 관통하여 상부장착볼트(10)의 관통홀너트(14)와 결합될 수 있도록 볼트(101)가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쿨러헤드(100);
    상부장착볼트(10)의 외면상부볼트(15)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단에 너트(112)가 형성된 스프링쿨러연결관(110);
    상부고정너트(20)의 오링홈(26)에 장착된 오링(40);
    하부고정너트(30)의 오링홈(36)에 장착된 오링(50); 및
    상부장착볼트(10)의 외면중간볼트(11) 상단에 장착된 오링(60)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상부고정너트와 하부고정너트는 판넬에 결합력을 높이도록 다수개의 돌출돌기가 형성되어 판넬을 밀착하여 풀리지 않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의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2. 삭제
KR1020160019539A 2016-02-19 2016-02-19 클린룸의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KR101705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539A KR101705240B1 (ko) 2016-02-19 2016-02-19 클린룸의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539A KR101705240B1 (ko) 2016-02-19 2016-02-19 클린룸의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240B1 true KR101705240B1 (ko) 2017-02-09

Family

ID=58154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539A KR101705240B1 (ko) 2016-02-19 2016-02-19 클린룸의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24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395B1 (ko) 2017-11-06 2018-04-27 (주)삼삼이엔지 화재발생의 신속 확인 및 진압 가능한 소방용 방재장치
KR101839393B1 (ko) 2017-10-18 2018-04-27 주식회사 진일기술단 스프링클러 연결형 소방방재장치
KR101857230B1 (ko) * 2017-12-01 2018-05-11 (주)케이아이기술단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1859665B1 (ko) * 2017-11-30 2018-05-18 주식회사 진일기술단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 진압을 위한 소방장치
KR20210045006A (ko) * 2019-10-16 2021-04-26 승진산업 (주) 관통 체결 유닛
KR102274961B1 (ko) * 2020-08-11 2021-07-07 독일에프에이유에를랑겐유체역학연구소 부산지사 3d 프린팅 기반 유체출입용 커넥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20118793A (ko) * 2021-02-19 2022-08-26 승진산업 (주)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6668A (ko) * 2005-08-05 2007-02-08 넥스트론시스템즈(주)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KR101009277B1 (ko) * 2010-04-09 2011-01-18 승진산업 (주)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KR101062141B1 (ko) * 2011-01-12 2011-09-05 승진산업 (주)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KR20110125090A (ko) * 2010-05-12 2011-11-18 주식회사 플러스이엔지 소화용 스프링쿨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6668A (ko) * 2005-08-05 2007-02-08 넥스트론시스템즈(주)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KR101009277B1 (ko) * 2010-04-09 2011-01-18 승진산업 (주)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KR20110125090A (ko) * 2010-05-12 2011-11-18 주식회사 플러스이엔지 소화용 스프링쿨러
KR101062141B1 (ko) * 2011-01-12 2011-09-05 승진산업 (주)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393B1 (ko) 2017-10-18 2018-04-27 주식회사 진일기술단 스프링클러 연결형 소방방재장치
KR101839395B1 (ko) 2017-11-06 2018-04-27 (주)삼삼이엔지 화재발생의 신속 확인 및 진압 가능한 소방용 방재장치
KR101859665B1 (ko) * 2017-11-30 2018-05-18 주식회사 진일기술단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 진압을 위한 소방장치
KR101857230B1 (ko) * 2017-12-01 2018-05-11 (주)케이아이기술단 소방배관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20210045006A (ko) * 2019-10-16 2021-04-26 승진산업 (주) 관통 체결 유닛
KR102243874B1 (ko) * 2019-10-16 2021-04-27 승진산업 (주) 관통 체결 유닛
KR102274961B1 (ko) * 2020-08-11 2021-07-07 독일에프에이유에를랑겐유체역학연구소 부산지사 3d 프린팅 기반 유체출입용 커넥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20118793A (ko) * 2021-02-19 2022-08-26 승진산업 (주)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
KR102581816B1 (ko) * 2021-02-19 2023-09-22 승진산업 (주) 소방용 레듀셔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240B1 (ko) 클린룸의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EP3511607B1 (en) Ceiling lamp structure
KR102286752B1 (ko) 건축물의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KR101312528B1 (ko) 커튼월 고정장치
KR102104832B1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2156232B1 (ko)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KR102225868B1 (ko)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스페이서
KR101589365B1 (ko) 조명등 장치
RU2008104325A (ru) Стандартная система со сжатым стержнем для вантовой фасад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KR200329043Y1 (ko) 스프링클러헤드 고정 구조
KR20170126229A (ko) 내진형 와이어웨이 시스템
KR102169713B1 (ko) 배선덕트일체형 스피커조립체
KR102180546B1 (ko)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WO2018099171A1 (zh) 壁挂结构、壁挂设备及壁挂整机
KR100822946B1 (ko)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JP2008093253A (ja) ラックの連結構造
KR200274207Y1 (ko) 소화용 스프링쿨러의 레듀샤 고정구조
KR200489158Y1 (ko) 창틀용 지지대
KR200433347Y1 (ko) 케이블지지 구
KR200369350Y1 (ko) 스프링쿨러헤드의 장착 장치
KR200416872Y1 (ko) 가습기 연결을 위한 환기장치용 행거
KR101644099B1 (ko) 천장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
US1179614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unting recessed light fixtures
KR101894281B1 (ko) 내진용 엘이디 조명등 설치구조
JP2013060801A (ja) 天井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