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5006A - 관통 체결 유닛 - Google Patents

관통 체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5006A
KR20210045006A KR1020190128187A KR20190128187A KR20210045006A KR 20210045006 A KR20210045006 A KR 20210045006A KR 1020190128187 A KR1020190128187 A KR 1020190128187A KR 20190128187 A KR20190128187 A KR 20190128187A KR 20210045006 A KR20210045006 A KR 20210045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ucer
tube
ceiling
detachable memb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8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3874B1 (ko
Inventor
정운택
Original Assignee
승진산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승진산업 (주) filed Critical 승진산업 (주)
Priority to KR1020190128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874B1/ko
Priority to US17/069,249 priority patent/US20210113872A1/en
Publication of KR20210045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24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ttached to ladders, poles, towers, or other structures with or without rotary hea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06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straight thr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2Sealing the pipe being cut in two pie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에 위치되어 레듀셔를 둘러싸면서 천장에 고정되는 관수용 구조물, 관수용 구조물과 레듀셔 사이에서 레듀셔를 둘러싸는 탈부착 부재, 및 탈부착 부재 주변에서 레듀셔와 함께 탈부착 부재를 덮으며 관수용 구조물과 탈부착 부재 사이에서 레듀셔를 둘러싸고 관수용 구조물과 나사선 결합하는 조임 관을 포함하고, 조임 관은 관수용 구조물과 탈부착 부재 사이에서 레듀셔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수용 구조물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여 레듀셔에 탈부착 부재를 밀착시키거나 레듀셔로부터 탈부착 부재를 이격시킨다.

Description

관통 체결 유닛{THROUGH FASTENING UNI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소방 시설에서 건축물의 천장(ceiling)의 상부 측과 하부 측에 소방 시설의 신축 배관과 스프링클러(sprinkler)를 각각 장착시키기 위해 신축 배관과 스프링클러를 연결하고 천장을 관통하는 원통 형의 레듀셔(reducer)를 천장에 고정시키는 관통 체결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센터 브라켓(center bracket)은, 건축물의 천장을 관통하는 원통형의 레듀셔에 신축 배관과 스프링클러를 연결하여 천장의 상부 측에 신축 배관과 천장의 하부 측에 스프링클러를 위치시키기 위해, 'ㄷ' 자형으로 이루어져 천장의 하부 측 또는 상부 측에서 레듀셔를 둘러싸서 레듀셔를 천장에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상기 센터 브라켓은, 건축물의 T형 그리드 천장(T-grid ceiling)에서 사각 그리드 중 마주하는 양 그리드에 측면 브라켓(side bracket)들을 제1 볼트로 고정시키고 센터 브라켓의 일측에 사각 지지바를 끼운 상태에서 사각 지지바의 양 단을 측면 브라켓들에 연결 고정시킨 후, 센터 브라켓의 타측에 원형의 레듀셔를 수용하여 사각 지지바 상에 레듀셔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센터 브라켓은 타측에서 원형의 삽입 홀을 가지며 삽입 홀을 통해 레듀셔를 수용하여 센터 브라켓에 레듀셔를 관통시킨다. 상기 레듀셔와 사각 지지바는 센터 브라켓의 내부에서 마주한다. 또한, 상기 사각 지지바는 센터 브라켓의 주변으로부터 시작하여 센터 브라켓을 관통하고 사각 지지바와 접촉하는 제2 볼트를 사용하여 센터 브라켓에서 레듀셔를 향해 밀려 레듀셔에 접촉된다.
이후로, 상기 레듀셔는 사각 그리드의 최하위 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천장의 상부 측에서 신축 배관과 연결되고 천장의 하부 측에서 스프링클러와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 센터 브라켓은 원형의 삽입 홀을 사용하여 삽입 홀을 통해 상기 레듀셔와 선 접촉을 하기 때문에 건축물의 자연 재해와 관련된 진동과 스프링클러의 소방수 방출 관련한 진동 동안 천장에 레듀셔를 견고하게 잡아둘 수 없다.
또한, 상기 센터 브라켓은, 제2 볼트의 가압 상태를 이용하여 사각 지지바를 통해 사각 지지바와 레듀셔의 점 점촉을 유도하지만 레듀셔와 선 접촉 대비 취약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볼 때, 내부 형상(=센터 브라켓의 자체 구조)을 바탕으로 외부 형상(=사각 지지바 및 제2 볼트의 결합 구조)을 보충해도 레듀셔의 움직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없다.
또한, 상기 센터 브라켓은, 내부 형상을 바탕으로 외부 형상을 보충하기 위해 별도 구조물(=측면 브라켓들 및 제1 볼트)을 사용하기 때문에 천장의 사각 그리드에 복잡한 형상을 어렵게 구현하고 T 형 그리드 천장에 어려운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한편, 상기 센터 브라켓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2459호에 종래기술로서 유사하게 개시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2459호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건축물의 소방 시설에서 천장에 레듀셔를 고정하기 위해 천장의 일부에 단순한 형상을 구현하여 천장의 전체에 간단한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데 적합한 관통 체결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통 체결 유닛은, 건축물의 소방 시설에서 상기 건축물의 천장의 상부 측과 하부 측에 상기 소방 시설의 신축 배관과 스프링클러를 각각 장착시키기 위해 상기 신축 배관과 상기 스프링클러를 연결하고 상기 천장을 관통하는 원통형의 레듀셔를 상기 천장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천장에 위치되어 상기 레듀셔를 둘러싸면서 상기 천장에 고정되는 관수용 구조물; 상기 관수용 구조물과 상기 레듀셔 사이에서 상기 레듀셔를 둘러싸는 탈부착 부재; 및 상기 탈부착 부재 주변에서 상기 레듀셔와 함께 상기 탈부착 부재를 덮으며 상기 관수용 구조물과 상기 탈부착 부재 사이에서 상기 레듀셔를 둘러싸고 상기 관수용 구조물과 나사선 결합하는 조임 관을 포함하고, 상기 조임 관은 상기 관수용 구조물과 상기 탈부착 부재 사이에서 상기 레듀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관수용 구조물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여 상기 레듀셔에 상기 탈부착 부재를 밀착시키거나 상기 레듀셔로부터 상기 탈부착 부재를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수용 구조물은, 상기 레듀셔를 둘러싸면서 상기 천장의 상기 상부 측에 위치되거나 상기 천장의 상기 상부 측과 상기 하부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관수용 구조물이 상기 천장의 상기 상부 측에 위치되는 때, 상기 관수용 구조물은, 상기 천장의 상기 상부 측에 수용 관과 관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 관과 상기 관 고정 브라켓은 서로에 대해 결합하여 상기 관 고정 브라켓을 통해 상기 천장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관 고정 브라켓은, 상기 천장에서 평평한 단편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관 고정 브라켓의 중앙 영역에 상기 수용 관과 상기 레듀셔를 관통시키는 고정 링과, 상기 관 고정 브라켓의 양 가장자리에서 개별 가장자리의 단부로부터 상기 중앙 영역을 향해 소정 폭으로 절개되어 상기 천장에 나사 부재를 삽입시키는 결합 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용 관은, 상기 관 고정 브라켓 상에서 플랜지 형상을 가지고, 상기 관 고정 브라켓의 상기 고정 링에 삽입되어 상기 레듀셔를 둘러싸고, 상기 관 고정 브라켓의 상기 고정 링을 통해 상기 관 고정 브라켓과 나사선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관수용 구조물이 상기 천장의 상기 상부 측과 상기 하부 측에 위치되는 때, 상기 관수용 구조물은, 제1 수용 관과 제2 수용 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 관과 상기 제2 수용 관은 상기 천장의 상기 상부 측과 상기 하부 측에서 제1 및 제2 플랜지 형상을 이루며 서로에 대해 결합하여 상기 천장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 관은, 상기 천장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레듀셔를 둘러싸고, 상기 천장의 내부에서 상기 레듀셔의 외주 면을 따라 밀착되거나 상기 레듀셔의 상기 외주 면에 부분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천장을 관통하고, 상기 천장의 상기 하부 측에서 상기 천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레듀셔와 함께 동일 레벨에 단부를 가지고, 상기 천장의 상기 상부 측에서 상기 제1 수용 관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제1 플랜지 형상을 이루고, 상기 천장의 상기 상부 측에서 상기 제1 플랜지 형상을 사용하여 상기 레듀셔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천장과 상기 제1 수용 관 사이에 제1 외부 기밀 유지 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수용 관은, 상기 천장의 상기 하부 측에서 상기 제2 수용 관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제2 플랜지 형상을 이루고, 상기 천장의 상기 하부 측에서 상기 제2 플랜지 형상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수용 관의 외주 면을 따라 상기 천장과 상기 제2 수용 관 사이에 제2 외부 기밀 유지 링을 가지고, 상기 천장의 상기 하부 측에서 상기 제1 수용 관의 상기 외주 면을 따라 위치되어 상기 제1 수용 관과 나사선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관수용 구조물이 상기 천장의 상기 상부 측과 상기 하부 측에 위치되는 때, 상기 관수용 구조물은, 제1 수용 관과 제2 수용 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 관과 상기 제2 수용 관은 상기 천장의 상기 상부 측과 상기 하부 측에서 제1 및 제2 플랜지 형상을 이루며 상기 레듀셔와 결합하여 상기 천장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 관은, 상기 천장의 상기 상부 측에서 상기 레듀셔를 둘러싸고, 상기 천장의 상기 상부 측에서 상기 제1 수용 관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제1 플랜지 형상을 이루고, 상기 천장의 상기 상부 측에서 상기 제1 플랜지 형상을 사용하여 상기 레듀셔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천장과 상기 제1 수용 관 사이에 외부 기밀 유지 링을 가지고, 상기 천장과 접촉을 하면서 상기 제1 플랜지 형상에 나사 부재를 관통시켜 상기 천장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수용 관은, 상기 천장의 상기 하부 측에서 상기 제2 수용 관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제2 플랜지 형상을 이루고, 상기 천장의 상기 하부 측에서 상기 레듀셔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위치되어 상기 레듀셔와 나사선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탈부착 부재는, 상기 수용 관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조임 관을 향해 점진적으로 얇아지는 두께를 가지고, 상기 관 고정 브라켓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수용 관보다 더 융기하고, 상기 탈부착 부재의 외주 면에서 상기 레듀셔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소정 폭으로 절개되거나, 상기 탈부착 부재의 상기 외주 면에서 상기 레듀셔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탈부착 부재의 일 단부를 개구시키는 복수의 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탈부착 부재가 상기 레듀셔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상기 소정 폭으로 절개되는 때, 상기 탈부착 부재는, 상기 관 고정 브라켓 상에서 상기 수용 관과 조임 관과 상기 레듀셔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수용 관에 대해 상기 조임 관의 상대적 이동을 통해, 상기 레듀셔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여 절개된 폭을 줄이면서 상기 수용 관의 바닥에 접촉되어 상기 조임 관의 내부에 점진적으로 진입(進入)하거나, 상기 레듀셔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여 상기 절개된 폭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수용 관의 상기 바닥에 접촉되어 상기 조임 관의 상기 내부로부터 점진적으로 후퇴(後退)할 수 있다.
상기 탈부착 부재가 상기 레듀셔의 상기 외주 면에 상기 복수의 홈을 가지는 때, 상기 탈부착 부재는, 상기 관 고정 브라켓 상에서 상기 수용 관과 조임 관과 상기 레듀셔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수용 관에 대해 상기 조임 관의 상대적 이동을 통해, 상기 레듀셔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여 개별 홈의 폭을 줄이면서 상기 수용 관의 바닥에 접촉되어 상기 조임 관의 내부에 점진적으로 진입하거나, 상기 레듀셔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여 상기 개별 홈의 폭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수용 관의 상기 바닥에 접촉되어 상기 조임 관의 상기 내부로부터 점진적으로 후퇴할 수 있다.
상기 탈부착 부재는, 상기 제1 수용 관으로부터 상기 조임 관을 향해 점진적으로 얇아지는 두께를 가지고, 상기 천장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제1 수용 관보다 더 융기하고, 상기 탈부착 부재의 외주 면에서 상기 레듀셔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소정 폭으로 절개되거나, 상기 탈부착 부재의 상기 외주 면에서 상기 레듀셔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탈부착 부재의 일 단부를 개구시키는 복수의 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탈부착 부재가 상기 레듀셔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상기 소정 폭으로 절개되는 때, 상기 탈부착 부재는, 상기 천장 상에서 상기 제1 수용 관과 조임 관과 상기 레듀셔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수용 관에 대해 상기 조임 관의 상대적 이동을 통해, 상기 레듀셔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여 절개된 폭을 줄이면서 상기 수용 관의 바닥에서 볼 때 상기 조임 관의 내부에 점진적으로 진입하거나, 상기 레듀셔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여 상기 절개된 폭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제1 수용 관의 상기 바닥에서 볼 때 상기 조임 관의 상기 내부로부터 점진적으로 후퇴할 수 있다.
상기 탈부착 부재가 상기 레듀셔의 상기 외주 면에 상기 복수의 홈을 가지는 때, 상기 탈부착 부재는, 상기 천장 상에서 상기 제1 수용 관과 조임 관과 상기 레듀셔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수용 관에 대해 상기 조임 관의 상대적 이동을 통해, 상기 레듀셔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여 개별 홈의 폭을 줄이면서 상기 제1 수용 관의 바닥에서 볼 때 상기 조임 관의 내부에 점진적으로 진입하거나, 상기 레듀셔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여 상기 개별 홈의 폭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제1 수용 관의 상기 바닥에서 볼 때 상기 조임 관의 상기 내부로부터 점진적으로 후퇴할 수 있다.
상기 조임 관은, 상기 탈부착 부재 상에서 상기 수용 관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수용 관과 평행하게 마주하며 상기 수용 관과 나사선 결합하고, 상기 레듀셔 상에서, 상기 탈부착 부재와 상기 조임 관을 서로에 대해 경사지게 마주하도록, 상기 탈부착 부재와 반대 형상으로 두께 증감되고, 상기 수용 관의 상기 내부에 점진적으로 진입하는 때, 상기 탈부착 부재의 가압 상태에서, 상기 조임 관의 내부를 향해 상기 탈부착 부재의 점진적인 진입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수용 관의 바닥과 상기 레듀셔의 외주 면에 상기 탈부착 부재를 밀착시키고, 상기 수용 관의 상기 내부로부터 점진적으로 후퇴하는 때, 상기 탈부착 부재의 풀림 상태에서, 상기 조임 관의 상기 내부로부터 상기 탈부착 부재의 점진적인 후퇴를 가능하게 하여 상기 수용 관의 상기 바닥에 밀착시키고 상기 레듀셔의 상기 외주 면으로부터 상기 탈부착 부재를 이격시키고, 상기 탈부착 부재는 외주 면에 상기 레듀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소정 폭으로 절개되거나 상기 외주 면에 복수의 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관통 체결 유닛은, 상기 제1 수용 관과 상기 탈부착 부재 사이에서 상기 제1 수용 관의 바닥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내부 기밀 유지 링과 링 압착 와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임 관은, 상기 탈부착 부재 상에서 상기 제1 수용 관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수용 관과 평행하게 마주하며 상기 제1 수용 관과 나사선 결합하고, 상기 레듀셔 상에서, 상기 탈부착 부재와 상기 조임 관을 서로에 대해 경사지게 마주하도록, 상기 탈부착 부재와 반대 형상으로 두께 증감되고, 상기 제1 수용 관의 상기 내부에 점진적으로 진입하는 때, 상기 탈부착 부재의 가압 상태에서, 상기 조임 관의 내부를 향해 상기 탈부착 부재의 점진적인 진입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링 압착 와셔와 함께 상기 레듀셔의 외주 면에 상기 탈부착 부재를 밀착시키고, 상기 제1 수용 관의 상기 내부로부터 점진적으로 후퇴하는 때, 상기 탈부착 부재의 풀림 상태에서, 상기 조임 관의 상기 내부로부터 상기 탈부착 부재의 점진적인 후퇴를 가능하게 하여 상기 링 압착 와셔에 상기 탈부착 부재를 밀착시키고 상기 레듀셔의 상기 외주 면으로부터 상기 탈부착 부재를 이격시키고, 상기 탈부착 부재는 외주 면에 상기 레듀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소정 폭으로 절개되거나 상기 외주 면에 복수의 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관통 체결 유닛은, 상기 천장의 내부에서 상기 레듀셔의 외주 면을 따라 상기 레듀셔를 둘러싸는 외부 기밀 유지 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기밀 유지 링은 상기 수용 관과 상기 스프링클러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관통 체결 유닛은, 상기 천장의 상기 하부 측에서 상기 제2 수용 관 아래에 보호 망(網)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 망은, 상기 스프링클러를 둘러싸면서 상기 제2 수용 관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위치되어 상기 제2 수용 관의 상기 하부 테두리와 나사선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통 체결 유닛은, 천장의 상부 측에 수용 관과 탈부착 부재와 조임 관을 한 세트로 구비하여 수용 관의 내부에 탈부착 부재를 안착시키고 수용 관과 탈부착 부재 사이에 조임 관을 위치시키며 수용 관과 조임 관을 나사선 결합시킨 상태에서 조임 관과 탈부착 부재와 수용 관을 지나 천장을 관통하는 레듀셔를 설치하므로, 수용 관을 상부 측에만 고정하거나 수용 관의 형상을 분리하여 레듀셔를 따라 수용 관을 천장의 상부 측과 하부 측에 고정시켜서 그 결과 천장의 일부에 단순한 형상을 구현하여 천장의 전체에 간단한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통 체결 유닛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관통 체결 유닛에서 관 고정 브라켓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관통 체결 유닛에서 관 고정 브라켓과 관수용 구조물과 조임 관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다면도(=측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관통 체결 유닛에서 탈부착 부재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통 체결 유닛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관통 체결 유닛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관통 체결 유닛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탈부착 부재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1의 관통 체결 유닛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통 체결 유닛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관통 체결 유닛에서 관 고정 브라켓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관통 체결 유닛에서 관 고정 브라켓과 관수용 구조물과 조임 관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다면도(=측면도와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관통 체결 유닛에서 탈부착 부재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또한, 도 8은 도 4의 탈부착 부재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관통 체결 유닛(100)은, 건축물(도면에 미도시)의 소방 시설에서 건축물의 천장(10)의 상부 측과 하부 측에 소방 시설의 신축 배관(도면에 미도시)과 스프링클러(90)를 각각 장착시키기 위해 신축 배관과 스프링클러(90)를 연결하고 천장(10)을 관통하는 원통형의 레듀셔(70)를 천장(10)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관통 체결 유닛(100)은, 관수용 구조물(54)과 탈부착 부재(56)와 조임 관(59)을 포함한다. 상기 관수용 구조물(54)과 조임 관(59)은 금속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탈부착 부재(56)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관수용 구조물(54)은 천장(10)에 위치되어 레듀셔(70)를 둘러싸면서 천장(10)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관수용 구조물(54)은 레듀셔(70)를 둘러싸면서 천장(10)의 상부 측에 위치된다. 상기 관수용 구조물(54)이 천장(10)의 상부 측에 위치되는 때, 상기 관수용 구조물(54)은, 천장(10)의 상부 측에 관 고정 브라켓(30)과 수용 관(53)을 포함한다. 상기 관 고정 브라켓(30)과 수용 관(53)은 서로에 대해 결합하여 관 고정 브라켓(30)을 통해 천장(10)에 고정된다.
상기 관 고정 브라켓(30)은, 천장(10)에서 평평한 단편으로 이루어져서, 관 고정 브라켓(30)의 중앙 영역에 수용 관(53)과 레듀셔(70)를 관통시키는 고정 링(24)과, 관 고정 브라켓(30)의 양 가장자리에서 개별 가장자리의 단부로부터 중앙 영역을 향해 소정 폭으로 절개되어 천장(10)에 나사 부재(40)를 삽입시키는 결합 홈(26)을 갖는다.
상기 수용 관(53)은, 관 고정 브라켓(30) 상에서 플랜지 형상을 가지고, 관 고정 브라켓(30)의 고정 링(24)의 고정 홀(22)에 삽입되어 레듀셔(70)를 둘러싸고, 관 고정 브라켓(30)의 고정 링(24)을 통해 관 고정 브라켓(30)과 나사선 결합(M1)한다. 상기 탈부착 부재(56)는, 관수용 구조물(54)과 레듀셔(70) 사이에서 레듀셔(70)를 둘러싼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탈부착 부재(56)는, 수용 관(53)의 바닥으로부터 조임 관(59)을 향해 점진적으로 얇아지는 두께를 가지고, 관 고정 브라켓(30)을 기준으로 볼 때 수용 관(53)보다 더 융기하고, 탈부착 부재(56)의 외주 면에서 레듀셔(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소정 폭(S1)으로 절개된다. 상기 탈부착 부재(56)가 레듀셔(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소정 폭(S1)으로 절개되는 때, 상기 탈부착 부재(56)는, 관 고정 브라켓(30) 상에서 수용 관(53)과 조임 관(59)과 레듀셔(70) 사이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탈부착 부재(56)는, 수용 관(53)에 대해 조임 관(59)의 상대적 이동을 통해, 레듀셔(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여 절개된 폭(S1)을 도 10과 같이 줄이면서 수용 관(53)의 바닥에 접촉되어 조임 관(59)의 내부에 점진적으로 진입(進入)하거나, 레듀셔(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여 절개된 폭(S1)으로 도 10과 같이 복원되면서 수용 관(53)의 바닥에 접촉되어 조임 관(59)의 내부로부터 점진적으로 후퇴(後退)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탈부착 부재(56)는, 도 8의 탈부착 부재(57)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기 탈부착 부재(57)는, 수용 관(53)의 바닥으로부터 조임 관(59)을 향해 점진적으로 얇아지는 두께를 가지고, 관 고정 브라켓(30)을 기준으로 볼 때 수용 관(53)보다 더 융기하고, 탈부착 부재(57)의 외주 면에서 레듀셔(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탈부착 부재(57)의 일 단부를 개구시키는 복수의 홈(G)을 갖는다.
상기 탈부착 부재(57)가 레듀셔(70)의 외주 면에 복수의 홈(G)을 가지는 때, 상기 탈부착 부재(57)는, 관 고정 브라켓(30) 상에서 수용 관(53)과 조임 관(59)과 레듀셔(70) 사이에 위치되고, 수용 관(53)에 대해 조임 관(59)의 상대적 이동을 통해, 레듀셔(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여 개별 홈(G)의 폭(S2)을 줄이면서 수용 관(53)의 바닥에 접촉되어 조임 관(70)의 내부에 점진적으로 진입하거나, 레듀셔(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여 개별 홈(G)의 폭(S2)으로 복원되면서 수용 관(53)의 바닥에 접촉되어 조임 관(59)의 내부로부터 점진적으로 후퇴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로 돌아와서, 상기 조임 관(59)은, 탈부착 부재(56) 주변에서 레듀셔(70)와 함께 탈부착 부재(70)를 덮으며 관수용 구조물(54)과 탈부착 부재(56) 사이에서 레듀셔(70)를 둘러싸고 관수용 구조물(54)과 나사선 결합(M2)한다. 상기 조임 관(59)은, 관수용 구조물(54)과 탈부착 부재(56) 사이에서 레듀셔(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수용 구조물(54)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여 레듀셔(70)에 탈부착 부재(56)를 밀착시키거나 레듀셔(70)로부터 탈부착 부재(56)를 이격시킨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조임 관(59)은, 탈부착 부재(56) 상에서 수용 관(53)의 내부에 위치되어 수용 관(53)과 평행하게 마주하며 수용 관(53)과 나사선 결합(M2)하고, 레듀셔(70) 상에서, 탈부착 부재(56)와 조임 관(59)을 서로에 대해 경사지게 마주하도록, 탈부착 부재(56)와 반대 형상으로 두께 증감된다.
또한, 상기 조임 관(59)은, 수용 관(59)의 내부에 점진적으로 진입하는 때, 탈부착 부재(56)의 가압 상태에서, 조임 관(59)의 내부를 향해 탈부착 부재(56)의 점진적인 진입을 가능하게 하여 수용 관(53)의 바닥과 레듀셔(70)의 외주 면에 탈부착 부재(56)를 밀착시킨다.
또한, 상기 조임 관(59)은, 수용 관(53)의 내부로부터 점진적으로 후퇴하는 때, 탈부착 부재(56)의 풀림 상태에서, 조임 관(59)의 내부로부터 탈부착 부재(56)의 점진적인 후퇴를 가능하게 하여 수용 관(53)의 바닥에 밀착시키고 레듀셔(70)의 외주 면으로부터 탈부착 부재(56)를 이격시킨다. 여기서, 상기 탈부착 부재(56)는, 도 8의 탈부착 부재(57)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탈부착 부재(56 또는 57)는 외주 면에 레듀셔(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소정 폭(S1)으로 절개되거나 외주 면에 복수의 홈(G)을 갖는다. 한편, 상기 관통 체결 유닛(100)은, 천장(10)의 내부에서 레듀셔(70)의 외주 면을 따라 레듀셔(70)를 둘러싸는 외부 기밀 유지 링(8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외부 기밀 유지 링(80)은 수용 관(53)과 스프링클러(90)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외부 기밀 유지 링(80)은 천장(10)의 상부 측과 하부 측의 연통을 방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통 체결 유닛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관통 체결 유닛(190)은, 도 1의 관통 체결 유닛(100)과 유사하나, 세부적으로 볼 때, 관통 체결 유닛(100)과 다른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관통 체결 유닛(190)도 관수용 구조물(150)과 탈부착 부재(127)와 조임 관(128)을 포함한다. 상기 관수용 구조물(150)은, 레듀셔(160)를 둘러싸면서 천장(110)의 상부 측과 하부 측에 위치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관수용 구조물(150)이 천장(110)의 상부 측과 하부 측에 위치되는 때, 상기 관수용 구조물(150)은, 제1 수용 관(123)과 제2 수용 관(148)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수용 관(123)과 제2 수용 관(148)은 천장(110)의 상부 측과 하부 측에서 제1 및 제2 플랜지 형상을 이루며 서로에 대해 결합하여 천장에 고정된다.
상기 제1 수용 관(123)은, 천장(110)의 두께 방향을 따라 레듀셔(160)를 둘러싸고, 천장(110)의 내부에서 레듀셔(160)의 외주 면을 따라 밀착되어 천장(110)을 관통하고, 천장(110)의 하부 측에서 천장(110)을 기준으로 하여 레듀셔(160)와 함께 동일 레벨에 단부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1 수용 관(123)은, 천장(110)의 상부 측에서 제1 수용 관(123)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제1 플랜지 형상을 이루고, 천장(110)의 상부 측에서 제1 플랜지 형상을 사용하여 레듀셔(160)의 외주면을 따라 천장(110)과 제1 수용 관(123) 사이에 제1 외부 기밀 유지 링(122)을 갖는다.
상기 제2 수용 관(148)은, 천장(110)의 하부 측에서 제2 수용 관(148)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제2 플랜지 형상을 이루고, 천장(110)의 하부 측에서 제2 플랜지 형상을 사용하여 제1 수용 관(123)의 외주 면을 따라 천장(110)과 제2 수용 관(148) 사이에 제2 외부 기밀 유지 링(144)을 가지고, 천장(110)의 하부 측에서 제1 수용 관(123)의 외주 면을 따라 위치되어 제1 수용 관(123)과 나사선 결합(M4)한다.
상기 탈부착 부재(127)는, 도 1 또는 도 4의 탈부착 부재(56)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탈부착 부재(127)는, 제1 수용 관(123)으로부터 조임 관(128)을 향해 점진적으로 얇아지는 두께를 가지고, 천장(110)을 기준으로 볼 때 제1 수용 관(123)보다 더 융기하고, 탈부착 부재(127)의 외주 면에서 레듀셔(1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소정 폭(도 1의 S1)으로 절개된다.
상기 탈부착 부재(127)가 레듀셔(1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소정 폭(S1)으로 절개되는 때, 상기 탈부착 부재(127)는, 천장(110) 상에서 제1 수용 관(123)과 조임 관(128)과 레듀셔(160) 사이에 위치되고, 제1 수용 관(123)에 대해 조임 관(128)의 상대적 이동을 통해, 레듀셔(1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여 절개된 폭(S1)을 줄이면서 수용 관(123)의 바닥에서 볼 때 조임 관(128)의 내부에 점진적으로 진입하거나, 레듀셔(1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여 절개된 폭(S1)으로 복원되면서 제1 수용 관(123)의 바닥에서 볼 때 조임 관(128)의 내부로부터 점진적으로 후퇴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탈부착 부재(127)는, 도 8의 탈부착 부재(57)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기 탈부착 부재(57)는, 제1 수용 관(123)으로부터 조임 관(128)을 향해 점진적으로 얇아지는 두께를 가지고, 천장(110)을 기준으로 볼 때 제1 수용 관(123)보다 더 융기하고, 탈부착 부재(57)의 외주 면에서 레듀셔(1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탈부착 부재(57)의 일 단부를 개구시키는 복수의 홈(G)을 갖는다.
상기 탈부착 부재(57)가 레듀셔(160)의 외주 면에 복수의 홈(G)을 가지는 때, 상기 탈부착 부재(57)는, 천장(110) 상에서 제1 수용 관(123)과 조임 관(128)과 레듀셔(160) 사이에 위치되고, 제1 수용 관(123)에 대해 조임 관(128)의 상대적 이동을 통해, 레듀셔(1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여 개별 홈(G)의 폭(S2)을 줄이면서 제1 수용 관(123)의 바닥에서 볼 때 조임 관(128)의 내부에 점진적으로 진입하거나, 레듀셔(1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여 개별 홈(G)의 폭(S2)으로 복원되면서 제1 수용 관(123)의 바닥에서 볼 때 조임 관(128)의 내부로부터 점진적으로 후퇴한다.
다시 도 5로 돌아와서, 상기 관통 체결 유닛(190)은, 제1 수용 관(123)과 탈부착 부재(127) 사이에서 제1 수용 관(123)의 바닥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내부 기밀 유지 링(125)과 링 압착 와셔(126)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조임 관(128)은, 탈부착 부재(127) 상에서 제1 수용 관(123)의 내부에 위치되어 제1 수용 관(123)과 평행하게 마주하며 제1 수용 관(123)과 나사선 결합(M3)한다.
또한, 상기 조임 관(128)은, 레듀셔(160) 상에서, 탈부착 부재(127)와 조임 관(128)을 서로에 대해 경사지게 마주하도록, 탈부착 부재(127)와 반대 형상으로 두께 증감되고, 제1 수용 관(123)의 내부에 점진적으로 진입하는 때, 탈부착 부재(127)의 가압 상태에서, 조임 관(128)의 내부를 향해 탈부착 부재(127)의 점진적인 진입을 가능하게 하여 링 압착 와셔(126)와 함께 레듀셔(160)의 외주 면에 탈부착 부재(127)를 밀착시킨다.
또한, 상기 조임 관(128)은, 제1 수용 관(123)의 내부로부터 점진적으로 후퇴하는 때, 탈부착 부재(123)의 풀림 상태에서, 조임 관(128)의 내부로부터 탈부착 부재(127)의 점진적인 후퇴를 가능하게 하여 링 압착 와셔(126)에 탈부착 부재(127)를 밀착시키고 레듀셔(160)의 외주 면으로부터 탈부착 부재(127)를 이격시킨다.
여기서, 상기 탈부착 부재(127)는, 도 8의 탈부착 부재(57)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탈부착 부재(127 또는 57)는 외주 면에 레듀셔(1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소정 폭(S1)으로 절개되거나 외주 면에 복수의 홈(G)을 갖는다. 한편, 상기 관통 체결 유닛(190)은 천장(110)의 하부 측에서 제2 수용 관(148) 아래에 보호 망(網)(18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보호 망(180)은, 스프링클러(170)를 둘러싸면서 제2 수용 관(148)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위치되어 제2 수용 관(148)의 하부 테두리와 나사선 결합(M5)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관통 체결 유닛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관통 체결 유닛(280)은, 도 5의 관통 체결 유닛(190)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나, 세부적으로 볼 때, 관통 체결 유닛(190)과 다른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관통 체결 유닛(280)도, 관수용 구조물(250)과 탈부착 부재(218)과 조임 관(219)과 보호 망(270)을 포함한다. 상기 관수용 구조물(250)은, 레듀셔(230)를 둘러싸면서 천장(200)의 상부 측과 하부 측에 위치된다.
상기 관수용 구조물(250)이 천장(200)의 상부 측과 하부 측에 위치되는 때, 상기 관수용 구조물(250)은, 제1 수용 관(212)과 제2 수용 관(245)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수용 관(212)과 제2 수용 관(245)은 천장(200)의 상부 측과 하부 측에서 제1 및 제2 플랜지 형상을 이루며 레듀셔(230)와 결합하여 천장(200)에 고정된다.
상기 제1 수용 관(212)은, 천장(200)의 상부 측에서 레듀셔(230)를 둘러싸고, 천장(200)의 상부 측에서 제1 수용 관(212)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제1 플랜지 형상을 이루고, 천장(200)의 상부 측에서 제1 플랜지 형상을 사용하여 레듀셔(230)의 외주면을 따라 천장(200)과 제1 수용 관(212) 사이에 외부 기밀 유지 링(211)을 가지고, 천장(200)과 접촉을 하면서 제1 플랜지 형상에 나사 부재(213)를 관통시켜 천장(200)에 고정된다.
상기 제2 수용 관(245)은, 천장(200)의 하부 측에서 제2 수용 관(245)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제2 플랜지 형상을 이루고, 천장(200)의 하부 측에서 레듀셔(230)의 외주면을 따라 위치되어 레듀셔(230)와 나사선 결합(M7)한다. 한편, 상기 제1 수용 관(212)과 제2 수용 관(245)과 탈부착 부재(218)와 조임 관(219)과 보호 망(270)의 결합 관계는 도 5의 제1 수용 관(123)과 제2 수용 관(148)과 탈부착 부재(127)와 조임 관(128)과 보호 망(180)의 결합 관계와 동일하다.
상기 제1 수용 관(212)과 조임 관(219)은, 제1 수용 관(212)의 내부에서 나사선 결합(M6)한다. 상기 제2 수용 관(245)과 보호 망(270)은, 제2 수용 관(245)의 하부 테두리에서 나사선 결합((M8)한다. 상기 탈부착 부재(218)의 형상은 도 1 또는 도 4 또는 도 8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었다.
한편, 상기 관통 체결 유닛(280)도, 도 5의 관통 체결 유닛(190)과 동일하게, 탈부착 부재(218)와 제1 수용 관(212) 사이에 내부 기밀 유지 링(215)과 링 압착 와셔(21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조임 관(219)은 탈부착 부재(218)를 가압하여 링 압착 와셔(216)를 통해 제1 수용 관(212)의 바닥에 내부 기밀 유지 링(215)을 압착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관통 체결 유닛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관통 체결 유닛(300)은, 도 5의 관통 체결 유닛(180)과 매우 유사한 구조를 가지나, 부분적으로 볼 때, 상기 관통 체결 유닛(300)의 제1 수용 관(129)은 관통 체결 유닛(180)의 제1 수용 관(123)과 약간 다르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제1 수용 관(129)은, 천장(110)의 두께 방향을 따라 레듀셔(230)를 둘러싸고, 천장(110)의 내부에서 레듀셔(230)의 외주 면에 부분적으로 접촉되어 천장(110)을 관통한다.
또한, 상기 제1 수용 관(129)은, 천장(110)의 하부 측에서 천장(110)을 기준으로 하여 레듀셔(230)와 함께 동일 레벨에 단부를 가지고, 천장(110)의 상부 측에서 제1 수용 관(129)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제1 플랜지 형상을 이루고, 천장(110)의 상부 측에서 제1 플랜지 형상을 사용하여 레듀셔(230)의 외주면을 따라 천장(110)과 제1 수용 관(129) 사이에 제1 외부 기밀 유지 링(도 5의 122)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1 수용 관(129)은 천장(110)의 하부 측에서 제2 수용 관(148) 주변에 돌출 테두리(124)를 가져 레듀셔(230)의 단부를 둘러싼다. 상기 제1 수용 관(129)과 제2 수용 관(148)은 관수용 구조물(290)을 구성한다.
도 9 및 도 10은 도 1의 관통 체결 유닛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관 고정 브라켓(30)과 수용 관(53)과 탈부착 부재(56)와 조임 관(59)과 레듀셔(70)와 스프링클러(90)가 준비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레듀셔(70)가 천장(10)의 요(凹)부를 관통하여 천장(10)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레듀셔(70)는 원통 형으로 이루어져 외주 면에 외부 기밀 유지 링(80)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천장(10)의 요부에 충진재(도면에 미도시)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충진재는 천장(10)의 요부에서 레듀셔(70)를 둘러쌀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기밀 유지 링(80)은 천장의 상부 측과 하부 측의 연통을 막는다. 상기 관 고정 브라켓(30)의 고정 링(24)이 레듀셔(70)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관 고정 브라켓(30)은 나사 부재(40)를 사용하여 천장(10)에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용 관(53)과 탈부착 부재(56)와 조임 관(59)의 조립을 위해, 상기 탈부착 부재(56)가 수용 관(53)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조임 관(59)이 수용 관(53)과 탈부착 부재(56) 사이에 위치되면서 수용 관(53)과 나사선 결합(도 1의 M2)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 관(53)의 내부에 탈부착 부재(56)와 조임 관(59)을 구비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용 관(53)과 탈부착 부재(56)와 조임 관(59)이 한 세트(one set)로 준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수용 관(53)이 레듀셔(70)에 끼우져 관 고정 브라켓(30)의 고정 링(도 2의 24)에 삽입되면서 관 고정 브라켓(30)과 나사선 결합(도 1의 M1)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 관(53)은 플랜지 형상을 이용하여 관 고정 브라켓(30)의 고정 링(24) 주변에 안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탈부착 부재(56)와 조임 관(59)이 수용 관(53)에 구비되면서 관 고정 브라켓(3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천장(10)에 관 고정 브라켓(30)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레듀셔(70)가 관 고정 브라켓(30)의 고정 링(24)에 삽입되어 천장(10)을 관통한 후, 상기 수용 관(53)과 탈부착 부재(56)와 조임 관(59)은 레듀셔(70)에 순차적으로 끼워져 관 고정 브라켓(30)의 고정 링(24)에서 또는 고정 링(24) 상에서 서로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수용 관(53)과 관 고정 브라켓(30)은 관수용 구조물(54)을 구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조임 관(59)이 수용 관(53)의 내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조임 관(59)은 수용 관(53)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R)하여 일 방향(D)을 따라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다.
이 때에, 상기 조임 관(59)은 일 방향(D)을 따라 하강 운동을 통해 탈부착 부재(56)를 가압해서 수용 관(53)의 바닥에 탈부착 부재(56)를 밀착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탈부착 부재(56)는, 수용 관(53)에 대해 일 방향(D)을 따라 조임 관(59)의 상대적인 하강 운동을 통해, 레듀셔(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여 절개된 폭(S1)을 도 10(a) 내지 도 10(c)와 같이 줄이면서 수용 관(53)의 바닥에 접촉되어 조임 관(59)의 내부에 점진적으로 진입(進入)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탈부착 부재(56)는 수용 관(53)과 레듀셔(70) 사이에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탈부착 부재(56)은, 수용 관(53)에 대해 일 방향(D)을 따라 조임 관(59)의 상대적인 상승 운동을 통해, 레듀셔(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여 절개된 폭(S1)으로 도 10(c) 내지 도 10(a)와 같이 복원되면서 수용 관(53)의 바닥에 접촉되어 조임 관(59)의 내부로부터 점진적으로 후퇴(後退)할 수도 있다.
이후로, 상기 스프링클러(90)와 신축 배관(도면에 미도시)이 천장(10)의 하부 측 및 상부 측에서 레듀셔(70)와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 고정 브라켓(30)과 수용 관(53)과 탈부착 부재(56)와 조임 관(59)과 외부 기밀 유지 링(80)은 하나의 관통 체결 유닛(100)을 구성할 수 있다.
10; 천장, 30; 관 고정 브켓
40; 나사 부재, 53; 수용 관
54; 관수용 구조물, 56; 탈부착 부재
59; 조임 관, 70; 레듀셔
80; 외부 기밀 유지 링, 90; 스프링클러
100; 관통 체결 유닛, M1 M2; 나사선 결합
S1; 폭

Claims (21)

  1. 건축물의 소방 시설에서 상기 건축물의 천장의 상부 측과 하부 측에 상기 소방 시설의 신축 배관과 스프링클러를 각각 장착시키기 위해 상기 신축 배관과 상기 스프링클러를 연결하고 상기 천장을 관통하는 원통형의 레듀셔를 상기 천장에 고정시키는 관통 체결 유닛에 있어서,
    상기 천장에 위치되어 상기 레듀셔를 둘러싸면서 상기 천장에 고정되는 관수용 구조물;
    상기 관수용 구조물과 상기 레듀셔 사이에서 상기 레듀셔를 둘러싸는 탈부착 부재; 및
    상기 탈부착 부재 주변에서 상기 레듀셔와 함께 상기 탈부착 부재를 덮으며 상기 관수용 구조물과 상기 탈부착 부재 사이에서 상기 레듀셔를 둘러싸고 상기 관수용 구조물과 나사선 결합하는 조임 관을 포함하고,
    상기 조임 관은 상기 관수용 구조물과 상기 탈부착 부재 사이에서 상기 레듀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관수용 구조물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여 상기 레듀셔에 상기 탈부착 부재를 밀착시키거나 상기 레듀셔로부터 상기 탈부착 부재를 이격시키는 관통 체결 유닛.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용 구조물은,
    상기 레듀셔를 둘러싸면서 상기 천장의 상기 상부 측에 위치되거나 상기 천장의 상기 상부 측과 상기 하부 측에 위치되는 관통 체결 유닛.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용 구조물이 상기 천장의 상기 상부 측에 위치되는 때,
    상기 관수용 구조물은,
    상기 천장의 상기 상부 측에 수용 관과 관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 관과 상기 관 고정 브라켓은 서로에 대해 결합하여 상기 관 고정 브라켓을 통해 상기 천장에 고정되는 관통 체결 유닛.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관 고정 브라켓은,
    상기 천장에서 평평한 단편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관 고정 브라켓의 중앙 영역에 상기 수용 관과 상기 레듀셔를 관통시키는 고정 링과,
    상기 관 고정 브라켓의 양 가장자리에서 개별 가장자리의 단부로부터 상기 중앙 영역을 향해 소정 폭으로 절개되어 상기 천장에 나사 부재를 삽입시키는 결합 홈을 가지는 관통 체결 유닛.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관은,
    상기 관 고정 브라켓 상에서 플랜지 형상을 가지고,
    상기 관 고정 브라켓의 상기 고정 링에 삽입되어 상기 레듀셔를 둘러싸고,
    상기 관 고정 브라켓의 상기 고정 링을 통해 상기 관 고정 브라켓과 나사선 결합하는 관통 체결 유닛.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용 구조물이 상기 천장의 상기 상부 측과 상기 하부 측에 위치되는 때,
    상기 관수용 구조물은,
    제1 수용 관과 제2 수용 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 관과 상기 제2 수용 관은 상기 천장의 상기 상부 측과 상기 하부 측에서 제1 및 제2 플랜지 형상을 이루며 서로에 대해 결합하여 상기 천장에 고정되는 관통 체결 유닛.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 관은,
    상기 천장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레듀셔를 둘러싸고,
    상기 천장의 내부에서 상기 레듀셔의 외주 면을 따라 밀착되거나 상기 레듀셔의 상기 외주 면에 부분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천장을 관통하고,
    상기 천장의 상기 하부 측에서 상기 천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레듀셔와 함께 동일 레벨에 단부를 가지고,
    상기 천장의 상기 상부 측에서 상기 제1 수용 관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제1 플랜지 형상을 이루고,
    상기 천장의 상기 상부 측에서 상기 제1 플랜지 형상을 사용하여 상기 레듀셔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천장과 상기 제1 수용 관 사이에 제1 외부 기밀 유지 링을 가지는 관통 체결 유닛.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 관은,
    상기 천장의 상기 하부 측에서 상기 제2 수용 관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제2 플랜지 형상을 이루고,
    상기 천장의 상기 하부 측에서 상기 제2 플랜지 형상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수용 관의 외주 면을 따라 상기 천장과 상기 제2 수용 관 사이에 제2 외부 기밀 유지 링을 가지고,
    상기 천장의 상기 하부 측에서 상기 제1 수용 관의 상기 외주 면을 따라 위치되어 상기 제1 수용 관과 나사선 결합하는 관통 체결 유닛.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용 구조물이 상기 천장의 상기 상부 측과 상기 하부 측에 위치되는 때,
    상기 관수용 구조물은,
    제1 수용 관과 제2 수용 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 관과 상기 제2 수용 관은 상기 천장의 상기 상부 측과 상기 하부 측에서 제1 및 제2 플랜지 형상을 이루며 상기 레듀셔와 결합하여 상기 천장에 고정되는 관통 체결 유닛.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 관은,
    상기 천장의 상기 상부 측에서 상기 레듀셔를 둘러싸고,
    상기 천장의 상기 상부 측에서 상기 제1 수용 관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제1 플랜지 형상을 이루고,
    상기 천장의 상기 상부 측에서 상기 제1 플랜지 형상을 사용하여 상기 레듀셔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천장과 상기 제1 수용 관 사이에 외부 기밀 유지 링을 가지고,
    상기 천장과 접촉을 하면서 상기 제1 플랜지 형상에 나사 부재를 관통시켜 상기 천장에 고정되는 관통 체결 유닛.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 관은,
    상기 천장의 상기 하부 측에서 상기 제2 수용 관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제2 플랜지 형상을 이루고,
    상기 천장의 상기 하부 측에서 상기 레듀셔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위치되어 상기 레듀셔와 나사선 결합하는 관통 체결 유닛.
  12.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부재는,
    상기 수용 관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조임 관을 향해 점진적으로 얇아지는 두께를 가지고,
    상기 관 고정 브라켓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수용 관보다 더 융기하고,
    상기 탈부착 부재의 외주 면에서 상기 레듀셔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소정 폭으로 절개되거나, 상기 탈부착 부재의 상기 외주 면에서 상기 레듀셔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탈부착 부재의 일 단부를 개구시키는 복수의 홈을 가지는 관통 체결 유닛.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부재가 상기 레듀셔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상기 소정 폭으로 절개되는 때,
    상기 탈부착 부재는,
    상기 관 고정 브라켓 상에서 상기 수용 관과 조임 관과 상기 레듀셔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수용 관에 대해 상기 조임 관의 상대적 이동을 통해,
    상기 레듀셔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여 절개된 폭을 줄이면서 상기 수용 관의 바닥에 접촉되어 상기 조임 관의 내부에 점진적으로 진입(進入)하거나,
    상기 레듀셔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여 상기 절개된 폭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수용 관의 상기 바닥에 접촉되어 상기 조임 관의 상기 내부로부터 점진적으로 후퇴(後退)하는 관통 체결 유닛.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부재가 상기 레듀셔의 상기 외주 면에 상기 복수의 홈을 가지는 때,
    상기 탈부착 부재는,
    상기 관 고정 브라켓 상에서 상기 수용 관과 조임 관과 상기 레듀셔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수용 관에 대해 상기 조임 관의 상대적 이동을 통해,
    상기 레듀셔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여 개별 홈의 폭을 줄이면서 상기 수용 관의 바닥에 접촉되어 상기 조임 관의 내부에 점진적으로 진입하거나,
    상기 레듀셔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여 상기 개별 홈의 폭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수용 관의 상기 바닥에 접촉되어 상기 조임 관의 상기 내부로부터 점진적으로 후퇴하는 관통 체결 유닛.
  15. 제6 항 또는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부재는,
    상기 제1 수용 관으로부터 상기 조임 관을 향해 점진적으로 얇아지는 두께를 가지고,
    상기 천장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제1 수용 관보다 더 융기하고,
    상기 탈부착 부재의 외주 면에서 상기 레듀셔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소정 폭으로 절개되거나, 상기 탈부착 부재의 상기 외주 면에서 상기 레듀셔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탈부착 부재의 일 단부를 개구시키는 복수의 홈을 가지는 관통 체결 유닛.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부재가 상기 레듀셔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상기 소정 폭으로 절개되는 때,
    상기 탈부착 부재는,
    상기 천장 상에서 상기 제1 수용 관과 조임 관과 상기 레듀셔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수용 관에 대해 상기 조임 관의 상대적 이동을 통해,
    상기 레듀셔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여 절개된 폭을 줄이면서 상기 수용 관의 바닥에서 볼 때 상기 조임 관의 내부에 점진적으로 진입하거나,
    상기 레듀셔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여 상기 절개된 폭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제1 수용 관의 상기 바닥에서 볼 때 상기 조임 관의 상기 내부로부터 점진적으로 후퇴하는 관통 체결 유닛.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부재가 상기 레듀셔의 상기 외주 면에 상기 복수의 홈을 가지는 때,
    상기 탈부착 부재는,
    상기 천장 상에서 상기 제1 수용 관과 조임 관과 상기 레듀셔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수용 관에 대해 상기 조임 관의 상대적 이동을 통해,
    상기 레듀셔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여 개별 홈의 폭을 줄이면서 상기 제1 수용 관의 바닥에서 볼 때 상기 조임 관의 내부에 점진적으로 진입하거나,
    상기 레듀셔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여 상기 개별 홈의 폭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제1 수용 관의 상기 바닥에서 볼 때 상기 조임 관의 상기 내부로부터 점진적으로 후퇴하는 관통 체결 유닛.
  1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관은,
    상기 탈부착 부재 상에서 상기 수용 관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수용 관과 평행하게 마주하며 상기 수용 관과 나사선 결합하고,
    상기 레듀셔 상에서, 상기 탈부착 부재와 상기 조임 관을 서로에 대해 경사지게 마주하도록, 상기 탈부착 부재와 반대 형상으로 두께 증감되고,
    상기 수용 관의 상기 내부에 점진적으로 진입하는 때, 상기 탈부착 부재의 가압 상태에서, 상기 조임 관의 내부를 향해 상기 탈부착 부재의 점진적인 진입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수용 관의 바닥과 상기 레듀셔의 외주 면에 상기 탈부착 부재를 밀착시키고,
    상기 수용 관의 상기 내부로부터 점진적으로 후퇴하는 때, 상기 탈부착 부재의 풀림 상태에서, 상기 조임 관의 상기 내부로부터 상기 탈부착 부재의 점진적인 후퇴를 가능하게 하여 상기 수용 관의 상기 바닥에 밀착시키고 상기 레듀셔의 상기 외주 면으로부터 상기 탈부착 부재를 이격시키고,
    상기 탈부착 부재는 외주 면에 상기 레듀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소정 폭으로 절개되거나 상기 외주 면에 복수의 홈을 가지는 관통 체결 유닛.
  19. 제6 항 또는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 관과 상기 탈부착 부재 사이에서 상기 제1 수용 관의 바닥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내부 기밀 유지 링과 링 압착 와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임 관은,
    상기 탈부착 부재 상에서 상기 제1 수용 관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수용 관과 평행하게 마주하며 상기 제1 수용 관과 나사선 결합하고,
    상기 레듀셔 상에서, 상기 탈부착 부재와 상기 조임 관을 서로에 대해 경사지게 마주하도록, 상기 탈부착 부재와 반대 형상으로 두께 증감되고,
    상기 제1 수용 관의 상기 내부에 점진적으로 진입하는 때, 상기 탈부착 부재의 가압 상태에서, 상기 조임 관의 내부를 향해 상기 탈부착 부재의 점진적인 진입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링 압착 와셔와 함께 상기 레듀셔의 외주 면에 상기 탈부착 부재를 밀착시키고,
    상기 제1 수용 관의 상기 내부로부터 점진적으로 후퇴하는 때, 상기 탈부착 부재의 풀림 상태에서, 상기 조임 관의 상기 내부로부터 상기 탈부착 부재의 점진적인 후퇴를 가능하게 하여 상기 링 압착 와셔에 상기 탈부착 부재를 밀착시키고 상기 레듀셔의 상기 외주 면으로부터 상기 탈부착 부재를 이격시키고,
    상기 탈부착 부재는 외주 면에 상기 레듀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소정 폭으로 절개되거나 상기 외주 면에 복수의 홈을 가지는 관통 체결 유닛.
  20.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의 내부에서 상기 레듀셔의 외주 면을 따라 상기 레듀셔를 둘러싸는 외부 기밀 유지 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기밀 유지 링은 상기 수용 관과 상기 스프링클러 사이에 위치되는 관통 체결 유닛.
  21. 제6 항 또는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의 상기 하부 측에서 상기 제2 수용 관 아래에 보호 망(網)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 망은,
    상기 스프링클러를 둘러싸면서 상기 제2 수용 관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위치되어 상기 제2 수용 관의 상기 하부 테두리와 나사선 결합하는 관통 체결 유닛.

KR1020190128187A 2019-10-16 2019-10-16 관통 체결 유닛 KR102243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187A KR102243874B1 (ko) 2019-10-16 2019-10-16 관통 체결 유닛
US17/069,249 US20210113872A1 (en) 2019-10-16 2020-10-13 Through fastening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187A KR102243874B1 (ko) 2019-10-16 2019-10-16 관통 체결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006A true KR20210045006A (ko) 2021-04-26
KR102243874B1 KR102243874B1 (ko) 2021-04-27

Family

ID=75492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8187A KR102243874B1 (ko) 2019-10-16 2019-10-16 관통 체결 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10113872A1 (ko)
KR (1) KR1022438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1650B1 (ko) 2022-12-28 2024-01-09 주식회사 파라텍 스프링클러 보호용 커버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09029A1 (de) * 2019-10-15 2021-04-21 Hilti Aktiengesellschaft Leitungsdurchführung
CN114321470A (zh) * 2021-12-26 2022-04-12 响水格思琪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管道阀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300B1 (ko) * 2003-09-25 2004-06-10 주식회사 용원이엔씨 스프링클러의 고정구조
KR20050090551A (ko) * 2004-03-09 2005-09-14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상수 파이프 고정구
KR100821215B1 (ko) * 2007-02-14 2008-04-11 주식회사 동양플렉스 천장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장치
KR20080042445A (ko) * 2006-11-10 2008-05-15 이정희 배관 고정형 스리브
KR101552459B1 (ko) 2015-04-08 2015-09-10 주식회사 동우금속 스프링클러용 엔드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KR101705240B1 (ko) * 2016-02-19 2017-02-09 임영순 클린룸의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KR20180001431A (ko) * 2016-06-24 2018-01-04 (주)여는 수방식 스프링클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300B1 (ko) * 2003-09-25 2004-06-10 주식회사 용원이엔씨 스프링클러의 고정구조
KR20050090551A (ko) * 2004-03-09 2005-09-14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상수 파이프 고정구
KR20080042445A (ko) * 2006-11-10 2008-05-15 이정희 배관 고정형 스리브
KR100821215B1 (ko) * 2007-02-14 2008-04-11 주식회사 동양플렉스 천장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장치
KR101552459B1 (ko) 2015-04-08 2015-09-10 주식회사 동우금속 스프링클러용 엔드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KR101705240B1 (ko) * 2016-02-19 2017-02-09 임영순 클린룸의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KR20180001431A (ko) * 2016-06-24 2018-01-04 (주)여는 수방식 스프링클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1650B1 (ko) 2022-12-28 2024-01-09 주식회사 파라텍 스프링클러 보호용 커버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13872A1 (en) 2021-04-22
KR102243874B1 (ko) 202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3874B1 (ko) 관통 체결 유닛
KR101366180B1 (ko) 무용접 방폭용 케이블 그랜드 조립체
US20140299369A1 (en) Cable feedthrough and method for assembling a cable feedthrough
RU2697585C2 (ru) Уплот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879248B1 (ko) 냉매 관의 연결구조
KR100574745B1 (ko) 플랜지를 이용한 관 이음장치
KR20190117297A (ko) 배관 연결 위치 결정이 용이한 배관 피팅장치
CN108869911B (zh) 一种用于超高真空系统的玻璃管密封结构及密封方法
US20130045064A1 (en) Expandable sealing washer
US20080309074A1 (en) Device for connection of a tube to a structure
US20140265323A1 (en) Joint device for corrugated pipe
KR200484398Y1 (ko)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스텐 파이프 연결 소켓 장치
JP6265679B2 (ja) 支持装置
KR20210056582A (ko) 소방 관구속 장치
CN203868319U (zh) 大型爆炸波模拟装置的高压动态密封装置
KR20170133927A (ko) 스프링밴드 밀폐형 원터치 배관 커플러
KR20200082704A (ko) 소방용 신축 배관
KR101171949B1 (ko) 소화용 스프링쿨러
KR20190117298A (ko) 직경이 상호 다른 배관 연결이 용이한 배관 피팅장치
JP2513816Y2 (ja) ケ―ブル用導管の防水装置
JP7311259B2 (ja) 耐震補修弁の傾き矯正構造
KR102522986B1 (ko) 소화전 밸브용 로드구조 및 제조방법
CN103851198A (zh) 大型爆炸波模拟装置的高压动态密封方法及密封装置
JPH0820996A (ja) マンホ−ルと導管の接続等に用いる継手及びその圧着治具
JP2017075450A (ja) 止水装置及び止水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