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5988B1 - 수방식 스프링클러 - Google Patents

수방식 스프링클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5988B1
KR102345988B1 KR1020170032334A KR20170032334A KR102345988B1 KR 102345988 B1 KR102345988 B1 KR 102345988B1 KR 1020170032334 A KR1020170032334 A KR 1020170032334A KR 20170032334 A KR20170032334 A KR 20170032334A KR 102345988 B1 KR102345988 B1 KR 102345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nipple
ceiling plate
reducing nipple
re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2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431A (ko
Inventor
김종호
Original Assignee
(주) 여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7945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725009B1/ko
Application filed by (주) 여는 filed Critical (주) 여는
Priority to KR1020170032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988B1/ko
Publication of KR20180001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8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supplementary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방식 스프링클러(1)에 관한 것으로, 플렉시블 파이프(P)가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듀싱니플(3); 상기 레듀싱니플(3)이 상기 니플구멍(21)을 통해 상기 천장판(B)을 관통하여 고정되 도록 하는 고정유닛(5); 및 상기 레듀싱니플(3)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레듀싱니플(3)을 통해 공급된 소화수를 분사하는 헤드(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유닛(5)은, 상기 천장판(B)의 위쪽에서 상기 통공(H)에 설치되는 상측부(13); 상기 천장판(B)의 아래쪽에서 상기 상측부(13)에 결합되도록 상기 통공(H)에 설치되는 하측부(15); 및 상기 레듀싱니플(3)과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상측부(13) 상단에 상기 니플구멍(21)과 동축 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링부(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착탈링부(17)는 상기 레듀싱니플(3)의 수나사부(31)와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형성된 제1 나사산(32)과, 상기 상측부(13)의 암나사부(33)와 나사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형성된 제2 나사산(34)의 나선방향이 상호 반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낙수 피해를 전혀 염려할 필요 없이 안전하게 스프링클러의 헤드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수방식 스프링클러{Waterproofing Type Sprinkler}
본 발명은 수방식 스프링클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몸통에서 헤드를 교체할 때 헤드를 몸통으로부터 분리하기 전에 먼저 헤드와 몸통 전체를 천장 위쪽에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헤드와 몸통 분리 시 발생할 수 있는 소화수 누설 또는 낙수 피해를 막을 수 있도록 한 수방식 스프링클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는 화재가 발생한 때 상승하는 온도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살수를 함으로써 화재를 조기 진압할 수 있도록 한 설비로서, 급수원과 연결되어 실내의 천장 위에 배치된 배관 또는 이 배관에서 분기된 분기관을 통해 급수원으로부터 필요한 소화수를 공급 받는다.
이에 따라, 예컨대 등록실용신안 제20-0378271호(스프링클러용 신축배관)에 따르면, 스프링클러는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판(B)에 관통된 통공(H)을 위에서 아래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단 즉, 급수측에 분기관으로서 플렉시블 파이프(P)가 연결되고, 하단 즉, 방수측에 헤드(107)가 결합된다. 이때, 플렉시블 파이프(P)는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헤드클램프(120)에 의하여 통공(H) 바로 위쪽에서 파지되며, 헤드클램프(120)는 고정지지간(110)을 통해 천장판(B)에 지지된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스프링클러(101)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플렉시블 파이프(103)와 연결된 레듀싱니플(103)이 통공(H)에 삽입되며, 헤드(103)를 천장판(B) 아래쪽에서 레듀싱니플(107)에 조립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스프링클러(101) 설비 이후에, 헤드(103)에 누수가 발생하는 등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천장판(B) 아래쪽에서 레듀싱니플(107)로부터 헤드(103)를 분리시키는 바, 이때, 레듀싱니플(107) 내부에 잔류하던 소화수가 낙수되기 때문에, 만일 스프링클러(101) 밑에 반도체설비와 같은 고가의 대형 장비가 설치되어 있다면, 설비가 낙수로 인해 수해를 입어 큰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스프링클러(101) 밑에 설치된 장비가 내구성이나 강도가 약하고 충격에 예민하거나 실내를 가득 채울 정도로 큰 경우, 스프링클러(101)에서 헤드(103)를 분리, 조립하는 작업 자체를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아울러, 스프링클러(101)는 레듀싱니플(3)을 포함하는 몸통 전체를 통공(H)에 직접 고정하기 곤란하여 몸통 지지를 위한 별도의 고정지지간(110)이나 헤드클램프(120)를 필요로 하는 바, 전체적으로 구조가 복잡해지고, 따라서 조립공수와 시간이 증대되고, 제품의 생산 단가가 상승하는 등 작업 및 생산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20-037827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스프링클러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스프링클러의 조립구조를 간단화하여, 제품의 생산성을 높이고, 생산 단가를 낮추며, 조립공수나 시간을 줄여 작업 효율성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장으로부터 스프링클러의 분리작업을 할 때, 밑쪽에 설치된 장비들이 낙수로 인한 수해를 입지 않도록 함으로써, 헤드 등의 교체작업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의 수리나 교체작업을 천장판 위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프링클러 밑쪽에 설치된 장비들이 작업 시 발생하는 하중이나 충격으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급수원으로부터 연장된 플렉시블 파이프가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듀싱니플; 통공을 통해 천장판에 관통 설치되되 축선 상에 관통된 니플구멍이 상기 레듀싱니플 외면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상기 레듀싱니플이 상기 니플구멍을 통해 상기 천장을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유닛; 및 상기 레듀싱니플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레듀싱니플을 통해 공급된 소화수를 분사하는 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천장판의 위쪽에서 상기 통공에 설치되는 상측부; 상기 천장판의 아래쪽에서 상기 상측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통공에 설치되는 하측부; 및 상기 레듀싱니플과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상측부 상단에 상기 니플구멍과 동축 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착탈링부는 상기 레듀싱니플의 수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형성된 제1 나사산과, 상기 상측부의 암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형성된 제2 나사산의 나선방향이 상호 반대로 되어 있는 수방식 스프링클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나사산은 왼나사 방향으로, 상기 제2 나사산은 오른나사 방향으로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측부는 상기 통공보다 대직경인 상측플랜지와 상기 상측플랜지에서 동축 상으로 하향 연장된 상측생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측부는 상기 통공보다 대직경인 하측플랜지와 상기 하측플랜지에서 동축 상으로 상향 연장된 하측생크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측생크와 상기 하측생크는 어느 한 쪽의 수나사와 다른 한 쪽의 암나사에 의해 상호 나사 결합되어, 상기 상측플랜지와 상기 하측플랜지 사이에 상기 천장판이 개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측플랜지와 상기 하측플랜지는 상기 천장판과 맞닿는 면에 각각 장착된 오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방식 스프링클러에 따르면, 스프링클러의 헤드 등에 누수나 고장이 발생하여 헤드 등을 교체하여야 하는 경우, 천장판의 통공에 고정된 고정유닛에 대하여 레듀싱니플을 헤드와 함께 천장 위쪽으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스프링클러 밑쪽에 반도체장비와 같은 고가의 대면적 설비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헤드 교체 시 발생할 수 있는 낙수 피해를 전혀 염려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헤드가 결합된 레듀싱니플을 통공에 고정된 고정유닛으로부터 위쪽으로 돌려 빼낼 수 있으므로, 천장에 설치된 스프링클러에서 헤드를 교체하는 작업 자체가 천장판 위쪽에서 수행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스프링클러 밑에 설치된 장비에 대해 전혀 피해를 입히지 않고 헤드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교체 작업의 작업 효율성도 제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헤드와 레듀싱니플 등의 내부 부품이 고정유닛에 의해 천장 통공에 고정되므로, 별도의 지지수단을 통하지 않고도 스프링클러를 천장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스프링클러의 고정구조를 간단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스프링클러 조립구조를 보인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방식 스프링클러를 천장에 설치된 상태로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레듀싱니플과 고정유닛을 상세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고정유닛의 상측부와 착탈링부가 분리 또는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방식 스프링클러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는 도 2 및 도 3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레듀싱니플(3), 고정유닛(5), 및 헤드(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레듀싱니플(3)은 스프링클러(1)의 관형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급수원(S)으로부터 연장된 플렉시블 파이프(P)가 연결되며, 하단에 스프링클러 헤드(7)가 각각 연결되며, 중단 부분에서 아래쪽으로는 외경이 축소되어 대경부와 소경부 사이의 경계에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턱(11)이 형성된다. 이때, 레듀싱니플(3)의 상단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너트(N)에 의해 플렉시블 파이프(P)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헤드(7) 상단의 수나사와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가 가공되어 있으며, 이 수나사와 암나사 사이에는 수밀을 위해 실란트가 개재된다.
상기 고정유닛(5)은 레듀싱니플(3)과 헤드(7)를 천장을 이루는 천장판(B)에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판(B)을 관통하여 형성된 통공(H)에 결합되도록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가지며, 레듀싱니플(3)을 삽입할 수 있도록 즉, 레듀싱니플(3)의 외면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축선을 따라 니플구멍(21)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고정유닛(5)은 위와 같이, 천장판(B)의 통공(H)에 결합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측부(13), 하측부(15), 및 착탈링부(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 먼저 상기 상측부(13)는 고정유닛(5)의 상단 부분으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천장판(B) 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천장판(B) 위쪽에서 통공(H)에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위쪽에 대직경의 상측플랜지(23)가 형성되고, 상측플랜지(23)의 밑면에서 동축 상으로 상측생크(25)가 하향 연장된다. 이때, 상측플랜지(23)는 원통체로서 통공(H) 위쪽에 걸릴 수 있도록 통공(H)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상측생크(25)는 통공(H) 안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통공(H)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다. 또, 상기 하측부(15)는 고정유닛(5)의 하단 부분으로서, 천장판(B) 아래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천장판(B) 아래쪽에서 통공(H)에 끼워 넣어, 통공(H) 위쪽에 이미 끼워져 있는 상측부(13)에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하측부(15)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통공(H)보다 대직경인 하측플랜지(24)가 하단에 형성되며, 이 하측플랜지(24)의 상면에서 위쪽으로 동축 상의 하측생크(26)가 상향 연장되는 바, 이 하측생크(26)는 통공(H)에 끼워질 수 있도록 통공(H)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상측생크(25)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다. 또, 상측생크(25)와 하측생크(26)는 상측플랜지(23)와 하측플랜지(24) 사이에 천장판(B)을 개재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체결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바람직하게는 도 4 등에 도시된 것처럼, 나사 결합된다. 이를 위해, 예컨대 상측생크(25)는 니플구멍(21)을 이루는 내주면 하단에 암나사(42)가 가공되며, 하측생크(26)는 상단에 수나사(41)가 돌출된다.
한편, 상측플랜지(23)와 하측플랜지(24)는 상측생크(25)와 하측생크(26)가 통공(H) 내에서 결합되는 과정에서 그 사이에 개재된 천장판(B)에 밀착되는 바, 천장판(B)과의 밀봉 성능을 더욱 높이기 위해, 천장판(B)과 맞닿는 상측플랜지(23)의 하면(35)과 하측플랜지(24)의 상면(36)에 각각 오링(37)이 끼워져 구비된다.
또한, 상기 착탈링부(17)는 레듀싱니플(3)을 돌리지 않고도 상측부(13)와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해제수단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플구멍(21)과 동축 상으로 상측부(13)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상측부(13)는 상면 중심에 착탈링부(17)를 결합하기 위한 링홈(27)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착탈링부(17)는 축선을 따라 형성된 내주면의 링구멍이 니플구멍(21)을 형성하며, 외주면이 링홈(27)에 결합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상측플랜지(23)와 레듀싱니플(3) 사이에 개재되어, 레듀싱니플(3)과 상측부(13)가 직접적으로 결합되지 못하게 하는데, 이는 레듀싱니플(3)을 회전하지 않도록 하면서 착탈링부(17)를 상측부(13) 즉, 링홈(27)에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착탈링부(17)는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홈(27)에 내삽되어 나사 결합되고, 레듀싱니플(3)에 외삽되어 나사 결합되어 상측부(13)와 레듀싱니플(3) 사이에 개재될 수 있는데, 위와 같이 레듀싱니플(3)을 회전시키지 않으면서 상측부(13) 링홈(27)에서 착탈링부(17)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레듀싱니플(3)의 턱(11) 바로 위에 왼나사 가공된 수나사부(31)를 형성하고, 착탈링부(17)의 내주면에 마찬가지로 왼나사 가공된 제1 나사산(32)을 형성한다. 따라서, 레듀싱니플(3)과 착탈링부(17)는 왼나사 결합된다. 한편, 착탈링부(17)의 외주면에는 반대로 오른나사 가공된 제2 나사산(34)이 형성되고, 상측부(13)의 링홈(27) 내주면에는 오른나사 가공된 암나사부(33)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착탈링부(17)와 링홈(27)은 오른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착탈링부(17)를 화살표(A) 방향으로 역회전시키면, 착탈링부(17)는 링홈(27)에 빠져 올라오면서 상측부(13)와 오른나사 결합이 해제되는 동시에 레듀싱니플(3)을 밀어 올리면서 레듀싱니플(3)과도 왼나사 결합이 해제된다. 이때, 착탈링부(17)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면에 걸림홈(39)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바, 도 5의 화살표(A) 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돌리고자 할 때,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작업자가 외부에서 회전공구(T)를 끼울 수 있도록 해준다.
이 과정에서 레듀싱니플(3)은 그 상단이 플렉시블 파이프(P)에 연결되어 회전은 불가하지만, 상하이동은 허용되므로, 착탈링부(17)의 회전을 통해 착탈링부(17)로부터 분리되거나, 착탈링부(17)와 함께 링홈(27)으로부터 분리된다. 즉, 도 5에서 착탈링부(17)를 화살표(A)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역회전시키게 되면, 수나사부(31)가 암나사부(33)보다 길 경우 수나사부(31)와 제1 나사산(32)의 결합이 유지된 상태에서 암나사부(33)와 제2 나사산(34)의 결합이 먼저 해제되어 링홈(27)에서 착탈링부(17)와 레듀싱니플(3)이 함께 분리되는 반면, 암나사부(33)가 수나사부(31)보다 길 경우에는 암나사부(33)와 제2 나사산(34)의 결합이 유지된 상태에서 수나사부(31)와 제1 나사산(32)의 결합이 먼저 해제되어 착탈링부(17)를 링홈(27)에 남겨 둔 채 레듀싱니플(3)만 링홈(27)으로부터 분리된다. 다만, 여기에서 수나사부(31)와 제1 나사산(32)의 나사방향을 오른 나사로 바꿀 수 있지만, 이는 오른 나사방향이던 나머지 모든 나사방향을 왼 나사로 바꾸어야 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상기 헤드(7)는 화재 발생 시 소화수를 분사하는 수단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듀싱니플(3)의 하단에 나사 결합 등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화재가 발생한 경우 급수원(S)으로부터 급수관과 플레시블 파이프(P) 등을 통해 레듀싱니플(3)로 공급된 소화수를 아래로 분사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방식 스프링클러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1)에 의하면, 평상 시 헤드(7) 등의 노후나 손상으로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도 5에 따라 위에서 설명한 바 있듯이, 천장판(B) 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걸림홈(39)에 회전공구(T)를 걸어 착탈링부(17)를 도 5의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착탈링부(17)는 오른나사 결합된 링홈(27)에 대해 역회전하면서 화살표(B) 방향으로 위로 올라오게 된다. 그와 동시에, 착탈링부(17)는 플레시블 파이프(P)로 인해 회전은 고정되되 상하이동은 가능한 레듀싱니플(3)에 왼나사 결합되어 있으므로, 화살표(A) 방향 회전에 의해 레듀싱니플(3)에 대하여 정회전함으로써, 레듀싱니플(3)을 화살표(B) 방향으로 즉, 위쪽으로 상대 이동시킨다.
이때,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나사부(31)와 암나사부(33)의 길이차에 따라, 예컨대 수나사부(31)가 암나사부(33)보다 긴 경우, 착탈링부(17)의 화살표(A) 방향 회전이 계속되면, 착탈링부(17)와 레듀싱니플(3)은 함께 링홈(27)에서 빠져나와 상측부 즉, 고정유닛(5)과 분리된다.
이렇게 해서, 고정유닛(5)과 레듀싱니플(3)이 분리되면, 작업자는 레듀싱니플(3)을 들어올려 하단의 헤드(7)와 레듀싱니플(3)을 플렉시블 파이프(P)와 분리하지 않은 상태 그대로 고정유닛(5) 즉, 천장판(B)에서 분리해 낼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유닛(5)의 니플구멍(21)을 아래쪽에서 마개 등으로 막으면, 스프링클러(1) 아래에 설치된 각종 장비들에 대해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천장판(B) 위에서 손상된 헤드(7)를 교체를 하는 등 수리를 위한 각종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레듀싱니플(3)에서 헤드(7)를 분리하기 전에 스프링클러(1)를 천장판(B)의 통공(H)에서 빼낼 수 있으므로, 레듀싱니플(3)에서 헤드(7)를 분리시킬 때 레듀싱니플(3)에 잔류하는 소화수 등을 천장판(B) 위에서 안전하게 수거할 수 있게 된다.
헤드(7)의 교체나 수리가 끝나고, 스프링클러(1)를 재설치할 때는 위 작업 순서와 반대로 통공(H)을 개방하고, 헤드(7)를 조립한 레듀싱니플(3) 외주에 착탈링부(17)를 끼운다. 그 상태로 착탈링부(17)를 링홈(27)에 맞추어 도 5의 화살표(A)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착탈링부(17)는 오른나사 방향의 링홈(27)에 끼워져 들어가는 동시에 왼나사 방향으로 결합된 레듀싱니플(3)과도 물려들어가 레듀싱니플(3)을 아래로 상대 이동시킨다.
이후, 착탈링부(17)가 링홈(27)에 완전히 결합된 때 레듀싱니플(3)도 고정유닛(5)과의 결합이 완료되며, 그에 따라 고정유닛(5)에 대한 레듀싱니플(3)의 조립이 마감되면 스프링클러(1)의 조립이 완료된다.
1 : 스프링클러 3 : 레듀싱니플
5 : 고정유닛 7 : 헤드
13 : 상측부 15 : 하측부
17 : 착탈링부 21 : 니플구멍
27 : 링홈 31 : 수나사부
32 : 제1 나사산 33 : 암나사부
34 : 제2 나사산 39 : 걸림홈
B : 천장판 H : 통공
P : 플렉시블 파이프 S : 급수원
T : 공구

Claims (4)

  1. 삭제
  2. 급수원으로부터 연장된 플렉시블 파이프(P)가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듀싱니플(3);
    통공(H)을 통해 천장판(B)에 관통 설치되되 축선 상에 관통된 니플구멍(21)이 상기 레듀싱니플(3) 외면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상기 레듀싱니플(3)이 상기 니플구멍(21)을 통해 상기 천장판(B)을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유닛(5); 및
    상기 레듀싱니플(3)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레듀싱니플(3)을 통해 공급된 소화수를 분사하는 헤드(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유닛(5)은,
    상기 천장판(B)의 위쪽에서 상기 통공(H)에 설치되는 상측부(13);
    상기 천장판(B)의 아래쪽에서 상기 상측부(13)에 결합되도록 상기 통공(H)에 설치되는 하측부(15); 및
    상기 레듀싱니플(3)과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상측부(13) 상단에 상기 니플구멍(21)과 동축 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링부(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착탈링부(17)는 상기 레듀싱니플(3)의 수나사부(31)와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형성된 제1 나사산(32)과, 상기 상측부(13)의 암나사부(33)와 나사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형성된 제2 나사산(34)의 나선방향이 상호 반대로 되어,
    상기 제1 나사산(32)이 왼나사 방향으로 가공된 때 상기 제2 나사산(34)은 오른나사 방향으로 가공되고, 상기 제1 나사산(32)이 오른나사 방향으로 가공된 때 상기 제2 나사산(34)은 왼나사 방향으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방식 스프링클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측부(13)는 상기 통공(H)보다 대직경인 상측플랜지(23)와 상기 상측플랜지(23)에서 동축 상으로 하향 연장된 상측생크(25)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측부(15)는 상기 통공(H)보다 대직경인 하측플랜지(24)와 상기 하측플랜지(24)에서 동축 상으로 상향 연장된 하측생크(26)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측생크(25)와 상기 하측생크(26)는 어느 한 쪽의 수나사(41)와 다른 한 쪽의 암나사(42)에 의해 상호 나사 결합되어, 상기 상측플랜지(23)와 상기 하측플랜지(24) 사이에 상기 천장판(B)이 개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방식 스프링클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측플랜지(23)와 상기 하측플랜지(24)는 상기 천장판(B)과 맞닿는 면(35,36)에 각각 장착된 오링(3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방식 스프링클러.
KR1020170032334A 2016-06-24 2017-03-15 수방식 스프링클러 KR102345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334A KR102345988B1 (ko) 2016-06-24 2017-03-15 수방식 스프링클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458A KR101725009B1 (ko) 2016-06-24 2016-06-24 수방식 스프링클러
KR1020170032334A KR102345988B1 (ko) 2016-06-24 2017-03-15 수방식 스프링클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9458A Division KR101725009B1 (ko) 2016-06-24 2016-06-24 수방식 스프링클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431A KR20180001431A (ko) 2018-01-04
KR102345988B1 true KR102345988B1 (ko) 2021-12-31

Family

ID=79177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2334A KR102345988B1 (ko) 2016-06-24 2017-03-15 수방식 스프링클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9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874B1 (ko) * 2019-10-16 2021-04-27 승진산업 (주) 관통 체결 유닛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141B1 (ko) * 2011-01-12 2011-09-05 승진산업 (주)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271Y1 (ko) 2004-12-15 2005-03-14 임원일 스프링클러용 신축배관
KR200470466Y1 (ko) * 2012-01-10 2013-12-17 이용수 스프링쿨러 헤드용 연결관 승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141B1 (ko) * 2011-01-12 2011-09-05 승진산업 (주)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431A (ko)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5009B1 (ko) 수방식 스프링클러
US6807692B2 (en) Water lock tap
KR102345988B1 (ko) 수방식 스프링클러
US20130206252A1 (en) Piping system drain down tool
CN201794545U (zh) 一种抢喷装置
CN106223418A (zh) 便于水龙头安装的水槽
CN104390064A (zh) 管线支撑装置及其配套工具
CN203671070U (zh) 一种水龙头与墙壁预埋管道接头之间的连接管
KR101792326B1 (ko) 튜브 홀더 서포트
CN103712014A (zh) 一种深水多回路连接终端
TWM512082U (zh) 立式水龍頭結構
CN214763035U (zh) 一种消防用高度可调喷淋机构
KR101627066B1 (ko) 양변기 본체와 배관을 연결하는 스쿼드
CN107520854A (zh) 载人潜水器机械手紧急抛弃装置
CN211114576U (zh) 一种活动装饰面板的调节装置
CN107268868B (zh) 一种顶棚吊杆安装装置
CN203361263U (zh) 便于水龙头安装的水槽
US1706285A (en) Toilet-fixture support
JP5635431B2 (ja) 放射ヘッド設置高さ調整機構及び調整治具
KR101777969B1 (ko) 보호틀을 구비한 스프링클러
CN206111801U (zh) 一种连接紧固的密封螺栓
CN205781194U (zh) 转角度转换体和其连接的水处理阀及装置
CN209114546U (zh) 一种水龙头安装结构
CN205135628U (zh) 一种凿岩机的防尘罩机构
CN211072641U (zh) 一种调节阀套筒加工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