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9444A - 스프링클러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스프링클러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9444A
KR20220129444A KR1020210127584A KR20210127584A KR20220129444A KR 20220129444 A KR20220129444 A KR 20220129444A KR 1020210127584 A KR1020210127584 A KR 1020210127584A KR 20210127584 A KR20210127584 A KR 20210127584A KR 20220129444 A KR20220129444 A KR 20220129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pple
upper unit
reducing
uni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소연
송영애
Original Assignee
전소연
송영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소연, 송영애 filed Critical 전소연
Publication of KR20220129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4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5/00Special arrang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end fittings of hoses, e.g. safety or protecting devices
    • F16L35/005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천장패널에 형성된 통공의 상부에 끼워지고, 중앙에 니플구멍이 형성되는 상부유닛; 상기 통공의 하부에 끼워져 상기 상부유닛과 고정결합되고, 중앙에 니플구멍이 형성되는 하부유닛; 상기 상부유닛의 니플구멍과 상기 하부유닛의 니플구멍을 관통해 상기 상부유닛의 상부로부터 끼워져 상기 상부유닛과 고정결합되고, 상측이 급수원으로부터 연결되어 소화수가 유입되는 플렉시블 관체와 일체로 제작되는 레듀싱니플; 상기 레듀싱니플과 일체로 제작되고, 상단이 급수원으로부터 연결되어 소화수가 유입되는 플렉시블 관체; 상기 레듀싱니플의 하단에 결합되어,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레듀싱니플을 통해 공급되는 소화수를 분사하는 헤드; 및 상기 하부유닛과 고정결합되어 상기 헤드를 보호하는 헤드보호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레듀싱니플은 플렉시블 관체와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천장패널과 착탈 가능하도록 되어있는 바, 레듀싱니플과 플렉시블 관체를 분리하지 않고도 레듀싱니플을 상부유닛과 분리함으로써 레듀싱니플과 플렉시블 관체를 천장패널의 상부에서 헤드를 교체할 수 있어, 레듀싱니플에서 스프링클러를 설치한 내부공간으로 소화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스프링클러 결합구조{Sprinkler Assembly}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플렉시블 관체와 레듀싱니플을 일체로 제조하고, 패널 방식 천장에 쉽고 간편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한 스프링클러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대형 건물이나 화재에 취약한 건물 등의 구조물 실내에는 발화 초기에 자동적으로 살수를 할 수 있도록 천장에 다수의 스프링클러가 설치된다.
특히, 반도체 설비가 갖춰진 구조물 실내는 천장에서 미세한 먼지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교적 미세한 먼지가 적게 발생하는 몰드바 방식 천장이나 패널 방식 천장 등에 스프링클러를 설치해야 한다.
여기서, 몰드바 방식 천장은 상하가 뒤집어진 T자 형태의 몰드바를 배치하여, 각각의 몰드바의 사이에 판을 걸쳐 천장을 이루도록 한 것이며, 패널 방식 천장은 건물의 상단과 이격지도록 설치된 골조에 SGP패널 등의 천장판을 빈틈없이 이어붙여 고정해 천장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우선, 몰드바 방식 천장의 스프링클러 설치구조의 한 예로 도 1에 도시된 등록특허공보 10-2183779호의 스프링클러를 보면, 십자로 배치된 몰드바(102)의 교차점에 위치한 연결블록(103)을 스프링클러(101)가 관통하여 하향하도록 위치시키고, 스프링클러(101)의 수직관을 이루는 리듀서(110)의 일 지점에 양방향으로 나란하게 돌출되어 몰드바(102)의 상면에 스프링클러(101)를 고정결합하는 지지체(120)를 구비하여, 천장에서 스프링클러(101)의 헤드(130)가 하향된 상태로 고정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몰드바 방식 천장과는 달리 패널 방식 천장에 스프링클러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천장판에 통공을 뚫어 스프링클러가 관통되도록 해야하는데, 천장판에 뚫은 통공에 스프링클러를 마감없이 관통시키고 사용하면 통공을 통해 미세한 먼지 등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패널 방식 천장의 설치구조의 한 예로 도 2에 도시된 등록특허공보 10-1725009호의 스프링클러를 보면, 천장판(202)에 통공(212)을 뚫고 상측부(210)와 하측부(220)를 각각 통공(212)의 내주면을 감싸도록 통공(212) 상하에 결합하여 설치하고, 상측부(210)의 중앙 상부의 홈부에 나사부(미도시)를 형성하고, 위의 나사부에 레듀싱니플(230)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된 착탈링부(미도시)를 나사결합하여, 헤드(240)가 결합된 레듀싱니플(230)이 통공(212)에 결합된 상측부(210)와 하측부(220)를 관통하여 하향된 상태로 착탈링부에 고정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위의 기술은 레듀싱니플(230)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된 착탈링부(미도시)와 상측부(210)의 중앙 상부의 홈부에 형성한 나사부(미도시)가 통상의 방식과는 달리 역방향 방식으로 나사결합되어 그 체결구조가 특이하기 때문에 현장의 작업자들이 위의 역방향 방식의 나사결합 작업을 제대로 작업하지 못하는 현상이 종종 제기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저하시키고 있다.
또한, 레듀싱니플(2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원으로부터 연결되어 소화수가 유입되는 주름관(250)과 연결되도록 조립되며, 노후된 헤드(240)를 교체할 때에는 상측부(210)와 분리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주름관(250)과 레듀싱니플(230)의 결합을 풀게되면 주름관(250)이나 레듀싱니플(230) 내에서 소화수가 흘러나오게 되며, 반도체 생산라인과 같이 내부공간의 환경에 예민한 장소의 경우, 흘러나온 소화수에 의해 내부가 오염됨으로써 오염의 제거까지 모든 작동을 중지시켜야 하므로, 막대한 금전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스프링클러 결합구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레듀싱니플과 플렉시블 관체의 결합을 풀지 않아도 레듀싱니플을 패널 방식 천장에서 쉽게 착탈 가능하도록 하는 스프링클러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결합구조는, 천장패널에 형성된 통공의 상부에 끼워지고, 중앙에 니플구멍이 형성되는 상부유닛; 상기 통공의 하부에 끼워져 상기 상부유닛과 고정결합되고, 중앙에 니플구멍이 형성되는 하부유닛; 상기 상부유닛의 니플구멍과 상기 하부유닛의 니플구멍을 관통해 상기 상부유닛의 상부로부터 끼워져 상기 상부유닛과 고정결합되고, 상측이 급수원으로부터 연결되어 소화수가 유입되는 플렉시블 관체와 일체로 제작되는 레듀싱니플; 상기 레듀싱니플과 일체로 제작되고, 상측이 급수원으로부터 연결되어 소화수가 유입되는 플렉시블 관체; 상기 레듀싱니플의 하단에 결합되어,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레듀싱니플을 통해 공급되는 소화수를 분사하는 헤드; 및 상기 하부유닛과 고정결합되어 상기 헤드를 보호하는 헤드보호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부유닛은 상단 외주면에 숫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듀싱니플의 외주에는 상기 상부유닛의 숫나사부와 체결되는 너트가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너트는 내주면의 하단으로부터 일부분이 반경외측으로 확경되어 누름턱이 형성되고, 상기 레듀싱니플은 외주면 일부분에 환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환형돌기를 상기 상부유닛의 상단면에 안착시킨 뒤, 상기 너트가 상기 숫나사부에 체결될 때, 상기 누름턱이 상기 환형돌기를 가압하여 상기 레듀싱니플과 상기 상부유닛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환형돌기와 상기 상부유닛의 상단면 사이에 개재되는 고무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 결합구조에 따르면, 레듀싱니플은 플렉시블 관체와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천장패널과 착탈 가능하도록 되어있는 바, 레듀싱니플과 플렉시블 관체를 분리하지 않고도 레듀싱니플을 상부유닛과 분리함으로써 레듀싱니플과 플렉시블 관체를 천장패널의 상부에서 헤드를 교체할 수 있어, 레듀싱니플에서 스프링클러를 설치한 내부공간으로 소화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레듀싱니플과 상부유닛을 체결하는 너트를 구비함으로써, 너트를 상부유닛의 숫나사부에 조이거나 푸는 것 만으로 레듀싱니플과 상부유닛을 착탈가능하도록 하므로, 레듀싱니플과 플렉시블 관체를 상부유닛에서 쉽고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몰드바 방식 천장에 결합되는 스프링클러 결합구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패널 방식 천장에 결합되는 스프링클러 결합구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관체와 레듀싱니플이 일체로 결합되었을 때의 스프링클러 결합구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전개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종단면에서 일부분을 확대도시한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결합구조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 결합구조는 몰드바 사이에 패널을 얹어 형성한 몰드바 방식 천장에만 조립이 가능했었던 레듀싱니플을 패널만 연결하여 형성하는 평판 방식 천장에도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4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부유닛(20), 하부유닛(30), 레듀싱니플(10), 플렉시블 관체(60), 헤드(40) 및 헤드보호망(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유닛(20)은 평판 방식 천장에 사용되는 천장패널(C)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니플구멍(n)이 형성돼 레듀싱니플(10)이 관통되어 삽입되며, 제1부분(21), 제2부분(22)으로 이루어진다.
제1부분(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듀싱니플(10)과 연결되어 고정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상부유닛(20)의 외관 중 작은 외경을 가진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듀싱니플(10)이 제1부분(21)의 상단을 통해 니플구멍(n)의 내부에 삽입되어 니플구멍(n)의 내주면 일부분과 접하게 되므로, 니플구멍(n)의 내주면 상측의 일부분이 마감되어 통공(h)으로 미세한 먼지 등이 유입 및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2부분(22)은 제1부분(21)이 통공(h)을 관통하여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분(21)의 하부에 제1부분(21)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하부면이 천장패널(C)의 상부면에 접촉해 통공(h)의 상측에 안착 되므로, 천장패널(C)의 상면과의 사이를 통해 통공(h)으로 미세한 먼지 등이 유입 및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하부유닛(30)은 통공(h)의 하부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니플구멍(n)이 형성돼 레듀싱니플(10)이 관통되어 삽입되며, 제1부분(31)과 제2부분(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부분(31)은 통공(h)에 천장패널(C)의 하부로부터 삽입되어 제2부분(22)으로부터 상부유닛(30)에 체결되는 부분으로서, 다양한 구조로 체결될 수 있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에 숫나사를 가지는 원통으로 형성하고, 제2부분(22)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와 체결되도록 하면, 통공(h)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부유닛(20)과 하부유닛(30)을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제2부분(32)은 제1부분(31)의 하부에 형성되어, 외경이 통공(h)보다 크게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분(31)이 제2부분(22)과 체결되었을 때 제2부분(22)과의 사이에 천장패널(C)이 개재되도록 하여, 도 4과 같이 제2부분(22)과 천장패널(C) 사이의 틈새와, 제2부분(32)과 천장패널(C) 사이의 틈새를 나사의 체결력으로 밀폐하므로, 천장패널(C)의 상부나 통공(h)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먼지 등이 통공(h)을 통해 천장패널(C)의 하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2부분(32)은 하단 외주면에 나사부를 더 형성하면, 후술할 헤드보호망(50)이 제2부분(32)에 나사결합되어 천장패널(C)에 하측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유닛(30)은 제1부분(31)과 제2부분(32) 사이에 원통부(33)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원통부(33)를 구비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경이 통공(h)의 내주면을 마감하므로, 통공(h)으로 미세한 먼지 등이 유입 및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레듀싱니플(10)은 소화수가 유입되는 스프링클러의 몸체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이 급수원으로부터 연결되어 소화수가 유입되는 플렉시블 관체(60)와 일체로 제작되어 내부 공간을 통해 후술할 헤드(40)로 소화수를 전달하며, 상부유닛(20)의 니플구멍(n)과 하부유닛(30)의 니플구멍(n)을 관통해 상부유닛(20)의 상부로부터 끼워져 상부유닛(20)과 고정결합된다.
여기서, 레듀싱니플(10)은 상부유닛(20)과의 결합을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70)를 이용하여 레듀싱니플(10)을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너트(7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듀싱니플(10)의 외주에 끼워져 레듀싱니플(10)과 상부유닛(20)을 체결하는데. 상부유닛(20)의 상단 외주면에는 숫나사부(24)가 형성되어 너트(70)의 암나사와 체결된다.
여기서 상부유닛(20)은 상술했듯이 제2부분(22)이 하부에 형성되고 제1부분(21)이 상부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숫나사부(24)가 제1부분(21)에 형성돼 적당한 크기의 너트(70)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너트(70)를 숫나사부(24)에 체결할 때 레듀싱니플(10)이 너트(70)에 의해 숫나사부(24)와 체결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70)는 내주면의 하단으로부터 일부분이 반경외측으로 확경되어 누름턱(71)이 형성되고, 레듀싱니플(10)은 외주면 일부분에 환형돌기(12)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듀싱니플(10)을 상부유닛(20)의 니플구멍(n)의 상부로부터 끼워넣어 하부유닛(30)의 니플구멍(n)으로 관통시키고, 환형돌기(12)을 상부유닛(20)의 상단면 즉, 제1부분(21)의 상면에 안착시킨 뒤, 너트(70)를 숫나사부(24)에 체결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70)의 누름턱(71)이 환형돌기(12)의 상면을 누르게 되며, 너트(70)의 숫나사부(24)에 대한 체결을 강하게 할수록 환형돌기(12)가 누름턱(71)에 의해 상부유닛(20)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너트(70)에 의해 상부유닛(20)과 체결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프링클러 결합구조는 레듀싱니플(10)이 플렉시블 관체(60)와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천장패널(C) 즉, 천장패널(C)에 결합된 상부유닛(20)과 착탈 가능하도록 되어있으므로, 레듀싱니플(10)을 상부유닛(20)과 분리한 뒤, 레듀싱니플(10)과 플렉시블 관체(60) 전체를 천장패널(C)의 상부로 꺼냄으로써 레듀싱니플(10)과 플렉시블 관체(60)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천장패널(C)의 상부에서 헤드(40)를 교체할 수 있어, 레듀싱니플(10)에서 스프링클러를 설치한 내부공간으로 소화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레듀싱니플(10)과 상부유닛(20)을 체결하는 너트(70)를 구비함으로써, 너트(70)를 상부유닛(20)의 숫나사부(24)에 조이거나 푸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레듀싱니플(10)과 상부유닛(20)을 착탈가능하도록 하므로, 레듀싱니플(10)과 플렉시블 관체(60)를 상부유닛(20)에서 쉽고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레듀싱니플(10)과 플렉시블 관체(60)는 서로 일체로 제작되어있어 자체적으로 회전시킬 수 없는데, 본 발명과 같이 레듀싱니플(10)과 플렉시블 관체(60)의 외주면 상에서 자유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끼워진 너트(70)를 이용함으로써 레듀싱니플(10)과 플렉시블 관체(60)를 회전시키지 않아도 레듀싱니플(10)과 플렉시블 관체(60)를 상부유닛(20)에서 쉽고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레듀싱니플(10)을 상부유닛(20)과 체결하기 전에,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듀싱니플(10)의 환형돌기(12)의 저면과 상부유닛(20)의 상단면의 사이에 고무패킹(80)을 끼워넣을 수 있는데, 고무패킹(80)을 끼워넣으면 천장패널(C)의 상부로부터 환형돌기(12)와 상부유닛(20)의 사이를 미세한 먼지 등이 통과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헤드(40)는 급수원으로부터 레듀싱니플(10)을 통해 공급되는 소화수를 분사하는 부분으로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듀싱니플(10)의 하단에 나사 결합 등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화재가 발생한 경우 급수원으로부터 관체를 통해 니플로 공급된 소화수를 아래로 분사한다.
상기 헤드보호망(50)은 천장패널(C)의 하측에서 헤드(40)를 감싸 보호하는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40)를 감싸도록 돔 형태의 철망으로 형성되며, 상단에 암나사를 형성해 제2부분(32)의 외주면의 나사에 착탈 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되면, 파손되었을 때 쉽게 착탈하여 교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스프링클러 결합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분(22)과 천장패널(C)의 사이 및 제2부분(32)과 천장패널(C)의 사이에 오링(R)을 구비하여 끼워넣으면, 천장패널(C)과의 사이 틈새를 더욱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듀싱니플(10)의 외주면에도 오링(R)을 삽입하여, 니플구멍(n)의 내주면과 레듀싱니플(10)의 외주면 사이에 개재되도록 하면, 니플구멍(n)과 레듀싱니플(10) 사이 틈새 또한 밀폐할 수 있어, 니플구멍(n)을 통해 미세한 먼지 등이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 스프링클러 결합구조 10: 상부유닛
20: 하부유닛 30: 레듀싱니플
40: 헤드 50: 헤드보호망
60: 플렉시블 관체 C: 천장패널
h: 통공 n: 니플구멍

Claims (4)

  1. 천장패널(C)에 형성된 통공(h)의 상부에 끼워지고, 중앙에 니플구멍(n)이 형성되는 상부유닛(20);
    상기 통공(h)의 하부에 끼워져 상기 상부유닛(20)과 고정결합되고, 중앙에 니플구멍(n)이 형성되는 하부유닛(30);
    상기 상부유닛(20)의 니플구멍(n)과 상기 하부유닛(30)의 니플구멍(n)을 관통해 상기 상부유닛(20)의 상부로부터 끼워져 상기 상부유닛(20)과 고정결합되고, 상측이 급수원으로부터 연결되어 소화수가 유입되는 플렉시블 관체(60)와 일체로 제작되는 레듀싱니플(10);
    상기 레듀싱니플(10)의 하단에 결합되어,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레듀싱니플(10)을 통해 공급되는 소화수를 분사하는 헤드(40); 및
    상기 하부유닛(30)과 고정결합되어 상기 헤드(40)를 보호하는 헤드보호망(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결합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유닛(20)은 상단 외주면에 숫나사부(24)가 형성되고, 상기 레듀싱니플(10)의 외주에는 상기 상부유닛(20)의 숫나사부(24)와 체결되는 너트(70)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결합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너트(70)는 내주면의 하단으로부터 일부분이 반경외측으로 확경되어 누름턱(71)이 형성되고,
    상기 레듀싱니플(10)은 외주면 일부분에 환형돌기(12)가 형성되어,
    상기 환형돌기(12)를 상기 상부유닛(20)의 상단면에 안착시킨 뒤, 상기 너트(70)가 상기 숫나사부(24)에 체결될 때, 상기 누름턱(71)이 상기 환형돌기(12)를 가압하여 상기 레듀싱니플(10)과 상기 상부유닛(20)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결합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환형돌기(12)와 상기 상부유닛(20)의 상단면 사이에 개재되는 고무패킹(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결합구조.
KR1020210127584A 2021-03-16 2021-09-27 스프링클러 결합구조 KR202201294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146 2021-03-16
KR20210034146 2021-03-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444A true KR20220129444A (ko) 2022-09-23

Family

ID=83445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584A KR20220129444A (ko) 2021-03-16 2021-09-27 스프링클러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944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299791A1 (en) Sprinkler coupling structure
US6807692B2 (en) Water lock tap
KR101725009B1 (ko) 수방식 스프링클러
KR101802286B1 (ko)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 설비용 진공배관 지지장치
US4007877A (en) Adjustable stem sprinkler drop
KR20220129444A (ko) 스프링클러 결합구조
KR101009277B1 (ko)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CN112145830B (zh) 一种消防管件的安装方法
KR20200008419A (ko) 건축물 화재진압 소방장치
CN109027508B (zh) 外壁为倾斜状大接管的机械密封保护装置
JP3217571U (ja) ハウジング形管継手
KR101062141B1 (ko)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JP6588593B2 (ja) フランジ接続装置
CN208348729U (zh) 水位观察管连接装置
KR101179705B1 (ko) 지상식 소화전 접합장치
CN217331982U (zh) 一种管道试压构件
KR20180001431A (ko) 수방식 스프링클러
KR102600902B1 (ko) 플러그 타입 스프링클러 헤드 조립체
CN219399465U (zh) 一种建筑装修用环保除尘装置
CN218992639U (zh) 一种便于更换的灭火喷淋头
CN221704476U (zh) 一种安全阀
KR20240062904A (ko) 방진형 스프링클러
CN215025584U (zh) 一种新型消防炮
CN214837701U (zh) 一种耐高压高强度螺柱
KR102249360B1 (ko)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연결 소켓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085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0419

Effective date: 2023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