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166U -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166U
KR20160002166U KR2020140009244U KR20140009244U KR20160002166U KR 20160002166 U KR20160002166 U KR 20160002166U KR 2020140009244 U KR2020140009244 U KR 2020140009244U KR 20140009244 U KR20140009244 U KR 20140009244U KR 20160002166 U KR20160002166 U KR 201600021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sprinkler head
discharge port
building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92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훈
Original Assignee
한국마커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마커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마커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92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2166U/ko
Publication of KR201600021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16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09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telescopic or adjus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소화용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에 연결되는 유입구와 유입구에 연통되어 소화용 물을 상방으로 배출하는 상방 배출구와 유입구에 연통되어 소화용 물을 하방으로 배출하는 하방 배출구를 구비한 분배관; 하방 배출구에 연결되며, 소화용 물을 건물의 바닥면방향으로 분사하는 제1 스프링클러 헤드; 상방 배출구에 연결되며, 소화용 물을 건물의 슬라브방향으로 분사하는 제2 스프링클러 헤드; 및 하방 배출구와 제1 스프링클러 헤드 사이에 연결되며, 건물의 천장패널 높이에 대응하여 제1 스프링클러 헤드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 높이 조절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SPRINKLER SYSTEM FOR SPRAYING UP AND DOWN}
본 고안은,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슬라브와 바닥면 양방향으로 소화용 물을 분사할 수 있으며, 건물의 천장높이에 대응하여 스프링클러 헤드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이나 공장 등의 내,외부에는 화재발생시 화염의 전파를 방지하고, 동시에 화재의 진압이 용이하도록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설치한다.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이용하여 소화하는 방법에는 소화용 물을 분사하는 방식으로 크게 건식형과 습식형으로 구분된다.
건식형은 초기에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소화용 물 공급관의 내부에 물이 비워져 있으며 화재감지기가 작동하는 경우 소방 급수펌프의 자동 또는 수동 동작에 의해 스프링클러 헤드에 소화용 물을 공급하여 물을 분사한다.
습식형은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소화용 물 공급관의 내부에 물이 채워져 있으며 화재가 발생한 경우 스프링클러의 내부에 설치된 가용부가 온도에 따라 열팽창하여 파열 또는 용해되는 경우 스프링클러 헤드를 통해 소화용 물을 분사한다.
이러한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통상 건물의 천장패널에 설치된 온도감지센서와 연계되어 동작하는데, 대부분의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하향식 즉 소화용 물의 분사방향이 건물의 바닥면을 향하고 있어 누전 등에 의한 전기적 원인으로 천장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8-056256호에는 소화용 스프링클러 헤드의 분사방향을 조절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헤드는, 스프링클러의 헤드에서 방수되는 물이 상/하방으로 분사되게 이송경로를 제공하는 안내관(10)과, 상기 안내관(1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이송된 물을 천장의 상부측에 분사되도록 반사시키는 반사판(20)과, 상기 안내관(10)의 하단부에 조립되며 중앙에 설치된 분사노즐(40)을 통해 직하방으로 물을 분사시키고 측면에 형성된 분사공(50)을 통해 천장의 내측면과 벽면의 상단 각각에 물을 분사시키는 분사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헤드는, 수압이 떨어지는 경우에 반사판(20)으로 원활하게 소화용 물이 공급되지 못하여 건물의 슬라브에 인접하여 발생하는 화재를 초기에 진화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 건축물에 설치된 하향식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종래 기술에 따른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헤드로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건물의 슬라브와 천장패널 사이의 간격이 각각 다르므로 개별적으로 건물의 슬라브와 천장패널 사이의 간격에 맞춰 다시 제작하여야 하므로 교체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056256(1998.10.15.공개)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건물의 슬라브와 바닥면 방향으로 소화용 물을 분사할 수 있으며, 건물의 천정높이에 대응하여 스프링클러 헤드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설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화용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에 연결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에 연통되어 소화용 물을 상방으로 배출하는 상방 배출구와 상기 유입구에 연통되어 소화용 물을 하방으로 배출하는 하방 배출구를 구비한 분배관; 상기 하방 배출구에 연결되며, 소화용 물을 건물의 바닥면방향으로 분사하는 제1 스프링클러 헤드; 상기 상방 배출구에 연결되며, 소화용 물을 건물의 슬라브방향으로 분사하는 제2 스프링클러 헤드; 및 상기 하방 배출구와 상기 제1 스프링클러 헤드 사이에 연결되며, 건물의 천장패널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스프링클러 헤드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 높이 조절유닛을 포함하는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높이 조절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하방 배출구에 체결되는 제1 체결구; 및 일단부가 상기 제1 체결구의 타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삽입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 스프링클러 헤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프링클러 헤드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프링클러 헤드의 높이 조절은, 상기 제1 높이 조절부를 회동시켜 상기 제1 체결구와 상기 제1 스프링클러 헤드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구의 타단부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높이 조절부의 일단부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나사와 결합되는 제2 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높이 조절부의 일단부에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제1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구의 타단부에는 내주면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걸림돌기가 걸리는 제1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높이 조절부의 일단부 외주면과 상기 제1 체결구의 타단부 내주면 사이에는 제1 오링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상방 배출구와 상기 제2 스프링클러 헤드 사이에 연결되며, 건물의 슬라브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스프링클러 헤드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2 높이 조절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높이 조절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상방 배출구에 체결되는 제2 체결구; 및 일단부가 상기 제2 체결구의 타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삽입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스프링클러 헤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프링클러 헤드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2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스프링클러 헤드의 높이 조절은, 상기 제2 높이 조절부를 회동시켜 상기 제2 체결구와 상기 제2 스프링클러 헤드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구의 타단부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3 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높이 조절부의 일단부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3 나사와 결합되는 제4 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높이 조절부의 일단부에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제2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구의 타단부에는 내주면 둘레를 따라 상기 제2 걸림돌기가 걸리는 제2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높이 조절부의 일단부 외주면과 상기 제2 체결구의 타단부 내주면 사이에는 제2 오링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1 높이 조절부 및 상기 제2 높이 조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중심부는, 직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높이 조절부 및 상기 제2 높이 조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중심부는, 건물의 슬라브와 천정패널 사이에서 상기 제1 스프링클러 헤드 및 상기 제2 스프링클러 헤드의 상하방향 높이 및 수평방향 위치 조절이 용이하도록 주름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건물의 천장패널에 설치되어 화재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센서; 상기 분배관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상방 배출구 또는 상기 하방 배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소화용 물의 유동을 분배하는 분배부재; 및 상기 분배부재에 연결되되, 상기 위치 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해 상기 분배부재를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건물의 천장에 설치된 전기배선 등에 누전이 발생한 경우에 건물의 슬라브와 천장패널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클러 헤드를 작동시켜 천장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초기에 효율적으로 진화할 수 있으며, 또한 건물의 천장높이에 대응하여 스프링클러 헤드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설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배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높이 조절유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높이 조절유닛의 동작상태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높이 조절유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높이 조절유닛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제1 스프링클러 헤드 및 제2 스프링클러 헤드의 위치 변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나는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배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높이 조절유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높이 조절유닛의 동작상태태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높이 조절유닛을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소화용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100)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소화용 물을 상방 및/또는 하방으로 분배하는 분배관(200)과, 분배관(200)에 연결되어 소화용 물을 건물의 바닥면방향으로 분사하는 제1 스프링클러 헤드(310)와, 분배관(200)에 연결되어 소화용 물을 건물의 슬라브(S)방향으로 분사하는 제2 스프링클러 헤드(330)와, 분배관(200)과 제1 스프링클러 헤드(310) 사이에 연결되어 건물의 천장패널(C) 높이에 대응하여 제1 스프링클러 헤드(310)의 상하방향 높이를 조절하는 제1 높이 조절유닛(400)과, 분배관(200)과 제2 스프링클러 헤드(330) 사이에 연결되어 건물의 슬라브(S) 높이에 대응하여 제2 스프링클러 헤드(330)의 상하방향 높이를 조절하는 제2 높이 조절유닛(450)을 포함한다.
분배관(200)은 소화용 물 공급관(100)에 연결되어 소화용 물을 건물의 슬라브(S)방향인 상방과 건물의 바닥면방향인 하방으로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분배관(200)은, 공급관(100)에 연결되는 유입구(210)와, 유입구(210)에 연통되어 소화용 물을 상방으로 배출하는 상방 배출구(230)와, 유입구(210)에 연통되어 소화용 물을 하방으로 배출하는 하방 배출구(250)를 포함한다.
분배관(200)은 "T"자형 형상을 가지며, 유입구(210)와 상방 배출구(230) 및 하방 배출구(250)가 연통되게 형성된다.
분배관(200)은 화재 발생 위치에 따라 소화용 물을 상방 배출구(230) 및/또는 하방 배출구(250)로 분배한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분배관(200)에 의한 소화용 물의 분배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건물의 내부, 특히 건물의 천장패널(C)에 설치되어 화재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센서(500)와, 분배관(200)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방 배출구(230) 또는 하방 배출구(250)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소화용 물의 유동을 분배하는 분배부재(270)와, 분배부재(270)에 연결되어 위치 감지센서(5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해 분배부재(270)를 회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분배부재(270)는 일단부가 분배관(200)의 절곡영역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소화용 물이 상방 배출구(230) 및/또는 하방 배출구(250) 방향으로 분배되도록 유입구(210)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화용 물의 분배과정은, 먼저 위치 감지센서(500)가 건물의 슬라브(S) 및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발생한 화재위치를 감지하고, 외부의 제어부(미도시)에서 가동펌프(미도시)를 작동하여 소화용 물을 공급관(100) 및 분배관(200)에 공급한다.
그리고, 위치 감지센서(500)는 화재위치를 구동부에 전송한다.
구동부는 위치 감지센서(500)에 의해 감지된 화재위치에 대응하여 소화용 물이 분사될 방향으로 분배부재(270)를 회동하여 소화용 물을 상방 배출구(230) 또는 하방 배출구(250) 방향으로 분배한다.
예를들어, 화재 발생위치가 건물의 슬라브(S) 방향인 경우, 소화용 물은 분배부재(270)에 의해 상방 배출구(230) 방향으로 분배되고, 상방 배출구(230)와 연결된 제2 스프링클러 헤드(330)를 통해 건물의 슬라브(S)방향으로 분사된다. 또한, 화재 발생위치가 건물의 바닥면 방향인 경우, 소화용 물은 분배부재(270)에 의해 하방 배출구(250) 방향으로 분배되고, 하방 배출구(250)와 연결된 제1 스프링클러 헤드(310)를 통해 건물의 바닥면방향으로 분사된다.
또한, 상방 배출구(230) 및 하방 배출구(250) 양방향으로 소화용 물을 분배하고자 하는 경우에 분배부재(270)의 타단부와 유입구(210)의 내주면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여 상방 배출구(230) 및 하방 배출구(250) 방향으로 분배되는 소화용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소화용 물은 건물의 슬라브(S) 및 바닥면 양방향으로 분사된다.
한편, 기존 건축물에 설치된 하향식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본 실시예에 따른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으로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건물의 슬라브(S)와 천장패널(C) 사이의 간격에 따라 제1 스프링클러 헤드(310) 및 제2 스프링클러 헤드(330)의 높이를 조절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높이 조절유닛(400)은, 분배관(200)과 제1 스프링클러 헤드(310) 사이에 연결되어 건물의 천장패널(C) 높이에 대응하여 제1 스프링클러 헤드(310)의 높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 높이 조절유닛(400)은, 일단부가 하방 배출구(250)에 체결되는 제1 체결구(410)와, 일단부가 제1 체결구(410)의 타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삽입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1 스프링클러 헤드(310)에 연결되어 제1 스프링클러 헤드(310)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 높이 조절부(420)를 포함한다.
제1 스프링클러 헤드(310)의 높이 조절은, 제1 높이 조절부(420)의 일단부를 제1 체결구(410)의 타단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제1 높이 조절부(420)를 회동시켜 제1 체결구(410)와 제1 스프링클러 헤드(3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이뤄진다.
구체적으로 제1 스프링클러 헤드(310)의 높이 조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 체결구(410)는 분배관(200)의 하방 배출구(250)와 제1 높이 조절부(420) 사이에 위치하여 제1 스프링클러 헤드(310)를 하방 배출구(250)에 견고히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체결구(410)는 녹이 슬리 않도록 스테인레스 재질, 동관 및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구(410)는 일단부가 분배관(200)의 하방 배출구(250)에 체결되고, 타단부가 제1 높이 조절부(420)에 연결된다.
또한, 제1 체결구(410)의 일단부와 하방 배출구(250)는 상호 나사결합되므로, 제1 체결구(410)의 하방 배출구(250)와 결합되는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체결구(410)의 타단부 내주면에는 제1 높이 조절부(420)와 나사결합되도록 제1 나사(411)가 형성된다. 제1 나사(411)는 수밀을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사각 형상의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나사(411)는 제1 높이 조절부(420)와 결합되며, 제1 높이 조절부(420)가 회동되는 경우에 제1 높이 조절부(420)의 상하 높이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1 높이 조절부(420)는 일단부가 제1 체결구(410)의 타단부에 회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타단부가 제1 스프링클러 헤드(310)에 연결되어 회동함에 따라 제1 체결구(410)의 길이방향인 상하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제1 스프링클러 헤드(310)의 높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높이 조절부(420)는 직관(427)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체결구(410)의 제1 나사(411)와 나사결합되도록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2 나사(421)가 형성된다. 제2 나사(421)도 역시 수밀을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사각 형상의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높이 조절부(420)의 일단부 외주면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1 걸림돌기(421)가 형성되고, 제1 걸림돌기(421)에 대응하여 제1 체결구(410)의 타단부에는 내주면 둘레를 따라 제1 걸림돌기(421)가 걸리는 제1 걸림턱(413)이 형성된다. 이는, 제1 높이 조절부(420)가 제1 체결구(410)에 나사결합된 후, 제1 걸림돌기(421)와 제1 걸림턱(413)에 의해 제1 높이 조절부(420)가 제1 체결구(410)의 하측 방향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제1 걸림돌기(421)가 연속되어 형성된 경우 제1 걸림돌기(421)들 사이에 제1 오링(425)들이 장착되어 제1 체결구(410)와 제1 높이 조절부(420)를 수밀되게 밀착시킨다. 또한 제1 오링(425)들에 의해 소화용 물의 반발력으로 제1 높이 조절부(420)가 제1 체결구(410)에 대해 회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높이 조절유닛(400)에 의한 제1 스프링클러 헤드(310)의 높이 조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 배출구(250)에 제1 체결구(410)의 일단부를 체결한다. 그리고, 제1 체결구(410)의 타단부에 제1 높이 조절부(420)를 삽입하고, 제1 높이 조절부(4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나사(421)와 제1 체결구(4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 나사(411)를 나사결합시킨다.
그리고, 제1 높이 조절부(420)와 제1 체결구(410)가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제1 높이 조절부(420)의 타단부에 제1 스프링클러 헤드(310)를 결합한다.
이후,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천장패널(C)의 높이에 따라 제1 높이 조절부(420)를 풀거나 조이면서 제1 스프링클러 헤드(310)의 높이를 천장패널(C)의 높이에 대응되게 조절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높이 조절유닛(450)은, 분배관(200)과 제2 스프링클러 헤드(330) 사이에 연결되어 건물의 슬라브(S) 높이에 대응하여 제2 스프링클러 헤드(330)의 높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 높이 조절유닛(450)은, 일단부가 상방 배출구(230)에 체결되는 제2 체결구(460)와, 일단부가 제2 체결구(460)의 타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삽입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 스프링클러 헤드(330)에 연결되어 제2 스프링클러 헤드(330)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2 높이 조절부(470)를 포함한다.
제2 스프링클러 헤드(330)의 높이 조절은, 제2 높이 조절부(450)의 일단부를 제2 체결구(460)의 타단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제2 높이 조절부(470)를 회동시켜 제2 체결구(460)와 제2 스프링클러 헤드(3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이뤄진다.
구체적으로 제2 스프링클러 헤드(330)의 높이 조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2 체결구(460)는 분배관(200)의 상방 배출구(230)와 제2 높이 조절부(470) 사이에 위치하여 제2 스프링클러 헤드(330)를 상방 배출구(230)에 견고히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체결구(460)는 녹이 슬리 않도록 스테인레스 재질, 동관 및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구(460)는 일단부가 분배관(200)의 상방 배출구(230)에 체결되고, 타단부가 제2 높이 조절부(470)에 연결된다.
또한, 제2 체결구(460)의 일단부와 상방 배출구(230)는 상호 나사결합되므로, 제2 체결구(460)의 상방 배출구(230)와 결합되는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체결구(460)의 타단부 내주면에는 제2 높이 조절부(470)와 나사결합되도록 제3 나사(461)가 형성된다. 제3 나사(461)는 수밀을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사각 형상의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나사(461)는 제2 높이 조절부(470)와 결합되며, 제2 높이 조절부(470)가 회동되는 경우에 제2 높이 조절부(470)의 상하 높이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2 높이 조절부(470)는 일단부가 제2 체결구(460)의 타단부에 회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타단부가 제2 스프링클러 헤드(330)에 연결되어 회동함에 따라 제2 체결구(460)의 길이방향인 상하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제2 스프링클러 헤드(330)의 높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제2 높이 조절부(470)는 직관(477)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체결구(460)의 제3 나사(461)와 나사결합되도록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4 나사(471)가 형성된다. 제4 나사(471)도 역시 수밀을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사각 형상의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높이 조절부(470)의 일단부 외주면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2 걸림돌기(473)가 형성되고, 제2 걸림돌기(473)에 대응하여 제2 체결구(460)의 타단부에는 내주면 둘레를 따라 제2 걸림돌기(473)가 걸리는 제2 걸림턱(463)이 형성된다. 이는, 제2 높이 조절부(470)가 제2 체결구(460)에 나사결합된 후, 제2 걸림돌기(473)와 제2 걸림턱(463)에 의해 제2 높이 조절부(470)가 제2 체결구(460)의 상측 방향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제2 걸림돌기(473)가 연속되어 형성된 경우 제2 걸림돌기(473)들 사이에 제2 오링(475)들이 장착되어 제2 체결구(460)와 제2 높이 조절부(470)를 수밀되게 밀착시킨다. 또한 제2 오링(475)들에 의해 소화용 물의 반발력으로 제2 높이 조절부(470)가 제2 체결구(460)에 대해 회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높이 조절유닛(450)에 의한 제2 스프링클러 헤드(330)의 높이 조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 배출구(230)에 제2 체결구(460)의 일단부를 체결한다. 그리고, 제2 체결구(460)의 타단부에 제2 높이 조절부(470)를 삽입하고, 제2 높이 조절부(47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4 나사(471)와 제2 체결구(46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3 나사(461)를 나사결합시킨다.
그리고, 제2 높이 조절부(470)와 제2 체결구(460)가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제2 높이 조절부(470)의 타단부에 제2 스프링클러 헤드(330)를 결합한다.
이후, 슬라브(S)의 높이에 따라 제2 높이 조절부(470)를 풀거나 조이면서 제2 스프링클러 헤드(330)의 높이를 슬라브(S)의 높이에 대응되게 조절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제1 스프링클러 헤드 및 제2 스프링클러 헤드의 위치 변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소화용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100a)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소화용 물을 상방 및/또는 하방으로 분배하는 분배관(200a)과, 분배관(200a)에 연결되어 소화용 물을 건물의 바닥면방향으로 분사하는 제1 스프링클러 헤드(310a)와, 분배관(200a)에 연결되어 소화용 물을 건물의 슬라브(S)방향으로 분사하는 제2 스프링클러 헤드(330a)와, 분배관(200a)과 제1 스프링클러 헤드(310a) 사이에 연결되어 건물의 천장패널(C) 높이에 대응하여 제1 스프링클러 헤드(310a)의 상하방향 높이 및 위치를 조절하는 제1 높이 조절유닛(400a)과, 분배관(200a)과 제2 스프링클러 헤드(330a) 사이에 연결되어 건물의 슬라브(S) 높이에 대응하여 제2 스프링클러 헤드(330a)의 상하방향 높이 및 위치를 조절하는 제2 높이 조절유닛(450a)을 포함한다.
그리고, 분배관(200a)에서 소화용 물을 상방 배출구(230a) 및/또는 하방 배출구(250a)로 분배하기 위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건물의 내부, 특히 건물의 천장패널(C)에 설치되어 화재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센서(500a)와, 분배관(200a)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방 배출구(230a) 또는 하방 배출구(250a)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소화용 물의 유동을 분배하는 분배부재(미도시)와, 분배부재에 연결되어 위치 감지센서(500a)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해 분배부재를 회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분배관(200a), 제1 스프링클러 헤드(310a), 제2 스프링클러 헤드(330a), 위치 감지센서(500a), 분배부재 및 구동부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배관(200), 제1 스프링클러 헤드(310), 제2 스프링클러 헤드(330), 위치 감지센서(500), 분배부재(270) 및 구동부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와 차이점인 제1 높이 조절유닛(400a) 및 제2 높이 조절유닛(450a)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제1 높이 조절유닛(400a)은, 분배관(200a)과 제1 스프링클러 헤드(310a) 사이에 연결되어 건물의 천장패널(C) 높이에 대응하여 제1 스프링클러 헤드(310a)의 상하방향 높이를 조절하고 수평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높이 조절유닛(400a)은, 일단부가 하방 배출구(250a)에 체결되는 제1 체결구(410a)와, 일단부가 제1 체결구(410a)의 타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삽입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1 스프링클러 헤드(310a)에 연결되어 제1 스프링클러 헤드(310a)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 높이 조절부(420a)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높이 조절부(420a)의 중심부는 건물의 슬라브(S)와 천정패널 사이에서 제1 스프링클러 헤드(310a)의 상하방향 높이 및 수평방향 위치 조절이 용이하도록 주름관(427a)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체결구(410a)와, 제1 높이 조절부(420a)의 일단부가 제1 체결구(410a)의 타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삽입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1 스프링클러 헤드(310a)에 연결되는 구조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체결구(410)와, 제1 높이 조절부(420)의 일단부가 제1 체결구(410)의 타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삽입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1 스프링클러 헤드(310)에 연결되는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높이 조절부(420a)는 중심부가 주름관(427a)으로 형성되므로, 제1 스프링클러 헤드(310a)의 상하방향 높이 조절을 더욱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제1 스프링클러 헤드(310a)의 수평방향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건물의 바닥면의 화재발생 위험성이 높은 위치에 대응되게 제1 스프링클러 헤드(310a)의 수평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초기진화에 유용하다.
또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제2 높이 조절유닛(450a)은, 분배관(200a)과 제2 스프링클러 헤드(330a) 사이에 연결되어 건물의 슬라브(S) 높이에 대응하여 제2 스프링클러 헤드(330a)의 상하방향 높이를 조절하고 수평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2 높이 조절유닛(450a)은, 일단부가 상방 배출구(230a)에 체결되는 제2 체결구(460a)와, 일단부가 제2 체결구(460a)의 타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삽입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 스프링클러 헤드(330a)에 연결되어 제2 스프링클러 헤드(330a)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2 높이 조절부(470a)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높이 조절부(470a)의 중심부는 건물의 슬라브(S)와 천정패널 사이에서 제2 스프링클러 헤드(330a)의 상하방향 높이 및 수평방향 위치 조절이 용이하도록 주름관(477a)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체결구(460a)와, 제2 높이 조절부(470a)의 일단부가 제2 체결구(460a)의 타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삽입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 스프링클러 헤드(330a)에 연결되는 구조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체결구(460)와, 제2 높이 조절부(470)의 일단부가 제2 체결구(460)의 타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삽입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 스프링클러 헤드(330)에 연결되는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높이 조절부(470a)는 중심부가 주름관(477a)으로 형성되므로, 제2 스프링클러 헤드(330a)의 상하방향 높이 조절을 더욱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제2 스프링클러 헤드(310a)의 수평방향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건물의 슬라브측의 화재발생 위험이 높은 위치에 대응되게 제2 스프링클러 헤드(330a)의 수평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초기진화에 유용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S: 슬라브 C: 천장패널
100, 100a: 공급관 200, 200a: 분배관
210, 210a: 유입구 230, 230a: 상방 배출구
250, 250a: 하방 배출구 310, 310a: 제1 스프링클러 헤드
330, 330a: 제2 스프링클러 헤드 400, 400a: 제1 높이 조절유닛
410, 410a: 제1 체결구 420, 420a: 제1 높이 조절부
450, 450a: 제2 높이 조절유닛 460, 460a: 제2 체결구
470, 470a: 제2 높이 조절부 500, 500a: 위치 감지센서

Claims (11)

  1. 소화용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에 연결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에 연통되어 소화용 물을 상방으로 배출하는 상방 배출구와 상기 유입구에 연통되어 소화용 물을 하방으로 배출하는 하방 배출구를 구비한 분배관;
    상기 하방 배출구에 연결되며, 소화용 물을 건물의 바닥면방향으로 분사하는 제1 스프링클러 헤드;
    상기 상방 배출구에 연결되며, 소화용 물을 건물의 슬라브방향으로 분사하는 제2 스프링클러 헤드; 및
    상기 하방 배출구와 상기 제1 스프링클러 헤드 사이에 연결되며, 건물의 천장패널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스프링클러 헤드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 높이 조절유닛을 포함하는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높이 조절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하방 배출구에 체결되는 제1 체결구; 및
    일단부가 상기 제1 체결구의 타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삽입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 스프링클러 헤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프링클러 헤드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프링클러 헤드의 높이 조절은,
    상기 제1 높이 조절부를 회동시켜 상기 제1 체결구와 상기 제1 스프링클러 헤드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구의 타단부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높이 조절부의 일단부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나사와 결합되는 제2 나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높이 조절부의 일단부에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제1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구의 타단부에는 내주면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걸림돌기가 걸리는 제1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높이 조절부의 일단부 외주면과 상기 제1 체결구의 타단부 내주면 사이에는 제1 오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 배출구와 상기 제2 스프링클러 헤드 사이에 연결되며, 건물의 슬라브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스프링클러 헤드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2 높이 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는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높이 조절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상방 배출구에 체결되는 제2 체결구; 및
    일단부가 상기 제2 체결구의 타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삽입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스프링클러 헤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프링클러 헤드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2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스프링클러 헤드의 높이 조절은,
    상기 제2 높이 조절부를 회동시켜 상기 제2 체결구와 상기 제2 스프링클러 헤드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구의 타단부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3 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높이 조절부의 일단부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3 나사와 결합되는 제4 나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높이 조절부의 일단부에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제2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구의 타단부에는 내주면 둘레를 따라 상기 제2 걸림돌기가 걸리는 제2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높이 조절부의 일단부 외주면과 상기 제2 체결구의 타단부 내주면 사이에는 제2 오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높이 조절부 및 상기 제2 높이 조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중심부는, 직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높이 조절부 및 상기 제2 높이 조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중심부는,
    건물의 슬라브와 천정패널 사이에서 상기 제1 스프링클러 헤드 및 상기 제2 스프링클러 헤드의 상하방향 높이 및 수평방향 위치 조절이 용이하도록 주름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건물의 천장패널에 설치되어 화재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센서;
    상기 분배관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상방 배출구 또는 상기 하방 배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소화용 물의 유동을 분배하는 분배부재; 및
    상기 분배부재에 연결되되, 상기 위치 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해 상기 분배부재를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
KR2020140009244U 2014-12-15 2014-12-15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 KR2016000216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244U KR20160002166U (ko) 2014-12-15 2014-12-15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244U KR20160002166U (ko) 2014-12-15 2014-12-15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166U true KR20160002166U (ko) 2016-06-23

Family

ID=56344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9244U KR20160002166U (ko) 2014-12-15 2014-12-15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2166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676B1 (ko) * 2016-07-29 2016-12-01 (주)하일기술단 공동주택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KR101711044B1 (ko) * 2016-07-29 2017-02-28 (주)하일기술단 신속한 화재 차단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소방용 화재차단장치
KR101711039B1 (ko) * 2016-07-29 2017-03-13 (주)하일기술단 공동주택의 화재진압이 용이한 소방장치
KR20200115748A (ko) * 2019-03-25 2020-10-08 최영표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헤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676B1 (ko) * 2016-07-29 2016-12-01 (주)하일기술단 공동주택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KR101711044B1 (ko) * 2016-07-29 2017-02-28 (주)하일기술단 신속한 화재 차단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소방용 화재차단장치
KR101711039B1 (ko) * 2016-07-29 2017-03-13 (주)하일기술단 공동주택의 화재진압이 용이한 소방장치
KR20200115748A (ko) * 2019-03-25 2020-10-08 최영표 개방형 건식 스프링클러헤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2166U (ko)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1936056B1 (ko) 소방용 스프링클러
US10016644B2 (en) End bracket for sprinkler and fixing apparatus for sprinkler including the same
KR101682902B1 (ko) 분사 각도 조절 및 이동이 가능한 스프링클러 설비
US20120118591A1 (en) Water, foam and compressed air protection against fire, in or associated with structures
KR101847438B1 (ko) 소방기술 설비의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장치
KR20110009907A (ko) 화재진압용 스프링쿨러
US7673858B2 (en) Low pressure steam humidifier
KR101828250B1 (ko) 건물의 외벽을 통한 화재확산 방지장치
KR20180065987A (ko) 스프링클러 헤드
KR101994299B1 (ko) 스프링클러헤드의 연결장치
KR102359476B1 (ko) 소방 배관 설치구조
KR101928361B1 (ko) 배관용 소방설비 시공방법
KR101143940B1 (ko) 소화 급수관을 이용한 가습 시스템
KR101905548B1 (ko) 천장형 자동 소화장치
CN103405872A (zh) 扇面喷射灭火装置
KR101713236B1 (ko) 소방 분사장치와 시스템
KR200470466Y1 (ko) 스프링쿨러 헤드용 연결관 승강장치
KR20180082778A (ko) 이송기능을 갖는 스프링쿨러장치
KR102478728B1 (ko) 소방 배관 설치구조
KR20110067711A (ko) 건물 지붕의 냉각 살수장치
KR20130005000U (ko) 분무기능을 지닌 선박용 화재감지기
CN214717846U (zh) 一种感应式多水型旱喷装置
KR20080005767U (ko) 스프링쿨러용 연결관 승강장치
KR102551462B1 (ko) 소방 배관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