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8361B1 - 배관용 소방설비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배관용 소방설비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8361B1
KR101928361B1 KR1020180059603A KR20180059603A KR101928361B1 KR 101928361 B1 KR101928361 B1 KR 101928361B1 KR 1020180059603 A KR1020180059603 A KR 1020180059603A KR 20180059603 A KR20180059603 A KR 20180059603A KR 101928361 B1 KR101928361 B1 KR 101928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module
steel beam
sensor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평기
남상진
Original Assignee
성마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마기업(주) filed Critical 성마기업(주)
Priority to KR1020180059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83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8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otating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1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7/125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means being fluid actuated
    • B05B7/1263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means being fluid actuated pneumatically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플랜지(101), 웨브(102) 및 하부플랜지(103)로 이루어져 건물의 하중을 받기 위해 시공되는 강재보(100)의 일측면에 거치대(12)를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단계; 앵글 걸침판(14)을 상기 강재보(100)의 상부플랜지(101)측에 걸침되도록 하는 단계; 및 지지판(16)이 상기 앵글 걸침판(14)에 볼트(15)로 고정 연결되어 상기 거치대(12)와 서로 마주하여 위치되도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플랜지(101), 상기 웨브(102), 상기 하부플랜지(103)는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통해 표면처리 가공이 수행된 소화배관을 강재보에 설치하기 위한 배관용 소방설비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배관용 소방설비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FOR FIRE FIGHTING EQUIPMENTS}
본 발명은 건축물에 시설되는 배관용 소방설비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재보의 구조적 변경없이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안정되게 지지시킬 수 있는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강재보에 설치하며, 특히 소방설비 시공 전반에 필요한 각종 수단들의 사전 및 사후 유지 보수 관리가 가능하여 효율적인 보다 효율적인 시공이 가능한 소방설비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서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기 위한 소화배관은 슬래브의 바닥에 설치된 행거를 통해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행거는 슬래브의 콘크리트층에 앵커볼트를 시공해야 하므로 분진 발생 등으로 시설 작업이 매우 열악해지게 된다. 또한 행거는 소화배관의 설치 방향을 따라 위치시켜야 하는데 반해, 그 설정된 위치에 정확히 행거를 시공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소방설비 시공 전반에 필요한 각종 시공수단들과 시공된 소방설비의 품질 향상을 위해서는 소방설시 시공 수단들의 사전 및 사후 유지 보수 관리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25299호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안정되게 지지시킬 수 있는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강재보에 설치하며, 특히 소방설비 시공 전반에 필요한 각종 수단들의 사전 및 사후 유지 보수 관리가 가능하여 효율적인 보다 효율적인 시공이 가능한 소방설비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부플랜지, 웨브 및 하부플랜지로 이루어져 건물의 하중을 받기 위해 시공되는 강재보의 일측면에 거치대를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단계; 앵글 걸침판을 상기 강재보의 상부플랜지측에 걸침되도록 하는 단계; 및 지지판이 상기 앵글 걸침판에 볼트로 고정 연결되어 상기 거치대와 서로 마주하여 위치되도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플랜지, 상기 웨브, 상기 하부플랜지는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통해 표면처리 가공이 수행된 소화배관을 강재보에 설치하기 위한 배관용 소방설비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강재보의 구조적 변경없이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안정되게 지지시킬 수 있는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강재보에 설치하며, 특히 소방설비 시공 전반에 필요한 각종 수단들의 사전 및 사후 유지 보수 관리가 가능하여 효율적인 보다 효율적인 시공이 가능한 소방설비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강재보에 설치하기 위한 배관용 소방설비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소방설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소방설비의 시공순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배관용 소방설비에 스프링 쿨러용 소화배관이 설치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을 위한 표면처리 가공수단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을 위한 표면처리 가공수단를 모터와 스크류조합에 의해 자동으로 구성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스프레이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작동도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범퍼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결속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 배관 조립체(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6 에는 상기 냉온수 배관 조립체(100')의 구성들이 도시되어 있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소방설비(1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건물의 하중을 받기 위해 시공되는 강재보(100')에 도 6과 같이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200')이 지지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강재보(100')는 상부플랜지(101'), 웨브(102') 및 하부플랜지(103')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강재보(100')는 웨브(102')와 하부플랜지(103')에의해 길이 방향으로 사각단면의 형상을 갖고 상향으로 개구된 개구홈(104')을 형성한다. 개구홈(104')에는 도 5c와 같이 콘크리트(110')가 타설되어 강재보(100')는 콘크리트와 합성을 이루게 된다. 배관용 소방설비(1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강재보(100')의 일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거치대(12')와, 강재보(100')의 상부플랜지(101')측에 걸침되어 거치대(12')가 고정된 위치의 상방에 위치되는 앵글 걸침판(14')과, 앵글 걸침판(14')에 일단이 볼트(15')로 고정 연결되어 거치대(12')와 서로 마주 보고 위치되는 지지판(16')과, 일단이 거치대(12')에 걸침되고 타단이 지지판(16')에 볼트(17')로 고정되어 상면으로 하나 이상의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200')을 지지하는 소화배관 지지바(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거치대(12')는 도 4에서와 같이 하부에 강재보(100')의 하부플랜지(103')를 U자 형태로 감싸는 U형 절곡부(121'), U형 절곡부(121')에서 상향으로 입설된 판상부(122'), 판상부(122')에서 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절결 돌출되어 브릿지홀(123a')을 갖는 거치브릿지(123')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거치브릿지(123')는 3개소에 형성되어 있으나 적어도 1개소 이상이 될 수 있다. 이같이 거치대(12')는 U형 절곡부(121')를 가지고 있어 하부플랜지(103')를 따라 강재보(100')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를 받으면서 위치 이동을 쉽게 할 수 있다. 거치대(12')는 U형 절곡부(121')에 나사로 체결되어 있는 볼트(19')를 통해 하부플랜지(103')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볼트(19')를 조임시켜 하부플랜지(103')에 가압함으로써 거치대(12')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거치대(12')는 볼트(19')와 이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미도시')를 통해 하부플랜지(103')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부플랜지(103')에는 볼트(19')가 삽입되는 홀(103a')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될 수 있다. 브릿지홀(123a')은 본 실시 예에서 사각의 긴 구멍 형태를 하고 있으나 거치브릿지(123')의 돌출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소화배관 지지바(18')는 도 4와 같이 일단에 거치브릿지(123')에 걸침되는 걸침턱(181')을 갖고 타단에 볼트(17')가 체결되기 위한 나사구멍(182')을 갖고 있다. 소화배관 지지바(18')는 본 실시 예에서 사각단면을 갖는 강재로 제작되어 있으나 각파이프나 원형 파이프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앵글걸침판(14')에는 도 4와 같이 소화배관 지지바(18')에 지지되어 있는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200')의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보강리브(14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배관용 소방설비의 설치 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도 5a와 같이 거치대(12')를 강재보(100')의 하부플랜지(103')에 볼트(19')를 이용하여 설치한다. 그 다음, 도 5b와 같이 앵글 걸침판(14')의 일단을 강재보(100')의 상부플랜지(101')에 거치한 후 지지판(16')의 상단을 볼트(15')를 사용하여 앵글 거침판(14')에 연결 고정한다. 따라서 지지판(16')은 거치대(12')와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그 다음, 도 5c와 같이 소화배관 지지바(18')를 거치대(12')와 지지판(16')의 사이에 위치시켜 설치한다. 이때 소화배관 지지바(18')의 일단은 거치대(12')의 거치브릿지(123')에 걸침턱(181')을 통해 걸침되고 타단은 볼트(17')를 통해 지지판(16')에 연결된다. 그 다음,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200')을 소화배관 지지바(18')의 상면에 거치시켜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200')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같이 배관용 소화설비(10')가 강재보(100')에 설치가 이루어진 후, 슬래브를 시공하게 되면, 강재보(100')의 내부에 콘크리트(110')가 타설되고, 타설된 콘크리트층은 앵글 걸침판(14')을 합성시키기 때문에 배관용 소화설비(10')는 강재보(100')에 일체로 시설되게 된다. 미설명 부호 '120'은 '데크플레이트'이다. 따라서 배관용 소화설비(10')는 강재보(100')의 구조적 변형이나 추가적인 구성이 없이도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200')을 강재보(100')측에 안정되게 지지시킬 수 있다. 또한 거치대(12')는 거치브릿지(123')를 통해 소화배관 지지바(18')를 쉽게 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소화배관 지지바(18')를 복수단 이상으로 설치할 수 있어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200') 이외에 소방통신배관 및 전기설비배관을 함께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배관용 소화설비(10')는 강재보(100')에 설치 지지되므로 종래와 같이 슬래브의 콘크리트층에 앵커볼트를 시공할 때 나타나는 분진 발생이 발생되지 않아 시공 작업이 매우 뛰어나게 된다. 또한 거치대(12')는 강재보(100')의 하부 플랜지(103')를 따라 안내 이동받게 되므로 설정 위치에 정확히 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을 위한 표면처리 가공수단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을 위한 표면처리 가공수단를 모터와 스크류조합에 의해 자동으로 구성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스프레이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작동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을 위한 표면처리 가공수단은 컨베이어(100")상에서 이송되는 상기 상부플랜지(101‘), 상기 웨브(102’), 상기 하부플랜지(10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피코팅물(110")의 일정높이에 고정된 고정부(115")에 축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115")에 배치되는 회전수단(120")에 의해 회전되는 센터 사프트(125")와, 상기 센터 사프트(125")의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상방수평보(130")와, 상기 상방 수평보(130")의 양측에 교차하게 수직으로 배치되는 사이드 수직바(140")와, 상기 상방수평보(130")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가 수직으로 미끄럼 결합되며, 상기 상방 수평보(130")에 고정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고정수단(142")을 구비한 이동블럭(145")과, 상기 상방 수평보(130")의 양측하부에서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에 고정되기 위한 제2 고정수단(147")을 구비하며, 피코팅물(110")에 도포되는 도포액를 공급받아 노즐(152")에 의해 피코팅물(110")에 분사하는 스프레이건(150") 및 상기 스프레이건(150")에 가압된 공기를 제공하여 도포액를 피코팅물(110")에 분사시키는 공압펌프(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센터 사프트(125")가 회전수단(120")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센터 사프트(125")에 고정된 상방 수평보(130")가 회전되고, 상방 수평보(130")의 양측에서 사이드 수직바(140")의 하부에 결합된 스프레이건(150")도 회전되는데, 스프레이건(150")의 회전에 의해 스프레이건(150")의 하방에서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피코팅물(110")의 모든 면에 코팅재가 노즐(152")에서 미세하게 분사되어 고른 두께로 도포되고, 코팅재의 도포시간도 단축된다. 그리고, 상방 수평보(130")와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에는 상기 스프레이건(150")의 수평위치 및 수직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눈금이 형성되는데, 작업자가 각 도포물에 따라 얻어진 도포액의 분사거리를 테이블화 하고, 이에 맞게 스프레이건(150")의 수평위치를 상방 수평보(130")에서 조절하고, 사이드 수직바(140")에서 수직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도포물에 맞게 미세하게 도포액을 분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고정수단(142")은 이동블럭(145")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방 수평부에 이동블럭(145")을 고정시키는 수직나사 및 이동블럭(145")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사이드 수직바(140")를 이동블럭(145")에 고정시키는 수평나사이다. 또한, 제2 고정수단(147")은 스프레이건(150")을 사이드 수직바(140")의 하부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스프레이건(150")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을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어야 하는데, 사이드 수직바(140")에 스프레이건(150")을 축 결합하여 연결하는 축바가 형성되고 외주부에 원주방향으로 홀이 형성된 연결판과 연결판의 홀을 통해 스프레이건(150")에 끼워짐으로써, 스프레이건(150")의 분사각을 고정하는 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15")의 일측에는 도포액를 공급하는 도포액 공급부(165") 및 상기 공압탱크(160")가 고정되고, 상기 센터 사프트(125")의 하부에는 상기 도포액 공급부(165")와 관(167")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스프레이건(150")에 관(167")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스프레이건(150")으로 도포액의 공급을 차단하는 도포액 개폐밸브(170")를 구비한 도포액 연결부(175")가 구비되고, 상기 도포액 연결부(175")의 하부에는 상기 공압탱크(160")와 상기 스프레이건(150")에 관(167")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스프레이건으로 가압공기의 공급을 차단하는 가압공기 차단밸브(176")를 구비한 공압 연결부(177")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센터 사프트(125")에는 모터(186")나 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블럭(145")을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평이동수단(180")이 구비되는데, 모터(186")에 의해 이동블럭(145")을 이동시키는 경우, 모터(186")는 센터 사프트(125")에 상방 수평보(130")를 고정시키는 센터블럭(126")의 일면에 한 쌍이 고정되고, 모터(186")에는 스크류 환봉(187")에 연결되며, 스크류 환봉(187")은 이동블럭(145")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암스크류(188")에 연결되고, 모터(186")의 구동에 의해 이동블럭(145")은 상방 수평보(130")에서 미끄럼 이동된다. 이때, 이동블럭(145")의 이동거리는 모터(186")에 결합된 엔코더에 의해 모터(186")의 축 회전수와 모터(186")의 일회전에 의해 스크류 환봉(187")에서 이동되는 암스크류(188")의 이동거리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한편, 모터(186")는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일정각도로 회전되고, 모터(186") 축의 브레이크 기능이 있는 스텝모터(186")를 사용함으로써, 제어부의 의한 모터제어가 간단해질 수 있으며, 브레이크 기능에 모터(186")축을 홀딩하여 이동블럭(145")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블럭(145")은 모터(186")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이동블럭(145")의 이동거리를 설정하고, 제어부에 의해 이동거리에 맞는 회전수로 모터(186")가 회전됨으로써 상방 수평보(130")에서 이동되는데, 이동블럭(145")의 이동거리는 피코팅물(110")에 맞는 스프레이건(150")의 위치에 맞게 제어부에서 미리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이동블럭(145")에는 사이드 수직바(140")를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190")이 구비되는데, 높이조절수단(190")도 수평이동수단(180")과 마찬가지로 모터(186")와 스크류 조합, 또는 공압 실린더의 사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는, 높이조절수단(190")은 모터(196")가 이동블럭(145")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스크류 환봉(197")이 이동블럭(145")에 축 결합되며, 모터(186")와 스크류 환봉(197")이 피니언 기어(199")로 연결되고, 스크류 환봉(197")이 스프레이건(150")에 고정된 암스크류(198")로 연결되며, 이동블럭(145")에 미끄럼 결합된 사이드 수직바(140")가 모터(196")의 구동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는데, 이동블럭(145")의 이동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이동거리가 계산되고, 제어부에 의해 모터(196")의 회전수가 제어됨으로써 사이드 수직바(140")는 피코팅물(110")에 맞는 스프레이건(150")의 위치에 맞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레이건(150")의 노즐(152")은 스프레이건(150")의 단부에서 피코팅물(110")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센터 사프트(125")의 회전에 의해 스프레이건(150")이 회전되는 경우, 코팅재가 피코팅물(110")을 향해 하방으로 고르게 분사된다.
도 12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범퍼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2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표면처리 가공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2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전술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결속되어, 상기 표면처리 가공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키고 진동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멀티 범퍼모듈을 개시한다.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지지대를 거치하기 위한 제1 범퍼모듈(1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범퍼모듈(100)은, 상기 지지대의 단부 일영역이 안착되는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1 안착부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 가압부(1112)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1 가압부(1112)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회전부(1113)가 구비 되는 제1-1 범퍼모듈(1110)과, 상기 지지대의 단부 타영역이 안착되는 제2 안착부(2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 가압부(2112)와,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상기 제2 가압부(2112)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회전부(2113)가 구비되는 제1-2 범퍼모듈(2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압부(1112)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1 안착부(1111)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1 가압부(1112)의 상기 제1 안착부(1111) 대향면상에는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와,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가압부(2112)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2 가압부(2112)의 상기 제2 안착부(2111) 대향면 상에는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와,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가 구비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의 제1-1 정보값 및 상기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의 제1-2 정보값을, 상기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의 제2-1 정보값과 상기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의 제2-2 정보값과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의 제1-1 정보값과 상기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의 제1-2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의 제2-1 정보값과 상기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의 제2-2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상기 지지대는 바(bar) 형상체이며,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에는 각각 상방에서 하방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며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유동 가능한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호 간에 탄성수단(CM)으로 연동되어 수평방향 간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정합을 이루며,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정합을 이루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 사이에서 내부로 가압되어 안착되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는 각각 내부로부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향하는 경사면의 외부로 출몰되는 돌기(O)가 구비된다.
상기 돌기(O)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다수로 구비되고,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O)에 의하여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적어도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 접하는 접촉부가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기(O)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O)가 삽입된다.
상기 지지대의 양측면 상에는 각각 높이방향 상으로 유동되는 승하강 수단(UP)이 구비되며,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상기 제1 회전부(1113)와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상기 제2 회전부(2113)의 상면부 제1 수평영역 상에는 상기 지지대를 향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 유동 가능한 고정수단(HM)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HM)은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1 안착부(1111 및 상기 제2 안착부(2111) 상에 안착된 된상태에서,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의 상방 노출면인 제2 수평영역 적어도 일부 가압하도록 유동되며,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수평영역 상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수단(HM)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수단(HM)은 상기 제2 수평영역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빗변이 상기 지지대 반대편을 향하도록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직삼각형상체이며,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바) 또는 플레이트 형상체로서, 챔퍼가 형성된 하단부로 둘레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고정수단(HM)의 상방을 가압하되,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하단부가 상기 고정수단(HM)의 빗변 적어도 일부와 형합하도록 접촉하여 가압한다.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제1 범퍼모듈(110)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2 범퍼모듈(2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범퍼모듈(200)은,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3 안착부(3111)와, 상기 제3 안착부(3111)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3 회전부(3113)가 구비되는 제2-1 범퍼모듈(3110)과,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4 안착부(4111)와, 상기 제4 안착부(4111)를 수평방향 상에서 일정영역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4 회전부(4113)가 구비되는 제2-2 범퍼모듈(4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안착부(3111)는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4 안착부(4111)는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3 안착부(3111)와 상기 제4 안착부(4111)는 적어도 경사면 일부가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기 제3 회전부(3113) 및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하방에는 상방과 하방간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펌핑모듈(PM)이 구비되며, 상기 펌핑모듈(PM)은, 하판부(BL)와, 상기 제3 안착부(3111),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기 제3 회전부(3113) 및 상기 제4 회전부(4113)가 거치되며, 상기 하판부(BL)로부터 탄성수단 및 폄핑수단을 매개로 상방과 하방 간에 유동 가능한 상판부(UL)를 포함한다. 상기 펌핑수단은 유체의 내장 및 토출을 위하여 유체가 내장되는 내장체(I)와, 외부 가압힘 또는 진동에 기반하여 상기 내장체(I) 상에서 일정하게 유동되어, 상기 내장체(I)의 상기 유체가 분사되도록 하기 위한 가압체(P)가 구비된다. 상기 상판부(UL)와 상기 하판부(BL)는 상호간에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키도록 각각 자성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내장체(I)는 수평방향 단부 상으로 분사노즐(N)이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UL)와 상기 하판부(BL)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유체를 분사하되, 상기 유체는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및 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인 열가소성 수지이거나, 유색을 띠는 기체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는, 외부 하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매개로 상기 제1 범퍼모듈(110) 상에 1차 안착되되, 상기 제1 회전부(1113) 및 상기 제2 회전부(2113)의 선택적인 회전동작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지지대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2 범퍼모듈(200) 상에 2차 안착되거나, 기 설정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강제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제2 범퍼모듈(200) 상에 2차 안착된다.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범퍼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제1 범퍼모듈(110)과 상기 제2 범퍼모듈 사이에 구비되는 서브 범퍼모듈(3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서브 범퍼모듈(300)은,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1 서브 안착부(1111)S)와,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 서브 가압부(1112S)와,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와 상기 제1 서브 가압부(1112S)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서브 회전부(1113S)가 구비되는 제1 서브 범퍼모듈(3110)과,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2 서브 안착부(2111S)와,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 서브 가압부(2112S)와,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와 상기 제2 서브 가압부(2112S)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서브 회전부(2113S가 구비되는 제2 서브 범퍼모듈(4110)을 개시한다.
상기 제1 서브 가압부(1112S)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1 서브안착부(1111)S)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1 서브 가압부(1112S)의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 대향면 상에는 제1-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1S)와, 제1-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2S)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서브 가압부(2112S)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2 가압부(2112)의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 대향면 상에는 제2-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1S)와, 제2-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2S)가 구비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1S)의 제1-1 서브 정보값 및 상기 제1-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2S)의 제1-2 서브 정보값을, 상기 제2-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1S)의 제2-1 서브 정보값과 상기 제2-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2S)의 제2-2 서브 정보값과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또한,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1S)의 제1-1 서브 정보값과 상기 제1-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2S)의 제1-2 서브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2-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1S)의 제2-1 서브 정보값과상기 제2-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2S)의 제2-2 서브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는, 상기 제2서브 안착부(2111S)를 향하는 대각선 상방 측면부에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챔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는,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를 향하는 대각선 상방 측면부에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챔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L)(즉, (L’)과 동일)는, 외부 하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매개로 상기 제1 범퍼모듈(110)을 경유하여, 상기 제1 서브 범퍼모듈(3110)상에 안착되되, 상기 제1 서브 회전부(1113S) 및 상기 제2 서브 회전부(2113S의 선택적인 회전동작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지지부(L)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1 서브 범퍼모듈(3110) 상에 안착되거나,
기설정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강제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제1 서브 범퍼모듈(3110) 상에 안착된다.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에는 각각 다수의 완충구(EC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범퍼모듈(100을 경유하는 상기 지지부(L)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과 접하며, 상기 완충구(EC)는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의 표면을 덮는 커버형 구조물로서 상호 이웃하여 복수로 배치된다. 상기 완충구(EC)는 내부에 유체 저장을 위한 포켓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에서 내부로부터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완충구(EC)는 내부에 유체 저장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에서 내부로부터 외부로 출몰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외측 대각선 하부면이 챔퍼가 형성되며 상기 제3 회전부(3113)의 외곽을 가압하여 상기 제3 회전부(3113)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1 외곽 가압부(5100)와, 상기 제1 외곽 가압부(5100)에 상방 대각선 방향으로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5200)와, 상기 제1 구동부(5200)의 하방을 지지하는 제1 상단 패널부(5300)와, 상기 제1 상단 패널부(5300)의 하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1 하단 패널부(5400)와, 상기 제1 상단 패널부(5300)와 상기 제1 하단 패널부(5400)사이에 구비되며 내부에 시각적 식별 및 후각적 식별을 위한 기체가 내장되는 제1 캡슐층이 다수 구비되어, 일정 수치의 가압힘이 가해지면 상기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구비되는 제1 캡슐패널(CP1)이 구비되는 제1 외곽 가압모듈(500)과, 상기 제1 외곽 가압모듈(500)의 외측에서 상방과 하방간에 일정 높이로 유동되어, 상기 제1 캡슐층의 기체를 외부로 가속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제1 배출수단(BM1)이 내장 되는 제1 배출모듈(550)과, 외측 대각선 하부면이 챔퍼가 형성되며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외곽을 가압하여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2 외곽가압부(6100)와, 상기 제2 외곽 가압부(6100)에 상방 대각선 방향으로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6200)와, 상기 제2 구동부(6200)의 하방을 지지하는 제2 상단패널부(6300)와, 상기 제2 상단 패널부(6300)의 하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 하단 패널부(6400)와, 상기 제2 상단 패널부(6300)와, 상기 제2 하단 패널부(6400) 사이에 구비되며 내부에 시각적 식별 및 후각적 식별을 위한 기체가 내장되는 제2 캡슐층이 다수 구비되어, 일정 수치의 가압힘이 가해지면 상기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구비되도록 하는 제2 캡슐패널(CP2)가 구비되는 제2 외곽 가압모듈(600)과, 상기 제2 외곽 가압모듈(600)의 외측에서 상방과 하방간에 일정 높이로유동되어, 상기 제2 캡슐층의 기체를 외부로 가속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제2 배출수단(BM2)이 내장되는 제2 배출모듈(650)을 개시한다.
상기 제1 캡슐패널(CP1)은 제1-1 캡슐패널(CP11)과, 상기 제1-1 캡슐패널(CP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2 캡슐패널(CP12)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캡슐패널(CP2)은 제2-1 캡슐패널(CP21)과, 상기 제2-1 캡슐패널(CP2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2 캡슐패널(CP2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모듈(550)의 상기 제1 배출수단(BM1)은 제1 배출수단(BM11)과, 상기 제1 배출수단(BM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2 배출수단(BM12)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배출모듈(650)의 상기 제2 배출수단(BM2)은 제2-1 배출모듈(BM21)과, 상기 제2-1 배출모듈(BM2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2 배출모듈(BM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모듈(550)은 상기 기체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제1 배출수단(BM11) 및 상기 제1-2 배출수단(BM12)이 상기 제1-1 캡슐패널(CP11) 및 상기 제1-2 캡슐패널(CP12)에 대응하도록 유동되며, 상기 제2 배출모듈(650)은 상기 기체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제2-1 배출모듈(BM21) 및 상기 제2-2 배출모듈(BM22)은 상기 제2-1 캡슐패널(CP21) 및 상기 제2-2 캡슐패널(CP22)에 대응하도록 유동된다.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결속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8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결속모듈은, 상기 컨베이어에서 저면부를 향하는 다수의 지지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부는 길이방향 적어도 일부를 따라 다수의 결속모듈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결속모듈은 제1 결속모듈(71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결속모듈(710)은, 상기 지지부들 중 제2 지지부(L2)에 결속되는 한 쌍의 외장부(711)와, 상기 각 외장부(711) 내부에 연동되도록 구비되는 내장부(712)와, 상기 외장부(711)에 연동되어 상기 내장부(712) 상에서 진퇴유동방식으로 상기 제2 지지부(L2)를 가압시키는 가압유닛(713)이 구비된다. 상기 제2 지지부(L2)는 상기 가압유닛(713)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 상에 상기 가압유닛(713)과 대응하는 소정의 삽입홈이 구비된다. 상기 가압유닛(713)은 최상단에 구비되는 제1 가압유닛(713a)과, 최하단에 구비되는 제2 가압유닛(713c)과, 중단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 제3 가압유닛(713b)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 지지부(L2)의 상기 삽임홈에 각각 선택적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내장부(712)는 인접하는 상기 제2 지지부(L2)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접착물질(OM)이 충진된다.
상기 내장부(712)의 상방에는 상기 내장부(712)를 가열하여 상기 접착물질(OM)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히팅부(HT1)이 구비되고, 상기 내장부(712)의 하방에는 상기 내장부(712)를 냉각하여 상기 접착물질(OM)을 비활성화 시키기 위한 냉각부(BL1)이 구비된다. 내부에 접착물질(OM)은 상기 외장부(711)와 상기 내장부(712) 간에 구비되는 공급관(SP)을 통해 상기 내장부(712) 상에 공급되되, 상기 제1 가압유닛(713a) 내지 상기 제3 가압유닛(713b)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공급되어 상기 외장부(711), 상기 내장부(712), 상기 가압유닛(713) 및 상기 제2 지지부(L2)를 상호 결속시킨다. 상기 제2 지지부(L2)의 외주면 상에는 식별수단(MM1)이 구비되며, 상기 내장부(712)의 상방에는 상기 식별수단(MM1)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수단(SM1)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유닛(713)은 상기 인식수단(SM1)이 상기 식별수단(MM1)을 인식에 기반하여 상기 삽입홈을 향해 진퇴유동되며, 상기 인식수단(SM1)과 상기 히팅부(HT1)은 상호 인접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인식수단(SM1)과 상기 히팅부(HT1) 사이에는 단열수단(CM1)이 구비된다.
상기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710)과 상응하는 제2 결속모듈(7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결속모듈(720)은 상기 제1 결속모듈(710)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1 체결수단(810)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1 체결수단(810)은 핸들부(811)와, 상기 핸들부(811)로부터 바(bar)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결속모듈(710) 내부로 삽입되는 제1 삽입체(812)와, 상기 핸들부(811)로부터 바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결속모듈(720) 내부로 삽입되는 제2 삽입체(813)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지지부(L2)는 상기 제1 삽입체(812)와 상기 제2 삽입체(813)에 각각 대응하는 제2 삽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삽입체(812) 및 상기 제2 삽입체(813)은 상기 제2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핸들부(811)에는 상기 제1 삽입체(812)와 연동되는 제1 조임부(813)와 상기 제2 삽입체(813)과 연동되는 제2 조임부(814)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조임부(813)와 상기 제2 조임부(814)의 조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삽입체(812)와 상기 제2 삽입체(813)은 상기 핸들부(811)을 상기 제2 지지부(L2)측으로 가압한다.
상기 결속모듈은 기 제1 결속모듈(710)과 상응하는 제3 결속모듈(730) 및 제4 결속모듈(740)을 포함하며, 기 제3 결속모듈(730)은 상기 제2 결속모듈(720)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2 체결수단(820)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4 결속모듈(740)은 상기 제3 결속모듈(730)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3 체결수단(830)을 통해 결속된다. 상기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710)과 대응하며, 상기 지지부들 중 상기 제2 지지부(L2)와 이웃하는 제2 지지부(L1) 상에 구비되는 제5 결속모듈(750)과, 상기 제2 결속모듈(720)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부(L1) 상에 구비되는 제6 결속모듈(760)과, 상기 제3 결속모듈(730)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부(L1) 상에 구비되는 제7 결속모듈(770)과, 상기 제4 결속모듈(740)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부(L1) 상에 구비되는 제8 결속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5 결속모듈(750)과 상기 제6 결속모듈(760)은 제4 체결수단(840)을 통해 결속되고, 상기 제6 결속모듈(760)과 상기 제7 결속모듈(770)은 제5 체결수단(850)을 통해 결속되고, 상기 제7 결속모듈(770)과 상기 제8 결속모듈은 제6 체결수단(860)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2 체결수단(820) 내지 상기 제6 체결수단(860)은 상기 제1 체결수단(810)과 상응하는 것이다.
상기 제1 결속모듈(710) 내지 상기 제6 결속모듈(760)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모듈(900)이 구비되며, 상기 연동모듈(900)은 제1 실린더부(911)와, 상기 제1 실린더부(911)의 양측에서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1 체결수단(810)과 상기 제4 체결수단(840) 각각에 결속되는 제1-1 피스톤부(912) 및 제1-2 피스톤부(913)를 포함하는 제1 연동부(910)와, 제2 실린더부(921)와, 상기 제2 실린더부(921)의 양측에서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2 체결수단(820)과 상기 제5 체결수단(850) 각각에 결속되는 제2-1 피스톤부(922)와 제2-2 피스톤부(923)를 포함하는 제2 연동부(920)와, 제3 실린더부(931)와, 상기 제3 실린더부(931)의 양측에서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3 체결수단(830)과 상기 제6 체결수단(860) 각각에 결속되는 제3-1 피스톤부(932)와 제3-2 피스톤부(933)를 포함하는 제3 연동부(93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실린더부(911) 및 상기 제3 실린더부(931)는 둘레반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 실린더부(921)의 둘레부에 제2 감지센서(S2)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실린더부(911)의 둘레부 제1 영역에는 제1-1 감지센서(S11)가 구비되며, 제2 영역에는 제1-2 감지센서(S12)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실린더부(931)의 둘레부 제1 영역에는 제3-1 감지센서(S31)가 구비되며, 제2 영역에는 제3-2 감지센서(S32)가 구비되고, 상기 제1-1 감지센서(S11)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와 대응하여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2 감지센서(S12)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보다 작은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3-1 감지센서(S31)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와 대응하여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3-2 감지센서(S32)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보다 작은 면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1 감지센서(S11), 상기 제3-1 감지센서(S31) 및 상기 제2 감지센서(S2)는 상호 간에 위치 이탈 정도를 제1 스케일로 감지하며, 상기 제1 실린더부(911)와 상기 제2 실린더부(921)의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제1-2 감지센서(S12)와 상기 제3-2 감지센서(S32)가 상기 제2 감지센서(S2)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면, 상기 제1-2 감지센서(S12), 상기 제3-2 감지센서(S32) 및 상기 제2 감지센서(S2)는 상호 간에 초기 위치 이탈 정도를 제2 스케일로 감지한다.
상기 제1-1 피스톤부(912)와 상기 제2-1 피스톤부(922)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4 연동부(940)가 구비되며, 상기 제2-1 피스톤부(922)와 상기 제3-1 피스톤부(932)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5 연동부(950)가 구비되며, 상기 제1-2 피스톤부(913)와 상기 제2-2 피스톤부(923)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6 연동부(960)가 구비되며, 상기 제2-2 피스톤부(923)와 상기 제3-2 피스톤부(933)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7 연동부(970)가 구비되며, 상기 제4 연동부(940)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1 유동수단(940)이 구비된다. 상기 제5 연동부(950)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2 유동수단(950)이 구비되며, 상기 제6 연동부(960)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3 유동수단(960)이 구비되며, 상기 제7 연동부(970)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4 유동수단(970)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은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을 향하는 일측에 제4-1 감지센서(S4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4-1 감지센서(S41) 보다 큰 제4-2 감지센서(S42)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유동수단(950)은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을 향하는 일측에 제5-1 감지센서(S5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5-1 감지센서(S51) 보다 큰 제5-2 감지센서(S52)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은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을 향하는 일측에 제6-1 감지센서(S6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6-1 감지센서(S61) 보다 큰 제6-2 감지센서(S62)가 구비되며,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은 상기 제2 유동수단(950)을 향하는 일측에 제7-1 감지센서(S7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7-1 감지센서(S71) 보다 큰 제7-2 감지센서(S72)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유동수단(940) 내지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의 둘레방향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제4-1 감지센서(S41)는 상기 제6-2 감지센서(S62)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5-1 감지센서(S51)는 상기 제7-2 감지센서(S72)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4-2 감지센서(S42)는 상기 제6-1 감지센서(S61)과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5-1 감지센서(S52)는 상기 제7-1 유동수단(S71)과 대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은 상기 제4-1 감지센서(S4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4-2 감지센서(S42)를 이용하여,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의 상기 제6-1 감지센서(S61) 또는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6-2 감지센서(S6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하며, 상기 제2 유동수단(950)은 상기 제5-1 감지센서(S5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유동수단(95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5-1 감지센서(S52)를 이용하여,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의 상기 제6-1 감지센서(S61) 또는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6-2 감지센서(S6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한다.
1.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은 상기 제6-1 감지센서(S6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6-2 감지센서(S62)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의 상기 제4-1 감지센서(S41) 또는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4-2 감지센서(S4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하며,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은 상기 제7-1 감지센서(S7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7-2 감지센서(S72)를 이용하여, 상기 제5 유동수단의 상기 제5-1 감지센서(S51) 또는 상기 제5 유동수단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5-1 감지센서(S5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2‘: 거치대 122’: 판상부
123‘: 거치브릿지 123a’: 브릿지홀
14‘: 앵글 걸침판 141’: 보강리브
16‘: 지지판 18’: 소화배관 지지바
181‘: 걸침턱 182’: 나사구멍

Claims (13)

  1. 상부플랜지, 웨브 및 하부플랜지로 이루어져 건물의 하중을 받기 위해 시공되는 강재보의 일측면에 거치대를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단계; 앵글 걸침판을 상기 강재보의 상부플랜지측에 걸침되도록 하는 단계; 및 지지판이 상기 앵글 걸침판에 볼트로 고정 연결되어 상기 거치대와 서로 마주하여 위치되도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플랜지, 상기 웨브, 상기 하부플랜지는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통해 표면처리 가공이 수행된 소화배관을 강재보에 설치하기 위한 배관용 소방설비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표면처리 가공수단은,
    컨베이어 상에서 이송되는 상기 상부플랜지, 상기 웨브, 상기 하부플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피코팅물의 일정높이에 고정된 고정부에 축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에 배치되는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센터 사프트; 상기 센터 사프트의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된 상방 수평보; 상기 상방 수평보의 양측에 교차하게 수직으로 배치된 사이드 수직바; 상기 상방 수평보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가 수직으로 미끄럼 결합되며, 상기 상방 수평보에 고정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고정수단을 구비한 이동블럭; 상기 상방 수평보의 양측하부에서 상기 사이드 수직바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에 고정되기 위한 제2 고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컨베이어는 저면부를 향하는 다수의 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는 길이방향 적어도 일부를 따라 다수의 결속모듈이 구비되는 소화배관을 강재보에 설치하기 위한 배관용 소방설비 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80059603A 2018-05-25 2018-05-25 배관용 소방설비 시공방법 KR101928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603A KR101928361B1 (ko) 2018-05-25 2018-05-25 배관용 소방설비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603A KR101928361B1 (ko) 2018-05-25 2018-05-25 배관용 소방설비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8361B1 true KR101928361B1 (ko) 2018-12-13

Family

ID=64671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603A KR101928361B1 (ko) 2018-05-25 2018-05-25 배관용 소방설비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83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929B1 (ko) * 2020-06-18 2020-10-12 김희주 소방설비 시공방법
CN112090627A (zh) * 2020-08-01 2020-12-18 中南林业科技大学 一种纳米光催化剂人造板处理设备
KR20220001888A (ko) 2020-06-30 2022-01-06 거림소방(주) 스프링클러용 맞춤 설치되는 표준 모듈배관 시공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487B1 (ko) * 2017-01-17 2017-09-26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강재보에 설치하기 위한 배관용 소방설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487B1 (ko) * 2017-01-17 2017-09-26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강재보에 설치하기 위한 배관용 소방설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929B1 (ko) * 2020-06-18 2020-10-12 김희주 소방설비 시공방법
KR20220001888A (ko) 2020-06-30 2022-01-06 거림소방(주) 스프링클러용 맞춤 설치되는 표준 모듈배관 시공시스템
CN112090627A (zh) * 2020-08-01 2020-12-18 中南林业科技大学 一种纳米光催化剂人造板处理设备
CN112090627B (zh) * 2020-08-01 2021-06-25 中南林业科技大学 一种纳米光催化剂人造板处理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8361B1 (ko) 배관용 소방설비 시공방법
KR101966777B1 (ko)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KR101928702B1 (ko) 모듈러 주택의 조립용 지그
KR101945195B1 (ko)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보수공법
KR101931910B1 (ko) 전시용 패널 조립체
CN211097204U (zh) 一种便于保护玻璃柱的快速响应喷头
KR20160127965A (ko) 자동형 소방 모니터
US20060113403A1 (en) Fire retardant distribution system for wildfire protection
KR200488385Y1 (ko) 소방용수 분사장치
KR20160002166U (ko)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
US20050029365A1 (en) Wire connecting fitting attaching body fixing tool and attaching body
CN110064150B (zh) 一种用于电缆隧道的气体灭火装备及方法
KR101933871B1 (ko) 아파트 벽체의 내진 성능 개선 방법
JP4209788B2 (ja) 解体構造物用散水装置
JP2010005240A (ja) 水噴霧自動弁装置
JP4418232B2 (ja) スプレー装置
CN104623842B (zh) 一种多喷头消防灭火装置
CN110639153A (zh) Pp、pe立体仓库的消防喷淋系统
KR101913073B1 (ko) 아파트의 천장패널 시공방법
AU2002324083A1 (en) Spraying apparatus
KR102274946B1 (ko) 중앙분리대에 설치된 클린로드장치
KR101915935B1 (ko) 공기단축 시공 공법
JP2002058752A (ja) 泡水溶液噴霧ヘッド
KR101915934B1 (ko) 공기단축이 가능한 pc-sf공법
KR101679702B1 (ko) 분사각 조절이 용이한 소방용 살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