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934B1 - 공기단축이 가능한 pc-sf공법 - Google Patents

공기단축이 가능한 pc-sf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934B1
KR101915934B1 KR1020180071385A KR20180071385A KR101915934B1 KR 101915934 B1 KR101915934 B1 KR 101915934B1 KR 1020180071385 A KR1020180071385 A KR 1020180071385A KR 20180071385 A KR20180071385 A KR 20180071385A KR 101915934 B1 KR101915934 B1 KR 101915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module
unit
binding
inser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태
김우주
Original Assignee
우주종합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주종합건설(주) filed Critical 우주종합건설(주)
Priority to KR1020180071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9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5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0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건물에서 기준층을 코어, 라멘구조, 양측면의 내력벽, 전후면의 커튼월로 설계하는 기준층 설계단계; 코어 전단벽과 양측면의 내력벽은 오토클라이밍폼 을 이용하여 시공되, 라멘구조와 코어 내부의 계단은 각각 PC기둥, PC보 또는 철골보, HCS, PC계단으로 시공하는 기준층 시공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PC기둥은, 상부로 연결철물이 돌출되게 제작된 PC기둥으로 시공하고, 상기 PC보 또는 철골보는, 단부로 연결봉이 돌출되게 제작된 PC보 또는 철골보를 상기 PC기둥위에 거치하고 연결봉으로 PC기둥의 연결철물에 관통 고정하면서 시공하되, 상기 연결철물, 상기 연결봉, 상기 오토클라이밍폼, 상기 HCS의 적어도 일부는 코팅장치를 통하여 코팅처리된 것인 공기단축이 가능한 PC-SF공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기단축이 가능한 PC-SF공법{PC-SF Method for Construction Duration Reduction of Typical Floor}
본 발명은 PC-SF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준층 골조 시공의 공기단축 및 시공에 사용되는 각종 부재의 양품 제공을 가능케하여 사용 전과 사용 중에 최상의 품질로 유지되는 각종 시공 부재를 이용할 수 있어 공법 시행 전반의 품질 및 신뢰성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PC-SF공법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에서 벽식구조는 도 1에서와 같이 세대를 구분하는 세대경계벽은 물론 세대 내부의 칸막이벽 등 내부벽체 모두가 내력벽체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벽식구조의 공동주택은 골조를 얇게 할 수 있고, 갱폼과 같은 시스템 거푸집을 이용하여 외부 골조를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벽식구조의 공동주택은 가변성 및 융통성이 없어 입주자의 다양한 주거공간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키고, 나아가 리모델링 공사시 내력벽체로 되어 있는 내부벽체의 해체 및 변경이 곤란하여 세대간 통합 등 대공간 설계에 제약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물 내부의 내부벽체를 슬래브와 일체로 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현장작업이 복잡해지고 작업량이 많아져 공기가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실제 한 층당 6일이 공기가 소요된다. 뿐만 아니라 지하층에도 벽식구조가 그대로 적용되기 때문에 지하층은 PIT공간 정도로만 활용할 수 있을 뿐 주차공간으로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또한 로비층을 필로티구조로 마련하기 위해서는 하중전이를 위한 전이보의 춤만큼 추가적인 층고 확보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준층 골조 시공의 공기단축에만 집중한 나머지 시공에 소요되는 각종 부재의 품질이 저하에 대한 개선이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76817호
본 발명은, 기준층 골조 시공의 공기단축 및 시공에 소요되는 각종 부재의 양품 제공을 가능케하여 공법 시행 전반의 품질 및 신뢰성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PC-SF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층건물에서 기준층을 코어, 라멘구조, 양측면의 내력벽, 전후면의 커튼월로 설계하는 기준층 설계단계; 코어 전단벽과 양측면의 내력벽은 오토클라이밍폼 을 이용하여 시공되, 라멘구조와 코어 내부의 계단은 각각 PC기둥, PC보 또는 철골보, HCS, PC계단으로 시공하는 기준층 시공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PC기둥은, 상부로 연결철물이 돌출되게 제작된 PC기둥으로 시공하고, 상기 PC보 또는 철골보는, 단부로 연결봉이 돌출되게 제작된 PC보 또는 철골보를 상기 PC기둥위에 거치하고 연결봉으로 PC기둥의 연결철물에 관통 고정하면서 시공하되, 상기 연결철물, 상기 연결봉, 상기 오토클라이밍폼, 상기 HCS의 적어도 일부는 코팅장치를 통하여 코팅처리된 것인 공기단축이 가능한 PC-SF공법.
본 발명에 의하면 기준층 골조 시공의 공기단축 및 시공에 사용되는 각종 부재의 양품 제공을 가능케하여 사용 전과 사용 중에 최상의 품질로 유지되는 각종 시공 부재를 이용할 수 있어 공법 시행 전반의 품질 및 신뢰성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PC-SF공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벽식구조가 적용된 건물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C-SF공법에서 기준층 설계단계를 통해 완성된 기준층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C-SF공법에서 기준층 시공단계에 대한 시공 공정표로서, 도 2의 기준층에 대한 시공 공정표의 제1실시예이다.
도 4a 내지 도 4j는 도 3의 공정표에 따른 시공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PC-SF공법에서 기준층 시공단계에 대한 시공 공정표로서, 도 2의 기준층에 대한 시공 공정표의 제2실시예이다.
도 6a 내지 도 6i는 도 5의 공정표에 따른 시공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코팅처리를 위한 코팅처리수단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코팅처리를 위한 코팅처리수단을 모터와 스크류조합에 의해 자동으로 구성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스프레이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작동도이다.
도 11 내지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범퍼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범퍼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결속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고층건물에서 동일한 평면이 반복되는 기준층의 공기를 단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벽식구조와 라멘구조를 복합화하는 방향으로 구조계획을 수립하는 한편, PC 등 공업화 부재를 이용하면서 타워크레인의 양중부하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시공계획을 수립한다는데 특징이다. 기둥, 보, 슬래브, 계단에 PC 등 공업화부재를 적극 이용하여 기준층 골조 시공의 공기단축을 도모한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은 PC-SF공법으로 명명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PC-SF공법은, 고층건물에서 동일한 평면이 반복되는 기준층을 코어, 라멘구조, 양측면의 내력벽(20'), 전후면의 커튼월(90')로 설계하는 기준층 설계단계;와, 코어 전단벽(10')과 양측면의 내력벽(20')은 오토클라이밍폼(auto climbing form, 11, 21')을 이용하면서 시공하는 한편 라멘구조와 코어 내부의 계단은 각각 PC기둥(30'), PC보(40') 또는 철골보(비대칭 H형강, 델타빔 등), HCS(hollow core slab, 60'), PC계단(70')으로 시공하는 기준층 시공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C-SF공법에서 기준층 설계단계를 통해 완성된 기준층의 평면도인데, 보는 바와 같이 기준층 설계단계는 기준층을 벽식구조와 라멘구조로 복합하여 설계하는 과정이 된다. 건물 중심의 코어와 건물 외측의 양측면은 각각 전단벽(10')과 내력벽(20')으로 구성하여 지진이나 바람과 같은 횡력에 유리하게 저항하는 벽식구조로 설계하는 한편, 건물 내부는 PC기둥(30'), PC보(40') 또는 철골보, HCS(60'), PC계단(70') 등으로 구성하여 시공성에 유리하면서 공간활용성과 리모델링에 유리하도록 공업화 부재에 의한 라멘구조로 설계하는 것이다. 더불어 건물 전후면은 외단열이 가능한 커튼월(90')로 설계한다.
도 3 내지 도 6i는 본 발명에 따른 PC-SF공법에서 기준층 시공단계에 대한 시공 공정표와 시공 순서도이다. 본발명에서 기준층 시공단계는 벽식구조의 외측벽면은 오토클라이밍폼(11, 21')으로 시공하고 라멘구조 등 그 외부분은 타워크레인으로 시공할 수 있게 시공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이 된다. 타워크레인의 양중부하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효율적인 양중계획을 수립하여 공기단축을 실현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코어는 2~3개층을 선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본 발명에서도 기준층 시공단계는 코어와 그외 부분의 시공층이 다를 수 있으며, 가령 n층의 기준층을 시공한다면 코어는 n층이 아니라 n+2~3층을 시공하는 것이 될 수 있다. 도 3과 도 4a 내지 도 4j는 기준층 시공단계의 제1실시예이다. 제1실시예는 타워크레인의 양중계획에서 커튼월(90') 설치를 제외하여 기준층을 시공하는 방법으로, 커튼월(90')은 기준층의 골조공사가 끝난 후에 별도의 양중장치(원치 등')를 사용하여 공정계획을 수립한 방법이 된다. 이 방법은 기준층을 2일 시공단위로 시공할 수 있다.
제1실시예는 먼저 각종 시공위치를 먹매김하고(도 4a'), 기준층 시공에 필요한 철근을 양중한다(제1단계). 제1단계는 형틀(50')을 이동 운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는데, 형틀(50')은 타워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작업자에 의해 아래층 시공에 사용한 것을 자재인양구(62')를 통해 시공할 기준층으로 이동 운반하면 된다. 제1단계에서 철근과 형틀(50')은 아래 제3단계에서 필요한 코어 전단벽(10') 및 양측면의 내력벽(20')용 철근과 양측면의 내력벽(20')용 내측 형틀(50')을 포함한다. 상황에 따라서는 아래 제4단계에서 필요한 코어 전단벽(10')용 내측 형틀(50')과, HCS(60') 및 PC계단(70') 주변에 배근하기 위한 철근도 미리 이동 운반하거나 양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코어 전단벽(10') 및 양측면 내력벽(20')의 외측벽면을 위해 설치한 오토클라이밍폼(11, 21')을 자동 인양하고(도 4b'), PC기둥(30')과 PC보(40') 또는 철골보를 양중 설치하고(도 4d, 4e'), 코어 전단벽(10') 및 양측면의 내력벽(20')을 위한 철근을 배근하고, 양측면의 내력벽(20')을 위한 형틀(50')을 설치한다(도 4f')(제2단계). 앞서 제1단계에서 형틀을 이동 운반하지 않은 경우라면 제2단계에서 필요한 형틀을 이동 운반하도록 한다. 제2단계에서 PC기둥(30')과 PC보(40') 또는 철골보의 양중 및 설치는 타워크레인으로 수행하고, PC기둥(30')과 PC보(40') 또는 철골보의 조립, 철근 배근, 형틀(50') 설치 등의 작업은 작업자에 의해 수행한다.
한편 제1실시예에서는 UBR((unit bath room, 100')을 PC기둥(30')과 PC보(40') 또는 철골보를 설치하기 전에 양중 설치하고 있는데(도 4c'), UBR(100')은 아래 제3단계에서 HCS(60')를 설치하기 전에 설치하면 된다. PC보(40') 또는 철골보는 PC기둥(30') 위에 거치하며, 다만 이 경우 시공 중 발생하는 횡력에 저항하여 설치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PC보(40') 또는 철골보를 PC기둥(30')에 연결 고정시킬 것을 제안한다. 즉 PC기둥(30')은 상부로 연결철물(31')이 돌출되게 제작된 PC기둥(30')으로 시공하고, PC보(40') 또는 철골보는 단부로 연결봉(41')이 돌출되게 제작된 PC보(40') 또는 철골보로 시공하되, PC보(40') 또는 철골보를 PC기둥(30') 위에 거치하고 연결봉(41')으로 PC기둥의 연결철물(31')에 관통시켜 체결너트로 고정하는 것이다. 이로써 PC기둥(30')과 PC보(40') 또는 철골보가 일체 거동하여 설치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HCS(60')를 양중 설치한다(도 4g')(제3단계). PC기둥(30')에 PC보(40') 또는 철골보가 안정적으로 연결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4단계는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HCS(60')는 장경간 구현이 가능한 Pre-Tension된 부재가 바람직하며, 형틀(50') 이동 운반을 위한 자재인양구(62')를 마련하도록 한다. 한편 HCS(60')는 가장 무거운 PC보(40')에 비해 무게가 1/3 정도로 가벼우므로 한번에 2장씩 양중하면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춤이 높거나 폭이 넓은 ㄷ자형 양중용 지그(61')를 이용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PC계단(70')을 양중하여 조립하고, 코어 전단벽(10')을 위한 형틀(50')을 설치하고(도 4h'), HCS(60')와 PC계단(70') 주변으로 철근을 배근한다(제4단계). 앞서 제1단계에서 제4단계에 필요한 철근을 양중하지 않은 경우라면 제4단계는 필요한 철근을 양중하면서 실시하도록 하며, 철근은 PC기둥(30')과 PC보(40') 또는 철골보의 접합부, HCS(60') 위, PC계단(70')의 접합부 등에 배근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조립상태를 검측하고 콘크리트(80')를 타설한다(도 4i')(제5단계). 콘크리트(80') 타설에 앞서 각종 설비를 위한 먹매김과 설치공정을 부가할 수 있다. 콘크리트(80')를 코어 전단벽(10'), 양측면의 내력벽(20'), PC기둥(30')과 PC보(40') 또는 철골보의 접합부, HCS(60') 위, PC계단(70')의 접합부에 타설한다. 콘크리트(80')를 타설한 후에는 별도 공정으로 커튼월(90')을 설치하는데, 커튼월(90')은 별도의 인양장비(윈치 등')를 이용하여 설치하면 된다. 이로써 기준층이 완성된다. 위와 같이 타워크레인 양중계획을 효율적으로 수립하고, 철근 및 형틀(50') 작업자의 업무를 분산시킨 결과 최소한의 인력으로 업무 중단없이 지속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써 기준층의 공기단축이 가능해진다. 특히 타워크레인의 이용을 하루에 집중할 수 있기 때문에 도 2와 같은 평면의 경우 타워크레인 1대로 최대 4세대까지 층당 2일 공정을 달성할 수 있다. 도 5와 도 6a 내지 도 6i는 기준층 시공단계의 제2실시예이다. 제1실시예는 타워크레인의 양중계획에서 커튼월(90') 설치를 포함하여 기준층을 시공하는 방법으로, 기준층을 3일 시공단위(3day-cycle')로 시공할 수 있다. 제2실시예는 전반적으로 앞서 살펴본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다만 커튼월(90') 설치과정을 제4단계에 포함하여 실시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커튼월(90')을 별도 공정으로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타워크레인으로 양중하면서 3일 시공단위에 포함시켜 설치하는 것이다. 제2실시예에서는 UBR(100')을 PC기둥(30')과 PC보(40') 또는 철골보를 설치한 후에 양중 설치하고 있는데(도 6f'), UBR(100')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HCS(60')를 설치하기 전에만 설치하면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코팅처리를 위한 코팅처리수단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코팅처리를 위한 코팅처리수단을 모터와 스크류조합에 의해 자동으로 구성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스프레이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작동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코팅처리를 위한 코팅처리수단은 컨베이어(100”)상에서 이송되는 구성들, 즉 상기 오토크라이밍폼(11’, 21’), 상기 연결철물(31’), 상기 형틀(50’), 상기 지그(61’), 상기 커튼월(90’) 등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것인 피코팅물(110”)의 일정높이에 고정된 고정부(115")에 축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115")에 배치되는 회전수단(120")에 의해 회전되는 센터 사프트(125")와, 상기 센터 사프트(125")의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상방수평보(130")와, 상기 상방 수평보(130")의 양측에 교차하게 수직으로 배치되는 사이드 수직바(140")와, 상기 상방수평보(130")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가 수직으로 미끄럼 결합되며, 상기 상방 수평보(130")에 고정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고정수단(142")을 구비한 이동블럭(145")과, 상기 상방 수평보(130")의 양측하부에서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에 고정되기 위한 제2 고정수단(147")을 구비하며, 피코팅물(110")에 도포되는 도포액를 공급받아 노즐(152")에 의해 피코팅물(110")에 분사하는 스프레이건(150") 및 상기 스프레이건(150")에 가압된 공기를 제공하여 도포액를 피코팅물(110")에 분사시키는 공압펌프(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센터 사프트(125")가 회전수단(120")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센터 사프트(125")에 고정된 상방 수평보(130")가 회전되고, 상방 수평보(130")의 양측에서 사이드 수직바(140")의 하부에 결합된 스프레이건(150")도회전되는데, 스프레이건(150")의 회전에 의해 스프레이건(150")의 하방에서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피코팅물(110")의 모든 면에 코팅재가 노즐(152")에서 미세하게 분사되어 고른 두께로 도포되고, 코팅재의 도포시간도단축된다. 그리고, 상방 수평보(130")와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에는 상기 스프레이건(150")의 수평위치 및 수직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눈금이 형성되는데, 작업자가 각 도포물에 따라 얻어진 도포액의 분사거리를 테이블화 하고, 이에 맞게 스프레이건(150")의 수평위치를 상방 수평보(130")에서 조절하고, 사이드 수직바(140")에서 수직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도포물에 맞게 미세하게 도포액을 분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고정수단(142")은 이동블럭(145")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방 수평부에 이동블럭(145")을 고정시키는 수직나사 및 이동블럭(145")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사이드 수직바(140")를 이동블럭(145")에 고정시키는 수평나사이다. 또한, 제2 고정수단(147")은 스프레이건(150")을 사이드 수직바(140")의 하부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스프레이건(150")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을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어야 하는데, 사이드 수직바(140")에 스프레이건(150")을 축 결합하여 연결하는 축바가 형성되고 외주부에 원주방향으로 홀이 형성된 연결판과 연결판의 홀을 통해 스프레이건(150")에 끼워짐으로써, 스프레이건(150")의 분사각을 고정하는 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15")의 일측에는 도포액를 공급하는 도포액 공급부(165") 및 상기 공압탱크(160")가 고정되고, 상기 센터 사프트(125")의 하부에는 상기 도포액 공급부(165")와 관(167")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스프레이건(150")에 관(167")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스프레이건(150")으로 도포액의 공급을 차단하는 도포액 개폐밸브(170")를 구비한 도포액 연결부(175")가 구비되고, 상기 도포액 연결부(175")의 하부에는 상기 공압탱크(160")와 상기 스프레이건(150")에 관(167")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스프레이건으로 가압공기의 공급을 차단하는 가압공기 차단밸브(176")를 구비한 공압 연결부(177")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센터 사프트(125")에는 모터(186")나 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블럭(145")을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평이동수단(180")이 구비되는데, 모터(186")에 의해 이동블럭(145")을 이동시키는 경우, 모터(186")는 센터 사프트(125")에 상방 수평보(130")를 고정시키는 센터블럭(126")의 일면에 한 쌍이 고정되고, 모터(186")에는 스크류 환봉(187")에 연결되며, 스크류 환봉(187")은 이동블럭(145")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암스크류(188")에 연결되고, 모터(186")의 구동에 의해 이동블럭(145")은 상방 수평보(130")에서 미끄럼 이동된다. 이때, 이동블럭(145")의 이동거리는 모터(186")에 결합된 엔코더에 의해 모터(186")의 축 회전수와 모터(186")의 일회전에 의해 스크류 환봉(187")에서 이동되는 암스크류(188")의 이동거리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한편, 모터(186")는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일정각도로 회전되고, 모터(186") 축의 브레이크 기능이 있는 스텝모터(186")를 사용함으로써, 제어부의 의한 모터제어가 간단해질 수 있으며, 브레이크 기능에 모터(186")축을 홀딩하여 이동블럭(145")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블럭(145")은 모터(186")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이동블럭(145")의 이동거리를 설정하고, 제어부에 의해 이동거리에 맞는 회전수로 모터(186")가 회전됨으로써 상방 수평보(130")에서 이동되는데, 이동블럭(145")의 이동거리는 피코팅물(110")에 맞는 스프레이건(150")의 위치에 맞게 제어부에서 미리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이동블럭(145")에는 사이드 수직바(140")를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190")이 구비되는데, 높이조절수단(190")도수평이동수단(180")과 마찬가지로 모터(186")와 스크류 조합, 또는 공압 실린더의 사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는, 높이조절수단(190")은 모터(196")가 이동블럭(145")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스크류 환봉(197")이 이동블럭(145")에 축 결합되며, 모터(186")와 스크류 환봉(197")이 피니언 기어(199")로 연결되고, 스크류 환봉(197")이 스프레이건(150")에 고정된 암스크류(198")로 연결되며, 이동블럭(145")에 미끄럼 결합된 사이드 수직바(140")가 모터(196")의 구동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는데, 이동블럭(145")의 이동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이동거리가 계산되고, 제어부에 의해 모터(196")의 회전수가 제어됨으로써 사이드 수직바(140")는 피코팅물(110")에 맞는 스프레이건(150")의 위치에 맞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레이건(150")의 노즐(152")은 스프레이건(150")의 단부에서 피코팅물(110")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센터 사프트(125")의 회전에 의해 스프레이건(150")이 회전되는 경우, 코팅재가 피코팅물(110")을 향해 하방으로 고르게 분사된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6 내지 도 17는 본 발명의 코팅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전술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결속되어, 상기 코팅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키고 진동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멀티 범퍼모듈을 개시한다.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지지대를 거치하기 위한 제1 범퍼모듈(1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범퍼모듈(100)은, 상기 지지대의 단부 일영역이 안착되는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1 안착부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 가압부(1112)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1 가압부(1112)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회전부(1113)가 구비 되는 제1-1 범퍼모듈(1110)과, 상기 지지대의 단부 타영역이 안착되는 제2 안착부(2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 가압부(2112)와,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상기 제2 가압부(2112)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회전부(2113)가 구비되는 제1-2 범퍼모듈(2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압부(1112)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1 안착부(1111)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1 가압부(1112)의 상기 제1 안착부(1111) 대향면상에는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와,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가압부(2112)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2 가압부(2112)의 상기 제2 안착부(2111) 대향면 상에는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와,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가 구비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의 제1-1 정보값 및 상기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의 제1-2 정보값을, 상기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의 제2-1 정보값과 상기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의 제2-2 정보값과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의 제1-1 정보값과 상기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의 제1-2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의 제2-1 정보값과 상기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의 제2-2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상기 지지대는 바(bar) 형상체이며,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에는 각각 상방에서 하방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며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유동 가능한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호 간에 탄성수단(CM)으로 연동되어 수평방향 간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정합을 이루며,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정합을 이루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 사이에서 내부로 가압되어 안착되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는 각각 내부로부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향하는 경사면의 외부로 출몰되는 돌기(O)가 구비된다.
상기 돌기(O)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다수로 구비되고,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O)에 의하여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적어도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 접하는 접촉부가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기(O)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O)가 삽입된다. 상기 지지대의 양측면 상에는 각각 높이방향 상으로 유동되는 승하강 수단(UP)이 구비되며,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상기 제1 회전부(1113)와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상기 제2 회전부(2113)의 상면부 제1 수평영역 상에는 상기 지지대를 향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 유동 가능한 고정수단(HM)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HM)은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1 안착부(1111 및 상기 제2 안착부(2111) 상에 안착된 된상태에서,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의 상방 노출면인 제2 수평영역 적어도일부 가압하도록 유동되며,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적어도일부가 상기 제2 수평영역 상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수단(HM)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수단(HM)은 상기 제2 수평영역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빗변이 상기 지지대 반대편을 향하도록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직삼각형상체이며,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바) 또는 플레이트 형상체로서, 챔퍼가 형성된 하단부로 둘레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고정수단(HM)의 상방을 가압하되,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하단부가 상기 고정수단(HM)의 빗변 적어도일부와 형합하도록 접촉하여 가압한다.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제1 범퍼모듈(110)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2 범퍼모듈(2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범퍼모듈(200)은,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3 안착부(3111)와, 상기 제3 안착부(3111)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3 회전부(3113)가 구비되는 제2-1 범퍼모듈(3110)과,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4 안착부(4111)와, 상기 제4 안착부(4111)를 수평방향 상에서 일정영역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4 회전부(4113)가 구비되는 제2-2 범퍼모듈(4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안착부(3111)는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4 안착부(4111)는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3 안착부(3111)와 상기 제4 안착부(4111)는 적어도경사면 일부가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기 제3 회전부(3113) 및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하방에는 상방과 하방간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펌핑모듈(PM)이 구비되며, 상기 펌핑모듈(PM)은, 하판부(BL)와, 상기 제3 안착부(3111),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기 제3 회전부(3113) 및 상기 제4 회전부(4113)가 거치되며, 상기 하판부(BL)로부터 탄성수단 및 폄핑수단을 매개로 상방과 하방 간에 유동 가능한 상판부(UL)를 포함한다. 상기 펌핑수단은 유체의 내장 및 토출을 위하여 유체가 내장되는 내장체(I)와, 외부 가압힘 또는 진동에 기반하여 상기 내장체(I) 상에서 일정하게 유동되어, 상기 내장체(I)의 상기 유체가 분사되도록 하기 위한 가압체(P)가 구비된다. 상기 상판부(UL)와 상기 하판부(BL)는 상호간에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키도록 각각 자성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내장체(I)는 수평방향 단부 상으로 분사노즐(N)이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UL)와 상기 하판부(BL)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유체를 분사하되, 상기 유체는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및 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인 열가소성 수지이거나, 유색을 띠는 기체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는, 외부 하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매개로 상기 제1 범퍼모듈(110) 상에 1차 안착되되, 상기 제1 회전부(1113) 및 상기 제2 회전부(2113)의 선택적인 회전동작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지지대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2 범퍼모듈(200) 상에 2차 안착되거나, 기 설정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강제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제2 범퍼모듈(200) 상에 2차 안착된다.
도 16 내지 도 17를 참조하면,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제1 범퍼모듈(110)과 상기 제2 범퍼모듈 사이에 구비되는 서브 범퍼모듈(3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서브 범퍼모듈(300)은,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1 서브 안착부(1111S)와,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 서브 가압부(1112S)와,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와 상기 제1 서브 가압부(1112S)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서브 회전부(1113S)가 구비되는 제1 서브 범퍼모듈(3110)과,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2 서브 안착부(2111S)와,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 서브 가압부(2112S)와,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와 상기 제2 서브 가압부(2112S)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서브 회전부(2113S가 구비되는 제2 서브 범퍼모듈(4110)을 개시한다. 상기 제1 서브 가압부(1112S)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1 서브안착부(1111S)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1 서브 가압부(1112S)의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 대향면 상에는 제1-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1S)와, 제1-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2S)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서브 가압부(2112S)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2 가압부(2112)의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 대향면 상에는 제2-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1S)와, 제2-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2S)가 구비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1S)의 제1-1 서브 정보값 및 상기 제1-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2S)의 제1-2 서브 정보값을, 상기 제2-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1S)의 제2-1 서브 정보값과 상기 제2-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2S)의 제2-2 서브 정보값과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또한,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1S)의 제1-1 서브 정보값과 상기 제1-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2S)의 제1-2 서브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2-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1S)의 제2-1 서브 정보값과상기 제2-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2S)의 제2-2 서브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는, 상기 제2서브 안착부(2111S)를 향하는 대각선 상방 측면부에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하단부의 적어도일부에 대응되는 챔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는,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를 향하는 대각선 상방 측면부에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하단부의 적어도일부에 대응되는 챔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L)(즉, (L’)과 동일)는, 외부 하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매개로 상기 제1 범퍼모듈(110)을 경유하여, 상기 제1 서브 범퍼모듈(3110)상에 안착되되, 상기 제1 서브 회전부(1113S) 및 상기 제2 서브 회전부(2113S의 선택적인 회전동작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지지부(L)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1 서브 범퍼모듈(3110) 상에 안착되거나,
기설정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강제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제1 서브 범퍼모듈(3110) 상에 안착된다.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에는 각각 다수의 완충구(EC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범퍼모듈(100을 경유하는 상기 지지부(L)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과 접하며, 상기 완충구(EC)는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의 표면을 덮는 커버형 구조물로서 상호 이웃하여 복수로 배치된다. 상기 완충구(EC)는 내부에 유체 저장을 위한 포켓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에서 내부로부터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완충구(EC)는 내부에 유체 저장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에서 내부로부터 외부로 출몰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외측 대각선 하부면이 챔퍼가 형성되며 상기 제3 회전부(3113)의 외곽을 가압하여 상기 제3 회전부(3113)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1 외곽 가압부(5100)와, 상기 제1 외곽 가압부(5100)에 상방 대각선 방향으로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5200)와, 상기 제1 구동부(5200)의 하방을 지지하는 제1 상단 패널부(5300)와, 상기 제1 상단 패널부(5300)의 하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1 하단 패널부(5400)와, 상기 제1 상단 패널부(5300)와 상기 제1 하단 패널부(5400)사이에 구비되며 내부에 시각적 식별 및 후각적 식별을 위한 기체가 내장되는 제1 캡슐층이 다수 구비되어, 일정 수치의 가압힘이 가해지면 상기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구비되는 제1 캡슐패널(CP1)이 구비되는 제1 외곽 가압모듈(500)과, 상기 제1 외곽 가압모듈(500)의 외측에서 상방과 하방간에 일정 높이로 유동되어, 상기 제1 캡슐층의 기체를 외부로 가속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제1 배출수단(BM1)이 내장 되는 제1 배출모듈(550)과, 외측 대각선 하부면이 챔퍼가 형성되며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외곽을 가압하여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2 외곽가압부(6100)와, 상기 제2 외곽 가압부(6100)에 상방 대각선 방향으로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6200)와, 상기 제2 구동부(6200)의 하방을 지지하는 제2 상단패널부(6300)와, 상기 제2 상단 패널부(6300)의 하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 하단 패널부(6400)와, 상기 제2 상단 패널부(6300)와, 상기 제2 하단 패널부(6400) 사이에 구비되며 내부에 시각적 식별 및 후각적 식별을 위한 기체가 내장되는 제2 캡슐층이 다수 구비되어, 일정 수치의 가압힘이 가해지면 상기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구비되도록 하는 제2 캡슐패널(CP2)가 구비되는 제2 외곽 가압모듈(600)과, 상기 제2 외곽 가압모듈(600)의 외측에서 상방과 하방간에 일정 높이로유동되어, 상기 제2 캡슐층의 기체를 외부로 가속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제2 배출수단(BM2)이 내장되는 제2 배출모듈(650)을 개시한다.
상기 제1 캡슐패널(CP1)은 제1-1 캡슐패널(CP11)과, 상기 제1-1 캡슐패널(CP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2 캡슐패널(CP12)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캡슐패널(CP2)은 제2-1 캡슐패널(CP21)과, 상기 제2-1 캡슐패널(CP2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2 캡슐패널(CP2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모듈(550)의 상기 제1 배출수단(BM1)은 제1 배출수단(BM11)과, 상기 제1 배출수단(BM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2 배출수단(BM12)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배출모듈(650)의 상기 제2 배출수단(BM2)은 제2-1 배출모듈(BM21)과, 상기 제2-1 배출모듈(BM2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2 배출모듈(BM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모듈(550)은 상기 기체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제1 배출수단(BM11) 및 상기 제1-2 배출수단(BM12)이 상기 제1-1 캡슐패널(CP11) 및 상기 제1-2 캡슐패널(CP12)에 대응하도록 유동되며, 상기 제2 배출모듈(650)은 상기 기체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제2-1 배출모듈(BM21) 및 상기 제2-2 배출모듈(BM22)은 상기 제2-1 캡슐패널(CP21) 및 상기 제2-2 캡슐패널(CP22)에 대응하도록 유동된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결속모듈은, 상기 컨베이어에서 저면부를 향하는 다수의 지지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부는 길이방향 적어도 일부를 따라 다수의 결속모듈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결속모듈은 제1 결속모듈(71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결속모듈(710)은, 상기 지지부들 중 제1 지지부(L1)에 결속되는 한 쌍의 외장부(711)와, 상기 각 외장부(711) 내부에 연동되도록 구비되는 내장부(712)와, 상기 외장부(711)에 연동되어 상기 내장부(712) 상에서 진퇴유동방식으로 상기 제1 지지부(L1)를 가압시키는 가압유닛(713)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지지부(L1)는 상기 가압유닛(713)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 상에 상기 가압유닛(713)과 대응하는 소정의 삽입홈이 구비된다. 상기 가압유닛(713)은 최상단에 구비되는 제1 가압유닛(713a)과, 최하단에 구비되는 제2 가압유닛(713c)과, 중단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 제3 가압유닛(713b)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지지부(L1)의 상기 삽임홈에 각각 선택적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내장부(712)는 인접하는 상기 제1 지지부(L1)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접착물질(OM)이 충진된다.
상기 내장부(712)의 상방에는 상기 내장부(712)를 가열하여 상기 접착물질(OM)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히팅부(HT1)이 구비되고, 상기 내장부(712)의 하방에는 상기 내장부(712)를 냉각하여 상기 접착물질(OM)을 비활성화 시키기 위한 냉각부(BL1)이 구비된다. 내부에 접착물질(OM)은 상기 외장부(711)와 상기 내장부(712) 간에 구비되는 공급관(SP)을 통해 상기 내장부(712) 상에 공급되되, 상기 제1 가압유닛(713a) 내지 상기 제3 가압유닛(713b)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공급되어 상기 외장부(711), 상기 내장부(712), 상기 가압유닛(713) 및 상기 제1 지지부(L1)를 상호 결속시킨다. 상기 제1 지지부(L1)의 외주면 상에는 식별수단(MM1)이 구비되며, 상기 내장부(712)의 상방에는 상기 식별수단(MM1)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수단(SM1)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유닛(713)은 상기 인식수단(SM1)이 상기 식별수단(MM1)을 인식에 기반하여 상기 삽입홈을 향해 진퇴유동되며, 상기 인식수단(SM1)과 상기 히팅부(HT1)은 상호 인접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인식수단(SM1)과 상기 히팅부(HT1) 사이에는 단열수단(CM1)이 구비된다.
상기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710)과 상응하는 제2 결속모듈(7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결속모듈(720)은 상기 제1 결속모듈(710)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1 체결수단(810)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1 체결수단(810)은 핸들부(811)와, 상기 핸들부(811)로부터 바(bar)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결속모듈(710) 내부로 삽입되는 제1 삽입체(812)와, 상기 핸들부(811)로부터 바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결속모듈(720) 내부로 삽입되는 제2 삽입체(813)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지지부(L1)는 상기 제1 삽입체(812)와 상기 제2 삽입체(813)에 각각 대응하는 제2 삽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삽입체(812) 및 상기 제2 삽입체(813)은 상기 제2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핸들부(811)에는 상기 제1 삽입체(812)와 연동되는 제1 조임부(813)와 상기 제2 삽입체(813)과 연동되는 제2 조임부(814)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조임부(813)와 상기 제2 조임부(814)의 조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삽입체(812)와 상기 제2 삽입체(813)은 상기 핸들부(811)을 상기 제1 지지부(L1)측으로 가압한다.
상기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710)과 상응하는 제3 결속모듈(730) 및 제4 결속모듈(740)을 포함하며, 상기 제3 결속모듈(730)은 상기 제2 결속모듈(720)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2 체결수단(820)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4 결속모듈(740)은 상기 제3 결속모듈(730)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3 체결수단(830)을 통해 결속된다. 상기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710)과 대응하며, 상기 지지부들 중 상기 제2 지지부(L2)와 이웃하는 제2 지지부(L2) 상에 구비되는 제5 결속모듈(750)과, 상기 제2 결속모듈(720)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부(L2) 상에 구비되는 제6 결속모듈(760)과, 상기 제3 결속모듈(730)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부(L2) 상에 구비되는 제7 결속모듈(770)과, 상기 제4 결속모듈(740)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부(L2) 상에 구비되는 제8 결속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5 결속모듈(750)과 상기 제6 결속모듈(760)은 제4 체결수단(840)을 통해 결속되고, 상기 제6 결속모듈(760)과 상기 제7 결속모듈(770)은 제5 체결수단(850)을 통해 결속되고, 상기 제7 결속모듈(770)과 상기 제8 결속모듈은 제6 체결수단(860)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2 체결수단(820) 내지 상기 제6 체결수단(860)은 상기 제1 체결수단(810)과 상응하는 것이다.
상기 제1 결속모듈(710) 내지 상기 제6 결속모듈(760)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모듈(900)이 구비되며, 상기 연동모듈(900)은 제1 실린더부(911)와, 상기 제1 실린더부(911)의 양측에서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1 체결수단(810)과 상기 제4 체결수단(840) 각각에 결속되는 제1-1 피스톤부(912) 및 제1-2 피스톤부(913)를 포함하는 제1 연동부(910)와, 제2 실린더부(921)와, 상기 제2 실린더부(921)의 양측에서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2 체결수단(820)과 상기 제5 체결수단(850) 각각에 결속되는 제2-1 피스톤부(922)와 제2-2 피스톤부(923)를 포함하는 제2 연동부(920)와, 제3 실린더부(931)와, 상기 제3 실린더부(931)의 양측에서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3 체결수단(830)과 상기 제6 체결수단(860) 각각에 결속되는 제3-1 피스톤부(932)와 제3-2 피스톤부(933)를 포함하는 제3 연동부(93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실린더부(911) 및 상기 제3 실린더부(931)는 둘레반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 실린더부(921)의 둘레부에 제2 감지센서(S2)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실린더부(911)의 둘레부 제1 영역에는 제1-1 감지센서(S11)가 구비되며, 제2 영역에는 제1-2 감지센서(S12)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실린더부(931)의 둘레부 제1 영역에는 제3-1 감지센서(S31)가 구비되며, 제2 영역에는 제3-2 감지센서(S32)가 구비되고, 상기 제1-1 감지센서(S11)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와 대응하여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2 감지센서(S12)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보다 작은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3-1 감지센서(S31)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와 대응하여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3-2 감지센서(S32)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보다 작은 면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1 감지센서(S11), 상기 제3-1 감지센서(S31) 및 상기 제2 감지센서(S2)는 상호 간에 위치 이탈 정도를 제1 스케일로 감지하며, 상기 제1 실린더부(911)와 상기 제2 실린더부(921)의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제1-2 감지센서(S12)와 상기 제3-2 감지센서(S32)가 상기 제2 감지센서(S2)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면, 상기 제1-2 감지센서(S12), 상기 제3-2 감지센서(S32) 및 상기 제2 감지센서(S2)는 상호 간에 초기 위치 이탈 정도를 제2 스케일로 감지한다.
상기 제1-1 피스톤부(912)와 상기 제2-1 피스톤부(922)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4 연동부(940)가 구비되며, 상기 제2-1 피스톤부(922)와 상기 제3-1 피스톤부(932)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5 연동부(950)가 구비되며, 상기 제1-2 피스톤부(913)와 상기 제2-2 피스톤부(923)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6 연동부(960)가 구비되며, 상기 제2-2 피스톤부(923)와 상기 제3-2 피스톤부(933)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7 연동부(970)가 구비되며, 상기 제4 연동부(940)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1 유동수단(940)이 구비된다. 상기 제5 연동부(950)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2 유동수단(950)이 구비되며, 상기 제6 연동부(960)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3 유동수단(960)이 구비되며, 상기 제7 연동부(970)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4 유동수단(970)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은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을 향하는 일측에 제4-1 감지센서(S4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4-1 감지센서(S41) 보다 큰 제4-2 감지센서(S42)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유동수단(950)은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을 향하는 일측에 제5-1 감지센서(S5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5-1 감지센서(S51) 보다 큰 제5-2 감지센서(S52)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은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을 향하는 일측에 제6-1 감지센서(S6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6-1 감지센서(S61) 보다 큰 제6-2 감지센서(S62)가 구비되며,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은 상기 제2 유동수단(950)을 향하는 일측에 제7-1 감지센서(S7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7-1 감지센서(S71) 보다 큰 제7-2 감지센서(S72)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유동수단(940) 내지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의 둘레방향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제4-1 감지센서(S41)는 상기 제6-2 감지센서(S62)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5-1 감지센서(S51)는 상기 제7-2 감지센서(S72)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4-2 감지센서(S42)는 상기 제6-1 감지센서(S61)과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5-1 감지센서(S52)는 상기 제7-1 유동수단(S71)과 대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은 상기 제4-1 감지센서(S4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4-2 감지센서(S42)를 이용하여,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의 상기 제6-1 감지센서(S61) 또는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6-2 감지센서(S6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하며, 상기 제2 유동수단(950)은 상기 제5-1 감지센서(S5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유동수단(95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5-1 감지센서(S52)를 이용하여,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의 상기 제6-1 감지센서(S61) 또는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6-2 감지센서(S6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한다.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은 상기 제6-1 감지센서(S6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6-2 감지센서(S62)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의 상기 제4-1 감지센서(S41) 또는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4-2 감지센서(S4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하며,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은 상기 제7-1 감지센서(S7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7-2 감지센서(S72)를 이용하여, 상기 제5 유동수단의 상기 제5-1 감지센서(S51) 또는 상기 제5 유동수단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5-1 감지센서(S5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한다. 한편, 상기 제1 지지부(L1)는, 상기 제1 결속모듈(710) 내지 상기 제4 결속모듈(740)이 설치되는 제1-1 지지부(L11)와, 상기 제1-1 지지부(L11) 하방으로 확관되어 상기 제1 결속모듈(710) 내지 상기 제4 결속모듈(740)의 거치되는 제1-2 지지부(L12)가 구비된다. 상기 제1-1 지지부(L11)는 상기 제1-2 지지부(L12)의 1/5 내지 3/5 또는 1/7 내지 4/7 범위 내에 해당하는 비율로 구비되며, 상기 제1 결속모듈(710) 내지 상기 제4 결속모듈(740)은 상기 제1-2 지지부(L12)의 외경 둘레값을 이탈하지 않는 형합된 상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지지부(L2) 역시 상기 제1 지지부와 유사한 방식의 구성을 갖추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전술한 상기 삽입체(812) 및 상기 제2 삽입체(813)를 가압하기 위한 삽입체가압수단(N)이 지지부 또는 제1 지지부 상에 내장된다. 상기 삽입체가압수단(N)은 상방몸체(N1)와 하방몸체(N2) 상기 상방몸체(N1)와 상기 하방몸체(N2)를 유동시키는 유동체(N3)로 구성된다. 상기 유동체(N3)는 상기 하방몸체(N2)와 상기 상방몸체(N1)를 유동시켜, 상기 지지부에 유입되는 상기 삽입체(812)와 상기 제2 삽입체(813)의 단부를 상하 방향 간으로 가압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삽입체가압수단(N)은 기타 필요위치부에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동체(N3)는 상기 상방몸체(N1)와 상기 하방몸체(N2) 사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어 가압힘을 보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다수로 형성되는 상기 삽입체가압수단(N)은 각각 순차적으로 개별 유동되거나, 일체적으로 함께 유동되어 상기 가압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코어 전단벽 20’: 내력벽
11’, 21’: 오토클라이밍폼 30’: PC기둥
31’: 연결철물 40’: PC보
32’: 연결봉 50’: 형틀
60’: HCS 61’: 지그
62’: 자재인양구 70’: PC계단
80’: 콘크리트 90’: 커튼월

Claims (10)

  1. 고층건물에서 기준층을 코어, 라멘구조, 양측면의 내력벽, 전후면의 커튼월로 설계하는 기준층 설계단계; 코어 전단벽과 양측면의 내력벽은 오토클라이밍폼 을 이용하여 시공되, 라멘구조와 코어 내부의 계단은 각각 PC기둥, PC보 또는 철골보, HCS, PC계단으로 시공하는 기준층 시공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PC기둥은, 상부로 연결철물이 돌출되게 제작된 PC기둥으로 시공하고, 상기 PC보 또는 철골보는, 단부로 연결봉이 돌출되게 제작된 PC보 또는 철골보를 상기 PC기둥위에 거치하고 연결봉으로 PC기둥의 연결철물에 관통 고정하면서 시공하되, 상기 연결철물, 상기 연결봉, 상기 오토클라이밍폼, 상기 HCS의 적어도 일부는 코팅장치를 통하여 코팅처리된 것이며,
    상기 코팅장치는 컨베이어 상에서 이송되는 상기 연결철물, 상기 HCS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피코팅물을 코팅처리 처리하며, 상기 컨베이어는 저면부를 향하는 다수의 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는 길이방향 적어도 일부를 따라 다수의 결속모듈이 구비되되,
    상기 결속모듈은 제1 결속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결속모듈은 상기 지지부들 중 제1 지지부에 결속되는 한 쌍의 외장부와, 상기 각 외장부 내부에 연동되도록 구비되는 내장부와, 상기 외장부에 연동되어 상기 내장부 상에서 진퇴유동방식으로 상기 제1 지지부를 가압시키는 가압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가압유닛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 상에 상기 가압유닛과 대응하는 소정의 삽입홈이 구비되며,
    상기 가압유닛은 최상단에 구비되는 제1 가압유닛과, 최하단에 구비되는 제2 가압유닛과, 중단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 제3 가압유닛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지지부의 상기 삽임홈에 각각 선택적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내장부는 인접하는 상기 제1 지지부를 고정시키기 위하여내부에 접착물질이 충진되며, 상기 내장부의 상방에는 상기 내장부를 가열하여 상기 접착물질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히팅부가 구비되고, 상기 내장부의 하방에는 상기 내장부를 냉각하여 상기 접착물질을 비활성화 시키기 위한 냉각부이 구비되는 공기단축이 가능한 PC-SF공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내부에 접착물질은,
    상기 외장부와 상기 내장부 간에 구비되는 공급관을 통해 상기 내장부 상에 공급되되,
    상기 제1 가압유닛 내지 상기 제3 가압유닛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공급되어 상기 외장부, 상기 내장부, 상기 가압유닛 및 상기 제1 지지부를 상호 결속시키며,
    상기 제1 지지부의 외주면 상에는 식별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내장부의 상방에는 상기 식별수단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인식수단이 상기 식별수단을 인식에 기반하여 상기 삽입홈을 향해 진퇴유동되며,
    상기 인식수단과 상기 히팅부은 상호 인접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인식수단과 상기 히팅부 사이에는 단열수단이 구비되는 공기단축이 가능한 PC-SF공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과 상응하는 제2 결속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1 체결수단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1 체결수단은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로부터 바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결속모듈 내부로 삽입되는 제1 삽입체와,
    상기 핸들부로부터 바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결속모듈 내부로 삽입되는 제2 삽입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삽입체와 상기 제2 삽입체에 각각 대응하는 제2 삽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삽입체 및 상기 제2 삽입체은 상기 제2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핸들부에는 상기 제1 삽입체와 연동되는 제1 조임부와 상기 제2 삽입체과 연동되는 제2 조임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조임부와 상기 제2 조임부의 조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삽입체와 상기 제2 삽입체은 상기 핸들부를 상기 제1 지지부측으로 가압하며,
    상기 제1 지지부 상에는 상기 제1 삽입체와 상기 제2 삽입체의 삽입된 단부를 상하 방향간으로 가압하기 위한 삽입체가압수단이 내장되어 구비되는 공기단축이 가능한 PC-SF공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과 상응하는 제3 결속모듈 및 제4 결속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결속모듈은 상기 제2 결속모듈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2 체결수단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4 결속모듈은 상기 제3 결속모듈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3 체결수단을 통해 결속되는 공기단축이 가능한 PC-SF공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결속모듈 내지 상기 제4 결속모듈이 설치되는 제1-1 지지부와,
    상기 제1-1 지지부 하방으로 확관되어 상기 제1 결속모듈 내지 상기 제4 결속모듈의 거치되는 제1-2 지지부가 구비되는 공기단축이 가능한 PC-SF공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과 대응하며, 상기 지지부들 중 상기 제1 지지부와 이웃하는 제2 지지부 상에 구비되는 제5 결속모듈과, 상기 제2 결속모듈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부 상에 구비되는 제6 결속모듈과,
    상기 제3 결속모듈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부 상에 구비되는 제7 결속모듈과, 상기 제4 결속모듈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부 상에 구비되는 제8 결속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5 결속모듈과 상기 제6 결속모듈은 제4 체결수단을 통해 결속되고, 상기 제6 결속모듈과 상기 제7 결속모듈은 제5 체결수단을 통해 결속되고, 상기 제7 결속모듈과 상기 제8 결속모듈은 제6 체결수단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2 체결수단 내지 상기 제6 체결수단은 상기 제1 체결수단과 상응하는 것인 공기단축이 가능한 PC-SF공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71385A 2018-06-21 2018-06-21 공기단축이 가능한 pc-sf공법 KR101915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385A KR101915934B1 (ko) 2018-06-21 2018-06-21 공기단축이 가능한 pc-sf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385A KR101915934B1 (ko) 2018-06-21 2018-06-21 공기단축이 가능한 pc-sf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5934B1 true KR101915934B1 (ko) 2019-01-07

Family

ID=65017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385A KR101915934B1 (ko) 2018-06-21 2018-06-21 공기단축이 가능한 pc-sf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9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639B1 (ko) * 2006-11-30 2007-10-23 (주)혜창 미세한 코팅막을 균일하게 성형하기 위한 스프레이 장치
KR101445286B1 (ko) * 2012-12-13 2014-09-26 삼성물산 주식회사 기준층의 공기단축이 가능한 pc-sf공법
KR101854577B1 (ko) * 2017-11-20 2018-05-03 최건희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시공시스템을 이용한 보수 보강 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639B1 (ko) * 2006-11-30 2007-10-23 (주)혜창 미세한 코팅막을 균일하게 성형하기 위한 스프레이 장치
KR101445286B1 (ko) * 2012-12-13 2014-09-26 삼성물산 주식회사 기준층의 공기단축이 가능한 pc-sf공법
KR101854577B1 (ko) * 2017-11-20 2018-05-03 최건희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시공시스템을 이용한 보수 보강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7013A (en) Wall panel for modular buildings and method of assembly
KR101966777B1 (ko)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KR101945195B1 (ko)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보수공법
CA2720188A1 (en) Method and system for forming vertical pre-cast concrete structures
KR101928702B1 (ko) 모듈러 주택의 조립용 지그
CN111456252A (zh) 钢制组装合成混凝土建筑及其建造方法
CA2540511C (en) System for vertically forming concrete panels
CN104989138A (zh) 一种自行车立体停车库的提车进库装置
KR101915934B1 (ko) 공기단축이 가능한 pc-sf공법
KR101908292B1 (ko) 건물 내진 보강 공법
KR101915936B1 (ko) 공기단축공법
JP2005240382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下面補修方法
KR101915935B1 (ko) 공기단축 시공 공법
KR101933871B1 (ko) 아파트 벽체의 내진 성능 개선 방법
KR100945426B1 (ko) 건축용 폼 상승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복수 벽면동시 시공방법
CN110733106B (zh) 一种混凝土门扇养护喷淋装置
KR101215384B1 (ko) 플라잉 테이블 폼
KR101908895B1 (ko) 아파트 천장슬라브 시공방법
KR101931055B1 (ko) 아파트 지하주차장 시공 방법
CN216340631U (zh) 一种模块化过门石结构
KR101928742B1 (ko)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아파트 건물의 내진보강공법
CN107939121A (zh) 一种快建单元组合式立体车库及其组装方法
CN212295078U (zh) 钢制组装合成混凝土建筑
CN107447852B (zh) 整体预制阳台填充墙及其施工方法
KR101314170B1 (ko) 탑사일로시공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