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8702B1 - 모듈러 주택의 조립용 지그 - Google Patents

모듈러 주택의 조립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8702B1
KR101928702B1 KR1020180059634A KR20180059634A KR101928702B1 KR 101928702 B1 KR101928702 B1 KR 101928702B1 KR 1020180059634 A KR1020180059634 A KR 1020180059634A KR 20180059634 A KR20180059634 A KR 20180059634A KR 101928702 B1 KR101928702 B1 KR 101928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delete delete
beam member
uni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석태
Original Assignee
서석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석태 filed Critical 서석태
Priority to KR1020180059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87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8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3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the supporting structure consisting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0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otating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1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7/125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means being fluid actuated
    • B05B7/1263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means being fluid actuated pneumatically actu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6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longitudi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Abstract

본 발명은, 기둥의 일단에 상부 측 코너 블록을 용접하여 단일 기둥부재를 제작하는 제1지그와, 상기 제1지그에서 제작된 단일 기둥부재를 서로 마주하여 나란히 배치하고 이 단일 기둥부재에 상부수평보부재와 하부수평보부재를 각각 용접하여 세트 기둥부재를 제작하는 제2지그와, 동일한 형태의 바닥보부재 또는 천장보부재를 각각 용접하여 제작하는 제3지그와, 상기 제2지그 및 제3지그에서 제작된 세트 기둥부재와 바닥보부재 및 천장보부재를 용접하여 모듈러 유닛을 제작하는 제4지그로 이루어지되, 상기 모듈러 유닛의 적어도 일부는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통해 표면처리 가공되는 모듈러 주택의 조립용 지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듈러 주택의 조립용 지그{Asesmbly jig for modular housing}
본 발명은 모듈러 주택의 조립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둥과 바닥보 및 천장보로 이루어지는 직육면체 모듈러 유닛에 대하여 각각의 지그를 제작하여 기둥부재, 바닥보부재, 천장보부재를 용접으로 제작하고 이들 부재를 통합한 지그를 통해 모듈러 유닛을 제작하여 지그의 단순화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각종 구성부들의 사전 및 사후 유지 보수 관리가 가능하여 효율적인 조립용 지그 활용이 가능한 모듈러 주택의 조립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모듈러 건축물이란 현장에서 모두를 시공하는 기존의 공법과는 달리 공장에서 모듈러 유닛에 관한 구조물을 조립하고, 이에 각종 내·외장재, 설비 및 배선 등을 미리 시공한 후, 이를 현장으로 운송하여 조립 및 적층함으로써 완성되는 건축물을 말한다. 이러한 모듈러 건축물은 공장에서 대부분이 제작되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시공시간이 크게 단축됨은 물론 건축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어 최근 들어 군부대 숙소나 학교 등의 증축, 전원주택 등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모듈러 유닛은 기본적으로 네 개의 강재 기둥과, 상기 각 기둥과 하부에 연결되는 강재 바닥보와 상기 각 기둥과 상부에 연결되는 강재 천장보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모듈러 유닛은 공장에서 기둥과 바닥보, 천장보를 용접 등을 통하여 제작한다. 상기와 같은 기둥과 바닥보, 천장보로 이루어진 모듈러 유닛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장에서 각종 내·외장재, 설비 및 배선 등을 미리 시공하고, 이렇게 제작된 모듈러 유닛들을 가지고 현장에서 조립 적층하여 건축물을 완성하게 되기 때문에 공장에서 제작되는 모듈러 유닛은 정밀하게 제작할 필요에 있다. 그렇지 못하면 전체 건축물의 설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29112의 '건축 모듈러 유닛 조립 가이드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은 모듈러 유닛을 조립하기 위한 조립 가이드 장치는 크게 고정측지지장치, 이동측지지장치, 기둥가이드핀, 수직조절장치, 천장보조절장치, 바닥보조절장치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경우 모듈러 유닛의 조립하기 위한 장치들이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어 이에 따른 모듈러유닛의 제작비용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모듈러 유닛의 대량 제작에 따른 설비를 간단히 하여 정밀제작은 물론 비용을 줄이는 새로운 기술을 여전히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조립용 지그의 각종 구성부의 유지 보수 관리 등이 용이하지 못하여 전반적인 품질관리 및 보강 보수 등의 효율적인 시공 등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06972호
본 발명은 지그의 단순화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각종 구성부들의 사전 및 사후 유지 보수 관리가 가능하여 효율적인 조립용 지그 활용이 가능한 모듈러 주택의 조립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둥의 일단에 상부 측 코너 블록을 용접하여 단일 기둥부재를 제작하는 제1지그와, 상기 제1지그에서 제작된 단일 기둥부재를 서로 마주하여 나란히 배치하고 이 단일 기둥부재에 상부수평보부재와 하부수평보부재를 각각 용접하여 세트 기둥부재를 제작하는 제2지그와, 동일한 형태의 바닥보부재 또는 천장보부재를 각각 용접하여 제작하는 제3지그와, 상기 제2지그 및 제3지그에서 제작된 세트 기둥부재와 바닥보부재 및 천장보부재를 용접하여 모듈러 유닛을 제작하는 제4지그로 이루어지되, 상기 모듈러 유닛의 적어도 일부는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통해 표면처리 가공되는 모듈러 주택의 조립용 지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주택의 조립용 지그에 의하면, 지그의 단순화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각종 구성부들의 사전 및 사후 유지 보수 관리가 가능하여 효율적인 조립용 지그 활용이 가능한 모듈러 주택의 조립용 지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1지그와 이 제1지그에서 제작되는 코너 블록과 기둥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제1지그에 코너 블록과 기둥을 위치시킨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서 제작된 단일 기둥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2지그와 이 제2지그에서 제작되는 단일 기둥부재와 상부수평보부재 및 하부수평보부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3의 제2지그에 단일 기둥부재와 상부수평보부재 및 하부수평보부재를 위치시킨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서 제작된 세트 기둥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3지그와 이 제3지그에서 제작되는 바닥보부재 또는 천장보부재를 구성하는 두 개의 수평보부재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5의 제3지그에 바닥보부재 또는 천장보부재를 구성하는 두 개의 수평보부재와 연결보강보를 위치시킨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에서 제작된 바닥보부재 또는 천장보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지그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변형 예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에 하부 측 코너 블록이 안착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지그에 바닥보부재를 배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지그에 세트 기둥부재를 배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지그에 천장보부재를 배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지그를 통해 완성된 모듈러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을 위한 표면처리 가공수단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을 위한 표면처리 가공수단를 모터와 스크류조합에 의해 자동으로 구성한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스프레이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작동도이다.
도 18 내지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3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범퍼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5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결속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1지그와 이 제1지그에서 제작되는 코너 블록과 기둥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의 제1지그에 코너 블록과 기둥을 위치시킨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에서 제작된 단일 기둥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모듈러 주택의 조립용 지그는, 기둥(10')의 일단에 상부 측 코너 블록(11')을 용접하여 단일 기둥부재(12')를 제작하는 제1지그(30')와, 상기 제1지그(30')에서 제작된 단일 기둥부재(12')를 서로 마주하여 나란히 배치하고 이 단일 기둥부재(12')에 상부수평보부재(13')와 하부수평보부재(14')를 각각 용접하여 세트 기둥부재(15')를 제작하는 제2지그(40')와, 동일한 형태의 바닥보부재(16') 또는 천장보부재(17')를 각각 용접하여 제작하는 제3지그(60')와, 상기 제2지그(40') 및 제3지그(60')에서 제작된 세트 기둥부재(15')와 바닥보부재(16') 및 천장보부재(17')를 용접하여 모듈러 유닛(100')을 제작하는 제4지그(80')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에서 모듈러 유닛(100')은 길이가 12M(미터')이고, 높이가 3M(미터')이며, 폭이 2.4M(미터')로 제작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그(30')는, 바닥(31')에 고정되는 베이스강재(32')와, 이 베이스강재(32')의 일측으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부 측 코너 블록(11')을 받침하는 코너 블록 받침대(33')와, 이 코너블록 받침대(33')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지지판(34')에 고정되어 상부 측 코너 블록(11')에 형성된 위치고정홀(11a')이 삽입되어 상부 측 코너 블록(11')을 코너 블록 받침대(33')에 안착시키는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dummy')(35')와, 상기 베이스강재(32') 상부에 복수 개로 설치되어 기둥을 움직이지 않게 받침하는 기둥 받침대(36')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바닥(31')은 수평도를 유지하는 콘크리트 바닥 또는 두꺼운 철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베이스강재(32')는 "I"형강이나 두꺼운 철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상부 측 코너 블록(11')의 위치고정홀(11a')은 코너 블록(11')의 회전 방지를 위해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dummy')(35')의 형상도 위치고정홀(11a')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35')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볼트(37') 또는 용접으로 지지판(34')에 고정된다.
도면 중 미 설명부호 11b는 상부 측 코너 블록(11')에 형성되어 모듈러 유닛(100')의 운반을 위해 로프 등을 매는 래싱홀(lashing hole')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지그(30')를 통해 도 2a와 같이 상부 측 코너 블록(11')을 코너 블록 받침대(33')에 올려놓고 지지판(34') 쪽으로 밀어 상부 측 코너 블록(11')의 위치고정홀(11a')을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35')에 삽입시키고, 다음에 기둥(10')의 일측을 상부 측 코너 블록(11')의 일측과 맞대어서 용접하여 도 2b와 같이 단일 기둥부재(12')를 제작한다.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2지그와 이 제2지그에서 제작되는 단일 기둥부재와 상부수평보부재 및 하부수평보부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의 제2지그에 단일 기둥부재와 상부수평보부재 및 하부수평보부재를 위치시킨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에서 제작된 세트 기둥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지그(40')는 바닥(41')에 고정되고 서로 마주하여 나란히 배치되는 제1베이스강재(42'), 제2베이스강재(43') 및 제3베이스강재(44'), 제4베이스강재(45')와, 제1 및 제2베이스강재(42')(43')의 각각에는 상기 제1지그(30')에서 제작된 단일 기둥부재(12')가 위치 고정되도록 상부 측 코너 블록(11')을 받침하는 코너 블록 받침대(33')와, 이 코너 블록 받침대(33')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지지판(34')에 고정되어 상부 측 코너 블록(11')에 형성된 위치고정홀(11a')이 삽입되어 상부 측 코너 블록(11')을 코너 블록 받침대(33')에 안착시키는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35')와, 상기 제1 및 제2베이스강재(42')(43') 상부에 복수 개로 설치되어 기둥(10')을 움직이지 않게 받침하는 기둥 받침대(36')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베이스강재(44')에는 상부수평보부재(13')를 받침하는 복수의 받침대(46')와, 이 받침대(46')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지지판(47')에 위치고정공(47a')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수평보부재(13')의 양측에 형성된 볼트공(13a')을 통해 고정하여 상부수평보부재(13')를 단일 기둥부재(12')에 용접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고정부재(48')와, 상기 제4베이스강재(45')에는 하부수평보부재(14')를 받침하는 복수의 받침대(46')와, 이 받침대(46')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지지판(47')에 위치고정공(47a')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수평보부재(14')에 형성된 볼트공(14a')을 통해 고정하여 하부수평보부재(14')를 단일 기둥부재(12')에 용접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고정부재(48')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바닥(41')은 수평도를 유지하는 콘크리트 바닥 또는 두꺼운 철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제1, 제2, 제3, 제4베이스강재(42')(43')(44')(45')는 "I"형강이나 두꺼운 철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고정부재(48')는 볼트 또는 축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 중 설명 부호 49는 기둥(10')을 기둥 받침대(36')에 고정하는 클램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지그(40')를 통해 도 4a와 같이 단일 기둥부재(12')를 제1베이스강재(42')와 제2베이스강재(43')에 각각 위치시켜, 상부 측 코너 블록(11')을 코너 블록 받침대(33')에 올려놓고 지지판(34') 쪽으로 밀어 상부 측 코너 블록(11')의 위치고정홀(11a')을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35')에 삽입시켜 단일 기둥부재(12')를 위치 고정한 상태에서 제3베이스강재(44')에 상부수평보부재(13')를 복수의 받침대(46')를 통해 위치시키고 상부수평보부재(13')에 형성된 볼트공(13a')을 지지판(47')에 형성된 위치고정공(47a')과 일치되게 하여 고정부재(48')를 삽입하여 상부수평보부재(13')를 단일 기둥부재(12')에 용접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고, 마찬가지로 제4베이스강재(45')에 하부수평보부재(14')를 복수의 받침대(46')를 통해 위치시키고 하부수평보부재(14')에 형성된 볼트공(14a')을 지지판(47')에 형성된 위치고정공(47a')과 일치되게 하여 고정부재(48')를 삽입하여 하부수평보부재(14')를 단일기둥부재(12')에 용접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부수평보부재(13')와 하부수평보부재(14')의 양측을 단일 기둥부재(12')와 맞대어서 용접하여 도 4b와 같이 세트 기둥부재(15')를 제작한다.
한편, 상기 상부수평보부재(13')와 하부수평보부재(14')는 고정부재(48')에 의해 수직으로 형성된 지지판(47')에 밀착 고정됨으로써 단일 기둥부재(12')와의 용접시 수직 자세를 유지하게 되면 정밀 제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3지그와 이 제3지그에서 제작되는 바닥보부재 또는 천장보부재를 구성하는 두 개의 수평보부재를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6a는 도 5의 제3지그에 바닥보부재 또는 천장보부재를 구성하는 두 개의 수평보부재와 연결보강보를 위치시킨 사시도이며, 도 6b는 도 6a에서 제작된 바닥보부재 또는 천장보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3지그(60')는 바닥(61')에 각각 고정되어 동일한 형태의 바닥보부재(16') 또는 천장보부재(17')를 구성하는 두 개의 수평보부재(18')를 서로 마주하여 나란히 안착시키는 제1, 제2, 제3, 제4베이스강재(62')(63')(64')(65')와, 상기 제1, 제2베이스강재(62')(63')와 제3, 제4베이스강재(64')(65')의 사이에서 바닥(61')에 복수로 고정되어 수평 보부재(18')를 수직되게 안내하는 지지대(66')와, 제1, 제2, 제3, 제4베이스강재(62')(63')(64')(65')에 각각 형성되어 수평보부재(18')의 양측에 형성된 볼트공(18a')과 이 수평보부재(18')의 양측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연결플레이트(19')에 형성된 볼트공(19a')을 위치고정핀(67')으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키는 복수의 위치고정공(62a')(63a')(64a')(65a')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바닥(61')은 수평도를 유지하는 콘크리트 바닥 또는 두꺼운 철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제1, 제2, 제3, 제4베이스강재(62')(63')(64')(65')는 "I"형강이나 두꺼운 철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위치고정핀(67')은 복수로 구성되고 볼트 또는 축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바닥(61')에 복수로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66')는 수평보부재(18')를 크레인으로 운반하여 제1, 제2, 제3, 제4베이스강재(62')(63')(64')(65')에 안착시킬 때 길이가 12(M')미터인 수평보부재(18')가 수직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안내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3지그(60')를 통해 도 5 및 도 6a와 같이 먼저 각각의 제1, 제2, 제3, 제4베이스강재(62')(63')(64')(65')에 연결플레이트(19')를 올려놓고 연결플레이트(19')에 형성된 볼트공(19a')을 제1, 제2, 제3, 제4베이스강재(62')(63')(64')(65')에 형성된 위치고정공(62a')(63a')(64a')(65a')과 일치시키고, 수평보부재(18')를 제1 및 제24베이스강재(62')(63')와 제3 및 제4베이스강재(64')(65')에 올려진 연결플레이트(19')에 올려놓고 이 연결플레이트(19')에 형성된 볼트공(19a')에 수평보부재(18')에 형성된 볼트공(18a')을 일치시키고 위치고정핀(67')을 삽입시켜 제1 및 제24베이스강재(62')(63')와 제3 및 제4베이스강재(64')(65')에서 연결플레이트(19')와 수평보강재(18')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한다. 이에 따라 수평보부재(18')의 양측에 연결플레이트(19')를 용접하고 수평보부재(18') 사이를 가로질러 복수의 연결보강보(20')를 용접하여 도 6b와 같이 동일한 형태의 바닥보부재(16') 또는 천장보부재(17')를 제작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지그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변형 예의 정면도이며,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에 하부 측 코너 블록이 안착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지그에 바닥보부재를 배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지그에 세트 기둥부재를 배치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지그에 천장보부재를 배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지그를 통해 완성된 모듈러 유닛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4지그(80')는 서로 마주하여 나란히 배치되고 바닥(81')에 고정되는 동일한 형태의 제1베이스강판(82') 및 제2베이스강판(83')과, 이 제1 및 제2베이스강판(82')(83')에 각각 두 개씩 고정 설치되고 하부 측 코너 블록(111')에 형성된 위치고정홀(11a')이 삽입되어 하부 측 코너 블록(111')을 제1베이스강판(82') 및 제2베이스강판(83')에 안착시키는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35')와, 상기 제1 및 제2베이스강판(82')(83')에 각각 두 개씩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조립용 기둥(84')과, 이 조립용 기둥(84')의 상부에 축(85') 지지를 통해 직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세트 기둥부재(15')에 설치된 상부 측 코너 블록(11')의 위치고정홀(11a')에 삽입되어 세트 기둥부재(15')를 위치 고정시키는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35')로 구성된다.
상기 설명에서 상부 측 코너 블록의 부호를 '11'로 설명하고 하부 측 코너 블록의 부호를 '111'로 하고 설명하고 있는바,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부호를 달리할 뿐이고, 상 하부 측 코너 블록의 구조는 동일하다. 상기에서 바닥(81')은 수평도를 유지하는 콘크리트 바닥 또는 두꺼운 철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제1 및 제2베이스강판(82')(83')는 "I"형강을 기초로 하여 그 위에 철판을 고정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베이스강판(82')(83')을 일정한 거리를 두고 분리하여 구성하고 있는바, 이는 모듈러 유닛(100')의 길이가 12M(미터')로서 제1 및 제2베이스강판(82')(83')을 하나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재료를 절감하기 제1 및 제2베이스강판(82')(83')으로 분리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도 8과 같이 상기 제1베이스강판(82') 및 제2베이스강판(83')의 인근 바닥(81')에는 조립용 기둥(84')의 상부에 축(85') 지지로 형성된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35')를 조작하고 세트 기둥부재(15')의 상부와 천장보부재(17')를 작업자가 용접할 수 있도록 계단(86')이 설치된 작업대(87')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4지그(80')를 통해 도 7 및 도 9와 같이 먼저 하부 측 코너 블록(111')을 이에 형성된 위치고정홀(11a')을 통해 제1 및 제2베이스강판(82')(83')에 설치된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35')에 삽입시켜 하부측 코너 블록(111')을 제1베이스강판(82') 및 제2베이스강판(83')에 위치 고정시킨다. 다음에 제3지그에서 제작된 바닥보부재(16')를 양 제1 및 제2베이스강판(82')(83')을 통해 안착시키면서 바닥보부재(16')를 구성하는 수평보부재(18')의 양측에 용접된 연결플레이트(19')를 하부 측 코너 블록(111') 주위에 위치시키고 하부 측 코너 블록(111')과 바닥보부재(16')를 용접한다.
다음에 도 11과 같이 세트 기둥부재(15')의 하부를 하부 측 코너 블록(111')에 올려놓고 조립용 기둥(84')의 상부에 축(85') 지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35')를 회전시켜 세트 기둥부재(15')에 설치된 상부 측 코너 블록(11')의 위치고정홀(11a')에 삽입시켜 세트 기둥부재(15')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한다. 다음에 하부 측 코너 블록(111')과 세트 기둥부재(15')의 하부를 용접한다. 다음에 도 12와 같이 세트 기둥부재(15')의 상부와 천장보부재(17')를 용접하여 도 13과 같이 모듈러 유닛(100')을 제작한다.
본 실시 예의 모듈러 유닛(100')은 길이가 12M(미터')이고, 높이가 3M(미터')이며, 폭이 2.4M(미터')로서 제작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1 및 제2베이스강판(82')(83')에 고정 설치된 4개의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35')와 조립용 기둥(84')의 상부에 축(85') 지지를 통해 직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4개의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35')를 통해 모듈러 유닛(100')의 길이 12M(미터')와, 폭 2.4M(미터')를 설정하고 이들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35')를 통해 하부 측 코너 블록(111')과 상부 측 코너 블록(11')의 위치고정홀(11a')이 삽입된 상태에서 바닥보부재(16')와 상부보부재(17')를 용접함으로써 모듈러 유닛(100')의 길이 12M(미터')와, 폭 2.4M(미터')로의 정밀 제작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조립용 기둥(84')의 상부에 축(85') 지지를 통해 직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코너 블록용 위치고정 더미(35')를 통해 세트 기둥부재(15')에 설치된 상부 측 코너 블록(11')의 위치고정홀(11a')에 삽입시켜 세트 기둥부재(15')를 고정함으로써 세트 기둥부재(15')의 수직정밀도와 함께 천장보부재(17')의 수평정밀도를 유지하게 되고 동시에 모듈러 유닛(100')의 높이 3M(미터')를 정밀하게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을 위한 표면처리 가공수단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을 위한 표면처리 가공수단를 모터와 스크류조합에 의해 자동으로 구성한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스프레이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작동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을 위한 표면처리 가공수단은 컨베이어(100")상에서 이송되는 상기 모듈러 유닛(100'), 모듈러 유닛(100')을 이루는 각 구성의 적어도 일부 등에 해당하는 것인 피코팅물(110')의 일정높이에 고정된 고정부(115")에 축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115")에 배치되는 회전수단(120")에 의해 회전되는 센터 사프트(125")와, 상기 센터 사프트(125")의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상방수평보(130")와, 상기 상방 수평보(130")의 양측에 교차하게 수직으로 배치되는 사이드 수직바(140")와, 상기 상방수평보(130")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가 수직으로 미끄럼 결합되며, 상기 상방 수평보(130")에 고정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고정수단(142")을 구비한 이동블럭(145")과, 상기 상방 수평보(130")의 양측하부에서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에 고정되기 위한 제2 고정수단(147")을 구비하며, 피코팅물(110")에 도포되는 도포액를 공급받아 노즐(152")에 의해 피코팅물(110")에 분사하는 스프레이건(150") 및 상기 스프레이건(150")에 가압된 공기를 제공하여 도포액를 피코팅물(110")에 분사시키는 공압펌프(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센터 사프트(125")가 회전수단(120")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센터 사프트(125")에 고정된 상방 수평보(130")가 회전되고, 상방 수평보(130")의 양측에서 사이드 수직바(140")의 하부에 결합된 스프레이건(150")도 회전되는데, 스프레이건(150")의 회전에 의해 스프레이건(150")의 하방에서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피코팅물(110")의 모든 면에 코팅재가 노즐(152")에서 미세하게 분사되어 고른 두께로 도포되고, 코팅재의 도포시간도 단축된다. 그리고, 상방 수평보(130")와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에는 상기 스프레이건(150")의 수평위치 및 수직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눈금이 형성되는데, 작업자가 각 도포물에 따라 얻어진 도포액의 분사거리를 테이블화 하고, 이에 맞게 스프레이건(150")의 수평위치를 상방 수평보(130")에서 조절하고, 사이드 수직바(140")에서 수직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도포물에 맞게 미세하게 도포액을 분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고정수단(142")은 이동블럭(145")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방 수평부에 이동블럭(145")을 고정시키는 수직나사 및 이동블럭(145")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사이드 수직바(140")를 이동블럭(145")에 고정시키는 수평나사이다. 또한, 제2 고정수단(147")은 스프레이건(150")을 사이드 수직바(140")의 하부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스프레이건(150")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을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어야 하는데, 사이드 수직바(140")에 스프레이건(150")을 축 결합하여 연결하는 축바가 형성되고 외주부에 원주방향으로 홀이 형성된 연결판과 연결판의 홀을 통해 스프레이건(150")에 끼워짐으로써, 스프레이건(150")의 분사각을 고정하는 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15")의 일측에는 도포액를 공급하는 도포액 공급부(165") 및 상기 공압탱크(160")가 고정되고, 상기 센터 사프트(125")의 하부에는 상기 도포액 공급부(165")와 관(167")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스프레이건(150")에 관(167")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스프레이건(150")으로 도포액의 공급을 차단하는 도포액 개폐밸브(170")를 구비한 도포액 연결부(175")가 구비되고, 상기 도포액 연결부(175")의 하부에는 상기 공압탱크(160")와 상기 스프레이건(150")에 관(167")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스프레이건으로 가압공기의 공급을 차단하는 가압공기 차단밸브(176")를 구비한 공압 연결부(177")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센터 사프트(125")에는 모터(186")나 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블럭(145")을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평이동수단(180")이 구비되는데, 모터(186")에 의해 이동블럭(145")을 이동시키는 경우, 모터(186")는 센터 사프트(125")에 상방 수평보(130")를 고정시키는 센터블럭(126")의 일면에 한 쌍이 고정되고, 모터(186")에는 스크류 환봉(187")에 연결되며, 스크류 환봉(187")은 이동블럭(145")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암스크류(188")에 연결되고, 모터(186")의 구동에 의해 이동블럭(145")은 상방 수평보(130")에서 미끄럼 이동된다. 이때, 이동블럭(145")의 이동거리는 모터(186")에 결합된 엔코더에 의해 모터(186")의 축 회전수와 모터(186")의 일회전에 의해 스크류 환봉(187")에서 이동되는 암스크류(188")의 이동거리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한편, 모터(186")는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일정각도 로 회전되고, 모터(186") 축의 브레이크 기능이 있는 스텝모터(186")를 사용함으로써, 제어부의 의한 모터제어가 간단해질 수 있으며, 브레이크 기능에 모터(186")축을 홀딩하여 이동블럭(145")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블럭(145")은 모터(186")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이동블럭(145")의 이동거리를 설정하고, 제어부에 의해 이동거리에 맞는 회전수로 모터(186")가 회전됨으로써 상방 수평보(130")에서 이동되는데, 이동블럭(145")의 이동거리는 피코팅물(110")에 맞는 스프레이건(150")의 위치에 맞게 제어부에서 미리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이동블럭(145")에는 사이드 수직바(140")를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190")이 구비되는데, 높이조절수단(190")도 수평이동수단(180")과 마찬가지로 모터(186")와 스크류 조합, 또는 공압 실린더의 사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는, 높이조절수단(190")은 모터(196")가 이동블럭(145")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스크류 환봉(197")이 이동블럭(145")에 축 결합되며, 모터(186")와 스크류 환봉(197")이 피니언 기어(199")로 연결되고, 스크류 환봉(197")이 스프레이건(150")에 고정된 암스크류(198")로 연결되며, 이동블럭(145")에 미끄럼 결합된 사이드 수직바(140")가 모터(196")의 구동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는데, 이동블럭(145")의 이동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이동거리가 계산되고, 제어부에 의해 모터(196")의 회전수가 제어됨으로써 사이드 수직바(140")는 피코팅물(110")에 맞는 스프레이건(150")의 위치에 맞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레이건(150")의 노즐(152")은 스프레이건(150")의 단부에서 피코팅물(110")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센터 사프트(125")의 회전에 의해 스프레이건(150")이 회전되는 경우, 코팅재가 피코팅물(110")을 향해 하방으로 고르게 분사된다.
도 18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전술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결속되어, 상기 표면처리 가공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키고 진동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멀티 범퍼모듈을 개시한다.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지지대를 거치하기 위한 제1 범퍼모듈(1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범퍼모듈(100)은, 상기 지지대의 단부 일영역이 안착되는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1 안착부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 가압부(1112)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1 가압부(1112)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회전부(1113)가 구비 되는 제1-1 범퍼모듈(1110)과, 상기 지지대의 단부 타영역이 안착되는 제2 안착부(2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 가압부(2112)와,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상기 제2 가압부(2112)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회전부(2113)가 구비되는 제1-2 범퍼모듈(2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압부(1112)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1 안착부(1111)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1 가압부(1112)의 상기 제1 안착부(1111) 대향면상에는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와,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가압부(2112)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2 가압부(2112)의 상기 제2 안착부(2111) 대향면 상에는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와,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가 구비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의 제1-1 정보값 및 상기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의 제1-2 정보값을, 상기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의 제2-1 정보값과 상기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의 제2-2 정보값과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의 제1-1 정보값과 상기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의 제1-2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의 제2-1 정보값과 상기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의 제2-2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상기 지지대는 바(bar) 형상체이며,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에는 각각 상방에서 하방으로 테이퍼지도 록 형성되며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유동 가능한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호 간에 탄성수단(CM)으로 연동되어 수평방향 간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도 록 구비되고,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정합을 이루며,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정합을 이루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 사이에서 내부로 가압되어 안착되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는 각각 내부로부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향하는 경사면의 외부로 출몰되는 돌기(O)가 구비된다.
상기 돌기(O)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다수로 구비되고,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O)에 의하여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적어도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 접하는 접촉부가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기(O)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O)가 삽입된다.
상기 지지대의 양측면 상에는 각각 높이방향 상으로 유동되는 승하강 수단(UP)이 구비되며,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상기 제1 회전부(1113)와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상기 제2 회전부(2113)의 상면부 제1 수평영역 상에는 상기 지지대를 향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 유동 가능한 고정수단(HM)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HM)은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1 안착부(1111 및 상기 제2 안착부(2111) 상에 안착된 된상태에서,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의 상방 노출면인 제2 수평영역 적어도 일부 가압하도 록 유동되며,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수평영역 상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수단(HM)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하방으로 가압되도 록 한다.
상기 고정수단(HM)은 상기 제2 수평영역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빗변이 상기 지지대 반대편을 향하도 록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직삼각형상체이며,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바) 또는 플레이트 형상체로서, 챔퍼가 형성된 하단부로 둘레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고정수단(HM)의 상방을 가압하되,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하단부가 상기 고정수단(HM)의 빗변 적어도 일부와 형합하도 록 접촉하여 가압한다.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제1 범퍼모듈(110)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2 범퍼모듈(2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범퍼모듈(200)은,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3 안착부(3111)와, 상기 제3 안착부(3111)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3 회전부(3113)가 구비되는 제2-1 범퍼모듈(3110)과,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4 안착부(4111)와, 상기 제4 안착부(4111)를 수평방향 상에서 일정영역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4 회전부(4113)가 구비되는 제2-2 범퍼모듈(4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안착부(3111)는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4 안착부(4111)는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3 안착부(3111)와 상기 제4 안착부(4111)는 적어도 경사면 일부가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기 제3 회전부(3113) 및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하방에는 상방과 하방간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펌핑모듈(PM)이 구비되며, 상기 펌핑모듈(PM)은, 하판부(BL)와, 상기 제3 안착부(3111),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기 제3 회전부(3113) 및 상기 제4 회전부(4113)가 거치되며, 상기 하판부(BL)로부터 탄성수단 및 폄핑수단을 매개로 상방과 하방 간에 유동 가능한 상판부(UL)를 포함한다. 상기 펌핑수단은 유체의 내장 및 토출을 위하여 유체가 내장되는 내장체(I)와, 외부 가압힘 또는 진동에 기반하여 상기 내장체(I) 상에서 일정하게 유동되어, 상기 내장체(I)의 상기 유체가 분사되도 록 하기 위한 가압체(P)가 구비된다. 상기 상판부(UL)와 상기 하판부(BL)는 상호간에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키도 록 각각 자성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내장체(I)는 수평방향 단부 상으로 분사노즐(N)이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UL)와 상기 하판부(BL)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유체를 분사하되, 상기 유체는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및 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인 열가소성 수지이거나, 유색을 띠는 기체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는, 외부 하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매개로 상기 제1 범퍼모듈(110) 상에 1차 안착되되, 상기 제1 회전부(1113) 및 상기 제2 회전부(2113)의 선택적인 회전동작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지지대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2 범퍼모듈(200) 상에 2차 안착되거나, 기 설정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강제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제2 범퍼모듈(200) 상에 2차 안착된다.
도 23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범퍼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3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제1 범퍼모듈(110)과 상기 제2 범퍼모듈 사이에 구비되는 서브 범퍼모듈(3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서브 범퍼모듈(300)은,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1 서브 안착부(1111)S)와,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 서브 가압부(1112S)와,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와 상기 제1 서브 가압부(1112S)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서브 회전부(1113S)가 구비되는 제1 서브 범퍼모듈(3110)과,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2 서브 안착부(2111S)와,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 서브 가압부(2112S)와,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와 상기 제2 서브 가압부(2112S)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서브 회전부(2113S가 구비되는 제2 서브 범퍼모듈(4110)을 개시한다.
상기 제1 서브 가압부(1112S)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1 서브안착부(1111)S)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1 서브 가압부(1112S)의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 대향면 상에는 제1-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1S)와, 제1-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2S)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서브 가압부(2112S)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2 가압부(2112)의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 대향면 상에는 제2-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1S)와, 제2-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2S)가 구비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1S)의 제1-1 서브 정보값 및 상기 제1-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2S)의 제1-2 서브 정보값을, 상기 제2-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1S)의 제2-1 서브 정보값과 상기 제2-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2S)의 제2-2 서브 정보값과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또한,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1S)의 제1-1 서브 정보값과 상기 제1-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2S)의 제1-2 서브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2-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1S)의 제2-1 서브 정보값과상기 제2-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2S)의 제2-2 서브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는, 상기 제2서브 안착부(2111S)를 향하는 대각선 상방 측면부에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챔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는,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를 향하는 대각선 상방 측면부에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챔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L)(즉, (L’)과 동일)는, 외부 하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매개로 상기 제1 범퍼모듈(110)을 경유하여, 상기 제1 서브 범퍼모듈(3110)상에 안착되되, 상기 제1 서브 회전부(1113S) 및 상기 제2 서브 회전부(2113S의 선택적인 회전동작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지지부(L)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1 서브 범퍼모듈(3110) 상에 안착되거나,
기설정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강제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제1 서브 범퍼모듈(3110) 상에 안착된다.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에는 각각 다수의 완충구(EC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범퍼모듈(100을 경유하는 상기 지지부(L)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과 접하며, 상기 완충구(EC)는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의 표면을 덮는 커버형 구조물로서 상호 이웃하여 복수로 배치된다. 상기 완충구(EC)는 내부에 유체 저장을 위한 포켓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에서 내부로부터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 록 구비되며, 상기 완충구(EC)는 내부에 유체 저장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에서 내부로부터 외부로 출몰가능하도 록 구비된다. 외측 대각선 하부면이 챔퍼가 형성되며 상기 제3 회전부(3113)의 외곽을 가압하여 상기 제3 회전부(3113)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1 외곽 가압부(5100)와, 상기 제1 외곽 가압부(5100)에 상방 대각선 방향으로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5200)와, 상기 제1 구동부(5200)의 하방을 지지하는 제1 상단 패널부(5300)와, 상기 제1 상단 패널부(5300)의 하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1 하단 패널부(5400)와, 상기 제1 상단 패널부(5300)와 상기 제1 하단 패널부(5400)사이에 구비되며 내부에 시각적 식별 및 후각적 식별을 위한 기체가 내장되는 제1 캡슐층이 다수 구비되어, 일정 수치의 가압힘이 가해지면 상기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도 록 구비되는 제1 캡슐패널(CP1)이 구비되는 제1 외곽 가압모듈(500)과, 상기 제1 외곽 가압모듈(500)의 외측에서 상방과 하방간에 일정 높이로 유동되어, 상기 제1 캡슐층의 기체를 외부로 가속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제1 배출수단(BM1)이 내장 되는 제1 배출모듈(550)과, 외측 대각선 하부면이 챔퍼가 형성되며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외곽을 가압하여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2 외곽가압부(6100)와, 상기 제2 외곽 가압부(6100)에 상방 대각선 방향으로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6200)와, 상기 제2 구동부(6200)의 하방을 지지하는 제2 상단패널부(6300)와, 상기 제2 상단 패널부(6300)의 하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 하단 패널부(6400)와, 상기 제2 상단 패널부(6300)와, 상기 제2 하단 패널부(6400) 사이에 구비되며 내부에 시각적 식별 및 후각적 식별을 위한 기체가 내장되는 제2 캡슐층이 다수 구비되어, 일정 수치의 가압힘이 가해지면 상기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도 록 구비되도 록 하는 제2 캡슐패널(CP2)가 구비되는 제2 외곽 가압모듈(600)과, 상기 제2 외곽 가압모듈(600)의 외측에서 상방과 하방간에 일정 높이로유동되어, 상기 제2 캡슐층의 기체를 외부로 가속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제2 배출수단(BM2)이 내장되는 제2 배출모듈(650)을 개시한다.
상기 제1 캡슐패널(CP1)은 제1-1 캡슐패널(CP11)과, 상기 제1-1 캡슐패널(CP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2 캡슐패널(CP12)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캡슐패널(CP2)은 제2-1 캡슐패널(CP21)과, 상기 제2-1 캡슐패널(CP2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2 캡슐패널(CP2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모듈(550)의 상기 제1 배출수단(BM1)은 제1 배출수단(BM11)과, 상기 제1 배출수단(BM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2 배출수단(BM12)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배출모듈(650)의 상기 제2 배출수단(BM2)은 제2-1 배출모듈(BM21)과, 상기 제2-1 배출모듈(BM2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2 배출모듈(BM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모듈(550)은 상기 기체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제1 배출수단(BM11) 및 상기 제1-2 배출수단(BM12)이 상기 제1-1 캡슐패널(CP11) 및 상기 제1-2 캡슐패널(CP12)에 대응하도 록 유동되며, 상기 제2 배출모듈(650)은 상기 기체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제2-1 배출모듈(BM21) 및 상기 제2-2 배출모듈(BM22)은 상기 제2-1 캡슐패널(CP21) 및 상기 제2-2 캡슐패널(CP22)에 대응하도 록 유동된다.
상기 지지부는 길이방향 적어도 일부를 따라 다수의 결속모듈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결속모듈은 제1 결속모듈(71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결속모듈(710)은, 상기 지지부들 중 제1 지지부(L1)에 결속되는 한 쌍의 외장부(711)와, 상기 각 외장부(711) 내부에 연동되도록 구비되는 내장부(712)와, 상기 외장부(711)에 연동되어 상기 내장부(712) 상에서 진퇴유동방식으로 상기 제1 지지부(L1)를 가압시키는 가압유닛(713)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지지부(L1)는 상기 가압유닛(713)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 상에 상기 가압유닛(713)과 대응하는 소정의 삽입홈이 구비된다. 상기 가압유닛(713)은 최상단에 구비되는 제1 가압유닛(713a)과, 최하단에 구비되는 제2 가압유닛(713c)과, 중단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 제3 가압유닛(713b)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지지부(L1)의 상기 삽임홈에 각각 선택적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내장부(712)는 인접하는 상기 제1 지지부(L1)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접착물질(OM)이 충진된다.
상기 내장부(712)의 상방에는 상기 내장부(712)를 가열하여 상기 접착물질(OM)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히팅부(HT1)이 구비되고, 상기 내장부(712)의 하방에는 상기 내장부(712)를 냉각하여 상기 접착물질(OM)을 비활성화 시키기 위한 냉각부(BL1)이 구비된다. 내부에 접착물질(OM)은 상기 외장부(711)와 상기 내장부(712) 간에 구비되는 공급관(SP)을 통해 상기 내장부(712) 상에 공급되되, 상기 제1 가압유닛(713a) 내지 상기 제3 가압유닛(713b)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공급되어 상기 외장부(711), 상기 내장부(712), 상기 가압유닛(713) 및 상기 제1 지지부(L1)를 상호 결속시킨다. 상기 제1 지지부(L1)의 외주면 상에는 식별수단(MM1)이 구비되며, 상기 내장부(712)의 상방에는 상기 식별수단(MM1)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수단(SM1)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유닛(713)은 상기 인식수단(SM1)이 상기 식별수단(MM1)을 인식에 기반하여 상기 삽입홈을 향해 진퇴유동되며, 상기 인식수단(SM1)과 상기 히팅부(HT1)은 상호 인접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인식수단(SM1)과 상기 히팅부(HT1) 사이에는 단열수단(CM1)이 구비된다.
상기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710)과 상응하는 제2 결속모듈(7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결속모듈(720)은 상기 제1 결속모듈(710)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1 체결수단(810)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1 체결수단(810)은 핸들부(811)와, 상기 핸들부(811)로부터 바(bar)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결속모듈(710) 내부로 삽입되는 제1 삽입체(812)와, 상기 핸들부(811)로부터 바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결속모듈(720) 내부로 삽입되는 제2 삽입체(813)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지지부(L1)는 상기 제1 삽입체(812)와 상기 제2 삽입체(813)에 각각 대응하는 제2 삽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삽입체(812) 및 상기 제2 삽입체(813)은 상기 제2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핸들부(811)에는 상기 제1 삽입체(812)와 연동되는 제1 조임부(813)와 상기 제2 삽입체(813)과 연동되는 제2 조임부(814)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조임부(813)와 상기 제2 조임부(814)의 조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삽입체(812)와 상기 제2 삽입체(813)은 상기 핸들부(811)을 상기 제1 지지부(L1)측으로 가압한다.
상기 결속모듈은 기 제1 결속모듈(710)과 상응하는 제3 결속모듈(730) 및 제4 결속모듈(740)을 포함하며, 기 제3 결속모듈(730)은 상기 제2 결속모듈(720)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2 체결수단(820)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4 결속모듈(740)은 상기 제3 결속모듈(730)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3 체결수단(830)을 통해 결속된다. 상기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710)과 대응하며, 상기 지지부들 중 상기 제2 지지부(L2)와 이웃하는 제2 지지부(L2) 상에 구비되는 제5 결속모듈(750)과, 상기 제2 결속모듈(720)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부(L2) 상에 구비되는 제6 결속모듈(760)과, 상기 제3 결속모듈(730)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부(L2) 상에 구비되는 제7 결속모듈(770)과, 상기 제4 결속모듈(740)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부(L2) 상에 구비되는 제8 결속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5 결속모듈(750)과 상기 제6 결속모듈(760)은 제4 체결수단(840)을 통해 결속되고, 상기 제6 결속모듈(760)과 상기 제7 결속모듈(770)은 제5 체결수단(850)을 통해 결속되고, 상기 제7 결속모듈(770)과 상기 제8 결속모듈은 제6 체결수단(860)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2 체결수단(820) 내지 상기 제6 체결수단(860)은 상기 제1 체결수단(810)과 상응하는 것이다.
상기 제1 결속모듈(710) 내지 상기 제6 결속모듈(760)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모듈(900)이 구비되며, 상기 연동모듈(900)은 제1 실린더부(911)와, 상기 제1 실린더부(911)의 양측에서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1 체결수단(810)과 상기 제4 체결수단(840) 각각에 결속되는 제1-1 피스톤부(912) 및 제1-2 피스톤부(913)를 포함하는 제1 연동부(910)와, 제2 실린더부(921)와, 상기 제2 실린더부(921)의 양측에서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2 체결수단(820)과 상기 제5 체결수단(850) 각각에 결속되는 제2-1 피스톤부(922)와 제2-2 피스톤부(923)를 포함하는 제2 연동부(920)와, 제3 실린더부(931)와, 상기 제3 실린더부(931)의 양측에서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3 체결수단(830)과 상기 제6 체결수단(860) 각각에 결속되는 제3-1 피스톤부(932)와 제3-2 피스톤부(933)를 포함하는 제3 연동부(93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실린더부(911) 및 상기 제3 실린더부(931)는 둘레반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 실린더부(921)의 둘레부에 제2 감지센서(S2)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실린더부(911)의 둘레부 제1 영역에는 제1-1 감지센서(S11)가 구비되며, 제2 영역에는 제1-2 감지센서(S12)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실린더부(931)의 둘레부 제1 영역에는 제3-1 감지센서(S31)가 구비되며, 제2 영역에는 제3-2 감지센서(S32)가 구비되고, 상기 제1-1 감지센서(S11)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와 대응하여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2 감지센서(S12)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보다 작은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3-1 감지센서(S31)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와 대응하여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3-2 감지센서(S32)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보다 작은 면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1 감지센서(S11), 상기 제3-1 감지센서(S31) 및 상기 제2 감지센서(S2)는 상호 간에 위치 이탈 정도를 제1 스케일로 감지하며, 상기 제1 실린더부(911)와 상기 제2 실린더부(921)의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제1-2 감지센서(S12)와 상기 제3-2 감지센서(S32)가 상기 제2 감지센서(S2)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면, 상기 제1-2 감지센서(S12), 상기 제3-2 감지센서(S32) 및 상기 제2 감지센서(S2)는 상호 간에 초기 위치 이탈 정도를 제2 스케일로 감지한다.
상기 제1-1 피스톤부(912)와 상기 제2-1 피스톤부(922)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4 연동부(940)가 구비되며, 상기 제2-1 피스톤부(922)와 상기 제3-1 피스톤부(932)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5 연동부(950)가 구비되며, 상기 제1-2 피스톤부(913)와 상기 제2-2 피스톤부(923)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6 연동부(960)가 구비되며, 상기 제2-2 피스톤부(923)와 상기 제3-2 피스톤부(933)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7 연동부(970)가 구비되며, 상기 제4 연동부(940)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1 유동수단(940)이 구비된다. 상기 제5 연동부(950)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2 유동수단(950)이 구비되며, 상기 제6 연동부(960)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3 유동수단(960)이 구비되며, 상기 제7 연동부(970)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4 유동수단(970)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은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을 향하는 일측에 제4-1 감지센서(S4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4-1 감지센서(S41) 보다 큰 제4-2 감지센서(S42)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유동수단(950)은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을 향하는 일측에 제5-1 감지센서(S5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5-1 감지센서(S51) 보다 큰 제5-2 감지센서(S52)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은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을 향하는 일측에 제6-1 감지센서(S6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6-1 감지센서(S61) 보다 큰 제6-2 감지센서(S62)가 구비되며,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은 상기 제2 유동수단(950)을 향하는 일측에 제7-1 감지센서(S7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7-1 감지센서(S71) 보다 큰 제7-2 감지센서(S72)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유동수단(940) 내지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의 둘레방향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제4-1 감지센서(S41)는 상기 제6-2 감지센서(S62)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5-1 감지센서(S51)는 상기 제7-2 감지센서(S72)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4-2 감지센서(S42)는 상기 제6-1 감지센서(S61)과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5-1 감지센서(S52)는 상기 제7-1 유동수단(S71)과 대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은 상기 제4-1 감지센서(S4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4-2 감지센서(S42)를 이용하여,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의 상기 제6-1 감지센서(S61) 또는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6-2 감지센서(S6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하며, 상기 제2 유동수단(950)은 상기 제5-1 감지센서(S5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유동수단(95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5-1 감지센서(S52)를 이용하여,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의 상기 제6-1 감지센서(S61) 또는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6-2 감지센서(S6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한다.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은 상기 제6-1 감지센서(S6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6-2 감지센서(S62)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의 상기 제4-1 감지센서(S41) 또는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4-2 감지센서(S4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하며,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은 상기 제7-1 감지센서(S7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7-2 감지센서(S72)를 이용하여, 상기 제5 유동수단의 상기 제5-1 감지센서(S51) 또는 상기 제5 유동수단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5-1 감지센서(S5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30‘ : 제1지그 40‘ : 제2지그
60‘ : 제3지그 80‘ : 제4지그
100‘ : 모듈러 유닛

Claims (12)

  1. 기둥의 일단에 상부 측 코너 블록을 용접하여 단일 기둥부재를 제작하는 제1지그와, 상기 제1지그에서 제작된 단일 기둥부재를 서로 마주하여 나란히 배치하고 이 단일 기둥부재에 상부수평보부재와 하부수평보부재를 각각 용접하여 세트 기둥부재를 제작하는 제2지그와,
    동일한 형태의 바닥보부재 또는 천장보부재를 각각 용접하여 제작하는 제3지그와,
    상기 제2지그 및 제3지그에서 제작된 세트 기둥부재와 바닥보부재 및 천장보부재를 용접하여 모듈러 유닛을 제작하는 제4지그로 이루어지되,
    상기 모듈러 유닛의 적어도 일부는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통해 표면처리 가공되며,
    상기 표면처리 가공수단은,
    상기 모듈러 유닛의 구성들 중 컨베이어 상에서 이송되는 적어도 상기 기둥, 상기 단일 기둥부재, 상기 제1 지그, 상기 제2 지그, 상기 제4 지그 중 어느 하나인 피코팅물의 일정높이에 고정된 고정부에 축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에 배치되는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센터 샤프트; 상기 센터 샤프트의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된 상방 수평보; 상기 상방 수평보의 양측에 교차하게 수직으로 배치된 사이드 수직바; 상기 상방 수평보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가 수직으로 미끄럼 결합되며, 상기 상방 수평보에 고정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고정수단을 구비한 이동블럭; 상기 상방 수평보의 양측하부에서 상기 사이드 수직바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에 고정되기 위한 제2 고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컨베이어는 저면부를 향하는 다수의 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는 길이방향 적어도 일부를 따라 다수의 결속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결속모듈은 제1 결속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결속모듈은,
    상기 지지부들 중 제1 지지부에 결속되는 한 쌍의 외장부와,
    상기 각 외장부 내부에 연동되도록 구비되는 내장부와,
    상기 외장부에 연동되어 상기 내장부 상에서 진퇴유동방식으로 상기 제1 지지부를 가압시키는 가압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가압유닛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 상에 상기 가압유닛과 대응하는 소정의 삽입홈이 구비되는 모듈러 주택의 조립용 지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059634A 2018-05-25 2018-05-25 모듈러 주택의 조립용 지그 KR101928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634A KR101928702B1 (ko) 2018-05-25 2018-05-25 모듈러 주택의 조립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634A KR101928702B1 (ko) 2018-05-25 2018-05-25 모듈러 주택의 조립용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8702B1 true KR101928702B1 (ko) 2018-12-12

Family

ID=64669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634A KR101928702B1 (ko) 2018-05-25 2018-05-25 모듈러 주택의 조립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870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08493A (zh) * 2020-04-02 2020-07-14 宁波大学 一种可多角度调节的自动化喷漆设备
KR20220060882A (ko) 2020-11-05 2022-05-12 (주)유창 모듈러의 면 구조체 조립용 지그
CN115263020A (zh) * 2022-07-11 2022-11-01 天长市大成建筑有限公司 一种具有防滑功能的建筑钢构件
KR20230163052A (ko) 2022-05-23 2023-11-30 강형석 모듈러 주택용 조립 프레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639B1 (ko) * 2006-11-30 2007-10-23 (주)혜창 미세한 코팅막을 균일하게 성형하기 위한 스프레이 장치
KR101628092B1 (ko) * 2015-02-13 2016-06-08 (주)유창 주택 모듈러 유닛의 조립용 지그
KR101854577B1 (ko) * 2017-11-20 2018-05-03 최건희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시공시스템을 이용한 보수 보강 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639B1 (ko) * 2006-11-30 2007-10-23 (주)혜창 미세한 코팅막을 균일하게 성형하기 위한 스프레이 장치
KR101628092B1 (ko) * 2015-02-13 2016-06-08 (주)유창 주택 모듈러 유닛의 조립용 지그
KR101854577B1 (ko) * 2017-11-20 2018-05-03 최건희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시공시스템을 이용한 보수 보강 공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08493A (zh) * 2020-04-02 2020-07-14 宁波大学 一种可多角度调节的自动化喷漆设备
CN111408493B (zh) * 2020-04-02 2021-08-06 宁波大学 一种可多角度调节的自动化喷漆设备
KR20220060882A (ko) 2020-11-05 2022-05-12 (주)유창 모듈러의 면 구조체 조립용 지그
KR20230163052A (ko) 2022-05-23 2023-11-30 강형석 모듈러 주택용 조립 프레임
CN115263020A (zh) * 2022-07-11 2022-11-01 天长市大成建筑有限公司 一种具有防滑功能的建筑钢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8702B1 (ko) 모듈러 주택의 조립용 지그
KR101966777B1 (ko)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WO2021003689A1 (zh) 一种边坡原位加载装置
KR101945195B1 (ko)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보수공법
KR20170000278A (ko) 배관일체형 모듈 및 배관일체형 모듈의 설치방법
JP2012517361A (ja) モジュラー建築構造装置
CN111075019A (zh) 一种装配式钢结构集成绿色建筑及其设计安装工艺
KR101908292B1 (ko) 건물 내진 보강 공법
KR101628092B1 (ko) 주택 모듈러 유닛의 조립용 지그
KR101933871B1 (ko) 아파트 벽체의 내진 성능 개선 방법
CN112548957A (zh) 一种火箭发动机装配用移动支撑装置
KR101931910B1 (ko) 전시용 패널 조립체
JP2007120100A (ja) ユニットハウス組立構造とこれに使用するアンカーボルト誤差調整金具およびアンカーボルト誤差調整金具を使用したユニットハウス組立構造の設置方法
KR101915934B1 (ko) 공기단축이 가능한 pc-sf공법
KR101915935B1 (ko) 공기단축 시공 공법
JP5286026B2 (ja) 離型剤スプレー装置
KR101826190B1 (ko) 길이 조절 수단이 구비된 보강 프레임 및 그 시공 방법
KR101915936B1 (ko) 공기단축공법
KR101181493B1 (ko) 개선된 시스템 서포터
JP4220120B2 (ja) 水圧制御ユニットおよびその据付け方法
KR101908895B1 (ko) 아파트 천장슬라브 시공방법
KR20160078094A (ko) 모듈러 유닛용 슬래브를 이용한 모듈러 건축물의 시공방법
JP6946079B2 (ja) 位置決め部材
JP2010216196A (ja) 布基礎のアンカーボルト設置方法およびアンカーボルト・治具セット
JP6467202B2 (ja) 鉄塔の主柱材取替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