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493B1 - 개선된 시스템 서포터 - Google Patents

개선된 시스템 서포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493B1
KR101181493B1 KR1020100023000A KR20100023000A KR101181493B1 KR 101181493 B1 KR101181493 B1 KR 101181493B1 KR 1020100023000 A KR1020100023000 A KR 1020100023000A KR 20100023000 A KR20100023000 A KR 20100023000A KR 101181493 B1 KR101181493 B1 KR 101181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vertical member
slab
formwork
suppo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3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3773A (ko
Inventor
김준배
Original Assignee
신성스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스틸(주) filed Critical 신성스틸(주)
Priority to KR1020100023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493B1/ko
Publication of KR20110103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a threaded nu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6Members, e.g. consoles, for attachment to the wall to support girders, beams, or the like carrying forms or moulds for floors, lintels, or trans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재래식 서포터를 간단히 개선한 시스템 서포터로서, 거푸집의 설치높이에 따라 간편하게 시스템 서포터의 높이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슬라브 거푸집의 드롭다운 해체가 가능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서포터는, 상단부에 높이조절구(113)를 구비한 중공의 하부 수직재(110)와, 상기 하부 수직재(10)의 상단부 중공 내부에 일단이 삽입되고 핀삽입공(123)이 형성되어 상기 높이 조절구에 의해 승하강하면서 멍에를 받치는 상부 수직재(120)로 구성되는 다수의 서포터(100)들과; 인접한 두 서포터들을 서로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재(130)로 이루어지는 시스템 서포터에 있어서, 상기 수평재(130)와 연결하기 위해, 연결판(115)을 상기 하부 수직재(110)의 몸체(111)에 끼워 일체로 용접하여 구성하고, 평상시에는 하부 수직재(110)의 받침판으로서 기능하면서도 연장 수직재가 끼워지는 경우에는 연결판으로서 기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연결판(115)의 하부면이 상기 하부 수직재(110)의 몸체(111) 하부단면과 일치되도록 상기 하부 수직재(110)의 몸체(111) 하단부에 일체로 용접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선된 시스템 서포터{IMPROVED SUPPORT SYSTEM}
본 발명은 슬라브 거푸집 및 보 거푸집을 지지하는 재래식 서포터를 개선한 시스템 서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가로연결 수평재들로써 인접한 수직재들을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구성되며, 슬라브 거푸집의 설치높이 따라 자유롭게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시스템 서포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슬라브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수의 서포트로 지지되는 거푸집을 설치하여 그 상부에 슬라브용 철근을 조립하고, 상기 거푸집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라브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브의 형성을 위해서는 거푸집 및 그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견디도록 다수의 서포트가 설치되며, 범용적으로 쓰이고 있는 서포트는, 지면에 밀착되는 바닥판(11b)을 구비한 중공 파이프 형상의 하부 수직재(10)와, 이 하부 수직재의 상단부의 중공 내부로 출몰되면서 길이가 조절되는 상부 수직재(12)로 구성되어, 상부 수직재(12)의 상단부가 거푸집을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수직재는 거의 대부분 1,700~2,100mm의 길이이며, 상부 수직재는 시공될 층고에 따라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2,000mm 내외의 길이가 주로 사용되며, 경우에 따라 4,000~5,000mm의 상부 수직재가 사용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서포터들(이하 ‘재래식 서포터’라 한다)은, 보 거푸집을 지지하는 용도 또는 슬라브 거푸집을 지지하는 용도에 따라, 소정의 위치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데, 종래의 재래식 서포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밀착되는 바닥판(11b)을 구비한 중공 파이프 형상의 하부 수직재(11)와, 이 하부 수직재(11)의 중공 내부로 하부가 삽입되고 상부는 거푸집을 지지하는 상부 수직재(12)로 구성된다. 상부 수직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핀삽입공(12a)이 다수 형성되어, 체결 핀(미도시)에 의해 하부 수직재(11)의 높이조절구에 얹혀 하부 수직재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구조의 재래식 서포터는, 하부 수직재(11)에 구비된 높이조절구(13)를 회전시켜 상부 수직재(12)를 하부 수직재(11)의 상단부 중공 내부에서 출몰되게 하면서 길이를 조절하여, 상부 수직재의 상단부에 구비된 지지판(12b)이 멍에를 견고히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런 구조의 재래식 서포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수직재(12)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에는 좌굴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바닥면에서부터 거푸집까지의 설치 높이가 4m를 초과하는 현장에서는 상기한 재래식 서포터를 사용할 수 없도록 건설안전관리규정에서 규제하고 있다. 도 2에서 도면부호 3은 슬라브 멍에를 도시한 것이며, 도면부호 4는 보 멍에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거푸집의 설치높이가 3.5m를 넘는 경우에는 설치된 서포트들을 수평방향으로 상호 연결하거나, 경사방향으로 상호 지지하게 하는 연결대를 설치하여 보강한 서포터 조립체(이하 ’시스템 서포터’라 한다)로 구성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특허등록 제842112호(이하 ‘종래기술1’이라 한다) 및 특허등록 제842111호(이하 ‘종래기술2’라 한다)에도, 수직재의 좌굴이나 흔들림을 방지하고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복수의 수직재들을 연결한 후, 수평 연결부재로써 가로방향으로 상호 연결시킨 시스템 서포터의 구조에 관한 기술내용이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1 및 종래기술2 등에 개시되어 있는 시스템 서포터는 구입비용이 매우 비쌀 뿐만 아니라, 조립과 해체가 복잡하여 사용이 불편하여 잘 이용되지 않고 있다. 특히, 종래기술1 및 종래기술2에 개시된 시스템 서포터는 하부 잭베이스와 상부의 잭헤드에 의해 수직방향의 미세한 높이조절(예를 들어, 범용의 잭 베이스 및 잭헤드가 갖는 높이조절 한계는 각각 약 0~250mm의 범위이다)만 가능할 뿐, 500~2,000mm 정도의 층고 변화에는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없어, 층고 변화에 따른 서포터의 자유로운 길이조절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더 나아가, 상기한 재래식 서포터는 현재까지 건설현장에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으므로, 기능적으로 미흡한 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건설업체들은 엄청난 교체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운 현실적 문제 때문에, 성능이 우수한 시스템 서포터로 교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기존 종래기술의 시스템 서포터에 대한 개선과 함께 기존 재래식 서포터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시스템 서포터가 요구되고 있다.
KR 0842111 B1 KR 0842112 B1 KR 0638861 B1 KR 0378383 Y1 JP 2001-055830 A
없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기존 재래식 서포터를 간단히 개선함으로써 시스템 서포터로 기능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시스템 서포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서포터의 수직재와 가로연결 수평재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특히 거푸집의 설치높이에 따라 간편하게 시스템 서포터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 서포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서포터는 슬라브 거푸집의 드롭다운 해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서포터는,
상단부에 높이조절구(113)를 구비한 중공의 하부 수직재(110)와, 상기 하부 수직재(10)의 상단부 중공 내부에 일단이 삽입되고 핀삽입공(123)이 형성되어 상기 높이 조절구에 의해 승하강하면서 멍에를 받치는 상부 수직재(120)로 구성되는 다수의 서포터(100)들과; 몸체(131)와 상기 몸체의 양단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2)로 구성되어, 인접한 두 서포터들을 서로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재(130)로 이루어지는 시스템 서포터에 있어서,
상기 수평재(130)와 연결하기 위해, 연결판(115)을 상기 하부 수직재(110)의 몸체(111)에 끼워 일체로 용접하여 구성하고, 또한, 평상시에는 하부 수직재(110)의 받침판으로서 기능하면서도 연장 수직재가 끼워지는 경우에는 연결판으로서 기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연결판(115)의 하부면이 상기 하부 수직재(110)의 몸체(111) 하부단면과 일치되도록 상기 하부 수직재(110)의 몸체(111) 하단부에 일체로 용접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부 수직재(110)의 하단부 중공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 수직재(110)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연장수직재(1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스템 서포터를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서포터는 슬라브 거푸집의 드롭다운 해체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부 수직재의 상단부에 슬라브 멍에를 지지하는 멍에지지부재(160)를 높이조절 및 하강이 가능하게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외에도,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들이 하기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상세히 제시될 것이다.
이러한 구성상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서포터는
첫째, 많은 건설업체들이 널리 보유하고 있는 범용 재래식 서포터를 간단한 보완하는 것만으로도 높은 층고를 갖는 슬라브거푸집 지지용 시스템 서포터로 개량할 수 있으므로, 실용성과 경제성이 월등할 뿐만 아니라, 서포터의 수직재와 가로연결 수평재의 결합이 매우 간편하고 용이하여 시공작업이 간편하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서포터는 기존의 시스템 서포터의 한계, 즉 높이 조절이 자유롭지 못했던 문제를, 기존의 재래식 서포터의 높이조절방식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장 수직재를 간편하게 추가함으로써 시스템 서포터의 높이조절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작업효율이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서포터는 슬라브 거푸집의 드롭다운 해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그 활용범위가 매우 광범위하여, 건설산업분야에 특히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재래식 서포터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의한 재래식 서포터를 이용한 슬라브 거푸집의 지지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서포터의 수직재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서포터의 높이조절 기능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상부 수직재(120)와 멍에지지부재(160)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구성 설명도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시스템 서포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시스템 서포터에 의한 드롭다운 기능을 이용하여 슬라브 거푸집을 해체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서포터에 의해 지지되던 슬라브 거푸집이 해체된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서포터의 수직재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서포터의 높이조절 기능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 서포터에 적용되는 서포터(100)는, 상단부에는 높이조절구(113)를 구비한 중공의 하부 수직재(110)와, 상기 하부 수직재(110)의 상단부 삽입구(112)로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높이조절구(113)에 의해 승하강하는 상부 수직재(120)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의 재래식 서포터의 구성과 동일하다. 즉, 본 발명은 종래의 재래식 서포터 구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시스템 서포터로서 기능하도록 하는 것에 발명의 특징이 있으므로, 종래 재래식 서포터의 구성을 최대한 활용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하부 수직재(110)의 몸체(111)에는 소정 간격으로 연결판(115)이 일체로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이 연결판(115)은 수평재(130)의 끝단과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상기 하부 수직재(110) 몸체(111)가 끼워지는 수용홈(115a)과 상기 수용홈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115b)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평재(130)는 수직한 서포터들을 가로방향(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서, 긴 몸체(131)와 상기 몸체의 양단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2)로 구성되는데, 상기 고정부재(132)에는 연결판(115)이 끼워질 수 있는 수평방향으로 절개된 슬롯이 형성된다. 이 슬롯 속으로 상기 연결판이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핀(133)이 상기 수평재(130)의 고정부재(132)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판(115)의 체결공(115b)을 관통하여 끼워짐으로써 상기 하부 수직재(110)와 수평재(130)는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하부 수직재(110)의 몸체(111)에는 하나 이상의 연결판(115)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여러 개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서포터는, 수평재(130)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판(115)을 상기 하부 수직재(110)의 몸체(111)에 끼워 일체로 용접하여 구성하는 한편, 특히, 평상시에는 하부 수직재(110)의 받침판으로서 기능하면서도 후술하게 될 ‘연장 수직재(150)’가 끼워질 경우에 수평재 결합용 연결판으로서 기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연결판(115)의 하부면이 상기 하부 수직재(110)의 몸체(111) 하부단면과 일치되도록 상기 하부 수직재(110)의 몸체(111) 하단부에 일체로 용접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재래식 서포터는 하부 수직재의 하단면이 받침판에 의해 밀폐되는 구성인 반면, 본 발명에 의한 하부 수직재(110)는, 기존의 받침판 대신에, 수용홈(115a)과 다수의 체결공(115b)을 구비한 연결판(115)이 상기 하부 수직재(110)의 몸체(111) 하단부에 끼워져 일체로 용접되어 구성됨으로써, 하부 수직재(110)의 몸체 하단부에 삽입구(114)가 몸체의 중공 내부와 연통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 수직재(110)의 하단부가 몸체의 중공 내부와 연통되도록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하부 수직재의 하단부에 결합된 연결판(115)은 받침판으로서 기능을 가지면서, 후술하게 될 ‘연장 수직재(150)’가 끼워질 삽입구를 확보할 수 있어, 수직재의 전체 길이를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서포터(100)는, 널리 보급되어있는 재래식 서포터를 간단한 보완하여 적용할 수 있어 실용성과 경제성이 월등할 뿐만 아니라, 기존 시스템 서포터의 높이조절 한계를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서포터는, 기존 재래식 서포터와 같이, 높이조절구(113) 회전을 통한 상부 수직재(120)의 미세한 높낮이 조절기능과, 상부 수직재(120)의 핀삽입공(123) 선택을 통한 높낮이 조절기능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1,500mm 이하의 높낮이 조절이 매우 자유롭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재래식 서포터의 높낮이 조절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재래식 서포터의 높낮이 조절기능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2,000~4,000mm의 큰 높이조절을 위해 ‘연장 수직재(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연장 수직재(150)는, 상기 하부 수직재(110)의 하단부 삽입구(114)로 삽입되어 상기 하부 수직재(110)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하부 수직재(110)와 동일한 직경의 중공 몸체(151)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수직재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끼움부(152)가 상단부에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판(115)의 하부면이 상기 연장 수직재(150)의 몸체(151) 하부 단면과 일치되도록 하여 상기 연장 수직재(150)의 몸체(151) 하단부에 끼워져 일체로 용접되어 구성됨으로써, 또 하나의 연장 수직재가 더 추가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시스템 서포터는 종래 재래식 서포터의 높이조절 기능을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연결판(115)과 수평재(130)에 의한 시스템 서포터를 가능하게 하고, 더 나아가 하부 수직재의 하단에 구비된 연결판(115)과 연장 수직재(150)의 구성요소에 의해 큰 폭의 길이조절까지도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의 시스템 서포터는 슬라브 거푸집을 효율적으로 해체하기 위한 드롭다운(drop down) 기능을 갖는 것을 부수적 특징으로 한다.
도 5에는 슬라브 거푸집 드롭다운을 가능하도록 상부 수직재(120)에 구비된 멍에지지부재(160)의 구성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슬라브 거푸집을 드롭다운(drop down)하기 위해서는, 슬라브 멍에(320)와 슬라브패널(311)은 해체할 수 있게 허용하면서도, 슬라브패널(311) 사이에 배열된 보조패널(312)은 시스템 서포터로써 계속 지지하는 구조가 되어야 한다. 물론, 드롭다운 기능이 없는 시스템 서포터와, 종래 재래식 서포터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시스템 서포터는 콘크리트 타설 후에 슬라브패널 해체와 함께 제거하되, 재래식 서포터는 보조패널(312)를 지지하게 하여 슬라브패널 해체 이후에도 계속 보조패널(312)을 지지하게 할 수도 있으나, 서포터의 수량이 그만큼 더 많아지게 되어 건설자재 사용량이 늘어날 뿐만 아니라, 설치해야 할 서포터 수량이 많아지는 만큼 작업량과 작업 소요시간이 늘어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에서는 시스템 서포터를 구성하는 다수 개의 서포터들 중에서 보조패널(312)을 지지하는 서포터의 상부 수직재(120)에, 슬라브 멍에(320)를 지지하는 멍에지지부재(160)를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멍에지지부재(160)는,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장공(161a)을 가지는 중공의 몸체(161)와,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 수직재(120)가 통과될 수 있는 관통공(162a)을 구비한 멍에 받침판(162)과,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게 나사결합되는 받침판 높이조절구(163)와, 상기 받침판 높이조절구(163)의 하부에서 상기 장공(161a)을 통과하여 상부 수직재의 핀 삽입공에 끼워지는 지지핀(164)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61) 및 받침판 높이조절구(163)는 하부 수직재(110)의 상단부에 구비된 높이조절구와 동일한 구성부품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기성부품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된 도면부호 163a는 받침대 높이조절구(163)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멍에지지부재(160)은 상기한 상부 수직재(120)의 길이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어야 하므로, 상기 받침판(162)과 몸체(161)에는 상부 수직재(120)의 몸체가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공(162a)이 형성되어, 상기 받침판 높이조절구(163)가 회전하여 하강하면 받침판 높이조절구(163)가 상기 지지핀(164)에 밀착하게 되고, 이 밀착력의 반력에 의해 받침판(162)과 중공 몸체(161)는 상승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받침판 높이조절구(163)를 회전하여 상승시키면 받침판(162)과 중공 몸체(161)는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슬라브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동안에는, 상기 멍에지지부재(160)에 의해 슬라브거푸집용 멍에가 지지되고 상기 슬라브 보조패널(312)은 상부 수직재(120)에 의해 지지되다가, 드롭다운 실시 후에는 상기 멍에지지부재(160)은 하강되고 상기 상부 수직재(120)의 상단부만이 슬라브 보조패널(312)을 지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용이 모두 하나의 시스템 서포터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만약, 본 발명에서의 드롭다운 기능을 갖는 멍에받침부재(160)가 없다면, 시스템 서포트 외에 슬라브 보조패널만을 지지하는 별도의 단독 서포터가 추가로 더 구비되어야만 드롭다운 기능이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서포터를 이용하여 슬라브 거푸집 및 보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 타설 후에 드롭다운시켜 해체하는 작업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의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서포터의 작용효과가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서포터를 이용하여 보 및 슬라브 거푸집이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서포터를 이용하여 보 및 슬라브 거푸집을 설치하는 첫 단계로서, 보 멍에를 지지하는 한 쌍의 서포터(100)를 수평재(130)로 결합하여, 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한다. 보 멍에(220)를 보 길이방향에 직교되게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보 거푸집을 설치한다.
보 거푸집의 설치과정은 일반적인 과정과 크게 다르지 아니하므로 간략하게 설명하면, 보 멍에(220)의 상부에 보 바닥패널(211)과 양 측으로 보 측면패널(212)을 설치한다(경우에 따라서는 장선재를 보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배열하고 그 상부에 보 측면패널을 설치할 수도 있다). 보의 바닥패널(211)과 측면패널(212)이 접하는 모서리에는 앵글(213)이 구비되어 측면패널을 바닥패널에 견고히 고정하게 된다. 상기 측면패널(212)의 상단에는 보 거푸집과 연결되는 필러(313)가 수평방향으로 고정된다. 이 필러(313)는 보의 측면패널(212)과 슬라브패널(311)을 연결하는 연결패널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슬라브멍에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상기한 보 멍에(220)의 양 단에는 슬라브 멍에지지대(2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멍에지지대(222)는 보 멍에의 양단에 형성된 관통공(221)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며, 그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조절너트(224)에 의해 가이드봉(225)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멍에지지대(222)의 상단부에는 멍에받침(223)이 구비되어, 조절너트(224)를 돌리면 상기 멍에지지대(222)의 상단에 구비된 멍에받침(223)이 승하강하여 적정 높이로 설정하여 슬라브멍에(320)를 지지하게 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멍에지지대(222)를 보 멍에(220)의 양단에 구비하는 대신에, 2개의 서포터를 바닥에 세워서 슬라브멍에 양단을 지지하게 할 수도 있다.
다음 단계로서, 보와 보 사이에 슬라브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로서, 슬라브 멍에(320)를 슬라브멍에 지지대(222) 및 멍에지지부재(160)의 받침판(162) 상에 재치하고, 그 위에 슬라브패널(311)과 보조패널(312)을 설치한다. 상기 보조패널(312)은 슬라브패널(311)들의 사이에 적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데, 상기 멍에(32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부 수직재(120) 위에 얹혀지게 설치된다. 도 5에서 보조패널(312)의 하부에 배치된 구성요소(도면부호 314)는 상기 보조패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장선재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보조패널(312)은 슬라브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될 때까지 해체되지 않고 서포터(더욱 정확하게는 상부 수직재의 상단면(122))에 의해 받쳐져서 슬라브를 지지하게 될 것이다. 이 때, 슬라브패널(311)과 보조패널(312)의 높이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는, 받침판 높이조절구(163)를 회전시켜 멍에지지부재(160)의 높이를 조절(즉, 슬라브 패널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하부 수직재(110)에 구비된 높이조절구(113)를 조절(즉, 보조패널(312)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보 및 슬라브 거푸집을 설치 후, 콘크리트 타설을 하고, 2~3일 정도 양생한 후에는 필수적인 서포터만 유지하고, 나머지 거푸집들은 드롭다운 기능을 이용하여 해체하게 되는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서포터를 이용하여 슬라브 거푸집을 드롭다운하여 해체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보 멍에(220)의 양단에 설치된 조절너트(224)를 풀어 슬라브멍에지지대(222)및 멍에받침(223)을 하강시킨 다음, 받침판 높이조절구(163)를 회전시켜 슬라브멍에(320)를 지지하는 멍에지지부재(160)를 하강시키면, 슬라브멍에를 지지하던 멍에지지부재(160)와, 이 멍에지지부재(160)에 의해 지지되던 슬라브멍에(320) 및 슬라브패널(311)들이 하강한다. 상기 멍에지지부재(160)와 슬라브패널들이 충분한 거리만큼 하강하면, 작업자들이 작업발판(136)에 올라서서 슬라브 멍에(320)와 슬라브패널(311)들을 해체하게 된다. 이 때, 슬라브멍에를 지지하던 서포터(100b)는 그대로 두어, 보조패널(312)이 상부 수직재(120)에 의해 계속 지지되게 한다. 아울러, 보 바닥패널(211)을 제외한 보 측면패널들도 함께 해체가 가능하다.
만약, 슬라브멍에지지대를 보 멍에의 양 단에 구비된 슬라브멍에지지대(222) 대신에 2개의 서포터로써 슬라브멍에의 양단을 지지한 경우라면, 슬라브 멍에의 양단을 지지하는 서포터의 높이조절구(113)를 회전시켜 상부 수직재를 하강시킨다. 필요에 따라서는 체결핀(미도시)이 삽입되는 핀 삽입공을 변경 선택하여 높이를 낮출 수도 있다(이때, 상기 상부 수직재의 상단부가 못으로 슬라브 멍에에 고정된 경우, 상기 상부 수직재는 하부수직재의 지지 없이 공중에 떠 있는 상태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슬라브 멍에의 양단을 지지하던 서포터의 높이를 낮춘(또는 지지를 해제한) 다음에, 슬라브 멍에를 받치던 받침판 높이조절구(163)를 회전시키면, 상기 멍에지지부재(160)와, 이 멍에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던 슬라브멍에(320) 및 슬라브패널(311)들이 동시에 드롭다운된다. 상기한 받침판 높이조절구(163)는 공지의 구성을 그대로 채용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해체가 완료된 후에, 슬라브 보조패널이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서포터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서포터는 기존 재래식 서포터를 간단히 개선한 시스템 서포터로서, 거푸집의 설치높이에 따라 간편하게 시스템 서포터의 높이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슬라브 거푸집의 드롭다운 해체가 가능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특히, 종래기술1 및 종래기술2에 개시된 시스템 서포터의 높이조절 구성요소(잭베이스 및 잭헤드)들 없애 시스템 서포터의 제작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오히려 높이조절 범위를 확대할 수 있고, 높이조절 기능의 편리성을 증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서포터 110: 하부수직재
120: 상부수직재 130: 수평재
115: 연결판 160: 멍에지지부재
162: 멍에 받침판 200: 보 거푸집
211: 바닥패널 212: 측면패널
213: 앵글 220: 보 멍에
222: 슬라브멍에 지지대 224: 조절너트
300: 슬라브 거푸집 311: 슬라브패널
312: 보조패널 313: 필러
320: 슬라브 멍에

Claims (5)

  1. 상단부에 높이조절구(113)를 구비한 중공의 하부 수직재(110)와, 상기 하부 수직재(10)의 상단부 삽입구에 일단이 삽입되고 핀삽입공(123)이 형성되어 상기 높이 조절구에 의해 승하강하면서 멍에를 받치는 상부 수직재(120)로 구성되는 다수의 서포터(100)들과; 몸체(131)와 상기 몸체(131)의 양단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2)로 구성되어, 인접한 두 서포터들을 서로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재(130)로 이루어지는 시스템 서포터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직재(110)가 삽입되는 수용홈(115a)과, 상기 수용홈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115b)을 구비한 연결판(115)이, 상기 하부 수직재(110)의 몸체(111)에 하나 이상 끼워져 일체로 용접되어 구성되며;
    상기 연결판(115)이, 그 하부면이 상기 하부 수직재(110)의 몸체(111) 하부단면과 일치되게, 상기 하부 수직재(110)의 몸체(111) 하단부 삽입구(114)에 끼워져 일체로 용접되어 구성되어, 상기 하부수직재의 받침판으로서의 기능 및 상기 수평재와 결합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하부 수직재(110)의 하단부 중공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 수직재(110)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연장수직재(1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장수직재(150)는 상기 하부 수직재와 동일한 직경의 중공 파이프로서 상기 하부 수직재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끼움부(152)가 몸체(151)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판(115)이, 그 하부면이 상기 연장 수직재(150)의 몸체(151) 하부단면과 일치되게, 상기연장 수직재(150)의 몸체(151) 하단부에 끼워져 일체로 용접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서포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직재(120)의 상단부에는, 슬라브 멍에(320)를 지지하는 멍에지지부재(160)가 높이조절 및 하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멍에지지부재(160)는,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장공(161a)을 가지는 중공의 몸체(161)와, 상기 몸체(161)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 수직재(120)가 통과될 수 있는 관통공(162a)을 구비한 멍에 받침판(162)과,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게 나사결합되는 받침판 높이조절구(163)와, 상기 받침판 높이조절구(163)의 하부에서 상기 장공(161a)을 통과하여 상부 수직재의 핀 삽입공에 끼워지는 지지핀(164)으로 구성되어;
    슬라브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동안에 슬라브 거푸집용 멍에는 상기 멍에지지부재(160)에 의해 지지되고 슬라브 보조패널(312)은 상기 상부 수직재(120)에 의해 지지되다가, 슬라브의 초기 양생 이후에는 상기 멍에지지부재(160)는 하강되고 상기 상부 수직재(120)만이 상기 슬라브 보조패널(312)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서포터.
  3. 제2항에 기재된 시스템 서포터를 이용한 거푸집 설치 및 해체방법으로,
    보 멍에(220)를 지지하는 상기 다수의 서포터(100)를 상기 수평재(130)로 결합하여, 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보 멍에(220)를 보 길이 방향에 직교되게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보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보와 보 사이에 슬라브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보 거푸집 및 상기 슬라브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단계; 및
    상기 거푸집 중 일부를 드롭 다운 기능을 이용하여 해체하는 단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설치 및 해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보 멍에(220)의 상부에 보 바닥패널(211)과 양 측으로 보 측면패널(212)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보 바닥패널(211)과 상기 보 측면패널(212)이 접하는 모서리에 앵글(213)을 구비하여 상기 보 측면패널(212)을 상기 보 바닥패널(211)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보 측면패널(212)의 상단에 상기 보 거푸집과 연결되는 필러(313)를 수평방향으로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 멍에(220)의 양단에 슬라브 멍에지지대(222)를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설치 및 해체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중 일부를 드롭 다운 기능을 이용하여 해체하는 단계는:
    상기 보 멍에(220)의 양단에 설치된 조절너트(224)를 풀어 슬라브 멍에지지대(222) 및 멍에받침(223)을 하강시킨 다음, 받침판 높이조절구(163)를 회전시켜 슬라브멍에(320)를 지지하는 멍에지지부재(160)를 하강시키는 단계;
    상기 슬라브 멍에(320)와 슬라브패널(311)들을 해체하는 단계; 및
    슬라브 멍에를 받치던 받침판 높이조절구(163)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멍에지지부재(160)와, 이 멍에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던 슬라브멍에(320) 및 슬라브패널(311)들이 동시에 드롭다운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설치 및 해체방법.
KR1020100023000A 2010-03-15 2010-03-15 개선된 시스템 서포터 KR101181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000A KR101181493B1 (ko) 2010-03-15 2010-03-15 개선된 시스템 서포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000A KR101181493B1 (ko) 2010-03-15 2010-03-15 개선된 시스템 서포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773A KR20110103773A (ko) 2011-09-21
KR101181493B1 true KR101181493B1 (ko) 2012-09-11

Family

ID=44954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3000A KR101181493B1 (ko) 2010-03-15 2010-03-15 개선된 시스템 서포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14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1940A (ko) 2020-01-15 2021-07-23 정경용 서포트용 수평부재 연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361B1 (ko) * 2011-12-26 2014-02-07 (주)에이원알폼 수평보강재를 체결한 상태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용 서포터
KR101310848B1 (ko) * 2013-03-12 2013-09-25 (주)에이원알폼 수평보강재를 체결한 상태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용 서포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8136U (ko) 1984-12-04 1986-06-24
KR200278253Y1 (ko) 2002-03-29 2002-06-20 엘지건설 주식회사 거푸집 동바리용 서포트 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8136U (ko) 1984-12-04 1986-06-24
KR200278253Y1 (ko) 2002-03-29 2002-06-20 엘지건설 주식회사 거푸집 동바리용 서포트 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1940A (ko) 2020-01-15 2021-07-23 정경용 서포트용 수평부재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773A (ko) 201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417B1 (ko) 에프에스엠 공법용 시스템 거푸집 설비
AU2019100993A4 (en) Height-Adjustable Jack and Vertical Modular Component Support using the same
KR20190008054A (ko) 가변형 조립식 보 거푸집 및 이의 시공 공법
KR20190008053A (ko) 폼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보 거푸집
CN102277835A (zh) 单柱盖梁采用抱箍与三角支架组合体系施工方法
CN103343639B (zh) 一种高效调节的滑模系统
KR101181493B1 (ko) 개선된 시스템 서포터
CN111663457A (zh) 拼装模块、模块化施工平台及方法、桥梁墩台施工方法
CN102691412A (zh) 可调垂直高度的预制框架结构连接支撑模板
CN202672722U (zh) 用于浇筑梁梁底模板的支撑结构
KR200436819Y1 (ko) 보 시스템 거푸집
CN103334584B (zh) 一种滑模系统的模板调节系统
CN209741895U (zh) 装配式电梯钢结构与基座的连接结构
CN203361735U (zh) 一种高效调节的滑模系统
CN216616848U (zh) 一种梁板后浇带支撑与封模结构
CN111502253A (zh) 集束体系钢结构建筑楼板用顶托式免支模系统及施工方法
CN102409850A (zh) 一种建筑用模板的施工方法
KR20120003729U (ko) 시스템서포트 헤드
CN209907886U (zh) 一种可调节的装配式楼梯施工平台
CN104372948A (zh) 一种电梯井升模架
CN213174742U (zh) 一种顶撑钢立柱结构
KR100778139B1 (ko) 거푸집 수평 받침대 길이조절 프레임
CN203531380U (zh) 梁下局部支撑、板下无支撑、尺寸可调节模板系统
CN210086857U (zh) 可调螺栓定位架
CN203361633U (zh) 一种滑模系统的模板调节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