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8253Y1 - 거푸집 동바리용 서포트 핀 - Google Patents

거푸집 동바리용 서포트 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253Y1
KR200278253Y1 KR2020020009470U KR20020009470U KR200278253Y1 KR 200278253 Y1 KR200278253 Y1 KR 200278253Y1 KR 2020020009470 U KR2020020009470 U KR 2020020009470U KR 20020009470 U KR20020009470 U KR 20020009470U KR 200278253 Y1 KR200278253 Y1 KR 2002782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support
groove
support pin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4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화
김종화
조경연
김도학
Original Assignee
엘지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094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2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2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253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푸집 동바리용 서포트 핀에 관한 것으로, 서포트 핀 상에 적정깊이의 홈을 형성하여 동바리의 설치시에는 상부지주의 핀 체결홈 단부를 서포트 핀의 외주면 상에 위치시킨 상태로 서포트 핀을 체결하고, 동바리의 해체시에는 서포트 핀의 일단을 타측으로 가격하여 상부지주의 핀 체결홈 단부가 홈 상으로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상부지주 상단의 상부 받침판이 거푸집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동바리의 해체가 용이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서포트 핀은 동일 선상 양측에 일정 거리로 적정깊이의 두 홈이 형성되어 동바리의 설치시에는 상부지주의 핀 체결홈 단부가 서포트 핀의 외주면 상에 위치되도록 체결되고, 동바리의 해체시에는 일단의 가격에 의해 서포트 핀이 가격 방향으로 이동되어 홈 각각에 상부지주의 핀 체결홈 양측 단부가 일치될 경우 상부지주가 홈의 깊이만큼 낙하하여 상부지주의 상단이 거푸집으로부터 홈의 깊이만큼 이격되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거푸집 동바리용 서포트 핀{Support pin}
본 고안은 거푸집 동바리용 서포트 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및 슬래브의 타설시 콘크리트의 양생이 끝나기까지 거푸집의 하부를 지지하는 거푸집 동바리의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거푸집 동바리용 서포트 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아파트 등의 건축물은 층과 층간의 바닥 또는 지붕을 콘크리트로 양생한 판형의 슬래브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콘크리트 슬래브의 타설시 그 형은 거푸집과 거푸집을 지지하는 동바리 등에 의해 유지된다.
전술한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은 콘크리트 부어넣기 작업, 콘크리트를 응결·경화시키는 동안 일정한 형상과 치수로 유지시켜 그 경화에 필요한 수분의 누출방지 및 외기의 영향을 받지 않게 하는 콘크리트를 성형하는 성형틀이다.
그리고, 동바리는 빌딩, 아파트 등의 건축물, 탑 등의 공작물, 교량 등의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성형틀을 지지하여 구조물이 안전하고 정확하게 시공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동바리를 총칭하여 거푸집 동바리라고 한다. 다음은 종래의 거푸집 동바리를 보인 것이다.
도 1 은 종래 거푸집 동바리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 는 종래 거푸집 동바리의 사용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 동바리(10)는 일정길이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하부지주(20), 외경이 하부지주(20)의 내경보다는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일정길이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상부지주(30), 정역으로 회전시킬 경우 작업자가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돌출편(42)이 외주면 양측에 돌출·형성되어 하부지주(20)의 상부측 외주면에 체결되는 조절나사(40) 및 상부지주(30)의 하단을 하부지주(20)의 상단 내경에 결합하는 경우 조절나사(40)의 상단면에 의해 상부지주(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서포트 핀(5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동바리(10)의 구성에서 하부지주(20)에는 하단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하부 받침판(22), 상단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부(24) 및 나사부(24)가 형성된 하부지주(20)의 상부 외주면 양측에 상호 대향되는 길이 방향으로 절개·형성되어 관통되는 장홈의 핀 안내홈(26)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지주(30)에는 상단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상부의 거푸집(60)을 지지하는 상부 받침판(32) 및 상부지주(30)의 외주면 양측에 상호 대향되어 상하의 등간격으로 관통·형성되는 다수의 핀 체결홈(34)이 구성된다.
전술한 동바리(10)의 사용에 따른 조립은 먼저, 하부지주(20)의 나사부(24)에 조절나사(40)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부지주(30)의 하단이 하부지주(20)의 상단 내경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서포트 핀(50)이 일측면의 핀 안내홈(26)을 통해 상부지주(30)의 핀 체결홈(34)을 관통하여 타측면의 핀 안내홈(26)으로 노출됨으로써 조립이 이루어진다. 이때, 서포트 핀(50)은 조절나사(40)의 상단에 위치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동바리(10)는 조절나사(40)의 정역 회전을통해 상하로 이동되면서 조절나사(40)의 상단면에 지지된 서포트 핀(50)을 핀 안내홈(26) 상에서 상하로 이동시켜 상부지주(30)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동바리(10)의 길이를 가변시키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절나사(40)의 회전을 통해 동바리(10)의 길이를 가변시킴으로써 지면과 거푸집(6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부측의 거푸집(60)을 지지하거나 거푸집(60)을 해체시키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동바리는 상부측의 거푸집을 지지하여 콘크리트의 양생이 이루어진 후 거푸집을 해체하는 경우 상부측의 하중에 의해 서포트 핀이 조절나사에 하중을 가하고 있는 상황이 전개되므로 동바리를 해체시키는 방향으로 조절나사를 회전시키는 일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작업자는 동바리를 해체하기 위해 조절나사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편을 햄머, 렌치 및 기타 작업공구 등으로 타격하여 조절나사를 회전시키는 번거로운 작업을 통해 동바리를 해체시키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바리의 해체시 햄머, 렌치 및 기타 작업공구 등으로 타격을 통해 조절나사를 회전시키는 일은 자칫 직립된 동바리가 쓰러지거나 거푸집에 충격을 주어 거푸집이 작업자의 머리 위로 낙하하는 경우가 있어 인명에 손상을 초래할 우려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동바리는 해체 작업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공사의 진척도를 저해하는 요소로도 작용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서포트 핀 상에 적정깊이의 홈을 형성하여 동바리의 설치시에는 상부지주의 핀 체결홈 단부를 서포트 핀의 외주면 상에 위치시킨 상태로 서포트 핀을 체결하고, 동바리의 해체시에는 서포트 핀의 일단을 타측으로 가격하여 상부지주의 핀 체결홈 단부가 홈으로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상부지주 상단의 상부 받침판이 거푸집으로부터 홈의 깊이만큼 이격되도록 하여 동바리의 해체가 용이하도록 한 거푸집 동바리용 서포트 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서포트 핀의 일단을 가격하여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통해 상부지주 상단의 상부 받침판이 거푸집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동바리의 해체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공사의 진척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의 전술한 목적들 이외에 서포트 핀의 일단을 가격하여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통해 상부지주 상단의 상부 받침판이 거푸집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동바리를 해체시키는 일련의 단순한 작업을 통해 동바리 해체작업을 보다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도 1 은 종래 거푸집 동바리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 는 종래 거푸집 동바리의 사용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동바리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동바리에서 서포트 핀을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동바리에서 서포트 핀을 보인 정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동바리의 거푸집 지지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7 은 도 6 의 종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동바리를 통해 거푸집을 지지한 상태에서 거푸집 동바리를 해체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9 는 도 8 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동바리 110. 하부지주
112. 하부 받침판 114. 나사부
116. 핀 안내홈 120. 상부지주
122. 상부 받침판 124. 핀 체결홈
130. 조절나사 140. 서포트 핀
142. 홈 142a. 경사면
142b. 수직면 144. 회전방기용 돌기
150. 거푸집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동바리용 서포트 핀은 상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부와 나사부의 양측에 상호 대향되는 길이 방향으로 절개·형성되어 좌우로 관통되는 장홈의 핀 안내홈이 구비된 일정 길이의 하부지주, 외주면 양측에 상하의 일정 간격으로 관통·형성되는 다수의 핀 체결홈이 형성되어 하부지주의 상단 내경으로 하단이 삽입·체결되는 일정길이의 상부지주, 하부지주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조절나사 및 하부지주의 일측 핀 안내홈을 통해 상부지주의 양측 핀 체결홈을 관통하여 타측의 핀 안내홈으로 체결되는 한편 조절나사의 상단면에 지지되어 상부지주가 하부지주에 지지되도록 하는 서포트 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거푸집 동바리에 있어서, 서포트 핀은 동일 선상 양측에 일정 거리로 적정깊이의 두 홈이 형성되어 동바리의 설치시에는 상부지주의 핀 체결홈 단부가 서포트 핀의 외주면 상에 위치되도록 체결되고, 동바리의 해체시에는 일단의 가격에 의해 서포트 핀이 가격 방향으로 이동되어 홈 각각에 상부지주의 핀 체결홈 양측 단부가 일치될 경우 상부지주가 홈의 깊이만큼 낙하하여 상부지주의 상단이 거푸집으로부터 홈의 깊이만큼 이격되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서포트 핀의 두 홈 사이의 거리는 상부지주의 직경에 관계하는 거리로 이격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전술한 홈의 일측면은 상부지주의 핀 체결홈 양측 단부가 슬라이딩되어 낙하할 수 있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홈의 타측면은 수직면으로 이루어짐이 양호하다.
한편, 전술한 홈면은 상부지주의 핀 체결홈 형상에 관계하여 원호의 형태로 이루어짐이 양호하다.
전술한 서포트 핀을 일측면의 핀 안내홈을 통해 상부지주의 핀 체결홈을 관통하여 타측면의 핀 안내홈으로 노출되게 체결하는 경우 핀 안내홈 상에 삽입되어지되 그 선단이 상부지주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서포트 핀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회전방지용 돌기가 서포트 핀의 후단에 상향으로 더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동바리용 서포트 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동바리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동바리에서 서포트 핀을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동바리에서 서포트 핀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서포트 핀을 포함한 동바리(100)의 구성은 도 1 및 도 2 의 구성에서와 같이 일정길이로 이루어진 중공의 하부지주(110), 외경이 하부지주(110)의 내경보다는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일정길이로 이루어진 중공의 상부지주(120), 양측에 돌출편(132)이 형성되어 하부지주(110)의 상부측 외주면에 체결되는 조절나사(130) 및 상부지주(120)의 하단을 하부지주(110)의 상단 내경에 체결하는 경우 조절나사(130)의 상단면에 의해 상부지주(1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서포트 핀(140)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다만, 본 고안에서의 서포트 핀(140)은 동일 선상의 양측에 일정 거리로 적정깊이의 홈(142)이 형성되는 것이 다를 뿐이다.
즉, 조절나사(130)의 상단면에 지지되어 하부지주(110)의 상단부에 상부지주(120)를 상하로 가변 가능하게 지지하는 본 고안에 따른 서포트 핀(140)은 그 상부면의 동일 선상 양측에 일정 거리로 적정한 깊이의 홈(142)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면의 동일 선상 양측에 일정 거리로 적정한 깊이의홈(142)이 형성된 구조의 서포트 핀(140)은 동바리(100)의 설치시 상부지주(120)의 핀 체결홈(124) 상부측 단부(A, B)가 홈(142)이 형성되지 않은 서포트 핀(140)의 외주면 상에 위치되도록 체결된다.
한편, 동바리(100)의 해체시에는 서포트 핀(140)의 일단을 가격하여 서포트 핀(140)을 가격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서포트 핀(140)의 이동에 따라 홈(142) 각각에 상부지주(120)의 핀 체결홈(124) 상부측 단부(A, B)가 일치되면 상부지주(120)가 홈(142)의 깊이만큼 낙하하여 상부지주(120)의 상단이 거푸집(150)으로부터 홈(142)의 깊이만큼 이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포트 핀(140)의 이동에 따라 홈(142)에 상부지주(120)의 핀 체결홈(124) 상부측 단부(A, B)가 일치되는 것과 함게 상부지주(120)가 홈(142)의 깊이만큼 낙하됨으로써 상부지주(120)의 상단이 거푸집(150)으로부터 홈(142)의 깊이만큼 이격되어 동바리(100)의 해체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동바리(100)를 구성하는 하부지주(110)에는 하단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하부 받침판(112), 상단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부(114) 및 나사부(114)가 형성된 하부지주(110)의 상부 외주면 양측에 상호 대향되는 길이 방향으로 절개·형성되어 좌우로 관통되는 장홈의 핀 안내홈(116)이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하부지주(110)는 통상 중공의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부 받침판(112)은 통상 하부지주(110)의 직경보다는 더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하부지주(110)의 하단에 일체로 구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하부지주(110)의 나사부(114)와 핀 안내홈(116)은 동바리(100)의 최대 및 최소의 가변길이를 고려하여 적정한 길이로 형성된다.
상부지주(120)에는 상단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상부의 거푸집(150)을 지지하는 상부 받침판(122) 및 상부지주(120)의 외주면 양측에 상호 대향되어 상하의 등간격으로 관통·형성되는 다수의 핀 체결홈(124)이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상부지주(120)는 하부지주(110)의 상단 내경이 삽입과 분리가 양호하도록 그 외경이 하부지주(110)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부지주(120) 역시 하부지주(110)와 마찬가지로 중공의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 받침판(122)은 통상 상부지주(120)의 직경보다는 더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상부지주(120)의 상단에 일체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지주(120)의 외주면 양측에 상호 대향되어 상하의 일정 간격으로 관통·형성되는 다수의 핀 체결홈(124)은 동바리(100)의 최대 및 최소의 가변길이를 고려하여 상하에 적당한 갯 수로 형성된다.
조절나사(130)는 하부지주(110)의 나사부(114)에 체결된 상태로 하부지주(110)의 상단 내경으로 상부지주(120)의 하단을 삽입·체결시 하부지주(110)의 핀 안내홈(116)에 노출된 상부지주(120)의 핀 체결홈(124)으로 체결되는 서포트 핀(140)을 지지하여 상부지주(120)가 하부지주(110) 상에 지지되도록 한다. 이때, 조절나사(130)의 양측에 형성된 돌출편(132)은 조절나사(130)를 회전시키는데 사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조절나사(130)는 정역 회전에 의해 나사부(114)를 상하로오르내리면서 서포트 상부지주(120)를 상하로 이동시켜 동바리(100)의 전체 길이를 가변시키게 된다.
즉, 조절나사(130)를 상향의 이동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조절나사(130)는 상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조절나사(130)의 상단면에 지지된 서포트 핀(140)을 상향으로 밀어 올리게 되고, 이에 따라 상부지주(120) 역시 조절나사(130)의 이동 거리만큼 상향으로 이동된다. 반면, 조절나사(130)를 하향의 이동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서포트 핀(140)과 상부지주(120)는 하중에 의해 조절나사(130)의 이동 거리만큼 하향으로 이동된다.
서포트 핀(140)은 하부지주(110)의 상단 내경으로 상부지주(120)의 하단을 삽입·체결시 하부지주(110)의 핀 안내홈(116)을 통해 상부지주(120)의 핀 체결홈(124)으로 관통·체결되어 조절나사(130)의 상단면에 지지됨으로써 하부지주(110)의 상단부에 상부지주(120)가 지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 서포트 핀(140)은 상부면의 동일 선상 양측에 일정 거리로 적정한 깊이의 홈(142)이 형성된 구조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홈(142)의 일측면은 상부지주(120)의 핀 체결홈(124) 양측 단부가 슬라이딩되어 낙하할 수 있도록 경사면(142a)으로 형성되고, 홈의 타측면(142b)은 수직면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홈(142)의 일측면에 경사면(142a)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홈(142) 각각에 상부지주(120)의 핀 체결홈(124) 양측 단부(A, B)가 일치되어 상부지주(120)가 홈(142)의 깊이만큼 낙하하는 경우 홈(142)의 경사면(142a)을 타고 슬라이딩되면서 낙하하기 때문에 순간적인 낙하를 방지하여 낙하에 따른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홈(142)의 타측면을 수직면(142b)으로 형성함으로써 핀 체결홈(124)의 양측 단부(A, B) 각각에 홈(142)의 수직면(142b)이 걸리게 되어 서포트 핀(140)의 일단을 타측으로 가격할 때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전술한 서포트 핀(140)의 홈(142) 바닥면은 상부지주(120)의 핀 체결홈(124) 형상에 관계하여 원호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홈(142)의 바닥면을 원호의 형태로 형성하여 모서리가 없도록 함으로써 상부지주(120)의 핀 체결홈(124) 상부측 단부(A, B)가 서포트 핀(140)의 홈(142)에 보다 정확하고 안정하게 안착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서포트 핀(140)의 후단에는 상향으로 회전방지용 돌기(144)가 더 형성되는데, 이 회전방지용 돌기(144)는 서포트 핀(140)을 일측면의 핀 안내홈(116)을 통해 상부지주(120)의 핀 체결홈(124)을 관통하여 타측면의 핀 안내홈(116)으로 노출되게 체결하는 경우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안내홈(116) 상에 삽입되어 그 선단이 상부지주(120)의 외주면에 밀착됨으로써 핀 안내홈(116)의 양측 단면에 의해 서포트 핀(140)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서포트 핀(140)은 동바리(100)의 설치시에는 상부지주(120)의 핀 체결홈(124) 상부측 단부(A, B)가 서포트 핀(140)의 홈(142)이 형성되지 않은 외주면 상에 위치되도록 체결되고, 동바리(100)의 해체시에는 일단의 가격에 의해 서포트 핀(140)이 가격 방향으로 이동되어 홈(142) 각각에상부지주(120)의 핀 체결홈(124) 상부측 단부(A, B)가 일치될 경우 상부지주(120)가 홈(142)의 깊이만큼 홈(142)의 바닥면으로 낙하하여 상부지주(120)의 상단에 형성된 상부 받침판(122)이 거푸집(150)으로부터 홈(142)의 깊이(L, 도 8 및 도 9 참조)만큼 이격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지주(120)의 상단에 형성된 상부 받침판(122)이 거푸집(150)으로부터 홈(142)의 깊이(L, 도 8 및 도 9 참조)만큼 이격됨으로써 동바리(100)는 상부측으로부터 받는 압력이 사라지기 때문에 동바리(100)의 해체가 용이해진다. 즉, 조절나사(130)의 회전이 용이해진다.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동바리의 거푸집 지지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7 은 도 6 의 종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동바리(100)를 설치한 상태를 보인 것으로, 하부지주(110)의 나사부(114)에 조절나사(130)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부지주(120)의 하단이 하부지주(110)의 상단 내경으로 삽입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서포트 핀(140)이 일측면의 핀 안내홈(116)을 통해 상부지주(120)의 핀 체결홈(124)을 관통하여 타측면의 핀 안내홈(116)으로 노출됨으로써 하부지주(110) 상에 상부지주(120)가 지지된다. 이때, 서포트 핀(140)은 조절나사(130)의 상단에 위치되고, 상부지주(120)의 핀 체결홈(124) 상부측 단부(A, B)는 서포트 핀(140)의 홈(142)이 형성되지 않은 외주면 상에 위치되어 지지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지주(120)의 핀 체결홈(124) 상부측 단부(A, B) 각각은 홈(142) 각각의 오른쪽인 서포트 핀(140)의홈(142)이 형성되지 않은 외주면 상에 위치된 상태로 조절나사(130)와 서포트 핀(140)에 의해 상부지주(120)가 하부지주(110) 상에 지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조절나사(130)를 상향의 이동 방향으로 최대한 회전시켜 상부지주(120)를 상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동바리(100)에 의해 거푸집(150)이 지지되도록 한다.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동바리를 통해 거푸집을 지지한 상태에서 거푸집 동바리를 해체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9 는 도 8 의 종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 는 거푸집(150)의 상부에 타설된 코크리트가 양생된 후 동바리(100)를 해체하는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9 에서와 같이 서포트 핀(140)의 일단을 가격하여 서포트 핀(140)을 오른쪽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시키게 되면, 홈(142) 각각에 상부지주(120)의 핀 체결홈(124) 상부측 단부(A, B) 각각이 일치되어 상부지주(120)가 홈(142)의 깊이만큼 홈(142)의 바닥면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처럼 상부지주(120)가 홈(142)의 깊이만큼 홈(142)의 바닥면으로 낙하함으로써 상부지주(120)의 상단에 형성된 상부 받침판(122)이 거푸집(150)으로부터 홈(142)의 깊이(L, 도 9 참조)만큼 이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태는 상부측으로부터 받는 압력이 사라지기 때문에 동바리(100)의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조절나사(13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상태에서 체결된 서포트 핀(140)을 분리하여 동바리(100)를 해체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서포트 핀(140)을 적용하면 동바리(100)의 해체시 보다 안전하고, 또한 보다 용이하게 동바리(100)를 해체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서포트 핀 상에 적정깊이의 홈을 형성하여 동바리의 설치시에는 상부지주의 핀 체결홈 단부를 서포트 핀의 외주면 상에 위치시킨 상태로 서포트 핀을 체결하고, 동바리의 해체시에는 서포트 핀의 일단을 타측으로 가격하여 상부지주의 핀 체결홈 단부가 홈 상으로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상부지주 상단의 상부 받침판이 거푸집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동바리의 해체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발휘된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서포트 핀의 일단을 가격하여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통해 상부지주 상단의 상부 받침판이 거푸집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동바리의 해체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공사의 진척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은 서포트 핀의 일단을 가격하여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통해 상부지주 상단의 상부 받침판이 거푸집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동바리를 해체시키는 일련의 단순한 작업을 통해 동바리 해체작업을 보다 안전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Claims (5)

  1. 상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의 양측에 상호 대향되는 길이 방향으로 절개·형성되어 좌우로 관통되는 장홈의 핀 안내홈이 구비된 일정 길이의 하부지주, 외주면 양측에 상하의 일정 간격으로 관통·형성되는 다수의 핀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지주의 상단 내경으로 하단이 삽입·체결되는 일정길이의 상부지주, 상기 하부지주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조절나사 및 상기 하부지주의 일측 핀 안내홈을 통해 상기 상부지주의 양측 핀 체결홈을 관통하여 타측의 핀 안내홈으로 체결되는 한편 상기 조절나사 상단면에 지지되어 상기 상부지주가 상기 하부지주에 지지되도록 하는 서포트 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거푸집 동바리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핀은 동일 선상 양측에 일정 거리로 적정깊이의 두 홈이 형성되어 상기 동바리의 설치시에는 상기 상부지주의 핀 체결홈 단부가 상기 서포트 핀의 외주면 상에 위치되도록 체결되고, 상기 동바리의 해체시에는 일단의 가격에 의해 상기 서포트 핀이 가격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홈 각각에 상기 상부지주의 핀 체결홈 양측 단부가 일치될 경우 상기 상부지주가 상기 홈의 깊이만큼 낙하하여 상기 상부지주의 상단이 거푸집으로부터 상기 홈의 깊이만큼 이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동바리용 서포트 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핀의 두 홈 사이의 거리는 상기 상부지주의 직경에 관계하는 거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동바리용 서포트 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일측면은 상기 상부지주의 핀 체결홈 양측 단부가 슬라이딩되어 낙하할 수 있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홈의 타측면은 수직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동바리용 서포트 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홈면은 상기 상부지주의 핀 체결홈 형상에 관계하여 원호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동바리용 서포트 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핀을 일측면의 상기 핀 안내홈을 통해 상기 상부지주의 핀 체결홈을 관통하여 타측면의 핀 안내홈으로 노출되게 체결하는 경우 상기 핀 안내홈 상에 삽입되어지되 그 선단이 상기 상부지주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서포트 핀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회전방지용 돌기가 상기 서포트 핀의 후단에 상향으로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동바리용 서포트 핀.
KR2020020009470U 2002-03-29 2002-03-29 거푸집 동바리용 서포트 핀 KR2002782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470U KR200278253Y1 (ko) 2002-03-29 2002-03-29 거푸집 동바리용 서포트 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470U KR200278253Y1 (ko) 2002-03-29 2002-03-29 거푸집 동바리용 서포트 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8253Y1 true KR200278253Y1 (ko) 2002-06-20

Family

ID=73084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470U KR200278253Y1 (ko) 2002-03-29 2002-03-29 거푸집 동바리용 서포트 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25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493B1 (ko) 2010-03-15 2012-09-11 신성스틸(주) 개선된 시스템 서포터
KR200479487Y1 (ko) 2015-10-30 2016-02-12 주식회사 진아스틸 슬래브 거푸집 지지용 동바리 해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493B1 (ko) 2010-03-15 2012-09-11 신성스틸(주) 개선된 시스템 서포터
KR200479487Y1 (ko) 2015-10-30 2016-02-12 주식회사 진아스틸 슬래브 거푸집 지지용 동바리 해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6856Y1 (ko) 슬라브 거푸집 지지 및 해체용 자동 하강 서포터
JP2010043468A (ja) アンカーボルトセット装置及び基礎の施工方法
CN113006467B (zh) 一种建筑滑动模板施工加固装置
GB2518463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chor bolts
KR200278253Y1 (ko) 거푸집 동바리용 서포트 핀
KR200291531Y1 (ko) 파이프 서포트용 고정핀
KR100665340B1 (ko)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시공 데크의 설치 구조
KR100643529B1 (ko) 건축용 벽체 가시설 거푸집구조
RU17340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внивания плиток
KR200384389Y1 (ko)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서포터
KR200419871Y1 (ko) 금속인서트 내장 스페이서
KR200277941Y1 (ko) 건축용 동바리
KR20000059066A (ko) 거푸집 수평조절 및 높이조절장치
US6131884A (en) Tool for extraction of stakes
KR100723542B1 (ko)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서포터
KR200410231Y1 (ko) 건물 기둥용 거푸집 지지체
KR200423438Y1 (ko) 슬라브용 거푸집 보강빔
JP2911419B2 (ja) 仮設構造物における連結構造
KR100763000B1 (ko) 슬라브용 거푸집 보강빔
KR20110008074U (ko) 건축용 비계의 쐐기형 베이스쟈키
KR200375139Y1 (ko) 갱폼의 하부 체결구조
JPH0643351Y2 (ja) 仮設手摺の支柱体
KR200415876Y1 (ko) 건축용 거푸집 지주
AU2023100047A4 (en) Attachment for positioning cast-in concrete anchors
JP2009275475A (ja) アンカーボルトによる支柱の立設工法及びアンカーボルトベン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