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195B1 -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보수공법 - Google Patents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보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195B1
KR101945195B1 KR1020180059602A KR20180059602A KR101945195B1 KR 101945195 B1 KR101945195 B1 KR 101945195B1 KR 1020180059602 A KR1020180059602 A KR 1020180059602A KR 20180059602 A KR20180059602 A KR 20180059602A KR 101945195 B1 KR101945195 B1 KR 101945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sensor
binding module
sensor
unit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평기
남상진
Original Assignee
성마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마기업(주) filed Critical 성마기업(주)
Priority to KR1020180059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1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04G23/0222Replacing or adding wall 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32Shielding elements, i.e. elements preventing overspray from reaching areas other than the object to be sprayed
    • B05B12/34Shielding elements, i.e. elements preventing overspray from reaching areas other than the object to be sprayed movable relative to the spray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0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otating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1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7/125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means being fluid actuated
    • B05B7/1263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means being fluid actuated pneumatically actu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또는 조적조의 내력벽(102')과 일정한 공간을 두고 축조되는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또는 보수공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벽체(106')의 손상부위와 해당 손상부위에 대한 지지부(L1)위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내력벽(102')에 설치공을 천공한 후 제4항에 의한 제1앵커(214'), 제2앵커(2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삽입고정시키며, 상기 설치공에 삽입고정된 제1앵커(214'), 제2앵커(216')의 후단에 받침부재(218')를 결합시키되, 상기 제1앵커(214'), 상기 제2앵커(216'), 상기 받침부재(218')는 표면처리 가공수단를 통해 표면처리 가공이 수행된 것인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보수공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보수공법{The repair or reinforcement method of wall}
본 발명은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및 보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보강핀 또는 앵커에 의한 종방향 지지력과, 지지부재 및 받침부재에 의한 횡방향 지지력을 확보하게 하며,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보수에 필요한 각종 수단들의 사전 및 사후 유지 보수 관리가 가능하여 효율적인 건물의 보강과 보수가 가능한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또는 보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외벽은 건축물의 하중을 지지하고, 그 외관을 미려하게 할 뿐만 아니라, 외기에 대하여 건물의 내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보호역할은 보온이나 통기, 차양 등이 가장 대표적인 역할이다. 상기 외벽은 내력벽과 이 내력벽에 단열재를 대고 단열재와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벽돌을 쌓아 형성되는 외부 벽체(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부 벽체(2)은 낱개로 된 치장벽돌을 쌓아 벽체를 이루는 것으로, 오랜 시간에 걸친 마모, 하중에 의해 일부분이 손상되는 경우도 있으며, 지반침하와 자체 하중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열이 발생할 수 있고, 시공 구조에서 오는 내, 외부간의 온도차로 내벽에 응집된 습기가 스며들어 백화현상이 발생하여 이 부분이 시각적으로 혐오감을 유발하게 되고 장기간 방치할 경우에는 이 부분에서 쉽게 균열이 올 수도 있다. 이러한 손상부위의 외부 벽체(2)을 보수하기 위해서 외부 벽체(2)을 전체적으로 보수하고자 하면 대공사가 될수밖에 없고, 외부 벽체(2) 전체의 보수는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결국, 바람직한 보수방법은 상기 손상된 벽체부위만을 보수하는 것이나, 이러한 것은 매우 작업요건이 난해하다. 왜냐하면, 상기 치장벽돌이나 블록에 의한 벽돌벽에서 손상된 부분만을 보수하기 위해서 그 부분을 제거하게 되면 그 상부에 조적된 치장벽돌이나 블록이 자체하중에 의해 견디지 못하고 무너지거나 측면 등이 무너지는 등의 우려가 있어 그 작업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한 종래의 벽체의 보수방법은 손상부위인 균열부분에는 시멘트 몰탈을 충전하고 그 위에 기존의 벽체와 동일 색상의 페인트로 도장 처리하거나, 균열부위에 에폭시 본드를 충진하여 정착하는 방법 또는 탈락된 부분에는 시멘트 몰탈로서 미장처리하고 상기와 같은 페인트 도장처리로 보수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보수방법은 손상부위의 근본적인 원인이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얼마후 다시 균열이나 탈락현상이 발생하여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문제점에 대응하기 위하여 벽돌 교체구간을 선정한 후 그 상단에 보강핀을 압입함으로써, 자체하중에 의한 무너짐을 방지하고, 교체구간 벽돌의 줄눈을 파쇄하여 교체구간 벽돌을 제거한 후 교체구간 상단에 위치한 상부 조적벽체의 하단면에 맞추어 보강용 브라켓을 내부벽체에 고정하고, 앵글과 행거를 설치한 후 앵글 위에 벽돌을 쌓아 교체 구간에 벽돌을 새로 쌓아 마감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보강핀, 앵글, 브래킷 등의 많은 부속품을 필요로 할 뿐 아니라, 시공이 번잡하여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벽돌을 철거한 후 이를 재시공하여야 하며, 아울러 벽돌 등 건축폐기물이 대량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처리하는 비용이 추가되어야 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또한,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보수에 필요한 각종 수단들의 유지 보수 관리 등이 용이하지 못하여 보강 보수 등의 효율적인 시행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00191호
본 발명은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및 보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강핀 또는 앵커에 의한 종방향 지지력과, 지지부재 및 받침부재에 의한 횡방향 지지력을 확보하게 하며,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보수에 필요한 각종 수단들의 사전 및 사후 유지 보수 관리가 가능하여 효율적인 건물의 보강과 보수가 가능한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또는 보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또는 조적조의 내력벽(102)과 일정한 공간을 두고 축조되는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또는 보수공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벽체(106)의 손상부위와 해당 손상부위에 대한 지지부위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내력벽(102)에 설치공을 천공한 후 제4항에 의한 제1앵커(214), 제2앵커(2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삽입고정시키며, 상기 설치공에 삽입고정된 제1앵커(214), 제2앵커(216)의 후단에 받침부재(218)를 결합시키되, 상기 제1앵커(214), 상기 제2앵커(216), 상기 받침부재(218)는 표면처리 가공수단를 통해 표면처리 가공이 수행된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보수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및 보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보강핀 또는 앵커에 의한 종방향 지지력과, 지지부재 및 받침부재에 의한 횡방향 지지력을 확보하게 하며,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보수에 필요한 각종 수단들의 사전 및 사후 유지 보수 관리가 가능하여 효율적인 건물의 보강과 보수가 가능한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또는 보수공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건물 외부 벽체에 발생한 균열과 앵커가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균열이 발생한 건물 외부 벽체에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벽체의 보강 또는 보수용 브라켓이 시공된 상태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과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또는 보수용 브라켓의 구성 및 시공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또는 보수용 브라켓의 구성 및 시공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또는 보수용 브라켓 중 코너보강용 코너보강부재의 구성과 시공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을 위한 표면처리 가공수단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을 위한 표면처리 가공수단를 모터와 스크류조합에 의해 자동으로 구성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스프레이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는 도 8의 작동도이다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범퍼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7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범퍼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결속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또는 보수용 브라켓의 구성과 이를 이용한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또는 보수공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외부 벽체(106')에서는 줄눈의 도시를 생략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또는 보수용 브라켓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하나의 보강핀(202')(앵커')과 지지부재(204')로 구성된 것, 둘째,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1앵커(214'), 제2앵커(216')와 받침부재(218')로 구성된 것, 셋째, 외부 벽체(106')의 코너부(108')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제3앵커(220')와 코너보강부재(224') 및 하나 이상의 제4앵커(222')와 코너보강부재(224')로 구성된 것이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실시예를 구분하여 실시예별로 설명하기로 한다. 첫째, 하나의 보강핀(202')(앵커')과 지지부재(204')로 구성된 실시예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보강핀(202')은 일종의 앵커라 할 수 있는 것으로, 콘크리트 또는 조적조의 내력벽(102')에 천공된 설치공에 전단이 설치고정되며, 내력벽(102')으로부터 이격되어 조적된 치장벽돌(104')의 상부 또는 하부에 후단이 위치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핀(202')의 후단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부재(204')를 결합시켜 보강핀(202')과 보강핀(202')에 결합된 지지부재(204')가 '┻'자의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자의 구조가치장벽돌(104')의 하중을 받쳐주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핀(202')의 후단에 지지부재(204')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은 다양하게 채택될 수 있으며, 하나
의 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04')에 결합공(206')을 형성하여 보강핀(202')의 후단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핀(202')의 후단에 고정볼트(208')가 돌출성형되도록 하고, 지지부재(204')에는 이 고정볼트(208')로 삽입되도록 삽입공(210')을 형성한 후, 지지부재(204')의 삽입공(210')으로 돌출되는 고정볼트(208')에 고정너트(212')를 체결시킴으로써, 지지부재(204')가 보강핀(202')에 결합될 수 있게 할 수도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지지부재(204')의 결합수단은, 상기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다. 둘째, 둘째,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1앵커(214'), 제2앵커(216')와 받침부재(218')로 구성된 실시예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상기 제1앵커(214')와 제2앵커(216')가 마련되고, 이 제1앵커(214')와 제2앵커(216')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내력벽(102')에 천공된 설치공에 그 전단이 각각 설치고정되며, 제1앵커(214')와 제2앵커(216')의 후단은 내력벽(102')으로부터 이격되어 조적된 치장벽돌(104')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앵커(214')와 제2앵커(216')의 후단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받침부재(218')를 결합시켜 제1앵커(214')와 제2앵커(216') 및 받침부재(218')가 전체적으로 '┗┛'자 구조가 형성되게 하여 치장벽돌(104')의 하중을 받쳐주게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앵커(214')와 제2앵커(216')의 후단에 받침부재(218')를 결합시키기 위한 받침부재(218')의 결합수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218')에는 제1앵커(214')와 제2앵커(216')에 삽입될 수 있는 결합공(206')을 형성하고, 이 결합공(206')이 제1앵커(214')와 제2앵커(216')의 후단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받침부재(218')가 제1앵커(214')와 제2앵커(216')에 결합되어 '┗┛' 구조를 형성하게 할 수도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제1앵커(214')와 제2앵커(216')의 후단에 고정볼트(208')가 각각 돌출형성되게 하고, 받침부재(218')에는 이고정볼트(208')에 삽입되는 삽입공(210')을 대응형성한 후, 이 삽입공(210')으로 관통되어 돌출되는 고정볼트(208')에 고정너트(212')를 체결시킴으로써, 받침부재(218')가 제1앵커(214')와 제2앵커(216')에 결합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앵커(214')와 제2앵커(216')의 후단에 받침부재(218')를 결합시키기 위한 받침부재(218')의 결합수단은 다양한 구조와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또는 보수용 브라켓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의 균열보수 및 보강을 위한 브라켓외에도 코너부(108')의 균열보수 및 보강을 위한 브라켓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한다.
즉, 일반적으로 앵커를 이용한 외부 벽체(106')의 보강 또는 보수는 벽면을 형성하는 내력벽(102')에만 설치고정 할 수 있는 반면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력벽(102')으로부터 치장벽돌(104')이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조적되며, 이때, 외부 벽체(106')의 코너부(108')는 일측면의 외부 벽체(106')과 이 일측면과 연접한 타측면의 외부 벽체(106')이 모두 내력벽(102')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조적되기 때문에 코너부(108')의 외부 벽체(106')을 보강 및 보수하기 위하여 앵커를 설치고정하기 위해서는 코너부(108')의 내력벽(102') 끝단에는 앵커를 설치할 수 없으며, 내력벽(102')의 끝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앵커를 설치할 수밖에 없으므로, 안정적인 외부 벽체(106')의 보강 및 보수가 이루어지기 매우 힘든 실정이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코너부(108')의 외부 벽체(106')을 안정적으로 받쳐주고 지지할 수 있는 외부 벽체의 보강 또는 보수용 브라켓을 제시한다. 즉, 상기 외부 벽체(106') 코너부(108')의 일측 내력벽(102')에 천공된 설치공에과 상기 외부 벽체(106') 코너부(108')의 일측 내력벽(102')과 연접된 타측 내력벽(102')에 천공된 설치공에 각각 제3앵커(220')와 제4앵커(222')의 전단이 설치고정되며, 이 제3앵커(220')와 제4앵커(222')의 후단은 각각 코너부(108')의 일측 내력벽(102')으로부터 이격되어 조적된 치장벽돌(104')의 상부 또는 하부와 코너부(108')의 타측 내력벽(102')으로부터 이격되어 조적된 치장벽돌(104')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앵커(220')와 제4앵커(222')의 후단에는 '┗'자 형상의 코너보강부재(224')를 결합시켜 코너부(108')의 치장벽돌(104') 하중을 받쳐주고 지지하게 하되, 상기 '┗'자 형상의 코너보강부재(224')는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도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형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부재를 서로 연결 또는 결합시키거나 요철결합시킬 수도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채택변경하되, 최종적으로 코너부(108')에 시공된 상태는 '┗'자 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3앵커(220')와 제4앵커(222')의 후단에 코너보강부재(224')를 결합시키기 위한 코너보강부재(224')의 결합수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앵커(220')와 제4앵커(222')의 후단에 각각 고정볼트(208')를 돌출형성하고, 이 고정볼트(208')가 각각 대응삽입되도록 코너보강부재(224')에 삽입공(210')을 형성한한 후 이 삽입공(210')으로 삽입되어 돌출되는 고정볼트(208')에 고정너트(212')를 체결시키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한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또는 보수용 브라켓을 이용한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또는 보수공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외부 벽체(106')의 손상부위와 해당 손상부위에 대한 하중의 분산위치 및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위를 선정하는 단계를 수행한 수, 상기한 바와 같이 선정된 하중의 분산위치 및 지지부위의 줄눈을 제거하고 내력벽(102')에 설치공을 천공한다. 그리고, 상기한 외부 벽체의 보강 또는 보수용 브라켓 중 보강핀(202'), 제1앵커(214'), 제2앵커(216') 중 적어도어느 하나를 작업자가 선정하여 삽입고정시키는 단계를 실시한다. 이때, 상기 보강핀(202'), 제1앵커(214'), 제2앵커(216')의 후단은 치장벽돌(104')의 중심부위에 놓이도록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설치공에 보강핀(202')이 설치고정되면, 지지부재(204')를 그 후단에 결합시키고, 제1앵커(214'), 제2앵커(216')가 설치고정되면, 그 후단에 받침부재(218')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실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1앵커(214')와 제2앵커(216')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하되, 받침부재(218')가 제1앵커(214')와 제2앵커(216')에 결합될 수 있는 간격을 유지하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204') 또는 받침부재(218')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보강핀( 202') 또는 제1앵커(214'), 제2앵커(216')에 결합되면, 줄눈이 제거된 부위에 모르타르를 충진시켜 줄눈을 다시 형성하는 단계를 실시함으로써, 외부 벽체의 보강 또는 보수공법이 완료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벽체(106')의 코너부(108')를 보수하기 위한 외부 벽체의 보강 또는 보수공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외부 벽체(106')의 코너부(108')에 대한 손상부위와 해당 손상부위에 대한 하중의 분산부위 및 지지부위를 선정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선정된 하중의 분산부위와 지지부위의 줄눈을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 벽체(106')의 코너부(108')의 일측 내력벽(102')과 타측 내력벽(102')에 도 7과 같이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공을 천공한 후 제3앵커(220')와 제4앵커(222')를 삽입고정시키는 단계를 실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3앵커(220')와 제4앵커(22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치하여야 후술하게 될 코너보강부재(224')가 치장벽돌(104')을 안정적으로 받쳐주고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설치공에 삽입고정된 제3앵커(220')와 제4앵커(222')의 후단에는 상기한 코너보강부재(224')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실시하는 바, 상기 코너보강부재(224')를 결합시키는 단계는, 그 상세한 구조 및 작용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코너보강부재(224')가 제3앵커(220')와 제4앵커(222')에 결합되면, 줄눈이 제거된 부위에 모르타르를 충진시켜 줄눈을 다시 형성하는 단계를 실시함으로써, 외부 벽체(106')의 코너부(108')를 보수하기 위한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또는 보수공법이 완료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을 위한 표면처리 가공수단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을 위한 표면처리 가공수단를 모터와 스크류조합에 의해 자동으로 구성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스프레이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는 도 8의 작동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을 위한 표면처리 가공수단은 컨베이어(100")상에서 이송되는 상기 제1앵커(214"), 상기 제2앵커(216"), 상기 받침부재(21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피코팅물(110")의 일정높이에 고정된 고정부(115")에 축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115")에 배치되는 회전수단(120")에 의해 회전되는 센터 사프트(125")와, 상기 센터 사프트(125")의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상방수평보(130")와, 상기 상방 수평보(130")의 양측에 교차하게 수직으로 배치되는 사이드 수직바(140")와, 상기 상방수평보(130")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가 수직으로 미끄럼 결합되며, 상기 상방 수평보(130")에 고정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고정수단(142")을 구비한 이동블럭(145")과, 상기 상방 수평보(130")의 양측하부에서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에 고정되기 위한 제2 고정수단(147")을 구비하며, 피코팅물(110")에 도포되는 도포액를 공급받아 노즐(152")에 의해 피코팅물(110")에 분사하는 스프레이건(150") 및 상기 스프레이건(150")에 가압된 공기를 제공하여 도포액를 피코팅물(110")에 분사시키는 공압펌프(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센터 사프트(125")가 회전수단(120")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센터 사프트(125")에 고정된 상방 수평보(130")가 회전되고, 상방 수평보(130")의 양측에서 사이드 수직바(140")의 하부에 결합된 스프레이건(150")도 회전되는데, 스프레이건(150")의 회전에 의해 스프레이건(150")의 하방에서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피코팅물(110")의 모든 면에 코팅재가 노즐(152")에서 미세하게 분사되어 고른 두께로 도포되고, 코팅재의 도포시간도 단축된다. 그리고, 상방 수평보(130")와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에는 상기 스프레이건(150")의 수평위치 및 수직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눈금이 형성되는데, 작업자가 각 도포물에 따라 얻어진 도포액의 분사거리를 테이블화 하고, 이에 맞게 스프레이건(150")의 수평위치를 상방 수평보(130")에서 조절하고, 사이드 수직바(140")에서 수직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도포물에 맞게 미세하게 도포액을 분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고정수단(142")은 이동블럭(145")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방 수평부에 이동블럭(145")을 고정시키는 수직나사 및 이동블럭(145")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사이드 수직바(140")를 이동블럭(145")에 고정시키는 수평나사이다. 또한, 제2 고정수단(147")은 스프레이건(150")을 사이드 수직바(140")의 하부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스프레이건(150")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을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어야 하는데, 사이드 수직바(140")에 스프레이건(150")을 축 결합하여 연결하는 축바가 형성되고 외주부에 원주방향으로 홀이 형성된 연결판과 연결판의 홀을 통해 스프레이건(150")에 끼워짐으로써, 스프레이건(150")의 분사각을 고정하는 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15")의 일측에는 도포액를 공급하는 도포액 공급부(165") 및 상기 공압탱크(160")가 고정되고, 상기 센터 사프트(125")의 하부에는 상기 도포액 공급부(165")와 관(167")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스프레이건(150")에 관(167")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스프레이건(150")으로 도포액의 공급을 차단하는 도포액 개폐밸브(170")를 구비한 도포액 연결부(175")가 구비되고, 상기 도포액 연결부(175")의 하부에는 상기 공압탱크(160")와 상기 스프레이건(150")에 관(167")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스프레이건으로 가압공기의 공급을 차단하는 가압공기 차단밸브(176")를 구비한 공압 연결부(177")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센터 사프트(125")에는 모터(186")나 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블럭(145")을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평이동수단(180")이 구비되는데, 모터(186")에 의해 이동블럭(145")을 이동시키는 경우, 모터(186")는 센터 사프트(125")에 상방 수평보(130")를 고정시키는 센터블럭(126")의 일면에 한 쌍이 고정되고, 모터(186")에는 스크류 환봉(187")에 연결되며, 스크류 환봉(187")은 이동블럭(145")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암스크류(188")에 연결되고, 모터(186")의 구동에 의해 이동블럭(145")은 상방 수평보(130")에서 미끄럼 이동된다. 이때, 이동블럭(145")의 이동거리는 모터(186")에 결합된 엔코더에 의해 모터(186")의 축 회전수와 모터(186")의 일회전에 의해 스크류 환봉(187")에서 이동되는 암스크류(188")의 이동거리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한편, 모터(186")는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일정각도로 회전되고, 모터(186") 축의 브레이크 기능이 있는 스텝모터(186")를 사용함으로써, 제어부의 의한 모터제어가 간단해질 수 있으며, 브레이크 기능에 모터(186")축을 홀딩하여 이동블럭(145")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블럭(145")은 모터(186")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이동블럭(145")의 이동거리를 설정하고, 제어부에 의해 이동거리에 맞는 회전수로 모터(186")가 회전됨으로써 상방 수평보(130")에서 이동되는데, 이동블럭(145")의 이동거리는 피코팅물(110")에 맞는 스프레이건(150")의 위치에 맞게 제어부에서 미리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이동블럭(145")에는 사이드 수직바(140")를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190")이 구비되는데, 높이조절수단(190")도 수평이동수단(180")과 마찬가지로 모터(186")와 스크류 조합, 또는 공압 실린더의 사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는, 높이조절수단(190")은 모터(196")가 이동블럭(145")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스크류 환봉(197")이 이동블럭(145")에 축 결합되며, 모터(186")와 스크류 환봉(197")이 피니언 기어(199")로 연결되고, 스크류 환봉(197")이 스프레이건(150")에 고정된 암스크류(198")로 연결되며, 이동블럭(145")에 미끄럼 결합된 사이드 수직바(140")가 모터(196")의 구동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는데, 이동블럭(145")의 이동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이동거리가 계산되고, 제어부에 의해 모터(196")의 회전수가 제어됨으로써 사이드 수직바(140")는 피코팅물(110")에 맞는 스프레이건(150")의 위치에 맞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레이건(150")의 노즐(152")은 스프레이건(150")의 단부에서 피코팅물(110")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센터 사프트(125")의 회전에 의해 스프레이건(150")이 회전되는 경우, 코팅재가 피코팅물(110")을 향해 하방으로 고르게 분사된다.
도 12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범퍼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2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표면처리 가공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2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전술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결속되어, 상기 표면처리 가공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키고 진동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멀티 범퍼모듈을 개시한다.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지지대를 거치하기 위한 제1 범퍼모듈(1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범퍼모듈(100)은, 상기 지지대의 단부 일영역이 안착되는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1 안착부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 가압부(1112)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1 가압부(1112)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회전부(1113)가 구비 되는 제1-1 범퍼모듈(1110)과, 상기 지지대의 단부 타영역이 안착되는 제2 안착부(2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 가압부(2112)와,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상기 제2 가압부(2112)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회전부(2113)가 구비되는 제1-2 범퍼모듈(2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압부(1112)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1 안착부(1111)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1 가압부(1112)의 상기 제1 안착부(1111) 대향면상에는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와,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가압부(2112)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2 가압부(2112)의 상기 제2 안착부(2111) 대향면 상에는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와,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가 구비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의 제1-1 정보값 및 상기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의 제1-2 정보값을, 상기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의 제2-1 정보값과 상기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의 제2-2 정보값과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의 제1-1 정보값과 상기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의 제1-2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의 제2-1 정보값과 상기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의 제2-2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상기 지지대는 바(bar) 형상체이며,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에는 각각 상방에서 하방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며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유동 가능한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호 간에 탄성수단(CM)으로 연동되어 수평방향 간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정합을 이루며,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정합을 이루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 사이에서 내부로 가압되어 안착되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는 각각 내부로부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향하는 경사면의 외부로 출몰되는 돌기(O)가 구비된다.
상기 돌기(O)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다수로 구비되고,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O)에 의하여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적어도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 접하는 접촉부가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기(O)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O)가 삽입된다.
상기 지지대의 양측면 상에는 각각 높이방향 상으로 유동되는 승하강 수단(UP)이 구비되며,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상기 제1 회전부(1113)와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상기 제2 회전부(2113)의 상면부 제1 수평영역 상에는 상기 지지대를 향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 유동 가능한 고정수단(HM)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HM)은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1 안착부(1111 및 상기 제2 안착부(2111) 상에 안착된 된상태에서,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의 상방 노출면인 제2 수평영역 적어도 일부 가압하도록 유동되며,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수평영역 상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수단(HM)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수단(HM)은 상기 제2 수평영역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빗변이 상기 지지대 반대편을 향하도록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직삼각형상체이며,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바) 또는 플레이트 형상체로서, 챔퍼가 형성된 하단부로 둘레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고정수단(HM)의 상방을 가압하되,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하단부가 상기 고정수단(HM)의 빗변 적어도 일부와 형합하도록 접촉하여 가압한다.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제1 범퍼모듈(110)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2 범퍼모듈(2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범퍼모듈(200)은,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3 안착부(3111)와, 상기 제3 안착부(3111)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3 회전부(3113)가 구비되는 제2-1 범퍼모듈(3110)과,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4 안착부(4111)와, 상기 제4 안착부(4111)를 수평방향 상에서 일정영역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4 회전부(4113)가 구비되는 제2-2 범퍼모듈(4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안착부(3111)는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4 안착부(4111)는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3 안착부(3111)와 상기 제4 안착부(4111)는 적어도 경사면 일부가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기 제3 회전부(3113) 및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하방에는 상방과 하방간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펌핑모듈(PM)이 구비되며, 상기 펌핑모듈(PM)은, 하판부(BL)와, 상기 제3 안착부(3111),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기 제3 회전부(3113) 및 상기 제4 회전부(4113)가 거치되며, 상기 하판부(BL)로부터 탄성수단 및 폄핑수단을 매개로 상방과 하방 간에 유동 가능한 상판부(UL)를 포함한다. 상기 펌핑수단은 유체의 내장 및 토출을 위하여 유체가 내장되는 내장체(I)와, 외부 가압힘 또는 진동에 기반하여 상기 내장체(I) 상에서 일정하게 유동되어, 상기 내장체(I)의 상기 유체가 분사되도록 하기 위한 가압체(P)가 구비된다. 상기 상판부(UL)와 상기 하판부(BL)는 상호간에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키도록 각각 자성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내장체(I)는 수평방향 단부 상으로 분사노즐(N)이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UL)와 상기 하판부(BL)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유체를 분사하되, 상기 유체는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및 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인 열가소성 수지이거나, 유색을 띠는 기체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는, 외부 하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매개로 상기 제1 범퍼모듈(110) 상에 1차 안착되되, 상기 제1 회전부(1113) 및 상기 제2 회전부(2113)의 선택적인 회전동작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지지대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2 범퍼모듈(200) 상에 2차 안착되거나, 기 설정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강제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제2 범퍼모듈(200) 상에 2차 안착된다.
도 17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범퍼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제1 범퍼모듈(110)과 상기 제2 범퍼모듈 사이에 구비되는 서브 범퍼모듈(3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서브 범퍼모듈(300)은,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1 서브 안착부(1111)S)와,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 서브 가압부(1112S)와,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와 상기 제1 서브 가압부(1112S)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서브 회전부(1113S)가 구비되는 제1 서브 범퍼모듈(3110)과,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2 서브 안착부(2111S)와,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 서브 가압부(2112S)와,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와 상기 제2 서브 가압부(2112S)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서브 회전부(2113S가 구비되는 제2 서브 범퍼모듈(4110)을 개시한다.
상기 제1 서브 가압부(1112S)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1 서브안착부(1111)S)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1 서브 가압부(1112S)의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 대향면 상에는 제1-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1S)와, 제1-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2S)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서브 가압부(2112S)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2 가압부(2112)의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 대향면 상에는 제2-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1S)와, 제2-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2S)가 구비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1S)의 제1-1 서브 정보값 및 상기 제1-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2S)의 제1-2 서브 정보값을, 상기 제2-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1S)의 제2-1 서브 정보값과 상기 제2-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2S)의 제2-2 서브 정보값과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또한,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1S)의 제1-1 서브 정보값과 상기 제1-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2S)의 제1-2 서브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2-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1S)의 제2-1 서브 정보값과상기 제2-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2S)의 제2-2 서브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는, 상기 제2서브 안착부(2111S)를 향하는 대각선 상방 측면부에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챔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는,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를 향하는 대각선 상방 측면부에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챔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L)(즉, (L’)과 동일)는, 외부 하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매개로 상기 제1 범퍼모듈(110)을 경유하여, 상기 제1 서브 범퍼모듈(3110)상에 안착되되, 상기 제1 서브 회전부(1113S) 및 상기 제2 서브 회전부(2113S의 선택적인 회전동작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지지부(L)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1 서브 범퍼모듈(3110) 상에 안착되거나,
기설정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강제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제1 서브 범퍼모듈(3110) 상에 안착된다.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에는 각각 다수의 완충구(EC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범퍼모듈(100을 경유하는 상기 지지부(L)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과 접하며, 상기 완충구(EC)는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의 표면을 덮는 커버형 구조물로서 상호 이웃하여 복수로 배치된다. 상기 완충구(EC)는 내부에 유체 저장을 위한 포켓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에서 내부로부터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완충구(EC)는 내부에 유체 저장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에서 내부로부터 외부로 출몰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외측 대각선 하부면이 챔퍼가 형성되며 상기 제3 회전부(3113)의 외곽을 가압하여 상기 제3 회전부(3113)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1 외곽 가압부(5100)와, 상기 제1 외곽 가압부(5100)에 상방 대각선 방향으로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5200)와, 상기 제1 구동부(5200)의 하방을 지지하는 제1 상단 패널부(5300)와, 상기 제1 상단 패널부(5300)의 하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1 하단 패널부(5400)와, 상기 제1 상단 패널부(5300)와 상기 제1 하단 패널부(5400)사이에 구비되며 내부에 시각적 식별 및 후각적 식별을 위한 기체가 내장되는 제1 캡슐층이 다수 구비되어, 일정 수치의 가압힘이 가해지면 상기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구비되는 제1 캡슐패널(CP1)이 구비되는 제1 외곽 가압모듈(500)과, 상기 제1 외곽 가압모듈(500)의 외측에서 상방과 하방간에 일정 높이로 유동되어, 상기 제1 캡슐층의 기체를 외부로 가속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제1 배출수단(BM1)이 내장 되는 제1 배출모듈(550)과, 외측 대각선 하부면이 챔퍼가 형성되며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외곽을 가압하여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2 외곽가압부(6100)와, 상기 제2 외곽 가압부(6100)에 상방 대각선 방향으로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6200)와, 상기 제2 구동부(6200)의 하방을 지지하는 제2 상단패널부(6300)와, 상기 제2 상단 패널부(6300)의 하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 하단 패널부(6400)와, 상기 제2 상단 패널부(6300)와, 상기 제2 하단 패널부(6400) 사이에 구비되며 내부에 시각적 식별 및 후각적 식별을 위한 기체가 내장되는 제2 캡슐층이 다수 구비되어, 일정 수치의 가압힘이 가해지면 상기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구비되도록 하는 제2 캡슐패널(CP2)가 구비되는 제2 외곽 가압모듈(600)과, 상기 제2 외곽 가압모듈(600)의 외측에서 상방과 하방간에 일정 높이로유동되어, 상기 제2 캡슐층의 기체를 외부로 가속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제2 배출수단(BM2)이 내장되는 제2 배출모듈(650)을 개시한다.
상기 제1 캡슐패널(CP1)은 제1-1 캡슐패널(CP11)과, 상기 제1-1 캡슐패널(CP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2 캡슐패널(CP12)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캡슐패널(CP2)은 제2-1 캡슐패널(CP21)과, 상기 제2-1 캡슐패널(CP2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2 캡슐패널(CP2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모듈(550)의 상기 제1 배출수단(BM1)은 제1 배출수단(BM11)과, 상기 제1 배출수단(BM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2 배출수단(BM12)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배출모듈(650)의 상기 제2 배출수단(BM2)은 제2-1 배출모듈(BM21)과, 상기 제2-1 배출모듈(BM2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2 배출모듈(BM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모듈(550)은 상기 기체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제1 배출수단(BM11) 및 상기 제1-2 배출수단(BM12)이 상기 제1-1 캡슐패널(CP11) 및 상기 제1-2 캡슐패널(CP12)에 대응하도록 유동되며, 상기 제2 배출모듈(650)은 상기 기체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제2-1 배출모듈(BM21) 및 상기 제2-2 배출모듈(BM22)은 상기 제2-1 캡슐패널(CP21) 및 상기 제2-2 캡슐패널(CP22)에 대응하도록 유동된다.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결속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결속모듈은, 상기 컨베이어에서 저면부를 향하는 다수의 지지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부는 길이방향 적어도 일부를 따라 다수의 결속모듈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결속모듈은 제1 결속모듈(71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결속모듈(710)은, 상기 지지부(L1)들 중 제2 지지부(L2)에 결속되는 한 쌍의 외장부(711)와, 상기 각 외장부(711) 내부에 연동되도록 구비되는 내장부(712)와, 상기 외장부(711)에 연동되어 상기 내장부(712) 상에서 진퇴유동방식으로 상기 제2 지지부(L2)를 가압시키는 가압유닛(713)이 구비된다. 상기 제2 지지부(L2)는 상기 가압유닛(713)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 상에 상기 가압유닛(713)과 대응하는 소정의 삽입홈이 구비된다. 상기 가압유닛(713)은 최상단에 구비되는 제1 가압유닛(713a)과, 최하단에 구비되는 제2 가압유닛(713c)과, 중단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 제3 가압유닛(713b)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 지지부(L2)의 상기 삽임홈에 각각 선택적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내장부(712)는 인접하는 상기 제2 지지부(L2)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접착물질(OM)이 충진된다.
상기 내장부(712)의 상방에는 상기 내장부(712)를 가열하여 상기 접착물질(OM)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히팅부(HT1)이 구비되고, 상기 내장부(712)의 하방에는 상기 내장부(712)를 냉각하여 상기 접착물질(OM)을 비활성화 시키기 위한 냉각부(BL1)이 구비된다. 내부에 접착물질(OM)은 상기 외장부(711)와 상기 내장부(712) 간에 구비되는 공급관(SP)을 통해 상기 내장부(712) 상에 공급되되, 상기 제1 가압유닛(713a) 내지 상기 제3 가압유닛(713b)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공급되어 상기 외장부(711), 상기 내장부(712), 상기 가압유닛(713) 및 상기 제2 지지부(L2)를 상호 결속시킨다. 상기 제2 지지부(L2)의 외주면 상에는 식별수단(MM1)이 구비되며, 상기 내장부(712)의 상방에는 상기 식별수단(MM1)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수단(SM1)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유닛(713)은 상기 인식수단(SM1)이 상기 식별수단(MM1)을 인식에 기반하여 상기 삽입홈을 향해 진퇴유동되며, 상기 인식수단(SM1)과 상기 히팅부(HT1)은 상호 인접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인식수단(SM1)과 상기 히팅부(HT1) 사이에는 단열수단(CM1)이 구비된다.
상기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710)과 상응하는 제2 결속모듈(7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결속모듈(720)은 상기 제1 결속모듈(710)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1 체결수단(810)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1 체결수단(810)은 핸들부(811)와, 상기 핸들부(811)로부터 바(bar)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결속모듈(710) 내부로 삽입되는 제1 삽입체(812)와, 상기 핸들부(811)로부터 바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결속모듈(720) 내부로 삽입되는 제2 삽입체(813)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지지부(L2)는 상기 제1 삽입체(812)와 상기 제2 삽입체(813)에 각각 대응하는 제2 삽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삽입체(812) 및 상기 제2 삽입체(813)은 상기 제2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핸들부(811)에는 상기 제1 삽입체(812)와 연동되는 제1 조임부(813)와 상기 제2 삽입체(813)과 연동되는 제2 조임부(814)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조임부(813)와 상기 제2 조임부(814)의 조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삽입체(812)와 상기 제2 삽입체(813)은 상기 핸들부(811)을 상기 제2 지지부(L2)측으로 가압한다.
상기 결속모듈은 기 제1 결속모듈(710)과 상응하는 제3 결속모듈(730) 및 제4 결속모듈(740)을 포함하며, 기 제3 결속모듈(730)은 상기 제2 결속모듈(720)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2 체결수단(820)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4 결속모듈(740)은 상기 제3 결속모듈(730)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3 체결수단(830)을 통해 결속된다. 상기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710)과 대응하며, 상기 지지부(L1)들 중 상기 제2 지지부(L2)와 이웃하는 제2 지지부(L1) 상에 구비되는 제5 결속모듈(750)과, 상기 제2 결속모듈(720)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부(L1) 상에 구비되는 제6 결속모듈(760)과, 상기 제3 결속모듈(730)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부(L1) 상에 구비되는 제7 결속모듈(770)과, 상기 제4 결속모듈(740)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부(L1) 상에 구비되는 제8 결속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5 결속모듈(750)과 상기 제6 결속모듈(760)은 제4 체결수단(840)을 통해 결속되고, 상기 제6 결속모듈(760)과 상기 제7 결속모듈(770)은 제5 체결수단(850)을 통해 결속되고, 상기 제7 결속모듈(770)과 상기 제8 결속모듈은 제6 체결수단(860)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2 체결수단(820) 내지 상기 제6 체결수단(860)은 상기 제1 체결수단(810)과 상응하는 것이다.
상기 제1 결속모듈(710) 내지 상기 제6 결속모듈(760)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모듈(900)이 구비되며, 상기 연동모듈(900)은 제1 실린더부(911)와, 상기 제1 실린더부(911)의 양측에서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1 체결수단(810)과 상기 제4 체결수단(840) 각각에 결속되는 제1-1 피스톤부(912) 및 제1-2 피스톤부(913)를 포함하는 제1 연동부(910)와, 제2 실린더부(921)와, 상기 제2 실린더부(921)의 양측에서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2 체결수단(820)과 상기 제5 체결수단(850) 각각에 결속되는 제2-1 피스톤부(922)와 제2-2 피스톤부(923)를 포함하는 제2 연동부(920)와, 제3 실린더부(931)와, 상기 제3 실린더부(931)의 양측에서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3 체결수단(830)과 상기 제6 체결수단(860) 각각에 결속되는 제3-1 피스톤부(932)와 제3-2 피스톤부(933)를 포함하는 제3 연동부(93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실린더부(911) 및 상기 제3 실린더부(931)는 둘레반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 실린더부(921)의 둘레부에 제2 감지센서(S2)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실린더부(911)의 둘레부 제1 영역에는 제1-1 감지센서(S11)가 구비되며, 제2 영역에는 제1-2 감지센서(S12)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실린더부(931)의 둘레부 제1 영역에는 제3-1 감지센서(S31)가 구비되며, 제2 영역에는 제3-2 감지센서(S32)가 구비되고, 상기 제1-1 감지센서(S11)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와 대응하여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2 감지센서(S12)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보다 작은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3-1 감지센서(S31)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와 대응하여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3-2 감지센서(S32)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보다 작은 면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1 감지센서(S11), 상기 제3-1 감지센서(S31) 및 상기 제2 감지센서(S2)는 상호 간에 위치 이탈 정도를 제1 스케일로 감지하며, 상기 제1 실린더부(911)와 상기 제2 실린더부(921)의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제1-2 감지센서(S12)와 상기 제3-2 감지센서(S32)가 상기 제2 감지센서(S2)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면, 상기 제1-2 감지센서(S12), 상기 제3-2 감지센서(S32) 및 상기 제2 감지센서(S2)는 상호 간에 초기 위치 이탈 정도를 제2 스케일로 감지한다.
상기 제1-1 피스톤부(912)와 상기 제2-1 피스톤부(922)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4 연동부(940)가 구비되며, 상기 제2-1 피스톤부(922)와 상기 제3-1 피스톤부(932)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5 연동부(950)가 구비되며, 상기 제1-2 피스톤부(913)와 상기 제2-2 피스톤부(923)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6 연동부(960)가 구비되며, 상기 제2-2 피스톤부(923)와 상기 제3-2 피스톤부(933)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7 연동부(970)가 구비되며, 상기 제4 연동부(940)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1 유동수단(940)이 구비된다. 상기 제5 연동부(950)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2 유동수단(950)이 구비되며, 상기 제6 연동부(960)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3 유동수단(960)이 구비되며, 상기 제7 연동부(970)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4 유동수단(970)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은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을 향하는 일측에 제4-1 감지센서(S4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4-1 감지센서(S41) 보다 큰 제4-2 감지센서(S42)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유동수단(950)은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을 향하는 일측에 제5-1 감지센서(S5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5-1 감지센서(S51) 보다 큰 제5-2 감지센서(S52)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은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을 향하는 일측에 제6-1 감지센서(S6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6-1 감지센서(S61) 보다 큰 제6-2 감지센서(S62)가 구비되며,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은 상기 제2 유동수단(950)을 향하는 일측에 제7-1 감지센서(S7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7-1 감지센서(S71) 보다 큰 제7-2 감지센서(S72)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유동수단(940) 내지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의 둘레방향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제4-1 감지센서(S41)는 상기 제6-2 감지센서(S62)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5-1 감지센서(S51)는 상기 제7-2 감지센서(S72)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4-2 감지센서(S42)는 상기 제6-1 감지센서(S61)과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5-1 감지센서(S52)는 상기 제7-1 유동수단(S71)과 대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은 상기 제4-1 감지센서(S4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4-2 감지센서(S42)를 이용하여,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의 상기 제6-1 감지센서(S61) 또는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6-2 감지센서(S6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하며, 상기 제2 유동수단(950)은 상기 제5-1 감지센서(S5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유동수단(95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5-1 감지센서(S52)를 이용하여,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의 상기 제6-1 감지센서(S61) 또는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6-2 감지센서(S6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한다.
1.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은 상기 제6-1 감지센서(S6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6-2 감지센서(S62)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의 상기 제4-1 감지센서(S41) 또는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4-2 감지센서(S4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하며,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은 상기 제7-1 감지센서(S7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7-2 감지센서(S72)를 이용하여, 상기 제5 유동수단의 상기 제5-1 감지센서(S51) 또는 상기 제5 유동수단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5-1 감지센서(S5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콘크리트 또는 조적조의 내력벽과 일정한 공간을 두고 축조되는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또는 보수공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벽체의 손상부위와 해당 손상부위에 대한 지지부위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내력벽에 설치공을 천공한 제1앵커, 제2앵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삽입고정시키며, 상기 설치공에 삽입고정된 상기 제1앵커, 상기 제2앵커의 후단에 받침부재를 결합시키되, 상기 제1앵커, 상기 제2앵커, 상기 받침부재는 표면처리 가공수단를 통해 표면처리 가공이 수행되며,
    상기 표면처리 가공수단은,
    컨베이어 상에서 이송되는 상기 제1앵커, 상기 제2앵커, 상기 받침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피코팅물의 일정높이에 고정된 고정부에 축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에 배치되는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센터 샤프트; 상기 센터 샤프트의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된 상방 수평보; 상기 상방 수평보의 양측에 교차하게 수직으로 배치된 사이드 수직바; 상기 상방 수평보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가 수직으로 미끄럼 결합되며, 상기 상방 수평보에 고정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고정수단을 구비한 이동블럭; 상기 상방 수평보의 양측하부에서 상기 사이드 수직바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에 고정되기 위한 제2 고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컨베이어는 저면부를 향하는 다수의 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는 길이방향 적어도 일부를 따라 다수의 결속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결속모듈은 제1 결속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결속모듈은,
    상기 지지부들 중 제1 지지부에 결속되는 한 쌍의 외장부와,
    상기 각 외장부 내부에 연동되도록 구비되는 내장부와,
    상기 외장부에 연동되어 상기 내장부 상에서 진퇴유동방식으로 상기 제1 지지부를 가압시키는 가압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가압유닛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 상에 상기 가압유닛과 대응하는 소정의 삽입홈이 구비되는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보수공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최상단에 구비되는 제1 가압유닛과, 최하단에 구비되는 제2 가압유닛과, 중단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 제3 가압유닛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지지부의 상기 삽임홈에 각각 선택적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내장부는 인접하는 상기 제1 지지부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접착물질이 충진되며,
    상기 내장부의 상방에는 상기 내장부를 가열하여 상기 접착물질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히팅부이 구비되고,
    상기 내장부의 하방에는 상기 내장부를 냉각하여 상기 접착물질을 비활성화 시키기 위한 냉각부이 구비되는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보수공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내부에 접착물질은,
    상기 외장부와 상기 내장부 간에 구비되는 공급관을 통해 상기 내장부 상에 공급되되,
    상기 제1 가압유닛 내지 상기 제3 가압유닛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공급되어 상기 외장부, 상기 내장부, 상기 가압유닛 및 상기 제1 지지부를 상호 결속시키는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보수공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의 외주면 상에는 식별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내장부의 상방에는 상기 식별수단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인식수단이 상기 식별수단을 인식에 기반하여 상기 삽입홈을 향해 진퇴유동되며,
    상기 인식수단과 상기 히팅부은 상호 인접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인식수단과 상기 히팅부 사이에는 단열수단이 구비되는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보수공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과 상응하는 제2 결속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1 체결수단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1 체결수단은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로부터 바(bar)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결속모듈 내부로 삽입되는 제1 삽입체와,
    상기 핸들부로부터 바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결속모듈 내부로 삽입되는 제2 삽입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삽입체와 상기 제2 삽입체에 각각 대응하는 제2 삽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삽입체 및 상기 제2 삽입체은 상기 제2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핸들부에는 상기 제1 삽입체와 연동되는 제1 조임부와 상기 제2 삽입체과 연동되는 제2 조임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조임부와 상기 제2 조임부의 조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삽입체와 상기 제2 삽입체은 상기 핸들부을 상기 제1 지지부측으로 가압하는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보수공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과 상응하는 제3 결속모듈 및 제4 결속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결속모듈은 상기 제2 결속모듈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2 체결수단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4 결속모듈은 상기 제3 결속모듈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3 체결수단을 통해 결속되되,
    상기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과 대응하며, 상기 지지부들 중 상기 제1 지지부와 이웃하는 제2 지지부 상에 구비되는 제5 결속모듈과,
    상기 제2 결속모듈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부 상에 구비되는 제6 결속모듈과,
    상기 제3 결속모듈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부 상에 구비되는 제7 결속모듈과,
    상기 제4 결속모듈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부 상에 구비되는 제8 결속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5 결속모듈과 상기 제6 결속모듈은 제4 체결수단을 통해 결속되고,
    상기 제6 결속모듈과 상기 제7 결속모듈은 제5 체결수단을 통해 결속되고,
    상기 제7 결속모듈과 상기 제8 결속모듈은 제6 체결수단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2 체결수단 내지 상기 제6 체결수단은 상기 제1 체결수단과 상응하는 것인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보수공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모듈 내지 상기 제6 결속모듈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연동모듈은,
    제1 실린더부와, 상기 제1 실린더부의 양측에서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1 체결수단과 상기 제4 체결수단 각각에 결속되는 제1-1 피스톤부 및 제1-2 피스톤부를 포함하는 제1 연동부와,
    제2 실린더부와, 상기 제2 실린더부의 양측에서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2 체결수단과 상기 제5 체결수단 각각에 결속되는 제2-1 피스톤부와 제2-2 피스톤부를 포함하는 제2 연동부와,
    제3 실린더부와, 상기 제3 실린더부의 양측에서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3 체결수단과 상기 제6 체결수단 각각에 결속되는 제3-1 피스톤부와 제3-2 피스톤부를 포함하는 제3 연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실린더부 및 상기 제3 실린더부는 둘레반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 실린더부의 둘레부에 제2 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실린더부의 둘레부 제1 영역에는 제1-1 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제2 영역에는 제1-2 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실린더부의 둘레부 제1 영역에는 제3-1 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제2 영역에는 제3-2 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1-1 감지센서는 상기 제2 감지센서와 대응하여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2 감지센서는 상기 제2 감지센서보다 작은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3-1 감지센서는 상기 제2 감지센서와 대응하여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3-2 감지센서는 상기 제2 감지센서보다 작은 면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1 감지센서, 상기 제3-1 감지센서 및 상기 제2 감지센서는 상호 간에 위치 이탈 정도를 제1 스케일로 감지하며,
    상기 제1 실린더부와 상기 제2 실린더부의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제1-2 감지센서와 상기 제3-2 감지센서가 상기 제2 감지센서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면,
    상기 제1-2 감지센서, 상기 제3-2 감지센서 및 상기 제2 감지센서는 상호 간에 초기 위치 이탈 정도를 제2 스케일로 감지하는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보수공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1 피스톤부와 상기 제2-1 피스톤부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4 연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1 피스톤부와 상기 제3-1 피스톤부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5 연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2 피스톤부와 상기 제2-2 피스톤부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6 연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2 피스톤부와 상기 제3-2 피스톤부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7 연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4 연동부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1 유동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제5 연동부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2 유동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제6 연동부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3 유동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제7 연동부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4 유동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동수단은 상기 제3 유동수단을 향하는 일측에 제4-1 감지센서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4-1 감지센서 보다 큰 제4-2 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유동수단은 상기 제4 유동수단을 향하는 일측에 제5-1 감지센서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5-1 감지센서 보다 큰 제5-2 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유동수단은 상기 제1 유동수단을 향하는 일측에 제6-1 감지센서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6-1 감지센서 보다 큰 제6-2 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4 유동수단은 상기 제2 유동수단을 향하는 일측에 제7-1 감지센서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7-1 감지센서 보다 큰 제7-2 감지센서가 구비되는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보수공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동수단 내지 상기 제4 유동수단의 둘레방향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제4-1 감지센서는 상기 제6-2 감지센서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5-1 감지센서는 상기 제7-2 감지센서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4-2 감지센서는 상기 제6-1 감지센서과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5-1 감지센서는 상기 제7-1 유동수단과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보수공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동수단은 상기 제4-1 감지센서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유동수단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4-2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3 유동수단의 상기 제6-1 감지센서 또는 상기 제3 유동수단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6-2 감지센서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하며,
    상기 제2 유동수단은 상기 제5-1 감지센서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유동수단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5-1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4 유동수단의 상기 제6-1 감지센서 또는 상기 제4 유동수단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6-2 감지센서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하며,
    상기 제3 유동수단은 상기 제6-1 감지센서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3 유동수단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6-2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유동수단의 상기 제4-1 감지센서 또는 상기 제1 유동수단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4-2 감지센서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하며,
    상기 제4 유동수단은 상기 제7-1 감지센서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4 유동수단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7-2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5 유동수단의 상기 제5-1 감지센서 또는 상기 제5 유동수단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5-1 감지센서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하는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보수공법.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하방에 결속되어, 상기 표면처리 가공수단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키고 진동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멀티 범퍼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제1 상기 지지부를 거치하기 위한 제1 범퍼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범퍼모듈은,
    상기 지지부의 단부 일영역이 안착되는 제1 안착부와,
    상기 제1 안착부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 가압부와,
    상기 제1 안착부와, 상기 제1 가압부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회전부가 구비되는 제1-1 범퍼모듈과,
    상기 지지부의 단부 타영역이 안착되는 제2 안착부와,
    상기 제2 안착부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 가압부와,
    상기 제2 안착부와, 상기 제2 가압부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회전부가 구비되는 제1-2 범퍼모듈을 포함하는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보수공법.
KR1020180059602A 2018-05-25 2018-05-25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보수공법 KR101945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602A KR101945195B1 (ko) 2018-05-25 2018-05-25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보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602A KR101945195B1 (ko) 2018-05-25 2018-05-25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보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5195B1 true KR101945195B1 (ko) 2019-02-07

Family

ID=65367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602A KR101945195B1 (ko) 2018-05-25 2018-05-25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보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1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5463A (zh) * 2019-08-19 2019-11-19 台州弘锐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塑性加工成型金属件精加工工艺
KR102388931B1 (ko) * 2021-10-08 2022-04-21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벽체 전도방지용 보강장치
KR102619614B1 (ko) * 2023-07-14 2023-12-28 선유규 실리카졸 코팅제 제조방법 및 실리카졸 코팅제가 코팅된 스테인레스 보강핀을 이용한 치장벽돌의 내력 보강 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639B1 (ko) 2006-11-30 2007-10-23 (주)혜창 미세한 코팅막을 균일하게 성형하기 위한 스프레이 장치
KR101681139B1 (ko) 2016-03-11 2016-11-30 진유동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또는 보수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또는 보수공법
KR101854577B1 (ko) 2017-11-20 2018-05-03 최건희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시공시스템을 이용한 보수 보강 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639B1 (ko) 2006-11-30 2007-10-23 (주)혜창 미세한 코팅막을 균일하게 성형하기 위한 스프레이 장치
KR101681139B1 (ko) 2016-03-11 2016-11-30 진유동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또는 보수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또는 보수공법
KR101854577B1 (ko) 2017-11-20 2018-05-03 최건희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시공시스템을 이용한 보수 보강 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5463A (zh) * 2019-08-19 2019-11-19 台州弘锐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塑性加工成型金属件精加工工艺
KR102388931B1 (ko) * 2021-10-08 2022-04-21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벽체 전도방지용 보강장치
KR102619614B1 (ko) * 2023-07-14 2023-12-28 선유규 실리카졸 코팅제 제조방법 및 실리카졸 코팅제가 코팅된 스테인레스 보강핀을 이용한 치장벽돌의 내력 보강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5195B1 (ko)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보수공법
KR101966777B1 (ko)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US20110131892A1 (en) Green Precast Mold
KR101928702B1 (ko) 모듈러 주택의 조립용 지그
KR101681139B1 (ko)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또는 보수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또는 보수공법
EP2221425B1 (en) Wall frame
KR101969992B1 (ko) 이동형 주택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51280B1 (ko) 프리캐스트 rdm 하우스 및 안내경사면이 구비된 사일로 및 상기 사일로의 시공방법
KR200401001Y1 (ko) 관로 보수용 미장장치
KR101928361B1 (ko) 배관용 소방설비 시공방법
JP5215885B2 (ja) 柱主筋継手のグラウト用型枠の支持方法と、位置固定治具及びグラウト用型枠ユニット
KR101560884B1 (ko) 내화피복 일체형 강관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92902B1 (ko)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조립체
KR101908292B1 (ko) 건물 내진 보강 공법
JP2005240382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下面補修方法
JP2010126955A (ja) 沈下床の修正工法
KR102143774B1 (ko) 맨홀 내부 보수 장치 및 맨홀 내부 보수 방법
KR101915935B1 (ko) 공기단축 시공 공법
KR102023346B1 (ko) 에이치빔 인출용 이형제 도포장치
KR101915934B1 (ko) 공기단축이 가능한 pc-sf공법
KR101915936B1 (ko) 공기단축공법
KR101913073B1 (ko) 아파트의 천장패널 시공방법
KR101933871B1 (ko) 아파트 벽체의 내진 성능 개선 방법
KR101908895B1 (ko) 아파트 천장슬라브 시공방법
KR101931055B1 (ko) 아파트 지하주차장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