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902B1 -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902B1
KR101892902B1 KR1020180059656A KR20180059656A KR101892902B1 KR 101892902 B1 KR101892902 B1 KR 101892902B1 KR 1020180059656 A KR1020180059656 A KR 1020180059656A KR 20180059656 A KR20180059656 A KR 20180059656A KR 101892902 B1 KR101892902 B1 KR 101892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dule
air vent
binding module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채
Original Assignee
이형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채 filed Critical 이형채
Priority to KR1020180059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9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4Moulds having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5/00Plastic article or earthenware shaping or treating: apparatus
    • Y10S425/812Venting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조립체로서, 상방으로 개방된 수용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수용구에 수납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걸리는 헤드가 형성된 왕복축;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관통된 배기홀; 상기 왕복축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홀; 및 상기 삽입홀에 끼워져서 상기 바닥면에 지지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벤트 조립체는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통해 표면처리 가공된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조립체{Air vent assembly for injection mold}
본 발명은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고장 발생을 방지하며, 유지보수도 용이할 뿐만 아니라, 표면부 상에 표면처리 가공을 통해 제품 활용 전은 물론 활용 후에도 각종 이물 접촉에 의한 오염을 최소화시켜 유지 관리가 용이하며 품질이 향상된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조립체가 사출금형에 장착된 상태에서 소재 용융물이 주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사출금형에 소재 용융물이 충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배경기술에 의한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조립체가 사출금형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품이 인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신발의 밑창이나 깔창은, 합성수지 용융물(J)을 사출금형(50)에 주입하여 응고시켜서 성형시킨다. 이때 사출금형(50) 내부에 에어가 충전된 상태이므로 합성수지 용융물(J)이, 사출금형(50) 내부의 성형홈(57)에 구석구석 흘러들어갈 수 없게 되고, 상기 합성수지 용융물(J)이 에어에 포함된 산소에 의해서, 산화되어 변색되므로 불량을 발생시키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출금형(50)에 합성수지 용융물(J)이 주입될 때, 상기 사출금형(50) 내부에 충전된 에어를 배기시킬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에어벤트(1)를 사용한다. 상기 에어벤트(1)는 상형(53)과 하형(55)으로 구성된 사출금형(50)에 있어서 상기 하형(55)에 설치된다. 즉, 상기 하형(55)의 하방에서 상기 성형홈(57)으로 연결된 장착홀(59)이 구성되고 상기 장착홀(59)에 상기 에어벤트(1)가 삽입되어 구성된다. 에어벤트(1)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하방으로 관통된 내측홀(11)이 형성된 바디(10)가 구성되고, 상기 내측홀(11)에 삽입되어 상기 내측홀(11)의 상부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상단에 헤드(23)가 형성되어 상기 내측홀(11)의 상단에 걸리므로 닫힘 기능을 하는 왕복축(2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측홀(11)에는 단턱(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왕복축(20)이 통과되는 것으로서 상기 단턱(13)에 지지되고 상기 헤드(23)의 하단에 걸리는 압축스프링(3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단턱(13)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바디(10) 하방으로 관통되는 배기홀(15)이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에어벤트(1)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처럼, 상기 사출금형(50)의 하형(55)에 상기 에어벤트(1)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형(53)과 하형(55)을 부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사출금형(50) 속으로 합성수지 용융물(J)을 주입한다. 이때, 상기 왕복축(20)은 압축스프링(30)에 의해서 상승한 상태이므로 상기 내측홀(11)과 배기홀(15)은 하형(55)의 하방으로 개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출금형(50) 내부의 에어는 합성수지 용융물(J)에 의해서 밀려나면서 상기 내측홀(11)과 배기홀(15)을 통해서 배출된다. 그러다가, 도 2에서처럼, 합성수지 용융물(J)이 사출금형(50) 내부에 충전된 상태가 되면 합성수지 용융물(J)이 상기 왕복축(20)의 헤드(23)를 하방으로 압축하게 되면서 상기 헤드(23)가 내측홀(11)을 닫게 되어, 합성수지 용융물(J)이 내측홀(11)을 통해서 에어벤트(1)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렇게 해서 합성수지 용융물(J)이 응고되면 상기 상형(53)과 하형(55)을 분리하므로 도 3에서처럼 제품(M)을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왕복축(20)은 상방으로 복원되면서 내측홀(11)은 상방으로 개방된다. 상기 배경기술에 의한 에어벤트(1)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배기되는 상기 에어와 함께 상기 합성수지 용융물(J)에서 발생하는 기체도 상기 내측홀(11)과 배기홀(15)을 통해서 배기되는데, 상기 기체에 포함된 타르가 상기 압축스프링(30)과 왕복축(20)에 잔류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사출금형(50)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타르가 응고되면서 상기 압축스프링(30)이 왕복축(20)에 부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막상 사용할 때에는 상기 압축스프링(30)이 압축되지 않게 되어, 합성수지 용융물(J)이 상기 내측홀(11)로 유입되어 폐색하게 되므로, 에어벤트(1)를 폐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역으로 상기 압축스프링(30)이 눌러진 상태에서 제품(M)이 사출금형(50)에서 이탈되었는데도 상기 압축스프링(30)과 왕복축(20) 사이에 점성이 높은 상기 타르가 개재되어 왕복축(20)이 상방으로 복원되지 않게 되어, 사용 시에 에어가 배기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매일 분해하여 상기 타르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 왕복축(20)의 하단부에는 스냅링(27)이 장착되어 상기 바디(10)의 하단에 걸리므로 왕복축(20)이 상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타르를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 스냅링(27)을 분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스냅링(27)을 주로 사용하게 되는데, 사이즈가 작아서 스냅링 집게로 일일이 이탈시켰다가 장착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출금형의 에어벤트 자체의 오염 및 노후화로 제품 성형 과정 상의 사출금형의 동작 신뢰성 확보가 및 최종 사출물의 품질 보증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표면부 상에 표면처리 가공을 통해 제품 사용 전은 물론 사용 후에도 각종 이물 접촉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30047호
본 발명은, 고장 발생을 방지하며, 유지보수도 용이할 뿐만 아니라, 표면부 상에 표면처리 가공을 통해 제품 사용전은 물론 사용후에도 각종 이물 접촉에 의한 오염을 최소화시켜 유지 관리가 용이하며 품질이 향상된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조립체로서, 상방으로 개방된 수용구(110)가 형성된 하우징(100); 상기 수용구(110)에 수납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에 걸리는 헤드(240)가 형성된 왕복축(200);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면(120)에 관통된 배기홀(130); 상기 왕복축(200)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홀(210); 및 상기 삽입홀(210)에 끼워져서 상기 바닥면(120)에 지지되는 압축스프링(300)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00)은 표면 처리 수단을 통해 이물 부착이 최소화되도록 표면 처리 가공되는 것인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는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조립체에 의하면 에어벤트의 기본적인 유지 보수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오염원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여 사출금형의 도작 신뢰성 확보가 가능하며 최종 사출물의 품질 향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내지 도 3은 종래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조립체를 종방향으로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조립체를 사출금형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사출금형에 소재 용융물이 충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조립체에 구성되는 하우징의 캡과 개폐축의 상부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을 위한 표면처리 가공수단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을 위한 표면처리 가공수단를 모터와 스크류조합에 의해 자동으로 구성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스프레이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작동도이다.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범퍼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8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범퍼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0 내지 도 22은 본 발명의 결속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조립체를 종방향으로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조립체를 사출금형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사출금형에 소재 용융물이 충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조립체에 구성되는 하우징의 캡과 개폐축의 상부축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조립체(90)는, 상방으로 개방된 수용구(110, 收容口)가 형성된 하우징(100)이 구성되고, 상기 수용구(110)에 수납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에 걸리는 헤드(240)가 형성된 왕복축(20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면(120)에 관통된 배기홀(130)이 구성되고, 상기 왕복축(200)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홀(210)이 구성되며,상기 삽입홀(210)에 끼워져서 상기 바닥면(120)에 지지되는 압축스프링(300)이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방으로 개방된 용기(容器) 형상의 바디(140)가 구성되고, 상기 바디(140)의 상방에 착탈되는 캡(150)이 구성된다. 상기 수용구(110)는, 상기 바디(140)에 형성되어 상방으로 개방된 하부 수용구(115)가 구성되고, 상기 하부 수용구(115)에 연결되도록 상기 캡(150)에 상하방으로 관통된 상부 수용구(111)가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면(120)은 상기 바디(140)의 바닥면(120)으로서, 상기 배기홀(130)은 상기 압축스프링(300)의 둘레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바닥면(120)은 에어를 배기시키는 배기홀(130)이 형성되면서 압축스프링(30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140)와 캡(150)이 탈착되는 구조로서, 상기 바디(140)의 외측면 및 상기 캡(150)의 외측면 중어느 하나에 형성된 수나사부(143)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나사부(143)에 체결되도록, 상기 바디(140)의 내측면 및 상기 캡(150)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암나사부(155)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호 체결에 의해서 결합이 가능하다. 일례로서, 도 5에서는 바디(140)의 외측면에 수나사부(143)가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부(143)에 체결되도록 캡(150)의 내측면에 암나사부(155)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캡(150)에 형성된 상부 수용구(111)의 상단 둘레를 따라 챔퍼링 면(C)이 형성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헤드(240)의 테이퍼 면(T)과 밀착되어 기밀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수용구(111)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하방으로 개방된 유입홈(X)이 구성되므로 에어가 신속하게 배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유입홈(X)은 상기 테이퍼 면(T)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도 5에서처럼 상기 캡(150)은 내측면에 암나사부(155)가 형성된 경우, 상기 상부 수용구(111)와 암나사부(155) 사이에는 단턱(K)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수용구(111)의 폭은 하부 수용구(115)의 폭보다 작게 형성하므로 상기 단턱(K)은 하부 수용구(115)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턱(K)은 상부 수용구(111)의 하단이 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만약, 상기 캡(150)의 외측면에 수나사부(143)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140)의 내측면에 암나사부(155)가 형성된 경우에도 상기 상부 수용구(111)의 폭이 하부 수용구(115)의 폭보다 작게 형성하므로 단턱(K)이 하부 수용구(115)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한다. 이때, 상기 단턱(K)은 상기 캡(150)의 하단이 된다. 상기 왕복축(200)은, 상기 단턱(K)에 걸리는 단턱(U)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삽입홀(210)이 하단에 형성된 하부축(220)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축(22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헤드(240)가 상단에 형성된 상부축(230)이 구성된다. 상기 하부축(220)의 폭이 상기 상부축(230)의 폭보다 크게 형성하므로 상기 단턱(U)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하부축(220)과 상부축(230)은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일례로서, 상기 하부축(220)의 상단과 상기상부축(230)의 하단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수나사축(223)이 구성되고, 상기 수나사축(223)에 체결되도록, 상기 하부축(220)의 상단과 상기 상부축(230)의 하단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탭홀(237)이 구성된다. 도면 5에서는 하부축(220)의 상단에 수나사축(223)이 구성되고, 상기 상부축(230)의 하단에는 상기 수나사축(223)에 체결되는 탭홀(237)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챔퍼링 면(C)에 밀착되도록 상기 헤드(240)의 외측면에 형성된 테이퍼 면(T)이 구성되어 밀착 시 기밀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헤드(240)의 상면에 형성된 드라이버 홈(G)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축(220)은 단면이 다각형이 되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하부축(220)을 스패너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상기 드라이버 홈(G)에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용이하게 상부축(230)을 돌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에서처럼,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조립체(90)를 사출금형(50)의 하형(55)에 설치한 후에 사출금형(50)의 하형(55)에 상형(53)을 부합시킨다. 이때, 상기 왕복축(200)은 압축스프링(300)의 팽창력에 의해서 상방으로 상승하여 상기 테이퍼면(T)과 챔퍼링 면(C)은 이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왕복축(200)의 단턱(U)이 상기 하우징(100)의 단턱(K)에 걸리기 때문에 왕복축(200)이 상방으로 이탈되는 현상은 방지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사출금형(50)으로 합성수지 용융물(J)을 주입한다. 그러면, 상기 상형(53)과 하형(55)의 성형홈(57)으로 합성수지 용융물(J)이 충전되면서 상기 성형홈(57)에 잔류하던 에어가 상기 챔퍼링 면(C)과 테이퍼면(T)의 사이를 통해서 유입된 후에 상기 바디(140)를 지나서 상기 배기홀(130)을 통해서 외부로 배기된다. 이때, 상기 유입홈(X)으로 인해서 유입량을 늘일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배기가 가능하다. 이렇게 해서 도 7에서처럼 합성수지 용융물(J)이 주입되는 압력에 의해서 상기 성형홈(57)의 내부에 채워져서 상기 왕복축(200)의 헤드(240)를 압박하게 되면, 상기 왕복축(200)은 하강하면서 헤드(240)의 테이퍼 면(T)은 상부 수용구(111)의 챔퍼링 면(C)에 밀착되어 기밀이 가능하도록 한다. 물론, 이때, 성형홈(57)의 내부에 잔류하던 에어의 배기는 완료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합성수지 용융물(J)이 성형홈(57)의 내부에 충전되면서 에어가 배기되기 때문에 합성수지 용융물(J)이 유동성이 향상되어 밀도가 균일한 제품의 성형이 가능하다. 또한, 에어를 배기시킨 상태에서 합성수지 용융물을 응고시키기 때문에 상기 에어 속에 포함된 산소로 인해서 제품이 산화되어 변색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축(220)에 압축스프링(300)이 수용된 상태이기 때문에 배기되는 에어에 포함된 합성수지용융물(J)의 타르가 상기 압축스프링(300)을 오염시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경기술에 비해서 장시간 왕복축(200)의 승강 작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은 캡(150)과 바디(140)가 암나사부(155)와 수나사부(143)의 체결에 의해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캡(150) 또는 바디(140)를 돌려서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고 조합시킬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캡(150)과 바디(140)를 분리한 경우, 상기 왕복축(200)은 캡(150)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왕복축(200)은 상부축(230)과 하부축(220)으로 분리하므로 캡(15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압축스프링(300)을 하부축(220)의 삽입홀(210)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100)과 왕복축(200)에 오염된 타르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을 위한 표면처리 가공수단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을 위한 표면처리 가공수단를 모터와 스크류조합에 의해 자동으로 구성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스프레이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작동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을 위한 표면처리 가공수단은 컨베이어(100)상에서 이송되는 에어벤트 조립체 또는 상기 에어벤트 조립체를 이루는 전술한 구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피코팅물(110)의 일정높이에 고정된 고정부(115)에 축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115)에 배치되는 회전수단(120)에 의해 회전되는 센터 사프트(125)와, 상기 센터 사프트(125)의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상방수평보(130)와, 상기 상방 수평보(130)의 양측에 교차하게 수직으로 배치되는 사이드 수직바(140)와, 상기 상방수평보(130)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가 수직으로 미끄럼 결합되며, 상기 상방 수평보(130)에 고정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고정수단(142)을 구비한 이동블럭(145)과, 상기 상방 수평보(130)의 양측하부에서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에 고정되기 위한 제2 고정수단(147)을 구비하며, 피코팅물(110)에 도포되는 도포액를 공급받아 노즐(152)에 의해 피코팅물(110)에 분사하는 스프레이건(150) 및 상기 스프레이건(150)에 가압된 공기를 제공하여 도포액를 피코팅물(110)에 분사시키는 공압펌프(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센터 사프트(125)가 회전수단(120)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센터 사프트(125)에 고정된 상방 수평보(130)가 회전되고, 상방 수평보(130)의 양측에서 사이드 수직바(140)의 하부에 결합된 스프레이건(150)도회전되는데, 스프레이건(150)의 회전에 의해 스프레이건(150)의 하방에서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피코팅물(110)의 모든 면에 코팅재가 노즐(152)에서 미세하게 분사되어 고른 두께로 도포되고, 코팅재의 도포시간도단축된다. 그리고, 상방 수평보(130)와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에는 상기 스프레이건(150)의 수평위치 및 수직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눈금이 형성되는데, 작업자가 각 도포물에 따라 얻어진 도포액의 분사거리를 테이블화 하고, 이에 맞게 스프레이건(150)의 수평위치를 상방 수평보(130)에서 조절하고, 사이드 수직바(140)에서 수직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도포물에 맞게 미세하게 도포액을 분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고정수단(142)은 이동블럭(145)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방 수평부에 이동블럭(145)을 고정시키는 수직나사 및 이동블럭(145)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사이드 수직바(140)를 이동블럭(145)에 고정시키는 수평나사이다. 또한, 제2 고정수단(147)은 스프레이건(150)을 사이드 수직바(140)의 하부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스프레이건(150)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을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어야 하는데, 사이드 수직바(140)에 스프레이건(150)을 축 결합하여 연결하는 축바가 형성되고 외주부에 원주방향으로 홀이 형성된 연결판과 연결판의 홀을 통해 스프레이건(150)에 끼워짐으로써, 스프레이건(150)의 분사각을 고정하는 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15)의 일측에는 도포액를 공급하는 도포액 공급부(165) 및 상기 공압탱크(160)가 고정되고, 상기 센터 사프트(125)의 하부에는 상기 도포액 공급부(165)와 관(167)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스프레이건(150)에 관(167)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스프레이건(150)으로 도포액의 공급을 차단하는 도포액 개폐밸브(170)를 구비한 도포액 연결부(175)가 구비되고, 상기 도포액 연결부(175)의 하부에는 상기 공압탱크(160)와 상기 스프레이건(150)에 관(167)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스프레이건으로 가압공기의 공급을 차단하는 가압공기 차단밸브(176)를 구비한 공압 연결부(177)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센터 사프트(125)에는 모터(186)나 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블럭(145)을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평이동수단(180)이 구비되는데, 모터(186)에 의해 이동블럭(145)을 이동시키는 경우, 모터(186)는 센터 사프트(125)에 상방 수평보(130)를 고정시키는 센터블럭(126)의 일면에 한 쌍이 고정되고, 모터(186)에는 스크류 환봉(187)에 연결되며, 스크류 환봉(187)은 이동블럭(145)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암스크류(188)에 연결되고, 모터(186)의 구동에 의해 이동블럭(145)은 상방 수평보(130)에서 미끄럼 이동된다. 이때, 이동블럭(145)의 이동거리는 모터(186)에 결합된 엔코더에 의해 모터(186)의 축 회전수와 모터(186)의 일회전에 의해 스크류 환봉(187)에서 이동되는 암스크류(188)의 이동거리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한편, 모터(186)는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일정각도로 회전되고, 모터(186) 축의 브레이크 기능이 있는 스텝모터(186)를 사용함으로써, 제어부의 의한 모터제어가 간단해질 수 있으며, 브레이크 기능에 모터(186)축을 홀딩하여 이동블럭(145)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블럭(145)은 모터(186)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이동블럭(145)의 이동거리를 설정하고, 제어부에 의해 이동거리에 맞는 회전수로 모터(186)가 회전됨으로써 상방 수평보(130)에서 이동되는데, 이동블럭(145)의 이동거리는 피코팅물(110)에 맞는 스프레이건(150)의 위치에 맞게 제어부에서 미리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이동블럭(145)에는 사이드 수직바(140)를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190)이 구비되는데, 높이조절수단(190)도수평이동수단(180)과 마찬가지로 모터(186)와 스크류 조합, 또는 공압 실린더의 사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는, 높이조절수단(190)은 모터(196)가 이동블럭(145)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스크류 환봉(197)이 이동블럭(145)에 축 결합되며, 모터(186)와 스크류 환봉(197)이 피니언 기어(199)로 연결되고, 스크류 환봉(197)이 스프레이건(150)에 고정된 암스크류(198)로 연결되며, 이동블럭(145)에 미끄럼 결합된 사이드 수직바(140)가 모터(196)의 구동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는데, 이동블럭(145)의 이동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이동거리가 계산되고, 제어부에 의해 모터(196)의 회전수가 제어됨으로써 사이드 수직바(140)는 피코팅물(110)에 맞는 스프레이건(150)의 위치에 맞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레이건(150)의 노즐(152)은 스프레이건(150)의 단부에서 피코팅물(110)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센터 사프트(125)의 회전에 의해 스프레이건(150)이 회전되는 경우, 코팅재가 피코팅물(110)을 향해 하방으로 고르게 분사된다.
도 13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3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표면처리 가공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3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전술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결속되어, 상기 표면처리 가공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키고 진동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멀티 범퍼모듈을 개시한다.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지지대를 거치하기 위한 제1 범퍼모듈(1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범퍼모듈(100')은, 상기 지지대의 단부 일영역이 안착되는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1 안착부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 가압부(1112')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1 가압부(1112')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회전부(1113')가 구비 되는 제1-1 범퍼모듈(1110')과, 상기 지지대의 단부 타영역이 안착되는 제2 안착부(2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 가압부(2112')와,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상기 제2 가압부(2112')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회전부(2113')가 구비되는 제1-2 범퍼모듈(2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압부(1112')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1 안착부(1111')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1 가압부(1112')의 상기 제1 안착부(1111') 대향면상에는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와,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가압부(2112')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2 가압부(2112')의 상기 제2 안착부(2111') 대향면 상에는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와,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가 구비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의 제1-1 정보값 및 상기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의 제1-2 정보값을, 상기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의 제2-1 정보값과 상기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의 제2-2 정보값과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의 제1-1 정보값과 상기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의 제1-2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의 제2-1 정보값과 상기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의 제2-2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상기 지지대는 바(bar) 형상체이며,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에는 각각 상방에서 하방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며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유동 가능한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호 간에 탄성수단(CM)으로 연동되어 수평방향 간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정합을 이루며,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정합을 이루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 사이에서 내부로 가압되어 안착되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는 각각 내부로부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향하는 경사면의 외부로 출몰되는 돌기(O)가 구비된다.
상기 돌기(O)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다수로 구비되고,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O)에 의하여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적어도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 접하는 접촉부가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기(O)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O)가 삽입된다.
상기 지지대의 양측면 상에는 각각 높이방향 상으로 유동되는 승하강 수단(UP)이 구비되며,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상기 제1 회전부(1113')와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상기 제2 회전부(2113')의 상면부 제1 수평영역 상에는 상기 지지대를 향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 유동 가능한 고정수단(HM)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HM)은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1 안착부(1111 및 상기 제2 안착부(2111') 상에 안착된 된상태에서,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의 상방 노출면인 제2 수평영역 적어도일부 가압하도록 유동되며,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적어도일부가 상기 제2 수평영역 상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수단(HM)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수단(HM)은 상기 제2 수평영역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빗변이 상기 지지대 반대편을 향하도록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직삼각형상체이며,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바) 또는 플레이트 형상체로서, 챔퍼가 형성된 하단부로 둘레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고정수단(HM)의 상방을 가압하되,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하단부가 상기 고정수단(HM)의 빗변 적어도일부와 형합하도록 접촉하여 가압한다.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제1 범퍼모듈(110')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2 범퍼모듈(2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범퍼모듈(200')은,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3 안착부(3111')와, 상기 제3 안착부(3111')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3 회전부(3113')가 구비되는 제2-1 범퍼모듈(3110')과,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4 안착부(4111')와, 상기 제4 안착부(4111')를 수평방향 상에서 일정영역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4 회전부(4113')가 구비되는 제2-2 범퍼모듈(4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안착부(3111')는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4 안착부(4111')는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3 안착부(3111')와 상기 제4 안착부(4111')는 적어도경사면 일부가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기 제3 회전부(3113') 및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하방에는 상방과 하방간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펌핑모듈(PM)이 구비되며, 상기 펌핑모듈(PM)은, 하판부(BL')와, 상기 제3 안착부(3111'),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기 제3 회전부(3113') 및 상기 제4 회전부(4113')가 거치되며, 상기 하판부(BL')로부터 탄성수단 및 폄핑수단을 매개로 상방과 하방 간에 유동 가능한 상판부(UL')를 포함한다. 상기 펌핑수단은 유체의 내장 및 토출을 위하여 유체가 내장되는 내장체(I')와, 외부 가압힘 또는 진동에 기반하여 상기 내장체(I') 상에서 일정하게 유동되어, 상기 내장체(I')의 상기 유체가 분사되도록 하기 위한 가압체(P)가 구비된다. 상기 상판부(UL')와 상기 하판부(BL')는 상호간에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키도록 각각 자성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내장체(I')는 수평방향 단부 상으로 분사노즐(N')이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UL')와 상기 하판부(BL')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유체를 분사하되, 상기 유체는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및 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인 열가소성 수지이거나, 유색을 띠는 기체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는, 외부 하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매개로 상기 제1 범퍼모듈(110') 상에 1차 안착되되, 상기 제1 회전부(1113') 및 상기 제2 회전부(2113')의 선택적인 회전동작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지지대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2 범퍼모듈(200') 상에 2차 안착되거나, 기 설정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강제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제2 범퍼모듈(200') 상에 2차 안착된다.
도 18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범퍼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제1 범퍼모듈(110)과 상기 제2 범퍼모듈 사이에 구비되는 서브 범퍼모듈(3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서브 범퍼모듈(300)은,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1 서브 안착부(1111)S)와,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 서브 가압부(1112S)와,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와 상기 제1 서브 가압부(1112S)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서브 회전부(1113S)가 구비되는 제1 서브 범퍼모듈(3110)과,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2 서브 안착부(2111S)와,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 서브 가압부(2112S)와,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와 상기 제2 서브 가압부(2112S)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서브 회전부(2113S가 구비되는 제2 서브 범퍼모듈(4110)을 개시한다.
상기 제1 서브 가압부(1112S)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1 서브안착부(1111)S)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1 서브 가압부(1112S)의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 대향면 상에는 제1-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1S)와, 제1-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2S)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서브 가압부(2112S)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2 가압부(2112)의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 대향면 상에는 제2-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1S)와, 제2-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2S)가 구비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1S)의 제1-1 서브 정보값 및 상기 제1-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2S)의 제1-2 서브 정보값을, 상기 제2-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1S)의 제2-1 서브 정보값과 상기 제2-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2S)의 제2-2 서브 정보값과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또한,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1S)의 제1-1 서브 정보값과 상기 제1-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2S)의 제1-2 서브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2-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1S)의 제2-1 서브 정보값과상기 제2-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2S)의 제2-2 서브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는, 상기 제2서브 안착부(2111S)를 향하는 대각선 상방 측면부에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하단부의 적어도일부에 대응되는 챔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는,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를 향하는 대각선 상방 측면부에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하단부의 적어도일부에 대응되는 챔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L)(즉, (L’)과 동일)는, 외부 하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매개로 상기 제1 범퍼모듈(110)을 경유하여, 상기 제1 서브 범퍼모듈(3110)상에 안착되되, 상기 제1 서브 회전부(1113S) 및 상기 제2 서브 회전부(2113S의 선택적인 회전동작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지지부(L)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1 서브 범퍼모듈(3110) 상에 안착되거나,
기설정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강제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제1 서브 범퍼모듈(3110) 상에 안착된다.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에는 각각 다수의 완충구(EC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범퍼모듈(100을 경유하는 상기 지지부(L)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과 접하며, 상기 완충구(EC)는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의 표면을 덮는 커버형 구조물로서 상호 이웃하여 복수로 배치된다. 상기 완충구(EC)는 내부에 유체 저장을 위한 포켓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에서 내부로부터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완충구(EC)는 내부에 유체 저장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에서 내부로부터 외부로 출몰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외측 대각선 하부면이 챔퍼가 형성되며 상기 제3 회전부(3113)의 외곽을 가압하여 상기 제3 회전부(3113)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1 외곽 가압부(5100)와, 상기 제1 외곽 가압부(5100)에 상방 대각선 방향으로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5200)와, 상기 제1 구동부(5200)의 하방을 지지하는 제1 상단 패널부(5300)와, 상기 제1 상단 패널부(5300)의 하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1 하단 패널부(5400)와, 상기 제1 상단 패널부(5300)와 상기 제1 하단 패널부(5400)사이에 구비되며 내부에 시각적 식별 및 후각적 식별을 위한 기체가 내장되는 제1 캡슐층이 다수 구비되어, 일정 수치의 가압힘이 가해지면 상기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구비되는 제1 캡슐패널(CP1)이 구비되는 제1 외곽 가압모듈(500)과, 상기 제1 외곽 가압모듈(500)의 외측에서 상방과 하방간에 일정 높이로 유동되어, 상기 제1 캡슐층의 기체를 외부로 가속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제1 배출수단(BM1)이 내장 되는 제1 배출모듈(550)과, 외측 대각선 하부면이 챔퍼가 형성되며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외곽을 가압하여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2 외곽가압부(6100)와, 상기 제2 외곽 가압부(6100)에 상방 대각선 방향으로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6200)와, 상기 제2 구동부(6200)의 하방을 지지하는 제2 상단패널부(6300)와, 상기 제2 상단 패널부(6300)의 하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 하단 패널부(6400)와, 상기 제2 상단 패널부(6300)와, 상기 제2 하단 패널부(6400) 사이에 구비되며 내부에 시각적 식별 및 후각적 식별을 위한 기체가 내장되는 제2 캡슐층이 다수 구비되어, 일정 수치의 가압힘이 가해지면 상기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구비되도록 하는 제2 캡슐패널(CP2)가 구비되는 제2 외곽 가압모듈(600)과, 상기 제2 외곽 가압모듈(600)의 외측에서 상방과 하방간에 일정 높이로유동되어, 상기 제2 캡슐층의 기체를 외부로 가속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제2 배출수단(BM2)이 내장되는 제2 배출모듈(650)을 개시한다.
상기 제1 캡슐패널(CP1)은 제1-1 캡슐패널(CP11)과, 상기 제1-1 캡슐패널(CP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2 캡슐패널(CP12)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캡슐패널(CP2)은 제2-1 캡슐패널(CP21)과, 상기 제2-1 캡슐패널(CP2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2 캡슐패널(CP2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모듈(550)의 상기 제1 배출수단(BM1)은 제1 배출수단(BM11)과, 상기 제1 배출수단(BM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2 배출수단(BM12)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배출모듈(650)의 상기 제2 배출수단(BM2)은 제2-1 배출모듈(BM21)과, 상기 제2-1 배출모듈(BM2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2 배출모듈(BM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모듈(550)은 상기 기체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제1 배출수단(BM11) 및 상기 제1-2 배출수단(BM12)이 상기 제1-1 캡슐패널(CP11) 및 상기 제1-2 캡슐패널(CP12)에 대응하도록 유동되며, 상기 제2 배출모듈(650)은 상기 기체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제2-1 배출모듈(BM21) 및 상기 제2-2 배출모듈(BM22)은 상기 제2-1 캡슐패널(CP21) 및 상기 제2-2 캡슐패널(CP22)에 대응하도록 유동된다.
도 20 내지 도 22은 본 발명의 결속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0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결속모듈은, 상기 컨베이어에서 저면부를 향하는 다수의 지지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부는 길이방향 적어도 일부를 따라 다수의 결속모듈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결속모듈은 제1 결속모듈(71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결속모듈(710)은, 상기 지지부들 중 제1 지지부(L1)에 결속되는 한 쌍의 외장부(711)와, 상기 각 외장부(711) 내부에 연동되도록 구비되는 내장부(712)와, 상기 외장부(711)에 연동되어 상기 내장부(712) 상에서 진퇴유동방식으로 상기 제1 지지부(L1)를 가압시키는 가압유닛(713)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지지부(L1)는 상기 가압유닛(713)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 상에 상기 가압유닛(713)과 대응하는 소정의 삽입홈이 구비된다. 상기 가압유닛(713)은 최상단에 구비되는 제1 가압유닛(713a)과, 최하단에 구비되는 제2 가압유닛(713c)과, 중단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 제3 가압유닛(713b)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지지부(L1)의 상기 삽입홈에 각각 선택적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내장부(712)는 인접하는 상기 제1 지지부(L1)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접착물질(OM)이 충진된다.
상기 내장부(712)의 상방에는 상기 내장부(712)를 가열하여 상기 접착물질(OM)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히팅부(HT1)이 구비되고, 상기 내장부(712)의 하방에는 상기 내장부(712)를 냉각하여 상기 접착물질(OM)을 비활성화 시키기 위한 냉각부(BL1)이 구비된다. 내부에 접착물질(OM)은 상기 외장부(711)와 상기 내장부(712) 간에 구비되는 공급관(SP)을 통해 상기 내장부(712) 상에 공급되되, 상기 제1 가압유닛(713a) 내지 상기 제3 가압유닛(713b)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공급되어 상기 외장부(711), 상기 내장부(712), 상기 가압유닛(713) 및 상기 제1 지지부(L1)를 상호 결속시킨다. 상기 제1 지지부(L1)의 외주면 상에는 식별수단(MM1)이 구비되며, 상기 내장부(712)의 상방에는 상기 식별수단(MM1)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수단(SM1)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유닛(713)은 상기 인식수단(SM1)이 상기 식별수단(MM1)을 인식에 기반하여 상기 삽입홈을 향해 진퇴유동되며, 상기 인식수단(SM1)과 상기 히팅부(HT1)은 상호 인접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인식수단(SM1)과 상기 히팅부(HT1) 사이에는 단열수단(CM1)이 구비된다.
상기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710)과 상응하는 제2 결속모듈(7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결속모듈(720)은 상기 제1 결속모듈(710)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1 체결수단(810)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1 체결수단(810)은 핸들부(811)와, 상기 핸들부(811)로부터 바(bar)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결속모듈(710) 내부로 삽입되는 제1 삽입체(812)와, 상기 핸들부(811)로부터 바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결속모듈(720) 내부로 삽입되는 제2 삽입체(813)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지지부(L1)는 상기 제1 삽입체(812)와 상기 제2 삽입체(813)에 각각 대응하는 제2 삽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삽입체(812) 및 상기 제2 삽입체(813)은 상기 제2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핸들부(811)에는 상기 제1 삽입체(812)와 연동되는 제1 조임부(813)와 상기 제2 삽입체(813)과 연동되는 제2 조임부(814)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조임부(813)와 상기 제2 조임부(814)의 조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삽입체(812)와 상기 제2 삽입체(813)은 상기 핸들부(811)을 상기 제1 지지부(L1)측으로 가압한다.
상기 결속모듈은 기 제1 결속모듈(710)과 상응하는 제3 결속모듈(730) 및 제4 결속모듈(740)을 포함하며, 기 제3 결속모듈(730)은 상기 제2 결속모듈(720)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2 체결수단(820)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4 결속모듈(740)은 상기 제3 결속모듈(730)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3 체결수단(830)을 통해 결속된다. 상기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710)과 대응하며, 상기 지지부들 중 상기 제2 지지부(L2)와 이웃하는 제2 지지부(L2) 상에 구비되는 제5 결속모듈(750)과, 상기 제2 결속모듈(720)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부(L2) 상에 구비되는 제6 결속모듈(760)과, 상기 제3 결속모듈(730)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부(L2) 상에 구비되는 제7 결속모듈(770)과, 상기 제4 결속모듈(740)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부(L2) 상에 구비되는 제8 결속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5 결속모듈(750)과 상기 제6 결속모듈(760)은 제4 체결수단(840)을 통해 결속되고, 상기 제6 결속모듈(760)과 상기 제7 결속모듈(770)은 제5 체결수단(850)을 통해 결속되고, 상기 제7 결속모듈(770)과 상기 제8 결속모듈은 제6 체결수단(860)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2 체결수단(820) 내지 상기 제6 체결수단(860)은 상기 제1 체결수단(810)과 상응하는 것이다.
상기 제1 결속모듈(710) 내지 상기 제6 결속모듈(760)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모듈(900)이 구비되며, 상기 연동모듈(900)은 제1 실린더부(911)와, 상기 제1 실린더부(911)의 양측에서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1 체결수단(810)과 상기 제4 체결수단(840) 각각에 결속되는 제1-1 피스톤부(912) 및 제1-2 피스톤부(913)를 포함하는 제1 연동부(910)와, 제2 실린더부(921)와, 상기 제2 실린더부(921)의 양측에서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2 체결수단(820)과 상기 제5 체결수단(850) 각각에 결속되는 제2-1 피스톤부(922)와 제2-2 피스톤부(923)를 포함하는 제2 연동부(920)와, 제3 실린더부(931)와, 상기 제3 실린더부(931)의 양측에서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3 체결수단(830)과 상기 제6 체결수단(860) 각각에 결속되는 제3-1 피스톤부(932)와 제3-2 피스톤부(933)를 포함하는 제3 연동부(93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실린더부(911) 및 상기 제3 실린더부(931)는 둘레반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 실린더부(921)의 둘레부에 제2 감지센서(S2)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실린더부(911)의 둘레부 제1 영역에는 제1-1 감지센서(S11)가 구비되며, 제2 영역에는 제1-2 감지센서(S12)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실린더부(931)의 둘레부 제1 영역에는 제3-1 감지센서(S31)가 구비되며, 제2 영역에는 제3-2 감지센서(S32)가 구비되고, 상기 제1-1 감지센서(S11)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와 대응하여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2 감지센서(S12)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보다 작은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3-1 감지센서(S31)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와 대응하여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3-2 감지센서(S32)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보다 작은 면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1 감지센서(S11), 상기 제3-1 감지센서(S31) 및 상기 제2 감지센서(S2)는 상호 간에 위치 이탈 정도를 제1 스케일로 감지하며, 상기 제1 실린더부(911)와 상기 제2 실린더부(921)의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제1-2 감지센서(S12)와 상기 제3-2 감지센서(S32)가 상기 제2 감지센서(S2)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면, 상기 제1-2 감지센서(S12), 상기 제3-2 감지센서(S32) 및 상기 제2 감지센서(S2)는 상호 간에 초기 위치 이탈 정도를 제2 스케일로 감지한다.
상기 제1-1 피스톤부(912)와 상기 제2-1 피스톤부(922)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4 연동부(940)가 구비되며, 상기 제2-1 피스톤부(922)와 상기 제3-1 피스톤부(932)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5 연동부(950)가 구비되며, 상기 제1-2 피스톤부(913)와 상기 제2-2 피스톤부(923)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6 연동부(960)가 구비되며, 상기 제2-2 피스톤부(923)와 상기 제3-2 피스톤부(933)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7 연동부(970)가 구비되며, 상기 제4 연동부(940)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1 유동수단(940)이 구비된다. 상기 제5 연동부(950)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2 유동수단(950)이 구비되며, 상기 제6 연동부(960)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3 유동수단(960)이 구비되며, 상기 제7 연동부(970)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4 유동수단(970)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은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을 향하는 일측에 제4-1 감지센서(S4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4-1 감지센서(S41) 보다 큰 제4-2 감지센서(S42)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유동수단(950)은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을 향하는 일측에 제5-1 감지센서(S5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5-1 감지센서(S51) 보다 큰 제5-2 감지센서(S52)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은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을 향하는 일측에 제6-1 감지센서(S6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6-1 감지센서(S61) 보다 큰 제6-2 감지센서(S62)가 구비되며,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은 상기 제2 유동수단(950)을 향하는 일측에 제7-1 감지센서(S7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7-1 감지센서(S71) 보다 큰 제7-2 감지센서(S72)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유동수단(940) 내지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의 둘레방향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제4-1 감지센서(S41)는 상기 제6-2 감지센서(S62)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5-1 감지센서(S51)는 상기 제7-2 감지센서(S72)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4-2 감지센서(S42)는 상기 제6-1 감지센서(S61)과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5-1 감지센서(S52)는 상기 제7-1 유동수단(S71)과 대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은 상기 제4-1 감지센서(S4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4-2 감지센서(S42)를 이용하여,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의 상기 제6-1 감지센서(S61) 또는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6-2 감지센서(S6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하며, 상기 제2 유동수단(950)은 상기 제5-1 감지센서(S5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유동수단(95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5-1 감지센서(S52)를 이용하여,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의 상기 제6-1 감지센서(S61) 또는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6-2 감지센서(S6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한다.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은 상기 제6-1 감지센서(S6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6-2 감지센서(S62)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의 상기 제4-1 감지센서(S41) 또는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4-2 감지센서(S4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하며,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은 상기 제7-1 감지센서(S7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7-2 감지센서(S72)를 이용하여, 상기 제5 유동수단의 상기 제5-1 감지센서(S51) 또는 상기 제5 유동수단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5-1 감지센서(S5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90‘ :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조립체 100’ : 하우징
110‘ : 수용구 111’ : 상부 수용구
115‘ : 하부 수용구 120’ : 바닥면
130‘ : 배기홀 140’ : 바디
143‘ : 수나사부 150’ : 캡
155‘ : 암나사부 200’ : 왕복축

Claims (12)

  1.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조립체로서,
    상방으로 개방된 수용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수용구에 수납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걸리는 헤드가 형성된 왕복축;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관통된 배기홀; 상기 왕복축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홀; 및 상기 삽입홀에 끼워져서 상기 바닥면에 지지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벤트 조립체는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통해 표면처리 가공된 것이며,
    상기 표면처리 가공수단은,
    컨베이어 상에서 이송되는 에어벤트 조립체 또는 상기 에어벤트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 구성에 해당되는 것인 피코팅물의 일정높이에 고정된 고정부에 축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에 배치되는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센터 샤프트; 상기 센터 샤프트의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된 상방 수평보; 상기 상방 수평보의 양측에 교차하게 수직으로 배치된 사이드 수직바; 상기 상방 수평보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가 수직으로 미끄럼 결합되며, 상기 상방 수평보에 고정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고정수단을 구비한 이동블럭; 상기 상방 수평보의 양측하부에서 상기 사이드 수직바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에 고정되기 위한 제2 고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컨베이어는 저면부를 향하는 다수의 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는 길이방향 적어도 일부를 따라 다수의 결속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결속모듈은 제1 결속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결속모듈은 상기 지지부들 중 제1 지지부에 결속되는 한 쌍의 외장부와, 상기 각 외장부 내부에 연동되도록 구비되는 내장부와, 상기 외장부에 연동되어 상기 내장부 상에서 진퇴유동방식으로 상기 제1 지지부를 가압시키는 가압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가압유닛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 상에 상기 가압유닛과 대응하는 소정의 삽입홈이 구비며,
    상기 가압유닛은 최상단에 구비되는 제1 가압유닛과, 최하단에 구비되는 제2 가압유닛과, 중단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 제3 가압유닛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지지부의 상기 삽입홈에 각각 선택적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내장부는 인접하는 상기 제1 지지부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접착물질이 충진되며, 상기 내장부의 상방에는 상기 내장부를 가열하여 상기 접착물질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히팅부이 구비되고, 상기 내장부의 하방에는 상기 내장부를 냉각하여 상기 접착물질을 비활성화 시키기 위한 냉각부가 구비되며,
    상기 접착물질은 상기 외장부와 상기 내장부 간에 구비되는 공급관을 통해 상기 내장부 상에 공급되되, 상기 제1 가압유닛 내지 상기 제3 가압유닛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공급되어 상기 외장부, 상기 내장부, 상기 가압유닛 및 상기 제1 지지부를 상호 결속시키며,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 상에는 식별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내장부의 상방에는 상기 식별수단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인식수단이 상기 식별수단을 인식에 기반하여 상기 삽입홈을 향해 진퇴유동되며,
    상기 인식수단과 상기 히팅부은 상호 인접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인식수단과 상기 히팅부 사이에는 단열수단이 구비되는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과 상응하는 제2 결속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1 체결수단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1 체결수단은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로부터 바(bar)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결속모듈 내부로 삽입되는 제1 삽입체와, 상기 핸들부로부터 바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결속모듈 내부로 삽입되는 제2 삽입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삽입체와 상기 제2 삽입체에 각각 대응하는 제2 삽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삽입체 및 상기 제2 삽입체는 상기 제2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핸들부에는 상기 제1 삽입체와 연동되는 제1 조임부와 상기 제2 삽입체과 연동되는 제2 조임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조임부와 상기 제2 조임부의 조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삽입체와 상기 제2 삽입체은 상기 핸들부을 상기 제1 지지부측으로 가압하는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조립체.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059656A 2018-05-25 2018-05-25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조립체 KR101892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656A KR101892902B1 (ko) 2018-05-25 2018-05-25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656A KR101892902B1 (ko) 2018-05-25 2018-05-25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2902B1 true KR101892902B1 (ko) 2018-08-28

Family

ID=63454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656A KR101892902B1 (ko) 2018-05-25 2018-05-25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29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305B1 (ko) * 2018-11-16 2019-08-28 한덕주 플라스틱 사출성형설비 제작방법
KR101981304B1 (ko) * 2018-11-16 2019-08-28 한덕주 플라스틱 사출성형설비
CN111805843A (zh) * 2020-07-17 2020-10-23 广州华研精密机械股份有限公司 Pet瓶胚加工组件及pet瓶胚加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639B1 (ko) * 2006-11-30 2007-10-23 (주)혜창 미세한 코팅막을 균일하게 성형하기 위한 스프레이 장치
KR20160030047A (ko) 2014-09-08 2016-03-16 인글라스 에스피에이 플라스틱 재료를 인젝션 몰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725190B1 (ko) * 2016-04-08 2017-04-11 주식회사 에스지이노션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KR101854577B1 (ko) * 2017-11-20 2018-05-03 최건희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시공시스템을 이용한 보수 보강 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639B1 (ko) * 2006-11-30 2007-10-23 (주)혜창 미세한 코팅막을 균일하게 성형하기 위한 스프레이 장치
KR20160030047A (ko) 2014-09-08 2016-03-16 인글라스 에스피에이 플라스틱 재료를 인젝션 몰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725190B1 (ko) * 2016-04-08 2017-04-11 주식회사 에스지이노션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KR101854577B1 (ko) * 2017-11-20 2018-05-03 최건희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시공시스템을 이용한 보수 보강 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305B1 (ko) * 2018-11-16 2019-08-28 한덕주 플라스틱 사출성형설비 제작방법
KR101981304B1 (ko) * 2018-11-16 2019-08-28 한덕주 플라스틱 사출성형설비
CN111805843A (zh) * 2020-07-17 2020-10-23 广州华研精密机械股份有限公司 Pet瓶胚加工组件及pet瓶胚加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2902B1 (ko)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조립체
KR101912564B1 (ko) 런너 취출식 사출금형
US5423369A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vacuum casting
US20040022885A1 (en) Injection mold and injection mold pin
CN100341642C (zh) 压铸设备及铸造方法
US20070059397A1 (en) Actuator System for an Injection Molding System
US6953079B2 (en) Die casting machine
KR101945195B1 (ko)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보수공법
JP2007185845A (ja) 可塑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983293B2 (ja) バルブステムの作動
US5101882A (en) Die cast vacuum valve system
US20060131771A1 (en) Quality assurance method for coated parts
WO2009016990A1 (ja) 金型構造、射出成形装置、及び成形方法
US11826938B2 (en) Injection apparatus
CN210792092U (zh) 3d打印机
KR101814413B1 (ko) 사출성형기 설치형 금형 진공 및 가압 제어시스템
JPH0631714A (ja) コンクリート供試体成型型枠及び脱型方法
KR101919280B1 (ko) 저압 주입 및 고압 분사 겸용 그라우팅 장치
JP4886555B2 (ja) 円筒部材の内面処理装置及び同方法
US4987947A (en) Gas venting device for molding operations
WO1999047849A1 (fr) Dispositif d'alimentation en graisse pour moteur electrique
CN209478811U (zh) 一种便捷排气泡的注塑机
WO1999028109A1 (fr) Presse a injection et procede d'injection associe
US20180370166A1 (en) Glass restora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04034681A (ja) 閉止ノズ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