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564B1 - 런너 취출식 사출금형 - Google Patents

런너 취출식 사출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564B1
KR101912564B1 KR1020180066043A KR20180066043A KR101912564B1 KR 101912564 B1 KR101912564 B1 KR 101912564B1 KR 1020180066043 A KR1020180066043 A KR 1020180066043A KR 20180066043 A KR20180066043 A KR 20180066043A KR 101912564 B1 KR101912564 B1 KR 101912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module
runner
unit
module
spr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철
Original Assignee
최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민철 filed Critical 최민철
Priority to KR1020180066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5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69Handling of moulded articles or runners, e.g. sorting, stacking, grinding of runners
    • B29C45/1771Means for guiding or orienting articles while dropped from the mould, e.g. guide rails or ski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69Moulds with means for removing excess material, e.g. with overflow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62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ejection or removal of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5/178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본 발명은 런너 표준취출식 사출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측설치판과 고정측형판 사이에 용융수지의 공급통로인 런너가 스프루에서 분기되어 형성되며, 사출성형 후 상기 고정측설치판과 고정측형판 사이가 전개되면 상기 스프루와 런너에 생성된 런너사출물은 로봇척에 의해 자동 취출되는 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런너에는 스프루에서 분기되는 위치에 스프루와 반대방향으로 스트립홈이 더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로봇척은 상기 스트립홈에서 생성된 스트립바를 파지하여 런너사출물을 취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런너사출물에 대한 로봇척의 취출위치가 항상 동일하도록 표준화시킴으로써 로봇척의 재설정으로 인한 시간손실을 완전하게 해소하여 사출성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런너 취출식 사출금형{Standard runner take-out type 3-step injection mold}
본 발명은 런너 취출식 사출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런너사출물에 대한 로봇척의 취출위치를 항상 동일하도록 표준화시키며, 사출금형의 적어도 일부 구성부를 별도 오염방지 처리 가공하여 사출금형의 보관 및 사용 상에 각종 요인에 의한 부정적 영향(예: 오염, 노후화 등)을 최소화시켜 사출 품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런너 취출식 사출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이라 함은 실린더 속에서 가열하여 용융시킨 수지를 닫혀진 금형의 캐비티(cavity)에 고압으로 사출하고, 냉각고화(열가소성 수지) 또는 경화(열경화성 수지)시킴으로써 캐비티에 형성되어 있는 형상에 상당하는 사출성형품을 만드는 방법이다. 이러한 사출성형을 위한 사출금형은 보통 2단 사출금형과 3단 사출금형으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3단 사출금형은 대량의 생산을 요하는 작은 부품이나 정밀성을 요하는 제품 및 외부로 게이트가 노출되지 않아야 하는 제품 또는 수지의 흐름이 용이하지 못한 대형의 제품 등을 생산하는데 적합한 형태의 금형이다. 이러한 3단 사출금형의 일 예가 도 1과 도 2에 개략적으로 예시되어 있는 바, 3단 사출금형은 고정측설치판(1)과 고정측형판(2) 사이가 먼저 전개되면서 열린 후 계속해서 상기 고정측형판(2)과 가동측형판(3) 사이가 전개되면서 열리는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용융수지를 성형부인 캐비티(4)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측설치판(1)에는 실린더노즐로부터 용융수지가 주입되는 스프루(5)가 형성되고, 고정측설치판(1)과 고정측형판(2) 사이에는 스프루(5)에서 분기되어 캐비티(4)의 입구인 게이트까지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주입된 용융수지를 캐비티(4)로 공급하는 런너(6)가 형성된다. 이러한 3단 사출금형에서는 용융수지가 공급통로인 스프루(5), 런너(6)를 통하여 성형부인 캐비티(4) 내부로 주입되므로 도 2에 예시된 것처럼, 사출성형 후에는 캐비티(4)에서 생성되는 사출성형품(P)과 별도로 공급통로인 스프루(5), 런너(6) 부분에는 불필요한 잉여성형물(이하, “런너사출물(R)”이라 통칭함.)이 생성되게 된다. 이러한 런너사출물(R)의 일 예가 도 3에 예시되어 있는 바, 런너사출물(R)은 스프루(5) 부분에서 생성되는 스프루바(r1)와, 게이트를 향하는 런너부분에 수평하게 생성되는 다수의 게이트바(r2)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형태의 런너사출물(R)은 불필요한 성형물로서 사출성형후에는 자동화된 로봇척(8)에 의해 취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이러한 런너사출물(R)을 취출하는 종래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2에 예시된 것과 같이, 고정측설치판(1)과 고정측형판(2)이 전개되어 런너사출물(R)이 노출되면, 상측에 위치된 로봇척(8)이 설정된 위치에서 하강하여 런너사출물(R)의 다수 게이트바(r2) 중에서 어느 하나를 파지하게 되며, 이렇게 특정한 게이트바(r2)를 파지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일정거리 이동하여 런너사출물(R)을 고정측설치판(1)으로부터 이탈시켜 취출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으로 런너사출물을 취출하는 종래 3단 사출금형의 경우, 제품인 사출성형품에 따라 금형이 변경되면 그 때마다 로봇척의 취출위치 또한 그에 맞추어 새롭게 설정을 해야만 하므로 로봇척의 세팅시간으로 인한 시간손실(loss time)이 크게 발생하여 작업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사출성형품의 형상이나 크기, 수지의 특성 등에 따라 스프루(5)에서 분기되는 런너(6)의 형태가 상이해질 수 밖에 없고, 그에 따라 런너(6)에서 생성되는 런너사출물(R) 또한 형태가 각각 달라지게 되는 바, 도 4의 (a)와 (b)에 예시된 것처럼 런너사출물(R)의 형태가 달라지게 되면 로봇척(8)이 런너사출물(R)을 취출할 때 파지하는 위치 또한 변경되므로, 당연히 로봇척(R)의 취출위치에 대해서도 설정작업이 새롭게 이루어져야만 하는 것이며, 이러한 로봇척의 위치설정작업으로 인한 시간손실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구성의 종래 3단 사출금형은, 수지의 용융시 발생한 가스가 그대로 런너(6)에 잔류하면서 탄화되거나, 용융수지의 주입과정에서 생성되는 콜드슬러그(cold slug)가 그대로 런너(6)를 따라 게이트로 이동하여 게이트를 막아버림으로써 캐비티(4)로 용융수지가 원활하게 주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현상 등이 발생하여 사출성형품의 성형결함을 야기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무엇보다도, 사출금형의 초기 제작, 보관 및 사용 상에 각종 요인에 의한 부정적 영향(예: 오염, 노후화 등)을 최소화시켜 사출 품질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12601호
본 발명은 런너사출물에 대한 로봇척의 취출위치를 항상 동일하도록 표준화시키며, 사출금형의 적어도 일부 구성부를 별도 오염방지 처리 가공하여 사출금형의 보관 및 사용 상에 각종 요인에 의한 부정적 영향(예: 오염, 노후화 등)을 최소화시켜 사출 품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런너 취출식 사출금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정측설치판과 고정측형판 사이에 용융수지의 공급통로인 런너가 스프루에서 분기되어 형성되며, 사출성형 후 상기 고정측설치판과 고정측형판 사이가 전개되면 상기 런너에 생성된 런너사출물은 로봇척에 의해 자동 취출되는 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런너에는 스프루에서 분기되는 위치에 스프루와 반대방향으로 스트립홈이 더 연통되게 형성되고며, 상기 고정측설치판, 상기 고정측형판, 상기 가동측형판, 상기 로봇척은 오염방지 처리수단을 통해 오염방지 처리되며, 상기 오염방지 처리수단은, 컨베이어 상에서 이송되는 상기 고정측설치판, 상기 고정측형판, 상기 가동측형판, 상기 로봇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피코팅물을 오염방지 처리하며, 상기 컨베이어는 저면부를 향하는 다수의 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는 길이방향 적어도 일부를 따라 다수의 결속모듈이 구비되되, 상기 결속모듈은 제1 결속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결속모듈은, 상기 지지부들 중 제1 지지부에 결속되는 한 쌍의 외장부와, 상기 각 외장부 내부에 연동되도록 구비되는 내장부와, 상기 외장부에 연동되어 상기 내장부 상에서 진퇴유동방식으로 상기 제1 지지부를 가압시키는 가압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가압유닛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 상에 상기 가압유닛과 대응하는 소정의 삽입홈이 구비되는 런너 취출식 사출금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런너사출물에 대한 로봇척의 취출위치를 항상 동일하도록 표준화시키며, 사출금형의 적어도 일부 구성부를 별도 오염방지 처리 가공하여 사출금형의 보관 및 사용 상에 각종 요인에 의한 부정적 영향(예: 오염, 노후화 등)을 최소화시켜 사출 품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런너 취출식 사출금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사출금형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사출금형의 형개 및 로봇척에 의한 런너사물물의 취출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래 생성되는 런너사출물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종래 상이한 런너형태에 따라 로봇척에 의해 런너사출물이 취출되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런너 표준취출식 사출금형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형개 및 로봇척에 의한 런너사출물의 취출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사출금형에서 생성되는 런너사출물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상이한 런너형태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척이 동일위치에서 런너사출물을 취출하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방지 처리 가공을 위한 오염방지 처리 가공수단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방지 처리 가공을 위한 오염방지 처리 가공수단를 모터와 스크류조합에 의해 자동으로 구성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스프레이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작동도이다.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범퍼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8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범퍼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결속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런너 표준취출식 사출금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런너 표준취출식 사출금형의 구성 및 작동이 일 예시되어 있는 바, 상기한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런너 표준취출식 사출금형은 종래의 사출금형과 동일하게 고정측설치판(10')과, 고정측형판(20') 및 가동측형판(3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측형판(20')과 가동측형판(30')에는 각각 고정코어(21')와 가동코어(31')가 설치되며, 고정측형판(20')과 가동측형판(30')이 닫혀 상기 고정코어(21')와 가동코어(31')가 서로 밀착됨으로써 그 내부에 제품의 성형부인 캐비티(40')가 생성된다.
이러한 고정측설치판(10')과 고정측형판(20') 및 가동측형판(30')은 서로 닫혀 밀착된 상태에서 사출성형공정이 이루어지고, 사출성형이 완료되면 도 6에 예시된 것처럼, 고정측설치판(10')과 고정측형판(20') 사이가 먼저 전개되어 열린 후, 계속적으로 고정측형판(20')과 가동측형판(30') 사이가 전개되어 열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측설치판(10')과 고정측형판(20') 및 가동측형판(30')에는 각각을 서로 열어주고 닫아주기 위한, 즉 형개폐를 위한 다양한 수단들이 설치되어 있게 되는데, 다만 이러한 형개폐수단들은 본 발명의 특징과는 무관하며 주지된 종래기술들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과 도면의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측설치판(10')과 고정측형판(20')에는 용융수지를 성형부인 캐비티(40')로 공급하는 공급통로가 형성된다. 이러한 공급통로는 고정측설치판(10')에 형성되어 실린더노즐(도면 미도시')로부터 용융수지가 주입되는 스프루(50')와, 고정측설치판(10')과 고정측형판(2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스프루(50')에서 여러갈래로 분기되어 스프루(50')에 주입된 용융수지를 캐비티(40')의 입구인 게이트(61')까지 안내하는 런너(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한 통상의 공급통로구조에 더하여 본 발명의 사출금형은 도 5에 예시된 것처럼, 상기 런너(60')에 연통하여 스트립홈(70')이 더 형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스트립홈(70')은 상기 런너(60')와 연통되어 상기 고정측형판(20')에 형성되는데, 도 5에 예시된 것처럼, 스프루(50')에서 분기되는 위치의 런너(60')부분에서, 즉 스프루(50')와 런너(60')가 만나는 위치에서 스프루(50')와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트립홈(70')은 런너(60')를 기준으로 하여 스프루(50')와 동일한 위치에서 스프루(50')와 일직선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스트립홈(70')은 상기 런너(60')에서부터 고정측형판(20')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코어(21')의 외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용융수지가 공급통로를 통해 캐비티(40')로 주입되어 사출성형이 완료되면 상기 공급통로 상에는 도 6에 예시된 것과 같이 불필요한 성형물인 런너사출물(R')이 생성되는데, 이 때 런너사출물(R')에는 도 7에 예시된 것처럼, 기존과 같이 스프루(50') 부분에서 생성되는 스프루바(r1')와, 게이트(61')를 향하는 런너부분에 수평하게 생성되는 다수의 게이트바(r2')에 더하여, 스트립홈(70') 부분에서 생성되는 스트립바(r3')가 상기 스프루바(r1')의 반대방향으로 더 형성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은 로봇척(80')을 포함하는 바, 이러한 로봇척(80')은 불필요한 런너사출물(R')을 파지하여 취출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의 로봇척(80')은 런너사출물(R')을 취출할 때 특히 런너사출물(R')의 상기 스트립바(r3')를 파지하여 취출하도록 설정된다. 즉, 로봇척(80')은 직선이동부, 승강부, 제어부 등을 포함하는 로봇척 작동수단에 의해 왕복운동과 승강운동 등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바, 상기 스트립바(r3')의 위치로 직선 및 승강운동을 하여 취출을 하도록 설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로봇척 작동수단 그 자체의 구성은 본 발명의 특징과 무관한 한 것이면서 당해기술분야에서 이미주지된 종래기술이므로 로봇척 작동수단 자체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의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예시된 것처럼 고정측설치판(10')과 고정측형판(20') 및 가동측형판(30')이 모두 닫힌 상태에서, 실린더노즐로부터 용용된 수지가 스프루(50')로 주입된다. 그러면, 스프루(50')로 주입된 용융수지는 연통된 런너(60')를 따라 게이트(61')까지 이동하여 캐비티(40')로 공급이 되며, 동시에 스트립홈(70')에도 용융수지가 채워지게 된다. 여기서, 이러한 용융수지의 공급과정에서는, 주입된 용융수지의 일부가 차가운 스프루(50')의 벽면과 접촉되면서 냉각되어 콜드슬러그(cold slug')가 생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스프루(50')와 직선을 이루어 스트립홈(7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생성된 콜드슬러그가 직진성에 의해 대부분 스트립홈(70') 쪽으로 이동이 되며, 그에 따라 콜드 슬러드가 런너(60')을 따라 이동하여 게이트(61')를 막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트립홈(70')은 고정측형판(20')을 관통하여 고정코어(21')의 외면까지 연장되어 있고, 서로 밀착되게 설치된다 하더라도 고정측형판(20')과 고정코어(21')는 모두 금속재질이기 때문에 도 5에 확대 예시된 것과 같이, 그 사이에는 틈새가 존재할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수지의 용융과정에서 발생된 가스는 상기 스트립홈(70')으로 유입되어 상기 틈새를 통해 배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용융수지가 공급되고 나면 냉각과정을 거침으로써 사출성형이 완료되고, 사출성형이 완료되면 형개과정을 거치게 되는 바, 도 6에 예시된 것과 같이, 먼저 고정측설치판(10')과 고정측형판(20') 사이가 전개되면서 열리고 이어서 고정측형판(20')과 가동측형판(30') 사이가 전개되면서 열리게 된다. 이렇게 형개가 이루어지면 고정측설치판(10')으로부터 런너사출물(R')을 취출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이 때, 종래에는 런너사출물(R')의 다수 게이트바(r2') 중에서 특정한 게이트바(r2')의 위치로 로봇척(80')이 하강하여 취출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로봇척(80')이 도 6과 도 8에 예시된 것처럼 런너사출물(R')의 스트립바(r3')위치로 하강하여 스트립바(r3')를 파지함으로써 런너사출물(R')의 취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로봇척(80')이 종래와 같이 다수의 게이트바(r2') 중 어느 하나를 파지하는 것이 아니라 위치가 변하지 않는 스트립바(r3') 파지하여 런너사출물(R')를 취출하게 됨으로써, 로봇척(80')이 스트립바(r3')의 위치에서 승강하도록 위치를 한번 세팅해 놓으면, 도 8의 (a')와 (b')에 예시된 것처럼, 사출성형품이 바뀌어 런너사출물(R')의 형태가 상이해진다 하더라도, 스트립홈(70')에서 생성된 스트립바(r3')의 위치는 그대로 동일하므로 더 이상 로봇척(80')을 재세팅할 필요없이 동일한 취출위치에서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그에 따라 금형이 변경될 때마다 런너사출물(R')의 취출을 위해 로봇척(80')을 재세팅함으로써 발생하는 시간소실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사출성형품의 형상이나 크기, 수지의 특성 등에 따라 런너(60')의 형태는 상이해지지만 스프루(50')와 연결된 런너(60')의 분기부분(또는 집합부분')의 위치는 항상 동일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그 부분에 용융수지의 공급기능과는 별도로 취출위치의 표준화를 위한 기능을 갖는 스트립홈(70')을 더 형성시키고, 상기 스트립홈(70')에서 생성되는, 항상 동일한 위치의 스트립바(r3')를 로봇척(80')이 파지하여 취출하도록, 즉 취출위치가 표준화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방지 처리 가공를 위한 오염방지 처리 가공수단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방지 처리 가공를 위한 오염방지 처리 가공수단을 모터와 스크류조합에 의해 자동으로 구성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스프레이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의 작동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오염방지 처리 가공를 위한 오염방지 처리 가공수단은 컨베이어(100)상에서 상기 이송되는 피코팅물(110) (즉, 상기 고정측설치판(10), 상기 고정측형판(20), 상기 가동측형판(30), 상기 로봇척(80), 기타 필요 구성부 등)의 일정높이에 고정된 고정부(115)에 축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115)에 배치되는 회전수단(120)에 의해 회전되는 센터 사프트(125)와, 상기 센터 사프트(125)의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상방수평보(130)와, 상기 상방 수평보(130)의 양측에 교차하게 수직으로 배치되는 사이드 수직바(140)와, 상기 상방수평보(130)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가 수직으로 미끄럼 결합되며, 상기 상방 수평보(130)에 고정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고정수단(142)을 구비한 이동블럭(145)과, 상기 상방 수평보(130)의 양측하부에서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에 고정되기 위한 제2 고정수단(147)을 구비하며, 피코팅물(110)에 도포되는 도포액를 공급받아 노즐(152)에 의해 피코팅물(110)에 분사하는 스프레이건(150) 및 상기 스프레이건(150)에 가압된 공기를 제공하여 도포액를 피코팅물(110)에 분사시키는 공압펌프(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센터 사프트(125)가 회전수단(120)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센터 사프트(125)에 고정된 상방 수평보(130)가 회전되고, 상방 수평보(130)의 양측에서 사이드 수직바(140)의 하부에 결합된 스프레이건(150)도회전되는데, 스프레이건(150)의 회전에 의해 스프레이건(150)의 하방에서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피코팅물(110)의 모든 면에 코팅재가 노즐(152)에서 미세하게 분사되어 고른 두께로 도포되고, 코팅재의 도포시간도단축된다. 그리고, 상방 수평보(130)와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에는 상기 스프레이건(150)의 수평위치 및 수직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눈금이 형성되는데, 작업자가 각 도포물에 따라 얻어진 도포액의 분사거리를 테이블화 하고, 이에 맞게 스프레이건(150)의 수평위치를 상방 수평보(130)에서 조절하고, 사이드 수직바(140)에서 수직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도포물에 맞게 미세하게 도포액을 분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고정수단(142)은 이동블럭(145)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방 수평부에 이동블럭(145)을 고정시키는 수직나사 및 이동블럭(145)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사이드 수직바(140)를 이동블럭(145)에 고정시키는 수평나사이다. 또한, 제2 고정수단(147)은 스프레이건(150)을 사이드 수직바(140)의 하부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스프레이건(150)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을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어야 하는데, 사이드 수직바(140)에 스프레이건(150)을 축 결합하여 연결하는 축바가 형성되고 외주부에 원주방향으로 홀이 형성된 연결판과 연결판의 홀을 통해 스프레이건(150)에 끼워짐으로써, 스프레이건(150)의 분사각을 고정하는 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15)의 일측에는 도포액를 공급하는 도포액 공급부(165) 및 상기 공압탱크(160)가 고정되고, 상기 센터 사프트(125)의 하부에는 상기 도포액 공급부(165)와 관(167)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스프레이건(150)에 관(167)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스프레이건(150)으로 도포액의 공급을 차단하는 도포액 개폐밸브(170)를 구비한 도포액 연결부(175)가 구비되고, 상기 도포액 연결부(175)의 하부에는 상기 공압탱크(160)와 상기 스프레이건(150)에 관(167)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스프레이건으로 가압공기의 공급을 차단하는 가압공기 차단밸브(176)를 구비한 공압 연결부(177)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센터 사프트(125)에는 모터(186)나 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블럭(145)을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평이동수단(180)이 구비되는데, 모터(186)에 의해 이동블럭(145)을 이동시키는 경우, 모터(186)는 센터 사프트(125)에 상방 수평보(130)를 고정시키는 센터블럭(126)의 일면에 한 쌍이 고정되고, 모터(186)에는 스크류 환봉(187)에 연결되며, 스크류 환봉(187)은 이동블럭(145)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암스크류(188)에 연결되고, 모터(186)의 구동에 의해 이동블럭(145)은 상방 수평보(130)에서 미끄럼 이동된다. 이때, 이동블럭(145)의 이동거리는 모터(186)에 결합된 엔코더에 의해 모터(186)의 축 회전수와 모터(186)의 일회전에 의해 스크류 환봉(187)에서 이동되는 암스크류(188)의 이동거리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한편, 모터(186)는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일정각도로 회전되고, 모터(186) 축의 브레이크 기능이 있는 스텝모터(186)를 사용함으로써, 제어부의 의한 모터제어가 간단해질 수 있으며, 브레이크 기능에 모터(186)축을 홀딩하여 이동블럭(145)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블럭(145)은 모터(186)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이동블럭(145)의 이동거리를 설정하고, 제어부에 의해 이동거리에 맞는 회전수로 모터(186)가 회전됨으로써 상방 수평보(130)에서 이동되는데, 이동블럭(145)의 이동거리는 피코팅물(110)에 맞는 스프레이건(150)의 위치에 맞게 제어부에서 미리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이동블럭(145)에는 사이드 수직바(140)를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190)이 구비되는데, 높이조절수단(190)도수평이동수단(180)과 마찬가지로 모터(186)와 스크류 조합, 또는 공압 실린더의 사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는, 높이조절수단(190)은 모터(196)가 이동블럭(145)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스크류 환봉(197)이 이동블럭(145)에 축 결합되며, 모터(186)와 스크류 환봉(197)이 피니언 기어(199)로 연결되고, 스크류 환봉(197)이 스프레이건(150)에 고정된 암스크류(198)로 연결되며, 이동블럭(145)에 미끄럼 결합된 사이드 수직바(140)가 모터(196)의 구동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는데, 이동블럭(145)의 이동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이동거리가 계산되고, 제어부에 의해 모터(196)의 회전수가 제어됨으로써 사이드 수직바(140)는 피코팅물(110)에 맞는 스프레이건(150)의 위치에 맞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레이건(150)의 노즐(152)은 스프레이건(150)의 단부에서 피코팅물(110)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센터 사프트(125)의 회전에 의해 스프레이건(150)이 회전되는 경우, 코팅재가 피코팅물(110)을 향해 하방으로 고르게 분사된다. 도 13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3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오염방지 처리 가공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3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전술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결속되어, 상기 오염방지 처리 가공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키고 진동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멀티 범퍼모듈을 개시한다.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지지대를 거치하기 위한 제1 범퍼모듈(1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범퍼모듈(100')은, 상기 지지대의 단부 일영역이 안착되는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1 안착부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 가압부(1112')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1 가압부(1112')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회전부(1113')가 구비 되는 제1-1 범퍼모듈(1110')과, 상기 지지대의 단부 타영역이 안착되는 제2 안착부(2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 가압부(2112')와,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상기 제2 가압부(2112')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회전부(2113')가 구비되는 제1-2 범퍼모듈(2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압부(1112')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1 안착부(1111')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1 가압부(1112')의 상기 제1 안착부(1111') 대향면상에는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와,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가압부(2112')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2 가압부(2112')의 상기 제2 안착부(2111') 대향면 상에는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와,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가 구비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의 제1-1 정보값 및 상기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의 제1-2 정보값을, 상기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의 제2-1 정보값과 상기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의 제2-2 정보값과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의 제1-1 정보값과 상기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의 제1-2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의 제2-1 정보값과 상기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의 제2-2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상기 지지대는 바(bar) 형상체이며,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에는 각각 상방에서 하방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며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유동 가능한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호 간에 탄성수단(CM)으로 연동되어 수평방향 간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정합을 이루며,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정합을 이루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 사이에서 내부로 가압되어 안착되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는 각각 내부로부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향하는 경사면의 외부로 출몰되는 돌기(O)가 구비된다.
상기 돌기(O)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다수로 구비되고,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O)에 의하여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적어도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 접하는 접촉부가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기(O)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O)가 삽입된다.
상기 지지대의 양측면 상에는 각각 높이방향 상으로 유동되는 승하강 수단(UP)이 구비되며,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상기 제1 회전부(1113')와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상기 제2 회전부(2113')의 상면부 제1 수평영역 상에는 상기 지지대를 향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 유동 가능한 고정수단(HM)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HM)은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1 안착부(1111 및 상기 제2 안착부(2111') 상에 안착된 된상태에서,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의 상방 노출면인 제2 수평영역 적어도일부 가압하도록 유동되며,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적어도일부가 상기 제2 수평영역 상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수단(HM)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수단(HM)은 상기 제2 수평영역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빗변이 상기 지지대 반대편을 향하도록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직삼각형상체이며,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바) 또는 플레이트 형상체로서, 챔퍼가 형성된 하단부로 둘레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고정수단(HM)의 상방을 가압하되,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하단부가 상기 고정수단(HM)의 빗변 적어도일부와 형합하도록 접촉하여 가압한다.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제1 범퍼모듈(110')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2 범퍼모듈(2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범퍼모듈(200')은,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3 안착부(3111')와, 상기 제3 안착부(3111')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3 회전부(3113')가 구비되는 제2-1 범퍼모듈(3110')과,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4 안착부(4111')와, 상기 제4 안착부(4111')를 수평방향 상에서 일정영역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4 회전부(4113')가 구비되는 제2-2 범퍼모듈(4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안착부(3111')는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4 안착부(4111')는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3 안착부(3111')와 상기 제4 안착부(4111')는 적어도경사면 일부가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기 제3 회전부(3113') 및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하방에는 상방과 하방간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펌핑모듈(PM)이 구비되며, 상기 펌핑모듈(PM)은, 하판부(BL')와, 상기 제3 안착부(3111'),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기 제3 회전부(3113') 및 상기 제4 회전부(4113')가 거치되며, 상기 하판부(BL')로부터 탄성수단 및 폄핑수단을 매개로 상방과 하방 간에 유동 가능한 상판부(UL')를 포함한다. 상기 펌핑수단은 유체의 내장 및 토출을 위하여 유체가 내장되는 내장체(I')와, 외부 가압힘 또는 진동에 기반하여 상기 내장체(I') 상에서 일정하게 유동되어, 상기 내장체(I')의 상기 유체가 분사되도록 하기 위한 가압체(P)가 구비된다. 상기 상판부(UL')와 상기 하판부(BL')는 상호간에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키도록 각각 자성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내장체(I')는 수평방향 단부 상으로 분사노즐(N')이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UL')와 상기 하판부(BL')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유체를 분사하되, 상기 유체는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및 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인 열가소성 수지이거나, 유색을 띠는 기체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는, 외부 하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매개로 상기 제1 범퍼모듈(110') 상에 1차 안착되되, 상기 제1 회전부(1113') 및 상기 제2 회전부(2113')의 선택적인 회전동작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지지대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2 범퍼모듈(200') 상에 2차 안착되거나, 기 설정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강제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제2 범퍼모듈(200') 상에 2차 안착된다. 도 18 내지 도 19은 본 발명의 범퍼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제1 범퍼모듈(110)과 상기 제2 범퍼모듈 사이에 구비되는 서브 범퍼모듈(3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서브 범퍼모듈(300)은,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1 서브 안착부(1111)S)와,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 서브 가압부(1112S)와,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와 상기 제1 서브 가압부(1112S)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서브 회전부(1113S)가 구비되는 제1 서브 범퍼모듈(3110)과,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2 서브 안착부(2111S)와,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 서브 가압부(2112S)와,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와 상기 제2 서브 가압부(2112S)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서브 회전부(2113S가 구비되는 제2 서브 범퍼모듈(4110)을 개시한다.
상기 제1 서브 가압부(1112S)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1 서브안착부(1111)S)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1 서브 가압부(1112S)의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 대향면 상에는 제1-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1S)와, 제1-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2S)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서브 가압부(2112S)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2 가압부(2112)의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 대향면 상에는 제2-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1S)와, 제2-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2S)가 구비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1S)의 제1-1 서브 정보값 및 상기 제1-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2S)의 제1-2 서브 정보값을, 상기 제2-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1S)의 제2-1 서브 정보값과 상기 제2-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2S)의 제2-2 서브 정보값과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또한,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1S)의 제1-1 서브 정보값과 상기 제1-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2S)의 제1-2 서브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2-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1S)의 제2-1 서브 정보값과상기 제2-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2S)의 제2-2 서브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는, 상기 제2서브 안착부(2111S)를 향하는 대각선 상방 측면부에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하단부의 적어도일부에 대응되는 챔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는,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를 향하는 대각선 상방 측면부에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하단부의 적어도일부에 대응되는 챔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L)(즉, (L’)과 동일)는, 외부 하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매개로 상기 제1 범퍼모듈(110)을 경유하여, 상기 제1 서브 범퍼모듈(3110)상에 안착되되, 상기 제1 서브 회전부(1113S) 및 상기 제2 서브 회전부(2113S의 선택적인 회전동작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지지부(L)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1 서브 범퍼모듈(3110) 상에 안착되거나,
기설정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강제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제1 서브 범퍼모듈(3110) 상에 안착된다.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에는 각각 다수의 완충구(EC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범퍼모듈(100을 경유하는 상기 지지부(L)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과 접하며, 상기 완충구(EC)는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의 표면을 덮는 커버형 구조물로서 상호 이웃하여 복수로 배치된다. 상기 완충구(EC)는 내부에 유체 저장을 위한 포켓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에서 내부로부터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완충구(EC)는 내부에 유체 저장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에서 내부로부터 외부로 출몰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외측 대각선 하부면이 챔퍼가 형성되며 상기 제3 회전부(3113)의 외곽을 가압하여 상기 제3 회전부(3113)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1 외곽 가압부(5100)와, 상기 제1 외곽 가압부(5100)에 상방 대각선 방향으로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5200)와, 상기 제1 구동부(5200)의 하방을 지지하는 제1 상단 패널부(5300)와, 상기 제1 상단 패널부(5300)의 하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1 하단 패널부(5400)와, 상기 제1 상단 패널부(5300)와 상기 제1 하단 패널부(5400)사이에 구비되며 내부에 시각적 식별 및 후각적 식별을 위한 기체가 내장되는 제1 캡슐층이 다수 구비되어, 일정 수치의 가압힘이 가해지면 상기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구비되는 제1 캡슐패널(CP1)이 구비되는 제1 외곽 가압모듈(500)과, 상기 제1 외곽 가압모듈(500)의 외측에서 상방과 하방간에 일정 높이로 유동되어, 상기 제1 캡슐층의 기체를 외부로 가속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제1 배출수단(BM1)이 내장 되는 제1 배출모듈(550)과, 외측 대각선 하부면이 챔퍼가 형성되며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외곽을 가압하여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2 외곽가압부(6100)와, 상기 제2 외곽 가압부(6100)에 상방 대각선 방향으로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6200)와, 상기 제2 구동부(6200)의 하방을 지지하는 제2 상단패널부(6300)와, 상기 제2 상단 패널부(6300)의 하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 하단 패널부(6400)와, 상기 제2 상단 패널부(6300)와, 상기 제2 하단 패널부(6400) 사이에 구비되며 내부에 시각적 식별 및 후각적 식별을 위한 기체가 내장되는 제2 캡슐층이 다수 구비되어, 일정 수치의 가압힘이 가해지면 상기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구비되도록 하는 제2 캡슐패널(CP2)가 구비되는 제2 외곽 가압모듈(600)과, 상기 제2 외곽 가압모듈(600)의 외측에서 상방과 하방간에 일정 높이로유동되어, 상기 제2 캡슐층의 기체를 외부로 가속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제2 배출수단(BM2)이 내장되는 제2 배출모듈(650)을 개시한다.
상기 제1 캡슐패널(CP1)은 제1-1 캡슐패널(CP11)과, 상기 제1-1 캡슐패널(CP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2 캡슐패널(CP12)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캡슐패널(CP2)은 제2-1 캡슐패널(CP21)과, 상기 제2-1 캡슐패널(CP2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2 캡슐패널(CP2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모듈(550)의 상기 제1 배출수단(BM1)은 제1 배출수단(BM11)과, 상기 제1 배출수단(BM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2 배출수단(BM12)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배출모듈(650)의 상기 제2 배출수단(BM2)은 제2-1 배출모듈(BM21)과, 상기 제2-1 배출모듈(BM2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2 배출모듈(BM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모듈(550)은 상기 기체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제1 배출수단(BM11) 및 상기 제1-2 배출수단(BM12)이 상기 제1-1 캡슐패널(CP11) 및 상기 제1-2 캡슐패널(CP12)에 대응하도록 유동되며, 상기 제2 배출모듈(650)은 상기 기체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제2-1 배출모듈(BM21) 및 상기 제2-2 배출모듈(BM22)은 상기 제2-1 캡슐패널(CP21) 및 상기 제2-2 캡슐패널(CP22)에 대응하도록 유동된다.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결속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0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결속모듈은, 상기 컨베이어에서 저면부를 향하는 다수의 지지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부는 길이방향 적어도 일부를 따라 다수의 결속모듈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결속모듈은 제1 결속모듈(71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결속모듈(710)은, 상기 지지부들 중 제1 지지부(L1)에 결속되는 한 쌍의 외장부(711)와, 상기 각 외장부(711) 내부에 연동되도록 구비되는 내장부(712)와, 상기 외장부(711)에 연동되어 상기 내장부(712) 상에서 진퇴유동방식으로 상기 제1 지지부(L1)를 가압시키는 가압유닛(713)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지지부(L1)는 상기 가압유닛(713)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 상에 상기 가압유닛(713)과 대응하는 소정의 삽입홈이 구비된다. 상기 가압유닛(713)은 최상단에 구비되는 제1 가압유닛(713a)과, 최하단에 구비되는 제2 가압유닛(713c)과, 중단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 제3 가압유닛(713b)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지지부(L1)의 상기 삽임홈에 각각 선택적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내장부(712)는 인접하는 상기 제1 지지부(L1)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접착물질(OM)이 충진된다.
상기 내장부(712)의 상방에는 상기 내장부(712)를 가열하여 상기 접착물질(OM)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히팅부(HT1)이 구비되고, 상기 내장부(712)의 하방에는 상기 내장부(712)를 냉각하여 상기 접착물질(OM)을 비활성화 시키기 위한 냉각부(BL1)이 구비된다. 내부에 접착물질(OM)은 상기 외장부(711)와 상기 내장부(712) 간에 구비되는 공급관(SP)을 통해 상기 내장부(712) 상에 공급되되, 상기 제1 가압유닛(713a) 내지 상기 제3 가압유닛(713b)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공급되어 상기 외장부(711), 상기 내장부(712), 상기 가압유닛(713) 및 상기 제1 지지부(L1)를 상호 결속시킨다. 상기 제1 지지부(L1)의 외주면 상에는 식별수단(MM1)이 구비되며, 상기 내장부(712)의 상방에는 상기 식별수단(MM1)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수단(SM1)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유닛(713)은 상기 인식수단(SM1)이 상기 식별수단(MM1)을 인식에 기반하여 상기 삽입홈을 향해 진퇴유동되며, 상기 인식수단(SM1)과 상기 히팅부(HT1)은 상호 인접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인식수단(SM1)과 상기 히팅부(HT1) 사이에는 단열수단(CM1)이 구비된다.
상기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710)과 상응하는 제2 결속모듈(7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결속모듈(720)은 상기 제1 결속모듈(710)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1 체결수단(810)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1 체결수단(810)은 핸들부(811)와, 상기 핸들부(811)로부터 바(bar)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결속모듈(710) 내부로 삽입되는 제1 삽입체(812)와, 상기 핸들부(811)로부터 바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결속모듈(720) 내부로 삽입되는 제2 삽입체(813)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지지부(L1)는 상기 제1 삽입체(812)와 상기 제2 삽입체(813)에 각각 대응하는 제2 삽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삽입체(812) 및 상기 제2 삽입체(813)은 상기 제2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핸들부(811)에는 상기 제1 삽입체(812)와 연동되는 제1 조임부(813)와 상기 제2 삽입체(813)과 연동되는 제2 조임부(814)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조임부(813)와 상기 제2 조임부(814)의 조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삽입체(812)와 상기 제2 삽입체(813)은 상기 핸들부(811)을 상기 제1 지지부(L1)측으로 가압한다.
상기 결속모듈은 기 제1 결속모듈(710)과 상응하는 제3 결속모듈(730) 및 제4 결속모듈(740)을 포함하며, 기 제3 결속모듈(730)은 상기 제2 결속모듈(720)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2 체결수단(820)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4 결속모듈(740)은 상기 제3 결속모듈(730)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3 체결수단(830)을 통해 결속된다. 상기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710)과 대응하며, 상기 지지부들 중 상기 제2 지지부(L2)와 이웃하는 제2 지지부(L2) 상에 구비되는 제5 결속모듈(750)과, 상기 제2 결속모듈(720)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부(L2) 상에 구비되는 제6 결속모듈(760)과, 상기 제3 결속모듈(730)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부(L2) 상에 구비되는 제7 결속모듈(770)과, 상기 제4 결속모듈(740)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부(L2) 상에 구비되는 제8 결속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5 결속모듈(750)과 상기 제6 결속모듈(760)은 제4 체결수단(840)을 통해 결속되고, 상기 제6 결속모듈(760)과 상기 제7 결속모듈(770)은 제5 체결수단(850)을 통해 결속되고, 상기 제7 결속모듈(770)과 상기 제8 결속모듈은 제6 체결수단(860)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2 체결수단(820) 내지 상기 제6 체결수단(860)은 상기 제1 체결수단(810)과 상응하는 것이다.
상기 제1 결속모듈(710) 내지 상기 제6 결속모듈(760)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모듈(900)이 구비되며, 상기 연동모듈(900)은 제1 실린더부(911)와, 상기 제1 실린더부(911)의 양측에서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1 체결수단(810)과 상기 제4 체결수단(840) 각각에 결속되는 제1-1 피스톤부(912) 및 제1-2 피스톤부(913)를 포함하는 제1 연동부(910)와, 제2 실린더부(921)와, 상기 제2 실린더부(921)의 양측에서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2 체결수단(820)과 상기 제5 체결수단(850) 각각에 결속되는 제2-1 피스톤부(922)와 제2-2 피스톤부(923)를 포함하는 제2 연동부(920)와, 제3 실린더부(931)와, 상기 제3 실린더부(931)의 양측에서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3 체결수단(830)과 상기 제6 체결수단(860) 각각에 결속되는 제3-1 피스톤부(932)와 제3-2 피스톤부(933)를 포함하는 제3 연동부(93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실린더부(911) 및 상기 제3 실린더부(931)는 둘레반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 실린더부(921)의 둘레부에 제2 감지센서(S2)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실린더부(911)의 둘레부 제1 영역에는 제1-1 감지센서(S11)가 구비되며, 제2 영역에는 제1-2 감지센서(S12)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실린더부(931)의 둘레부 제1 영역에는 제3-1 감지센서(S31)가 구비되며, 제2 영역에는 제3-2 감지센서(S32)가 구비되고, 상기 제1-1 감지센서(S11)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와 대응하여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2 감지센서(S12)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보다 작은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3-1 감지센서(S31)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와 대응하여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3-2 감지센서(S32)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보다 작은 면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1 감지센서(S11), 상기 제3-1 감지센서(S31) 및 상기 제2 감지센서(S2)는 상호 간에 위치 이탈 정도를 제1 스케일로 감지하며, 상기 제1 실린더부(911)와 상기 제2 실린더부(921)의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제1-2 감지센서(S12)와 상기 제3-2 감지센서(S32)가 상기 제2 감지센서(S2)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면, 상기 제1-2 감지센서(S12), 상기 제3-2 감지센서(S32) 및 상기 제2 감지센서(S2)는 상호 간에 초기 위치 이탈 정도를 제2 스케일로 감지한다.
상기 제1-1 피스톤부(912)와 상기 제2-1 피스톤부(922)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4 연동부(940)가 구비되며, 상기 제2-1 피스톤부(922)와 상기 제3-1 피스톤부(932)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5 연동부(950)가 구비되며, 상기 제1-2 피스톤부(913)와 상기 제2-2 피스톤부(923)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6 연동부(960)가 구비되며, 상기 제2-2 피스톤부(923)와 상기 제3-2 피스톤부(933)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7 연동부(970)가 구비되며, 상기 제4 연동부(940)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1 유동수단(940)이 구비된다. 상기 제5 연동부(950)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2 유동수단(950)이 구비되며, 상기 제6 연동부(960)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3 유동수단(960)이 구비되며, 상기 제7 연동부(970)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4 유동수단(970)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은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을 향하는 일측에 제4-1 감지센서(S4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4-1 감지센서(S41) 보다 큰 제4-2 감지센서(S42)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유동수단(950)은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을 향하는 일측에 제5-1 감지센서(S5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5-1 감지센서(S51) 보다 큰 제5-2 감지센서(S52)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은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을 향하는 일측에 제6-1 감지센서(S6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6-1 감지센서(S61) 보다 큰 제6-2 감지센서(S62)가 구비되며,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은 상기 제2 유동수단(950)을 향하는 일측에 제7-1 감지센서(S7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7-1 감지센서(S71) 보다 큰 제7-2 감지센서(S72)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유동수단(940) 내지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의 둘레방향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제4-1 감지센서(S41)는 상기 제6-2 감지센서(S62)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5-1 감지센서(S51)는 상기 제7-2 감지센서(S72)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4-2 감지센서(S42)는 상기 제6-1 감지센서(S61)과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5-1 감지센서(S52)는 상기 제7-1 유동수단(S71)과 대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은 상기 제4-1 감지센서(S4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4-2 감지센서(S42)를 이용하여,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의 상기 제6-1 감지센서(S61) 또는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6-2 감지센서(S6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하며, 상기 제2 유동수단(950)은 상기 제5-1 감지센서(S5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유동수단(95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5-1 감지센서(S52)를 이용하여,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의 상기 제6-1 감지센서(S61) 또는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6-2 감지센서(S6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한다.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은 상기 제6-1 감지센서(S6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6-2 감지센서(S62)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의 상기 제4-1 감지센서(S41) 또는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4-2 감지센서(S4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하며,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은 상기 제7-1 감지센서(S7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7-2 감지센서(S72)를 이용하여, 상기 제5 유동수단의 상기 제5-1 감지센서(S51) 또는 상기 제5 유동수단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5-1 감지센서(S5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한다. 한편, 상기 제1 지지부(L1)는, 상기 제1 결속모듈(710) 내지 상기 제4 결속모듈(740)이 설치되는 제1-1 지지부(L11)와, 상기 제1-1 지지부(L11) 하방으로 확관되어 상기 제1 결속모듈(710) 내지 상기 제4 결속모듈(740)의 거치되는 제1-2 지지부(L12)가 구비된다. 상기 제1-1 지지부(L11)는 상기 제1-2 지지부(L12)의 1/5 내지 3/5 범위, , 1/7 내지 5/7 범위 내에 해당하는 비율로 구비되며 상기 제1 결속모듈(710) 내지 상기 제4 결속모듈(740)은 상기 제1-2 지지부(L12)의 외경 둘레값을 이탈하지 않는 형합된 상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지지부(L2) 역시 상기 제1 지지부(L1)와 유사한 방식의 구성을 갖추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고정측설치판 20': 고정측형판
30': 가동측형판 40': 캐피티
50': 스프루 60': 런너
70': 스트립홈 80': 로봇척
R': 런너사출물 r3': 스트립바

Claims (12)

  1. 고정측설치판과 고정측형판 사이에 용융수지의 공급통로인 런너가 스프루에서 분기되어 형성되며, 사출성형 후 상기 고정측설치판과 고정측형판 사이가 전개되면 상기 런너에 생성된 런너사출물은 로봇척에 의해 자동 취출되는 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런너에는 스프루에서 분기되는 위치에 스프루와 반대방향으로 스트립홈이 더 연통되게 형성되고며, 상기 고정측설치판, 상기 고정측형판, 상기 로봇척은 오염방지 처리수단을 통해 오염방지 처리되며,
    상기 오염방지 처리수단은 컨베이어 상에서 이송되는 상기 고정측설치판, 상기 고정측형판, 상기 로봇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피코팅물을 오염방지 처리하며, 상기 컨베이어는 저면부를 향하는 다수의 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는 길이방향 적어도 일부를 따라 다수의 결속모듈이 구비되되, 상기 결속모듈은 제1 결속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결속모듈은 상기 지지부들 중 제1 지지부에 결속되는 한 쌍의 외장부와, 상기 각 외장부 내부에 연동되도록 구비되는 내장부와, 상기 외장부에 연동되어 상기 내장부 상에서 진퇴유동방식으로 상기 제1 지지부를 가압시키는 가압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가압유닛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 상에 상기 가압유닛과 대응하는 소정의 삽입홈이 구비되며,
    상기 가압유닛은 최상단에 구비되는 제1 가압유닛과, 최하단에 구비되는 제2 가압유닛과, 중단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 제3 가압유닛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지지부의 상기 삽입홈에 각각 선택적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내장부는 인접하는 상기 제1 지지부를 고정시키기 위하여내부에 접착물질이 충진되며, 상기 내장부의 상방에는 상기 내장부를 가열하여 상기 접착물질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히팅부이 구비되고, 상기 내장부의 하방에는 상기 내장부를 냉각하여 상기 접착물질을 비활성화 시키기 위한 냉각부이 구비되며,
    내부에 접착물질은,
    상기 외장부와 상기 내장부 간에 구비되는 공급관을 통해 상기 내장부 상에 공급되되, 상기 제1 가압유닛 내지 상기 제3 가압유닛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공급되어 상기 외장부, 상기 내장부, 상기 가압유닛및 상기 제1 지지부를 상호 결속시키며,
    상기 제1 지지부의 외주면 상에는 식별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내장부의 상방에는 상기 식별수단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인식수단이 상기 식별수단을 인식에 기반하여 상기 삽입홈을 향해 진퇴유동되며, 상기 인식수단과 상기 히팅부는 상호 인접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인식수단과 상기 히팅부 사이에는 단열수단이 구비되는 런너 취출식 사출금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과 상응하는 제2 결속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1 체결수단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1 체결수단은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로부터 바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결속모듈 내부로 삽입되는 제1 삽입체와, 상기 핸들부로부터 바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결속모듈 내부로 삽입되는 제2 삽입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삽입체와 상기 제2 삽입체에 각각 대응하는 제2 삽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삽입체 및 상기 제2 삽입체은 상기 제2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핸들부에는 상기 제1 삽입체와 연동되는 제1 조임부와 상기 제2 삽입체과 연동되는 제2 조임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조임부와 상기 제2 조임부의 조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삽입체와 상기 제2 삽입체은 상기 핸들부을 상기 제1 지지부측으로 가압하는 런너 취출식 사출금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과 상응하는 제3 결속모듈 및 제4 결속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결속모듈은 상기 제2 결속모듈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2 체결수단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4 결속모듈은 상기 제3 결속모듈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3 체결수단을 통해 결속되는 런너 취출식 사출금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결속모듈 내지 상기 제4 결속모듈이 설치되는 제1-1 지지부와,
    상기 제1-1 지지부 하방으로 확관되어 상기 제1 결속모듈 내지 상기 제4 결속모듈의 거치되는 제1-2 지지부가 구비되는 런너 취출식 사출금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066043A 2018-06-08 2018-06-08 런너 취출식 사출금형 KR101912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043A KR101912564B1 (ko) 2018-06-08 2018-06-08 런너 취출식 사출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043A KR101912564B1 (ko) 2018-06-08 2018-06-08 런너 취출식 사출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2564B1 true KR101912564B1 (ko) 2018-12-28

Family

ID=65008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043A KR101912564B1 (ko) 2018-06-08 2018-06-08 런너 취출식 사출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56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2363A (ko) 2019-07-25 2021-02-03 이호철 런너 취출식 3단 사출금형
KR102223292B1 (ko) 2020-06-29 2021-03-11 이상현 자동차 부품용 사출물 제작 방법
KR102223289B1 (ko) 2020-06-29 2021-03-11 이상현 자동차 부품용 사출물 제작 시스템
KR102400577B1 (ko) 2021-12-14 2022-05-23 (주)대양아이앤디 냉각장치가 포함된 사출금형
WO2022123899A1 (ja) * 2020-12-09 2022-06-16 Dic株式会社 金型、板状成形品の製造方法、試験片の製造方法及び樹脂組成物の成形品の特性予測方法
KR102442700B1 (ko) 2021-12-15 2022-09-14 (주)대양아이앤디 사출금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639B1 (ko) * 2006-11-30 2007-10-23 (주)혜창 미세한 코팅막을 균일하게 성형하기 위한 스프레이 장치
KR101598129B1 (ko) * 2014-07-04 2016-02-26 주식회사 대림테크 런너 표준취출식 3단 사출금형
KR101854577B1 (ko) * 2017-11-20 2018-05-03 최건희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시공시스템을 이용한 보수 보강 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639B1 (ko) * 2006-11-30 2007-10-23 (주)혜창 미세한 코팅막을 균일하게 성형하기 위한 스프레이 장치
KR101598129B1 (ko) * 2014-07-04 2016-02-26 주식회사 대림테크 런너 표준취출식 3단 사출금형
KR101854577B1 (ko) * 2017-11-20 2018-05-03 최건희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시공시스템을 이용한 보수 보강 공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2363A (ko) 2019-07-25 2021-02-03 이호철 런너 취출식 3단 사출금형
KR102223292B1 (ko) 2020-06-29 2021-03-11 이상현 자동차 부품용 사출물 제작 방법
KR102223289B1 (ko) 2020-06-29 2021-03-11 이상현 자동차 부품용 사출물 제작 시스템
WO2022123899A1 (ja) * 2020-12-09 2022-06-16 Dic株式会社 金型、板状成形品の製造方法、試験片の製造方法及び樹脂組成物の成形品の特性予測方法
KR102400577B1 (ko) 2021-12-14 2022-05-23 (주)대양아이앤디 냉각장치가 포함된 사출금형
KR20230090214A (ko) 2021-12-14 2023-06-21 (주)대양아이앤디 서로 다른 온도를 갖는 2개의 냉각수들을 이용한 냉각을 지원하는 사출금형
KR20230090975A (ko) 2021-12-14 2023-06-22 (주)대양아이앤디 냉각장치가 포함된 사출금형
KR102442700B1 (ko) 2021-12-15 2022-09-14 (주)대양아이앤디 사출금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2564B1 (ko) 런너 취출식 사출금형
KR940010712B1 (ko) 열가소성 수지의 사출 성형방법 및 장치
EP2149445B1 (en) In-mold degassing structure, and mold having the structure
EP0096132B1 (en) Injection molding method and apparatus
CN1694792B (zh) 注塑装置和用于迫使熔体流入到注塑装置的模腔中的方法
KR100829675B1 (ko) 사출 성형 슈팅 포트 조립체, 이 조립체에서의 샷 크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사출 몰드
EP1567313B1 (en) Method for modifying and using existing injection mould machines to utilize as in-mould coating apparatus
KR101892902B1 (ko) 사출금형용 에어벤트 조립체
KR101598129B1 (ko) 런너 표준취출식 3단 사출금형
US20050200048A1 (en) Apparatus for valve-gate injection molding and method for the same
US7289874B2 (en) Method of designing and producing a mold
US7458806B2 (en) Waste-less injection molding fan gate
KR20010053232A (ko) 실린더 헤드의 주조 장치 및 주조 방법
US20060131771A1 (en) Quality assurance method for coated parts
KR102165685B1 (ko) 사출 성형 제품 자동 배출 시스템
US20060125151A1 (en) Pressure and temperature guidance in an in-mold coating process
JPH11333858A (ja) 成形用金型装置
KR100824024B1 (ko) 사출성형기용 핫런너 밸브장치
KR20200142667A (ko) 스냅단추용 암단추의 소켓 금형장치
US20220212382A1 (en) Conveyance apparatus, injection mold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US11931933B2 (en) Injection molding system
KR102286968B1 (ko) 부품 발사장치
US11358316B1 (en) Super smooth manufacturing method for sensor protective cover
KR101895190B1 (ko) 사출금형 시스템
JP2001219441A (ja) 成形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