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289B1 - 자동차 부품용 사출물 제작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 부품용 사출물 제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289B1
KR102223289B1 KR1020200079108A KR20200079108A KR102223289B1 KR 102223289 B1 KR102223289 B1 KR 102223289B1 KR 1020200079108 A KR1020200079108 A KR 1020200079108A KR 20200079108 A KR20200079108 A KR 20200079108A KR 102223289 B1 KR102223289 B1 KR 102223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defective
unit
injection product
variable piv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현
이한용
Original Assignee
이상현
이한용
(주)한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현, 이한용, (주)한도테크 filed Critical 이상현
Priority to KR1020200079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2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84Safety devices
    • B29C45/842Detection of insert defects, e.g. inaccurate position, brea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05Direct recuperation and re-use of scrap material during moulding operation, i.e. feed-back of us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26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by agglomeration or compacting
    • B29B17/0047Compacting complete was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68Detecting defective moulding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01N25/72Investigating presence of fl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76Cutting or tearing members, e.g. spiked or toothed cylinders or intermeshin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8Cutter-compactors, e.g. of the EREMA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 불량 판별 장치를 통해 사출물에 대한 불량 판별이 수행되는 단계; 및 사출물 재생시스템을 통해 불량으로 판정된 사출물이 재가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출 불량 판별 장치는, 사출 성형기에서 사출 성형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수행되는 각 사출 성형 과정별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 상기 상태 검출부에서 검출된 각 사출 성형 과정별 상태 정보와 기준 상태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 상태 정보를 비교하는 상태 비교부; 및 상기 상태 비교부를 통해 각 사출 성형 과정별 상태 정보의 비교 결과를 전달받고, 각 과정별 상태 정보가 적어도 하나 이상 기준 상태 정보를 만족하지 않을 경우 불량 사출물로 판단하는 불량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출물 재생시스템은, 상부에 불량사출품이 투입되는 투입구(110)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투입구(110)와 연결되어 하부로 연장되되 중앙부 일측에 다수의 통공(121)이 형성되는 이동로(120)가 형성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축 설치되는 샤프트(210)와, 상기 샤프트(210)의 외주에구성되는 가압착롤러(220)와, 상기 가압착롤러(220)의 외주에 커팅날(221)과 수용홈(223)이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가압착커팅부(200);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양측에 열풍발생부(300)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축설치되는 샤프트(410)와, 상기 샤프트(410)의 외주에 이동하는 불량사출품을 압착시키는 압착롤러(420)로 구성되는 압착부(400);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양측에 좌,우실린더(510, 520)에 의해 압착된 불량사출품을 절단하는 절단부(500)를 포함하는 자동차 부품용 사출물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출물을 제작하는 과정에 있어서 대상물의 사출에 따른 양품과 불량여부를 효과적으로 선별하면서 불량판정에 따라 야기되는 불량사출품의 재생산으로 납품기일 연기, 품질저하, 생산력감소 등이 야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고 판별된 불량품의 효과적인 활용이 용이하게 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부품용 사출물 제작 시스템{System for injection molding product}
본 발명은 자동차 부품용 사출물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물의 사출을 수행하며 사출에 따른 양품과 불량여부를 효과적으로 선별하며 선별된 불량 사출품을 재사용하도록 하여 사출품의 품질과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동차 부품용 사출물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물은 중량을 측정하여 제품의 양,불량을 판별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사출 성형기 주변에 수동으로 측정된 무게를 이용해 제품의 양,불량을 판별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공간활용과 시설투자 상에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이러한 불량판별과 아울러 발생된 불량품은 폐기처리로 인하여 불량사출품의 재생산으로 납품기일 연기, 품질저하, 생산력감소 등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다. 때문에 사출물의 효과적인 불량 판별과 판별된 불량품의 효과적인 활용이 용이하게 하기 위한 기술이 부재한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12564호
본 발명은 대상물의 사출을 수행하며 사출에 따른 양품과 불량여부를 효과적으로 선별하며 선별된 불량 사출품을 다시 사용하도록 하여 사출품의 품질과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동차 부품용 사출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 부품용 사출물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자동차 부품용 사출물 제작 시스템은 사출 불량 판별 장치와 사출물 재생시스템 포함하며, 상기 사출 불량 판별 장치는, 사출 성형기에서 사출 성형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수행되는 각 사출 성형 과정별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 상기 상태 검출부에서 검출된 각 사출 성형 과정별 상태 정보와 기준 상태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 상태 정보를 비교하는 상태 비교부; 및 상기 상태 비교부를 통해 각 사출 성형 과정별 상태 정보의 비교 결과를 전달받고, 각 과정별 상태 정보가 적어도 하나 이상 기준 상태 정보를 만족하지 않을 경우 불량 사출물로 판단하는 불량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출물 재생시스템은, 상부에 불량사출품이 투입되는 투입구(110)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투입구(110)와 연결되어 하부로 연장되되 중앙부 일측에 다수의 통공(121)이 형성되는 이동로(120)가 형성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축 설치되는 샤프트(210)와, 상기 샤프트(210)의 외주에구성되는 가압착롤러(220)와, 상기 가압착롤러(220)의 외주에 커팅날(221)과 수용홈(223)이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가압착커팅부(200);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양측에 열풍발생부(300)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축설치되는 샤프트(410)와, 상기 샤프트(410)의 외주에 이동하는 불량사출품을 압착시키는 압착롤러(420)로 구성되는 압착부(400);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양측에 좌,우실린더(510, 520)에 의해 압착된 불량사출품을 절단하는 절단부(500)를 포함하는 자동차 부품용 사출물 제작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출물을 제작하는 과정에 있어서 대상물의 사출에 따른 양품과 불량여부를 효과적으로 선별하면서 불량판정에 따라 야기되는 불량사출품의 재생산으로 납품기일 연기, 품질저하, 생산력감소 등이 야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고 판별된 불량품의 효과적인 활용이 용이하게 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불량 판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불량 판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불량 판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불량 판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불량 판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품용 불량사출품 재생시스템이 구비된 사출기의 구성부들을 각각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품용 불량사출품 재생시스템이 구비된 사출기의 구성부들을 각각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원발명은 사출 불량 판별 장치를 통해 사출물에 대한 불량 판별이 수행되는 단계; 및 사출물 재생시스템을 통해 불량으로 판정된 사출물이 재가공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자동차 부품용 사출물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자동차 부품용 사출물 제작 시스템은 사출 불량 판별 장치와 사출물 재생시스템으로 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먼저 사출 불량 판별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출물의 불량 판별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불량 판별 장치는, 상태 검출부(110'), 기준상태 저장부(120'), 상태 비교부(130'), 불량 판단부(140'), 및 기준 상태 입력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상태 검출부(110')는 사출 성형기(10')에서 사출 성형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수행되는 각 과정별(또는 단계별) 상태 정보를 검출한다. 상기 상태 검출부(110')는 사출 성형기(1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예 : 온도 센서, 충진 거리 검출센서, 압력 센서 등)을 이용해 상기 사출 성형기(10')에서 사출 성형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수행되는 각 과정별 (또는 단계별) 상태 정보를 검출한다. 상기 기준 상태 저장부(120')는 상기 사출 성형기(10')에서 사출 성형이 이루어지는 사출 성형물(또는 사출물')에 대한 각 과정별(또는 단계별) 기준 상태(또는 기준 상태 정보')를 미리 저장한다. 상기 기준 상태 저장부(120')는 상기 사출 성형기(10')에서 사출 성형이 이루어지는 사출 성형물(또는 사출물')에 대한 성형 조건표의 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기준 상태(또는 기준 상태 정보')는 사출 성형이 이루어지는 각 과정별(또는 단계별) 성형 온도, 성형 압력, 성형 사이클, 사이클 시간, 금형 온도, 냉각 온도, 충진 시간, 및 충진 거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다만 여기에 기재된 기준 상태(또는 기준 상태 정보')는 일 예시적으로 기재된 정보이므로,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성형 조건표의 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 기준 상태(또는 기준 상태 정보')는 상기 기준 상태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기준 상태 저장부(120')는 상기 기준 상태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받은 기준 상태(또는 기준 상태 정보')를 일종의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한다. 상기 상태 비교부(130')는 상기 상태 검출부(110')에서 검출된 각 과정별(또는 단계별) 상태 정보와 상기 기준 상태 저장부(120')에 저장된 기준 상태(또는 기준 상태 정보')를 비교한다. 상기 불량 판단부(140')는 상기 상태 비교부(130')를 통해 각 과정별(또는 단계별) 상태 정보의 비교 결과를 전달받고, 각 과정별(또는 단계별) 상태 정보가 적어도 하나 이상 기준 상태(또는 기준 상태 정보')를 만족하지 않을 경우 불량 사출물로 판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불량 판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불량 판별 장치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불량 판별 장치에 있어서, 불량 표시부(16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구성 요소(110 ~ 15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불량 표시부(160')는 상기 불량 판단부(140')에서 불량으로 판단한 사출물에 대한 불량 표시를 수행한다. 예컨대 상기 사출 성형기(10')에서 사출되는 사출물이 불량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불량 표시부(160')는 상기 불량 사출물에 대하여 기 지정된 방식으로 불량임을 표시할 수 있다. 가령, 상기 불량 표시부(160')는 상기 불량 사출물에 태그(tag')를 부착하거나 특정 색상의 페인트를 스프레이 할 수 있다. 상기 불량 표시부(160')를 통해 불량 사출물에 불량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정상 사출물과 불량 사출물을 쉽고 빠르게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불량 판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불량 판별 장치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불량 판별 장치에 있어서, 수거 선택부(17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도 1 내지 도 2에서 설명한 구성 요소(110 ~ 16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수거 선택부(140')는 상기 불량 판단부(140')에서 불량으로 판단한 사출물을 지정된 불량 사출물 수거함(미도시)에 적재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사출 성형기(10')에서 사물물이 사출되는 배출구에 정상 사출물 수거함(미도시)과 불량 사출물 수거함(미도시)을 구비하고, 상기 수거 선택부(170')를 통해 사출물이 지정된 수거함에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사출 성형기(10')에서 사출되는 사출물이 불량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수거 선택부(170')는 사출물배출 경로를 스위칭하는 방식으로 상기 불량 사출물을 불량 사출물 수거함(미도시)에 배출하고, 정상 사출물에 대하여 정상 사출물 수거함(미도시)에 배출할 수 있다. 가령, 상기 불량 표시부(160')에서 불량 사출물에 별도의 불량 표시를 하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불량 사출물만 따로 적재할 수 있다. 상기 수거 선택부(170')를 통해 불량 사출물과 정상 사출물을 구분하여 수거함으로써 사용자는 정상 사출물과 불
량 사출물을 쉽고 빠르게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불량 판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불량 판별 장치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불량 판별 장치에 있어서, 사출물 정보 출력부(18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구성 요소(110 ~ 17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사출물 정보 출력부(180')는 상기 불량 판단부(140')에서 불량으로 판단한 사출물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 출력수단(예 : 모니터, 7세그먼트, LED 램프 등')이나 청각적 출력수단(예 : 부저,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사출물 정보 출력부(180')는 불량 사출물이 발생할 때마다 불량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불량 사출물이 발생하는 통계를 산출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불량 사출물이 상대적으로 높게 발생하는 과정(또는 단계')에 대한
정보를 순위별로 산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출물 정보 출력부(180')를 통해 불량 사출물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사용자가 불량이 비교적 높은 과정(또는 단계')을 개선할 수 있게 하여 불량 발생율을 낮추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불량 판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불량 판별 장치의 상태 검출부(110')는 사출 성형기(10')에서 사출성형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수행되는 각 과정별(또는 단계별) 상태 정보를 검출한다(S101').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불량 판별 장치의 상태 비교부(130')는 상기 상태 검출부(110')에서 검출된 각과정별(또는 단계별) 상태 정보와 기준 상태 저장부(120')에 저장된 기준 상태(또는 기준 상태 정보')를 비교한다(S102'). 여기서 상기 기준 상태 저장부(120')는 상기 사출 성형기(10')에서 사출 성형이 이루어지는 사출 성형물(또는 사출물')에 대한 각 과정별(또는 단계별) 기준 상태(또는 기준 상태 정보')를 미리 저장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불량 판별 장치의 불량 판단부(140')는 상기 상태 비교부(130')를 통해 각 과정별(또는 단계별) 상태 정보의 비교 결과를 전달받고, 각 과정별(또는 단계별) 상태 정보가 적어도 하나 이상 기준 상태(또는 기준 상태 정보')를 만족하는지 체크한다(S103'). 그리고 상기 체크(S103') 결과,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과정별(또는 단계별) 기준 상태(또는 기준 상태 정보')를 만족하지 않을 경우(S103의 아니오'), 불량 판단부(140')는 해당 사출물(기준 상태를 만족하지 않는 사출물')을 불량으로 판단한다(S104').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불량 판별 장치의 불량 표시부(160')를 통해 상기 불량으로 판단한 사출물에 대한 불량 표시를 수행하거나, 본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불량 판별 장치의 수거 선택부(170')를 통해 상기 불량으로 판단한 사출물을 분류하여 지정된 불량 사출물 수거함(미도시)에 적재한다(S105'). 한편 상기 체크(S103') 결과, 각 사출 성형 과정별(또는 단계별) 기준 상태(또는 기준 상태 정보')를 만족하는 경우(S103의 예'), 불량 판단부(140')는 해당 사출물(기준 상태를 만족하지 않는 사출물')을 정상으로 판단한다(S106').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불량 판별 장치의 수거 선택부(170')를 통해 상기 정상으로 판단한 사출물을 분류하여 지정된 정상 사출물 수거함(미도시)에 적재한다(S107').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사출물이 성형되는 각 과정에서 측정된 상태가 기 설정된 기준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에 따라 곧바로 사출물의 양부를 판단하고, 불량 사출물에 대한 표시나 분류 수거를 통해 정상 사출물과 불량사출물을 쉽고 빠르게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게 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품용 불량사출품 재생시스템이 구비된 사출기의 구성부들을 각각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본체부(100), 가압착커팅부(200), 열풍발생부(300), 압착부(400), 절단부(500), 컨베이어(600), 제어부(700)로 대분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형태로 형성되되 상부에 불량사출품이 투입되는 투입구(110)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투입구(110)와 연결되어 하부로 연장되되 중앙부 일측에 다수의 통공(121)이형성되는 이동로(120)가 형성된다. 상기 이동로(120)는 상부에서 하부로 길게 형성되는 톱니구조로서, 각각 대응되게 돌출되는 부분이외에 삽입되는 부분에는 하기될 가압착커팅부(200), 열풍발생부(300), 압착부(400)가 구성된다. 즉, 최초 투입구(110)를 통해 투입되는 불량사출품이 투입후 상기 가압착커팅부(200)에 의해 가압착되면 서도 커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중앙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고, 상기 열풍발생부(300)와 압착부(400)에서도 커팅된 불량사출품과 열풍 처리된 불량사출품이 원활하게 정중앙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로써, 중앙부분이외에 기타 다른 부분으로 불량사출품이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인 것이다. 상기한 이동로(120)의 구조를 통해 신속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장점을 갖고 있다.
또한,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발생부(300)가 구성되는 본체부(100)의 내측에는 상기 열풍발생부(300)에서 발생시키는 고온의 열풍이 이동로(120)를 이동하는 불량사출품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상기 불량사출품이 연성을 가질 수 있게 다수의 통공(12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는, 상기 가압착커팅부(200)와 압착부(400)[0027] 의 샤프트(210, 410)가 끼워지되, 이동될 수 있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의 슬라이드홀(130)이 각각 형성되고,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샤프트(210, 410)와 연결되지 않은 텐션부(230, 430)의 끝부가 삽입되어 유동될 수 있도록 홈부(140)가 각각 형성된다. 즉,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210, 410)가 슬라이드홀(130)에 끼워져 회전될 수 있게 구성되는데, 상기 슬라이드홀(130)이 장공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일측방향으로 이동될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 이다. 상기한 슬라이드홀(130)의 구성을 통해 가압착커팅부(200)와 압착부(400)가 각각의 롤러들 사이로 이동되는 불량사출품을 압착 시 그 힘을 분산시켜 장치들의 마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부(140)는 가압착커팅부(200)와 압착부(400)에 각각 구성되는 텐션부(230, 430)의 끝부가 삽입되어 유동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압착커팅부(200)는 도 1, 2,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축 설치되는 샤프트(210)와, 상기 샤프트(210)의 외주에 구성되는 가압착롤러(220)와, 상기 가압착롤러(220)의 외주에 다수의 커팅날(221)과 수용홈(223)이 각각 형성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즉, 각각의 가압착롤러(220)의 외주가 상호 맞닿아지게 되며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샤프트(21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축 설치되어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되게 구성되어지고, 상기 샤프트(210)의 외주에는 실질적으로 투입되는 불량사출품과 맞닿아지며 가압착이 이루어지는 가압착롤러(220)가 구성된다. 상기 가압착롤러(220)의 외주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다수의 커팅날(221)과 수용홈(223)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 구성되어지되 연속적으로 다수개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팅날(221)은 상기 가압착롤러(220)의 외주의 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데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가압착롤러(220)의 커팅날(221)은 다른 하나의 가압착롤러(220)의 수용홈(223)에서 이동될 있도록 하여, 회전 시 커팅날(221)이 가압착롤러(220)와 부딪힘을 방지토록 하게 되고, 상기 가압착롤러(220)의 본연의 목적은 투입되는 불량사출품을 가압착할 수 있게 되며, 커팅날(221) 또한 불량사출품을 커팅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수용홈(223)은 커팅날(221)이 원활하게 회전토록 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토록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압착커팅부(200)의 일측과 연결 구성되되 상기 샤프트(210)와 다른 방향의 수평방향으로 구성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210)가 슬라이드홀(130)상에서 이동된 후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텐션부(230)가 구성된다. 상기 텐션부(2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홈부(140)에 끝부가 삽입되며 상기 홈부(140)의 내부에서 왕복운동이 가능토록 구성되며 각각의 가압착롤러(220)사이로 불량사출품이 이동될 시 상기 불량사출품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가압착롤러(220)의 사이로 벌어짐과 동시에 샤프트(210)가 양측방향으로 각각 밀림되게 되고, 상기 불량사출품이 이동된 후에는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다시 말해, 커팅날(221)에 의해 커팅된 불량사출품이 가압착롤러(220) 사이로 이동될 시 강압적인 압착이 아닌 텐션부(230)를 통해 자연스레 압착됨으로써 가압착커팅부(200)와의 마찰력을 최소화시킴으로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텐션부(2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상기 샤프트([0041] 210)와 연결되고, 하나 또는 다수개로 구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샤프트(210)의 양측에 연결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열풍발생부(300)는 도 1,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양측에 구성되되 상기 가압착커팅부(200)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되어 고온의 열풍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가압착커팅부(200)에 의해 커팅 후 가압착된 불량사출품에 고온의 열을 주어 연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불량사출품을 재생하는 과정에 있어서 완전한 압착 후 커팅을 통해 최초 원재료와 유사한 수지를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중간과정으로써 완전한 용융이 이루어지지 않을 정도의 고온의 열풍을 줌으로써 하기될 압착부(400)로 이동 시 압착롤러(320) 사이로 통과 시 원활한 재생수지가 성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인 것이다. 상기 압착부(400)는 도 1,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양측에 상기 열풍발생부
(300)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축 설치되어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는 샤프트(410)와, 상기 샤프트(410)의 외주에 이동하는 불량사출품을 압착시키는 압착롤러(42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샤프트(410)는 앞서 설명한 가압착커팅부(200)의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써, 상기 샤프트(410)가 본체부(100)에 구성된 슬라이드홀(130)을 통해 슬라이딩 되되, 상기 샤프트(410)의 양측에 다른 방향으로 수평으로 설치되는 텐션부(430)가 구성되어 상기 샤프트(410)가 슬라이드홀(130)에서 이동하되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여기서, 상기 압착롤러(420)의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에는 다수의 성형홈(421)이 형성 되는데 연성을 가진 불량사출품이 이동되며 상기 성형홈(421)을 통해 긴 막대형태의 수지로 재생시킬 수 있는 구성인 것이다. 상기 절단부(500)는 도 1,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양측에 좌,우실린더(510,520)에 의해 압착된 불량사출품을 절단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압착부(400)에 의해 국수와 같은 재생수지가 성형된 후 컨베이어(600)에 의해 사출기(1)로 이송되기 전에 일정크기로 절단하게 된다. 상기 절단부(500)의 상세구조를 보면, 상기 좌실린더(510)의 끝부에는 삽입홈(511)이 형성되고 상기 우실린더(520)의 끝부에는 돌출부(521)가 형성되어, 상기 좌,우실린더(510, 520)가 작동하며 돌출부(521)가 삽입홈(511)에 완전히 맞물리게 구성되어, 성형된 재생수지를 일정크기로 절단하게 되는 것 이다. 상기 좌,우실린더(510, 520)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베이어(600)는 상기 절단부(500)의 하부에 다수의 격벽(610)이 구성되어 절단된 상기 불량사출품을 수용시켜 사출기(1)측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써, 절단된 재생수지가 다수의 격벽(61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수용되며 모터(미도시)에 의해 작동하여 최종적으로 사출기(1)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7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 일측에 상기 가압착커팅부(200), 열풍발생부(300), 압착부(400), 절단부(500), 컨베이어(600)를 각각 제어하는 구성으로써, 가압착커팅부(200)와 압착부(400)의 회전속도, 열풍발생부(300)의 열풍 온도, 절단부(500)의 절단 시간 및 속도, 컨베이어(600)의 회전속도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품용 불량사출품 재생시스템이 구비된 사출기의 구성부들을 각각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전술한 내용을 기반으로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사출 불량 판별 장치를 통해 사출물에 대한 불량 판별이 수행되는 단계; 및 사출물 재생시스템을 통해 불량으로 판정된 사출물이 재가공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사출 불량 판별 장치는, 사출 성형기에서 사출 성형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수행되는 각 사출 성형 과정별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 상기 상태 검출부에서 검출된 각 사출 성형 과정별 상태 정보와 기준 상태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 상태 정보를 비교하는 상태 비교부; 및 상기 상태 비교부를 통해 각 사출 성형 과정별 상태 정보의 비교 결과를 전달받고, 각 과정별 상태 정보가 적어도 하나 이상 기준 상태 정보를 만족하지 않을 경우 불량 사출물로 판단하는 불량 판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출물 재생시스템은, 상부에 불량사출품이 투입되는 투입구(110)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투입구(110)와 연결되어 하부로 연장되되 중앙부 일측에 다수의 통공(121)이 형성되는 이동로(120)가 형성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축 설치되는 샤프트(210)와, 상기 샤프트(210)의 외주에구성되는 가압착롤러(220)와, 상기 가압착롤러(220)의 외주에 커팅날(221)과 수용홈(223)이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가압착커팅부(200);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양측에 열풍발생부(300)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축설치되는 샤프트(410)와, 상기 샤프트(410)의 외주에 이동하는 불량사출품을 압착시키는 압착롤러(420)로 구성되는 압착부(400);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양측에 좌,우실린더(510, 520)에 의해 압착된 불량사출품을 절단하는 절단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사출물 재생시스템은,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중앙에 함입영역(DH)을 기준으로 상기 가압착커팅부(200)와 인접하는 상단 본체부(100)와 상기 압착부(400)와 인접하는 하단 본체부(100)으로 구비되며, 상기 상단 본체부(100) 일측에는 사각의 제1 가동몸체(81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제2 가동몸체(812)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가동몸체(811)는 상부에 구비되는 제1 구동체(814)와 상기 제1 구동체(814)에서 제1 피스톤바(817)를 매개로 상기제1 가동몸체(811)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진퇴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이동몸체(819)와, 상기 제2 가동몸체(812)는 상부에 구비되는 제2 구동체(815)와 상기 제2 구동체(815)에서 제2 피스톤바(818)를 매개로 상기제2 가동몸체(812)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진퇴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이동몸체(8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이동몸체(819)와 상기 제2 이동몸체(820)는 상기 사출물 재생시스템의 중앙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재생시스템의 내부 투입구(110)에 이르는 여유공간을 확보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이동몸체(819)는 내측부 하단영역에 내부에서 외부로 틸트되는 패널 또는 바형상의 제1 가변회동체(821)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이동몸체(820)는 내측부 하단영역에 내부에서 외부로 틸트되는 패널 또는 바형상의 제2 가변회동체(82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 가변회동체(821) 및 상기 제2 가변회동체(822)는 상기 투입구(110)상에 정체되어 잔존하는 불량사출품을 상부에서 하부로 반복 틸트하여 눌러 압입하는 제1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가압착커팅부(200)의 물리적 가공이 용이해지도록 보조한다.
아울러, 상기 제1 이동몸체(819)는 내측부 상단영역에 내부에서 외부로 틸트되는 패널 또는 바형상의 제3 가변회동체(823)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이동몸체(820)는 내측부 상단영역에 내부에서 외부로 틸트되는 패널 또는 바형상의 제4 가변회동체(82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 가변회동체(821) 및 상기 제2 가변회동체(822)는 상기 제1 이동몸체(819)와 상기 제2 이동몸체(820)사이에 정체되어 잔존하는 불량사출품을 상부에서 하부로 반복 틸트하여 눌러 압입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가압착커팅부(200)의 물리적 가공이 용이해지도록 보조한다.
또한, 상기 제3 가변회동체(823)와 상기 제4 가변회동체(824)는 상기 제1 가변회동체(821)와 상기 제2 가변회동체(822)가 각각 상기 제1 이동몸체(819)와 상기 제2 이동몸체(820)의 내부로 후퇴된 상태에서 틸트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이동몸체(819)와 상기 제2 이동몸체(820)에서 상기 제1 가변회동체(821)와 상기 제2 가변회동체(822)는 수평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상기제3 가변회동체(823)와 상기 제4 가변회동체(824)는 수평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 가변회동체(821)와 상기 제2 가변회동체(822)와 상기 제3 가변회동체(823)와 상기 제4 가변회동체(824) 사이의 체류공간으로 불량사출품이 설정시간 동안 수용되도록 구비되는 수평동작모드로 동작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가변회동체(821) 내지 상기 제4 가변회동체(824)는 내부에 내구비되는 열선을 통하여 상기 체류공간상의 불량사출품에 설정 온도로 히팅을 수행하여 적어도 상기 가압착커팅부(200)의 후속 공정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제1 가동몸체(811)는 상기 본체부(100)에 다수의 제1 돌출편(T1)을 통해 삽입결합되며 상기 제2 가동몸체(812)는 상기 본체부(100)에 다수의 제2 돌출편(T2)을 통해 삽입결합된다.
여기서, 삽입된 복수의 상기 제1 돌출편(T1)은 상호 대양하는 방향으로 유동되며 삽입된 복수의 상기 제2 돌출편(T2) 상호 대양하는 방향으로 유동되어 가압힘을 발생시켜 상기 본체부(10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하단부 일측에는 상기 제1 가동몸체(811)와 대응하는 제1 지지몸체(831)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하단부 타측에는 상기 제2 가동몸체(812)와 대응하는 제2 지지몸체(832)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지지몸체(831)는 상기 본체부(100)에 다수의 제3 돌출편(T3)을 통해 삽입결합되며 상기 제2 지지몸체(832)는 상기 본체부(100)에 다수의 제4 돌출편(T4)을 통해 삽입결합된다.
여기서, 삽입된 복수의 상기 제3 돌출편(T3) 상호 대양하는 방향으로 유동되며 삽입된 복수의 상기 제4 돌출편(T4) 상호 대양하는 방향으로 유동되어 가압힘을 발생시켜 상기 본체부(10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몸체(831)는 단수 또는 복수의 제1 연결바(L1)를 통해 상기 제1 가동몸체(811)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연결바(L1)를 승하강 시켜 상기 본체부(100)에 고정된 상기 제1 가동몸체(811)와 텐션 고정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2 지지몸체(832)는 단수 또는 복수의 제2 연결바(L2)를 통해 상기 제2 가동몸체(812)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연결바(L2)를 승하강 시켜 상기 본체부(100)에 고정된 상기 제2 가동몸체(812)와 텐션 고정력을 발생시킨다.
아울러, 상기 제1 가동몸체(811)와 상기 제1 연결바(L1)와 상기 제1 지지몸체(831)의 외주면에 공통으로 접촉하는 제1 접촉판(841)과, 상기 제2 가동몸체(812)와 상기 제2 연결바(L2)와 상기 제2 지지몸체(832)의 외주면에 공통으로 접촉하는 제2 접촉판(842)과, 상기 제1 접촉판(841)에 장착되는 제1-1 장착바(851)와, 상기 제2 접촉판(842)에 장착되는 제2-1 장착바(852)와, 양측으로 각각 상기 제1-1 장착바(851)와 상기 제2-1 장착바(852)가 연동되는 제1 구동모듈(853)을 포함하는 제1 연결모듈(850)과, 상기 제1 접촉판(841)에 장착되며 상기 제1-1 장착바(851) 하단에 구비되는 제1-2 장착바(861)와, 상기 제2 접촉판(842)에 장착되며 상기 제2-1 장착바(852) 하단에 구비되는 제2-2 장착바(862)와, 양측으로 각각 상기 제1-2 장착바(861)와 상기 제2-2 장착바(862)가 연동되는 제2 구동모듈(861)을 포함하는 제2 연결모듈(86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구동모듈(853)은 상기 제1-1 장착바(851)와 상기 제2-1 장착바(852)를 각각 진퇴시키는 액츄에이터로서 작동되며, 상기 제2 구동모듈(861)은 상기 제1-2 장착바(861)와 상기 제2-2 장착바(862)를 각각 진퇴시키는 액츄에이터로서 작동되어, 상기 제1 접촉판(841)과 상기 제2 접촉판(842)으로 상기 일측으로 상기 제1 가동몸체(811), 상기 제1 연결바(L1), 상기 제1 지지몸체(831)를 상기 제2 가동몸체(812), 상기 제2 연결바(L2), 상기 제2 지지몸체(832)와 상호 가압 연동되록한다.
상기 제1 접촉판(841)은, 내측에 제1 삽입구(871)가 구비되어 상기 제1 가동몸체(811)에 삽입 끼움결합되며, 내측에 제2삽입구(872)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연결바(L1)에 삽입끼움 결합되며, 내측에 제3 삽입구(873)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지지몸체(831)에 삽입 끼움결합되며, 내측에 제4 삽입구(874)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연결바(L1)에 삽입끼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 접촉판(842)은, 내측에 제5 삽입구(881)가 구비되어 상기 제2 가동몸체(812)에 삽입 끼움결합되며, 내측에 제6삽입구(882)가 구비되어 상기 제2 연결바(L2)에 삽입끼움 결합되며, 내측에 제7 삽입구(883)가 구비되어 상기 제2 지지몸체(832)에 삽입 끼움결합되며, 내측에 제8 삽입구(884)가 구비되어 상기 제2 연결바(L2)에 삽입끼움 결합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본체부
110 : 투입구
120 : 이동로
200 : 가압착커팅부
400 : 압착부

Claims (11)

  1. 자동차 부품용 사출물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자동차 부품용 사출물 제작 시스템은 사출 불량 판별 장치와 사출물 재생시스템 포함하며,
    상기 사출 불량 판별 장치는,
    사출 성형기에서 사출 성형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수행되는 각 사출 성형 과정별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
    상기 상태 검출부에서 검출된 각 사출 성형 과정별 상태 정보와 기준 상태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 상태 정보를 비교하는 상태 비교부; 및
    상기 상태 비교부를 통해 각 사출 성형 과정별 상태 정보의 비교 결과를 전달받고, 각 과정별 상태 정보가 적어도 하나 이상 기준 상태 정보를 만족하지 않을 경우 불량 사출물로 판단하는 불량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출물 재생시스템은,
    상부에 불량사출품이 투입되는 투입구(110)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투입구(110)와 연결되어 하부로 연장되되 중앙부 일측에 다수의 통공(121)이 형성되는 이동로(120)가 형성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축 설치되는 샤프트(210)와, 상기 샤프트(210)의 외주에구성되는 가압착롤러(220)와, 상기 가압착롤러(220)의 외주에 커팅날(221)과 수용홈(223)이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가압착커팅부(200);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양측에 열풍발생부(300)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축설치되는 샤프트(410)와, 상기 샤프트(410)의 외주에 설치되어 불량사출품을 압착시키는 압착롤러(420)로 구성되는 압착부(400);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양측에 구비되어, 좌,우실린더(510, 520)에 의해 압착된 불량사출품을 절단하는 절단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열풍발생부는 상기 가압착커팅부에서 커팅된 불량사출품을 가열하고, 상기 압착부는 상기 열풍발생부에서 가열된 불량사출품을 압착하며, 상기 절단부는 상기 압착부에서 압착된 불량사출품을 절단하며,
    상기 통공(121)은 상기 열풍발생부(300)에서 발생된 고온의 열풍이 상기 이동로(120)를 이동하는 불량사출품으로 전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사출물 재생시스템은,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 중앙의 함입영역(DH)을 기준으로 상기 가압착커팅부(200)와 인접하는 상단 본체부(100)와 상기 압착부(400)와 인접하는 하단 본체부(100)으로 구비되며,
    상기 상단 본체부(100) 일측에는 사각의 제1 가동몸체(81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제2 가동몸체(812)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가동몸체(811)는 상부에 구비되는 제1 구동체(814)와 상기 제1 구동체(814)에서 제1 피스톤바(817)를 매개로 상기제1 가동몸체(811)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진퇴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이동몸체(819)와,
    상기 제2 가동몸체(812)는 상부에 구비되는 제2 구동체(815)와 상기 제2 구동체(815)에서 제2 피스톤바(818)를 매개로 상기제2 가동몸체(812)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진퇴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이동몸체(8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이동몸체(819)와 상기 제2 이동몸체(820)는 상기 사출물 재생시스템의 중앙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재생시스템의 내부 투입구(110)에 이르는 여유공간을 확보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이동몸체(819)는 내측부 하단영역에 내부에서 외부로 틸트되는 패널 또는 바형상의 제1 가변회동체(821)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이동몸체(820)는 내측부 하단영역에 내부에서 외부로 틸트되는 패널 또는 바형상의 제2 가변회동체(822)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가변회동체(821) 및 상기 제2 가변회동체(822)는 상기 투입구(110) 상에 정체되어 잔존하는 불량사출품을 상부에서 하부로 반복 틸트하여 눌러 압입하는 제1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가압착커팅부(200)의 물리적 가공이 용이해지도록 보조하고,
    상기 제1 이동몸체(819)는 내측부 상단영역에 내부에서 외부로 틸트되는 패널 또는 바형상의 제3 가변회동체(823)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이동몸체(820)는 내측부 상단영역에 내부에서 외부로 틸트되는 패널 또는 바형상의 제4 가변회동체(824)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가변회동체(821) 및 상기 제2 가변회동체(822)는 상기 제1 이동몸체(819)와 상기 제2 이동몸체(820) 사이에 정체되어 잔존하는 불량사출품을 상부에서 하부로 반복 틸트하여 눌러 압입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가압착커팅부(200)의 물리적 가공이 용이해지도록 보조하고,
    상기 제3 가변회동체(823)와 상기 제4 가변회동체(824)는 상기 제1 가변회동체(821)와 상기 제2 가변회동체(822)가 각각 상기 제1 이동몸체(819)와 상기 제2 이동몸체(820)의 내부로 회동하여 후퇴된 상태에서 틸트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이동몸체(819)와 상기 제2 이동몸체(820)에서 상기 제1 가변회동체(821)와 상기 제2 가변회동체(822)는 수평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 가변회동체(823)와 상기 제4 가변회동체(824)는 수평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 가변회동체(821)와 상기 제2 가변회동체(822)와 상기 제3 가변회동체(823)와 상기 제4 가변회동체(824) 사이의 체류공간으로 불량사출품이 설정시간 동안 수용되도록 구비되는 수평동작모드로 동작 가능한 것인 자동차 부품용 사출물 제작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200079108A 2020-06-29 2020-06-29 자동차 부품용 사출물 제작 시스템 KR102223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108A KR102223289B1 (ko) 2020-06-29 2020-06-29 자동차 부품용 사출물 제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108A KR102223289B1 (ko) 2020-06-29 2020-06-29 자동차 부품용 사출물 제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3289B1 true KR102223289B1 (ko) 2021-03-11

Family

ID=75142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108A KR102223289B1 (ko) 2020-06-29 2020-06-29 자동차 부품용 사출물 제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28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781Y1 (ko) * 2001-05-24 2001-10-15 김용기 자동 투입하여 분쇄하는 플라스틱 분쇄기의 분쇄실 구조
JP2002085996A (ja) * 2000-09-12 2002-03-26 Meidensha Corp 被処理物の破砕装置と加熱処理施設
KR20060012475A (ko) * 2004-08-03 2006-02-08 남궁균 다용도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150003507U (ko) * 2014-03-14 2015-09-23 엠엔테크(주) 폐기물 파쇄장치
KR101632145B1 (ko) * 2015-03-26 2016-06-20 정인호 자동차 부품용 불량사출품 재생시스템이 구비된 사출기
KR20170068228A (ko) * 2015-12-09 2017-06-19 정인호 자동차 부품용 불량사출품 재생시스템이 구비된 사출기
KR101902383B1 (ko) * 2017-04-12 2018-10-02 (주)한도테크 사출물의 불량 판별 장치 및 방법
KR101912564B1 (ko) 2018-06-08 2018-12-28 최민철 런너 취출식 사출금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5996A (ja) * 2000-09-12 2002-03-26 Meidensha Corp 被処理物の破砕装置と加熱処理施設
KR200246781Y1 (ko) * 2001-05-24 2001-10-15 김용기 자동 투입하여 분쇄하는 플라스틱 분쇄기의 분쇄실 구조
KR20060012475A (ko) * 2004-08-03 2006-02-08 남궁균 다용도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150003507U (ko) * 2014-03-14 2015-09-23 엠엔테크(주) 폐기물 파쇄장치
KR101632145B1 (ko) * 2015-03-26 2016-06-20 정인호 자동차 부품용 불량사출품 재생시스템이 구비된 사출기
KR20170068228A (ko) * 2015-12-09 2017-06-19 정인호 자동차 부품용 불량사출품 재생시스템이 구비된 사출기
KR101902383B1 (ko) * 2017-04-12 2018-10-02 (주)한도테크 사출물의 불량 판별 장치 및 방법
KR101912564B1 (ko) 2018-06-08 2018-12-28 최민철 런너 취출식 사출금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3028B1 (ko) 쌀밥 성형장치
KR102223289B1 (ko) 자동차 부품용 사출물 제작 시스템
US8070471B2 (en) Gravity injection of molding material for compression molding and related methods
KR102223292B1 (ko) 자동차 부품용 사출물 제작 방법
CN110091463A (zh) 注射成型方法及模具装置
JP5606207B2 (ja) 米飯成形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4514573A (ja) 型部品のための赤外線視覚検査装置を備える部品成形機
JPWO2016063979A1 (ja) 竪型射出成形機、及び竪型射出成形機を用いた複合成形体の成形方法
CA2554450A1 (en) A method and an arrangement for producing friction linings
CN110405687B (zh) 一种剪刀脚的装配设备
JP5008510B2 (ja) 射出成形機及び射出成形機における成形品の製造方法
KR101789385B1 (ko) 자동차 부품용 불량사출품 재생시스템이 구비된 사출기
KR101632145B1 (ko) 자동차 부품용 불량사출품 재생시스템이 구비된 사출기
JP4441241B2 (ja) 大型プラスチック成型品の切断装置及び大型プラスチック成型品のリサイクル装置
KR101612573B1 (ko) 도광판의 제조 방법 및 도광판
CN102475367A (zh) 布粘接装置及粘接方法
KR20140123233A (ko) 폐기용 고철 압축장치
JP2004050427A (ja) リサイクル材料用射出成形機
CN102059335B (zh) 料骨分离装置及其方法
JPS63242511A (ja) 射出成形機
KR20090050296A (ko) 저압용 플런저형 플라스틱 사출 장치
US20070104818A1 (en) Machine for molding articles made of loose material, for manufacturing loading pallet stringers
JP6738098B2 (ja) 強化繊維含有樹脂の圧縮成形システムおよび圧縮成形方法
CN117445398B (zh) 一种3d打印机出料自动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213500322U (zh) 模具二次顶出装置及塑料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