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028B1 - 쌀밥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쌀밥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028B1
KR101633028B1 KR1020090112401A KR20090112401A KR101633028B1 KR 101633028 B1 KR101633028 B1 KR 101633028B1 KR 1020090112401 A KR1020090112401 A KR 1020090112401A KR 20090112401 A KR20090112401 A KR 20090112401A KR 101633028 B1 KR101633028 B1 KR 101633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guide groove
sushi
shap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7510A (ko
Inventor
준야 우치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오디오테크니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오디오테크니카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오디오테크니카
Publication of KR20100057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7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16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pocketed rollers, e.g. two co-operating pocketed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0Feeding material to presses
    • B30B15/302Feeding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to moulding presses
    • B30B15/308Feeding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to moulding presses in a continuous manner, e.g. for roller presses, screw extrusion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울어지지 않고 쌀밥 성형물을 대략 동일한 자세로 낙하하도록 한 쌀밥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성형 롤러(410)의 오목형 면(420)의 일부를 성형 롤러(410)의 끝면을 향하여 개방하고, 성형 롤러(410)의 양쪽 끝면을 지지하는 1쌍의 지지 패널(450)에 홈 형상의 가이드부(460)를 설치하여, 오목형 면(410) 내에서 압축되고, 오목형 면(410)의 양쪽 끝으로부터 압출된 쌀밥의 일부를 가이드부(460)로 받아, 초밥 덩어리(10)의 일부를 가이드부(460)를 따라 낙하시킨다.

Description

쌀밥 성형장치 {APPARATUS FOR MOLDING COOKED RICE}
본 발명은, 초밥용의 초밥 덩어리 등의 쌀밥 성형물을 자동으로 생산하는 쌀밥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성형부로부터 떨어뜨려진 쌀밥 성형물이 쓰러지거나, 방향을 바꾸는 것을 방지하는 쌀밥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품 소매점이나 회전초밥집에서는, 생선초밥용의 초밥 덩어리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장치로서, 전용의 쌀밥 성형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쌀밥 성형장치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일본국 특개2006-197823호 공보 :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6-1978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호퍼로부터 공급된 쌀밥을 소정의 쌀밥 성형물로 압축하면서 성형하는 성형부를 구비하고 있다.
도 9A 내지 도 9C를 더불어 참조하여, 성형부(1)는, 소정의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1쌍의 성형 롤러(2, 2)와, 성형 롤러(2, 2)의 끝면을 지지하는 1쌍의 지지 패널(4, 4)을 가지고, 성형 롤러(2, 2)의 사이에 상류측으로부터의 초밥용 밥(10)을 보내어, 각 성형 롤러(2, 2)의 외표면에 형성된 오목형 면(3)에서 초밥용 밥(10)을 끼워넣어 압축함으로써, 섬형상(俵狀)의 초밥 덩어리(10)가 하류측으로부터 개방되어, 트레이(T)의 위에 떨어지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 성형 롤러(2, 2)를 사용한 성형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일반적으로 초밥용 밥(10)은 끈기가 강하기 때문에,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형 면(3)에서 초밥용 밥(10)을 끼워넣어 압축하였을 때에 초밥 덩어리(10)가 오목형 면(3)에 점착하여,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자세로 트레이나 받침대 등의 방출면(T)에 떨어지는 경우가 있었다.
마찬가지로, 도 9B,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초밥 덩어리(10)가 오목형 면(3)으로부터 떨어져 낙하할 때, 초밥 덩어리(10)의 일부가 지지 패널(4, 4)의 일부에 닿아 비스듬해지거나, 방출면(T)의 위에 비스듬하게 떨어지는 경우도 있었다.
초밥 덩어리(10)가 비스듬하게 낙하한 경우, 낙하의 기세에 의하여 변형되거나, 흐트러질 우려가 있었다. 또, 낙하하는 바람에 초밥 덩어리(10)가 방출면(T)의 위에서 옆으로 굴러가거나 하여 위치나 방향이 바뀌고, 다음 공정을 행하기 위한 방출부로 옮길 때에 초밥 덩어리(10)의 방향이나 위치를 수정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울어지지 않고 쌀밥 성형물을 대략 동일한 자세로 낙하하도록 한 쌀밥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몇 가지 특징을 구비하고 있다. 호퍼로부터 공급된 쌀밥을 압축하면서 소정 형상의 쌀밥 성형물로 성형하는 성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부는,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1쌍의 성형 롤러를 가지며, 상기 각 성형 롤러의 바깥 둘레면에는, 상기 쌀밥 성형물을 성형하기 위한 오목형 면을 가지고, 상기 각 성형 롤러의 상류측으로부터 보내진 상기 쌀밥이 상기 오목형 면 내에서 압축 성형되며, 상기 성형 롤러의 하류측으로부터 상기 쌀밥 성형물이 되어 방출되는 쌀밥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성형 롤러의 양쪽 끝에는, 상기 성형 롤러의 양쪽 끝에 배치된 1쌍의 지지 패널을 가지고, 상기 오목형 면은, 그 일부에 상기 성형 롤러의 축방향 끝면을 향하여 개방되는 노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 지지 패널에는, 상기 오목형 면 내에서 압축되고, 상기 오목형 면의 상기 노치부로부터 압출된 상기 쌀밥의 일부가 들어가서, 상기 쌀밥 성형물을 상류에서 하류로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지지 패널의 일부에 오목형 면 내에서 압축되고, 상기 오목 형 면의 노치부로부터 압출된 상기 쌀밥의 일부를 받아, 상류에서 하류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설치한 것에 의하여, 쌀밥 성형물이 점착하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바른 자세로 트레이의 위에 떨어뜨릴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 패널의 일부를 오목하게 한 가이드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각 성형 롤러의 맞댐면을 지나는 수직 축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오목형 면 내에서 압축된 압출된 쌀밥의 일부가 가이드 홈 내에 들어가서, 가이드 홈을 따라 낙하함으로써, 쌀밥 성형물의 낙하가 더욱 확실하게 안내된다.
또, 상기 가이드부는, 상단측의 폭이 상기 오목형 면 사이의 상기 노치부에 의한 최대 개구폭에 상당하고, 하단측의 폭이 상기 오목형 면 사이의 상기 노치부에 의한 최소 개구폭에 상당하며, 상류에서 하류를 향하여 상기 폭이 점차 좁아지는 부채형상의 제 1 가이드 홈과, 한쪽 끝이 상기 제 1 가이드 홈의 하단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상기 지지 패널의 하단을 향하여 연장 설치된 제 2 가이드 홈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부채꼴의 제 1 가이드 홈을 설치한 것에 의하여, 오목형 면의 맞물림 상황과 더불어 오목형 면으로부터 압출된 쌀밥의 일부가 무리 없이 가이드부에 안내되기 때문에, 쌀밥이 성형 롤러와 지지 패널의 사이에 들어가서, 눌려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가이드 홈의 홈 깊이를 D1, 상기 제 2 가이드 홈의 홈 깊이를 D2라 하였을 때, 상기 제 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 2 가이드 홈은 D2 > D1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가이드 홈은, 상기 쌀밥 성형물의 측면에 비접촉이 되는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제 1 가이드 홈의 홈 깊이를 D1, 상기 제 2 가이드 홈의 홈 깊이를 D2라 하고, 제 1 가이드 홈과 제 2 가이드 홈을 D2 > D1로 하며, 또, 쌀밥 성형물의 측면에 비접촉이 되는 깊이로 형성한 것에 의하여, 가이드 홈의 출구측에서 쌀밥 성형물이 지지 패널의 일부에 걸려서, 자세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쌀밥 성형장치(100)는, 쌀밥(10)(초밥용 밥)이 투입되는 호퍼(200)와, 호퍼(200)로부터 공급된 초밥용 밥(10)을 압축하면서 송출하는 압축부(300)와, 압축된 초밥용 밥(10)을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부(400)와, 성형된 쌀밥 성형물[초밥 덩어리(10) : 도 4 참조]을 소정의 장소로 반송하는 반송부(500)와, 반송부(500)로부터 반송된 초밥 덩어리(10)를 일시적으로 축적하여 두는 보관부(60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X축 방향이란, 쌀밥 성형장치(100)의 폭방향(도 3의 좌우방향)을 가리키고, Y축 방향은, 쌀밥 성형장치(100)의 안길이 방향(도 3의 지 면 수직방향)을 가리킨다. Z축 방향이란, 쌀밥 성형장치(100)의 상하방향(도 3의 상하방향)을 가리킨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 사용에 있어서, 쌀밥 성형장치(100)는, 먼지 등이 내부에 침입하지 않도록 패널에 의하여 덮여 가려져 있고, 메인터넌스시에 그들 패널을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내부 구조가 나타나게 되어 있다.
쌀밥 성형장치(100)의 전면에는, 쌀밥 성형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패널(11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 조작 패널(110)은, 전면의 좌측 위에 설치되어 있고, 초밥용 밥의 중량이나 초밥 덩어리(10)의 성형 수 등을 설정하는 각종 설정 버튼이나, 그 표시부 외에, 전원 스위치나 긴급 정지 스위치 등이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조작 패널(110)의 구성은, 사양에 따라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호퍼(200)는, 장치 본체의 상부를 향하여 개방되고, 내부에 초밥용 밥이 저류되는 저류부(210)와, 상기 저류부(210) 내의 초밥용 밥을 교반하면서 하류측으로 흘러가게 하는 교반부(220)를 구비하고 있고, 쌀밥 성형장치(1)의 상부에는, 호퍼(200)에 초밥용 밥을 공급하는 보존용기(230)가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저류부(210)는, 장치 본체의 위에서 아래로 향함에 따라서 용적이 작아지는 깔때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류측이 뒤에서 설명하는 압연부(300)를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교반부(220)는, 도시 생략한 구동수단을 거쳐, 회전 구동되는 2개의 교반 아암(240)을 가지고, 각 교반 아암(240)에는,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교반 로드(250)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에서, 각 교반 아암(240)은, 우회전(시계방향)으 로 회전한다.
압축부(300)는, 호퍼(200)의 출구측에 배치되고, 호퍼(200)로부터 공급되는 초밥용 밥을 압축하는 상단 압축 롤러쌍(310)과, 상단 압축 롤러쌍(310)의 하류측(송출측)에 배치되며, 상단 압축 롤러쌍(310)에서 압축된 초밥용 밥을 더욱 압축하는 하단 압축 롤러쌍(320)을 가지는 2단 압축부이다.
상단 압축 롤러쌍(310)은, 소정의 수평 회전축(도 3에서는 지면 수직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1쌍의 롤러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하단 압축 롤러쌍(320)도 마찬가지로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1쌍의 롤러로 이루어지고, 상단 압축 롤러쌍(310)보다 간격이 좁아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단 압축 롤러쌍(310)과 하단 압축 롤러쌍(320)은 모두, 대향하는 롤러의 사이로 흘려 넣은 초밥용 밥을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하여 이동시키기 위하여,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예에서, 압축부(300)는, 2단 압축 롤러이나, 사양에 따라서는 1단이어도 되고, 다단화 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서, 호퍼(200) 및 압축부(3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임의적 사항이고, 그 형상이나 배치 등은 사양에 따라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도 5를 더불어 참조하여, 성형부(400)는, 압축부(300)의 하류측에 배치된 1쌍의 성형 롤러(410, 410)와, 성형 롤러(410, 410)의 축 방향의 양쪽 끝면(411, 411)을 지지하는 1쌍의 지지 패널(450, 450)을 구비하고 있다. 각 성형 롤러(410, 410)는 모두 동일 형상의 합성 수지제로, 그것들이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동기 적(同期的)으로 회전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성형 롤러(410)의 바깥 둘레에는, 성형부(400)로 보내진 초밥용 밥을 초밥 덩어리(10)로 성형하는 오목형 면(420)이 설치되어 있다. 오목형 면(420)은, 성형 롤러(410)의 외표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초밥 덩어리(10)의 대략 절반에 상당하는 용적을 가지는 단면이 반섬형상의 오목부로 이루어지고, 성형 롤러(410)의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이 예에서는 60° 간격으로 6군데 설치되어 있다.
각 성형 롤러(410)는, 외접원끼리가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오목형 면(420)의 끝부가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각 성형 롤러(410)의 사이에 상류측으로부터 흘려 넣어지는 초밥용 밥은, 오목형 면(420, 420)의 속에 채워 넣어지고, 성형 롤러(410)끼리가 회전에 따라, 오목형 면(420) 내에서 압축되고, 섬형으로 성형된 후, 하류측으로 방출된다.
오목형 면(420)의 양쪽 끝(도 5B에서는 좌우방향)은, 성형 롤러(410)의 축방향 끝면을 향하여 개방된 노치부(421, 421)가 설치되어 있다. 노치부(421, 421)는, 오목형 면(420)의 중앙의 단면적보다 작은 개구이고, 오목형 면(420)내에서 압축된 쌀밥의 일부가 노치부(421, 421)로부터 바깥으로 압출되도록 되어 있다.
지지 패널(450, 450)은, 합성수지제의 판체(板體)로 이루어지고, 성형 롤러(410)의 축 방향의 끝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지지 패널(450)은 모두 동일 형상이고, 그것들이 성형 롤러(410)를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어느 한쪽의 지지 패널(450)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6A, 도 6B를 참조하여, 지지 패널(450)에는, 성형 롤러(410, 410)의 회전 축(411, 411)이 삽입되는 축 삽입 구멍(451, 451)이 회전축(411, 411)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지지 패널(450)의 중앙에는, 성형 롤러(410)의 오목형 면(420)의 노치부(421)로부터 압출된 쌀밥을 받아, 하류로 안내하는 가이드부(460)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부(460)는, 지지 패널(450)의 표면[성형 롤러(410)의 대향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오목하게 한 가이드 홈으로 이루어진다. 가이드부(450)는, 각 성형 롤러(410, 410)의 맞댐면을 중심으로 하는 수직 축선을 따라 동축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460)는, 깊이가 다른 2 종류의 가이드 홈(461, 462)을 구비하고 있다. 한쪽의 가이드 홈[제 1 가이드 홈(461)]은, 시단측(도 6A에서는 상단측)의 폭(W1)이 오목형 면(420) 사이의 최대 개구폭에 상당하고, 종단측(도 6B에서는 하단측)의 폭(W2)이 오목형 면 사이의 최소 개구폭에 상당하며, 시단측에서 종단측을 향하여 폭이 점차 좁아지는 부채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가이드 홈(461)의 시단측은, 쌀밥을 안내하기 쉽도록 소정 각도의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다.
다른쪽의 가이드 홈[제 2 가이드 홈(462)]은, 상단이 제 1 가이드 홈(461)의 종단에 접속되고, 하단이 지지 패널(450)의 하단을 향하여 연장 설치된 등폭(等幅)의 홈이다. 제 1 가이드 홈(461)과 제 2 가이드 홈(462)은 홈 깊이가 다르고, 그 경계부는, 쌀밥이 걸리지 않도록 소정 곡률의 곡률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가이드 홈(461)의 홈 깊이를 D1, 제 2 가이드 홈(462)의 홈 깊이를 D2라고 하였을 때, 제 1 가이드 홈(461) 및 제 2 가이드 홈(462)은 D2 > D1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가이드 홈(461)에 대하여 제 2 가이드 홈(462)이 깊게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구체적인 홈 깊이(D1, D2)는, 사양에 따라 임의로 설정되어도 된다.
이 예에서, 제 1 가이드 홈(461) 및 제 2 가이드 홈(462)은 D2 > D1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제 2 가이드 홈(462)은, 적어도 쌀밥 성형물에 대하여 비접촉이 되는 깊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반송부(500)는, 성형된 초밥 덩어리(10)를 붙잡는 1쌍의 유지 아암(510, 510)과, 상기 유지 아암(510, 510)의 선단을 개폐하는 아암 개폐수단(530)과, 유지 아암(510, 510)을 상하방향(Z축 방향 : 도 3에서는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Z축 이동수단(550)과, 유지 아암(510, 510)을 좌우방향(X축 방향 : 도 3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 이동수단(570)을 구비하고 있다.
반송부(500)는, 유지 아암(510), 아암 개폐수단(530) 및 Z축 이동수단(570)이 조립된 박스체 커버(501)가 성형부(400)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고, 보호 커버(501) 전체가 X축 이동수단(570)에 의하여 좌우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있다.
보관부(600)는, 초밥 덩어리(10)를 일시적으로 보관하여 두는 트레이(610)와, 트레이(610)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 이동수단(630)을 구비하고 있다. 트레이(610)는,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윗면이 개방된 직사각형상의 박스체이다. 트레이(610)의 크기나 형상은 사양에 따라, 임의로 선택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 반송부(500) 및 보관부(6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임의이고, 본 발명의 성형부(400)를 구비하고 있으면, 사양에 따라 임의로 변경되어도 된다.
다음에,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서, 이 쌀밥 성형장치(100)의 사용 순서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초밥용 밥이 넣어진 보존용기(230)를 호퍼(200)의 상부에 설치한 후, 전원 스위치를 켠다. 이것에 따라, 호퍼(200)의 교반 로드(240)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다음에, 조작 패널(110)을 조작하여, 초밥용 밥의 중량이나 초밥 덩어리(10)의 성형 수 등의 각종 항목을 설정한 후, 작업 개시 버튼을 조작한다. 작업 개시 버튼을 받아, 도시 생략한 제어부는, 먼저, 모든 기구의 초기화를 행하고, 에러 신호가 나와 있지 않은지, 반송부(500)가 초기 위치에 있는지 등을 체크한다.
체크가 완료하면, 제어부는, 압축부(300)의 각 압축 롤러쌍(310, 320)을 회전시키고, 호퍼(200)로부터 송출된 초밥용 밥을 압축하면서 성형부(400)의 상류측에 반송한다.
성형부(400)의 상류측에 초밥용 밥의 도래를 확인하면, 제어부는, 성형부(400)에 지령을 보내어, 성형부(400)의 성형 롤러(410, 410)끼리를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성형 롤러(410, 410)의 회전에 따라, 초밥용 밥은, 도 7A 및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성형 롤러(410, 410)의 오목형 면(420, 420)의 사이에 도입되고, 초밥 덩어리(10)의 압축이 개시된다.
성형 롤러(410, 410)의 회전에 따라, 오목형 면(420, 420) 내에 갇힌 초밥용 밥(10)은, 서서히 압축되어 가고, 그 일부가 압축에 따라 양쪽 끝의 노치부(421, 421)로부터 압출된다.
도 7B 및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치부(421)로부터 압출된 초밥용 밥(10)은, 제 1 가이드 홈(461)으로 눌림과 동시에, 성형 롤러(410, 410)의 회전에 따라 서서히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그때, 부채형상으로 형성된 제 1 가이드 홈(461)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향하면서, 중심을 향하여 압축된다.
이것에 의하면, 상류측으로부터 투입된 초밥용 밥(10)을 제 1 가이드 홈(461) 내에 원활하게 흘려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초밥 덩어리(10)의 측면에 압출된 부분이, 초밥 덩어리(10)의 낙하시에 있어서의 가이드가 되어, 초밥 덩어리(10)의 직진 안정성 및 낙하 자세 안정성이 향상된다.
다음에, 도 7C 및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성형 롤러(410, 410)를 더욱 회전시킴으로써, 오목형 면(420, 420)의 하단측이 개방됨과 동시에, 오목형 면(420, 420) 내에서 압축된 초밥 덩어리(10)가 오목형 면(420, 420)으로부터 개방되어 낙하한다.
그때, 제 2 가이드 홈(462)의 측면에 초밥 덩어리(10)의 측면이 맞닿지 않고, 초밥 덩어리(10)가 낙하함으로써, 초밥 덩어리(10)의 측면이 걸려 기우는 것을 방지하면서, 만에 하나, 자세가 흐트러진 경우는, 제 2 가이드 홈(462)에 의하여, 자세를 크게 흩뜨리는 것이 방지된다.
성형된 초밥 덩어리(10)가 오목형 면(420)으로부터 빠져나가, 하류의 반송부(500)를 향하여 투하된다. 반송부(500)를 향하여 투하된 초밥 덩어리(10)는, 유지 아암(510, 510)에 의하여, 안정된 자세를 유지한 채의 상태로 캐치된다.
초밥 덩어리(10)가 유지 아암(510)에 의하여 붙잡힌 것을 확인한 후, 제어부는, 먼저, X축 이동수단(570)에 지령을 보내어, 소정의 트레이(610)의 X축 위치에 유지 아암(510)을 포함하는 박스체 커버(501) 전체를 이동시킨다.
소정의 X축 위치에 이동시킨 후, 제어부는 다음에, Z축 이동수단(550)에 하강 지령을 보낸다. 하강 지령을 받아, Z축 이동수단(550)은, 도시 생략한 구동모터(554)에 의하여 유지 아암(510)을 하강시킨 후, 더불어 아암 개폐수단(530)에 「아암 개방」 지령을 보내고, 유지 아암(510)의 선단을 개방하여 초밥 덩어리(10)를 트레이(610)의 위에 놓는다.
그런 후, 제어부는, 아암 개폐수단(530)에 「아암 중립」 지령을 보낸다. 이것을 받아, 아암 개폐수단(530)은, 중립 위치로 유지 아암(510)을 되돌린다. 또한, Z축 이동수단(550)에도 「초기 위치」 지령을 보내어, 유지 아암(510)을 초기 위치까지 들어올린다. 또한, X축 이동수단(530)에도 동일한 「초기 위치」 지령을 보내어, 반송부(500)의 박스체(501)를 초기 위치로 되돌린다.
이상의 일련의 공정을 반복하고, 트레이(610)의 위에 규정량의 초밥 덩어리(10)가 빈틈없이 깔린 것을 확인하면, 제어부는, Y축 이동수단(600)을 거쳐 트레이(610)를 인출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그런 후, 제어부는 반송부(500)를 초기 위치까지 되돌림과 동시에, 가장 마지막에 버저 등으로 성형 완료를 작업자에게 알린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 쌀밥 성형장치(100)는, 쌀밥 성형물로서 초밥 덩어리(10)를 성형하는 경우에 대하여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쌀밥 성형장치(100)는, 상기한 특징을 구비하고 있으면, 초밥 덩어리(10) 이외의 쌀밥 성형물에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쌀밥 성형물뿐만 아니라, 크로켓이나 쿠키 등의 각종 식품 성형물의 성형장치에 적용되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쌀밥 성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식품 성형장치를 덮는 커버를 떼어내서 내부 기구를 알 수 있도록 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식품 성형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식품 성형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A는 성형부의 성형 롤러의 횡단면도,
도 5B는 종단면도,
도 6A는 가이드부의 정면도,
도 6B는 중앙 종단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성형 롤러의 성형순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도 7의 성형순서의 종단면도,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종래 기술에 관련되는 관련도이다.

Claims (5)

  1. 호퍼로부터 공급된 쌀밥을 압축하면서 소정 형상의 쌀밥 성형물로 성형하는 성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부는,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1쌍의 성형 롤러를 가지고, 상기 각 성형 롤러의 바깥 둘레면에는, 상기 쌀밥 성형물을 성형하기 위한 오목형 면을 가지며, 상기 각 성형 롤러의 상류측으로부터 보내진 상기 쌀밥이 상기 오목형 면 내에서 압축 성형되고, 상기 성형 롤러의 하류측으로부터 상기 쌀밥 성형물이 되어 방출되는 쌀밥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성형 롤러의 양쪽 끝에는, 상기 성형 롤러의 양쪽 끝에 배치된 1쌍의 지지 패널을 가지고, 상기 오목형 면은, 그 일부에 상기 성형 롤러의 축방향 끝면을 향하여 개방되는 노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 지지 패널에는, 상기 오목형 면 내에서 압축되고, 상기 오목형 면의 상기 노치부로부터 압출된 상기 쌀밥의 일부가 들어가서, 상기 쌀밥 성형물을 상류에서 하류로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밥 성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 패널의 일부를 오목하게 한 가이드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각 성형 롤러의 맞댐면을 지나는 수직 축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밥 성형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단측의 폭이 상기 오목형 면 사이의 상기 노치부에 의한 최대 개구폭에 상당하고, 하단측의 폭이 상기 오목형 면 사이의 상기 노치부에 의한 최소 개구폭에 상당하며, 상류에서 하류를 향하여 상기 폭이 점차 좁아지는 부채형상의 제 1 가이드 홈과, 한쪽 끝이 상기 제 1 가이드 홈의 하단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상기 지지 패널의 하단을 향하여 연장 설치된 제 2 가이드 홈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밥 성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 홈의 홈 깊이를 D1, 상기 제 2 가이드 홈의 홈 깊이를 D2라고 하였을 때, 상기 제 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 2 가이드 홈은 D2 > D1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밥 성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 홈은, 상기 쌀밥 성형물의 측면에 비접촉이 되는 깊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밥 성형장치.
KR1020090112401A 2008-11-21 2009-11-20 쌀밥 성형장치 KR1016330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97685 2008-11-21
JP2008297685A JP5171570B2 (ja) 2008-11-21 2008-11-21 米飯成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7510A KR20100057510A (ko) 2010-05-31
KR101633028B1 true KR101633028B1 (ko) 2016-06-23

Family

ID=42028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401A KR101633028B1 (ko) 2008-11-21 2009-11-20 쌀밥 성형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96640B2 (ko)
EP (1) EP2189071A1 (ko)
JP (1) JP5171570B2 (ko)
KR (1) KR101633028B1 (ko)
CN (1) CN101731961B (ko)
TW (1) TWI48994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657B1 (ko) 2019-03-27 2019-08-19 김영수 초밥의 성형 및 자동 배열 기계장치
KR102011655B1 (ko) 2019-03-27 2019-08-19 김영수 진동방지기능을 갖는 초밥의 성형 및 자동 배열 기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06207B2 (ja) * 2010-07-30 2014-10-15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米飯成形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008659B2 (ja) * 2012-08-28 2016-10-19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食品成形装置
CN103126043B (zh) * 2013-03-20 2015-08-19 福建安井食品股份有限公司 多功能成型机
JP6206952B2 (ja) * 2013-07-31 2017-10-04 鈴茂器工株式会社 米飯成形装置
US9826775B2 (en) * 2015-01-08 2017-11-28 Brian B. Park Food forming and shaping device
CN104983049B (zh) * 2015-07-08 2017-03-01 秦育涛 冲压式饭团机
CN105146696B (zh) * 2015-07-08 2017-07-11 广州市三禾机械有限公司 便携式饭团机
CN107455653B (zh) * 2016-06-02 2021-05-04 铁三角有限公司 米饭成型装置
CN107455785B (zh) * 2016-06-02 2020-08-07 铁三角有限公司 米饭成型装置用辊以及米饭成型装置
JP6858399B2 (ja) * 2016-06-02 2021-04-14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米飯成形装置用ローラと米飯成形装置
JP6746131B2 (ja) * 2016-08-02 2020-08-26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米飯成形装置
CN111165720A (zh) * 2018-11-10 2020-05-19 肇庆市鼎湖景晟机械有限公司 一种饭团机
CN110050956A (zh) * 2019-04-25 2019-07-26 南京一桌菜食品科技有限公司 粽子的生产方法及其生产设备
JP7305165B2 (ja) * 2019-06-28 2023-07-10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米飯成形装置
CN117774430B (zh) * 2023-12-12 2024-05-07 广东泛瑞新材料有限公司 一种铁氧体加工用原料处理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7823A (ja) 2005-01-18 2006-08-03 Top:Kk 米飯成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0205A (en) * 1968-11-15 1970-12-29 United States Steel Corp Cheek plate for briquetting apparatus
JPS61119149A (ja) * 1984-11-16 1986-06-06 Audio Technica Corp 食品成形機
JPS6137069A (ja) * 1984-07-31 1986-02-21 Audio Technica Corp 食品成形機
JPS61202665A (ja) * 1985-03-07 1986-09-08 Audio Technica Corp 食品成形機
US4696634A (en) * 1985-06-06 1987-09-29 Triple "F", Inc. Apparatus for particulating an oleaginous product
US5073323A (en) * 1990-05-30 1991-12-17 Washington Mills Ceramic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ompacted particulate articles
US5336076A (en) * 1993-05-10 1994-08-09 General Mills, Inc. Nip gap setting apparatus for use in a dough passing device
JP3040362B2 (ja) * 1997-08-21 2000-05-15 允 鈴木 食品成形装置
JPH11206330A (ja) * 1998-01-22 1999-08-03 Ex Systems:Kk 食品成型装置
JP3008189B2 (ja) * 1998-05-28 2000-02-14 鈴茂器工株式会社 円盤状成形米飯の成形装置
US6270826B1 (en) * 1999-12-13 2001-08-07 Mars Incorporated Method for forming confectionery product
JP2005176805A (ja) * 2003-12-24 2005-07-07 Suzumo Machinery Co Ltd 米飯供給機構の保温機構
JP4875999B2 (ja) * 2007-02-28 2012-02-15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米飯成形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7823A (ja) 2005-01-18 2006-08-03 Top:Kk 米飯成形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657B1 (ko) 2019-03-27 2019-08-19 김영수 초밥의 성형 및 자동 배열 기계장치
KR102011655B1 (ko) 2019-03-27 2019-08-19 김영수 진동방지기능을 갖는 초밥의 성형 및 자동 배열 기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029587A (en) 2010-08-16
CN101731961B (zh) 2013-12-18
JP5171570B2 (ja) 2013-03-27
US20100129485A1 (en) 2010-05-27
TWI489948B (zh) 2015-07-01
JP2010119361A (ja) 2010-06-03
US7896640B2 (en) 2011-03-01
KR20100057510A (ko) 2010-05-31
CN101731961A (zh) 2010-06-16
EP2189071A1 (en) 201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3028B1 (ko) 쌀밥 성형장치
KR101562303B1 (ko) 쌀밥 성형장치 및 그 쌀밥 성형장치의 제어방법
US7401694B2 (en) Dough ball loading system
JP5606207B2 (ja) 米飯成形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8568127B2 (en)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moulded bodies from a mouldable mass
AU2021235749B2 (en) Self-clearing dough ball loader
JP2000004767A (ja) 麺の裁断方法、およびそれ用の製麺用裁断装置
KR101307207B1 (ko) 식품생지의 절단방법 및 장치
KR102397323B1 (ko) 만두성형장치
KR102254460B1 (ko) 만두 자동화 성형장치
KR101444797B1 (ko) 냉떡국 제조방법
EP2229058A1 (en) Metering device
JPS6119215B2 (ko)
KR101266841B1 (ko) 소보로빵용 생지 제조장치
JP5124078B2 (ja) 米飯成型装置
US8277212B2 (en) High power rotational cycle moulding method and device
JPH0636709Y2 (ja) 自動生地配列装置
JP2001120200A (ja) 米飯成形装置
JPH05308883A (ja) 球形ないし球に類似する形状の菓子の取出装置
JP2000189083A (ja) 寿司ロボ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