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7207B1 - 식품생지의 절단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식품생지의 절단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7207B1
KR101307207B1 KR1020107027399A KR20107027399A KR101307207B1 KR 101307207 B1 KR101307207 B1 KR 101307207B1 KR 1020107027399 A KR1020107027399 A KR 1020107027399A KR 20107027399 A KR20107027399 A KR 20107027399A KR 101307207 B1 KR101307207 B1 KR 101307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dough
dough
conveyor
food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7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5305A (ko
Inventor
히로시 에바타
레오 야마다
아키라 도다테
Original Assignee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13572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927893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13572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9278933A/ja
Application filed by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05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3/00Machines or apparatus for shaping batches of dough before subdivision
    • A21C3/10Machines or apparatus for shaping batches of dough before subdivision combined with dough-divid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combined with cutt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5/00Dough-divid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7/00Machines which homogenise the subdivided dough by working other than by kneading
    • A21C7/02Machines which homogenise the subdivided dough by working other than by kneading with moulding channel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 A21C9/08Depositing, arranging and conveying apparatus for handling pieces, e.g. sheets of doug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Forging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칭량 콘베이어(69)에 인접하게 구비된 하류 콘베이어(71) 상으로 장대한 상기 식품생지를 이송할 때에, 상기 칭량 콘베이어(69) 상에 있어서 미리 계량된 장대한 식품생지의 중량이 소정 중량 감소하였을 때에 상기 칭량 콘베이어(69)와 상기 하류 콘베이어(71)의 사이에 구비된 절단장치(73)에 의하여 장대한 상기 식품생지를 절단한다. 상기 칭량 콘베이어(69)와 하류 콘베이어(71)의 사이에, 장대한 상기 식품생지에 대하여 접촉, 이반하는 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 생지가압부재(99)에 의하여 장대한식품생지의 일측부를 가압하고, 이 생지가압부재(99)와 대향하도록 구비된 절단칼날(103)을 장대한 식품생지의 타측부로부터 작용시켜서 장대한 식품생지를 절단하는 방법이다.

Description

식품생지의 절단방법 및 장치{CUTTING METHOD AND DEVICE OF FOOD DOUGH}
본 발명은 비교적 장대(長大)한 식품생지(食品生地 : food dough)로부터 미리 설정된 소정 중량의 작은 식품생지를 절단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보다 정밀도가 좋게 작은 식품생지를 계량하여 절단할 수 있는 식품생지의 절단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장대한 식품생지로부터 소정 중량의 작은 식품생지를 절단하는 경우에 상류측의 콘베이어(conveyor)로부터 하류측의 콘베이어 상으로 식품을 이송하고, 이 하류측의 콘베이어에 있어서 이송된 식품생지의 중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중량이 소정 중량이 되었을 때에 상기 식품생지를 절단하고 있다. 상기 기술은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계량절단방법(計量切斷方法)에 있어서는, 상류측의 콘베이어 상에 식품생지가 연속적으로 재치(載置)되는 경우에는 유효하지만, 하류측의 콘베이어에 예를 들면 밀가루(flour) 등이 부착되면, 이 부착된 밀가루 등의 중량이 식품생지의 계량값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과자·빵 등의 제조공정에 있어서는, 적절한 양으로 분할된 식품생지(빵 생지)를 예를 들면 발효공정(醱酵工程) 등의 다음 공정으로 보내기 전에, 생지 둥글리기 성형장치(生地 rounding 成形裝置)에 의하여 적정하게 둥글리기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기술은 예를 들면 특허문헌2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2에 기재된 구성은, 원기둥 형상의 외통(外筒) 내에 머리 부분이 절단된 원뿔형의 회전체를 일방향(一方向)으로 회전시키고 또한 편심회전(偏心回轉)시키도록 구비한 구성으로서, 빵 생지의 둥글리기 작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만, 회전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motor)와 편심회전을 시키기 위한 모터가 필요하여 구성이 복잡하고 고가(高價)의 구성이어서, 더 간단한 구성의 둥글리기 성형장치가 기대되고 있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3-135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3761848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그 목적은, 비교적 장대한 식품생지로부터 작은 식품생지를 보다 정밀도가 좋게 계량하여 절단할 수 있는 식품생지의 절단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품생지로부터의 가스제거를 효과적으로 하고, 또 생지 표면을 매끄럽고 생기있는 표면으로 둥글리기 성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어스펙트는, 식품생지(食品生地)의 절단방법으로서, 이하의 스텝으로 구성된다 : 장대(長大)한 식품생지를 칭량 콘베이어(稱量 conveyor) 상에 재치(載置)하는 스텝; 상기 칭량 콘베이어에 인접하게 구비된 하류 콘베이어(下流 conveyor) 상으로 상기 장대한 식품생지를 이송하는 스텝; 상기 하류 콘베이어 상으로 상기 장대한 식품생지를 이송할 때에, 상기 칭량 콘베이어 상에 있어서 미리 계량(計量)된 상기 장대한 식품생지의 중량으로부터 상기 소정 중량만큼 감소하였을 때에 상기 칭량 콘베이어와 상기 하류 콘베이어의 사이에 구비된 절단장치(切斷裝置)에 의하여 상기 장대한 식품생지를 절단하는 스텝; 및, 상기 절단에 의하여 상기 장대한 식품생지로부터 소정 중량의 작은 식품생지를 절단하는 스텝.
상기 제1어스펙트에 종속되는 본 발명의 제2어스펙트는, 상기 식품생지의 절단방법에 있어서, 상기 칭량 콘베이어와 하류 콘베이어의 사이에, 상기 장대한 식품생지에 대하여 접촉, 이반(離反)하는 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 생지가압부재(生地加壓部材)에 의하여 상기 장대한 식품생지의 일측부(一側部)를 가압하고, 상기 생지가압부재와 대향(對向)하게 구비된 절단칼날(cutting blade)을 상기 장대한 식품생지의 타측부(他側部)로부터 작용시켜서 상기 장대한 식품생지를 절단한다.
본 발명의 제3어스펙트는, 장대한 식품생지를 미리 설정된 소정 중량의 작은 식품생지로 절단하는 식품생지계량 절단장치(食品生地計量 切斷裝置)로서, 이하로 구성된다 : 상기 장대한 식품생지의 전체를 재치할 수 있고 또한 재치된 상기 장대한 식품생지의 전체 중량을 계량할 수 있는 칭량 콘베이어; 상기 칭량 콘베이어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장대한 식품생지를 지지하는 하류 콘베이어; 상기 칭량 콘베이어와 상기 하류 콘베이어의 사이에 구비된 절단장치; 및, 상기 칭량 콘베이어에 있어서 계량된 장대한 상기 식품생지의 계량값이, 상기 소정 중량으로 절단하기 위한 설정값만큼 감소하였을 때에 장대한 상기 식품생지를 절단하기 위하여 상기 절단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制御裝置).
상기 제3어스펙트에 종속되는 본 발명의 제4어스펙트는, 상기 식품생지계량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단장치가 이하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 상기 칭량 콘베이어와 하류 콘베이어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장대한 식품생지의 일측부를 가압할 수 있는 생지가압부재; 및, 상기 생지가압부재와 대향하여 상기 장대한 식품생지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칼날.
상기 제3어스펙트 또는 상기 제4어스펙트에 종속되는 본 발명의 제5어스펙트는, 상기 식품생지계량 절단장치로서, 이하의 요소를 더 구비한다 : 상기 칭량 콘베이어의 상방위치에 설치되고 식품생지를 수용하는 호퍼(hopper); 및, 상기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식품생지를, 상기 칭량 콘베이어 상에 그 전체가 재치되는 장대한 식품생지로 절단하는 커터장치(cutter 裝置).
상기 제3어스펙트 내지 상기 제5어스펙트 중 어느 하나의 어스펙트에 종속되는 본 발명의 제6어스펙트는, 상기 식품생지계량 절단장치로서, 이하의 요소를 더 구비한다 : 상기 식품생지계량 절단장치를 지지한 설치대 프레임(設置臺 frame)의 하부측에 설치되고, 소정 중량으로 절단된 상기 작은 식품생지의 둥글리기 성형(rounding 成形)을 하는 식품생지 둥글리기 성형장치(食品生地 rounding 成形裝置).
본 발명의 제7어스펙트는, 식품생지의 둥글리기 성형방법으로서, 이하의 스텝으로 구성된다 : 하부측의 직경보다 상부측의 직경이 큰 즉 머리 부분이 절단된 원뿔대 형상의 내주면(內周面)을 구비한 외통(外筒) 내에 또는 내주면이 원기둥 형상인 외통 내에, 하부측의 직경보다 상부측의 직경이 작은 즉 머리 부분이 절단된 원뿔대 형상의 회전체(回轉體)를 정역회전(正逆回轉)시킬 수 있도록 구비하고 ; 상기 회전체를 정회전, 역회전시켜서 상기 외통의 내주면과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의 사이에 형성된 V자 형상이고 환상(環狀)의 전송로(轉送路) 내로 공급된 식품생지에 정회전, 역회전을 부여하고 ; 및, 상기 식품생지의 정회전, 역회전을 반복하면서 상기 전송로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상기 식품생지를 이동시킬 때에, 상기 외통의 내주면에 구비된 전압부재의 부분을 상기 식품생지가 통과할 때에 상기 식품생지에 압축, 해제를 부여하여 식품생지의 둥글리기 성형을 한다.
본 발명의 제8어스펙트는, 식품생지의 둥글리기 성형방법으로서, 이하의 스텝으로 구성된다 : 하부측의 직경보다 상부측의 직경이 큰 즉 머리 부분이 절단된 원뿔대 형상의 내주면을 구비한 외통 내에, 하부측의 직경보다 상부측의 직경이 작은 즉 머리 부분이 절단된 원뿔대 형상의 회전체 또는 원기둥 형상의 회전체를 정역회전하도록 구비하고 ; 상기 회전체를 정회전, 역회전시켜서 상기 외통의 내주면과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의 사이에 형성된 V자 형상이고 환상의 전송로 내로 공급된 식품생지에 정회전, 역회전을 부여하고 ; 및, 상기 식품생지의 정회전, 역회전을 반복하면서 상기 전송로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상기 식품생지를 이동시킬 때에, 상기 외통의 내주면에 구비된 전압부재의 부분을 상기 식품생지가 통과할 때에 상기 식품생지에 압축, 해제를 부여하여 식품생지의 둥글리기 성형을 한다.
본 발명의 제9어스펙트는, 식품생지의 둥글리기 성형을 하기 위한 둥글리기 성형장치로서, 이하로 구성된다 : 하부측의 직경보다 상부측의 직경이 큰 즉 머리 부분이 절단된 원뿔대 형상의 내주면 또는 원기둥 형상의 내주면을 구비한 외통과 ; 하부측의 직경보다 상부측의 직경이 작은 즉 머리 부분이 절단된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외통 내에 정역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 회전체와 ; 상기 회전체를 정회전, 역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과 ; 및, 상기 외통의 내주면과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의 사이에 형성된 V자 형상이고 환상의 전송로 내로 공급되어, 당해 전송로 내를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이동되는 식품생지에 압축, 해제를 부여하기 위한 전압부재.
본 발명의 제10어스펙트는, 식품생지의 둥글리기 성형을 하기 위한 둥글리기 성형장치로서, 이하로 구성된다 : 하부측의 직경보다 상부측의 직경이 큰 즉 머리 부분이 절단된 원뿔대 형상의 내주면을 구비한 외통과 ; 하부측의 직경보다 상부측의 직경이 작은 즉 머리 부분이 절단된 원뿔대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외통 내에 정역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 회전체와 ; 상기 회전체를 정회전, 역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 ; 및, 상기 외통의 내주면과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V자 형상이고 환상의 전송로 내로 공급되어, 당해 전송로 내를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이동되는 식품생지에 압축, 해제를 부여하기 위한 전압부재.
본 발명의 제11어스펙트는, 상기 제9어스펙트 또는 상기 제10어스펙트에 기재된 식품생지 둥글리기 성형장치에 있어서, 당해 식품생지 둥글리기 성형장치의 설치대 프레임에 출입할 수 있도록 구비된 슬라이드 부재(slide 部材) 상에 상기 외통을 구비하고, 이 외통 내에 상기 회전체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체를 정역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설치대 프레임에 구비된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체에 구비된 회전축을 접합·이탈 가능하도록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2어스펙트는, 상기 제11어스펙트에 기재된 식품생지 둥글리기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둥글리기 성형 후의 식품생지를 반출하기 위한 반출 콘베이어(搬出 conveyor)를 구비하고, 이 반출 콘베이어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설치대 프레임에 구비된 콘베이어 회전수단인 구동회전체(驅動回轉體)와 상기 반송 콘베이어에 구비된 종동회전체(從動回轉體)의 접합 또는 상기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의 접합은 자기적(磁氣的)으로 접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3어스펙트는, 상기 제9어스펙트 내지 제12어스펙트에 기재된 식품생지 둥글리기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상방위치에, 상기 전송로에 공급하는 식품생지를 계량하여 절단하기 위한 계량절단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4어스펙트는, 상기 제13어스펙트에 기재된 식품생지 둥글리기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량절단장치에 의하여 절단된 식품생지를 일시적으로 받아서 상기 전송로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셔터(供給 shutter)를 상하 반전하도록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어스펙트 내지 제6어스펙트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류측의 칭량 콘베이어 상에 재치된 장대한 식품생지의 전체 중량을 측정하고, 이 칭량 콘베이어로부터 하류측의 콘베이어 상으로 식품생지를 이송할 때에, 상기 칭량 콘베이어에 있어서의 측정 중량의 감소로부터 하류측의 콘베이어 상으로 이송된 식품생지의 중량을 구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칭량 콘베이어나 하류측의 콘베이어에 예를 들면 밀가루 등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이더라도, 부착되어 있는 밀가루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하류측의 콘베이어 상으로 이송된 식품생지의 중량을 정확하게 구할 수 있어, 보다 고정밀도의 계량절단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7어스펙트 내지 제14어스펙트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식품생지 둥글리기 성형장치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식품생지의 둥글리기 성형 시에 식품생지로부터의 가스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과 아울러, 식품생지의 표면을 매끄럽고 또한 생기있는 표면으로 둥글리기 성형할 수 있다.
도1은, 식품생지 둥글리기 성형장치와 식품생지계량 절단장치를 조합하여 시스템 구성으로 한 식품생지 둥글리기 성형장치의 일부를 단면으로서 나타낸 정단면 설명도이다.
도2는, 식품생지 둥글리기 성형장치와 식품생지계량 절단장치를 조합하여 시스템 구성으로 한 식품생지 둥글리기 성형장치의 일부를 단면으로서 나타낸 우측면 설명도이다.
도3은, 식품생지 둥글리기 성형장치와 식품생지계량 절단장치를 조합하여 시스템 구성으로 한 식품생지 둥글리기 성형장치의 일부를 단면으로서 나타낸 좌측면 설명도이다.
도4는 식품생지 둥글리기 성형장치에 있어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이다.
도5(a)∼도5(d)는, 도4에 있어서의 각각의 Va-Va, Vb-Vb, Vc-Vc, Vd-Vd 단면의 설명도이다.
도6은 전송로 내의 식품생지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7(a) 및 도7(b)는 식품생지의 비틀림 유무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8은 커버를 상방으로 열고 호퍼나 커터 하우징 등을 떼어낸 상태의 정면 설명도로서, 일부는 단면으로 되어 있다.
도9는 동상(同上)의 좌측면도이고, 슬라이드 부재를 앞쪽으로 인출한 상태의 설명도이며, 일부는 생략되어 있고 또한 일부는 단면으로 되어 있다.
도10은 슬라이드 부재를 앞쪽으로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비교적 장대(長大)한 식품생지(食品生地 ; food dough)로부터 미리 설정된 소정 중량의 작은 식품생지를 절단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보다 정밀도가 좋게 작은 식품생지를 계량(計量)하여 절단할 수 있는 식품생지의 절단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과자, 빵의 생지 등과 같은 식품생지를 둥글리기 성형(rounding 成形)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식품생지로부터의 가스제거를 효과적으로 하고, 또 생지 표면을 매끄럽고 생기있는 표면으로 둥글리기 성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관한 식품생지계량 절단장치는, 당해 식품생지계량 절단장치만의 구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소정 중량으로 계량하여 절단한 식품생지를 둥글리기 성형하기 위한 식품생지 둥글리기 성형장치와 당해 식품생지계량 절단장치를 조합시킨 시스템 구성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시스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을 참조함에 있어서, 소정 크기의 식품생지(M)를 둥글리기 성형하기 위한 식품생지 둥글리기 성형장치(食品生地 rounding 成形裝置)(1)와 비교적 장대한 식품생지(LM)를 계량(計量)(칭량(稱量))하여 소정 중량의 식품생지(M)로 절단하기 위한 식품생지계량 절단장치(食品生地計量 切斷裝置)(3)를 조합시킨 시스템 구성의 식품생지절단 둥글리기 성형장치(食品生地切斷 rounding 成形裝置)(5)는, 상기 식품생지 둥글리기 성형장치(1), 식품생지계량 절단장치(3)에 공통의 설치대 프레임(設置臺 frame)(7)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설치대 프레임(7)은, 당해 설치대 프레임(7)을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캐스터(caster)(9)를 구비한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대 프레임(7)에 지지된 상기 식품생지 둥글리기 성형장치(1)의 상방 위치에 상기 식품생지계량 절단장치(3)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식품생지 둥글리기 성형장치(1)는, 상기 설치대 프레임(7)의 중간높이 위치에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11)에, 상기 식품생지절단 둥글리기 성형장치(5)의 앞쪽(도1에 있어서 지면(紙面)과 직교하는 표면측, 도2에 있어서 좌측, 도3에 있어서 우측)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식품생지 둥글리기 성형장치(1)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 상에 구비된 복수의 지지롤러(支持 roller) 등과 같은 지지부재(支持部材)(13)(도2 참조)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 상에 설치되고 전후방향(도1에 있어서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 도2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긴 가이드 부재(guide 部材)(15)에 지지안내(支持案內)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플레이트 모양의 슬라이드 부재(slide 部材)(슬라이드 플레이트(slide plate))(17)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당해 슬라이드 부재(17) 상에는, 하측의 직경보다 상부측의 직경이 큰 즉 머리 부분이 절단된 원뿔대 형상으로 내주면(內周面)(19A)을 형성한 외통(外筒)(19)이 일체(一體)로 구비되어 있고, 이 외통(19) 내에는, 하부측의 직경보다 상부측의 직경이 작은 즉 머리 부분이 절단된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체(回轉體)(21)가 정역회전(正逆回轉)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17)를 앞쪽으로 인출함으로써 슬라이드 부재(17)에 장착된 외통(19) 등을, 도9,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식품생지절단 둥글리기 성형장치(5)의 앞쪽(도9에 있어서 우측, 도10에 있어서 좌측)으로 인출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21)는, 상기 외통(19)의 중심위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17)에 수직이고 또한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는 회전축(回轉軸)(23)에 착탈(着脫)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전축(23)의 하단부에 구비된 종동기어(從動 gear)(25)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하면에 장착된 회전수단으로서의 회전용 모터(回轉用 motor)(27)에 구비된 구동기어(驅動 gear)(29)와 수평방향으로 맞물림·이탈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외통(19)의 내주면(19A)과 상기 회전체(21)의 외주면(外周面)(21A)의 사이에는 V자 형상이고 환상(環狀)의 전송로(轉送路)(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식품생지 둥글리기 성형장치(1)에 있어서는, 상기 회전용 모터(27)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상기 회전체(21)의 정회전(도4에 있어서 화살표(A) 방향의 회전), 역회전을 반복한다. 상기 정회전 및 역회전이, 상기 전송로(31) 내로 공급된 식품생지(M)에 정역회전의 자전(自轉)(화살표(B) 방향이 정회전의 자전) 및 정역회전의 공전(公轉)(화살표(C) 방향이 정회전의 공전)을 부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식품생지(M)의 둥글리기 성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송로(31) 내를 전동(轉動)하여 둥글리기 성형이 이루어진 식품생지(M)는, 상기 외통(19)에 형성된 배출구(排出口)(41)(도1, 도2에 있어서는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로부터 외부로 배출되고, 이 배출구(41)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드 부재(17)에 구비된 반출 콘베이어(搬出 conveyor)(33)에 의하여 다음 공정으로 반출된다.
또 상기 회전용 모터(27)의 정회전, 역회전은 식품생지 둥글리기 성형장치(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制御裝置)(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체(21)의 정회전, 역회전 시의 회전속도는 동일하게 되어 있어도 또는 다르게 되어 있어도 좋지만, 회전체(21)의 정회전 시에 있어서의 식품생지(M)의 전동이동거리(轉動移動距離)보다 회전체(21)의 역회전 시에 있어서의 식품생지(M)의 전동이동거리가 짧아지도록 정회전 시간, 역회전 시간은 미리 설정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회전체(21)의 정회전에 의하여 전송로(31) 내를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식품생지(M)가 전동되어 이동하는 거리가, 역회전에 의하여 식품생지(M)가 되돌아가는 거리보다 긴 거리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체(21)가 정회전, 역회전을 반복함으로써 식품생지(M)는 정회전, 역회전 즉 전진, 후퇴를 반복하여 상류측으로부터 점차적으로 하류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전송로(31) 내의 식품생지(M)는, 정역회전의 자전, 공전을 반복하면서 둥글리기 성형작용을 받아서 상류측으로부터 점차적으로 하류측(도4에 있어서 화살표(C) 방향)으로 전동이동되어, 상기 배출구(41)로부터 반송 콘베이어(33) 상으로 배출된다.
상기 반출 콘베이어(33)는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or)로 구성되어 있고, 브래킷(bracket)을 통하여 상기 슬라이드 부재(17)의 하면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반출 콘베이어(33)에 있어서의 벨트 컨베이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에는 종동회전체(從動回轉體)로서 마그넷 롤러(magnet roller)(3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반출 콘베이어(33)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하면에는 콘베이어 회전수단으로서의 반출용 모터(搬出用 motor)(37)가 장치되어 있고, 이 반출용 모터(37)에 구비된 구동회전체(驅動回轉體)로서의 마그넷 롤러(39)는 상기 반출 콘베이어(33)의 상기 마그넷 롤러(35)와 자기적(磁氣的)으로 접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마그넷 롤러(35, 39)는 자석의 N극과 S극을 둘레방향에 교대로 구비한 구성으로서, 구동회전체(마그넷 롤러(39))의 회전을 비접합상태에서 종동회전체(마그넷 롤러(35))로 전달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드 부재(17)를 앞쪽(도2, 도10에 있어서 좌측)으로 인출하면, 회전체(21)의 회전축(23)에 구비된 종동기어(25)가 회전용 모터(27)에 구비된 구동기어(29)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탈하고, 반출 콘베이어(33)의 마그넷 롤러(35)는 반출용 모터(37)에 구비된 마그넷 롤러(39)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반(離反)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17)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면, 상기 종동기어(25)는 상기 구동기어(29)에 맞물리고, 상기 반출 콘베이어(33)의 마그넷 롤러(35)는 상기 반출용 모터(37)의 마그넷 롤러(39)에 근접하여 자기적으로 접합되어, 반출용 모터(37)의 회전을 반출 콘베이어(33)로 전달할 수 있다.
이미 이해한 바와 같이 회전용 모터(27)에 구비된 구동기어(29)와 회전체(21)의 회전축(23)에 구비된 종동기어(25)가 기어에 의한 맞물림이더라도 반출용 모터(37)와 반출 콘베이어(33)는 마그넷 롤러를 이용한 자기적 접합이기 때문에, 각각 별개의 회전전달기구의 접합을 동시에 하는 경우이더라도 갤링 현상(galling 現象)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고 원활하게 접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식품생지 둥글리기 성형장치(1)는 설치대 프레임(7)에 대하여 앞쪽으로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식품생지 둥글리기 성형장치(1)의 청소나 보수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는, 반출용 모터(37)로부터 반출 콘베이어(33)로 회전을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마그넷 롤러(39, 35)를 사용하였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 회전용 모터(27)의 구동기어(29) 및 회전체(21)의 회전축(23)에 구비된 종동기어(25)를 각각 마그넷 롤러로 바꾸어서, 회전용 모터(27)의 회전을 마그넷 롤러를 통하여 회전체(21)로 전달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즉 모터의 회전을 회전체(21)로 전달하는 구성 및 반출 콘베이어(33)로 전달하는 각각의 구성에 있어서 마그넷 롤러를 채용하여, 적어도 일방(一方) 또는 양방(兩方)의 회전전달 구성을 자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식품생지 둥글리기 성형장치(1)에 있어서, 상기 외통(19)의 내주면(19A)과 상기 회전체(21)의 외주면(21A)의 사이에 형성된 V자 형상의 상기 전송로(31)에 있어서 당해 전송로(31)의 수직 단면을 보면, 도1 및 도5(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직면에 대한 상기 내주면(19A)의 경사방향과 상기 외주면(21A)의 경사방향은 역방향(逆方向)이지만, 수직면에 대한 내주면(19A)의 경사각도의 절대값과 외주면(21A)의 경사각도의 절대값은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식품생지(M)가 구체(球體)인 경우에는, 이 식품생지(M)는 외통(19)의 내주면(19A)과 회전체(21)의 외주면(21A)에 대하여 동일한 높이위치에서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식품생지(M)가 자전, 공전할 때의 축심(軸心)은 수직이 된다.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전송로(31)의 소정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외통(19)에는 상기 배출구(4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체(21)의 정회전방향(도4에 있어서의 화살표(A)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배출구(41)보다 약간 하류측의 위치를, 식품생지(M)를 공급받는 공급수납부(供給收納部)(43)로 설정하고 있다. 이 공급수납부(43)의 하류측에는, 상기 전송로(31)를 따라 하류측으로 이동되는 식품생지(M)를 전송로(31)의 바닥부측으로 가압(加壓)(전압(展壓 ; 평평하게 늘이는 것))하기 위한 제1전압부재(第一展壓部材)(4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전압부재(45)의 부분에 도달하기까지의 식품생지(M)는, 상기 회전체(21)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수직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정역회전의 자전을 반복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전압부재(45)의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당해 제1전압부재(45)의 하면(下面)(45A)(도5(b) 참조)으로 유도되어 상기 전송로(31)의 바닥부로 가압된다. 이 때에 식품생지(M)의 상측이 상기 하면(45A)에 접촉되어 있음으로써 식품생지(M)에는 수평방향(정확한 수평이라고는 할 수 없다)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정역회전이 부여된다.
즉 상기 제1전압부재(45)의 위치에 있어서는, 식품생지(M)에 수직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정역회전과 수평방향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정역회전이 부여되어, 그 합성방향으로 정역회전된다. 따라서 제1전압부재(45)를 통과함으로써 식품생지(M)에 대한 전압(가압, 압축)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제1전압부재(45)로부터 하류측으로 적절하게 격리된 위치에는, 식품생지(M)의 표면을 돌출시키기 위한 제2전압부재(47)가 구비되어 있고, 또한 제2전압부재(47)로부터 적절하게 떨어진 하류측에는 제3전압부재(49)가 구비되어 있다. 이 제3전압부재(49)와 상기 배출구(41)의 사이에는, 상기 식품생지(M)의 형상을 조정하기 위한 레벨링 작용영역(leveling 作用領域)(5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전압부재(45)는, 상기 공급수납부(43)로부터 상기 전송로(31) 내를 전동이동(轉動移動)하여 온 식품생지(M)를 V자 형상의 전송로(31)의 바닥부 방향으로 가압압축(加壓壓縮)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볼트 등과 같은 적절한 고정구(固定具)(53)에 의하여 외통(19)의 내주면(19A)에 착탈할 수 있도록 부착된 브래킷(55)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송로(31) 내를 전동이동하여 온 식품생지(M)를 전송로(31)의 바닥부 방향으로 유도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제1전압부재(45)의 하면(45A)(도5(b) 참조)은, 전송로(31)를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제1전압부재(45)의 중앙부가 가장 낮아지도록, 전송로(31)의 상류측으로부터 상기 중앙부측이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볼록한 모양의 곡면 또는 볼록한 모양의 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부로부터 하류측은, 하류측이 점차로 높아지는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전압부재(45)의 하면(45A)은, 상기 전송로(31)를 따라 점차적으로 하류측으로 이동하는 식품생지(M)를 전송로(31)의 바닥부측으로 점차적으로 가압압축하고, 그 후에 식품생지(M)의 압축을 점차적으로 해제하도록 작용하는,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가압면(加壓面)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체(21)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정역회전의 자전 및 공전을 부여하여, 전진, 후퇴를 반복하면서 상기 공급수납부(43)로부터 점차적으로 하류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전압부재(45)의 부분을 통과하는 식품생지(M)는, 제1전압부재(45)의 하면(45A)을 따라 상기 전송로(31)의 바닥부측으로 가압압축되어 가스제거가 이루어지는 것과, 그 가압압축이 해제되는 것을 적절한 회수만큼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제1전압부재(45)의 부분을 식품생지(M)가 통과함으로써 초기의 가스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전압부재(45)를 통과하는 식품생지(M)에는 수직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정역회전과 수평방향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정역회전이 부여되어 가압압축과 그 해제가 반복되기 때문에, 식품생지(M)의 전체에 있어서 성상(性狀)의 균질화(均質化)가 이루어져서 식품생지(M)의 품질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압부재(45)의 위치를 통과함으로써 초기의 가스제거작용 등을 받아서 품질의 안정화가 이루어진 후의 식품생지(M)는, 제2전압부재(47) 및 제3전압부재(49)의 위치를 통과할 때에, 제2, 제3전압부재(47, 49)에 있어서 압축작용과 압축의 해제작용을 교대로 받으면서 전동되어 반죽작용을 받게 된다.
상기 제2전압부재(47)와 제3전압부재(49)는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제2전압부재(47)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제3전압부재(49)에 있어서 제2전압부재(47)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하여 제3전압부재(49)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전압부재(47)는 고정구(57)를 통하여 상기 외통(19)의 내주면(19A)에 대하여 착탈할 수 있도록 부착된 브래킷(59)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송로(31) 내를 이동하는 식품생지(M)를 상기 회전체(21)의 외주면(21A)에 가압하여 압축하기 위하여, 도5(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체(21)의 상기 외주면(21A)에 근접한 가압돌출면(加壓突出面)(61A)을 구비하고 회전체(21) 방향으로 돌출된 가압돌출부(加壓突出部)(61)를,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전송로(31)를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상류측과 하류측의 양단측에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양단측의 상기 가압돌출부(61)의 사이에는, 상기 회전체(21)의 외주면(21A)에 대한 식품생지(M)의 가압압축을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돌출면(61A)보다 회전체(21)의 외주면(21A)으로부터 크게 이반된 압축해제면(壓縮解除面)(63A)(도5(d) 참조)을 구비한 압축해제 오목부(壓縮解除 凹部)(63)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체(21)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정역회전의 자전, 공전을 부여하여 상기 전송로(31)를 따라 전진, 후퇴하면서 점차적으로 하류측으로 전동이동하는 식품생지(M)가 상기 제1, 제2전압부재(47, 49)에 있어서의 가압돌출부(61) 및 압축해제 오목부(63)를, 전진(정회전), 후퇴(역회전)를 반복하면서 통과함으로써 압축작용과 압축해제작용을 교대로 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작용과 해제작용을 받으면서 전동함으로써 반죽 작용을 받게 되어, 식품생지(M)의 반죽에 의한 가스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식품생지(M)가 전동이동하는 전송로(31)는 V홈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V홈의 전송로(31) 내에 있어서 식품생지(M)는 자전하는 것이기 때문에, 식품생지(M)는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부측이 큰 직경이고 하부측이 작은 직경의 구체 모양으로, 바꾸어 말하면 대략 계란형(卵形)으로 성형된다. 이 때에 식품생지(M)의 상부측과 하부측의 사이에는, 직경의 차이에 의하여 원주속도에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상기 식품생지(M)에 회전을 부여하기 위한 회전체(21)에 있어서의 외주면(21A)의 원주속도는 하부측쪽이 고속이므로 식품생지(M)의 표면은, 상기 외주면(21A)의 원주속도가 느린 쪽으로부터 빠른 쪽으로 즉 하측 방향으로 끌려가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상기 식품생지(M)에는 식품생지(M) 자체의 자체중량이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식품생지(M)는 전송로(31)의 V홈 내로 파고들어가도록 유도작용을 받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기 식품생지(M)의 상부측 표면은 주위(周圍)로 끌려가는 작용을 받게 되어, 생기있는 표면으로 둥글리기 성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체(21)를 정회전시킴으로써 V홈의 전송로(31) 내로 공급된 식품생지(M)를 둥글리기 성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회전체(21)를 정회전의 일방향(一方向)으로만 회전시켰을 경우에는, 도7(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식품생지(M)에 있어서 상부측과 하부측의 원주속도의 차이에 기인하여 식품생지(M)에 비틀림부(MN)를 발생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체(21)의 정회전, 역회전을 반복함으로써 식품생지(M)를 전동이동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회전체(21)의 역회전 시에 상기 비틀림부(MN)의 비틀림이 해소되어, 도7(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식품생지(M)에 비틀림부(MN)를 발생시키지 않고 둥글리기 성형작용을 할 수 있다. 즉 식품생지(M)에 무리한 부하를 거는 것에 의한 대미지(damage)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식품생지(M)의 내부 스트레스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전압부재(47, 49)의 위치를 통과함으로써 둥글리기 성형작용을 받은 식품생지(M)는, 상기 배출구(41)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상기 레벨링 작용영역(51)에 있어서 형상의 조정이 이루어진다. 즉 레벨링 작용영역(51)에 있어서, 식품생지(M)는 외통(19)의 내주면(19A)과 회전체(21)의 외주면(21A)의 표면 상태를 전사(轉寫)받도록 전동된다. 이 레벨링 작용영역(51)에 있어서의 외통(19)의 내주면(19A) 및 회전체(21)의 외주면(21A)은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둥글리기 성형작용을 받는 식품생지(M)의 표면은 매끄럽고 생기있는 상태가 되고, 또한 외관형상은 도7(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비틀린 부분이나 주름이 없는 양호한 상태로 성형되어 조정된다.
그 후에 식품생지(M)는 배출구(41)로 이동하고, 배출구(41)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드 부재(17)에 구비된 슈터(shooter)(65)(도1, 도2 참조) 상을 미끄러져서 떨어지거나 또는 전동되어 낙하하여, 상기 반출 콘베이어(33) 상에 재치(載置)된다. 그리고 이 반출 콘베이어(33)에 의하여 둥글리기 성형된 식품생지(M)는 다음 공정으로 반출된다.
이상과 같은 설명에 의하여 이해한 바와 같이 외통(19)의 내주면(19A) 및 회전체(21)의 외주면(21A)은 모두 머리 부분이 절단된 원뿔대 형상이기 때문에, 비교적 간소한 구성이어서 그 제작이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외통(19)의 내주면(19A)에 적절한 형상의 전압부재(45, 47, 49)를 착탈할 수 있도록 부착하여, 둥글리기 성형을 하기 위한 식품생지(M)의 압축, 해제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전압부재(45, 47, 49)를 착탈하여 교환함으로써 식품생지(M)의 압축, 해제를 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체(21)의 정회전, 역회전 조건을 동일하게 유지하였을 경우이더라도 압축, 해제의 시간적 또는 거리적 조건이나 압축율 등의 조건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여, 식품생지(M)의 대소(大小)나 성상이 변경되었을 경우이더라도 생산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21)가 정회전, 역회전을 반복하는 것이기 때문에, 짧은 구간에 있어서 상기 압축작용과 압축해제작용을 반복하여 받는 것이 되므로, 식품생지(M)가 전동이동하기 위한 전송로(31)를 짧게 할 수 있어 전체적 구성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는, 외통(19)의 내주면(19A)을 상측이 큰 직경의 머리 부분이 절단된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하고, 회전체(21)의 외주면(21A)을 하측이 큰 직경의 머리 부분이 절단된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하였을 경우에 대하여 예시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변형 태양으로서, 외통(19)의 내주면(19A) 또는 회전체(21)의 외주면(21A) 중 일방(一方)을 머리 부분이 절단된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하고 타방(他方)을 원형의 원주면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식품생지계량 절단장치(3)는, 상기 식품생지 둥글리기 성형장치(1)의 상방위치에 있어서 상기 설치대 프레임(7)에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67) 상에 구비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7) 상에는 좌우방향(도1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비교적 장대한 칭량 콘베이어(稱量 conveyor)(69)가 장착되어 있고, 이 칭량 콘베이어(69)의 하류측(도1에 있어서 우측)에는 상기 칭량 콘베이어(69)보다 길이가 짧은 하류 콘베이어(下流 conveyor)(71)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칭량 콘베이어(69)와 하류 콘베이어(71)의 사이에는, 상기 칭량 콘베이어(69) 상으로부터 하류 콘베이어(71) 상으로 이송되는 식품생지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장치(切斷裝置)(73)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칭량 콘베이어(69)는 당해 칭량 콘베이어(69) 상에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서 재치된 비교적 장대한 식품생지(LM)의 전체 양을 계량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당해 칭량 콘베이어(69)의 베이스 프레임(base frame)(74)과 콘베이어 프레임(conveyor frame)(75)의 사이에는, 예를 들면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와 같은 적절한 계량센서(計量 sensor)(77)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콘베이어 프레임(75) 상에는,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긴 엔드리스 모양의 콘베이어 벨트(conveyor belt)(79)를 돌리는 좌우의 롤러(roller)(81)(도3 참조, 일방만을 나타낸다)를 회전하도록 지지한 롤러 프레임(roller frame)(83)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롤러 프레임(83)의 뒤쪽(도3, 도9에 있어서 좌측)은 힌지(hinge)(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를 통하여 상기 콘베이어 프레임(75)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고, 이 롤러 프레임(83)의 앞쪽(도3, 도9에 있어서 우측)은 예를 들면 적절한 자물쇠 부재 등과 같은 록 수단(lock 手段)(85)에 의하여 상기 콘베이어 프레임(75)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록 수단(85)에 의한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롤러 프레임(83)은,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우측부가 상승하도록 경사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록 수단(85)에 의한 고정을 해제하고, 또한 롤러(81)에 의한 콘베이어 벨트(79)의 장력(張力)을 완화시킴으로써 롤러 프레임(83)으로부터 콘베이어 벨트(79)를 앞쪽으로(도9에 있어서 우측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떼어낼 수 있어, 콘베이어 벨트(79)를 청소하거나 또는 콘베이어 벨트(79)를 신품으로 교환할 수 있다. 즉 콘베이어 벨트(79)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칭량 콘베이어(69)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74)에 장착된 콘베이어용 모터(87)(도1 참조)에 의하여 회전구동된다.
상기 하류 콘베이어(71)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7) 상에 부착된 콘베이어 프레임(89)(도2 참조) 상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록 수단(85)과 동일한 록 수단(91)에 의한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칭량 콘베이어(69)에 있어서의 콘베이어 벨트(79)와 마찬가지로 당해 하류 콘베이어(71)에 구비된 콘베이어 벨트(93)를 떼어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하류 콘베이어(71)에 있어서 상기 콘베이어 벨트(93)를 떼어내기 위한 구성은 상기한 칭량 콘베이어(69)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하류 콘베이어(71)에 있어서 콘베이어 벨트(93)를 떼어내기 위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하류 콘베이어(71)에 있어서도 상기 칭량 콘베이어(69)와 마찬가지로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하류 콘베이어(71)는, 상기 콘베이어 프레임(89)에 부착된 브래킷(95)에 장착된 콘베이어용 모터(97)에 의하여 회전구동된다.
상기 절단장치(73)는, 상기 칭량 콘베이어(69)로부터 상기 하류 콘베이어(71)에 걸쳐서 재치되어 있는 장대한 식품생지(LM)에 대하여 접근·이반(接近·離反)하는 방향(도1에 있어서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식품생지(LM)의 일측(一側)을 가압할 수 있는 생지가압부재(生地加壓部材)(99)를 구비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생지가압부재(99)는 상기 칭량 콘베이어(69)와 하류 콘베이어(71)의 사이에 있어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플레이트로서, 예를 들면 에어 실린더(air cylinder) 등과 같은 상하이동용 액추에이터(上下移動用 actuator)(101)에 의하여 상승됨으로써 상기 식품생지(LM)에 하측으로부터 접촉되어 지지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절단장치(73)는, 상기 생지가압부재(99)와 대향(對向)하여 상기 식품생지(LM)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칼날(cutting blade)(103)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절단칼날(103)은, 상방위치에 구비된 에어 실린더 등과 같은 상하이동용 액추에이터(105)의 작동에 의하여 하강되었을 때에 상기 생지가압부재(99)에 접촉될 때까지 하강하여 상기 식품생지(LM)를 절단한다.
즉 절단칼날(103)에 의하여 식품생지(LM)를 절단할 때에 상기 절단칼날(103)과 대향한 생지가압부재(99)가 식품생지(LM)를 지지하기 때문에, 절단칼날(103)이 절단할 때에 있어서의 식품생지(LM)의 절단부에 하측방향으로의 늘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작은 식품생지(M)의 중량을 정확하게 유지하여 절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칭량 콘베이어(69)와 하류 콘베이어(71)의 사이에 있어서 식품생지(LM)를 확실하게 절단할 수 있다. 이 때에 절단칼날(103)은 칭량 콘베이어(69), 하류 콘베이어(71)와 간섭하는 경우는 없어, 각각의 콘베이어 벨트(79, 93)에 손상을 주는 경우는 없다.
또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생지가압부재(99)와 절단칼날(103)을 상하로 대향시켰을 경우에 대하여 예시하였지만, 상하의 관계가 반대로 되어도 좋고, 또 수평방향으로 대향한 관계로 할 수도 있다.
상기 하류 콘베이어(71)의 하류단측(下流端側)에는, 당해 하류 콘베이어(71)로부터 낙하되는 작은 식품생지(M)를 일시적으로 받아서 상기 식품생지 둥글리기 성형장치(1)에 있어서의 상기 전송로(31)의 상기 공급수납부(43)로 낙하시켜서 공급하기 위한 공급셔터(供給 shutter)(107)가 상하 반전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 공급셔터(107)는 식품생지(M)를 수납하는 상하 한 쌍의 홈통부재(107A, 107B)를 상하로 개구(開口)시켜서 구비한 구성으로서, 일방의 홈통부재(107A)(또는 107B)가 상측에 있을 때에, 타방의 홈통부재(107B)(또는 107A)가 하측에 있는 관계이다.
또 상기 공급셔터(107)에 있어서의 홈통부재(107A, 107B)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7) 상에 세워서 설치된 브래킷에 상하 반전 가능하고 또한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이며, 이 베이스 플레이트(67)에 구비된 구멍으로부터 식품생지(M)를 상기 식품생지 둥글리기 성형장치(1)로 낙하시킨다. 그리고 홈통부재(107A, 107B)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7) 상에 세워서 설치된 브래킷에 구비된 셔터용 모터(109)에 의하여 상하 반전된다. 이 공급셔터(107)는, 상기 전송로(31) 내에 위치하는 식품생지(M)와 다음에 낙하하여 공급되는 식품생지(M)가 접촉하지 않도록 상측의 홈통부재(107A)(또는 107B)에 식품생지(M)를 받아들인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식품생지 둥글리기 성형장치(1)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체(21)가 정회전 후에 역회전하여 정지하였을 때에 상하 반전되어 식품생지(M)를 상기 식품생지 둥글리기 성형장치(1)의 상기 전송로(31) 내로 낙하시켜서 공급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칭량 콘베이어(69) 상에 장대한 식품생지(LM)를 재치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7) 상에는,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로로 U자 형상의 커터 프레임(cutter frame)(111)이 구비되어 있고, 이 커터 프레임(111)의 상부에 앞쪽방향(도3에 있어서 우측 방향)으로 수평으로 돌출하여 구비된 좌우 한 쌍의 지지바(支持 bar)(113)에는, 단면 형상이 십자(十字) 형상인 한 쌍의 커터(cutter)(115)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된 커터 하우징(cutter housing)(117)이 착탈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터 프레임(111)에는 상기 커터(115)를 회전시키기 위한 커터용 모터(119)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커터용 모터(119)로 상기 커터(115)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커터 하우징(117)을 상기 지지바(113)에 지지시켰을 때에, 상기 커터용 모터(119)에 구비된 구동기어(驅動 gear)(119G)와 상기 커터(115)에 연동(連動)하도록 연결되어 구비된 종동기어(從動 gear)(115G)가 맞물리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커터(115) 사이에 식품생지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커터 하우징(117)의 상부에는, 대량의 식품생지를 수용할 수 있는 호퍼(hopper)(121)가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상기 식품생지계량 절단장치(3)는, 상기 설치대 프레임(7)의 상부에 상방으로 개폐할 수 있는 커버(cover)(123)로 덮여 있다. 그리고 상기 호퍼(121)는, 상기 커버(123)에 형성된 상하방향의 구멍(123H)을 관통하여 상기 커터 하우징(117) 상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커터 하우징(117)으로부터 상기 호퍼(121)를 떼어낸 후에, 상기 커버(123)를 도8,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측 방향으로 열 수 있다. 그리고 커버(123)를 상측 방향으로 연 상태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커터 하우징(117)을 도8,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바(113)로부터 앞쪽으로 떼어낼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칭량 콘베이어(69)에 있어서의 콘베이어 벨트(79) 및 하류 콘베이어(71)에 있어서의 콘베이어 벨트(93)를 상기한 바와 같이 앞쪽으로 떼어낼 수 있어 청소 등을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호퍼(121) 내에 대량의 식품생지를 수납하면, 호퍼(121) 내의 식품생지는 자체중량에 의하여 한 쌍의 커터(115) 사이에 공급된다. 따라서 커터제어장치(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의 제어 하에 커터용 모터(119)를 구동시켜서, 한 쌍의 커터(115)를 서로 내측방향(도3에 있어서 좌측의 커터(115)는 시계방향, 우측의 커터(115)는 반시계방향)으로 1/4 회전시키면, 한 쌍의 커터(115)에 의하여 당해 커터(115)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의 비교적 장대한 식품생지(LM)가 절단되어 칭량 콘베이어(69) 상에 재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장대한 식품생지(LM)가 칭량 콘베이어(69) 상에 재치되면, 상기 장대한 식품생지(LM)의 전체 중량이 계량(측정)되고, 그 계량값(측정값)은 상기 커터제어장치에 구비된 기억수단(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에 기억된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소정 중량(설정 중량)의 작은 식품생지(M)를 절단하기 위하여 상기 칭량 콘베이어(69)로부터 하류 콘베이어(71) 상으로 장대한 식품생지(LM)를 이송할 때에, 상기 칭량 콘베이어(69)에 있어서 칭량 콘베이어(69)에 부하(負荷)가 걸리게 되는 장대한 식품생지(LM)의 중량을 항상 측정한다.
그리고 연산수단(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중량으로부터 측정값의 감산(減算)이 이루어진다. 이 때의 감량값이, 미리 설정된 상기 소정 중량으로 절단하기 위하여 상기 연산수단에 입력되어 있는 명령값(설정값)과 동일하게 되었을 때에 상기 칭량 콘베이어(69) 및 하류 콘베이어(71)의 동작이 정지되고, 상기 절단장치(73)에 의하여 장대한 식품생지(LM)로부터 작은 식품생지(M)가 절단되어 분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은 식품생지(M)가 절단되어 분리되면, 상기 커터제어장치의 제어 하에서 하류 콘베이어(71)에 의한 빠른 이송이 이루어져서, 작은 식품생지(M)는 공급셔터(107)의 일방의 홈통부재(107A)로 낙하되어 공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은 식품생지(M)가 절단되어 분리되면,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식품생지(LM)의 중량은, 칭량 콘베이어(69)에 남아 있는 잔여식품의 중량이 새로운 식품생지(LM)의 중량으로서 갱신되고, 그 후에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이 반복되어 장대한 식품생지(LM)로부터 미리 설정된 소정 중량의 작은 식품생지(M)가 반복하여 절단된다.
예를 들면 상기 작은 식품생지(M)를 절단하여 분리한 후에 칭량 콘베이어(69)에 남아 있는 잔여식품생지의 중량을 측정하고, 이 잔여식품생지의 중량을 상기 장대한 식품생지(LM)의 전체 중량(기억값)으로부터 감산한 감산값(연산수단에 의한 연산결과)이 상기 소정 중량과 동일한 경우에는, 작은 식품생지(M)는 미리 설정된 설정값(즉 연산수단으로의 명령값)이 적절한 값이었던 것을 나타낸다.
또한 감산값이 상기 소정 중량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절단된 상기 작은 식품생지(M)의 중량(상기 감산값)과 상기 소정 중량을 비교하면 오차가 있기 때문에, 이 오차가 작아지도록 상기 소정 중량으로 절단하기 위하여 상기 연산수단에 입력하는 명령값(설정값)을 보정한다. 즉 상기 칭량 콘베이어(69)로부터 하류 콘베이어(71) 상으로 장대한 식품생지(LM)를 이송하면서 계량을 하여 이송을 정지할 때의 정지 타이밍을, 작은 식품생지(M)의 중량이 소정 중량보다 큰 경우에는 전회(前回)보다 빠르게, 또는 작은 식품생지(M)의 중량이 소정 중량보다 작은 경우에는 느리게 하여 적절한 타이밍이 되도록 피드백 제어(feedback 制御)를 하고 있다. 따라서 작은 식품생지(M)를 소정 중량으로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칭량 콘베이어(69)에 의한 잔여식품생지의 계량값이 상기 소정 중량보다 약간 큰 값 또는 소정 중량보다 작은 값이 되면, 혹은 적절한 위치에 설치된 광학 센서에 의하여 상기 칭량 콘베이어(69) 상의 소정 위치에 식품생지가 없어진 것을 검출하고, 또한 소정 중량보다 작은 값이 되었을 때에 상기 커터용 모터(119)가 다시 구동되어, 장대한 식품생지(LM)의 절단이 다시 이루어진다. 또 장대한 식품생지(LM)를 재절단(再切斷)하는 타이밍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장대한 식품생지(LM)로부터 미리 설정된 소정 중량(설정 중량)으로 절단분리되어 상기 공급셔터(107)의 일방의 홈통부재(107A)로 낙하하여 공급된 작은 식품생지(M)는, 상기 식품생지 둥글리기 성형장치(1)에 있어서의 회전체(21)의 역회전으로부터 정회전으로 변화될 때의 정지 시에 상하 반전되어 식품생지 둥글리기 성형장치(1)의 전송로(31)로 낙하되어 공급된다. 그리고 일방의 상기 홈통부재(107A)가 상하 반전되면, 타방의 홈통부재(107B)가 상측이 되어, 다음에 공급되는 작은 식품생지(M)를 받아들인다.
이미 이해한 바와 같이 상기 식품생지계량 절단장치(3)에 있어서는, 칭량 콘베이어(69) 상에 재치된 장대한 식품생지(LM)의 전체 중량을 측정한 후에, 이 전체 중량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소정 중량(설정 중량)이 감산되었을 때에 작은 식품생지(M)를 절단하는 것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칭량 콘베이어(69) 및 하류 콘베이어(71)에 예를 들면 밀가루(flour) 등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이더라도 작은 식품생지(M)를 미리 설정된 소정 중량으로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다. 또한 하류 콘베이어(71) 상에 선행(先行)의 작은 식품생지(M)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이더라도 다음의 작은 식품생지(M)를 미리 설정된 소정 중량으로 절단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소정 중량의 작은 식품생지(M)의 절단을 능률적으로 할 수 있어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본원 명세서의 기재 내용은,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8-135727호(2008년 5월 23일 출원) 및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8-135724호(2008년 5월 23일 출원)의 전체 내용을 참조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변경을 함으로써 이 이외의 다양한 태양으로 실시할 수 있다.

Claims (6)

  1. 식품생지(食品生地)의 절단방법으로서,
    식품생지를 칭량 콘베이어(稱量 conveyor) 상에 재치(載置)하는 스텝;
    상기 칭량 콘베이어가 상기 식품생지의 전체 중량을 계량하는 스텝;
    상기 칭량 콘베이어에 인접하게 구비된 하류 콘베이어(下流 conveyor) 상으로 상기 식품생지를 이송하는 스텝;
    상기 하류 콘베이어 상으로 상기 식품생지를 이송할 때에, 상기 칭량 콘베이어에 있어서 칭량 콘베이어에 부하(負荷)가 걸리게 되는 상기 식품생지의 중량을 항상 측정하여 상기 칭량 콘베이어 상에 있어서 미리 계량(計量)된 상기 식품생지의 전체 중량으로부터 소정 중량만큼 감소하였을 때에 상기 칭량 콘베이어와 상기 하류 콘베이어의 사이에 구비된 절단장치(切斷裝置)에 의하여 상기 식품생지를 절단하는 스텝; 및
    상기 절단에 의하여 상기 식품생지로부터 상기 소정 중량의 작은 식품생지를 절단하는 스텝;
    상기 칭량 콘베이어 상에 남아 있는 잔여식품의 중량을 새로운 식품생지의 전체 중량으로 하고, 상기 새로운 식품생지로부터 상기 소정 중량의 작은 식품생지를 절단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생지의 절단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칭량 콘베이어와 하류 콘베이어의 사이에, 상기 식품생지에 대하여 접촉, 이반(離反)하는 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 생지가압부재(生地加壓部材)에 의하여 상기 식품생지의 일측부(一側部)를 가압하고, 상기 생지가압부재와 대향(對向)하게 구비된 절단칼날(cutting blade)을 상기 식품생지의 타측부(他側部)로부터 상기 생지가압부재에 접촉될 때까지 작용시켜서 상기 식품생지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생지의 절단방법.
  3. 식품생지를 미리 설정된 소정 중량의 작은 식품생지로 절단하는 식품생지 절단장치로서,
    상기 식품생지의 전체를 재치할 수 있고 또한 재치된 상기 식품생지의 전체 중량을 계량할 수 있는 칭량 콘베이어;
    상기 칭량 콘베이어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식품생지를 지지하는 하류 콘베이어;
    상기 칭량 콘베이어와 상기 하류 콘베이어의 사이에 구비된 절단장치;
    상기 칭량 콘베이어로부터 상기 하류 콘베이어로 상기 식품생지를 이송시킬 때에, 상기 칭량 콘베이어에 있어서 칭량 콘베이어에 부하가 걸리게 되는 상기 식품생지의 중량을 항상 측정하고, 상기 식품생지의 측정값이, 상기 칭량 콘베이어 상에 있어서 미리 계량된 식품생지의 전체 중량으로부터 상기 소정 중량으로 절단하기 위한 설정값만큼 감소하였을 때에 상기 식품생지를 절단하기 위하여 상기 절단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制御裝置);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작은 식품생지가 절단되어 분리된 후에, 상기 칭량 콘베이어 상에 남아 있는 잔여식품의 중량을 새로운 식품생지의 전체 중량으로 하고, 상기 새로운 식품생지로부터 상기 소정 중량의 작은 식품생지를 절단하도록 상기 절단장치의 동작을 더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생지계량 절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장치는,
    상기 칭량 콘베이어와 하류 콘베이어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식품생지의 일측부를 가압할 수 있는 생지가압부재; 및
    상기 생지가압부재와 대향하여 상기 생지가압부재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식품생지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칼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생지계량 절단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칭량 콘베이어의 상방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식품생지에 대하여 대량의 식품생지를 수용할 수 있는 호퍼(hopper); 및
    상기 호퍼에 수용된 상기 식품생지를, 상기 칭량 콘베이어 상에 그 전체가 재치되는 상기 식품생지로 절단하는 커터장치(cutter 裝置)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생지계량 절단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생지계량 절단장치를 지지한 설치대 프레임(設置臺 frame)의 하부측에 설치되고, 상기 소정 중량으로 절단된 상기 작은 식품생지의 둥글리기 성형(rounding 成形)을 하는 식품생지 둥글리기 성형장치(食品生地 rounding 成形裝置)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생지계량 절단장치.
KR1020107027399A 2008-05-23 2009-05-21 식품생지의 절단방법 및 장치 KR1013072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35727 2008-05-23
JP2008135727A JP2009278934A (ja) 2008-05-23 2008-05-23 食品生地の切断方法及び装置
JPJP-P-2008-135724 2008-05-23
JP2008135724A JP2009278933A (ja) 2008-05-23 2008-05-23 食品生地の丸め成形方法及び装置
PCT/JP2009/059333 WO2009142260A1 (ja) 2008-05-23 2009-05-21 食品生地の切断方法及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305A KR20110005305A (ko) 2011-01-17
KR101307207B1 true KR101307207B1 (ko) 2013-09-11

Family

ID=41340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399A KR101307207B1 (ko) 2008-05-23 2009-05-21 식품생지의 절단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26814B2 (ko)
EP (2) EP2314166B1 (ko)
KR (1) KR101307207B1 (ko)
CN (1) CN102036565B (ko)
TW (1) TWI463946B (ko)
WO (1) WO20091422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62187B2 (ja) 2016-01-27 2018-07-25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連続生地の秤量切断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5685150A (zh) * 2016-04-11 2016-06-22 山东家逸智能电器有限公司 一种小型化馒头成型装置
TWI631898B (zh) * 2016-10-06 2018-08-11 鮮活實業有限公司 Strip food cutting device
CN112293451B (zh) * 2020-11-04 2022-02-08 厦门市鼓浪屿食品厂有限公司 一种面饼加工用边角裁切装置
US20230145450A1 (en) * 2021-11-05 2023-05-11 J.C. Ford Company Sheeter with laterally moveable discharge convey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6871A (ja) * 1992-06-10 1993-12-21 Rheon Autom Mach Co Ltd 各種棒状パンの連続成形方法
JP2001078651A (ja) * 1999-09-08 2001-03-27 Rheon Autom Mach Co Ltd 食品生地供給装置
JP2004049161A (ja) * 2002-07-23 2004-02-19 Rheon Autom Mach Co Ltd 生地の丸め成形方法および丸め機
JP2005312390A (ja) * 2004-04-30 2005-11-10 Orihiro Engineering Co Ltd 白滝切断装置および該装置を備えた白滝製造設備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3994A (en) * 1956-09-28 1960-12-13 Herbert Cole Trust Dusting equipment
JPS60110237A (ja) 1983-11-18 1985-06-15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生地の連続計量、分割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2203734A (ja) * 1989-02-02 1990-08-13 Rheon Autom Mach Co Ltd ケーキ入りストルーデル
JPH0383535A (ja) * 1989-08-28 1991-04-09 Rheon Autom Mach Co Ltd パン生地の定量分割方法および装置
JPH0771442B2 (ja) * 1990-07-13 1995-08-02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パン生地の連続切断方法及び装置
JP2733393B2 (ja) * 1991-09-02 1998-03-30 食品機械基盤技術開発株式会社 食品の定量分割方法および同定量分割装置
JP2558200B2 (ja) * 1992-03-30 1996-11-27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各種棒状パン生地の連続成形方法
TW213852B (ko) * 1992-03-30 1993-10-01 Reon Zidoki Kk
JPH08196196A (ja) * 1995-01-25 1996-08-06 Nippon Kiyaria Kogyo:Kk 練製生地の計量カッタ−
JP3499116B2 (ja) * 1997-10-29 2004-02-23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計量生地供給方法及び装置
JP3440028B2 (ja) * 1999-06-03 2003-08-25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計量生地供給方法および装置
JP3746689B2 (ja) 2001-06-20 2006-02-15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食品生地の切断搬送方法及び装置
JP3948673B2 (ja) * 2004-10-29 2007-07-25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食品材料の供給方法および装置
JP3972047B2 (ja) * 2005-12-26 2007-09-05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食品生地切断装置
JP4859811B2 (ja) 2006-10-24 2012-01-25 京セラ株式会社 電子部品収納用パッケージ
JP4807523B2 (ja) 2006-10-31 2011-11-02 ソニーケミカル&インフォメーションデバイス株式会社 シート状軟磁性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5186131B2 (ja) 2007-04-17 2013-04-17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生地計量コンベア及び生地計量切断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6871A (ja) * 1992-06-10 1993-12-21 Rheon Autom Mach Co Ltd 各種棒状パンの連続成形方法
JP2001078651A (ja) * 1999-09-08 2001-03-27 Rheon Autom Mach Co Ltd 食品生地供給装置
JP2004049161A (ja) * 2002-07-23 2004-02-19 Rheon Autom Mach Co Ltd 生地の丸め成形方法および丸め機
JP2005312390A (ja) * 2004-04-30 2005-11-10 Orihiro Engineering Co Ltd 白滝切断装置および該装置を備えた白滝製造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006390A (en) 2010-02-16
US20110111100A1 (en) 2011-05-12
WO2009142260A1 (ja) 2009-11-26
EP3031329B1 (en) 2019-02-27
CN102036565B (zh) 2014-08-20
EP2314166A4 (en) 2014-07-02
US8826814B2 (en) 2014-09-09
KR20110005305A (ko) 2011-01-17
EP2314166A1 (en) 2011-04-27
EP3031329A1 (en) 2016-06-15
CN102036565A (zh) 2011-04-27
TWI463946B (zh) 2014-12-11
EP2314166B1 (en) 201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7207B1 (ko) 식품생지의 절단방법 및 장치
TWI489948B (zh) 米飯成型裝置
KR101163405B1 (ko) 파이 분리 이송장치
SE526422C2 (sv) Anordning och sätt att tillföra livsmedelsdeg
JP2006321644A (ja) 食品素材の移載方法および移載装置
JP2007074979A (ja) 米飯食品成形装置
JP5700830B2 (ja) 定量材料塊供給装置
KR101374245B1 (ko) 스틱형 과자 공급장치
JP2020168634A (ja) 粉体を用いる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439389B1 (ko) 도넛형상 생지용 자동 제조장치
CN206443085U (zh) 浮动压紧装置
JP2009278934A (ja) 食品生地の切断方法及び装置
JP6256971B2 (ja) 米飯成形装置
KR102363545B1 (ko) 베이커리용 반죽 자동 정렬장치
CN218394763U (zh) 一种饺子皮筛选装置
KR101266841B1 (ko) 소보로빵용 생지 제조장치
KR102183819B1 (ko) 김 계수장치
JP2007274951A (ja) 生地の丸め方法および装置
JP2819349B2 (ja) 食品成形機における食品材料の供給機構
JP6257024B2 (ja) 米飯成形装置
JP2021098262A (ja) 食品切断装置
KR20230147487A (ko) 구운 김 제조 장치
US1101594A (en) Brick-machine.
JP2000083636A (ja) 食品成形機における食品材料移送機構
JPH07246067A (ja) 米飯圧縮移送装置の米飯ほぐし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