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819B1 - 김 계수장치 - Google Patents

김 계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819B1
KR102183819B1 KR1020200085530A KR20200085530A KR102183819B1 KR 102183819 B1 KR102183819 B1 KR 102183819B1 KR 1020200085530 A KR1020200085530 A KR 1020200085530A KR 20200085530 A KR20200085530 A KR 20200085530A KR 102183819 B1 KR102183819 B1 KR 102183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ver
unit
stacked
counting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구
Original Assignee
이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구 filed Critical 이상구
Priority to KR1020200085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8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1Details of apparatus, e.g. for transport, for loading or unloading manipulation, pressure feed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50Stacking one article, or group of articles, upon another before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56Orientating, i.e. changing the attitude of, articles, e.g. of non-uniform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20Applications of counting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eed of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구이기로부터 공급되는 김을 계수하고 설정된 개수로 적층한 후 김포장기로 이송하여 주되,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도록 하고 특히 이송과정에서 적층된 김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정렬하여 이송함으로써 김포장기로 공급 시 불량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김 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김 계수장치{LAVER COU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김 계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김구이기로부터 공급되는 김을 계수하고 설정된 개수로 적층한 후 김포장기로 이송하여 주되,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도록 하고 특히 이송과정에서 적층된 김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정렬하여 이송함으로써 김포장기로 공급 시 불량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김 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 같은 김 계수장치는 김구이기를 통해 공급되는 조미된 김을 계수하여 설정된 개수로 적층한 후 다음 공정인 김포장기로 이송하여 주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김 계수장치의 종래기술로 등록특허공보 10-1307477(김 계수장치)를 살펴보면, 김구이기로부터 제공되는 김을 정렬부를 통해 받고 이를 계수부를 통해 계수한 후 설정된 개수로 적층된 김을 공급부로 이송하고, 공급부는 다시 이송부를 통해 김포장기로 이송되는 구조로, 특히 계수부에서는 계수된 김이 설정된 개수 만큼 적층된 후 체인 및 이송체를 통해 이송될 때 방향 전환에 따라 적층된 김의 상하가 바뀌면서 이송되는 구조가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는 적층된 김이 흐트러지기 쉽고, 또 흩트려진 경우에는 이를 바로 잡기 위한 별도의 정렬구조를 갖추어야 하는 등 그 구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10-1009754(김 계수장치)에는 계수부를 통해 김을 계수한 후 정렬부를 통해 김을 정렬한 후 적재부를 통해 적층된 김을 다단으로 적재하는 구조가 개시되는 데, 이 구조는 적재부의 높이에 의해 공간에 제약을 받으며 구조 추가로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009754(등록일자 2011년01월13일) 등록특허공보 10-1103380(등록일자 2011년12월30일) 등록특허공보 10-1307477(등록일자 2013년09월05일) 등록특허공보 10-1828738(등록일자 2018년02월06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김구이기로부터 공급되는 김을 계수하고 설정된 개수로 적층한 후 김포장기로 이송하여 주되,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도록 하고 특히 이송과정에서 적층된 김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정렬하여 이송함으로써 김포장기로 공급 시 불량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김 계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의 상단에 설치되어 김구이기의 배출컨베이어를 통해 배출되는 김을 수용하는 선단컨베이어와, 상기 선단컨베이어의 상단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는 날림방지컨베이어와, 상기 선단컨베이어를 통과한 김이 적층부에 안전하게 안착되도록 진행 각도를 전환하여 주는 안내로울러와, 적층부의 둘레에 형성되어 적층되는 김이 사각형태로 정렬되도록 하여주며, 상단에 체결부재를 통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판과, 이송된 김이 회전배출구의 상단에 적층되는 공간인 적층부와, 상기 선단컨베이어와 안내로울러 사이의 상단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김을 감지하여 계수신호를 발생하는 계수센서와, 상기 적층부 하단에 설치되어 상단에 김이 적층되며 적층된 김이 설정된 개수가 되면 회전 동작하여 적층된 김을 하부의 이송부로 낙하하여 주는 회전배출구로 이루어진 계수부; 및
상기 계수부의 저면에 일측이 연결되는 구성으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가이드부와, 하단에 형성된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계수부의 저면에 장착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1수평구간과, 상기 제1수평구간으로부터 일정 각도 상승되는 경사구간과, 상기 경사구간 이 후 다시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제2수평구간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중앙에는 중앙격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격벽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적층된 김이 이동하는 이동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공간부에는 일정 간격을 이루면서 돌출 형성된 이송부재가 이송되는 레일부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경사구간에는 아래로부터 순차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제1진동부, 제2진동부 및 제3진동부가 본체부에 부착 고정되도록 한 이송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계수부의 선단컨베이어부의 양단에는 측면정렬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측면정렬부는 본체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이며 선단컨베이어의 측면을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정렬판과, 상기 정렬판과 본체를 연결하여 상기 정렬판에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브라켓의 타측에 설치되어 일정각도로 왕복 운동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에 연결된 연결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정렬판을 진동시키는 가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진동부 내지 제3진동부는 진동 강도를 강, 중, 약의 형태와 같이 3단계로 구분하고, 상기 제1진동부는 가장 큰 진동을 수행하는 강 진동으로, 상기 제2진동부는 중진동으로, 상기 제3진동부는 약진동으로 하여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김구이기로부터 공급되는 김을 계수하고 설정된 개수로 적층한 후 김포장기로 이송하여 주되,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도록 하고 특히 이송과정에서 적층된 김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정렬하여 이송함으로써 김포장기로 공급 시 불량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김계수장치가 적용되는 김 포장가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계수부의 상단 구성 사진,
도 3은 상기 도 2의 주요부 확대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정렬부의 확대 구성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의 측면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의 내부 주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의 단부 구성도,
도 10은 상기 도 9의 단부를 개방한 사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부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김계수장치가 적용되는 김 포장가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계수부의 상단 구성 사진, 도 3은 상기 도 2의 주요부 확대 사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김 계수장치(100)는 조미된 김을 제공하는 김구이기(10)와 설정된 개수로 적층된 김을 포장하는 김포장기(20) 사이에 위치하는 공정장치로, 계수부(110)와 이송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계수부(110)는 본체(111), 선단컨베이어(112), 날림방지컨베이어(113), 안내로울러(114), 간격조절판(115), 적층부(117), 계수센서(118) 및 회전배출구(119)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1)는 사각 형태로 하부에는 이송부(120)의 제1수평구간(124)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선단컨베이어(112)는 김구이기(20)의 배출컨베이어(11)를 통해 배출되는 김(L)을 수용하는 컨베이어로, 도 2에서와 같이 분리격판부(112c)를 통해 양측으로 2개의 컨베이어(112a)(112b)로 구성되며, 안착된 김(L)을 적층부(117)로 이송한다.
상기 날림방지컨베이어(113)는 상기 선단컨베이어(112)를 통해 유입되는 김이 날리지 않도록 상기 선단컨베이어(112)의 상단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며, 이때 김은 상기 날림방지컨베이어(113)와 선단컨베이어(112) 사이로 통과된다.
상기 안내로울러(114)는 상기 선단컨베이어(112)를 통과한 김이 적층부(117)에 안전하게 안착되도록 진행 각도를 전환하여 준다.
상기 간격조절판(115)은 적층부(117)의 둘레에 형성되어 적층되는 김이 사각형태로 정렬되도록 하여주며, 상단에 체결부재(116)를 통해 적층부(117)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상기 적층부(117)는 하단에 형성된 회전배출구(119) 상단의 공간으로 상기 안내로울러(114)를 통해 이송된 김이 회전배출구(119)의 상단에 적층되는 공간이다.
상기 계수센서(118)는 상기 선단컨베이어(112)와 안내로울러(114) 사이의 상단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김(L)을 감지하여 계수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다.
상기 회전배출구(119)는 적층부(117) 하단에 설치되어 상단에 김(L)이 적층되도록 구성되며, 적층된 김(L)이 설정된 개수가 되면 미 도시된 제어부의 제어신호로 회전 동작하여 적층된 김(L)을 하부의 이송부(120)로 낙하하여 준다.
여기서 상기 선단컨베이어(112), 날림방지컨베이어(113), 안내로울러(114), 간격조절판(115), 적층부(117), 계수센서(118) 및 회전배출구(119)는 모두 한 쌍으로 구성되며, 예를 들어 식별부호 뒤에 a,b를 붙여 표현하였다,
또한 상기 계수부(110)의 선단컨베이어부(112)의 양단에는 측면정렬부(150:150a,150b)가 더 형성된다.
상기 측면정렬부(150:150b)는 선단컨베이버부(112)로 유입되는 낱장의 김(L)을 정렬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 4에서와 같이 본체(111)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151)과, 상기 브라켓(151)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부(152)와, 상기 고정부(152)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이며 선단컨베이어(112b)의 측면을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정렬판(153)과, 상기 정렬판(153)과 본체(111)를 연결하여 상기 정렬판(153)에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부재(154)와, 상기 브라켓(151)의 타측에 설치되어 일정각도로 왕복 운동하는 회동축(155)과, 상기 회동축(155)에 연결된 연결부(156)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정렬판(153)을 진동시키는 가압부(157)로 구성된다.
상기 측면정렬부(150a)는 상기 가압부(157)의 회동 운동(진동)으로 상기 가압부(157)를 진동시켜 상기 선단컨베이어(112)로 유입되는 김의 위치를 올바르게 정렬하여 이송시켜주게 된다.
상기 이송부(120)는 상기 계수부(110)의 저면에 일측이 연결되는 구성으로, 상기 계측부(110)의 적층부(117) 및 회전배출구(119)로부터 배출되는 적층된 김을 이송하는 장치이다.
상기 이송부(120)는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본체부(121)와, 상기 본체부(121)의 상단에 형성되는 가이드부(122)와, 하단에 형성된 다리부(123)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21)는 상기 계수부(110)의 저면에 장착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1수평구간(124)과, 상기 제1수평구간(124)로부터 일정 각도 상승되는 경사구간(125)과, 상기 경사구간(125) 이 후 다시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제2수평구간(126)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부(120)는 도 6, 도 7 및 도 9에서와 같이, 가이드부(122)의 중앙에는 중앙격벽부(127)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격벽부(127)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적층된 김(L)이 이동하는 이동공간부(1221)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공간부(1221)에는 일정 간격을 이루면서 돌출 형성된 이송부재(128)가 이송되는 레일부(1222)가 복수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부재(128)의 구동 구조는 도 8 및 도 10에서와 같이 본체부(121)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본체부의 제1수평구간(124)에 형성되는 제1체인기어(131) 및 제2체어기어(132)와, 본체부의 제2수평구간(125)에 형성되는 제3체인기어(133)와, 본체부의 제2수평구간(126)에 형성되는 제4체인기어(134)와, 상기 체인기어들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체인(135)과, 상기 체인(135)의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 결합되는 복수개의 이송부재(128)와, 상기 제4체인기얼(134)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구동기어(136)와, 상기 구동기어(136)를 구동하기 위하여 회전축기어(137) 및 동력전달체인(139)을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138)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의 구동을 살펴보면, 상기 구동모터(139)가 동작하면 회전축기어(137) 및 동력전달체인(139)을 통해 구동기어(136)가 회전한다. 상기 구동기어(136)의 회전으로 이에 연동하여 제4체인기어(134)가 회전하고, 이에 연동하여 체인(135)이 회전한다.
상기 체인(135)의 회전으로 이송부재(128)는 제1수평구간(124), 경사구간(125) 및 제2수평구간(126)에 걸쳐 적층된 김(L)을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주게 된다.
또한 상기 이송부(120)는 제1수평구간(124), 경사구간(125) 및 제2수평구간(126)으로 구분되는 데, 상기 제1수평구간(124)은 계수부(110)의 저면에 장착되어 회전배출구(119)를 통해 배출 낙하되는 적층된 김(L)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구간이다.
상기 경사구간(125)은 상기 제1수평구간(124)로부터 일정 각도 상승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는 데, 이는 이후 공정인 김포장기(20)에 적층된 김을 공급할 때 낮은 위치가 아닌 표준적인 상부 위치로 김을 공급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수평구간(126)은 상기 경사구간(125)을 통해 이송되는 김을 수평상태로 하여 안정되게 김포장기(20)로 공급하는 구간이다.
한편 상기 경사구간(125)에는 도 11에서와 같이 아래로부터 순차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제1진동부(141), 제2진동부(142) 및 제3진동부(143)가 본체부(121)에 부착 고정된다.
상기 제1진동부(141) 내지 제3진동부(143)는 진동 구동하여 본체부(121)의 경사구간(125)을 진동하여 주는 장치이다.
이는 적층되어 이동되는 김(L)을 올바르게 정렬시키기 위한 것으로, 특히 이송부(120) 중에서 경사구간(125)을 오를 때 적층된 김이 흐트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경사구간(125)을 진동시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일례로 상기 제1진동부(141)는 진동모터(1411)와 상기 진동모터(1411)의 회전축에 연결된 편심추(1412)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진동모터(1411) 및 편심추(1412)를 케이스 내부에 장착하고 체결나사(1413)로 본체부(121)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진동부(141) 내지 제3진동부(143)는 진동 강도를 강, 중, 약의 형태와 같이 3단계로 구분하고, 제1수평구간(124)을 지나 경사구간(125)이 막 시작되는 부위의 제1진동부(141)는 가장 큰 진동을 수행하는 강 진동으로, 다음의 제2진동부(125)는 중진동으로, 마지막의 제3진동부(143)는 제2수평구간(126)으로 넘어갈 때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진동의 세기를 약진동으로 하여 구동한다.
이와 같은 이유는 이송부(120)를 통해 적층된 김이 이동할 때 특히 경사구간(125)에서 진행방향에 부하가 걸리면서 김이 흐트러지는 현상을 정밀하게 방지하여, 이후 공정인 김포장기(20)로 완전하게 정렬된 적층된 김(L)을 이송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김 계수장치의 전체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조미된 김을 제공하는 김구이기(10)의 배출컨베이어(11)로부터 김(L)이 배출된다.
상기 배출된 김(L)은 김계수장치(100)의 계수부(110)의 선단컨베이어(112)에 유입되고, 상기 선단컨베이어(112)는 안착된 김(L)은 상기 날림방지컨베이어(113)와 선단컨베이어(112) 사이로 통과하고 안내로울러(114)를 거쳐 적층부(117)로 향하고 저면에 설치된 회전배출구(119)에 의해 안착되면서 순차적으로 안착되어 진다.
이때 간격조절판(115)과 체결부재(116)를 이용하여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적층부(117)에 적층되는 김이 원하는 위치에서 사각형태로 정렬되도록 하여준다.
여기서 상기 선단컨베이어부(112)의 양측에 형성된 측면정렬부(150)의 가압부(157)의 회동 운동(진동)으로 상기 가압부(157)가 진동하여 상기 선단컨베이어(112)로 유입되는 김의 위치를 올바르게 정렬하여 이송시켜주게 된다.
한편, 계수센서(118)에 의해 설정된 개수의 김이 감지 및 계수되면,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회전배출구(119)가 90도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배출구(119)에 적층된 김(L)이 하부의 이송부(120)의 이동공간부(1221)로 낙하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배출구(119)에 적층된 김(L)이 하부로 낙하하여 이송부(120)의 제1수평구간(124)의 이동공간부(1221)에 적재되면,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이송부(120)는 구동을 개시한다.
즉 구동모터(138)가 동작하여 체인(135)이 회전하고, 상기 체인(135)의 회전으로 이송부재(128)가 레일부(1222)를 통해 이동하면서 이동공간부(1221)에 적재된 김(L)을 이송시켜 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적진된 김은 상기 이송부재(128)에 의해 이동공간부(1221)를 이동하게 되고, 제1수평구간(124)을 지나 경사구간(125)에 진입하게 되고 이때 적재된 김이 이동공간부(1221) 내에서 흩트려지는 현상이 발생딜 수 있으나, 제1진동부(141) 내지 제3진동부(143)의 순차적인 진동으로 원위치로 정렬되면서 제2수평구간(126)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2수평구간(126)으로 이동한 김(L)은 이후 공정인 김포장기(20)로 완전하게 정렬된 적층된 김(L)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김구이기로부터 공급되는 김을 계수하고 설정된 개수로 적층한 후 김포장기로 이송하여 주되,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도록 하고 특히 이송과정에서 적층된 김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정렬하여 이송함으로써 김포장기로 공급 시 불량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한정된 실시예들을 설명한 것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실시예가 예상됨을 당업자는 주의해야 한다.
100: 김계수장치 110: 계수부
111: 본체 112: 선단컨베이어
113: 날림방지컨베이어 114: 안내로울러
115: 간격조절판 116: 체결부재
117: 적층부 118: 계수센서
119: 회전배출구 120: 이송부
121: 본체부 122: 가이드부
123: 다리부 124: 제1수평구간
125: 경사구간 126: 제2수평구간
127: 중앙격벽부 128: 이송부재
1221: 이동공간부 1222: 레일부
131~134: 제1 내지 4체인기어
135: 체인 138: 구동모터
141: 제1진동부 142: 제2진동부
143: 제3진동부 1411: 진동모터
1412: 편심추 1413: 체결나사

Claims (3)

  1. 본체의 상단에 설치되어 김구이기의 배출컨베이어를 통해 배출되는 김을 수용하는 선단컨베이어와, 상기 선단컨베이어의 상단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는 날림방지컨베이어와, 상기 선단컨베이어를 통과한 김이 적층부에 안전하게 안착되도록 진행 각도를 전환하여 주는 안내로울러와, 적층부의 둘레에 형성되어 적층되는 김이 사각형태로 정렬되도록 하여주며, 상단에 체결부재를 통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판과, 이송된 김이 회전배출구의 상단에 적층되는 공간인 적층부와, 상기 선단컨베이어와 안내로울러 사이의 상단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김을 감지하여 계수신호를 발생하는 계수센서와, 상기 적층부 하단에 설치되어 상단에 김이 적층되며 적층된 김이 설정된 개수가 되면 회전 동작하여 적층된 김을 하부의 이송부로 낙하하여 주는 회전배출구로 이루어진 계수부; 및
    상기 계수부의 저면에 일측이 연결되는 구성으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가이드부와, 하단에 형성된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계수부의 저면에 장착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1수평구간과, 상기 제1수평구간으로부터 일정 각도 상승되는 경사구간과, 상기 경사구간 이 후 다시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제2수평구간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중앙에는 중앙격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격벽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적층된 김이 이동하는 이동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공간부에는 일정 간격을 이루면서 돌출 형성된 이송부재가 이송되는 레일부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경사구간에는 아래로부터 순차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제1진동부, 제2진동부 및 제3진동부가 본체부에 부착 고정되도록 한 이송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계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수부의 선단컨베이어부의 양단에는 측면정렬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측면정렬부는 본체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이며 선단컨베이어의 측면을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정렬판과, 상기 정렬판과 본체를 연결하여 상기 정렬판에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브라켓의 타측에 설치되어 일정각도로 왕복 운동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에 연결된 연결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정렬판을 진동시키는 가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계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진동부 내지 제3진동부는 진동 강도를 강, 중, 약의 형태와 같이 3단계로 구분하고, 상기 제1진동부는 가장 큰 진동을 수행하는 강 진동으로, 상기 제2진동부는 중진동으로, 상기 제3진동부는 약진동으로 하여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계수장치.
KR1020200085530A 2020-07-10 2020-07-10 김 계수장치 KR102183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530A KR102183819B1 (ko) 2020-07-10 2020-07-10 김 계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530A KR102183819B1 (ko) 2020-07-10 2020-07-10 김 계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3819B1 true KR102183819B1 (ko) 2020-11-27

Family

ID=73641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530A KR102183819B1 (ko) 2020-07-10 2020-07-10 김 계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81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2731A (ja) * 2005-03-22 2006-10-05 Nagatanien:Kk 海苔微小片から異物を除去する装置および異物を除去する方法
KR101009754B1 (ko) 2010-04-07 2011-01-19 김기문 김 계수장치
KR101103380B1 (ko) 2011-03-07 2012-01-06 김기문 김 계수장치
KR101307477B1 (ko) 2011-12-27 2013-09-11 주식회사 정철 김 계수장치
KR101532431B1 (ko) * 2013-11-15 2015-06-30 두솔메카트로닉스 주식회사 김 공급장치
KR101828738B1 (ko) 2017-01-23 2018-02-13 강신탁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계수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2731A (ja) * 2005-03-22 2006-10-05 Nagatanien:Kk 海苔微小片から異物を除去する装置および異物を除去する方法
KR101009754B1 (ko) 2010-04-07 2011-01-19 김기문 김 계수장치
KR101103380B1 (ko) 2011-03-07 2012-01-06 김기문 김 계수장치
KR101307477B1 (ko) 2011-12-27 2013-09-11 주식회사 정철 김 계수장치
KR101532431B1 (ko) * 2013-11-15 2015-06-30 두솔메카트로닉스 주식회사 김 공급장치
KR101828738B1 (ko) 2017-01-23 2018-02-13 강신탁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계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3768B2 (en) Retractable transfer device metering apparatus and methods
US20070227857A1 (en) Retractable Transfer Device Metering Apparatus and Methods
US20080307757A1 (en) Device for Conveying Tablets
KR20150127700A (ko) 싱귤레이터 컨베이어
JP6834082B2 (ja) 多列搬送コンベアおよび選別装置
US20110005898A1 (en) Flexible Retractable Transfer Device Metering Apparatus and Methods
JPH03166116A (ja) 偏平製品を連続的に送る装置
US8985305B2 (en) Vibration feeding apparatus and method
CN110681603A (zh) 一种小型果蔬气动自动分选机
CN102420160A (zh) 晶片供应系统
US7086522B2 (en) Device for vibratory indexing of portioned pieces
KR102183819B1 (ko) 김 계수장치
JP6693779B2 (ja) 錠剤搬送装置及び錠剤印刷装置
JP6109509B2 (ja) 物品整列供給装置
CN104859899B (zh) 振动式纽扣计数机
JPH08230830A (ja) 容器搬送処理装置
KR101588296B1 (ko) 과일 선별장치
KR200345755Y1 (ko) 과일 공급장치
CN1527035A (zh) 计量装置
US1196048A (en) Eewjt h
JP5513261B2 (ja) 整列搬送装置
EP4069612A1 (en) Apparatus for conveying and dosing objects on an automatic packaging line
US20230150772A1 (en) Separating device
KR100569301B1 (ko) 과일 공급장치
JP2000246181A (ja) カレット整列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