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431B1 - 김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김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2431B1
KR101532431B1 KR1020130139268A KR20130139268A KR101532431B1 KR 101532431 B1 KR101532431 B1 KR 101532431B1 KR 1020130139268 A KR1020130139268 A KR 1020130139268A KR 20130139268 A KR20130139268 A KR 20130139268A KR 101532431 B1 KR101532431 B1 KR 101532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cking
unit
supply
stacked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9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6349A (ko
Inventor
두상수
Original Assignee
두솔메카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솔메카트로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솔메카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9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431B1/ko
Publication of KR20150056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50Stacking one article, or group of articles, upon another before packag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B65G17/36Individual load-carriers having concave surfaces, e.g. bu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9/00Rotary conveyors, e.g. rotating discs, arms, star-wheels or cones
    • B65G29/02Rotary conveyors, e.g. rotating discs, arms, star-wheels or cones for inclined or vertical trans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41Quantity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김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설정된 겹으로 적층 된 적층 김이 선택적으로 적재되는 적재영역; 상기 적재영역이 연달아 길게 복수 개로 배치되는 공급 유닛으로써, 상기 적재영역 각각을 설정된 시간 간격(▽t)으로 상기 적재영역의 배열방향 길이만큼 씩 이동시키는 공급 유닛; 상기 적재영역이 연달아 길게 복수 개로 배치되는 공급 보조 유닛으로써, 복수 개의 상기 적재영역 중 일단에 위치되는 적재영역에 상기 적층 김이 공급될 때 상기 적재영역 각각을 상기 적재영역의 배열방향 길이만큼 씩 이동시키는 공급 보조 유닛; 및 상기 공급 보조 유닛에 적재된 상기 적층 김을 상기 공급 유닛의 복수 개의 상기 적재영역 중 상기 적층 김이 적재되지 않은 적재영역에 적재시키는 투입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정된 겹으로 적층된 김을 인력의 도움없이 자동으로 절단공정의 공정순서에 맞게 연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인건비를 낮추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가진다.

Description

김 공급장치{DEVICE FOR SUPPLYING LAVAR}
본 발명(Disclosure)은 전체적으로 김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낱장으로 이송되어 오는 김을 설정된 겹으로 적층하여 절단공정으로 공급하는 김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김은 양질의 단백질이 많고, 카로틴 등 비타민 A의 모체와 비타민 B 복합체, 비타민 C와 칼슘 등 무기질이 많이 함유되어 쌀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의 식생활에서 영양의 균형을 잡아줌은 물론 맛이 좋아 기호성이 매우 높다.
그리고, 바다에서 채취한 김은 산지에서 제조된 재래김 형태로 유통되기도 하지만 최근 들어 소비자들은 재래김보다는 가공김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즉, 상기 가공김은 김에 기름과 소금 등과 같은 조미료를 가미한 상태로 불에 살짝 구워낸 다음 이를 섭취하기 용이한 크기와 형태로 절단하여 포장용기에 포장하여 유통시킴으로써 소비자가 먹기에 간편하게 일회용으로 포장되어 판매되고 있다.
여기서, 가공김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래김(A) 하나 하나를 기름과 조미료 등을 가미한 후 불에 구워내는 김 조미공정, 조미김을 설정된 겹(통상적으로 10장)으로 적층시켜 이송시키는 공정, 이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통상적으로 9등분 절단)하여 조미김(A')을 성형하는 김 절단공정, 절단된 조미김(A')을 각각의 포장용기(10)에 담고, 각각의 포장용기에 방습제 팩(21)을 투입하는 김 수납공정, 김이 담겨진 포장용기(10)를 포장지(B)로 밀봉시키는 완제품 포장공정과 같은 다양한 공정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조미김 가공공정의 경우, 김 조미공정 후 구워진 김을 포장용기 내에 수납하는 일련의 과정 중에서, 절단공정에 대한 자동화를 시작으로, 일정 규격으로 절단 처리된 김을 포장용기 내에 수납하는 공정 및 포장공정 등의 자동화 개발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김 조미공정 후 조미김을 설정된 겹으로 적층시키는 공정, 김 절단공정으로 조미김을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에 적층된 조미김을 연속적으로 적재하는 공정은 자동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하나의 이송 컨베이어에 설정된 겹으로 적층하는 작업 및 적층된 조미김을 이송 컨베이어에 적재하는 작업을 위하여 적어도 2인의 작업자가 투입되고 있어 생산성 향상에 큰 장애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낱장으로 이송되어 오는 김을 설정된 겹으로 적층하는 공정을 자동화하는 김 공급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설정된 겹으로 적층된 김을 이송하여 절단공정에 공급하는 공정을 자동화하는 김 공급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설정된 겹으로 적층된 김을 절단공정의 공정속도에 맞게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김 공급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김 공급장치의 일 태양(aspect)에 따르면, 설정된 겹으로 적층 된 적층 김이 선택적으로 적재되는 적재영역; 상기 적재영역이 연달아 길게 복수 개로 배치되는 공급 유닛으로써, 상기 적재영역 각각을 설정된 시간 간격(▽t)으로 상기 적재영역의 배열방향 길이만큼 씩 이동시키는 공급 유닛; 상기 적재영역이 연달아 길게 복수 개로 배치되는 공급 보조 유닛으로써, 복수 개의 상기 적재영역 중 일단에 위치되는 적재영역에 상기 적층 김이 공급될 때 상기 적재영역 각각을 상기 적재영역의 배열방향 길이만큼 씩 이동시키는 공급 보조 유닛; 및 상기 공급 보조 유닛에 적재된 상기 적층 김을 상기 공급 유닛의 복수 개의 상기 적재영역 중 상기 적층 김이 적재되지 않은 적재영역에 적재시키는 투입 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낱장으로 이송되어 오는 낱장 김을 계수하고, 설정된 겹으로 적층 시켜 상기 적재영역으로 배출시키는 계수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수 유닛은 상기 공급 유닛 및 상기 공급 보조 유닛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수 유닛은, 상기 낱장 김이 수용되며, 상기 낱장 김이 투입되는 개방된 상면과, 상기 적층 김이 배출되는 개방된 하면을 가지는 수용함; 상기 수용함의 내면에 구비되어 수용되는 상기 낱장 김이 상기 수용함의 하면으로 배출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 부재; 상기 수용함에 수용된 상기 낱장 김의 수가 설정된 수와 일치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차단 부재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개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수 유닛은, 상기 수용함의 상면의 테두리에 상기 낱장 김이 이송되어 오는 방향을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수용 유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수 유닛은, 상기 수용 유도 부재와 마주하도록 상기 수용함의 상면의 테두리에 구비되며, 상기 낱장 김이 이송되어 오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정렬 유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급 유닛은, 설정된 시간 간격(▽t)을 두고 후속 공정에 상기 적층 김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입 유닛은, 일측이 상기 공급 유닛과 연통되며, 타측이 상기 공급 보조 유닛과 연통되게 구비되며, 상기 적층 김을 지지하는 프레임;및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적층 김을 상기 공급 유닛의 비어있는 적재영역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투입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 유닛와 상기 공급 보조 유닛는 평행하게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공급 유닛와 상기 공급 보조 유닛의 일 단은 각각 상기 계수 유닛의 상기 수용함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공급 유닛의 다른 일 단은 후속 공정에 상기 적층 김을 공급할 수 있도록 연통 되어 구비되며, 상기 공급 보조 유닛의 다른 일 단은 상기 투입 유닛에 의해 상기 적층 김이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급 유닛 및 상기 공급 보조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적층 김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적층 김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부 지지판;으로서 상기 적층 김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절개 홈;이 형성된 하부 지지판;과 상기 적층 김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측면 지지판;을 가지는 공급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절개 홈을 통하여 상기 하부 지지판의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적재영역을 구획하도록 설정된 간격만큼 떨어져 구비되는 복수 개의 이송 돌기; 및 상기 복수 개의 이송 돌기가 상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결합되며, 상기 복수 개의 이송 돌기가 상기 절개 홈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동하는 구동 부재;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 부재는, 밸트 또는 체인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김 공급장치의 일 예에 의하면, 낱장으로 공급되는 김을 인력의 도움없이 자동으로 계수하고 정렬하여 설정된 겹으로 적층시킴으로써, 인건비를 낮추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김 공급장치의 일 예에 의하면, 설정된 겹으로 적층된 김을 인력의 도움없이 자동으로 절단공정의 공정순서에 맞게 연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인건비를 낮추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조미김의 가공 공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김 공급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의 김 공급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도 2의 김 공급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도 2에서 공급 유닛 및 공급 보조 유닛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 6은 도 5에서 공급 유닛 및 공급 보조 유닛의 입구를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 7은 도 2에서 계수 유닛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 및
도 8은 도 7의 계수 유닛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김 공급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김 공급장치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의 김 공급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도 2의 김 공급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김 공급장치(100)는 공급 유닛(110), 공급 보조 유닛(120) 및 투입 유닛(130)을 포함한다.
공급 유닛(110)과 공급 보조 유닛(120)은 설정된 겹으로 적층 된 적층 김(B)이 선택적으로 적재되는 복수의 적재영역(101)을 가지며, 복수의 적재영역(101)은 일렬로 연달아 배치되는 점에서 공통된다.
다만, 공급 유닛(110)은 적재영역(101) 각각이 설정된 시간 간격(▽t)을 가지고 일정한 속도로 적재영역(101)의 배열방향 길이만큼 씩 이동되도록 구비되나, 공급 보조 유닛(120)은 일렬로 배열된 복수 개의 적재영역(101)중 일단, 구체적으로 공급 보조 유닛(120)의 입구에 위치되는 적재영역(101)에 적층 김(B)이 공급될 때 적재영역(101) 각각이 적재영역(101)의 배열방향 길이만큼 씩 이동되도록 구비된다.
즉, 공급 유닛(110)은 적재영역(101)에 적층 김(B)이 적재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적재영역(101)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나, 공급 보조 유닛(120)은 모든 적재영역(101)에 적층 김(B)이 적재되었을 때 비로소 적재영역(101)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여기서, 공급 유닛(110)의 적재영역(101)이 이동되는 속도는 공급 유닛(110)에 연결된 후속 공정에 필요한 적층 김(B)의 공급속도와 일치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공급 유닛(110)을 통해 적층 김(B)이 연속적으로 후속 공정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후속 공정이 끊임없이 진행되고 이는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한편, 공급 보조 유닛(120)은 공급 유닛(110)을 통해 적층 김(B)이 연속적으로 후속 공정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공급 유닛(110)은 특정한 속도로 적층 김(B)의 적재 여부와 무관하게 적재영역(101)을 이동시키는데 반해, 공급 유닛(110)으로 공급되는 적층 김(B)의 공급속도는 계속적으로 변경되므로, 공급 유닛(110)의 적재영역(101) 중 일부에는 적층 김(B)이 적재되지 않은 채 이동되게 된다.
한편, 공급 보조 유닛(120)은 모든 적재영역(101)에 적층 김(B)이 적재되었을 때 적재영역(101)을 이동시킴으로 항상 모든 적재영역(101)에 적층 김(B)이 적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공급 유닛(110)의 적재영역(101) 중 적층 김(B)이 적재되지 않은 적재영역(101)에 공급 보조 유닛(120)에 적재된 적층 김(B)을 공급하여 줌으로써, 공급 유닛(110)의 후속 공정에 끊임없이 그 공정 속도에 맞게 적층 김(B)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종전 전적으로 인력에 의해 후속 공정에 적층 김(B)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던 것을 자동화할 수 있게 되므로, 인건비 절감은 물론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적층 김(B)은 통상 10장의 낱장 김이 적층 되어 형성되나, 낱장 김의 장수는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공급 유닛(110)과 공급 보조 유닛(120)으로 적층 김(B)의 공급을 자동화하기 위해 공급 유닛(110)과 공급 보조 유닛(120)의 이전 공정으로 후술하는 계수 유닛(1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투입 유닛(130)은 공급 보조 유닛(120)에 적재된 적층 김(B)을 공급 유닛(110)의 복수 개의 적재영역(101) 중 상기 적층 김(B)이 적재되지 않은 적재영역(101)에 적재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공급 유닛(110)의 적재영역(101)이 이동되면서 특정 위치를 지날 때, 그 적재영역(101)에 적층 김(B)이 적재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적층 김(B)이 적재되지 않은 경우, 투입 유닛(130)에 의해 공급 보조 유닛(120)으로부터 적층 김(B)이 공급되도록 하여 공급 유닛(110)의 적재영역(101)이 적층 김(B)이 적재되지 않은 채 후속 공정으로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투입 유닛(130)은, 일측이 공급 유닛(110)과 연통되며, 타측이 공급 보조 유닛(120)과 연통되게 구비되고, 적층 김(B)을 지지하는 프레임(131)과, 프레임(131)에 의해 지지되는 적층 김(B)을 공급 유닛(110)의 비어있는 적재영역(101)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투입 부재(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131)은 공급 보조 유닛(120)의 말단에 연통 되도록 구비되고, 동시에 공급 유닛(110)과 연통 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공급 보조 유닛(120)의 적재영역(101)이 이동되면서 자연스럽게 프레임(131)에 적층 김(B)이 공급되며, 투입 부재(133)에 의해 공급 유닛(110)에 적층 김(B)을 공급하게 된다. 투입 부재(133)는 직선 왕복 운동이 가능한 공지의 부재를 선택 적용할 수 있으며, 그 구동력은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여기서, 프레임(131)은 공급된 적층 김(B)이 기울어져 흐트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수평면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공급 유닛(110)의 적재영역(101) 중 프레임(131)과 연통 되는 위치의 적재영역(101)은 프레임(131)과 같은 높이의 수평면으로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공급 유닛(110) 및 공급 보조 유닛(120)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2에서 공급 유닛 및 공급 보조 유닛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 6은 도 5에서 공급 유닛 및 공급 보조 유닛의 입구를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공급 유닛(110) 및 공급 보조 유닛(120)은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평행하게 나란히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급 유닛(110)과 공급 보조 유닛(120)은 적층 김(B)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공급 가이드 부재(111,121), 공급 가이드 부재(111,121)에 형성된 절개 홈(113,123), 절개 홈(113,123)을 따라 움직이면서 적재영역(101)을 형성하며 적층 김(B)을 이송하는 이송 돌기(115,125) 및 구동 부재(11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 가이드 부재(111,121)는 적층 김(B)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부 지지판(111a,121a)과 적층 김(B)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측면 지지판(111b,121b)을 가지는 부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면을 투명하게 커버 하여 이송되는 적층 김(B)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으며, 동시에 적층 김(B)의 이송과정 중 적층 김(B)이 먼지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상면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개 홈(113,123)은 적층 김(B)의 이송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장방형의 구멍으로써, 적층 김(B)의 안정적인 이송을 위해 하부 지지판(111a,121a)에 두 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측면 지지판(111b,121b)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송 돌기(115,125)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절개 홈(113,123)을 통하여 하부 지지판(111a,121a)의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절개 홈(113,123)을 따라 설정된 간격만큼 떨어져 배치된다. 여기서 설정된 간격은 하나의 적재영역(101)의 이송방향 길이를 의미한다.
구동 부재(117)는 복수 개의 이송 돌기(115,125)가 이격되어 결합되며, 복수 개의 이송 돌기(115,125)가 절개 홈(113,123)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동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개의 이송 돌기(115,125)는 구동 부재(117)에 고정되어 구동 부재(117)의 움직임에 따라 절개 홈(113,123)을 따라 이동되면서 적층 김(B)을 이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구동 부재(117)는 복수 개의 이송 돌기(115,125)가 결합되는 부재로 밸트 또는 체인이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이라면 무방하다.
또한 벨트 또는 체인의 구동을 위해 풀리 또는 스프로켓이 구비될 수 있으며, 풀리 또는 스프로켓은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한편, 본 예에 따른 김 공급장치(100)는 낱장으로 이송되는 낱장 김을 적층 하여 공급 유닛(110) 및 공급 보조 유닛(120)에 공급하는 공정의 자동화를 위해 계수 유닛(14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도 2에서 계수 유닛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 8은 도 7의 계수 유닛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계수 유닛(140)은 낱장으로 이송되어 오는 낱장 김을 계수하고, 설정된 겹으로 적층 시켜 적재영역(101)으로 배출시키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계수 유닛(140)은 공급 유닛(110)과 공급 보조 유닛(120)에 각각 연결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일 예로, 계수 유닛(140)은, 수용함(141), 차단 부재(143), 개폐 부재(145)를 포함한다.
수용함(141)은 낱장 김이 투입되는 개방된 상면과, 적층 김이 배출되는 개방된 하면을 가지는 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직육면체로 구비되는 것이 제작비용 면에서 유리한 면이 있으나 반드시 요구되지 않는다. 이때 공급 유닛(110)과 공급 보조 유닛(120)은 수용함(141)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단 부재(143)는 수용함(141)의 내면 일 측에 구비되어, 수용함(141)으로 공급된 낱장 김이 그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며, 낱장 김이 설정된 수(일반적으로 10장) 만큼 적층될 때까지 그 이동을 차단하게 된다.
차단 부재(143)는 수용함(141)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중앙부로 돌출된 제1 상태로 낱장 김의 이동을 차단하며, 수용함(141)의 내부 측면에 접촉되거나 내부 측면을 지나 낱장 김의 이동을 차단하지 않는 제2 상태를 선택적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된다.
개폐 부재(145)는 수용함(141)에 수용된 낱장 김의 수가 설정된 수와 일치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차단 부재(143)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의해 차단 부재(143)는 제1 상태 및 제2 상태를 선택적으로 왕복하게 된다.
구체적인 일 예로, 차단 부재(143)는 판 형상의 부재로 구비되며, 개폐 부재(145)는 차단 부재(143)의 일단이 고정되어 결합 되며 수용함(141)의 측면 및 상면과 평행하게 위치되고 수용함(141)의 내부를 지나지 않도록 구비되는 축부재(145a),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직선운동을 구동시키는 구동부(145b), 축부재(145a)에 일 측이 고정되고 타 측은 구동부(145b)의 말단에 연결되어 구동부(145b)의 직선운동을 축부재(145a)의 회전운동으로 변화시키는 변환부재(145c)를 포함한다.
한편, 차단 부재(143)를 수용함(141)의 내부에서 서로 마주하는 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두 개의 차단 부재(143)의 개방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적층 김(B)이 기울어진 상태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두 개의 차단 부재(143) 각각에 축부재(145a)가 구비되되, 하나의 구동부(145b)에 의해 하나의 축부재(145a)가 회전되도록 하고, 그 축부재(145a)가 회전되는 각과 동일한 각만큼 반대방향으로 다른 하나의 축부재(145a)가 회전되도록 연결하는 연결 부재(145d)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부재(145d)에 의해 연결된 두 축부재(145a)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연결 부재(145d)는 두 축부재(145a)에 각각 고정되는 제1 링크와 제2 링크 및 이들을 서로 연결하며 양단이 이들에 핀 결합되는 제3 링크로 구성된다.
한편, 계수 유닛(140)은 이송되어 오는 낱장 김을 감지하여 수용함(141)에 수용된 낱장 김의 수를 계수하는 감지 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감지 부재는 계수 유닛(140)이 아닌 그 이전 공정에 구비될 수도 있다. 감지 부재는 광센서 등으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계수 유닛(140)은 낱장 김이 수용함(141) 내부로 안정적으로 수용되도록 하는 수용 유도 부재(147)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일 예로, 수용 유도 부재(147)는 수용함(141)의 상면의 테두리에 낱장 김이 이송되어 오는 방향을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된다.
이에 의해, 수용 유도 부재(147)는 낱장 김이 수용함(141)에 수용되지 못하고 수용함(141)의 상면을 지나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또한, 계수 유닛(140)은 정렬 유도 부재(149)가 더 추가될 수 있다.
정렬 유도 부재(149)는 수용 유도 부재(147)와 마주하도록 수용함(141)의 상면의 테두리에 구비되며, 낱장 김이 이송되어 오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다. 이에 의해 낱장 김이 수용되는 경로 일부를 가이드 하므로, 낱장 김이 갑작스런 낙하로 인하여 흐트러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계수 유닛(140)은 차단 부재(143)의 개방으로 수용함(141)의 하면을 통해 배출되는 적층 김(B)이 항상 동일한 위치에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되는 적층 김(B)의 좌우 측면과 뒤쪽 측면을 가이드 하는 배출 가이드판(142a,142b)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계수 유닛(140)은 수용함(141)의 하면에 공급 유닛(110) 또는 공급 보조 유닛(120)이 배치되어 수용함(141)을 통해 배출되는 적층 김(B)이 곧 바로 공급 유닛(110) 또는 공급 보조 유닛(120)에 적재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수용함(141)을 통해 배출되는 적층 김(B)을 후속 공정인 공급 유닛(110) 또는 공급 보조 유닛(120)으로 이동시켜 공급하는 배출 유닛(14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배출 유닛(146)은 수용함(141)의 하면 하부에 위치되는 판상의 베이스 부재(146a), 베이스 부재(146a) 위로 배출된 적층 김(B)을 공급 유닛(110) 또는 공급 보조 유닛(120)으로 밀어서 이동시키는 배출 부재(146b)를 포함하며, 배출 부재(146b)의 안정적인 배출 동작을 위해 베이스 부재(146a)에는 배출 부재(146b)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홈(146c)이 형성되며, 배출 부재(146b)의 하단에는 가이드 홈(146c)에 끼워져 가이드 홈(146c)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146ba)가 구비된다. 여기서 가이드 홈(146c)이 배출 부재(146b)에 구비되고, 가이드 돌기(146ba)가 베이스 부재(146a)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더하여, 적층 김(B)의 안정적인 배출을 위해, 베이스 부재(146a)에 고정되어 구비되며 적층 김(B)의 양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재(1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7)

  1. 설정된 겹으로 적층 된 적층 김이 선택적으로 적재되는 적재영역;
    상기 적재영역이 연달아 길게 복수 개로 배치되는 공급 유닛으로써, 상기 적재영역 각각을 설정된 시간 간격(▽t)으로 상기 적재영역의 배열방향 길이만큼 씩 이동시키는 공급 유닛;
    상기 적재영역이 연달아 길게 복수 개로 배치되는 공급 보조 유닛으로써, 복수 개의 상기 적재영역 중 일단에 위치되는 적재영역에 상기 적층 김이 공급될 때 상기 적재영역 각각을 상기 적재영역의 배열방향 길이만큼 씩 이동시키는 공급 보조 유닛; 및
    상기 공급 보조 유닛에 적재된 상기 적층 김을 상기 공급 유닛의 복수 개의 상기 적재영역 중 상기 적층 김이 적재되지 않은 적재영역에 적재시키는 투입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공급 유닛 및 상기 공급 보조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적층 김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적층 김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부 지지판;으로서 상기 적층 김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절개 홈;이 형성된 하부 지지판;과 상기 적층 김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측면 지지판;을 가지는 공급 가이드 부재;
    상기 절개 홈을 통하여 상기 하부 지지판의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적재영역을 구획하도록 설정된 간격만큼 떨어져 구비되는 복수 개의 이송 돌기; 및
    상기 복수 개의 이송 돌기가 상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결합되며, 상기 복수 개의 이송 돌기가 상기 절개 홈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동하는 구동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낱장으로 이송되어 오는 낱장 김을 계수하고, 설정된 겹으로 적층 시켜 상기 적재영역으로 배출시키는 계수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계수 유닛은 상기 공급 유닛 및 상기 공급 보조 유닛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공급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계수 유닛은,
    상기 낱장 김이 수용되며, 상기 낱장 김이 투입되는 개방된 상면과, 상기 적층 김이 배출되는 개방된 하면을 가지는 수용함;
    상기 수용함의 내면에 구비되어 수용되는 상기 낱장 김이 상기 수용함의 하면으로 배출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 부재;
    상기 수용함에 수용된 상기 낱장 김의 수가 설정된 수와 일치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차단 부재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개폐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공급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계수 유닛은, 상기 수용함의 상면의 테두리에 상기 낱장 김이 이송되어 오는 방향을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수용 유도 부재; 및
    상기 수용 유도 부재와 마주하도록 상기 수용함의 상면의 테두리에 구비되며, 상기 낱장 김이 이송되어 오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정렬 유도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공급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에 있어서,
    상기 공급 유닛은, 설정된 시간 간격(▽t)을 두고 후속 공정에 상기 적층 김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공급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투입 유닛은,
    일측이 상기 공급 유닛과 연통되며, 타측이 상기 공급 보조 유닛과 연통되게 구비되며, 상기 적층 김을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적층 김을 상기 공급 유닛의 비어있는 적재영역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투입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공급장치.
  7. 삭제
KR1020130139268A 2013-11-15 2013-11-15 김 공급장치 KR101532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268A KR101532431B1 (ko) 2013-11-15 2013-11-15 김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268A KR101532431B1 (ko) 2013-11-15 2013-11-15 김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349A KR20150056349A (ko) 2015-05-26
KR101532431B1 true KR101532431B1 (ko) 2015-06-30

Family

ID=53391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9268A KR101532431B1 (ko) 2013-11-15 2013-11-15 김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24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819B1 (ko) * 2020-07-10 2020-11-27 이상구 김 계수장치
KR20210147617A (ko) 2020-05-29 2021-12-07 두솔메카트로닉스 주식회사 절단김 자동이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550B1 (ko) * 2017-06-01 2019-03-14 주식회사 동원에프앤비 김 이송시스템 및 그 이송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111Y1 (ko) * 2003-08-28 2004-03-09 두상수 구이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
KR101009754B1 (ko) * 2010-04-07 2011-01-19 김기문 김 계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111Y1 (ko) * 2003-08-28 2004-03-09 두상수 구이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
KR101009754B1 (ko) * 2010-04-07 2011-01-19 김기문 김 계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7617A (ko) 2020-05-29 2021-12-07 두솔메카트로닉스 주식회사 절단김 자동이송장치
KR102183819B1 (ko) * 2020-07-10 2020-11-27 이상구 김 계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349A (ko) 2015-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0822B2 (en) Cup feeder
US6688839B1 (en) Device for processing bottles
CA2608689A1 (en) Device and method for filling containers
JPH06135420A (ja) カートニング装置
CN102811910A (zh) 用于外包装物品以形成物品堆和包括多个物品和纸板外包装类型的方法和机器
KR101532431B1 (ko) 김 공급장치
CN101484250A (zh) 用于分拣和包装水果的系统
US20180148204A1 (en) Machine for the packaging of fruits and generally spherical products
US20060090420A1 (en) Unit for feeding stacked packing material to a packing machine
US5183380A (en) Apparatus including an endless pocket conveyor for automatically transferring stacks of packaging blanks to a blank magazine of a packaging machine
JP2002104658A (ja) 容器供給装置
JP4990051B2 (ja) シート状トレー自動供給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弁当箱への盛り付けラインシステム
KR200344111Y1 (ko) 구이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
KR101958550B1 (ko) 김 이송시스템 및 그 이송방법
KR101769012B1 (ko) 포장용기 분류투입장치가 포함된 자동 미드팩 포장시스템
KR20120102854A (ko) 김 가공용 포장용기 자동공급장치
US20160075459A1 (en) Method and device for handling elongated articles
JP2003002432A (ja) 物品の整列搬送装置
JP6462556B2 (ja) 箱詰め装置
CN212606097U (zh) 一种食品理料包装线的入料结构
JP4773752B2 (ja) 棒状物品段積み装置
JP2004168491A (ja) 物品搬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箱詰め装置
CN218368500U (zh) 一种装箱设备
KR20050111427A (ko) 조미김 분할 투입장치
KR20210129837A (ko) 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5